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315A - 세차기 - Google Patents

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315A
KR20090053315A KR1020070120112A KR20070120112A KR20090053315A KR 20090053315 A KR20090053315 A KR 20090053315A KR 1020070120112 A KR1020070120112 A KR 1020070120112A KR 20070120112 A KR20070120112 A KR 20070120112A KR 20090053315 A KR20090053315 A KR 2009005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car wash
nozzle
nozzles
absorb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쓰야 야마모토
마사노부 마쓰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to KR102007012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3315A/ko
Publication of KR2009005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건조는 충분히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소음을 낮출 수 있는 세차기를 제공한다.
세정수단에 의해 피세정 차량(5)의 세정을 실시하고, 건조수단에 의해 피세정 차량(5)의 건조를 실시하는 세차기이다. 건조수단을, 노즐(61,68)과 노즐(61,68)에 접속한 블로어 장치(31)로 구성하였다. 노즐(61,68)에는, 송풍로(61D)를 형성하는 벽체(61B)에 개구부(62)를 형성하였다. 개구부(62)를 덮을 수 있도록 벽체(61B)의 바깥면측에 흡음재(63)를 배열설치하고, 흡음재(63)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는 커버체(64)를 벽체(61B)에 고정하였다. 노즐(61,68)에 있어서의 송풍로(61D)의 단면 치수를 전혀 바꾸지 않고도, 바람을 긴 슬릿형상의 분출구(61a,68a)에 대해서 균일상태로 분배할 수 있다. 토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63)에 의해, 노즐(61,68)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절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할 수 있고, 이로써 세차기의 소음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세차기{CAR WASH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급유소에 설치되어, 세차에 사용되는 세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차기에 있어서의 소음의 대책으로서는, 블로어(Blower)의 인버터를 추가하여 모터의 회전수를 낮추는 것에 의해 블로어의 풍속을 떨어뜨리거나, 또는 블로어 부착 프레임내의 블로어 둘레에 흡음재를 부착하고 있었다. 이 중, 전자(前者)의 인버터의 추가에 의하면, 소음은 낮아지지만, 풍속도 내려가 건조가 나빠지고, 또한 추가하는 인버터는 매우 고가의 것이었다. 또한, 후자의 흡음재의 부착에 의하면, 블로어 부착 프레임내는 밀폐성도 없고, 케이블, 호스류도 통과하고 있어, 흡음 효과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흡음재를 부착하는 형식의 세차기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제공되고 있다. 즉, 덕트를 개재하여 블로어에 연이어 통하는 노즐체의, 토출 공기를 분출하는 분구(噴口)와 대향하는 안쪽 단면에, 토출 공기의 노즐체내에의 도입구가 개구되고, 이 도입구를 막지 않도록 지지판이 설치되는 동시에, 노즐체의 상벽과 지지판의 사이에 흡음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래 구성에 의하면, 블로어로부터 의 토출 공기를, 도입구를 통하여 노즐체내로 공급하고, 그리고 토출 공기를 분구로부터 분출시킨다. 그리고 토출 공기가 노즐체내를 통과하고자 할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체에 의해서 흡수함으로써, 소음 저감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출원 소 63-29045호(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1-132460호)의 마이크로필름(제 7-8페이지, 제1-3도)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성에 의하면, 흡음체가 노즐체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이 노즐체의 내부 치수(송풍로의 단면 치수)가 변화하게 되고, 이로써 도입구로부터의 토출 공기를, 좌우로 긴 슬릿형상의 분구에 대해서 균일한 상태로 분배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상부 노즐체에 있어서는, 토출 공기의 흐름 방향에 대해서 반대측에 흡음체가 위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흡음 효과, 즉, 소음의 저하에는 효과가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건조는 충분히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면서, 소음을 낮출 수 있는 세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세차기는, 피세정 차량과 세차기 본체를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면서, 세정수단에 의해 상기 피세정 차량의 세정을 실시하는 동시에, 건조수단에 의해 피세정 차량의 건조를 실시하는 세차기로서, 상기 건조수단은, 노즐과, 이 노즐에 접속된 블로어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은 송풍로를 형성하는 벽체를 가지며, 이 벽체의 내면에 바깥쪽을 향하여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내에 흡음재를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소기(所期)의 건조 작업은, 풍속을 떨어 뜨리지 않고, 충분히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로를 형성하는 벽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내에 흡음재를 배열설치함으로써, 노즐에 있어서의 송풍로의 단면 치수를 전혀 바꾸지 않고도, 바람을 긴 슬릿형상의 분출구에 대해서 균일한 상태로 분배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에 의해, 노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절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세차기는,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오목부는,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는 커버체로 형성되고, 이 오목부내에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흡음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커버체의 탈착 조작에 의해, 흡음재의 배열설치나 교체(보수) 등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세차기는,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건조수단으로서, 톱 노즐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노즐과, 이들 노즐에 접속된 블로어 장치가 설치되고, 적어도 톱 노즐에 흡음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톱 노즐에서 발생한 소음을, 흡음재에 의해 적절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세차기는, 상기한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톱 노즐은, 천장벽체와, 한 쌍의 측벽체에 의해 단면이 역삼각형상으 로 형성되는 동시에, 한 쌍의 측벽체의 하단 사이에 분출구가 형성되어, 이 한 쌍의 측벽체 각각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각 오목부내에, 측벽체의 내면과 거의 면일치가 되도록 흡음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천장벽체와 한 쌍의 측벽체에 의해 형성한 톱 노즐에 있어서의 송풍로의 단면 치수를 전혀 바꾸지 않고도, 바람을 좌우로 긴 슬릿형상의 분출구에 대해서 균일한 상태로 분배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바람을 한 쌍의 측벽체에 의해 좁히는 형상으로 안내하면서,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에 의해, 톱 노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합하게 흡음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소기의 건조 작업은, 풍속을 떨어뜨리지 않고, 충분히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로를 형성하는 벽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내에 흡음재를 배열설치함으로써, 노즐에 있어서의 송풍로의 단면 치수를 완전히 바꾸지 않고도, 바람을 긴 슬릿형상의 분출구에 대해서 균일한 상태로 분배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에 의해, 노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절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세차기의 소음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커버체의 탈착 조작에 의해, 흡음재의 배열설치나 교체(보수)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적어도 톱 노즐에서 발생한 소음을, 흡음재에 의해 적절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세차기의 소음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천장벽체와 한 쌍의 측벽체에 의해 형성한 톱 노즐에 있어서의 송풍로의 단면 치수를 전혀 바꾸지 않고도, 바람을 좌우로 긴 슬릿형상의 분출구에 대해서 균일한 상태로 분배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바람을 한 쌍의 측벽체에 의해 좁히는 형상으로 안내하면서,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에 의해, 톱 노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절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이동식의 세차기에 채택한 상태로서, 도 1∼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도 4,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차기 본체(10)는, 좌우 한 쌍의 측틀부(사이드 프레임)(11)와, 이들 측틀부(11)의 상부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윗틀부(톱 프레임)(12)에 의해 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차기 본체(10)는, 측틀부(11)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차륜(13)을 개재하여 바닥측의 레일(1)상에 얹어 놓여져 있으며, 주행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전후방향 A의 일정 경로상에서 왕복 주행된다.
세차기 본체(10)측에는, 피세정 차량(보통 승용차 등)(5)의 세정수단의 일례로서, 제1 세정수 노즐(14)과, 제1 세제 노즐(15)과, 발수 코트제 노즐(16)과, 제2 세정수 노즐(17)과, 제2 세제 노즐(18)과, 왁스 노즐(19)이, 앞부분에서 뒷부분에 걸쳐, 이 순서대로 배열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노즐(14∼19)은, 예를 들어 아치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차기 본체(10)측에는, 피세정 차량(5)의 브러싱 수단의 일례로서, 사이드 브러시(20)나 로커 브러시(21)나 톱 브러시(22)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차기 본체(10)측에는, 승강이동이 자유롭도록 피세정 차량(5)의 윗면을 건조시키는 톱 노즐(61)과, 좌우 방향으로 가로이동(접근 이간이동)이 자유롭도록 피세정 차량(5)의 양 측면을 건조시키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노즐(68)이 설치되고, 그리고 세차기 본체(10)의 윗면상, 즉 측틀부(11)의 윗면(외판면의 일례)(11a)상에는, 양 노즐(61,68)에 가요성의 덕트 호스(67,69)를 개재하여 접속된 좌우 한 쌍(복수)의 블로어 장치(31)가 설치되고, 이들 노즐(61,68)이나 블로어 장치(31) 등에 의해 피세정 차량(5)의 건조수단의 일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틀부(11)는, 전판(11A), 외측판(11B), 후판(11C), 천장판(11D), 부분적인 내측판(11E) 등에 의해, 상하로 긴 상자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틀부(11)내에는, 전위칸막이(11F)나 후위칸막이(11G) 등에 의해서, 사각통 모양의 공동부(11S)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공동부(11S)는 측틀부(11)의 하부에서 개방되어 있다. 한편, 천장판(11D)의 윗면에 의해서 측틀부(11)의 윗면(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동부(11S)의 상부는, 전판(11A)과 외측판(11B)과 내측판(11E)의 내면에 각각 흡음재(23)가 붙여진 상태로 시공되는 것에 의해, 흡음 존(Zone, 11Z)에 형성되어 있다.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톱 노즐(61)은, 기다란 판형상의 천장벽체(61A)와, 기다란 판형상의 한 쌍의 측벽체(61B)에 의해 단면이 역삼각형상인 덕트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양단은 단벽체(61C)에 의해 폐색되고, 그리고 한 쌍의 측벽체(61B)의 하단 사이에 하향의 분출구(61a)가 형성되는 동시에, 각 벽체(61A,61B,61C)에 의해서 하향의 송풍로(6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블로어 장치(31)로부터의 덕트 호스(67)의 종단 부분이, 천장벽체(61A)에 대해서 좌우로 나눠진 상태로 연결되는 동시에, 송풍로(61D)의 상부로 연이어 통하고 있다.
상기 송풍로(61D)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체(벽체의 일례)(61B)의 내면(61b)에는 바깥쪽을 향한 오목부(65)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65)내에 흡음재(63)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측벽체(61B)에는, 각각 장방형상의 개구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구부(62)는, 한쪽(앞쪽)의 측벽체(61B)에서는 길게 1개소에, 또 다른쪽의 측벽체(61B)에서는 분단되어 2개소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주변 구조에 따라 단수 개소나 복수 개소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측벽체(61B)에 대해서 가능한 한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개구부(62)를 덮기 위해서, 측벽체(61B)의 바깥면측에 흡음재(63)가 배열설치되고, 그리고 흡음재(63)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는 커버체(64)가 측벽체(61B)에 고정되어 있다. 즉, 흡음재(63)는 띠모양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체(64)는, 한 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그 내부에 의해서 상기 오목부(65)가 형성되고 그 개방부를 통하여 오목부(65)내에 흡음재(63)가 벌집상태로 삽입됨으로써, 이 흡음재(63)를 바깥측으로부터 덮게 된다. 또한 박스형상의 커버체(64)는, 그 개방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로부터 바깥측에 직각형상으로서 플랜지부(64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64a)가 측벽체(61B)의 바깥면에 맞대어 복수의 연결구(나사체 등)(66)에 의해 탈착이 자유롭도록 연결됨으로써, 톱 노즐(61)의 각 오목부(65)내에, 측벽체(61B)의 내면(61b)과 거의 면일치가 되도록 흡음재(63)가 배열설치되게 된다.
한편, 하향의 분출구(61a)를 가진 톱 노즐(61)의 승강이동은, 세차기 본체(10)측에 설치된 승강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내향의 분출구(68a)를 가진 양 사이드 노즐(68)의 가로이동은, 세차기 본체(10)측에 설치된 가로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 사이드 노즐(68)도, 톱 노즐(61)측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하여, 흡음재(63)나 커버체(64) 등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도 2∼도 4, 도 6∼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블로어 장치(31)는 각각 흡음 박스(41)에 넣어지는 동시에, 흡음 박스(41)는 측틀부(11)의 윗면(11a)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블로어 장치(31)는, 프레임(32)과, 이 프레임(32)에 지지되는 하위의 모터(33)와, 이 모터(33)의 상향의 모터축(34)에 부착된 상위의 날개체(35)와, 이 날개체(35)를 둘러싸는 케이스(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스(36)는, 날개체(35)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저판부(36A)와, 날개체(35)의 측방을 둘러싸는 원호형상의 측판부(36B)와, 날개체(35)의 위쪽에 위치되는 상판부(36C)로 이루어지고, 원호형상의 소정 개소에는 토출구(36D)가 가로방향 덕트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판부(36C)의 중앙 부분에는 흡입구(36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32)에 대해서, 케이스(36)의 저판부(36A)가 위쪽으로부터 맞닿는 동시에, 모터(33)가 아래쪽으로부터 맞닿는 상태로, 이들(32,36A,33)은 복수의 연결구(볼트·너트 등)(3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고 있다. 또한 모터축(34)을 삽입통과시키기 위해서, 저판부(36A)의 중앙 부분에는 관통부(36F)가 형성되는 동시에, 프레임(32)에도 관통부(32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음 박스(41)는, 사각형 상자 모양이고 또한 아랫면이 개방된 바깥상자체(커버체)(42)와, 이 바깥상자체(42)의 내면에 붙여진 상태로 시공된 흡음재(43)와, 상기 바깥상자체(42)의 하단에 연결된 하위틀부(가대)(44)로 이루어지고, 이 하위틀부(44)는, 저판부의 주변을 단면 C형의 사각형 틀 모양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부의 중앙 부분에 블로어 장치(31)에 대한 흡기구(45)가 형성되고, 또한 바깥상자체(42)의 한 측벽에 블로어 장치(31)에 대한 배기구(4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기구(46)의 부분은 흡음재(43)가 결여되어 있다.
상기 하위틀부(44)는, 진동 흡수체(47)를 개재하여 천장판(11D){측틀부(11)}의 윗면(11a)상에 얹어 놓여지고, 이 상태에서 하위틀부(44)와 천장판(11D)이 복수의 연결구(볼트·너트 등)(48)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흡음 박스(41)는 측틀부(11)의 윗면(11a)상에 배치된다. 그 때에 흡기구(45)는, 측틀부(11)내에 형성된 공동부(11S)의 상부, 즉, 흡음 존(11Z)에, 천장판(11D)에 형성된 연통 구멍(11H)을 통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 흡음 박스(41)에 상기 블로어 장치(31)가 넣어지고, 그리고 바깥상자체(42)의 측벽 내면과 프레임(32)의 양단의 사이에 진동 흡수체(38)가 개재된 상태로, 바깥상자체(42)와 프레임(32)이 복수의 연결구(볼트·너트 등)(39)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블로어 장치(31)는 흡음 박스(41)측에 지지되고 있다. 그 때에 블로어 장치(31)의 지지 위치는, 모터(33)가 측틀부(11)내에 형성된 공동부(11S)를 향해서 위치되고, 그 하부가 흡기구(45)나 연통 구멍(11H)을 지나 공동부(11S)내에 위치되는 동시에, 토출구(36D)가 배기구(46)에 연이어 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32)의 양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흡음재(43)가 결여되어 있다.
상기 흡음 박스(41)의 배기구(46)는, 세차기 본체(10) 외부에 위치되는 흡음 배관(51)과, 그 시작단부분(67a,69a)이 측틀부(11)내에 위치되는 덕트 호스(67,69)를 개재하여 노즐(61,68)에 접속되고 있다. 즉 흡음 배관(51)은, 단면이 사각형상이고 또한, 측면에서 보아 역L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외관체(52)와, 이 외관체(52)의 내면에 붙여진 상태로 시공된 흡음재(53)와, 외관체(52)의 가로방향의 시작단부분에 연결된 사각형상의 연결용 링체(54)와, 외관체(52)의 하향의 종단 부분에 연결된 사각형상의 연결용 판체(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용 링체(54)를 바깥상자체(42)의 한측벽에 맞대어 연결함으로써, 흡음 배관(51)의 시작단부분이 배기구(46)에 연이어 통하고, 또한 연결용 링체(54)를 측틀부(11)의 윗면(11a)측에 맞대어 연결함으로써로, 흡음 배관(51)은 측틀부(11)측에 지지된다.
그리고, 종단이 톱 노즐(61)에 접속된 덕트 호스(67)의 시작단부분(67a)과, 종단이 사이드 노즐(68)에 접속된 덕트 호스(69)의 시작단부분(69a)은, 측틀부(11) 내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이 되어 평행형상으로 위치되어 있다. 또한 덕트 호스(67,69)의 평행형상의 시작단부분은, 천장판(11D)이나 연결용 링체(54)에 관통되어 흡음 배관(51)의 하향의 종단 부분에 접속되는 동시에, 천장판(11D)이나 연결용 링체(54)측에 연결 유지되고 있다.
상기 세차기 본체(10)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틀부(11)의 앞면에는 조작 패널(71)이 설치되고, 그리고 조작 패널(71)의 이면측에는, 각부의 동작을 담당하는 제어장치(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세차기 본체(10)내의 상부에는 차높이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흡음재(23,43,53,63)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폼 등이 채택되고, 또한 진동 흡수체(38,47)로서는, 예를 들어 진동 흡수 고무 등이 채택된다.
이하에, 상기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세차를 실시할 때에 있어서, 먼저 피세정 차량(5)을 정지시킨 상태로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조작 패널(71)을 조작하고, 이로써 희망하는 하나의 세차 코스(세정 조건)가 설정된다. 이 상태로 세차 스타트 스위치를 온 조작함으로써, 세차기 본체(10)를 전후방향 A로 왕복 주행시키면서, 회전에 의해 펼쳐진 각 브러시(20,21,22)의 접근 이간이동, 세정수 노즐(14,17)을 통한 물(세정수)의 공급, 세제 노즐(15,18)을 통한 희석한 세제의 공급, 발수 코트제 노즐(16)을 통한 희석한 발수 코트제의 공급, 왁스 노즐(19)을 통한 희석한 왁스의 공급, 및 각 노즐(61,68)로부터의 바람의 분출(내뿜기)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작동시키고, 이로써 피세정 차량(5)에 대한 소기의 기본적인 세정 공정과 건조 공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세차 공정을 수행할 때에, 차높이센서나 적절의 검출 수단에 의해 차높이나 차길이 등이 검출되어 제어장치(72) 등을 통하여, 상술한 각 작동부가 바람직하게 작동된다. 예를 들어, 도 3의 실선이나 가상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 노즐(61)의 승강이동은, 차높이센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장치(72)의 제어에 의해서 승강동수단을 정역구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또한 양 사이드 노즐(68)의 가로이동은, 차량 센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장치(72)의 제어에 의해서 가로이동 수단을 정역구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피세정 차량(5)의 윗면 형상을 따라서 톱 노즐(61)을 이동시키면서 분출구(61a)로부터 바람을 분출시키고, 또한 피세정 차량(5)의 측면을 따라서 양 사이드 노즐(68)을 접근시켜 분출구(68a)로부터 바람을 분출시키고, 이로써 낭비가 없는 바람직한 건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소기의 세차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때에 건조 작업은, 블로어 장치(31)의 모터(33)를 구동하여 날개체(35)를 회전시킴으로써, 측틀부(11)에 있어서의 하부의 공기를 공동부(11S)내에서 상승시켜, 흡음 존(11Z)으로부터 연통 구멍(11H), 흡기구(45)를 통과하여 흡음 박스(41)내로 끌어들이고, 그리고 흡입구(36E)를 통해 케이스(36)내에 흡입한 후, 토출구(36D)를 통해 흡음 배관(51)에 토출한다. 이에 따라 흡음 배관(51)내의 바람을, 평행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되어 있는 양 덕트 호스(67,69)의 시작단부분(67a,69a)에 균등한 상태로 분배 공급할 수 있고, 그리고 양 덕트 호스(67,69)를 통해 노즐(61,68)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의 흐름시에, 톱 노즐(61){사이드 노즐(68)}은, 송풍로(61D)를 형성하는 측벽체(61B)를 가지며, 이 측벽체(61B)의 내면(61b)에 바깥쪽을 향하여 오목부(65)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오목부내에 흡음재(63)를 배열설치함으로써, 톱 노즐(61){사이드 노즐(68)}에 있어서의 송풍로(61D)의 단면 치수를 전혀 바꾸지 않고도, 덕트 호스(67, 69)로부터의 바람을 좌우(상하)로 긴 슬릿형상의 분출구(61a)에 대해서 균일 상태로 분배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63)에 의해, 톱 노즐(61){사이드 노즐(68)}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절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써 세차기의 소음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오목부(65)를, 측벽체(61B)에 형성한 개구부(62)와, 개구부(62)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는 커버체(64)로 형성하고, 오목부(65)내에 개구부(62)를 덮을 수 있도록 흡음재(63)를 배열설치함으로써, 커버체(64)의 탈착 조작에 의해, 흡음재(63)의 배열설치나 교체(보수)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수단으로서 톱 노즐(61)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노즐(68)을 설치하고, 적어도 톱 노즐(61)에 흡음재(63)를 배열설치함으로써, 톱 노즐(61)에서 발생한 소음을, 흡음체에 의해 바람직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톱 노즐(61)을, 천장벽체(61A)와, 한 쌍의 측벽체(61B)에 의해 단면을 역삼각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한 쌍의 측벽체(61B)의 하단 사이에 분출구(61a)를 형성하고, 한 쌍의 측벽체(61B) 각각에 형성한 오목부(65)내에, 측벽체(61B)의 내면(61b)과 거의 면일치가 되도록 흡음재(63)를 배열설치함으로써, 천장벽체(61A) 와 측벽체(61B)에 의해 형성한 송풍로(61D)의 단면 치수를 전혀 바꾸지 않고도, 바람을 분출구(61a)에 대해서 균일 상태로 분배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바람을 한 쌍의 측벽체(61B)에 의해 좁히는 형상으로 안내하면서,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63)에 의해, 톱 노즐(61)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바람직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즉, 송풍로(61D)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체(벽체의 일례)(61B)는, 각각 바깥쪽을 향한 돌출부(61Bb)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61Bb)내에 의해서, 측벽체(61B)의 내면(61b)에 바깥쪽을 향한 오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65)내에 흡음재(63)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 2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톱 노즐(61)에 있어서의 송풍로(61D)의 단면 치수를 전혀 바꾸지 않고도, 덕트 호스(67)로부터의 바람을 좌우로 긴 슬릿형상의 분출구(61a)에 대해서 균일 상태로 분배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63)에 의해, 톱 노즐(61)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절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즉, 상술한 실시형태 1의 형식에 있어서, 송풍로(61D)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체(벽체의 일례)(61B)와, 커버체(64)와의 사이에 다공판(펀칭 메탈)(70)이 개 재되어 연결구(66)에 의해 탈착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 3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톱 노즐(61)에 있어서의 송풍로(61D)의 단면 치수를 전혀 바꾸지 않고도, 덕트 호스(67)로부터의 바람을 좌우로 긴 슬릿형상의 분출구(61a)에 대해서 균일상태로 분배할 수 있고, 또한 토출되는 바람의 흐름을 따라서 위치하고 있는 흡음재(63)에 의해, 톱 노즐(61)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다공판(70)을 통해 바람직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다공판(70)에 의해서 흡음재(63)의 보호와 정위치 고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 1∼3과 같이, 노즐(61,68)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바람직하게 흡음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할 수 있고, 세차기의 소음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효과는, 블로어 장치(31) 등이 세차기 본체(10)내에 배치된 형식에서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형태 1과 같이 블로어 장치(31) 등이 세차기 본체(10) 외부에 배치된 형식에 있어서는, 블로어 장치(31)측의 흡음 효과도 포함한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블로어 장치(31)를 흡음 박스(41)에 넣어, 흡음 박스(41)를 세차기 본체(10)의 윗면(11a)에 배치함으로써, 블로어 장치(3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소음을 흡음재(43)에 의해 흡음하여, 이 흡음 박스(41) 외부에의 유출에 의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 흡음 효과를, 노즐(61,68)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바람직하게 흡음하는 흡음 효과에 더함으로써, 세차기의 소음을 한층 내릴 수 있다.
그리고 흡음 박스(41)를, 진동 흡수체(47)를 개재하여 세차기 본체(10)의 윗 면(11a)상에 배치함으로써, 블로어 장치(3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진동 흡수체(47)에 의해 흡수하여, 이 진동이 세차기 본체(10)측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전판(11A), 외측판(11B), 후판(11C), 내측판(11E) 등의 진동에 의한 발생음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흡음 박스(41)와 블로어 장치(31)의 연결부에 진동 흡수체(38)를 개재함으로써, 블로어 장치(31)의 구동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진동 흡수체(38)에 의해 흡수하여, 이 진동이 흡음 박스(41)측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한 발생음을 보다 한층 방지할 수 있고, 이 발생음의 방지 효과를, 노즐(61,68)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합하게 흡음하는 흡음 효과에 더함으로써, 세차기의 소음을 한층 내릴 수 있다.
또한 블로어 장치(31)를, 모터(33)와, 모터축(34)에 부착한 날개체(35)와, 날개체(35)를 둘러싸는 케이스(36)로 구성하고, 모터(33)측을, 세차기 본체(10)에 형성한 공동부(11S)를 향해서 위치시킨 것에 의해서, 블로어 장치(31)를 넣은 흡음 박스(41)의 세차기 본체(10)의 윗면(11a)에 대한 배치를, 용이하게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흡음 박스(41)에, 블로어 장치(31)에 대한 흡기구(45)와 배기구(46)를 형성하고, 흡기구(45)를, 세차기 본체(10)에 형성한 공동부(11S)내에 개방하고, 배기구(46)를 세차기 본체(10) 외부에 위치하는 흡음 배관(51)과, 그 시작단부분(26a,29a)이 세차기 본체(10)내에 위치하는 덕트 호스(66,69)를 개재하여 노즐(61,68)에 접속함으로써, 흡음 배관(51)에 의해, 블로어 장치(31)의 토출구(36D)로부터 노즐(61,68)의 분출구(61a,68a)까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흡 음 배관(51)으로 흡음할 수 있고, 이 블로어음의 흡음 효과를, 노즐(61,68)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바람직하게 흡음하는 흡음 효과에 더함으로써, 세차기의 소음을 한층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세차기 본체(10)에 있어서의 공동부(11S)의 상부를 흡음 존(11Z)에 형성하고, 이 흡음 존(11Z)에 흡기구(45)를 개방한 것에 의해서, 소음이 커지는 흡기구(공기 취입구)(45)를 세차기 본체(10)내를 향하게 하고 있으므로, 블로어 장치(31)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세차기 본체(10)내에서 차음 및 흡음할 수 있는 동시에, 흡음 존(11Z)에 의해서 흡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 흡음 효과를, 노즐(61,68)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바람직하게 흡음하는 흡음 효과에 더함으로써, 세차기의 소음을 한층 낮출 수 있다.
또한, 흡음 박스(41)를 세차기 본체(10)의 윗면(11a)상에 배치하고, 흡음 배관(51)을 단면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향의 종단 부분에 대해서, 톱 노즐(61)용의 덕트 호스(67)와 사이드 노즐(68)용의 덕트 호스(69)의 상하 방향으로 한 시작단부분(67a,69a)을, 평행형상으로 접속한 것에 의해서, 흡입구(36E)를 통해 케이스(36)내에 흡입한 후, 토출구(36D)를 통해 흡음 배관(51)에 토출한 바람을, 양 덕트 호스(67,69)의 시작단부분(67a,69a)에 균등한 상태로 분배 공급할 수 있고, 그리고 양 덕트 호스(67,69)를 통해 노즐(61,68)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세차기 본체(10)만을 이동시킴으로써, 피세정 차량(5)과 세차기 본체(10)를 전후방향 A로 상대 이동시키면서, 세정수단에 의해 피세정 차량(5)의 세정을 실시하는 동시에, 건조수단에 의해 피세정 차량(5)의 건조 를 실시하는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세차기 본체를 고정 상태로 하여, 롤러 컨베이어(차량 이동 수단)를 이용하여 피세정 차량(5)을 전후, 또는 한쪽으로 이동시켜, 상대 이동하도록 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또한, 세차기 본체를, 세정수단을 구비한 앞부분 본체와 건조수단을 구비한 뒷부분 본체로 분리하여, 이들 앞부분 본체와 뒷부분 본체를 각 별도로 이동 가능하게 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건조수단으로서 톱 노즐(61)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노즐(68)과, 이들 노즐(61,68)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블로어 장치(31)로 이루어지는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톱 노즐(61)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블로어 장치를 설치하는 동시에, 양 사이드 노즐(68)에 접속된 각각 블로어 장치를 마련한, 합계 4개(복수)의 블로어 장치가 설치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블로어 장치(31)를 넣은 흡음 박스(41)가 측틀부(11)의 윗면(11a)상에 배치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블로어 장치(31)를 넣은 흡음 박스(41)가 측틀부(11)의 좌우 측면이나 전후면에 배치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흡음 박스(41)가, 진동 흡수체(47)를 개재하여 세차기 본체(10)의 윗면(11a)상에 배치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진동 흡수체(47)를 생략하고, 흡음 박스(41)가 세차기 본체(10)의 윗면(11a)상에 직접 배치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블로어 장치(31)로서, 모터(33)측이 세차기 본체(10)에 형성된 공동부(11S)를 향하여 위치되어 있는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 은 모터(33)측이 상향이나 외향으로서 위치되어 있는 블로어 장치(31)의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흡음 박스(41)의 배기구(46)가, 세차기 본체(10) 외부에 위치되는 흡음 배관(51)과, 덕트 호스(67,69)를 통하여 노즐(61,68)에 접속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흡음 배관(51)이 생략되어, 배기구(46)에 덕트 호스(67,69)가 직접 상태로 접속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세차기 본체(10)에 있어서의 공동부(11S)의 상부가 흡음 존(11Z)에 형성된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흡음 존(11Z)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 1에서는, 흡음 배관(51)의 하향의 종단 부분에 대해서, 톱 노즐(61)용의 덕트 호스(67)와 사이드 노즐(68)용의 덕트 호스(69)의 상하 방향이 된 시작단부분(67a,69a)이, 평행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는 형식이 나타나 있지만, 이것은 시작단부분(67a,69a)이, 각각 임의인 방향에서 접속되어 있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고, 세차기에 있어서의 톱 노즐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세차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세차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세차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세차기에 있어서의 톱 노즐부분이고, (a)는 도 1의 X 화살표에서 본 도면, (b)는 Y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세차기에 있어서의 블로어 장치 부분의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세차기에 있어서의 블로어 장치 부분의 일부 절결 배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세차기에 있어서의 블로어 장치 부분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고, 세차기에 있어서의 톱 노즐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내고, 세차기에 있어서의 톱 노즐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5: 피세정 차량 10: 세차기 본체
11: 측틀부 11a: 윗면(외판면)
11S: 공동부 11Z: 흡음 존
12: 윗틀부 23: 흡음재
31: 블로어 장치 33: 모터
34: 모터축 35: 날개체
36: 케이스 36D: 토출구
36E: 흡입구 38: 진동 흡수체
41: 흡음 박스 42: 바깥상자체
43: 흡음재 44: 하위틀부
45: 흡기구 46: 배기구
47: 진동 흡수체 51: 흡음 배관
52: 외관체 53: 흡음재
61: 톱 노즐(노즐) 61a: 하향의 분출구
61A: 천장벽체 61B: 측벽체(벽체)
61b: 내면 61Bb: 돌출부
61C: 단벽체 61D: 송풍로
62: 개구부 63: 흡음재
64: 커버체 65: 오목부
67: 덕트 호스 67a: 시작단부분
68: 사이드 노즐(노즐) 68a: 내향의 분출구
69: 덕트 호스 69a: 시작단부분
70: 다공판 71: 조작 패널
A: 전후방향

Claims (4)

  1. 피세정 차량과 세차기 본체를 전후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면서, 세정수단에 의해 상기피세정 차량의 세정을 실시하는 동시에, 건조수단에 의해 피세정 차량의 건조를 실시하는 세차기로서, 상기 건조수단은, 노즐과, 이 노즐에 접속된 블로어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은 송풍로를 형성하는 벽체를 가지며, 이 벽체의 내면에 바깥쪽을 향하여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내에 흡음재를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목부는, 벽체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바깥측으로부터 덮는 커버체로 형성되고, 이 오목부내에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흡음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건조수단으로서, 톱 노즐과,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노즐과, 이들 노즐에 접속된 블로어 장치가 설치되고, 적어도 톱 노즐에 흡음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톱 노즐은, 천장벽체와, 한 쌍의 측벽체에 의해 단면이 역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한 쌍의 측벽체의 하단 사이에 분출구가 형성되고, 이 한 쌍의 측벽체 각각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각 오목부내에, 측벽체의 내면 과 거의 면일치가 되도록 흡음재가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KR1020070120112A 2007-11-23 2007-11-23 세차기 KR20090053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112A KR20090053315A (ko) 2007-11-23 2007-11-23 세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112A KR20090053315A (ko) 2007-11-23 2007-11-23 세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315A true KR20090053315A (ko) 2009-05-27

Family

ID=4086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112A KR20090053315A (ko) 2007-11-23 2007-11-23 세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3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8952A (ja) * 2018-04-23 2019-10-31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88952A (ja) * 2018-04-23 2019-10-31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583B1 (ko) 수밀부스 송풍 건조장치
US20200079328A1 (en) Dry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n automated vehicle cleaning system
KR101234966B1 (ko) 세차기
KR20090053315A (ko) 세차기
CN206749750U (zh) 一种车辆及其车辆顶棚
JP4752724B2 (ja) 洗車機
KR20180130754A (ko) 방음벽 청소장치
JP4752711B2 (ja) 洗車機
KR101252876B1 (ko) 세차기
JP3669216B2 (ja) 洗車機の乾燥装置
JP6395552B2 (ja) 噴流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車体洗浄装置
JP4899815B2 (ja) 洗車機による洗車方法および洗車機
JPH0592022U (ja) 移動式洗車機
JP4743088B2 (ja) 洗車機
JP4804245B2 (ja) 洗車機
JP2008149921A (ja) 洗車設備
KR100492457B1 (ko) 방음벽 청소장치
CN218610734U (zh) 一种压铸零件自动清洗装置
CN112588681B (zh) 清洗设备
JP4835419B2 (ja) 洗車機における洗車方法および洗車機
JP4758258B2 (ja) 洗車機のトップノズル
JP4752734B2 (ja) 洗車機
JP2008155721A (ja) 洗車機
JPS63275455A (ja) 門型洗車機における乾燥方法
JP5809894B2 (ja) 洗車機の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