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7204A -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7204A
KR20090067204A KR1020097009639A KR20097009639A KR20090067204A KR 20090067204 A KR20090067204 A KR 20090067204A KR 1020097009639 A KR1020097009639 A KR 1020097009639A KR 20097009639 A KR20097009639 A KR 20097009639A KR 20090067204 A KR20090067204 A KR 20090067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ecliner mechanism
moving
plate
lock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371B1 (ko
Inventor
신 후이 장
칼 지. 스폰슬러
안몰 브헤이트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9006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rotatab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제2 부재(6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부재(40)를 포함한다. 또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140)를 포함한다. 로킹 아암 부재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내부 링 부재를 포함한다. 내부 링 부재는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 중 하나에 위치된다. 또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로킹 아암 부재와 캠 부재(180)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부재(200)를 포함한다. 캠 부재를 작동시키면, 로킹 아암 부재와 결합 또는 해제되어 제1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를 체결 및 해제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내부 링 부재의 일부분과 결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멈춤 부재를 구비하여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이동 한계를 형성한다.
리클라이너 메커니즘(recliner mechanism), 캠 메커니즘(cam mechanism), 로킹 아암 부재(locking member), 편의 부재(biasing member), 디스크 부재(disc member)

Description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ROTARY RECLINER MECHANISM}
본 명세서는 대체로 좌석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좌석 쿠션에 대해 좌석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2가지 주된 형태가 자동차 좌석에 사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제1 형태는 잘 알려진 폴 및 섹터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며, 통상적으로 (좌석 기저부 프레임과 같은) 일 구조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피벗 폴과, (좌석 등받이 프레임과 같은) 다른 구조부에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톱니형 기어 섹터를 사용한다. 또한, 좌석 등받이 프레임 및 좌석 기저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별개의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에 통합된 폴과 섹터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공지된 폴 및 섹터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제2 형태는 또한 잘 알려진 둥근 또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다. 또한, 미국 특허 제4,143,905호, 제5,536,217호, 제6,092,874호 및 제6,805,650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둥근 심장부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공지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캠 메커니즘과, 통상적으로 치 차(teeth)를 구비한 편의된 이동식 로크 부재를 이용한다. 또한, 로크 부재를 체결 위치로 편의시키기 위해 전형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링 형태의 편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핸들과 같은 작동기는 캠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어, 편의 부재의 힘에 대항하여 로크 부재의 치차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측면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있는 정합 치차로부터 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로크 부재를 이동시킨다.
공지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이러한 메커니즘의 디자인에 원치않는 교환을 요구하는 결점 및 불완점함을 가지고 있다. 현존하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여전히 충분하게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비교적 높은 작동 작용력을 포함하거나, 낮은 작용력 작동 메커니즘을 구비하지만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수용할 수 없는 이완(slack) 또는 "운동" 양을 갖는다. 따라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특히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에 대한 개선이 매우 필요하다.
본 출원은 2006년 10월 12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851,148호 및 2007년 1월 5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878,76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전술한 출원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조되어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제2 또는 기저부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또는 이동 부재와,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로킹 아암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로킹 아암 부재는, 로킹 아암 부재를 이동시키는 피벗식 캠 부재와,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와 피벗식 캠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또는 실린더형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고 체결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내부 링 부재를 포함하며, 내부 링 부재는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 중 하나에 위치된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내부 링 부재의 일부분과 결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멈춤 부재를 구비하여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이동 한계를 형성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고정시키며, 캠 부재를 체결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캠 편의 부재 및 해제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제2 또는 기저부 플레이트 또는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이동 플레이트 또는 부재와,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로킹 아암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로킹 아암 부재는, 피벗식 캠 부재와,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와 피벗식 캠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부재를 이용하여 이동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고정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연결 부재는 캠 부재를 제1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캠 편의 부재 및 작동 부재를 수용하도록 관통하는 통로를 구비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캠 편의 부재를 둘러싸기 위해 작동 부재에 연결되는 캡 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제2 부재 또는 기저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부재 또는 이동 플레이트와,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로킹 아암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다. 로킹 아암 부재는 피벗식 캠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서로에 대해 편의시키는 복귀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복귀 스프링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연결하고 캡 부재와 결합되는 복귀 스프링 부재의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캡 부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캠 편의 부재는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캠 부재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코일 스프링이며, 캠 편의 부재는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의 내부에 위치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캠 편의 부재는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중 하나의 외부에 위치되며,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중 하나와,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캠 편의 부재 사이에 연결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또한,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캠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캠 가이드 부재는 캠 편의 부재가 이동할 때 디스크 부재와 상호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캠면을 포함한다. 캠 가이드 부재는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중 하나에 대해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2 부재 또는 기저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부재 또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1 부재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기 위해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로킹 아암 부재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제1 캠 통로 및 제2 캠 통로를 구비한다. 로킹 아암 부재는, 피벗식 캠 부재와,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와 피벗식 캠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원형 단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롤링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다. 로킹 아암 부재는 드웰부 및 상승부를 갖는 캠 경계면을 구비한다. 캠 부재는 제1 캠면 및 제2 캠면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2 부재 또는 기저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부재 또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로킹 아암 부재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로킹 아암 부재는 피벗식 캠 부재와,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와 피벗식 캠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형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형 부재의 이동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통로에 압박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형 부재는 실린더 부재이며, 여기서 실린더 부재의 일부분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통로에 압박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형 부재는 구형 부재이며, 여기서 구형 부재의 일부분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압박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제2 부재 또는 기저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부재 또는 이동 플레이트와,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로킹 아암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로킹 아암 부재는 캠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되며, 여기서 로킹 아암 부재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체결하기 위해 비선형의 아치형 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제2 부재 또는 기저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부재 또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폴 또는 로킹 아암 부재를 포함한다. 로킹 아암 부재는 제1 부재의 슬롯에 위치되며, 캠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며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다. 제1 부재와 제2 부재 중 하나는 로킹 아암 부재와 결합하는 톱니형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내부 링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내부 링 부재의 일부분과 결합하도록 복수의 멈춤 부재를 포함하여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이동한계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외부 플레이트 부재와 제2 외부 플레이트 부재 중 하나에 있는 슬롯에 위치되는 디스크형 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형 부재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을 보다 쉽게 작동시키기 위해 로킹 아암 부재와 캠 부재 중 하나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위치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캠과 연결되고 작동 부재를 수용하도록 중심에 형성된 통로를 구비하는 내부 부재를 포함한다. 내부 부재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함께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는 캠 복귀 스프링을 포함한다. 캠 복귀 스프링은 내부 부재에 연결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2 이동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이동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로킹 아암 부재를 포함한다. 로킹 아암 부재는 캠 부재를 이용하여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며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중심 부싱 부재를 포함한다. 중심 부싱 부재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 형성면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는 캠 복귀 부재를 포함한다. 캠 복귀 부재는, 캠 부재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제1 이동 부재와 제2 이동 부재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제1 이동 부재 및 제2 이동 부재를 제1 방향으로 편의시키는 리클라이너 복귀 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리클라이너 복귀 부재는, 제1 부재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리클라이너 복귀 부재의 제1 단부가 제1 부재를 편의시켜 제2 부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코일 스프링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 사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 사용된 차량 좌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복귀 스프링이 제거된 도 3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제1 또는 이동 플레이트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내부의 세부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되어 있다.
도 7은 도 3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9는 체결 위치에 있는 도 3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부분 평면도이며,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내부의 세부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1 평면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다.
도 10은 해제 위치에 있는 도 9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다.
도 11은 도 9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며,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는 로킹 부재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3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부분 사시도이며,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작동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멈춤부의 세부 요소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부분 평면도이며, 멈춤 요소와 조립되었을 때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이동 한계를 자세히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부분 평면도이며, 제1 또는 이동 플레이트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내부의 세부 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제거되어 있다.
도 16은 도 14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반대 측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을 도시한 다.
도면은 차량(예를 들어, 승용차, 트럭, 스포츠용 차량, 미니밴, 버스 등과 같은 차량, 비행기, 보트 등)에서 좌석 등받이의 위치를 하나 이상의 원하는 위치에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회전 좌석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으로 사용하기 위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으로 도시된 구성 요소 또는 조립체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다양한 크기, 형상 및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좌석 등받이 및 좌석 기저부와 협력하는 다양한 부속장치 또는 하드웨어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차량 좌석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어 있으나, 일 부재의 위치를 다른 부재에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어떠한 형태의 장치와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면, 처음에는 특히 도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이 도시되어 있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도 3을 참조)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좌석 등받이(15) 및 좌석 기저부(17)를 구비하는 차량 좌석(11)과 함께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차량의 좌석 등받이의 프레임과 좌석 기저부의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도 25를 참조),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체결구, 모재 금속 스테이킹(parent metal staking), 용접 또는 기타 형태의 체결 장치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임의의 공지되거나 바람직한 방법으로 차량 좌석(11)의 프레임과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좌석 등받이 복귀 스프링(12)을 포함하며, 좌석 등받이 복귀 스프링(12)은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단부(14)와, 좌석 기저부(17)에 대해 좌석 등받이(15)를 편의시키기 위해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에 연결되는 제2 단부(16)를 포함한다. 좌석 등받이 복귀 스프링(12)은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주어진 차량 좌석 용도에 적합한 스프링 상수를 갖는 감긴 시계형 스프링이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을 작동시키는(해제시키는) 핸들 부재(13)와 연결하기 위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중심선을 따라 위치되는 샤프트(20)를 포함한다. 샤프트(20)는 제1 단부(22) 및 말단의 제2 단부(24)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샤프트(20)의 제1 단부(22)는 핸들 부재(13)와 연결하는 적절하거나 공지된 구조 또는 형상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이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부품을 덮거나 포함하기 위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에 연결되는 캡(30)을 포함한다. 캡(30)은 그 내부에 둥근 구멍 형상으로 중심에 위치된 통로(32)를 포함하고 있으나, 임의의 다른 공지된 적절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20)의 제1 단부(22)는 통로(32)로부터 연장한다. 캡(30)은 실질적으로 디스크 형상인 통로(32)를 포함하는 제1 부분(34)을 포함한다. 캡(30)의 제2 부분(36)은 탭 연장부로서 제1 부분(34)으로부터 각을 이 루어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제2 부분(36)은 제1 부분(34)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하며, 좌석 등받이 복귀 스프링(12)의 제1 단부(16)와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캡(30)은 캡(30)을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에 연결하기 위한 구멍(38)을 포함한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는 고강도 스틸로 만들어지며, 적절하게 스탬프, 성형 및/또는 가공된다.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는 비교적 유사한 폭 및 높이 치수를 가지며 비교적 얇은 높이 또는 두께를 갖는다는 점에서 비교적 얇은 형상을 갖는다. 제1 플레이트 부재(40)는 형상화된 외주연을 구비한 제1 부분(42)과, 각각 하나의 구멍(18)을 구비하는 한 쌍의 연장부(44)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플레이트 부재(60)는 대체로 둥근 형상의 외주연을 구비한 제1 부분(62)과, 각각 하나의 구멍(18)을 구비하는 한 쌍의 연장부(64)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부재(40)는 공통 피벗 축 상에서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대해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제1 플레이트 부재(40)는 내부 링 부재(100;도 5를 참조)를 이용하여 제2 플래이트 부재에 피벗 가능하게 고정된다. 내부 링 부재(100)는, 제2 플레이트 부재(60)와 결부하여 바람직하게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연결되는 제1 단부(102)와, 좌석 등받이 복귀 스프링(12)과 상호작용하며 캡(30)을 유지하는 제2 단부(104)를 구비한다. 또한, 내부 링 부재(100)는 디스크 또는 링 연장 부재(106)를 포함하며, 디스크 또는 링 연장 부재(106)는 제1 단부(102)와 제2 단부(104) 사이에 위치되고 제1 플레이트 부재(40)를 따라 정렬되어 제1 플레이트 부재(40) 근처에 위치된다.
또한, 내부 링 부재(100)는 제2 단부(104)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장 레그 부재(108)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 레그 부재(108)는, 미리 결정된 원호 길이에 걸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며 샤프트(20)의 일부분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 실린더 형상부이다. 각각의 연장 레그 부재(108)의 단부(110)에는, 또한 캡(30)을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내부 링 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한 보다 더 좁은 연장 부재(112)가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연장 부재(112)는 캡(30)의 각각의 통로(38)에 수용되고, 그리고 나서 캡(30)을 내부 링 부재(100)의 제1 단부(104)에 체결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변형되도록 설계된다. 캡(30)을 내부 링 부재(100)에 체결, 고정 또는 연결하는 것은, 체결구, 용접, 모재 금속 스테이킹 등과 같은 임의의 공지되거나 적절한 장치 또는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내부 링 부재(100)의 제1 단부(102)는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를 통해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 부재(114)를 포함한다(도 4를 참조). 각각의 연장 부재(114)는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있는 각각의 통로 또는 구멍(66)을 통과하며, 그리고 나서 내부 링 부재(100)를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기계적으로 체결하기 위해 변형된다. 내부 링 부재(100)의 연장 부재(114)를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체결하는 것은 체결구, 용접, 모재 금속 스테이킹 등과 같은 임의의 공지되거나 적절한 장치 또는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부 링 부재(100)는 제1 플레이트 부 재(40), 제2 플레이트 부재(60) 및 캡(30)을 고정시키고, 그에 따라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모든 내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내부에 위치되는 캠 메커니즘(130)을 포함한다. 캠 메커니즘(130)은 샤프트(20)와 연결되어, 샤프트(20)에 의해 작동된다. 캠 메커니즘(130)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을 체결 및 해제하도록 작동하여 좌석 등받이(15)를 조절가능하게 한다. 캠 메커니즘(130)은 제1 로킹 부재(140) 및 제2 로킹 부재(16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구체적인 용도에 적합하게 보다 적거나 보다 많은 로킹 부재를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킹 부재(140)는,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리세스된 내주연부(48)를 따라 형성된 상보적인 톱니형 섹터부(46)와 결합하는 톱니형 섹터부(14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로킹 부재(160)는,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리세스된 내주연부(48)를 따라 형성된 상보적인 톱니형 섹터부(50)와 결합하는 톱니형 섹터부(162)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리세스된 내주연부(48)는 톱니형 섹터부(46, 50) 사이에 위치된 벽부(52)를 포함한다. 벽부(52)는 톱니형 섹터부(46, 50)의 반경방향으로 약간 안쪽에 위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톱니형 섹터부(46, 50) 및 벽부(50)의 상대적인 원호 길이는, 주어진 용도를 위한 필요에 따라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이 적절한 작동 범위에서 이동하도록 선택된다. 정상적으로는 차량 좌석 용도에 바람직하지 않지 만,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이 연속형 회전 리클라이너 장치가 되도록 벽부(52)를 제거하여 360°의 작동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2를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제1 로킹 부재(140;도 12에 도시되지 않음)는 주로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슬롯(70)에 위치되며, 리세스(70)는 각각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표면(68)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연장부(72) 및 제2 연장부(74)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연장부(72) 및 제2 연장부(74)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을 작동시키는 다양한 기능적 형상부를 포함하기 위해 표면(68)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제2 플레이트 부재(60)를 따라 반경 방향 및 아치형으로 연장한다. 또한, 제1 연장부(72) 및 제2 연장부(74)는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제2 로킹 부재(160;도 12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또는 슬롯(80)을 형성한다. 제1 연장부(72) 및 제2 연장부(74)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며, 제1 연장부(72)는 제2 연장부(74)와 대향하여 대략 180°회전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 부재(60)는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표면(68)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연장하는 복수의 패드(76)를 포함한다. 패드(76)는 캠 메커니즘(130), 제1 로킹 부재(140) 및 제2 로킹 부재(16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해 최적으로 위치되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이 보다 쉽게 작동하도록 표면(68)과 마찰의 양을 줄인다. 바람직하게, 패드(76)는, 표면과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이동 부품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에 충분한 최소 수직 거리만큼 표면(68)으로부터 연장한다. 따라서, 패드(76)도 역시 리세스(70, 80)를 형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리세스(70, 80)는 제1 로킹 부재(140) 및 제2 로킹 부재(160)가 각각 리세스(70, 80) 내부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해주며 제1 로킹 부재(140) 및 제2 로킹 부재(160)가 리세스(70, 80)에 각각 결속 또는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고도의 정밀 부품이나 관련된 높은 가공 비용을 요구하지는 않으나,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이유로 여전히 견고하며 비교적 매우 낮은 "척(chuck)" 또는 "자유 유극(free play)"을 갖는다.
또한, 제2 플레이트 부재(60)는, 표면(68)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리세스(70)와 연결되는 캠 핀 리세스(78)를 포함한다. 그러나, 캠 핀 리세스(78)는 표면(68)으로부터 제1 연장부(72) 및 제2 연장부(74)와 대향하는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캠 핀 리세스(78)는 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로킹 부재(140)는 제1 연장부(72)의 측벽(82)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제1 측벽(144)을 포함한다. 또한, 측벽(82)은 리세스(70) 및 경로를 형성하며, 제1 로킹 부재(140)는 캠 메커니즘(130)에 의해 작동될 때 이를 따라 이동한다. 제1 측벽(144)은 톱니형 섹터부(142)의 일 단부 근처의 위치로부터 연장한다. 제1 로킹 부재(140)의 제2 측벽(146)은 톱니형 섹터부(142)의 제2 단부로부터 아치형으로 연장한다. 제2 연장부(74)는 제1 로킹 부재(140)의 제2 측벽(146)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측벽(84)을 포함하여, 이를 따라 제1 로킹 부재(140)가 이동하는 경로 를 보다 제한한다. 또한, 리세스(70)는 제1 로킹 부재(140)의 이동 한계를 형성하는 배면벽(88)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로킹 부재(140)는 배면벽(88)과 함께 접합하도록 배면벽(88)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단부벽(148)을 포함한다.
제1 로킹 부재(140)와 마찬가지로, 제2 로킹 부재(160)는 제2 연장부(74)의 측벽(94)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제1 형성 측벽(164)을 포함한다. 또한, 측벽(94)은 리세스(80) 및 경로를 형성하며, 제2 로킹 부재(160)는 캠 메커니즘(130)에 의해 작동될 때 이를 따라 이동한다. 측벽(164)은 톱니형 섹터부(162)의 일 단부 근처의 위치로부터 연장한다. 제2 로킹 부재(160)의 제2 측벽(166)은 톱니형 섹터부(162)의 제2 단부로부터 아치형으로 연장한다. 제1 연장부(72)는 제2 로킹 부재(160)의 제2 측벽(166)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측벽(92)을 포함하여, 이를 따라 제2 로킹 부재(160)가 이동하는 경로를 보다 제한한다. 또한, 리세스(80)는 제2 로킹 부재(160)의 이동 한계를 형성하는 배면벽(98)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로킹 부재(160)는 배면벽(98)과 함께 접합하도록 배면벽(98)과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단부벽(168)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캠 매커니즘(130)은 캠 플레이트 부재(180) 및 복귀 스프링(120)을 포함한다. 복귀 스프링은,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통로 또는 구멍(128)과 연결되는 제1 단부(122)와, 내부 링 부재(100)와 연결되는 제2 단부(124)를 구비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120)은 캠 플레이트 부재(1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편의시키기 위해 내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구비하는 감긴 코일 스프링이다. 샤프트(20)는, 내부 링 부 재(100)의 제2 단부(104)에 형성된 연장 레그 부재(108)의 내부에 동심을 이루어 위치되는 복귀 스프링(120)의 중심을 통과한다. 복귀 스프링(120)은 캡(30)의 아래에 위치된다.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비교적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이지만, 제1 로킹 부재(140) 및 제2 로킹 부재(160)를 작동시키기 위해 주어진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캠 플레이트 부재(180)를 샤프트(20)에 연결하기 위해 중심에 위치된 통로 또는 구멍(182)을 포함한다. 샤프트(20)는 통로(182)에 위치되며,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이중 "D" 형상의 통로(182)를 이용하여 샤프트(20)와 연결된다. 샤프트(20)의 회전으로 인해 캠 플레이트 부재(180)가 회전하도록 캠 플레이트 부재(180)를 샤프트(20)에 연결하기 위해,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대안으로서 체결구, 브라켓, 억지 끼움 또는 임의의 형태의 용접과 같은 임의의 공지되거나 적합한 장치 또는 공정을 이용하여 샤프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20)는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통로(182)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며, 캠 플레이트 부재(180)와 캡(30)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제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직사각형 형상의 4개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된 4개의 주연 결합면을 구비하며, 직사각형 형상은 주어진 용도에 적합하게 재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면(184)은 대략 5°내지 6.5°의 캠 각도, 바람직하게는 대략 5.8°의 캠 각도를 갖는 비교적 평평한 윤곽의 캠 표면을 구비하며, 도 9에서 대략 11시 위치에 위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면(184)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대략 1시 위치에 제1 로킹 부재(140)의 캠 경계면(154)과 결합하는 제2 결합면(186)을 구비한다. 또한,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제2 로킹 부재(160)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바람직하게 제1 결합면(184)과 유사한 캠 각도를 가지며(그러나, 다른 캠 각도가 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시 위치에 위치되어 제2 로킹 부재(160)의 캠 경계면(194)과 결합하는 제3 결합면(18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7시 위치에 위치되어 제2 로킹 부재(160)의 캠 경계면(194)과 결합하는 제4 결합면(190)을 구비한다.
또한, 캠 메커니즘(130)은,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제1 결합면(184)과, 측벽(84) 근처에 있는 제1 로킹 부재(140)의 캠 경계면(154)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크 또는 핀 부재(200)를 포함한다. 디스크 부재(200)는 대체로 실린더형 부재이며, 바람직하게는 만곡의, 구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디스크 부재(200)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패키징에 적합하도록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가지며, 이 길이는 디스크 부재(200)가 언급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어진 용도에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디스크 부재(200)의 제1 단부는 리세스(68)에 위치되며, 리세스(68)는 제1 연장부(74)의 측벽(84)과 함께, 제1 로킹 부재(140)의 캠 경계면(154)의 제1 드웰부(156)를 따르는 디스크 부재(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캠 경계면(154)의 제1 드웰부(156)는 형성된 측벽(146) 근처에 위치된다. 캠 경계면(154) 은 제1 드웰부(156)로부터 중간부(158)를 따라 접합부(170)까지 연장하며, 접합부(170)는 그곳에서 말단부에 접합면(174)을 위치시키는 상승부(172)까지의 거리를 안내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은 체결 및 고정 위치에 있으며, 여기서 샤프트(20) 및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캠 복귀 스프링(12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편의되거나 배치된다. 체결 위치에서, 제1 로킹 부재(140)는, 제1 로킹 부재(140)의 캠 경계면(154)에 있는 제1 드웰부(156)와 제1 결합면(184) 사이에 위치되는 디스크 부재(200)를 포함해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제1 결합면(184) 및 제2 결합면(186)에 의해 제 위치에 체결된다. 샤프트(20)의 중심축(X)으로부터 연장하는 라디안(radian)은, 제1 결합면(184)과 제1 드웰부(156) 사이의 접점뿐만 아니라 디스크 부재(200)의 중심축을 통과할 것이다. 그러나, 제1 결합면(184)은 디스크 부재(200)의 외주 곡률과 비교했을 때 실질적으로 평평하기 때문에,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디스크 부재(200)와 제1 결합면(184)의 접촉으로 인해 회전에 대해 약간의 저항을 초래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0)를 시계 방향 등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캠 메너니즘(130)이 작동될 때,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결합면(186)은 캠 플레이트 부재(180)가 접합면(174)과 접촉하여 제1 로킹 부재(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가할 때까지 제1 로킹 부재(140)의 캠 경계면(154)의 상승 개시부(raised timing portioin;172)를 따라 이동한다. 캠 핀 리세스(78)는 디스크 부재(200)가 각을 이루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캠 플레이트 부재(180)가 회전할 때 제1 결합면(184)은 디스크 부재(200)를 따라 회전한 뒤 디스크 부재(200)를 통과한다. 제1 결합면(184)이 디스크 부재(200)를 지나치기 때문에, 디스크 부재(200)는 캠 플레이트 부재(180)가 접합면(174)과 결합할 때 제1 로킹 부재(14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캠 핀 리세스(78)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디스크 부재(200)가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이동할 때, 제1 로킹 부재(140)는 리세스(70) 내에서 이동하며, 제1 로킹 부재(140)의 이동 경로는 제1 로킹 부재(140)의 단부벽(148)이 리세스(70)의 단부벽(88)과 결합할 때까지 만곡의(아치형의) 경로를 따라 선형적으로 이동하도록 측벽(82, 84)에 의해 안내된다. 제1 로킹 부재(140)가 체결 위치로부터 이동할 때 제1 로킹 부재(140)의 톱니형 섹터부(142)는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톱니형 섹터부(46)로부터 해제되며, 그에 의해 제1 플레이트 부재(40)는 제2 플레이트 부재(60)로부터 해제되고,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상대 각위치가 좌석 등받이 복귀 스프링(12)의 힘에 대항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핸들(13)이 해제되거나 기타의 힘이 토크 로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모터와 같은 부재에 인가되면, 샤프트(20)는 캠 복귀 스프링(120)의 편의력으로 인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샤프트(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결합면(184)은 디스크 부재(200)를 캠 핀 리세스(78)에서 측벽(84)에 대해 강제로 이동시키도록 디스크 부재(200)에 대항하여 힘을 받는다. 디스크 부재(200)가 측벽(84)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이동할 때, 디스크 부재(200)는 제1 로킹 부재(140)를 리세스(70)에서 측 벽(82)에 대해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리세스된 내부(48)를 향하여 강제로 이동시키며, 그에 의해 리세스(70) 내부에서 제1 로킹 부재(140)의 풀림을 제거함으로써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척" 또는 "자유 유극"을 제거한다.
제1 로킹 부재(140)가 해제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톱니형 섹터부(142)는 톱니형 섹터부(46)와 결합하여 제1 플레이트 부재(40)에 대한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위치를 체결한다. 디스크 부재(200)는 다시 캠 경계면(154)의 제1 드웰부(156)에 위치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제1 드웰부(156) 및 제1 결합면(184)은 측벽(84)을 향하여 각을 이루어 개방되도록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룬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디스크 부재(200)를 제1 로킹 부재(140)에 대해 밀어넣는다. 캠 플레이트 부재(18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결합면(186)은 다시 제1 로킹 부재(140)의 캠 경계면(154)의 상승부(174)와 접촉하여 제1 로킹 부재(140)가 제1 플레이트 부재(40)와 결합하도록 힘을 가한다.
제1 로킹 부재와 마찬가지로, 제2 로킹 부재(160)는, 제2 로킹 부재(160)의 톱니형 섹터부(162)가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톱니형 섹터부(50)와 결합하는 체결 위치(도 9) 사이의 리세스(80) 내에서 이동한다. 제2 로킹 부재(160)는, 캠 로크 부재(180)의 제3 결합면(188)에 대응하는 제1 접합면 부분(196)을 구비한 캠 경계면(194)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로킹 부재(160)는 캠 경계면(194)의 부분으로서 제2 접합면(198)을 포함하며, 제2 접합면(198)은 캠 로크 부재(180)의 제4 결합면(190)에 대응한다. 제1 접합면(196)과 제2 접합면(198) 사이에서, 제2 로킹 부 재(160)의 캠 경계면(194)은 드웰부(202)를 포함한다. 캠 경계면(194)의 말단 단부를 향하여, 제2 접합면(198)은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제4 결합면(190)과 결합하는 타이밍면(timing surface;204)을 생성하도록 연장한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 부재(180)가 회전될 때, 제3 결합면(188)은, 제3 결합면(188)이 드웰부(202)의 위쪽에 위치할 때까지 제2 로킹 부재(160)의 캠 경계부(194)의 제1 접합면(196)을 따라 활주한다. 동시에,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제4 결합면(190)은 제2 접합면(198)을 따라 이동하여, 캠 경계면(194)의 랜드부(206)와 결합한다.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힘은 랜드부(206)에 전달되어, 제2 로킹 부재(160)를 리세스(80) 내에서 배면벽(98)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톱니형 섹터부(50)로부터 이격시킨다. 따라서, 제2 로킹 부재(160)는,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체결 및 해제하고, 그 사이에서 회전을 허용하도록, 제1 로킹 부재(140)의 이동과 일치하여 이동한다.
캠 복귀 스프링(120)의 편의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캠 플레이트 부재(180)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캠 플레이트 부재(180)는 톱니형 섹터부(162)가 톱니형 섹터부(50)와 결합할 때까지 제2 로킹 부재(160)를 리세스(80) 내에서 배면벽(98)으로부터 이격시켜, 톱니형 섹터부(50)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 부재(40)와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상대 위치는 바람직하게 좌석 등받이 복귀 스프링(12)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조절된다. 또한,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이동 한계는,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내부의 부분적인 환형 형상부에 위 치된 멈춤부에 의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제1 플레이트 부재(40)는 동심 환형 리세스부(58)로부터 축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연장하는 내부 환형 링 부분(54)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환형 링 부분(54)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탭 부분(56)을 포함한다. 탭 부분(56)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있는 유사한 탭 멈춤부와 상호작용하도록 설계 위치에 위치된다. 필요하다면, 탭 부분(56)을 제거하여 제1 플레이트 부재(40)가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대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플레이트 부재(60)는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제1 연장부(72)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호형 연장 부재(106)를 포함한다. 원호형 연장 부재(106)의 외부는, 동심 환형 리세스부(58)에 대해 이동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동심 환형 리세스부(58)의 주연에 대응하거나 조화를 이루는 외부면을 구비한다. 원호형 연장 부재(106)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하는 멈춤부(108)를 포함한다. 원호형 연장 부재(106)의 멈춤부(108)는,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내부 환형 링 부분(54)의 외주연면에 대해 이동하기 위한 내부면을 구비한다.
또한, 제2 플레이트 부재(60)는 제2 플레이트 부재(60)의 제2 연장부(74)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호형 연장 부재(116)를 포함하며, 원호형 연장 부재(116)는 원호형 연장 부재(116)의 외부가 동심 환형 리세스부(58)에 대해 이동하기 위해 동심 환형 리세스부(58)의 주연과 조화를 이루는 외부면을 구비하도록 반경 및 각도 범위를 갖는다. 원호형 연장 부재(116)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 연장하 는 멈춤부(118)를 포함한다. 원호형 연장 부재(116)의 멈춤부(118)는, 제1 플레이트 부재(40)의 내부 환형 링 부분(54)의 외주연면에 대해 이동하기 위한 내부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이동 각도 한계(G)는 탭 부분(56)이 멈춤부(108, 118)와 결합하는 시점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3에 각도(G)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 부재(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60)에 통합된 대체 구조 및 형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 내지 도 18을 특별히 주의 깊게 보면, 회전 리테이너 메커니즘(3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은 앞서 설명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과 유사하게 작동하며, 전술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독특한 캠 메커니즘(130)을 포함하고 대체 또는 추가 형상부를 더 포함하ㅁ며대체로 유사한 부품들은 앞선 설명으로부터 이미 이해한 바와 같고 본 설명은 대체 또는 추가 형상부에 집중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은 제1 플레이트 부재(3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360)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은 샤프트(320;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캠 메커니즘(380)을 포함하며, 캠 메커니즘(380)에 의하여 작동된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캠 메커니즘(130)의 작동과 유사한 캠 메커니즘(380)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을 체결하고 해제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캠 메커니즘(380)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의 제1 이동 부재(340) 및 제2 이동 부재(360)을 제어하며, 제1 이동 부재(340) 및 제2 이동 부재(360) 각각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 커니즘(10)의 대응부(40, 60)와 각각 유사하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의 캠 메커니즘(380)은 캠 플레이트 부재(480)를 포함하며, 캠 플레이트 부재(480)의 작동면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캠 플레이트 부재(180)의 작동면과 디자인 및 기능이 유사하고,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디스크 부재(200)와 디자인 및 기능이 유사한 디스크 부재(500)를 포함한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복귀 스프링(120)과 디자인 및 용도가 다른 캠 복귀 스프링(420)을 이용한다. 도 14,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복귀 스프링(420)은 더이상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 내부에 포함되지 않으며, 대신 캠 복귀 스프링(420)은 실질적으로 제1 플레이트 부재(3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360)의 외부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캠 복귀 스프링(420)은 제2 플레이트 부재(360)의 외부 측면의 외부에 정렬된 시계형 스프링이다. 캠 복귀 스프링(420)의 제1 또는 외부 단부(422)는 제2 플레이트 부재(360)의 포스트(362)에 연결 또는 고정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2 플레이트 부재(360)에 부착된다. 캠 복귀 스프링(420)은 캠 메커니즘(380)에 대해 연결되는 제2 또는 내부 단부(424)를 구비한다.
또한, 캠 메커니즘(380)은 제1 폴 또는 제1 로킹 부재(440)와, 제2 폴 또는 제2 로킹 부재(460)를 포함하며, 제1 로킹 부재(440) 및 제2 로킹 부재(460)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제1 로킹 부재(140) 및 제2 로킹 부재(160) 각각과 매우 유사한 형상 및 작동을 갖는다. 유사하게,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은 또한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디스크 부재(500)를 포함하며, 디스크 부 재(500)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과 유사한 제1 로킹 부재(440)를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해 제1 로킹 부재(440), 제1 이동 부재(340) 및 캠 메커니즘(380)과 상호작용한다. 또한, 캠 메커니즘(380)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캠 플레이트 부재(180)와 유사한 형상 및 기능을 갖는 캠 플레이트 부재(4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캠 플레이트 부재(480)는, 제1 로킹 부재(440) 및 제2 로킹 부재(460)를 제2 이동 부재(360)에 대해 제1 이동 부재(340)를 체결하는 체결 위치 내로 이동시키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로킹 부재(440) 및 제2 로킹 부재(460)와 상호작용하도록 회전한다. 캠 플레이트 부재(480)는 로드(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작동 부재 및 내부 부재(600)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중심 통로(484)를 포함한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과 비교할 때, 캠 메커니즘(380)은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 부재(390)를 포함하며, 가이드 플레이트 부재(390)는 제1 이동 부재(340)와 제2 이동 부재(360) 사이에 위치되는 비교적 얇게 형상화된 플레이트 부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 부재(390)는, 일 측면 상에서 제2 이동 부재(360)와 캠 플레이트 부재(480) 사이에 위치되며, 다른 측면 상에서 제1 및 제2 로킹 부재(440, 460)와 제1 이동 부재(340) 사이에 위치된다. 가이드 플레이트 부재(390)는, 제2 이동 부재(36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가이드 플레이트 부재(39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노치(392)를 포함한다. 제2 이동 부재(360)에 대해 가이드 플레이트 부재(390)를 고정시키기 위해 노치(392) 이외의 다른 구조가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 부재(390)는 디스크 부재(500)에 대해 정렬되는 통로 또는 슬롯(394)을 포함하며, 슬롯(394)은 디스크 부재(500)의 일 단부를 수용하여 캠 핀 리세스(78)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에서 디스크 부재(200)의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디스크 부재(500)의 이동을 유도한다. 캠 메커니즘(310)은 디스크 부재(5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슬롯(394)과 캠 핀 리세스(78)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내부 부재(600)는 대체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의 내부 링 부재(100)와 유사한 부싱이다. 내부 부재(600)는 대체로 중공의 실린더형 디자인을 가지며, 로드(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작동 부재를 수용하도록 중심에 형성된 통로(602)와, 캡 단부(604)와, 캠 편의 스프링(420)의 단부(424)를 수용하는 연결 구조(예를 들어, 슬롯 또는 통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본체부(606)와, 한쌍의 미늘 형성 돌출부(barbed projection;61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 부재(340)는, 제1의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갖는 제1 통로 또는 구멍(344)과 제2의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갖는 제2 통로 또는 구멍(346)을 구비한 중심 통로를 포함한다. 제2 구멍(346)은 반경 방향 및 각도 방향의 연장면(348)을 형성하도록 제1 구멍(344)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연장면(348)에 대해 미늘 형성 돌출부(610)의 미늘(barb)이 결합한다. 내부 부재(600)는 제1 플레이트 부재(340)를 제2 플레이트 부재(360)에 연결하는 기능을 하며,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10)을 체결 위치 또는 제1 위치를 향하여 편의 시키기 위해 캠 편의 스프링(420)의 편의력을 캠 플레이트 부재(480)에 전달하도록 캠 편의 스프링(420)과 연결되거나 함께 작동하는 기능을 한다.
지금 도 19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은 앞서 설명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 310)과 유사하게 작동하며, 독특한 구조와 대체 또는 추가적인 형상부를 포함하고, 유사한 구성요소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10, 310)에 관한 앞선 설명에서 이미 이해한 바와 같고 본 설명은 대체 또는 추가 형상부에 집중된다.
구체적으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은 복귀 스프링(712)을 포함하며, 좌석 등받이 복귀 스프링(712)은 좌석 기저부(17)에 대해 좌석 등받이(15)를 편의시키는 복귀 스프링(12)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또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은 상부 브라켓(725) 및 하부 브라켓(735)을 포함하며, 상부 브라켓(725) 및 하부 브라켓(735)은 서브 조립체(715)의 대향 측면에 장착된다. 복귀 스프링(712)은 상부 브라켓(725) 상에서 장착 부재 주위에 배치된다. 복귀 스프링(712)의 제1 단부는 하부 브라켓(735)의 돌출부에 의해 구속되며, 복귀 스프링(712)의 제2 단부는 상부 브라켓(725) 상의 장착 부재의 노치 또는 릴리프에 의해 구속된다. 상부 브라켓(725) 및 하부 브라켓(735)은 서브 조립체(715)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브 조립체(715)가 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서브 조립체(715)는 부싱(700;예를 들어, 플라스틱 부싱), 캠 스프링(820)으로 도시된 스프링, 기저부 플레이트(760)로 도시된 제1 플레이트, 제1 로킹 부재(840) 및 제2 로킹 부재(860;예를 들어, 폴 등), 캠 플레이 트(880), 2개의 핀(900, 902), 가이드 플레이트(790) 및 톱니형 플레이트(740)로 도시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부싱(700)은 캠 스프링(820)이 배치되는 한 쌍의 상승부(702)를 구비한다. 캠 스프링(820)의 제1 단부는 상승부(702) 중 하나에 의해 구속되며, 캠 스프링(820)의 제2 단부는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돌출부에 의해 구속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스프링(820)은 부싱(700)의 평평한 부분과 기저부 플레이트(760) 사이에 배치된다.
도 21 및 도 23을 참조하면, 부싱(700)은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구멍 및 캠 플레이트(880)를 통과한다. 부싱(700)은 기저부 플레이트(76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700)은, 캠 플레이트(880)가 부싱(7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캠 플레이트(880)에 있는 구멍 내부면의 상보적인 키형 부분(keyed portion)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키형 부분(704;돌출부, 상승부 등)을 구비한다. 부싱(700)의 단부는 부싱을 톱니형 플레이트(740)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체결구(706;예를 들어, 클립, 리테이너 등)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700)은 스냅 인 미늘 형성 돌출부(예를 들어, "크리스마스 트리"형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싱(700)은 유리 매립 나일론 물질(glass-embedded nylon material)이다. 다양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부싱(700)은 매우 다양한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메커니즘은, 부싱(700)이 회전하고 캠 메커니즘이 작동할 때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을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해, 2개의 디스크(900, 902), 제1 로킹 부재(840) 및 제2 로킹 부재(860)와 결부하 는 캠 플레이트(88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700) 및 이에 의한 캠 플레이트(880)의 회전은 제1 로킹 부재[840;및 마찬가지로 제2 로킹 부재(860)]를 체결 위치 내로 이동시키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캠 플레이트(880)는 제1 단부(882) 및 제2 단부(884)를 구비한다. 제2 단부(884)는 제1 단부(88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2 디스크(902) 및 제2 로킹 부재(860)와 결부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단부(882)만 설명될 것이며, 캠 플레이트(880)의 제2 단부(884)는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되고 작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단부(882)는, 제1 디스크(900) 및 제1 로킹 부재(840)와 결부하는 제1 캠면(886) 및 제2 캠면(888)을 구비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880)는 가장 먼 반시계 방향 위치에 근접해 있다. 캠 플레이트(880)는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리세스 내에 걸쳐있으며, 캠 플레이트(880)의 회전은 벽부(905, 915)를 포함하여 리세스의 경계에 의해 제한된다. 캠 플레이트(880)는, 캠 플레이트(880)의 벽부(925)가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벽부(905)와 만날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는 도 22에서 대략 11시 위치에 있도록 결부한다. 이 위치에서, 제1 캠면(886)은 제1 디스크(900)와 결부하며, 그 다음에 제1 로킹 부재(840)의 톱니형 섹터부가 톱니형 플레이트(740;도시되지 않음)의 대응하는 톱니형 섹터부와 결합하도록 제1 로킹 부재(840)와 결부하고, 이에 의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을 체결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로킹 부재(840)가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제1 로킹 부재(840)는 접촉 영역에 있는 톱니형 섹터부 부근에서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벽부(905)와 접촉하며, 이격된 영역에 있는 제1 디스크(900) 부근에는 제1 로킹 부재(840)와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벽부(905) 사이에 공간 또는 간극이 존재한다. 또한, 제1 로킹 부재(840)는 2개의 접촉 영역(925, 935)에서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벽부(915)와 접촉하며, 그 사이에 제1 로킹 부재(840)가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벽부와 접촉하지 않는 이격된 영역을 갖는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880)는 부싱(700)에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캠 플레이트(880)는 부싱(700)과 함께 회전하고 부싱(700)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며, 캠 플레이트(880) 주변에 있는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만곡의 벽부(945, 955)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만곡의 벽부(945, 955)와 캠 플레이트(880) 사이에 틈새 공간 또는 간극이 존재하며, 캠 플레이트(880)는 기저부 플레이트(760)에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로킹 부재(840)를 해제 또는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로킹 부재(840) 및 제2 로킹 부재(860)의 톱니형 섹터부가 톱니형 플레이트(740)의 대응하는 톱니형 섹터부로부터 해제되도록, 샤프트에 연결된 핸들(13)을 작동시켜 부싱(700)을 회전시킴으로써 부싱(700;도 22에 도시됨)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부싱(700)이 회전하면, 캠 플레이트(880)가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캠 플레이트(880)가 회전할 때, 제2 캠면(888)은 제1 로킹 부재(840)의 견부 또는 벽부(845;상승부)와 결합하며, 제1 로킹 부재(840)의 벽부(847)가 기저부 플 레이트(760)의 벽부(915)와 결부할 때까지 캠 플레이트(880)와 함께 제1 로킹부(840)를 이동시킨다. 디스크(900)가 톱니형 섹터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1 캠면(886)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로킹 부재(840)의 톱니형 섹터부는 톱니형 플레이트(740)의 대응하는 톱니형의 부분으로부터 해제된다. 제1 로킹 부재(840)의 벽부(847)가 기저부 플레이트(760)의 벽부(925)에 도달할 때, 캠 메커니즘은 풀림 또는 해제 위치에 있으며, 캠 플레이트(880)는 더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20을 참조하면, 예컨데 캠 메커니즘을 해제 또는 풀림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부싱(700)이 회전할 때, 부싱(700)을 완전히 체결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캠 스프링(820)이 부싱(700)을 편의시키도록, 캠 스프링(820)은 기저부 플레이트(760)에 의해 구속되는 일 단부를 구비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가이드 플레이트(790)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 플레이트 부재(390)와 유사하다. 가이드 플레이트(790)는 제1 플레이트 부재(740) 및 제2 플레이트 부재(760) 사이에 위치되는 비교적 얇게 형상화된 플레이트 부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790)는, 일 측면 상에서 제2 플레이트 부재 또는 톱니형 플레이트(740)와 캠 플레이트(880) 사이에 위치되며, 다른 측면 상에서 제1 및 제2 로킹 부재(840, 860), 제1 및 제2 디스크(900, 902)와 제1 플레이트 부재(760) 사이에 위치된다. 가이드 플레이트(790)는 제1 플레이트 부재(76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가이드 플레이트(790)를 고정시키기 위한 노치(792)를 포함하며,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이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제1 디스크(900) 및 제2 디스크(902)가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 구멍(794)을 포함한다.
도 24 내지 도 26과 관련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의 조립 공정이 보다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우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조립체(715)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조립된다. 다음, 도 2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라켓(725) 및 하부 브라켓(735)이 서브 조립체(715)에 조립되고, 고정구(fixturing;도시되지 않음)가 구멍(1001, 1002, 1003, 1004)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고정은 고정 툴(fixturing tool)을 이용하여 수행되고, 고정 툴은, 하나 이상의 구멍(1001, 1002, 1003, 1004)에 끼워지며 툴(예를 들어 브로칭 툴, 레이저 용접기 등)에 대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를 위치시키는 핀 또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다양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다른 형태의 고정 툴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상부 브라켓(725)은 톱니형 플레이트(740)를 통해 서브 조립체(715)에 레이저 용접되고, 하부 브라켓(735)은 기저부 플레이트(760)를 통해 서브 조립체(715)에 레이저 용접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대체로 직선 형태의 단일 레이저 용접이 상부 브라켓을 톱니형 플레이트에 용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C"형 용접, 원형 또는 부분 원형 용접 등의 다른 적합한 레이저 용접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6에서 "C"형 용접이 직선 용접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형상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용접은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 절한 형상(예를 들어, 직선 용접, "C"형 용접, 원형 용접, 또는 이러한 형상의 조합 등)을 취할 수 있다.
다음, 부싱(700)의 구멍은 부싱 구멍에 내부 키 형상(inner keyed contour)을 제공하도록 브로치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700)은 초기에 대체로 원형 구멍을 갖는다. 상부 브라켓(725) 및 하부 브라켓(735)을 레이저 용접한 후에,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은 브로칭 툴로 이동되며, 여기서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은 구멍(1002, 1003, 1004)에 고정되고, 부싱(700)의 구멍(1001)은 도 24에 도시된 부싱(700)의 키 형상을 형성하도록 브로치된다. 조립 이후에 고정된 위치에서 부싱(700)의 구멍을 브로칭을 하는 것은, 예컨데 미리 성형된 키형 구멍을 구비한 전형적인 부싱을 사용하는 것보다 뛰어난 장점을 제공한다. 부싱(700)의 키형 구멍은 좌석(11)의 폭을 이동하는 튜브[예를 들어, "크로스 토크 튜브(cross-talk tube)";도시되지 않음]와 결합하며, 좌석(11)의 건너편에서 대응하는 대향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과 결합한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구멍(1002, 1003, 1004)에 대해 브로칭 툴을 고정시키는 것은, 단일 좌석 조립체에 사용되는 대향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정확한 동기화를 허용한다.
(조립 이후 브로칭 공정을 이용하여 만들어지기 보다는) 전형적인 부싱의 미리 성형된 키형 부분을 사용하면, 가공 및 조립 공정에서의 공차로 인해 대향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 크로스 토크 튜브에 대해 오정렬 될 수 있으며, 좌석 조립체가 부적절하게 작동할 수 있다(예를 들어, 크로스 토크 튜브에 대한 대향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오정렬로 인해, 대응하는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 체결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해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미리 성형된 키형 부분을 구비한 부싱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립 후에 고정된 위치에서 부싱(700)의 구멍을 브로칭을 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치차(tooth)가 "빠진" 복수의 치차를 구비한 키형 부분과 같은) 독특한 키형 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특수한 툴을 제공할 필요를 회피하고, 크로스 토크 튜브를 통한 대향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적절한 정렬을 가능케 한다.
부싱(700)의 구멍을 브로칭한 후에, 복귀 스프링(712)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며,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003, 1004;도 24에 도시됨)에서 고정구를 사용하여 등받이 프레임 측면 부재(985)에 레이저 용접된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710)은 기저부 플레이트(760)를 통해 등받이 프레임 측면 부재(985)에 레이저 용접된다. 도 26의 A에 도시된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 요소는 4개의 개별 위치에 레이저 용접된다. 다양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레이저 용접이 다양한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등받이 프레임 측면 부재(985)는 크로스 부재(995)에 용접된다. 그런 다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단계가 좌석 조립체의 대향부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요소를 레이저 용접하는 것은 이용 가능한 다른 체결 수단보다 뛰어난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은 전형적인 용접 공정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용접 공정의 관련 열에 노출됨으로 인해 제품에 발생하는 뒤틀림이 보다 적으며,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및/또는 좌석 조립체의 다른 구성 요소에 전달되는 열이 보다 적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것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멍(1001, 1002, 1003, 1004)이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구성 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횟수로 사용될지라도, 다른 고정 지점 또는 고정 지점의 조합 및/또는 배치가 다양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요소의 구성 및 배열은 단지 도시적인 것일 뿐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본 발명에 대한 단지 몇가지의 실시예만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본 명세서를 검토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요지의 신규한 사상 및 장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많은 수정(예를 들어, 다양한 요소의 크기, 치수, 구조, 형상 및 비율의 변경, 파라미터 값, 하드웨어 및 부속 장치의 장착 배열, 재료의 사용, 색상 및 배향 등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요소가 복수의 부품 또는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요소의 위치가 뒤바뀌거나 변경될 수 있고, 개별 요소나 위치의 성질 또는 개수가 바뀌거나 변경될 수 있다.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요소 및/또는 조립체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색상, 조직, 및 조합으로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치환, 수정, 변경 및 생략이 바람직한 실시예 및 기타 예시적인 실시예의 디자인, 작동 구성 및 배열에 이뤄질 수 있다.
임의의 공정 또는 방법 단계의 순서 또는 차례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변경되거나 재정리될 수 있다. 청구항에서, 임의의 기능식 청구항은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 구조적 등가물 및 등가의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치환, 수정, 변경 및 생략이 바람직한 실시예 및 기타 예시적인 실시예의 디자인, 작동 구성 및 배열에 이뤄질 수 있다.

Claims (25)

  1. 제2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와,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와 캠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캠 부재를 작동시키면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와 결합 또는 해제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체결 및 해제하고,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이동(회전) 한계를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하는 복수의 멈춤 부재를 구비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고정시키며, 상기 캠 부재를 체결 위치를 향해 편의시키는 캠 편의 부재 및 작동 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편의 부재를 둘러싸기 위해 상기 작동 부재에 연결되는 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편의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캠 부재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코일 스프링인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편의 부재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편의 부재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캠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캠 가이드 부재는 상기 캠 편의 부재가 이동할 때 상기 디스크 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캠면을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하나에 대해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서로에 대해 편의시키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복귀 스프링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고, 캡 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복귀 스프링 부재의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캡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0. 기저부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이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기저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있는 리세스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롤링 부재와,
    제1 캠면 및 제2 캠면을 갖는 제1 단부를 구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캠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기저부 플레이트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기저부 플레이트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로킹 아암 부재는, 드웰부와 상승부를 갖는 캠 경계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캠면 및 상기 제2 캠면은 상기 하나 이상의 롤링 부재 및 상기 캠 경계면과 결부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는 상기 캠 부재를 작동시킴으로써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롤링 부재는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롤링 부재는 실린더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형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리세스 내에 압박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롤링 부재는 구형 부재이며,
    상기 구형 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기저부 플레이트 사이에 압박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로킹 아암 부재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기저부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해 비선형의 아치형 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5. 제10항에 있어서,
    한 쌍의 롤링 부재 및 한 쌍의 로킹 아암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6. 제2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 부재의 슬롯 내에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폴과,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가이드에 있는 슬롯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며,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을 보다 쉽게 작동시키기 위해 캠과 상기 하나 이상의 폴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위치되는 디스크와,
    상기 캠에 연결되며, 작동 부재를 수용하는 중심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내부 부재에 연결되는 캠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폴은 캠을 작동시킴으로써 체결 위치 내로 이동되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내부 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내부 링 부재의 일부분과 결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멈춤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의 이동 한계를 형성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중 하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폴과 결합하는 톱니형 부분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20. 제2 이동 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의 위치를 서로에 대해 체결하도록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로킹 아암 부재와,
    상기 한 쌍의 로킹 아암 부재를 체결 위치 내로 이동시키고 체결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이동시키는 캠 부재와,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를 연결하며,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 형성면을 구비하는 중심 부싱 부재와,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는 캠 복귀 부재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를 제1 방향으로 편의시키는 리클라이너 복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 복귀 부재는 상기 제1 이동 부재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리클라이너 복귀 부재의 제1 단부가 상기 제1 이동 부재를 편의시켜 상기 제2 이동 부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코일 스프링인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복귀 부재는, 상기 캠 부재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이동 부재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코일 스프링 인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부싱 부재는 통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내부 키 형상 통로(inner keyed contour passage)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프레임 부재에 레이저 용접되며,
    상기 레이저 용접은 "C"자형 또는 직선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C"자형으로 구성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KR1020097009639A 2006-10-12 2007-10-11 회전 리클라이너 장치 KR101478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114806P 2006-10-12 2006-10-12
US60/851,148 2006-10-12
US87876507P 2007-01-05 2007-01-05
US60/878,765 2007-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204A true KR20090067204A (ko) 2009-06-24
KR101478371B1 KR101478371B1 (ko) 2014-12-31

Family

ID=3914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639A KR101478371B1 (ko) 2006-10-12 2007-10-11 회전 리클라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02497B2 (ko)
EP (1) EP2077954B1 (ko)
JP (1) JP5362576B2 (ko)
KR (1) KR101478371B1 (ko)
CN (1) CN101553381B (ko)
BR (1) BRPI0719191A2 (ko)
CA (1) CA2666254A1 (ko)
MX (1) MX2009003712A (ko)
RU (1) RU2486075C2 (ko)
WO (1) WO2008046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11966C (en) 2008-01-17 2016-05-17 Fisher Dynamics Corporation Round recliner mechanism
WO2010048383A1 (en) * 2008-10-22 2010-04-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cliner pawl member
US9346376B2 (en) * 2010-01-29 2016-05-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cliner mechanism
WO2012103443A1 (en) * 2011-01-28 2012-08-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anual lever recliner evolution
JP5701644B2 (ja) * 2011-02-24 2015-04-1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04185570B (zh) 2011-10-06 2016-12-07 李尔公司 具有容易进入型释放的座椅斜倾装置及其制造方法
US8876212B2 (en) * 2011-11-07 2014-11-0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2004695A1 (de) * 2012-03-12 2013-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riegelungseinrichtung, Verstellvorrichtung, Kraftfahrzeugsitz,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hierzu
CN103538501B (zh) * 2012-07-17 2015-09-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调角器总成
JP5960561B2 (ja) * 2012-09-18 2016-08-0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4058245A (ja) * 2012-09-18 2014-04-03 Shiroki Corp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969873B2 (ja) * 2012-09-27 2016-08-17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02013216704A1 (de) * 2013-02-07 2014-08-07 Keiper Gmbh & Co. Kg Lageranordnung für eine Rücksitzanordnung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 deren Montage
US9296315B2 (en) 2013-02-26 2016-03-29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Recliner mechanism with backdriving feature
JP2015030318A (ja) * 2013-07-31 2015-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02014200753A1 (de) * 2014-01-17 2015-08-06 Lear Corporation Sitzanordnung
JP6384061B2 (ja) 2014-02-24 2018-09-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15134587A1 (en) * 2014-03-07 2015-09-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recliner assembly
DE102014204401B4 (de) * 2014-03-11 2016-02-11 Kintec-Solution Gmbh Drehbares Sitzmöbelstück
US9902297B2 (en) 2014-06-11 2018-02-27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Latch mechanism with locking feature
JP6488746B2 (ja) * 2015-02-10 2019-03-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690041B1 (ko) 2015-09-25 2016-12-2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CN105615368B (zh) * 2016-03-23 2018-12-21 惠阳维信纺织工业有限公司 靠背调节机构及防夹手靠背可调的坐具
CN107444216A (zh) * 2016-05-31 2017-12-0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座椅的肩部调节机构以及座椅
US10611273B2 (en) * 2017-10-09 2020-04-07 Faurecia Automotive Seating, Llc Recliner system for a vehicle seat
DE202018100651U1 (de) * 2018-02-07 2019-05-09 Rollax Gmbh & Co. Kg Arretiervorrichtung für ein drehbares Bauteil
US10994644B2 (en) 2019-04-10 2021-05-04 B/E Aerospace, Inc. Lock mechanism for rotary component control
US11077948B2 (en) 2019-04-10 2021-08-03 B/E Aerospace, Inc. Rotary backrest recline mechanism
CN112009337B (zh) * 2020-08-13 2022-03-25 麦格纳座椅研发(重庆)有限公司 一种可调节前后角度的头枕骨架总成
EP4019326A1 (en) * 2020-12-28 2022-06-29 B/E Aerospace, Inc. Rotary reclin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28022C3 (de) * 1973-06-01 1981-08-13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Gelenkbeschlag für Sitze insbesondere Fahrzeugsitze
FR2722150B1 (fr) * 1994-07-05 1996-09-27 Cesa Articulation a memoire de position de reglage pour siege
JPH08214978A (ja) * 1995-02-15 1996-08-27 Araco Corp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080139B2 (ja) * 1995-11-08 2000-08-21 池田物産株式会社 内歯式リクライニングデバイス
DK172995B1 (da) * 1997-05-05 1999-11-01 Martin Vestergaard Blandingsapparat til udsprøjtning af en væskeblanding
JP3774064B2 (ja) * 1997-09-26 2006-05-10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948086B2 (ja) * 1997-12-02 2007-07-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265024B2 (ja) * 1998-06-22 2009-05-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103178B2 (ja) * 1998-06-22 2008-06-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804431B2 (ja) * 2000-10-13 2006-08-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715558B2 (ja) * 2001-08-13 2005-11-09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20050146187A1 (en) * 2003-12-18 2005-07-07 Volker Otto J. Manual seat back recliner mechanism
KR100458316B1 (ko) * 2004-03-18 2004-11-26 (주)엠알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DE102004015234B4 (de) * 2004-03-26 2011-01-13 Faurecia Autositze Gmbh Neigungsverstellbeschlag mit Freischwenkeinrichtung für die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371B1 (ko) 2014-12-31
CN101553381B (zh) 2013-08-21
JP2010506623A (ja) 2010-03-04
CA2666254A1 (en) 2008-04-17
WO2008046004A1 (en) 2008-04-17
JP5362576B2 (ja) 2013-12-11
EP2077954B1 (en) 2015-02-25
EP2077954A1 (en) 2009-07-15
RU2009115965A (ru) 2010-11-20
US8602497B2 (en) 2013-12-10
BRPI0719191A2 (pt) 2014-02-04
RU2486075C2 (ru) 2013-06-27
US20110181088A1 (en) 2011-07-28
MX2009003712A (es) 2009-05-20
CN101553381A (zh)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7204A (ko) 회전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JP2010506623A5 (ko)
US6039400A (en) Seat reclining device
KR101342224B1 (ko) 편의된 동기화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조립체
US7285067B2 (en) Rotary recliner
KR101205598B1 (ko) 기억 장치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CA2832350C (en) Disc recliner with internal leaf springs
US7416255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EP1806072B1 (en) Reclining device
KR100458859B1 (ko) 기울임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2153751B1 (en) Connection device
US7150502B2 (en) Reclining seat
US6305748B1 (en) Seat recliner
US9630529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JP5632019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
US8496098B1 (en) Manual seat height adjuster mechanism
US20110254338A1 (en) Multi-pawl round-recliner mechanism
WO2012029369A1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5504818A (ja) 車両シート用継手及び車両シート
JP382237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60083161A (ko) 시트용 리클라이너
JP2001149161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1087073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