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267A - 프린트 배선판,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 Google Patents

프린트 배선판,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267A
KR20090069267A KR1020097002921A KR20097002921A KR20090069267A KR 20090069267 A KR20090069267 A KR 20090069267A KR 1020097002921 A KR1020097002921 A KR 1020097002921A KR 20097002921 A KR20097002921 A KR 20097002921A KR 20090069267 A KR20090069267 A KR 20090069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wiring pattern
parallel
pattern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276B1 (ko
Inventor
히로요시 타기
에이지 다카하시
요시유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6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28Compensation of cross-talk by a mutually correlated lay-out of printed circuit traces, e.g. for compensation of cross-talk in mounted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5Lay-out of balanced signal pairs, e.g. differential lines or twisted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5Folded back on itsel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Alternating conductors, e.g. alternating different shaped pads, twisted pairs; Alternating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1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05K3/4635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laminating flexible circuit boards using additional insulating adhesive materials between the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28Assembling formed circuit to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 전자 노이즈를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외래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프린트 배선판과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한다. 적층 배치된 적어도 두장의 절연 기판 사이에 제1, 제2 파형 배선을 설치한다. 제1, 제2 파형 배선은, 절연 기판의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으로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한다. 제1, 제2 파형 배선은,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된 레지스트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Description

프린트 배선판,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PRINTED WIRING BOAR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노이즈 저감 대책이 실시된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기의 소형, 고집적화가 급속히 진행함에 따라,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프린트 기판 및 프린트 기판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은, 방사 전자 노이즈가 발생하기 쉽고, 외래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있다.
전자 노이즈의 발생이나 영향을 저감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차동 배선을 이용한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들 수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전자 노이즈가 작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구조로서, 도 6에 도시하는 구조(이하, 제1 종래예라고 함)가 제안되어 있다. 제1 종래예는, 이층 구조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표면측의 배선 패턴층을, 서로 평행한 우측 아래로 기울어진 복수의 표면 배선(528)이 되도록 패터닝하고, 이면측의 배선 패턴층을, 표면 배선(528)에 교차하고, 또한 서로 평행한 우측 위(표면측에서 보아)로 기울어진 복수의 이면 배선(529)이 되도록 패터닝하고, 표면 배선(528) 및 이면 배선(529)의 단부를, 층간 접속 비어(530)를 통해 접속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전자 노이즈가 작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구조로서,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구조(이하, 제2 종래예라고 함)가 제안되어 있다. 제2 종래예는, 단층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표면측의 배선 패턴층에, 제1 배선 패턴(602)과, 제1 배선 패턴(602)과는 전기적으로 위상이 180°상이한 신호가 여진되는 제2 배선 패턴(603)을 각각 파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절곡선(618)을 따라 배선판이 절곡되었을 시에, 상기 제1 배선 패턴(602)과 제2 배선 패턴(603)이 180°의 위상차를 갖도록 하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6075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4042호 공보
상기 종래 기술을 이용하면, 전자 노이즈의 발생이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하의 과제가 있다. 제1 종래예에 있어서는,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하는 데 층간 접속 비어를 이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배선판의 제작 비용이 비싸지게 된다. 또한 제2 종래예에 있어서는,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배선판을 절곡하기 때문에, 제1 배선 패턴(602)과 제2 배선 패턴(603)과의 사이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제1 배선 패턴(602)과 제2 배선 패턴(603)에 의해 전송되기 때문에 차동 신호의 특성이 열화한다. 또한 제1 종래예에 있어서는, 배선판의 평면 방향 및 단면 방향에서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배선판의 평면 방향 및 단면 방향에 있어서의 외래 전자 노이즈에 대한 내성을 갖지만, 제2 종래예에서는 이차원의 트위스트 페어 구조이기 때문에, 배선판의 단면 방향에 있어서의 내성밖에 갖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불충분한 전자 노이즈 저감 대책을 해소하여, 전자 노이즈 저감 효과가 높고 또한 비용 증대가 적은 배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프린트 배선판은, 적층 배치된 적어도 두장의 절연 기판과,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된 제1 파형 배선과,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 기판의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에 걸쳐 3차원 상에서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교차하는 제2 파형 배선과,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레지스트층
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발명은, 차동 배선의 특성 열화를 생기게 하는 경우가 없고, 배선판의 평면 방향 및 단면 방향에 있어서의 외래 전자 노이즈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또한 저방사 노이즈 특성을 갖는 프린트 배선판을 얻을 수 있다.
또, 제1 파형 배선이나 제2 파형 배선의 내부 접속을 행하는 전기 접속체를, 제1 파형 배선이나 제2 파형 배선의 내부 배선의 열압착 부위, 땜납,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제1, 제2 파형 배선의 간격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차동 신호의 특성 열화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 배치된 적어도 세장의 상기 절연 기판을 구비하고,
이들 절연 기판의 복수의 층간에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과 상기 레지스트층이 설치되며,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파형 배선끼리, 및 상기 제2 파형 배선끼리가, 각각 상기 절연 기판의 접합면에 대해 면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프린트 배선판의 두께 방향으로 의사(pseudo)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적층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이에 따라 배선판의 두께 방향의 방사 노이즈를 보다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에는, 2개의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거의 동일한 장소에 배치되고 또한 경상(鏡像) 관계인 것이 중요하다. 혹시 각각의 의사 트위스트 페어의 위상이 동일한 경우, 방사 노이즈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없어진다. 또한 상기 구조는 방사 노이즈의 저감에 유효하지만,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연속해 있었던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극단적으로 인접시키면 차동 배선 사이의 크로스토크 노이즈가 커져버려, 신호 품질이 열화한다. 실시할 때에는 시뮬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크로스토크 노이즈가 낮고, 방사 노이즈도 낮게 되는 최적의 간격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차동 배선의 특성 열화를 생기게 하는 경우도 비용이 증대하는 경우도 없고, 배선판의 평면 방향 및 단면 방향에 있어서의 외래 전자 노이즈에 대한 내성을 갖고, 또한 저방사 노이즈 특성을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사각형 파형 배선에 의해 형성되는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복수 형성하고, 복수회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절곡하여,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끼리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 방향으로 늘어놓은 구조로 함으로써 배선판의 단면 방향의 방사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 방향으로 늘어 놓은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거의 동일한 장소에 배치되고 또한 경상 배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혹시 각각의 의사 트위스트 페어의 위상이 동일한 경우, 방사 노이즈의 저감 효과가 감소해 버린다. 또한 상기 구조는 방사 노이즈의 저감에 유효하지만, 상기 배선판의 단면 방향으로 연속해 있었던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극단적으로 인접시키면 차동 배선 사이의 크로스토크 노이즈가 커져버려, 신호 품질이 열화한다. 실시할 때에는 시뮬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저크로스토크 노이즈, 저방사 노이즈가 되는 최적의 간격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는 프린트 배선판에 의하면, 차동 신호의 특성 열화를 생기게하지 않고서 통상의 프린트 배선판보다도 전자 노이즈의 발생이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노이즈 방사의 극성이 상이한(방사하는 방향이 상이함)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 방향으로 늘어놓으면, 전자 노이즈의 발생이나 영향을 더욱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의하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절곡함으로써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통상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보다 전자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어렵고 또한 전자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고 하는 특성을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차동 신호의 특성 열화를 생기게 하지 않고서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이조 이상의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하여 복수회 절곡함으로써 전자 노이즈 방사의 극성이 상이한(방사하는 방향이 상이함)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배선판의 단면에 연속해있도록 형성할 수 있고, 그렇게 하면, 보다 전자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또한 전자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실시형태 1의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두개의 배선판의 한쪽의 표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층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실시형태 1의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다른 한쪽의 배선판의 이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층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실시형태 1의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의 투시도이다.
도 1d는 실시형태 1의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실시형태 2의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군의 하나로서,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의 표면측에서 본 투시도이다.
도 2b는 실시형태 2의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군의 하나로서,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실시형태 2의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군의 하나로서,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의 이면측에서 본 투시도이다.
도 3a는 실시형태 3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군의 하나로서, 절곡 전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실시형태 3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군의 하나로서, 절곡 후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투시도이다.
도 3c는 실시형태 3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군의 하나로서, 절곡 후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실시형태 4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1 도면군의 하나로서, 절곡 전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실시형태 4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1 도면군의 하나로서, 절곡 전의 이면도이다.
도 5a는 실시형태 4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2 도면군의 하나로서, 첫번째 절곡 후의 투시도이다.
도 5b는 실시형태 4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2 도면군의 하나로서, 첫번째 절곡 후의 단면도이다.
도 5c는 실시형태 4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2 도면군의 하나로서, 두번째 절곡 후의 투시도이다.
도 5d는 실시형태 4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2 도면군의 하나로서, 두번째 절곡 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트위스트 페어 구조의 프린트 배선판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종래의 트위스트 페어 구조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종래의 트위스트 페어 구조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배선 패턴층
101: 제2 배선 패턴층
102: 제1 배선 패턴
102a: 제1 병행 배선부
102b: 제1 교차 배선부
103: 제2 배선 패턴
103a: 제1 병행 배선부
103b: 제1 교차 배선부
104: 제3 배선 패턴
104a: 제1 병행 배선부
104b: 제1 교차 배선부
105: 제4 배선 패턴
105a: 제1 병행 배선부
105b: 제1 교차 배선부
108: 플렉시블 절연 기판
108A: 제1 절연 기판
108A': 제1 기판 영역
108B: 제2 절연 기판
108B': 제2 기판 영역
110: 제1 전기 접속체
111: 제2 전기 접속체
112: 레지스트층
113: 제1 파형 배선
114: 제2 파형 배선
200: 제1 배선 패턴층
200A, 200B: 제1 배선 패턴층
201: 제2 배선 패턴층
201A, 200B: 제2 배선 패턴
202A, 202B: 제1 배선 패턴
202Aa, 202Ba: 제1 병행 배선부
202Ab, 202Bb: 제1 교차 배선부
203A, 203B: 제2 배선 패턴
203Aa, 203Ba: 제2 병행 배선부
203Ab, 203Bb: 제2 교차 배선부
204A, 204B: 제3 배선 패턴
204Aa, 204Ba: 제3 병행 배선부
204Ab, 204Bb: 제3 교차 배선부
205A, 205B: 제4 배선 패턴
205Aa, 205Ba: 제4 병행 배선부
205Ab, 205Bb: 제4 교차 배선부
208: 플렉시블 절연 기판
208A: 제1 절연 기판
208A': 제1 기판 영역
208B: 제2 절연 기판
208B': 제2 기판 영역
208C: 제3 절연 기판
210A, 210B: 제1 전기 접속체
211A, 211B: 제2 전기 접속체
212A, 212B: 레지스트층
213A, 213B: 제1 파형 배선
214A, 214B: 제2 파형 배선
230: 보조 배선
본 발명에 따르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실시형태에 대해 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1을 도시한다. 도 1a는 제1 배선 패턴층이 형성된 제1 절연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제2 배선 패턴층이 형성된 제2 절연 기판의 이면도이며, 도 1c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상면측에서 본 투시도이고, 도 1d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100은 제1 배선 패턴층이고, 101은 제2 배선 패턴층 이며, 102는 제1 배선 패턴이고, 103는 제2 배선 패턴이며, 104는 제3 배선 패턴 이고, 105는 제4 배선 패턴이며, 106는 레지스트 천공부(穿合部)이고, 108A는 제1 절연 기판이며, 108B는 제2 절연 기판이고, 110은 제1 전기 접속체(땜납)이며, 111은 제2 전기 접속체(땜납)이고, 112는 레지스트층이며, 113은 제1 파형 배선이고, 114는 제2 파형 배선이다.
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은, 제1 절연 기판(플렉시블 절연 기판)(108A)과, 제2 절연 기판(플렉시블 절연 기판)(108B)과, 레지스트층(112)과, 제1 파형 배선(113)과, 제2 파형 배선(114)을 구비한다. 제1 절연 기판(108A)과 제2 절연 기판(108B)은, 레지스트층(112)과 제1 파형 배선(113)과 제2 파형 배선(114)을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 배치된다. 제1 파형 배선(113)과 제2 파형 배선(114)은, 절연 기판(108A, 108B) 사이에서 기판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으로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 로 교차한다. 레지스트층(112)은, 절연 기판(108A, 108B) 사이[제1 파형 배선(113)과 제2 파형 배선(114)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파형 배선(113)과 제2 파형 배선(114)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제1 파형 배선(113)은, 제1 배선 패턴(102)과 제2 배선 패턴(103)을 구비한다. 제2 파형 배선(114)은, 제3 배선 패턴(104)과 제4 배선 패턴(105)을 구비한다. 제1 배선 패턴(102)은, 제1 절연 기판(108A)의 대향면[제2 절연 기판(108B)에 대향하는 면](108Aa)에 설치된다. 제1 배선 패턴(102)은 동일 패턴을 갖는 복수의 것이 설치된다. 이들 제1 배선 패턴(102)군은, 제1 파형 배선(113)에 있어서 단속하는(intermittent) 복수의 부위를 구성한다. 제2 배선 패턴(103)은, 제2 절연 기판(108B)의 대향면[제1 절연 기판(108A)에 대향하는 면](108Ba)에 설치된다. 제2 배선 패턴(103)은 동일 패턴을 갖는 복수의 것이 설치된다. 이들 제2 배선 패턴(103)군은, 제1 파형 배선(113)에 있어서 제1 배선 패턴(102) 이외의 단속하는 나머지의 복수의 부위를 구성한다.
제3 배선 패턴(104)은, 제1 절연 기판(108A)의 대향면[제2 절연 기판(108B)에 대향하는 면](108Aa)에 설치된다. 제3 배선 패턴(104)은 동일 패턴을 갖는 복수의 것이 설치된다. 이들 제3 배선 패턴(104)군은, 제2 파형 배선(114)의 단속하는 복수의 부위를 구성한다. 제4 배선 패턴(105)은, 제2 절연 기판(108B)의 대향면[제1 절연 기판(108A)에 대향하는 면](108Ba)에 설치된다. 제4 배선 패턴(105)은 동일 패턴을 갖는 복수의 것이 설치된다. 이들 제4 배선 패턴(105)군은, 제2 파형 배선(114)에 있어서, 제3 배선 패턴(104) 이외의 단속하는 복수의 나머지의 부위를 구성한다.
제1 배선 패턴(102)군과 제3 배선 패턴(104)군은, 제1 절연 기판(108A)의 대향면(108Aa) 상에서 제1 배선 패턴층(100)을 구성한다. 제2 배선 패턴(103)군과 제4 배선 패턴(105)군은, 제2 절연 기판(108B)의 대향면(108Ba) 상에서 제2 배선 패턴층(101)을 구성한다.
제1 배선 패턴(102)은, 서로 연통하는 제1 병행 배선부(102a)와 제1 교차 배선부(102b)를 구비한다. 제2 배선 패턴(103)은, 서로 연통하는 제2 병행 배선부(103a)와 제2 교차 배선부(103b)를 구비한다. 제3 배선 패턴(104)은, 서로 연통하는 제3 병행 배선부(104a)와 제3 교차 배선부(104b)를 구비한다. 제4 배선 패턴(105)은, 서로 연통하는 제4 병행 배선부(105a)와 제4 교차 배선부(105b)를 구비한다.
이하, 제1∼제4 배선 패턴(102∼105)의 구조 상의 특징을 조항별로 써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절연 기판(108A, 108B)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태로 기술한다.
·제1 병행 배선부(102a)와 제4 병행 배선부(105a)는 서로 같은 치수이고 또한 평행 상태로 병행 배치된다.
·제2 병행 배선부(103a)와 제3 병행 배선부(104a)는 서로 같은 치수이고 또한 평행 상태로 병행 배치된다.
·제1 교차 배선부(102b)와 제4 교차 배선부(105b)는 교차한다.
·제2 교차 배선부(103b)와 제3 교차 배선부(104b)는 교차한다.
·제1 절연 기판(108A)의 대향면(108Aa) 상에 있어서, 제1 병행 배선부(102a)와 제3 병행 배선부(104a)는 대략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제2 절연 기판(108B)의 대향면(108Ba) 상에 있어서, 제2 병행 배선부(103a)와 제4 병행 배선부(105a)는 대략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
·제1 교차 배선부(102b)와 제3 교차 배선부(104b)는 서로 평행 상태로 병행 배치된다.
·제2 교차 배선부(103b)와 제4 교차 배선부(105b)는 서로 평행 상태로 병행 배치된다.
이하, 상기와 동일하게 절연 기판(108A, 108B)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태로 기술한다.
·인접하는 제1 배선 패턴(102)과 제2 배선 패턴(103)에 있어서, 제1 교차 배선부(102b)의 단부는 제2 병행 배선부(103a)의 단부와 교차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제2 교차 배선부(103b)의 단부는 제1 병행 배선부(102a)의 단부와 교차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인접하는 제3 배선 패턴(104)과 제4 배선 패턴(105)에 있어서, 제3 교차 배선부(104b)의 단부는 제4 병행 배선부(105a)의 단부와 교차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제4 교차 배선부(105b)의 단부는 제3 병행 배선부(104a)의 단부와 교차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이하, 상기와 동일하게 절연 기판(108A, 108B)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태로 기술한다.
·각 제1 배선 패턴(102)의 제1 교차 배선부(102b)는, 상기 제1 배선 패턴(102)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제2 배선 패턴(103)의 제2 병행 배선부(103a)에 제1 전기 접속체(110)를 통해 접속된다.
·각 제1 배선 패턴(102)의 제1 병행 배선부(102a)는, 상기 제1 배선 패턴(102)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제2 배선 패턴(103)의 제2 교차 배선부(103b)에 제1 전기 접속체(110)를 통해 접속된다.
·각 제3 배선 패턴(104)의 제3 교차 배선부(104b)는, 상기 제3 배선 패턴(104)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제4 배선 패턴(105)의 제4 병행 배선부(105a)에 제2 전기 접속체(111)를 통해 접속된다.
·각 제3 배선 패턴(104)의 제3 병행 배선부(104a)는, 상기 제3 배선 패턴(104)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제4 배선 패턴(105)의 제4 교차 배선부(105b)에 제2 전기 접속체(111)를 통해 접속된다.
·제1 절연 기판(108A)과 제2 절연 기판(108B) 사이에는 레지스트층(112)이 설치되어 있고, 제1 배선 패턴층(100)과 제2 배선 패턴층(101)은, 레지스트층(1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가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서 레지스트층(112)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지스트 천공부(106)가 설치되어 있고, 레지스트 천공부(106)가 설치됨으로써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에 의한 제1 배선 패턴층(100)과 제2 배선 패턴층(101) 사이의 접속은 방해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배선 패턴(102)과 제2 배선 패턴(103)은 제1 전기 접속 체(110)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파형 배선(113)이 구성된다. 제3 배선 패턴(104)과 제4 배선 패턴(105)은 제2 전기 접속체(111)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 파형 배선(114)이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되는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제1 파형 배선(113)과 제2 파형 배선(114)에 신호원(120)으로부터 서로 전기적으로 180° 위상이 상이한 신호가 여진됨으로써,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갖는 전기 기기가 구성된다.
또, 제1 전기 접속체(110)는, 땜납 외에, 제1 배선 패턴(102)과 제2 배선 패턴(103)의 열압착 부위, 도전성 접착제,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제로 구성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2 전기 접속체(111)는, 땜납 외에, 도전성 접착제, 도전성 페이스트, 또는 제3 배선 패턴(104)과 제4 배선 패턴(105)과의 열압착 부위로 구성되어도 좋다.
제1 실시형태는, 절연 기판 사이에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갖는 전자 노이즈 대책이 실시된 프린트 배선판을 구성한다. 즉, 제1 절연 기판(108A)의 대향면(108Aa)에 설치한 제1 배선 패턴층(100)의 일부에, 제1 배선 패턴(102)과, 이 제1 배선 패턴(102)과는 전기적으로 위상이 180° 상이한 신호가 여진되는 제3 배선 패턴(104)을 등간격 또한 교대로 배열한다. 한편, 제2 절연 기판(108B)의 대향면(108Ba)에 설치한 제2 배선 패턴층(101)의 일부에, 제1 배선 패턴(102)과 동상의 신호가 흐르는 제2 배선 패턴(103)과, 제3 배선 패턴(104)과 동상의 신호가 흐르는 제4 배선 패턴(105)을, 제1, 제3 배선 패턴(102, 104)과는 역위상 순서로, 또한 제1, 제2 절연 기판(108A, 108B)을 적층했을 때에는, 서로가 경상 배치(면대칭)이 되 도록 등간격으로 배열한다. 나아가서는, 제1 배선 패턴(102)과 제2 배선 패턴(103)을, 레지스트 천공부(106)에 있어서, 제1 전기 접속체(110)로 직렬 접속하고, 제3 배선 패턴(104)과 제4 배선 패턴(105)을, 레지스트 천공부(106)에 있어서, 제2 전기 접속체(111)로 직렬 접속한다. 이에 따라, 서로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로 규칙적으로 교차하여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구성하는 제1, 제2 파형 배선(113, 114)이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땜납 등의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제1∼제4 배선 패턴(102∼105)을 이용하여, 차동 신호가 흐르는 제1, 제2 파형 배선(113, 114)을 제1, 제2 절연 기판(108A, 108B) 사이에 설치하기 때문에, 이들 제1, 제2 파형 배선(113, 114)의 배치 간격(형성 피치)이 거의 일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의 특성 열화를 생기게하지 않고서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통상의 프린트 배선판보다도 전자 노이즈의 발생이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2a -도 2c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형태 2를 도시한다. 도 2a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상면측에서 본 투시도이고, 도 2b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단면도이며, 도 2c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이면측에서 본 투시도이다.
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은, 제1 절연 기판(플렉시블 절연 기판)(208A)과, 제2 절연 기판(플렉시블 절연 기판)(208B)과, 제3 절연 기판(플렉시블 절연 기판)(208C)과, 레지스트층(212A, 212B)과, 제1 파형 배선(213A, 213B)과, 제2 파형 배선(214A, 214B)을 구비한다. 제1 절연 기판(208A)과 제2 절연 기판(208B)은, 레지스트층(212A)과 제1 파형 배선(213A)과 제2 파형 배선(214A)을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 배치된다. 제1 파형 배선(213A)과 제2 파형 배선(214A)은, 절연 기판(208A, 208B) 사이에서 기판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으로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한다. 레지스트층(212A)은 절연 기판(208A, 208B) 사이[제1 파형 배선(213A)과 제2 파형 배선(214A)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파형 배선(213A)과 제2 파형 배선(214A)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제3 절연 기판(208C)과 제2 절연 기판(208B)은, 레지스트층(212B)과 제1 파형 배선(213B)과 제2 파형 배선(214B)을 개재시킨 상태로 적층 배치된다. 제1 파형 배선(213B)과 제2 파형 배선(214B)은, 절연 기판(208C, 208B) 사이에서 기판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에 걸쳐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한다. 레지스트층(212B)은 절연 기판(208C, 208B) 사이[제1 파형 배선(213B)과 제2 파형 배선(214B) 사이]에 설치되고 제1 파형 배선(213B)과 제2 파형 배선(214B)을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제1 파형 배선(213A)은, 제1 배선 패턴(202A)과 제2 배선 패턴(203A)을 구비한다. 제2 파형 배선(214A)은, 제3 배선 패턴(204A)과 제4 배선 패턴(205A)을 구비한다. 제1 파형 배선(213B)은, 제1 배선 패턴(202B)과 제2 배선 패턴(203B)을 구비한다. 제2 파형 배선(214B)은, 제3 배선 패턴(204B)과 제4 배선 패턴(205B)을 구비한다. 제1 배선 패턴(202A)은, 제1 절연 기판(208A)의 대향면[제2 절연 기판(208B)에 대향하는 면](208Aa)에 설치된다. 도 2a에는, 동일 패턴을 갖는 두개의 제1 배선 패턴(202A, 202A)이 도시된다. 이들 제1 배선 패턴(202A, 202A)은, 제1 파형 배 선(213A)의 단속하는 두개의 부위를 구성한다. 제2 배선 패턴(203A)은, 제2 절연 기판(208B)의 한쪽의 대향면[제1 절연 기판(208A)에 대향하는 면](208Ba)에 설치된다. 도 2a에서는, 동일 패턴을 갖는 두개의 제2 배선 패턴(203A, 203A)이 도시된다. 이들 제2 배선 패턴(203A, 203A)은, 제1 파형 배선(213A)에 있어서, 제1 배선 패턴(202A) 이외의 단속하는 두개의 나머지의 부위를 구성한다.
제1 배선 패턴(202B)은, 제2 절연 기판(208B)의 다른쪽의 대향면[제3 절연 기판(208C)에 대향하는 면](208Bb)에 설치된다. 제1 배선 패턴(202B)은 동일 패턴을 갖는 복수의 것이 설치된다. 이들 제1 배선 패턴(202, 202B, …)은, 제1 파형 배선(213B)의 단속하는 복수의 부위를 구성한다. 제2 배선 패턴(203B)은, 제3 절연 기판(208C)의 대향면[제2 절연 기판(208B)에 대향하는 면](208Ca)에 설치된다. 제2 배선 패턴(203B)은 동일 패턴을 갖는 복수의 것이 설치된다. 이들 제2 배선 패턴(203B, 203B, …)은, 제1 파형 배선(213B)에 있어서, 제1 배선 패턴(202B) 이외의 단속하는 복수의 나머지의 부위를 구성한다.
제1 배선 패턴(202A)은, 제1 병행 배선부(202Aa)와 제1 교차 배선부(202Ab)를 구비한다. 제2 배선 패턴(203A)은, 제2 병행 배선부(203Aa)와 제2 교차 배선부(203Ab)를 구비한다. 제3 배선 패턴(204A)은, 제3 병행 배선부(204Aa)와 제3 교차 배선부(204Ab)를 구비한다. 제4 배선 패턴(205A)은, 제4 병행 배선부(205Aa)와 제4 교차 배선부(205Ab)를 구비한다.
제1 배선 패턴(202B)은, 제1 병행 배선부(202Ba)와 제1 교차 배선부(202Bb)를 구비한다. 제2 배선 패턴(203B)은, 제2 병행 배선부(203Ba)와 제2 교차 배선 부(203Bb)를 구비한다. 제3 배선 패턴(204B)은, 제3 병행 배선부(204Ba)와 제3 교차 배선부(204Bb)를 구비한다. 제4 배선 패턴(205B)은, 제4 병행 배선부(205Ba)와 제4 교차 배선부(205Bb)를 구비한다.
이하, 제1∼제4 배선 패턴(202A∼205A, 202B∼205B)의 구조 상의 특징을 조항별로 써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절연 기판(208A∼208C)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태로 기술한다.
·각 제1 배선 패턴(202A)의 제1 교차 배선부(202Ab)는, 상기 제1 배선 패턴(202A)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제2 배선 패턴(203A)의 제2 병행 배선부(203Aa)에, 제1 전기 접속체(210A)를 통해 접속된다.
·각 제1 배선 패턴(202A)의 제1 병행 배선부(202Aa)는, 상기 제1 배선 패턴(202A)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제2 배선 패턴(203A)의 제2 교차 배선부(203Ab)에, 제1 전기 접속체(210A)를 통해 접속된다.
·각 제3 배선 패턴(204A)의 제3 교차 배선부(204Ab)는, 상기 제3 배선 패턴(204A)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제4 배선 패턴(205A)의 제4 병행 배선부(205Aa)에, 제2 전기 접속체(211A)를 통해 접속된다.
·각 제3 배선 패턴(204A)의 제3 병행 배선부(204Aa)는, 상기 제3 배선 패턴(204A)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제4 배선 패턴(205A)의 제4 교차 배선부(205Ab)에, 제2 전기 접속체(211A)를 통해 접속된다.
이하, 상기와 동일하게 절연 기판(208A∼208C)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태로 기술한다.
·제1 배선 패턴(202B)의 제1 교차 배선부(202Bb)는, 상기 제1 배선 패턴(202B)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제2 배선 패턴(203B)의 제2 병행 배선부(203Ba)에, 제1 전기 접속체(210B)를 통해 접속된다.
·각 제1 배선 패턴(202B)의 제1 병행 배선부(202Ba)는, 상기 제1 배선 패턴(202B)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제2 배선 패턴(203B)의 제2 교차 배선부(203Bb)에, 제1 전기 접속체(210B)를 통해 접속된다.
·제3 배선 패턴(204B)의 제3 교차 배선부(204Bb)는, 상기 제3 배선 패턴(204B)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제4 배선 패턴(205B)의 제4 병행 배선부(205Ba)에 제2 전기 접속체(211B)를 통해 접속된다.
·각 제3 배선 패턴(204B)의 제3 병행 배선부(204Ba)는, 상기 제3 배선 패턴(204B)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제4 배선 패턴(205B)의 제4 교차 배선부(205Bb)에 제2 전기 접속체(211B)를 통해 접속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데다가, 본 실시형태의 프린트 배선판은, 또한 다음 구성을 구비한다.
·제1 배선 패턴(202A)과 제2 배선 패턴(203A)은 제1 전기 접속체(210A)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파형 배선(213A)이 구성된다.
·제3 배선 패턴(204A)과 제4 배선 패턴(205A)은 제2 전기 접속체(211A)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 파형 배선(214A)이 구성된다.
·제1 배선 패턴(202B)과 제2 배선 패턴(203B)은 제1 전기 접속체(210B)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파형 배선(213B)이 구성된다.
·제3 배선 패턴(204B)과 제4 배선 패턴(205B)은 제2 전기 접속체(211B)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 파형 배선(214B)이 구성된다.
·제1 배선 패턴(202A)과 제3 배선 패턴(204A)은 제1 절연 기판(208A)의 대향면(208Aa) 상에서 제1 배선 패턴층(200A)을 구성한다.
·제2 배선 패턴(203A)과 제4 배선 패턴(205A)은 제2 절연 기판(208B)의 한쪽의 대향면(208Ba) 상에서 제2 배선 패턴층(201A)을 구성한다.
·제1 배선 패턴(202B)과 제3 배선 패턴(204B)은 제2 절연 기판(208B)의 다른쪽의 대향면(208Bb) 상에서 제1 배선 패턴층(200B)을 구성한다.
·제2 배선 패턴(203B)과 제4 배선 패턴(205B)은 제3 절연 기판(208C)의 대향면(208Ca) 상에서 제2 배선 패턴층(201B)을 구성한다.
·제1 절연 기판(208A)과 제2 절연 기판(208B) 사이에는 레지스트층(212A)이 설치되어 있고, 제1 배선 패턴층(200A)과 제2 배선 패턴층(201A)은, 레지스트층(212A)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1, 제2 전기 접속체(210A, 211A)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레지스트층(212A)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지스트 천공부(206A)가 설치된다.
·제2 절연 기판(208B)과 제3 절연 기판(208C) 사이에는 레지스트층(212B)이 설치되어 있고, 제1 배선 패턴층(200B)과 제2 배선 패턴층(201B)은, 레지스트층(212B)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1, 제2 전기 접속체(210B, 211B)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레지스트층(212B)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지스트 천공부(206B)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배선 패턴(202A)과 제2 배선 패턴(203A)은 제1 전기 접속체(210A)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파형 배선(213A)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204A)과 제4 배선 패턴(205A)은 제2 전기 접속체(211A)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 파형 배선(214A)이 구성된다. 제1 배선 패턴(202B)과 제2 배선 패턴(203B)은 제1 전기 접속체(210B)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파형 배선(213B)이 구성된다. 제3 배선 패턴(204B)과 제4 배선 패턴(205B)은 제2 전기 접속체(211B)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 파형 배선(214B)이 구성된다.
또, 이상 설명한 제1 파형 배선(213A, 213B)이나 제2 파형 배선(214A, 214B)의 구조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파형 배선(113)이나 제2 파형 배선(114)의 구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되는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제1 파형 배선(213A)과 제2 파형 배선(214A)에 신호원(220)으로부터 서로 전기적으로 180° 위상이 상이한 신호가 여진됨으로써 제1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구성되고, 나아가서는, 제1 파형 배선(213B)과 제2 파형 배선(214B)에 신호원(220)으로부터 서로 전기적으로 180° 위상이 상이한 신호가 여진됨으로써, 제2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구성된다. 나아가서는, 제1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와 제2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제2 절연 기판(208B)을 사이에 두고 그 평면(기판의 접합면)에 대해, 면대칭(경상 관계)으로 배치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자 노이즈 방사의 극성이 상이한(방사하는 방향이 상이함)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프린트 배선판의 두께 방향으로 연속하여(적층되어) 설치됨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프린트 배선판보다도 배선판의 두께 방향의 방사 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a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절곡하기 전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절곡한 상태에서의 투시도이며, 도 3c는 절곡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도 3)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도 1)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이들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를 참조 가능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공정)
우선, 제1, 제2 절연 기판을 준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절연 기판으로서, 절곡선(118)을 따라 절곡 가능한 1장의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을 준비한다.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은, 절곡선(118)에 의해 이격된 제1 기판 영역(108A')과, 제2 기판 영역(108B')을 갖고 있고, 기판 영역(108A', 108B')은 그 일단[절곡선(118)]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을 구성한다. 제1 기판 영역(108A')과, 제2 기판 영역(108B')은, 각각 플렉시블하게 변형 가능하고 절곡선(118)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서로 연결하는 제1, 제2 절연 기판을 구성한다.
또, 기판 영역(108A', 108B')을 3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연결 부위 각각을 그 양단 중 어느 한쪽에 번갈아 설치함으로써 이들 복수의 기판 영역을, 절곡 배치된 한장의 시트 형상[즉, 한장의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으로 할 수 있다.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의 제1 기판 영역(108A')에서의 한쪽측 표면(108a)에, 제1 배선 패턴(102)군과 제3 배선 패턴(104)군을 갖는 제1 배선 패턴층(100)을 형성한다.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의 제2 기판 영역(108B')에 있어서의 한쪽측 표면(108a)에, 제2 배선 패턴(103)군과 제4 배선 패턴(105)군을 갖는 제2 배선 패턴층(101)을 형성한다.
제1, 제2 배선 패턴층(100, 101)은 다음 위치에 형성한다. 즉, 절곡선(118)을 따라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을, 한쪽측 표면(108a)을 내측으로 하여 안쪽접기 함으로써 제1 기판 영역(108A')과 제2 기판 영역(108B')을 중첩시켰을 때에 다음 상태가 생기는 위치에 제1, 제2 배선 패턴층(100, 101)(제1∼제4 배선 패턴 102군∼105군)을 형성한다. 이하,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태로 묘사한다.
·제1 배선 패턴층(100)에 있어서, 제1 배선 패턴(102)과 제3 배선 패턴(104)은 절곡선(118)에 평행한 선을 따라 또한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제2 배선 패턴층(101)에 있어서, 제2 배선 패턴(103)과 제4 배선 패턴(105)은 절곡선(118)에 평행한 선을 따라 또한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제1 배선 패턴층(100)과 제2 배선 패턴층(101)은 절곡 선(118)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각 제1 배선 패턴(102)과 각 제4 배선 패턴(105)은, 절곡선(118)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각 제2 배선 패턴(103)과 각 제3 배선 패턴(104)은, 절곡선(118)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절곡선(118)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1 배선 패턴(102)과 제4 배선 패턴(105)에 있어서, 이들의 제1 병행 배선부(102a)와 제4 병행 배선부(105a)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 후에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병행한다.
·절곡 전에는 절곡선(118)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2 배선 패턴(103)과 제3 배선 패턴(104)에 있어서, 이들의 제2 병행 배선부(103a)와 제3 병행 배선부(104a)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 후에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병행한다.
·절곡 전에서는 절곡선(118)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1 배선 패턴(102)과 제4 배선 패턴(105)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이들의 제1 교차 배선부(102b)와 제4 교차 배선부(105b)가 교차한다.
·절곡 전에는 절곡선(118)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2 배선 패턴(103)과 제3 배선 패턴(104)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이들의 제2 교차 배선부(103b)와 제3 교차 배선부(104b)가 교차한다.
·제1 배선 패턴(102)군과 제3 배선 패턴(104)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1 병행 배선부(102a)와 제3 병행 배선부(104a)가, 절곡에도 불구하고 대략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제2 배선 패턴(103)군과 제4 배선 패턴(105)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2 병행 배선부(103a)와 제4 병행 배선부(105a)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에도 불구하고 대략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제1 배선 패턴(102)군과 제3 배선 패턴(104)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1 교차 배선부(102b)와 제3 교차 배선부(104b)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에도 불구하고 서로 평행 상태로 병행한다.
·제2 배선 패턴(103)군과 제4 배선 패턴(105)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2 교차 배선부(103b)와 제4 교차 배선부(105b)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에도 불구하고 서로 평행 상태로 병행한다.
·제1 배선 패턴(102)과, 절곡 후에 절곡선(118)을 따라 제1 배선 패턴(102)의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103)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1 병행 배선부(102a)의 선단과 제2 교차 배선부(103b)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1 배선 패턴(102)과, 절곡 후에 절곡선(118)을 따라 제1 배선 패턴(102)의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103)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1 교차 배선부(102b)의 선단과 제2 병행 배선부(103a)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3 배선 패턴(104)과, 절곡 후에 절곡선(118)을 따라 제3 배선 패턴(104)의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105)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3 병행 배선부(104a)의 선단과 제4 교차 배선부(105b)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3 배선 패턴(104)과, 절곡 후에 절곡선(118)을 따라 제3 배선 패턴(104)의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105)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3 교 차 배선부(104b)의 선단과 제4 병행 배선부(105a)의 선단이 겹쳐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제2 배선 패턴층(100, 101)을 형성한 뒤,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의 한쪽측 표면(108a)에 전기 절연성을 갖는 레지스트층(112)을 형성하여, 제1, 제2 배선 패턴층(100, 101)을 레지스트층(112)으로 피복한다. 또한 레지스트층(112)에 레지스트 천공부(106)를 형성한다. 레지스트 천공부(106)는 예컨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서 형성한다. 레지스트 천공부(106)는, 각 제1∼제4 배선 패턴(102∼105)의 양단[제1∼제4 병행 배선부(102a∼105a)의 선단, 제1∼제4 교차 배선부(102b)∼105B)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각 제1∼제4 배선 패턴(102∼105)의 양단은, 레지스트 천공부(106)에 의해 노출된다.
또한 레지스트 천공부(106)의 저부에 의해 노출하고 있는 각 제1∼제4 배선 패턴(102∼105)의 양단[제1∼제4 병행 배선부(102a∼105a)의 선단, 제1∼제4 교차 배선부(102b)∼105B)의 선단]에,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를 형성한다.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는, 땜납이나 도전성 접착제로 구성된다.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는 예컨대 후막 인쇄 공정도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전기 접속체(110)는, 제1, 제2 배선 패턴(102, 103)의 양단에 형성되고, 제2 전기 접속체(111)는, 제3, 제4 배선 패턴(104, 105)의 양단에 형성된다.
(제2 공정)
이상의 제1 공정을 실시한 후,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을, 그 한쪽 표면(108a)을 내측로 하여, 절곡선(118)을 따라 안쪽접기한다. 이에 따라, 제1 배선 패턴(102)의 제1 교차 배선부(102b)의 선단이, 상기 제1 배선 패턴(102)과 절곡 선(118)을 따라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103)의 제2 병행 배선부(103a)의 선단에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1 배선 패턴(102)의 제1 병행 배선부(102a)의 선단이, 상기 제1 배선 패턴(102)과 절곡선(118)을 따라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103)의 제2 교차 배선부(103b)의 선단에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104)의 제3 교차 배선부(104b)의 선단이, 상기 제3 배선 패턴(104)과 절곡선(118)을 따라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105)의 제4 병행 배선부(105a)의 선단에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104)의 제3 병행 배선부(104a)의 선단이, 상기 제3 배선 패턴(104)과 절곡선(118)을 따라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105)의 제4 교차 배선부(105b)의 선단에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제1 교차 배선부(102b)의 선단과 제2 병행 배선부(103a)의 선단을 제1 전기 접속체(110)를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1 병행 배선부(102a)의 선단과 제2 교차 배선부(103b)의 선단을, 제1 전기 접속체(110)를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3 교차 배선부(104b)의 선단과 제4 병행 배선부(105a)의 선단을 제2 전기 접속체(111)를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3 병행 배선부(104a)의 선단과 제4 교차 배선부(105b)의 선단을, 제2 전기 접속체(111)를 통해 접속한다. 이에 따라, 제1 배선 패턴(102)군과 제2 배선 패턴(103)군은, 제1 전기 접속체(110)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제1 파형 배선(113)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104)군과 제4 배선 패턴(105)군은, 제2 전기 접속체(111)를 통해 직렬 로 접속됨으로써 제2 파형 배선(11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제1 파형 배선(113)과 제2 파형 배선(114)은,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의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에 걸쳐 서로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제1 기판 영역(108A')과 제2 기판 영역(108B') 사이에 형성된다.
또,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를, 제1 배선 패턴(102)과 제2 배선 패턴(103)의 열압착부나 제3 배선 패턴(104)과 제4 배선 패턴(105)의 열압착부에서 구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땜납이나 도전성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렉시블 절연 기판(108)을 절곡함으로써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갖는 프린트 배선판을 형성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제조 공정으로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통상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보다 전자 노이즈의 발생이나 영향이 적은 제1 실시형태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제4 배선 패턴(102∼105)을 제1, 제2 전기 접속체(110, 111)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차동 신호가 흐르는 두개의 파형 배선(113, 114)의 이격 간격을 거의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차동 신호의 특성 열화를 생기게 하지 않고서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2 실시형태의 프린트 배선판과 동등한 구조를, 플렉시블 절연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a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절곡하기 전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절곡하기 전의 이면도이며, 도 5a는 한 번 절곡한 상태에서의 투시도이고, 도 5b는 한 번 절곡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c는 2회 절곡한 상태에서의 투시도이고, 도 5d는 두 번 절곡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각 구성 요소는, 기본적으로 제2 실시형태(도 2)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와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이들의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가 참조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공정)
우선, 제1, 제2 절연 기판을 준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절연 기판으로서,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절곡 가능한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을 준비한다.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은, 제1 절곡선(218A)에 의해 이격된 제1 기판 영역(208A')과, 제2 기판 영역(208B')을 갖고 있고, 기판 영역(208A', 208B')은 그 일단[제1 절곡선(218A)]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을 구성한다. 제1 기판 영역(208A')과, 제2 기판 영역(208B')은,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서로 연결하는 제1, 제2 절연 기판을 구성한다.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의 제1 기판 영역(208A')에 있어서의 한쪽측 표면(208a)에 제1 배선 패턴층(200)을 형성한다. 제1 배선 패턴층(200)은, 제1 배선 패턴(202A)군과, 제1 배선 패턴(202B)군과, 제3 배선 패턴(204A)군과, 제3 배선 패턴(204B)군을 갖는다.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의 제2 기판 영역(208B')에 있어서 의 한쪽측 표면(208a)에 제2 배선 패턴층(201)을 형성한다. 제2 배선 패턴층(201)은, 제2 배선 패턴(203A)군과, 제2 배선 패턴(203B)군과, 제4 배선 패턴(205A)군과, 제4 배선 패턴(205B)군을 갖는다.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의 제1 기판 영역(208A')에 있어서의 다른쪽측 표면(208B)에, 보조 배선(230)을 형성한다. 보조 배선(230)은, 다른쪽측 표면(208b)에 있어서의 제1 기판 영역(208A')의 네 코너에 형성된다.
제1, 제2 배선 패턴층(200, 201)은 다음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을 한쪽측 표면(208A)을 내측으로 하여 안쪽접기 함으로써 제1 기판 영역(208A')과 제2 기판 영역(208B')을 중첩시켰을 때에 다음 상태가 생기는 위치에 제1, 제2 배선 패턴층(200, 201)(제1∼제4 배선 패턴(202A∼205A군, 202B∼205B군)을 형성한다. 이하,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의 두께 방향에서 본 상태로 묘사한다.
·제1 배선 패턴층(200)에 있어서, 제1 배선 패턴(202A)과 제3 배선 패턴(204A)은 제1 절곡선(218)에 평행한 선을 따라 또한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제1 배선 패턴층(200)에 있어서, 제1 배선 패턴(202B)과 제3 배선 패턴(204B)은 제2 절곡선(218)에 평행한 선을 따라 또한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제1, 제3 배선 패턴(202A, 204A)은, 제1 절곡선(218)에 대해 제1, 제3 배선 패턴(202B, 204B)보다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배선 패턴층(201)에 있어서, 제2 배선 패턴(203A)과 제4 배선 패턴(205A)은 제1 절곡선(218)에 평행한 선을 따라 또한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제2 배선 패턴층(201)에 있어서, 제2 배선 패턴(203B)과 제4 배선 패턴(205B)은 제1 절곡선(218)에 평행한 선을 따라 또한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제2, 제4 배선 패턴(203A, 205A)은,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제2, 제4 배선 패턴(203B, 205B)보다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제1 배선 패턴층(200)과 제2 배선 패턴층(201)은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각 제1 배선 패턴(202A)과 각 제4 배선 패턴(205A)은,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각 제1 배선 패턴(202B)과 각 제4 배선 패턴(205B)은,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각 제2 배선 패턴(203A)과 각 제3 배선 패턴(204A)은,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각 제2 배선 패턴(203B)과 각 제3 배선 패턴(204B)은,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1 배선 패턴(202A)과 제4 배선 패턴(205A)에 있어서, 이들의 제1 병행 배선부(202Aa)와 제4 병행 배선부(205Aa)은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 후에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병행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1 배선 패턴(202B)과 제4 배선 패턴(205B)에 있어서, 이들의 제1 병행 배선부(202Ba)와 제4 병행 배선부(205Ba)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 후에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병행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2 배선 패턴(203A)과 제3 배선 패턴(204A)에 있어서, 이들의 제2 병행 배선부(203Aa)와 제3 병행 배선부(204Aa)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 후에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병행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2 배선 패턴(203B)과 제3 배선 패턴(204B)에 있어서, 이들의 제2 병행 배선부(203Ba)와 제3 병행 배선부(204Ba)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 후에는 서로 평행 상태로 병행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1 배선 패턴(202A)과 제4 배선 패턴(205A)에 있어서, 이들의 제1 교차 배선부(202Ab)와 제4 교차 배선부(205Ab)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 후에는 교차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1 배선 패턴(202B)과 제4 배선 패턴(205B)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이들의 제1 교차 배선부(202Bb)와 제4 교차 배선부(205Bb)가 교차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2 배선 패턴(203A)과 제3 배선 패턴(204A)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이들의 제2 교차 배선부(203Ab)와 제3 교차 배선부(204Ab)가 교차한다.
·절곡 전에는 제1 절곡선(218A)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는 제2 배선 패 턴(203B)과 제3 배선 패턴(204B)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이들의 제2 교차 배선부(203Bb)와 제3 교차 배선부(204Bb)가 교차한다.
·제1 배선 패턴(202A)군과 제3 배선 패턴(204A)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1 병행 배선부(202Aa)와 제3 병행 배선부(204Aa)가, 절곡에도 불구하고 대략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제1 배선 패턴(202B)군과 제3 배선 패턴(204B)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1 병행 배선부(202Ba)와 제3 병행 배선부(204Ba)가, 절곡에도 불구하고 대략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제2 배선 패턴(203A)군과 제4 배선 패턴(205A)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2 병행 배선부(203Aa)와 제4 병행 배선부(205Aa)가, 절곡에도 불구하고 대략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제2 배선 패턴(203B)군과 제4 배선 패턴(205B)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2 병행 배선부(203Ba)와 제4 병행 배선부(205Ba)가, 절곡에도 불구하고 대략 동일선 상에 위치한다.
·제1 배선 패턴(202A)군과 제3 배선 패턴(204A)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1 교차 배선부(202Ab)와 제3 교차 배선부(204Ab)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에도 불구하고 서로 평행한 상태로 병행한다.
·제2 배선 패턴(203A)군과 제4 배선 패턴(205A)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2 교차 배선부(203Ab)와 제4 교차 배선부(205Ab)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에도 불구하고 서로 평행한 상태로 병행한다.
·제2 배선 패턴(203B)군과 제4 배선 패턴(205B)군을 구성하는 모든 제2 교차 배선부(203Bb)와 제4 교차 배선부(205Bb)는 같은 치수이고 또한 절곡에도 불구하고 서로 평행 상태로 병행한다.
·제1 배선 패턴(202A)과, 절곡 후에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제1 배선 패턴(202A)의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203A)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1 병행 배선부(202Aa)의 선단과 제2 교차 배선부(203Ab)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1 배선 패턴(202B)과, 절곡 후에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제1 배선 패턴(202B)의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203B)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1 병행 배선부(202Ba)의 선단과 제2 교차 배선부(203Bb)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1 배선 패턴(202A)과, 절곡 후에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제1 배선 패턴(202A)의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203A)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1 교차 배선부(202Ab)의 선단과 제2 병행 배선부(203Aa)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1 배선 패턴(202B)과, 절곡 후에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제1 배선 패턴(202B)의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203B)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1 교차 배선부(202Bb)의 선단과 제2 병행 배선부(203Ba)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3 배선 패턴(204A)과, 절곡 후에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제3 배선 패턴(204A)의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205A)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3 병행 배선부(204Aa)의 선단과 제4 교차 배선부(205Ab)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3 배선 패턴(204B)과, 절곡 후에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제3 배선 패턴(204B)의 한쪽측에서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205B)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3 병행 배선부(204Ba)의 선단과 제4 교차 배선부(205Bb)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3 배선 패턴(204A)과, 절곡 후에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제3 배선 패턴(204A)의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205A)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3 교차 배선부(204Ab)의 선단과 제4 병행 배선부(205Aa)의 선단이 겹쳐진다.
·제3 배선 패턴(204B)과, 절곡 후에 제1 절곡선(218B)을 따라 제3 배선 패턴(204B)의 다른쪽측에서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205B)에 있어서, 절곡 후에는, 그 제3 교차 배선부(204Bb)의 선단과 제4 병행 배선부(205Ba)의 선단이 겹쳐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제2 배선 패턴층(200, 201)과 보조 배선(230)을 형성한 후,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의 양 표면(208a, 208B)에 전기 절연성을 갖는 레지스트층(212A, 212B)을 형성하여, 제1, 제2 배선 패턴층(200, 201)과 보조 배선(230)을 레지스트층(212A, 212B)에 의해 피복한다. 또한 레지스트층(212A, 212B)에 레지스트 천공부(206A, 206B)를 형성한다.
레지스트 천공부(206A, 206B)는, 각 제1∼제4 배선 패턴(202A∼205A, 202B∼205B)의 양단[제1∼제4 병행 배선부(202Aa∼205Aa, 202Ba∼205Ba)의 선단, 제1∼제4 교차 배선부(202Ab∼205Ab, 202Bb∼205Bb)의 선단] 및 보조 배선(230)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각 제1∼제4 배선 패턴(202A∼205A, 202B∼205B)의 양단과 보조 배선(230)은, 레지스트 천공부(206A, 206B)에 의해 노출한다.
또한, 레지스트 천공(206A, 206B)의 저부에 의해 노출되어 있는 각 제1∼제4 배선 패턴(202A∼205A, 202B∼205B)의 양단[제1∼제4 병행 배선부(202Aa∼205Aa, 202Ba∼205Ba)의 선단, 제1∼제4 교차 배선부(202Ab∼205Ab, 202Bb∼205Bb)의 선 단]과, 보조 배선(230)에, 제1∼제3 전기 접속체(210A, 210B, 211A, 211B, 212)를 형성한다. 제1∼제3 전기 접속체(210A, 210B, 211A, 211B, 212)는, 땜납이나 도전성 접착제로 구성된다. 제1 전기 접속체(210A)는, 제1, 제2 배선 패턴(202A, 203A)의 양단에 형성되고, 제1 전기 접속체(210B)는, 제1, 제2 배선 패턴(202B, 203B)의 양단에 형성되며, 제2 전기 접속체(211A)는, 제3, 제4 배선 패턴(204A, 205A)의 양단에 형성되고, 제2 전기 접속체(211B)는, 제3, 제4 배선 패턴(204B, 205B)의 양단에 형성되며, 제3 전기 접속체(212)는, 보조 배선(230) 상에 형성된다.
(제2 공정)
이상의 제1 공정을 실시한 후,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을, 그 한쪽 표면(208A)을 내측로 하여,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안쪽접기한다. 이에 따라, 제1 배선 패턴(202A)의 제1 교차 배선부(202Ab)의 선단이,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그 한쪽측에서 상기 제1 배선 패턴(202A)과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203A)의 제2 병행 배선부(203Aa)의 선단과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1 배선 패턴(202A)의 제1 병행 배선부(202Aa)의 선단이,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그 다른쪽측에서 상기 제1 배선 패턴(202A)과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203A)의 제2 교차 배선부(203Ab)의 선단과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1 배선 패턴(202B)의 제1 교차 배선부(202Bb)의 선단이,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그 한쪽측에서 상기 제1 배선 패턴(202B)과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203B)의 제2 병행 배선부(203Ba)의 선단에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1 배선 패턴(202B)의 제1 병행 배선부(202Ba)의 선단이,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그 다른쪽측에서 상기 제1 배선 패턴(202B)과 인접하는 제2 배선 패턴(203B)의 제2 교차 배선부(203Bb)의 선단에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204A)의 제3 교차 배선부(204Ab)의 선단이,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그 한쪽측에서 상기 제3 배선 패턴(204A)과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205A)의 제4 병행 배선부(205Aa)의 선단에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204A)의 제3 병행 배선부(204Aa)의 선단이,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그 다른쪽측에서 상기 제3 배선 패턴(204A)과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205A)의 제4 교차 배선부(205Ab)의 선단에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204B)의 제3 교차 배선부(204Bb)의 선단이,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그 한쪽측에서 상기 제3 배선 패턴(204B)과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205B)의 제4 병행 배선부(205Ba)의 선단에 겹쳐진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204B)의 제3 병행 배선부(204Ba)의 선단이,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그 다른쪽측에서 상기 제3 배선 패턴(204B)과 인접하는 제4 배선 패턴(205B)의 제4 교차 배선부(205Bb)의 선단에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제1 교차 배선부(202Ab)의 선단과 제2 병행 배선부(203Aa)의 선단을 제1 전기 접속체(210A)를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1 병행 배선부(202Aa)의 선단과 제2 교차 배선부(203Ab)의 선단을, 제1 전기 접속체(210A)를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1 교차 배선부(202Bb)의 선단과 제2 병행 배선부(203Ba)의 선단을 제1 전기 접속체(210B)를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1 병행 배선 부(202Ba)의 선단과 제2 교차 배선부(203Bb)의 선단을, 제1 전기 접속체(210B)를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3 교차 배선부(204Ab)의 선단과 제4 병행 배선부(205Aa)의 선단을 제2 전기 접속체(211A)를 통해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3 병행 배선부(204Ba)의 선단과 제4 교차 배선부(205Bb)의 선단을, 제2 전기 접속체(211B)를 통해 접속한다.
이에 따라, 제1 배선 패턴(202A)군과 제2 배선 패턴(203A)군은, 제1 전기 접속체(210A)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제1 파형 배선(213A)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1 배선 패턴(202B)군과 제2 배선 패턴(203B)군은, 제1 전기 접속체(210B)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제1 파형 배선(213B)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204A)군과 제4 배선 패턴(205A)군은, 제2 전기 접속체(211A)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제2 파형 배선(214A)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3 배선 패턴(204B)군과 제4 배선 패턴(205B)군은, 제2 전기 접속체(211B)를 통해 직렬로 접속되어 제2 파형 배선(214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제1 파형 배선(213A)과 제2 파형 배선(214A)은,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의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에 걸쳐 서로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제1 기판 영역(208A')과 제2 기판 영역(208B') 사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1 파형 배선(213B)과 제2 파형 배선(214B)은,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의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에 걸쳐 서로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제1 기판 영역(208A')과 제2 기판 영역(208B')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절곡선(218A)을 따라 절곡함으로써 제1 파형 배선(213A)과 제2 파형 배선(214A)이 형성된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을, 또한 제2 절곡선(218B)을 따라 절곡한다.
여기서, 제2 절곡선(218B)은,
·상기 제2 절곡선(218B)는, 제1, 제2 파형 배선(213A, 214A)과 평행하게 되고,
·제1, 제2 파형 배선(213A, 214A)는, 제2 절곡선(218B)에 대해 서로 선대칭으로 된다
는 조건을 만족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보조 배선(230)은, 이와 같이 설정되는 제2 절곡선(218B)에 대해, 서로 선대칭이 되는 위치 각각에 배치된다.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절곡선(218B)을 따라,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을 더 절곡한다. 그 때, 제1, 제2 파형 배선(213A, 214A)이 형성된 기판면이 내측이 되는 방향에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을 절곡한다. 이에 따라, 제1, 제2 파형 배선(213A, 214A)이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적층 배치되어, 보조 배선(230)이 서로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접촉하는 보조 배선(230)끼리를 제3 전기 접속체(212)에 의해 접착한다. 또, 보조 배선(230)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 전송하는 신호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단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외주에 실드가 형성되어, 외래 전자 노이즈의 내성이 보다 향상한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플렉시블 절연 기판(208) 을 절곡함으로써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를 갖는 프린트 배선판을 형성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제조 공정으로 비용을 증대시키지 않고, 통상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보다 전자 노이즈의 발생이나 영향이 적은 제2 실시형태와 동등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전자 노이즈 방사의 극성이 상이한(방사하는 방향이 상이함)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두께 방향으로 연속해있고, 더구나 이들의 의사 트위스트 페어 구조가 플렉시블 프린트 절연 기판의 접합면에 대해 서로 면대칭의 위치에 배치되기(경면 배치됨) 때문에, 제3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보다도 기판의 단면 방향의 방사 노이즈가 보다 저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설계에 있어서는, CAD(Computer Aided Design)가 이용되지만, 그 CAD는,
·절곡 전의 상태의 배선 작도를 행하는 기능과,
·플렉시블 프린트 절연 기판을 절곡하기 위한 절곡선을 설정하는 기능과,
·설정한 절곡선에 대해 선대칭의 위치에 있고 상기 절곡선을 따라 플렉시블 프린트 절연 기판을 절곡한 상태에서의 배선 패턴의 배치 상태를 작도하는 기능과,
·상기 절곡한 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는 배선 패턴 부위끼리의 인식과, 서로 겹쳐진다고 인식한 배선 패턴끼리에 있어서 더욱 전기적으로 접속이 필요한 배선 패턴 부분의 인식에 기초하여, 절곡한 상태의 배선 패턴을 복수의 그룹에 구분 지 정하는 기능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각 기능을 갖는 CAD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배선 설계가 원활하게 행해져, 개발 리드 타임(lead time)이 삭감된다.
본 발명의 트위스트 페어 구조 배선 구조는, 방사 전자 노이즈를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외래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프린트 배선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Claims (24)

  1. 적층 배치된 적어도 두장의 절연 기판과,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된 제1 파형 배선과,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 기판의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으로 3차원 상에서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교차하는 제2 파형 배선과,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레지스트층
    을 포함하는 프린트 배선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형 배선은,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중의 한쪽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파형 배선의 단속(斷續)하는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배선 패턴과,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중의 다른쪽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파형 배선에서의 상기 제1 배선 패턴 이외의 나머지의 부위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배선 패턴과,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2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접속하는 제1 전기 접속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형 배선은,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중의 한쪽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파형 배선의 단속하는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 배선 패턴과,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중의 다른쪽의 대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파형 배선에서의 상기 제3 배선 패턴 이외의 나머지의 부위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4 배선 패턴과,
    대향하는 상기 절연 기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제4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접속하는 제2 전기 접속체
    를 포함하는 프린트 배선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2 배선 패턴이 상기 제1 전기 접속체를 통해 직렬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 파형 배선이 구성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제4 배선 패턴이 상기 제2 전기 접속체를 통해 직렬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2 파형 배선이 구성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패턴은 제1 병행 배선부와 제1 교차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배선 패턴은 제2 병행 배선부와 제2 교차 배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 배선 패턴은 제3 병행 배선부와 제3 교차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4 배선 패턴은 제4 병행 배선부와 제4 교차 배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병행 배선부와 상기 제4 병 행 배선부는 병행하고, 상기 제2 병행 배선부와 상기 제3 병행 배선부는 병행하며,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교차 배선부와 상기 제4 교차 배선부는 교차하고, 상기 제2 교차 배선부와 상기 제3 교차 배선부는 교차하며,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제1 교차 배선부는 상기 제1 배선 패턴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상기 제2 배선 패턴의 제2 병행 배선부에 상기 제1 전기 접속체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제1 병행 배선부는 상기 제1 배선 패턴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상기 제2 배선 패턴의 제2 교차 배선부에 상기 제1 전기 접속체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제3 교차 배선부는 상기 제3 배선 패턴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상기 제4 배선 패턴의 제4 병행 배선부에 상기 제2 전기 접속체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제3 병행 배선부는 상기 제3 배선 패턴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상기 제4 배선 패턴의 제4 교차 배선부에 상기 제2 전기 접속체를 통해 접속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병행 배선부와 상기 제2 병행 배선부는 대략 동일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병행 배선부와 상기 제4 병행 배선부는 대략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교차 배선부와 상기 제3 교차 배선부는 병행하고, 상기 제2 교차 배선부와 상기 제4 교차 배 선부는 병행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은 서로 전기적으로 180° 위상이 상이한 신호가 여진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접속체는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2 배선 패턴과의 열압착 부위, 땜납, 도전성 접착제,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속체는 상기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제4 배선 패턴의 열압착 부위, 땜납, 도전성 접착제,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9. 제1항에 있어서, 적층 배치된 적어도 세장의 상기 절연 기판을 구비하고,
    이들 절연 기판의 복수의 층간에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과 상기 레지스트층이 설치되며,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파형 배선끼리와, 상기 제2 파형 배선끼리가, 각각 상기 절연 기판의 접합면에 대해 면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10.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절연 기판끼리는, 그 양단 중 어느 한쪽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 기판의 연결 부위 각각은, 그 양단 중 어느 한쪽에 번갈아서 설치됨으로써 이들 복수의 절연 기판은 굴곡 배치된 한장의 절연체 시트 형상을 이루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은 플렉시블 기판인 것인 프린트 배선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끼리의 층간 중,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이 설치되지 않는 층간을 구성하는 2개의 절연 기판의 대향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위 각각에 보조 배선을 설치하고, 이들 보조 배선을 접속함으로써, 상기 2개의 절연 기판을 접착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선은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기준 전위에 접속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
  14. 제1, 제2 절연 기판을 준비한 뒤에, 상기 제1 절연 기판에, 제1 파형 배선의 단속하는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배선 패턴과, 제2 파형 배선의 단속하는 일부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3 배선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절연 기판에, 상기 제1 파형 배선에서의 상기 제1 배선 패턴 이외의 나머지의 부위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배선 패턴과, 상기 제2 파형 배선에서의 상기 제3 배선 패턴 이외의 나머지의 부위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4 배선 패턴을 형 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절연 기판과 상기 제2 절연 기판을, 레지스트층을 개재시킨 상태로 서로의 배선 패턴 형성면을 대향시켜 적층한 뒤에,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2 배선 패턴을 제1 전기 접속체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파형 배선을 형성하며, 상기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제4 배선 패턴을 제2 전기 접속체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1 파형 배선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 제2 절연 기판의 평면 방향과 두께 방향으로 3차원 상에서 입체적으로 교차하는 형태로, 상기 제2 파형 배선을 형성하는 제2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상기 제2 배선 패턴을 상기 제1 전기 접속체를 통해 직렬로 접속하여 상기 제1 파형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과 상기 제4 배선 패턴을 상기 제2 전기 접속체를 통해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제2 파형 배선을 형성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제1 병행 배선부와 제1 교차 배선부를 구비하는 상기 제1 배선 패턴과, 제2 병행 배선부와 제2 교차 배선부를 구비하는 상기 제2 배선 패턴과, 제3 병행 배선부와 제3 교차 배선부를 구비하는 상기 제3 배선 패턴과, 제4 병행 배선부와 제4 교차 배선부를 구비하는 상기 제4 배선 패턴을,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병행 배선부와 상기 제4 병행 배선부가 병행하고, 상기 제2 병행 배선부와 상기 제3 병행 배선부가 병행하며, 상기 제1 교차 배선부와 상기 제4 교차 배선부가 교차하고, 상기 제2 교차 배선부와 상기 제3 교차 배선부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하며,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제1 교차 배선부를, 상기 제1 배선 패턴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상기 제2 배선 패턴의 제2 병행 배선부에 상기 제1 전기 접속체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제1 배선 패턴의 제1 병행 배선부를, 상기 제1 배선 패턴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상기 제2 배선 패턴의 제2 교차 배선부에 상기 제1 전기 접속체를 통해 접속하며,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제3 교차 배선부를, 상기 제3 배선 패턴에 인접하는 한쪽측의 상기 제4 배선 패턴의 제4 병행 배선부에 상기 제2 전기 접속체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제3 배선 패턴의 제3 병행 배선부를, 상기 제3 배선 패턴에 인접하는 다른쪽측의 상기 제4 배선 패턴의 제4 교차 배선부에 상기 제2 전기 접속체를 통해 접속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병행 배선부와 상기 제3 병행 배선부를 대략 동일선 상에 형성하고, 상기 제2 병행 배선부와 상기 제4 병행 배선부를 대략 동일선 상에 형성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1 교차 배선부와 상기 제3 교차 배선부를 병행시켜 형성하고, 상기 제2 교차 배선부와 상기 제4 교차 배선부를 병행시켜 형성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적층 배치된 적어도 세장의 상기 절연 기판을 준비하고, 이들 절연 기판의 복수의 층간에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과 상기 레지스트층을 형성하며, 상기 절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 파형 배선끼리 및 상기 제2 파형 배선끼리를, 각각 상기 절연 기판의 접합면에 대해 면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 기판으로서, 인접하는 상기 절연 기판의 양단 중 어느 한쪽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절연 기판의 연결 부위 각각은 그 양단 중 어느 한쪽에 번갈아서 설치됨으로써 이들 복수의 절연 기판은 굴곡 배치된 한장의 시트 형상을 이루는 것을 준비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 기판으로서, 플렉시블 기판을 준비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 기판끼리의 층간 중,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이 설치되지 않는 층간을 구성하는 2개의 절연 기판의 대향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위 각각에 보조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보조 배선을 서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2개의 절연 기판을 접착하는 것인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23. 전기 절연성과 가요성을 갖는 베이스 필름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배선 패턴 형성면에, 감광성과 전기 절연성이 있는 에폭시계의 수지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배선 패턴의 일 부위 및 베이스 필름 단부면의 일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막을 삭제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막을 삭제한 상기 배선 패턴의 일 부위에 도전성 재료를 마련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막이 삭제된 상기 베이스 필름 단부면의 일 부위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을, 상기 배선 패턴 형성면을 내측 절곡한 후에, 상기 절곡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상기 수지막이 삭제된 배선 패턴의 일 부위끼리를 전기적으로 접 속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24. 제1항에 기재한 프린트 배선판과,
    상기 제1 파형 배선과 상기 제2 파형 배선에, 서로 전기적으로 180° 위상이 상이한 신호가 여진되는 신호원
    을 포함하는 전기 기기.
KR1020097002921A 2006-10-24 2007-10-22 프린트 배선판,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KR101442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88493 2006-10-24
JP2006288493 2006-10-24
PCT/JP2007/070524 WO2008050706A1 (fr) 2006-10-24 2007-10-22 Tableau de connexions imprimé,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ableau de connexions imprimé et dispositif é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267A true KR20090069267A (ko) 2009-06-30
KR101442276B1 KR101442276B1 (ko) 2014-09-22

Family

ID=3932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2921A KR101442276B1 (ko) 2006-10-24 2007-10-22 프린트 배선판,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19919B2 (ko)
JP (1) JP5106411B2 (ko)
KR (1) KR101442276B1 (ko)
CN (1) CN101507372B (ko)
WO (1) WO2008050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3364B1 (en) * 2005-09-09 2013-10-08 Magnecomp Corporation Low impedance, high bandwidth disk drive suspension circuit
US20100307798A1 (en) * 2009-06-03 2010-12-09 Izadian Jamal S Unified scalable high speed interconnects technologies
CN102055051B (zh) * 2009-10-30 2015-09-30 清华大学 一种高阻抗传输线
GB2482860A (en) * 2010-07-28 2012-02-22 In2Tec Ltd Flexible twisted-pair wiring system
USD701843S1 (en) 2010-12-28 2014-04-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emiconductor device
US8704102B2 (en) 2011-12-09 2014-04-22 The Boeing Company Printed flexible multilayer twisted-pair shielded high speed data cable
US9462677B2 (en) * 2011-12-21 2016-10-04 Intel Corporation Minimizing crosstalk in a data transfer device
US20140184350A1 (en) * 2012-12-27 2014-07-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wo layer differential pair layout,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for reduced crosstalk
US9101046B2 (en) 2013-01-29 2015-08-04 Mediguide Ltd. Shielded twisted pair of conductors using conductive ink
US9337521B2 (en) * 2013-11-14 2016-05-10 Intel Corporation Crosstalk reduction in signal lines by crosstalk introduction
US9232645B2 (en) 2013-11-22 2016-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speed differential wiring in glass ceramic MCMS
JP6399602B2 (ja) 2015-03-23 2018-10-03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用回路基板及び電動圧縮機
US10044085B2 (en) * 2016-04-14 2018-08-0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Stretchable transmission lines and circuits for microwave and millimeter wave frequency wearable electronics
KR20210075667A (ko) * 2019-12-13 2021-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노이즈 제거부를 갖는 회로 기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362A (ja) 1985-12-19 1987-06-2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カ−ド給油システム
JPS62145362U (ko) * 1986-03-07 1987-09-12
JPH0254985A (ja) * 1988-08-19 1990-02-23 Fujitsu General Ltd プリント基板のツイスト伝送路
JPH033289A (ja) * 1989-05-30 1991-01-09 Gurafuiko:Kk ツイスト・プリント配線
JPH04223389A (ja) * 1990-12-25 1992-08-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047572B2 (ja) * 1991-10-25 2000-05-29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回路体
US5397862A (en) * 1993-08-31 1995-03-14 Motorola, Inc. Horizontally twisted-pair planar conductor line structure
US5430247A (en) * 1993-08-31 1995-07-04 Motorola, Inc. Twisted-pair planar conductor line off-set structure
JPH07235341A (ja) * 1994-02-21 1995-09-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切換盤のマトリクスボード
JP3234743B2 (ja) * 1995-05-30 2001-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部品実装型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00151041A (ja) * 1998-11-09 2000-05-30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プリント配線板
US6300846B1 (en) * 1999-03-18 2001-10-09 Molex Incorporated Flat flexible cable with ground conductors
JP2001060746A (ja) 1999-08-23 2001-03-06 Fuj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1267701A (ja) 2000-03-21 2001-09-28 Ricoh Co Ltd プリント基板
JP2002204042A (ja) 2000-12-28 2002-07-19 Fujikur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
JP3868843B2 (ja) * 2002-04-23 2007-01-1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エッジ変換回路及びエッジ変換回路を備えた半導体試験装置
TWI233771B (en) * 2002-12-13 2005-06-01 Victor Company Of Japan Flexible rigid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board
EP1551037A1 (de) * 2004-01-05 2005-07-06 Alcan Technology &amp; Management Ltd. Flexibler Träger mit elektrisch leitfähiger Struktur
US7271985B1 (en) * 2004-09-24 2007-09-1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osstalk reduction in a flexible trace interconnect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07372A (zh) 2009-08-12
CN101507372B (zh) 2011-02-09
WO2008050706A1 (fr) 2008-05-02
US8119919B2 (en) 2012-02-21
JPWO2008050706A1 (ja) 2010-02-25
KR101442276B1 (ko) 2014-09-22
JP5106411B2 (ja) 2012-12-26
US20100163282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9267A (ko) 프린트 배선판,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기기
TWI613941B (zh) 印刷電路板
US4815990A (en) Flexible circuit having termination fea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20127228A (ja) 伝送線路基板、および、電子機器
TWI453768B (zh) Composite flexible circuit cable
EP2785155B1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JP6259813B2 (ja) 樹脂多層基板、および樹脂多層基板の製造方法
WO2021065883A1 (ja) 伝送線路及び回路基板
JPH07161568A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3950681B2 (ja) 伝送線路基板
JP2003283131A (ja) 積層回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5321B2 (ja) 両面接続用配線板、両面接続用配線板の製造方法
JP2010080615A (ja) 積層コンデンサ、積層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WO2017199824A1 (ja) 多層基板、および、電子機器
JP4102675B2 (ja) 可撓配線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218827761U (zh) 传输线路
WO2023037852A1 (ja) 多層基板
WO2022113779A1 (ja) 積層基板および積層基板の製造方法
CN113573461B (zh) 半挠折线路板及其制作方法
JPH01120087A (ja) 配線回路基板
JP2003016855A (ja) シールド用フラット回路体
JPWO2022113779A5 (ko)
CN116528461A (zh) 一种印制电路板及其制备方法、电路板模组
CN115623675A (zh) 半挠折线路板及其制备方法
CN117460150A (zh) 柔性电路板、显示模组以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