KR20090071789A -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789A
KR20090071789A KR1020070139685A KR20070139685A KR20090071789A KR 20090071789 A KR20090071789 A KR 20090071789A KR 1020070139685 A KR1020070139685 A KR 1020070139685A KR 20070139685 A KR20070139685 A KR 20070139685A KR 20090071789 A KR20090071789 A KR 20090071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metal
lower conductive
upper conductive
etch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646B1 (ko
Inventor
조진연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6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75Electrode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배선 공정을 이용하는 MIM 캐패시터의 단차 개선을 통해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하부 구조가 형성된 기판 상에 금속 확산 방지막과 하부 도전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도전층에 대한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하부 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도전층이 패터닝된 결과물 상에 절연막과 상부 도전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도전층에 대한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상부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MIM 캐패시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MIM 캐패시터 패턴(MIM)이 형성된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을 구리로 매립한 후 평탄화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리, MIM, 단차, 평탄화, 잔류물

Description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ASSIVE DEVICE OF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리 배선 공정을 이용하는 MIM 캐패시터의 단차 개선을 통해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는 CMOS IC Logic Device에 적용되는 아날로그 캐패시터(Analog Cpacitor)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Converter)나 스위치드 캐패시터 필터(Switched Capacitor Filter) 분야의 핵심 요소로서, 최근에는 CMOS IMAGE SENSOR용 수동 소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캐패시터의 구조로는 폴리실리콘/폴리실리콘(polysilicon to polysilicon), 폴리실리콘/실리콘(polysilicon to silicon), 금속/실리콘(metal to silicon), 금속/폴리실리콘(metal to silicon) 및 금속/금속(metal to metal)이 있다.
이들 중 금속/금속(metal to metal) 구조는 시리즈 레지스턴스(Series Resistance)가 낮아 높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캐패시터를 만들 수 있으며, 써멀 버짓(Thermal Budget) 및 Vcc가 낮은 장점으로 인하여 현재 아날로그 캐패시터 구조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소정의 하부층이 형성된 기판(10) 상에 금속간절연막(11)을 증착한다.
이때, 하부층은 통상적인 트랜지스터 및 소자분리막이 형성된 층으로써, 형성 공정은 생략한다.
이어서, 금속간절연막(11)을 선택적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 콘택홀을 금속물질로 매립하여 금속플러그(12)를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금속간절연막(11) 상에 금속 확산 방지막(13)과, 하부 도전층(14)과 절연층(15) 및 상부 도전층(16)을 순차로 증착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통상의 사진 및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상부 도전층(16)을 식각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절연층(15)과 하부 도전층(14)을 순차로 식각하여 MIM 캐패시터 패턴(MIM)을 형성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MIM 캐패시터 패턴(MIM)이 형성된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17)을 증착한다.
이때, 층간절연막(17)로 FSG, OSG, TEOS와 같은 산화막을 이용하는데, MIM 캐패시터 패턴(MIM)에 의한 단차 개선을 위해 평탄화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으나, 층간절연막(17)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면, 후속의 금속배선(18; 도 1f 참조)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시에 하부 도전층(14)과 상부 도전층(16) 및 금속 플러그(12)의 식각 타겟이 달라져 공정 여유도가 저하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층간 절연막(17)을 식각하여 하부 도전층(14)과 상부 도전층(16) 및 금속 플러그(12)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진 및 식각을 여러번 나누어 진행해야 하며 평탄화 공정시에도 상부 도전층의 상부에 매우 얇은 층간절연막을 남겨두어야 하므로 평탄화 공정 여유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평탄화 공정은 진행하지 않는다.
도 1f를 참조하면, 층간절연막(17)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하부 도전층(14)과 상부 도전층(16)을 노출시키는 콘택홀(미도시함)을 형성한다.
그리고, 콘택홀(미도시함)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구리를 증착한 후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하부 도전층(14)과 상부 도전층(16)에 접속되는 금속배선(18: 18a,18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MIM 캐패시터에 의해 층간 절연막이 단차를 갖게 되므로, 구리에 대한 CMP 공정을 진행한 후에 상호 인접하는 MIM 캐패시터 패턴(MIM)이나 배선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 영역에 구리가 잔류물(19)로 남는다.
이러한 잔류된 구리는 기생 캐패시턴스를 유발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 킬 뿐만 아니라, 회로의 단락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리 배선 공정을 이용하는 MIM 캐패시터의 단차에 의한 층간 절연막의 단차 발생에 기인하여 MIM 캐패시터 패턴의 사이 및 금속 배선의 사이에 구리 잔류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하부 구조가 형성된 기판 상에 금속 확산 방지막과 하부 도전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도전층에 대한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하부 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도전층이 패터닝된 결과물 상에 절연막과 상부 도전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도전층에 대한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상부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MIM 캐패시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MIM 캐패시터 패턴(MIM)이 형성된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을 금속으로 매립한 후 평탄화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확산 방지막은 SiN막 또는 SiC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은 각각 TiN막 또는 TaN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도전층 패터닝 공정과 상부 도전층 패터닝 공정은 하부 도전층 또는 상부 도전층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하부 도전층 또는 상부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 식각 공정은 BLC3/Cl2, Cl2/Ar 및 BCl3/Cl2/Ar 가스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토레지스트 제거 공정은 O2 플라즈마나 오존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은 SiN, Ta2O5, Al2O3, HfO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층간절연막은 FSG, OSG, TEOS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간절연막은 1500~5000Å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콘택홀은 구리를 이용하여 매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MIM 캐패시터 단차를 최소화를 통해 층간 절연막의 단차를 감소시켜 MIM 캐패시터 패턴의 사이 및 금속 배선의 사이에 구리 잔류물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리 잔류물에 의한 기생 캐패시턴스 발생을 방지하여 회로의 단락을 방지하며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소정의 하부층이 형성된 기판(20) 상에 금속간절연막(21)을 증착한다.
이때, 하부층은 통상적인 트랜지스터 및 소자분리막을 포함하는 층으로써, 형성 공정 및 도면상에 대한 표기는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금속간절연막(21)을 선택적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 콘택홀을 금속물질로 매립하고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금속플러그(22)를 형성한다.
이때, 금속플러그(22)를 형성하는 금속물질은 텅스텐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금속간절연막(21) 상에 금속 확산 방지막(23)과, 하부 도전층(24)을 증착한다.
이어서, 하부 도전층(24)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함)을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한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하부 도전층(24)을 패터닝한다.
여기서, 금속 확산 방지막(23)은 SiN막 또는 SiC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하부 도전층(24)은 TiN막 또는 TaN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도전층(24)에 대한 식각 공정은 BLC3/Cl2, Cl2/Ar 및 BCl3/Cl2/Ar 가스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하부 도전층(24) 패터닝이 마스크 역할을 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함)을 O2 플라즈마나 오존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하부 도전층(24)이 패터닝된 결과물 상에 절연막(25)과 상부 도전층(26)을 순차로 증착한다.
여기서, 절연막(25)은 SiN, Ta2O5, Al2O3, HfO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부 도전층(26)은 TiN막 또는 TaN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부 도전층(26) 상에 포토레지스트 패턴(미도시함)을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한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상부 도전층(26)을 식각하여 MIM 캐패시터 패턴(MIM)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부 도전층(26) 식각 공정은 BLC3/Cl2, Cl2/Ar 및 BCl3/Cl2/Ar 가스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도전층(26) 식각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O2 플라즈마나 오존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도 2e를 참조하면, MIM 캐패시터 패턴(MIM)이 형성된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27)을 증착한다.
이때, 층간절연막(27)로 FSG, OSG, TEOS와 같은 산화막을 이용할 수 있으며, 층간 절연막(27)은 1500~5000Å 두께로 증착한다.
이대, MIM 캐패시터 패턴(MIM)에 의한 단차 개선을 위해 화학기계적평탄 화(CMP)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으나, 층간절연막(27)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면, 후속의 금속배선(28; 도 2f 참조)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시에 하부 도전층(24)과 상부 도전층(26) 및 금속 플러그(22)의 식각 타겟이 달라져 공정 여유도가 저하되므로,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f를 참조하면, 층간절연막(27)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하부 도전층(24)과 상부 도전층(26)을 노출시키는 콘택홀(미도시함)을 형성한다.
그리고, 콘택홀(미도시함)이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장벽 금속층과, 구리 시드층을 형성한 후 구리로 콘택홀(미도시함)을 매립한다.
이어서, 평탄화 공정을 진행하여, 하부 도전층(24)과 상부 도전층(26)에 접속되는 금속배선(28: 28a,28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 도전층과 절연막 및 상부 도전층을 한번에 식각하지 않고, 하부 도전층을 식각한 후 절연막과 상부 도전층을 차례로 증착한 다음 상부 도전층에 대한 패터닝만 진행하여, 인접하는 MIM 캐패시터 패턴의 사이의 층간절연막의 단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단차에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구리의 평탄화 공정시 단차 발생 영역에 구리가 잔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기판 21 : 금속간절연막
22 : 금속 플러그 23 : 금속 확산 방지막
24 : 하부 도전층 25 : 절연막
26 : 상부 도전층 27 : 층간절연막
28 : 금속배선

Claims (6)

  1. 소정의 하부 구조가 형성된 기판 상에 금속 확산 방지막과 하부 도전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도전층에 대한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하부 도전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하부 도전층이 패터닝된 결과물 상에 절연막과 상부 도전층을 순차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도전층에 대한 사진 및 식각 공정으로 상부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MIM 캐패시터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MIM 캐패시터 패턴(MIM)이 형성된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층간절연막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홀을 금속으로 매립한 후 평탄화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은 각각 TiN막 또는 TaN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전층 패터닝 공정과 상부 도전층 패터닝 공정은;
    하부 도전층 또는 상부 도전층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이용한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하부 도전층 또는 상부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 식각 공정은 BLC3/Cl2, Cl2/Ar 및 BCl3/Cl2/Ar 가스를 이용한 건식 식각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SiN, Ta2O5, Al2O3, HfO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매립시키기 위한 금속으로 구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70139685A 2007-12-28 2007-12-28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6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685A KR100968646B1 (ko) 2007-12-28 2007-12-28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685A KR100968646B1 (ko) 2007-12-28 2007-12-28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789A true KR20090071789A (ko) 2009-07-02
KR100968646B1 KR100968646B1 (ko) 2010-07-06

Family

ID=4132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685A KR100968646B1 (ko) 2007-12-28 2007-12-28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055B1 (ko) * 2009-06-24 2011-05-19 전자부품연구원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36574B (zh) * 2014-08-07 2020-12-25 无锡华润上华科技有限公司 氮化硅薄膜及mim电容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310B1 (ko) * 2002-11-13 2005-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절연체-금속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20050055433A (ko) * 2003-12-08 2005-06-1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엠아이엠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613281B1 (ko) * 2004-06-07 2006-08-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박막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KR100724249B1 (ko) * 2005-09-15 2007-05-3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055B1 (ko) * 2009-06-24 2011-05-19 전자부품연구원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객체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646B1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1140C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7221161A (ja) 半導体デバイスで用いられるキャパシタとその製造方法
US769170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amascene MIM type capacitor
JP2009099991A (ja) 半導体素子のスタックキャパシタ及びその形成方法
KR100968646B1 (ko) 반도체 수동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90046578A (ko)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4249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US700534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48516B1 (ko) Mim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00965215B1 (ko) 반도체 소자의 mim 커패시터 제조 방법
KR10104461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7031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21229B1 (ko) 반도체 소자의 레지스터 형성방법
KR100800823B1 (ko) Mim 커패시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배선 제조 방법
KR10048518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0084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67914B1 (ko) 수평구조의 엠아이엠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255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8591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97989B1 (ko) 엠아이엠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2603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44384B1 (ko) 반도체 소자의 레지스터 형성방법
KR100735479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383084B1 (ko) 반도체 소자의 플러그 형성 방법
KR20050064588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