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599A -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599A
KR20090043599A KR1020097006214A KR20097006214A KR20090043599A KR 20090043599 A KR20090043599 A KR 20090043599A KR 1020097006214 A KR1020097006214 A KR 1020097006214A KR 20097006214 A KR20097006214 A KR 20097006214A KR 20090043599 A KR20090043599 A KR 2009004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pply box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116B1 (ko
Inventor
마사아키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319Use data groups as inventory control value, adapt inventory need to new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376MFL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26Real time database management for production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1Fro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till monitoring
    • G05B2219/31431Identify and classify excess raw material; re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제조 라인의 부품을 관리하기 위해, 부품 관리 시스템의 감산부가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의 부품 구성 정보 및 제조 오더 DB의 제조 오더에 기초하여, 제조가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 사용수 및 부품 공급 상자를 특정하고, 특정한 부품 공급 상자에 대응하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부품수로부터 사용수를 감산하여 부품 공급 상자 DB를 갱신한다. 또한, 트랙킹부가 UHF대 RFID 태그의 정보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상자의 라인으로의 입퇴장을 검출하고, 상태 반영부가, 부품 공급 상자의 이동을 부품 공급 상자 DB에 반영시킨다. 또한, 추출부가 부품 공급 상자 DB의 갱신 로그를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에 기록하고, 운용 감시부가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의 갱신 로그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페이스의 과부족, 부품 공급 상자의 라인에서의 체류, 부품수의 감시 등을 행한다. 또한, 편집부가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의 갱신 로그에 기초하여 창고 관리 시스템에 통지한다.

Description

부품 관리 프로그램,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PARTS MANAGEMENT PROGRAM, PART MANAGEMENT METHOD, AND PARTS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류 분야 등에서, RFID 태그를 이용한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부품 등의 관리품을 수납하는 관리 상자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창고의 재고 관리 등을 행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31882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부품 재고를 관리하는 경우에, 부품 창고에 대해서는 RFID 태그를 이용한 재고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지만, 부품 재고를 정확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창고 이외에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조 라인 등에서는, RFID 태그의 비용 및 부품에의 부착 비용으로부터 봤을 때, 개개의 부품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관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어느 제조 라인 또는 제조 라인의 어느 공정에 어느 정도 부품 재고가 있는지를 특정하는 것이 어렵고, 재고 조사시 등에, 부품 재고의 조사에 방대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이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판독하는 사용 부품 정보 판독 단계와,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사용 부품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상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부품수 갱신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이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판독하고,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판독하며,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부품 수용물마다의 부품의 사용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물이 제조 라인으로부터 회수되었을 때에 이 부품 수용물에 첨부된 RFID 태그로부터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출측(出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와, 상기 출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 수용물 정보의 부품수가 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부품 잔여수 판정 단계와, 상기 부품 잔여수 판정 단계에 의해 부품수가 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상자 회수시 경보 출력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부품 수용물이 제조 라인으로부터 회수되었을 때에 부품 수용물에 첨부된 RFID 태그로부터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 수용물 정보의 부품수가 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부품수가 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관리자는 부품이 적절히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물 정보는, 상기 사용수를 마지막으로 뺀 시점을 나타내는 최종 감산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는, 상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 하고 현재 시점을 새로운 최종 감산 시점으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며, 상기 출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 수용물 정보의 최종 감산 시점에 소정의 체류 한도 시간을 가한 체류 한도 시점과 현재 시점을 비교하고, 현재 시점이 체류 한도 시점 이상인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퇴장시 수용물 체류 경보 출력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 하고 현재 시점을 새로운 최종 감산 시점으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고, RFID 태그로부터 판독된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 수용물 정보의 최종 감산 시점에 소정의 체류 한도 시간을 가한 체류 한도 시점과 현재 시점을 비교하며, 현재 시점이 체류 한도 시점 이상인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관리자는 빈 상자의 체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에 의해 갱신된 부품수가 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 부품수가 영인 경우에 시간의 계측을 시작하는 체류 시간 계측 시작 단계와, 상기 체류 시간 계측 시작 단계에 의해 계측이 시작된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장내 수용물 체류 경보 출력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갱신된 부품수가 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품수가 영인 경우에 시간의 계측을 시작하며, 계측을 시작한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관리자는 빈 상자의 체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물에 부품이 출고 지시된 수만큼 수용되어 제조 라인에 가지고 들어갈 때에 이 부품 수용물에 첨부된 RFID 태그로부터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입측(入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와, 상기 입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가 판독된 시점부터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에 의해 갱신된 부품수가 영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전체 수 감산 간격으로서 계측하는 전체 수 감산 간격 계측 단계와, 동일 종류의 부품 수용물에 대하여 상기 출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가 판독되는 시간 간격을 부품 공급 시간 간격으로서 계측하는 부품 공급 간격 계측 단계와, 상기 전체 수 감산 간격 계측 단계에 의해 계측된 전체 수 감산 간격과 상기 부품 공급 간격 계측 단계에 의해 계측된 부품 공급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간격의 적부(適否)를 판정하는 부품 공급 간격 적부 판정 단계와, 상기 부품 공급 간격 적부 판정 단계에 의해 부품 공급 간격이 부적절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부품 공급 간격 경보 출력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부품 수용물에 부품이 출고 지시된 수만큼 수용되어 제조 라인에 가지고 들어갈 때에 부품 수용물에 첨부된 RFID 태그로부터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를 판독한 시점부터 그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 수용물 정보의 부품수가 영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전체 수 감산 간격으로서 계측하며, 동일 종류의 부품 수용물에 대하여 퇴장시에 RFID 태그로부터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가 판독되는 시간 간격을 부품 공급 시간 간격으로서 계측하고, 계측한 전체 수 감산 간격과 부품 공급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간격의 적부를 판정하며, 부품 공급 간격이 부적절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관리자는 부품 공급 페이스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에 의해 부품수가 갱신된 부품 수용물 정보에 기초하여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 정보를 출력하는 라인 재고 정보 출력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가 갱신된 부품 수용물 정보에 기초하여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입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가 판독된 부품 수용물에 수용된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을 저장하는 창고의 정보를 관리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에 출고 정보로서 통지하는 출고 부품 정보 통지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제조 라인에 가지고 들어갈 때에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가 판독된 부품 수용물에 수용된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을 저장하는 창고의 정보를 관리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에 출고 정보로서 통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창고 관리 시스템은 부품의 창고로부터 라인으로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부품을 저장하는 창고의 정보를 관리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에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에 의해 갱신된 부품수를 부품 식별 정보와 함께 제작중인 물건 정보로서 통지하는 제작중인 물건 정보 통지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부품을 저장하는 창고의 정보를 관리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에, 갱신한 부품수를 부품 식별 정보와 함께 제작중인 물건 정보로서 통지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창고 관리 시스템은 부품의 상태가 제작중인 물건으로 변화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물은, 부품 공급 상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부품 수용물은 부품 공급 상자이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부품 공급 상자마다의 부품의 사용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O에 따른 발명은,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관리 장치에 의한 부품 관리 방법으로서,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이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판독하는 사용 부품 정보 판독 단계와,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사용 부품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상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부품수 갱신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O의 발명에 의하면,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이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판독하고,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판독하며,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부품 수용물마다의 부품의 사용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따른 발명은,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관리 장치로서,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이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품 구성 정보 기억 수단과,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한 부품 수용물 정보 기억 수단과,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상기 부품 구성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사용 부품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상기 부품 수용물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사용 부품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상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상기 부품 수용물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부품수 갱신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하고,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하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판독하고,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판독하며,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부품 수용물마다의 부품의 사용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수용물마다의 부품의 사용 상황을 관리하기 때문에,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라인의 관리자는, 부품이 적절히 사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부정 유용 등을 막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라인의 관리자는, 빈 상자의 체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라인의 관리자는, 부품 공급 페이스가 적절한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라인의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재고 조사시 등에 부품 재고의 조사를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고 관리 시스템은 부품의 창고로부터 라인으로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창고의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고 관리 시스템은 부품의 상태가 제작중인 물건으로 변화된 것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생산 BOM 마스터 DB가 기억하는 BOM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부품 공급 상자에의 RFID 태그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가 기억하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부품 공급 상자 DB가 기억하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트랙킹 로그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조 오더 DB가 기억하는 제조 오더 정보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감산부에 의한 감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가 기억하는 부품 구성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은 운용 감시부가 출력하는 부품 공급 페이스 과부족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b는 운용 감시부가 출력하는 빈 상자 회수 체류·모순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선반 재고 DB가 기억하는 선반 재고 정보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운용 감시부에 의한 라인·공정·부품 공급 상자 단위로 부품 재고의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관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의 처리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감산 처리의 처리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8은 태그 케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은 박스 타입의 부품 수용물을 이용한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b는 패키징(packaging) 타입의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c은 트레이 타입의 부품 수용물을 이용한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d는 스틱 타입의 부품 수용물을 이용한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e는 주머니·팩 타입의 부품 수용물을 이용한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O: 생산 관리 시스템, 11: 초기 데이터 생성부, 12: 생산 BOM 마스터 DB, 20: 제조 관리 시스템, 21: 진도 갱신부, 22: 제조 오더 DB, 30: 창고 관리 시스템, 31: 이동 처리부, 32: 선반 재고 DB, 100: 부품 관리 시스템, 110: 메인터넌스부, 120: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 130: 등록부, 140: 부품 공급 상자 DB, 150: 트랙킹부, 160: 상태 반영부, 170: 감산부, 180: 추출부, 185: 부품 공급 상자 로 그 기억부, 190: 운용 감시부, 195: 편집부, 200: 컴퓨터, 210: RAM, 211: 부품 관리 프로그램, 220: CPU, 230: HDD, 240: LAN 인터페이스, 250: 입출력 인터페이스, 260: DVD 드라이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관리 프로그램,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라인(제조 라인)이 복수의 공정으로 구성되고, 각 공정에는 복수 종류의 부품 공급 상자에 의해 부품이 공급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 등의 제조에서는, 제품의 조립에 필요한 부품이 부품 창고로부터 부품 공급 상자를 이용하여 라인으로 운반된다. 생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부품 출고 지시를 수취한 작업원은, 부품 창고로부터 라인으로 필요한 부품을 취출하고, 부품 공급 상자를 이용하여 부품을 운반한다. 또한, 여기서는 각 라인은 복수의 공정으로 구성되고, 부품 공급 상자는, 각 공정 내의 지정된 어드레스의 위치에 놓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어드레스는 부품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부품 공급 상자로서는, 단일 종류의 부품만을 운반하기 위한 것과, 제품의 조립에 필요하게 되는 복수 종류의 부품을 운반하기 위한 것이 있다. 또한, 작업원은, 라인에서 빈 부품 공급 상자(빈 상자)를 발견하면, 빈 상자를 회수하여 부품 창고로 운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에서는, 부품 공급 상자에 UHF대 RFID 태그를 부착하고, 부품 창고의 출구와 라인의 출구에 RFID 태그 리더를 설치하여, 부품 공급 상자의 이동을 추적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은, 부품 공급 상자에 의해 운반되는 부품과 부품 공급 상자의 대응 정보를 기억하고, 부품 공급 상자의 이동을 추적하는 것에 의해 부품 창고로부터 라인으로의 부품의 이동을 파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은, 라인에 가지고 들어간 부품 공급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의 수를 기억하고, 조립품과 사용 부품 및 사용수와의 대응 정보를 기억하며, 조립품의 제조 착수의 시점에서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이 사용되었다고 간주하여 부품 공급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의 수를 사용수분만큼 빼는 것에 의해,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의 수를 장소마다 관리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은, 라인의 출구에 설치한 RFID 태그 리더가 RFID 태그를 판독하면, 판독한 RFID가 첨부된 부품 공급 상자가 빈 상자라고 간주하고, 부품 공급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의 수로서 기억하고 있는 수가 영이 아닌 경우에는, 부품의 사용수에 모순이 있다고 판정하여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부품 공급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의 수가 영이 된 시점에서 부품 공급 상자가 빈 상자로서 회수될 때까지의 시간이 일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빈 상자가 라인에 체류하였다고 판정하여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은, 동일 종류의 부품 공급 상자가 빈 상자로서 회수되는 시간 간격과, 부품 공급 상자가 라인으로 이동된 후 부품 공급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의 수가 영이 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의 시간 간격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동일 종류의 부품 공급 상자란, 동일 라인의 동일 공정으로 동일 종류의 부품(부품의 종류는 단수여도 좋고 복수여도 좋다)을 공급하는 급제(給劑) 상자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은, 조립품의 제조 착수의 시점에서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이 사용되었다고 간주하여 부품 공급 상자에 수납되어 있는 부품의 상태가 「창고 물건」으로부터 「제작중인 물건」으로 바뀐 것을 선반 정보를 관리하는 선반 관리 시스템에 통지하는 것에 의해, 선반 관리 시스템에 의한 자산 관리를 지원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은, 부품 공급 상자에 첨부한 UHF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부품의 이동을 관리하고, 부품 공급 상자마다 부품수를 관리하는 것에 의해,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라인에서의 부품수를 정확히 관리하는 것에 의해, 부품의 사용 상황이나 공급 상황을 감시하고, 선반 정보의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부품 관리 시스템(100)은, 메인터넌스부(110)와,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120)와, 등록부(130)와, 부품 공급 상자 DB(140)와, 트랙킹부(150)와, 상태 반영부(160)와, 감산부(170)와,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와, 추출부(180)와,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와, 운용 감시부(190)와, 편집부(195)를 갖는다.
메인터넌스부(110)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120)가 기억하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 및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가 기억하는 부품 구성 정보의 등록, 변경, 삭제 등을 행하는 처리부이다. 여기서,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란, 부품 공급 상자의 종류마다 관리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부품 구성 정보란,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 및 그 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메인터넌스부(110)는, 생산 관리 시스템(10)의 생산 BOM 마스터 DB(12)로부터 초기 데이터 생성부(11)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 및 부품 구성 정보의 초기 정보를 작성하고, 각각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120) 및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에 등록한다.
또한, 생산 BOM 마스터 DB(12)는, 조립품마다의 부품 정보인 BOM(bill of material)을 기억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3은, 생산 BOM 마스터 DB(12)가 기억하는 BOM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레코드는, 조립품의 도면 번호를 도시하는 「부모 도번」과, 「부모 도번」의 총 판수를 나타내는 「부모 도번 판수」와, 부품의 도면 번호를 나타내는 「자식 도번」과, 부품의 필요수를 나타내는 「원 단위」로 구성된다.
또한, 메인터넌스부(110)는 부품 공급 상자에 부착되는 UHF대의 RFID 태그에 부품 공급 상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부품 공급 상자의 식별 정보는, 부품 공급 상자의 종류를 식별하는 라인, 공정, 어드레스 및 부품의 도번과, 부품 공급 상자의 종류마다의 추적 번호(serial number)로 구성되는 정보이다.
도 4는, 부품 공급 상자에의 RFID 태그의 부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FID 태그는, 정전 대책된 부품 공급 상자의 정면 하부에 스페이서를 사이에 두고 부착된다. 또한, RFID 태그의 위에는 부품 공급 상자가 놓이는 어드레스를 도시하는 어드레스 라벨이 접착된다. 한편, 부품 공급 상자의 배면에는, 부품 사양, 메인 선반 번호(부품 창고의 선반 번호), 수용수 등을 나타내는 부품 인수 간판이 접착된다. 메인터넌스부(110)는, 어드레스 라벨 및 부품 인수 간판의 인쇄도 행한다.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120)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5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120)가 기억하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레코드는, 부품 공급 상자가 공급하는 부품을 사용하는 제조 라인을 나타내는 「라인」과, 부품 공급 상자가 공급하는 부품을 사용하는 조립품의 도면 번호를 나타내는 「조립 도번」과, 조립 도번의 총 판수를 나타내는 「총 판수」와, 부품 공급 상자가 공급하는 부품의 도면 번호를 나타내는 「부품 도번」과, 부품 공급 상자가 공급하는 부품을 사용하는 제조 라인 내의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과, 부품 공급 상자 위치의 공정 내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와,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의 수용수를 나타내는 「수용수」와, 부품 공급 상자가 공급하는 부품의 부품 창고에서의 선반 번호를 나타내는 「선반 번호」와, 부품 공급 상자의 유통수를 나타내는 「bin 수」로 구성된다.
등록부(130)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120)가 기억하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를 이용하여 각 부품 공급 상자를 관리하기 위한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를 작성하여, 부품 공급 상자 DB(140)에 등록하는 처리부이다.
부품 공급 상자 DB(140)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6은 부품 공급 상자 DB(140)가 기억하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레코드는 「라인」과, 「조립 도번」과, 「총 판수」와, 「부품 도번」과, 「공정」과, 「어드레스」와, 「bin 수」 중의 상자 추적 번호(일련 번호)를 나타내는 「추적 번호」와, 「수용수」와, 부품 공급 상자 내의 부품 잔여수를 나타내는 「잔여수」와, 부품 공급 상자가 라인측에 있는지 창고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상태」와, 부품 공급 상자를 라인측으로 이동시킨 일시를 나타내는 「부품 공급 일시」와,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을 마지막으로 뺀 일시를 나타내는 「최종 감산 일시」로 구성된다.
트랙킹부(150)는, 창고의 출구 및 라인의 출구에 설치된 RFID 태그 리더가 판독한 RFID 태그의 정보를 받고, 부품 공급 상자의 이동을 추적하는 처리부이며, 부품 공급 상자의 트랙킹 로그를 작성한다.
도 7은, 트랙킹 로그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레코드는, 「라인」과, 「조립도판」과, 「총 판수」와, 「부품 도번」과, 「공정」과, 「어드레스」와, 「추적 번호」와, 「수용수」 와, 부품 공급 상자 회수시의 부품의 복귀수를 나타내는 「복귀수」와, 부품 공급 상자가 라인에 입장했는지 라인으로부터 퇴장했는지를 나타내는 「이동 종별」과, 부품 공급 상자 이동시의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와, 부품 공급 상자가 이동한 일시를 나타내는 「이동 일시」로 구성되다.
상태 반영부(160)는, 트랙킹부(150)에 의해 작성된 트랙킹 로그를 이용하여 부품 공급 상자의 이동을 부품 공급 상자 DB(140)에 반영하는 처리부이고, 구체적으로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상태」나 「부품 공급 일시」를 갱신한다.
감산부(170)는, 제조 관리 시스템(20)의 진도 갱신부(21)로부터 조립품의 제조 착수 통지를 받고, 제조가 착수된 조립품에 관한 정보를, 진도 갱신부(21)가 갱신한 제조 오더 DB(22)로부터 판독하여, 제조가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로부터 사용되는 부품수를 빼는 감산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이다.
도 8은, 제조 오더 DB(22)가 기억하는 제조 오더 정보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레코드는, 제조를 식별하는 「제조 번호」와, 「조립 도번」과, 제조되는 제품수를 나타내는 「수량」과, 제조 라인을 특정하는 정보인 「제조 루트」와, 공정을 특정하는 정보인 「워크숍」과, 제조의 진도를 나타내는 「진도」로 구성된다.
도 9는, 감산부(170)에 의한 감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동 도면은 라인 A 및 라인 B는 공정 α와 공정 β로 구성되고, 라인 A에서는, 조립 도번 a를 이용하여, 공정 α에서는 부품 나가 2개 사용되며, 공정 β에서는 부품 가가 1 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라인 B에서는, 조립 도번 b를 이용하여, 공정 α에서는 부품 가가 2개 사용되고, 공정 β에서는 부품 다가 1개 사용되며, 조립 도번 a를 이용하여, 공정 α에서는 부품 나가 2개 사용되고, 공정 β에서는 부품 가가 1개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품 공급 상자 나-Aα-1, 부품 공급 상자 나-Aα-2에는, 부품 나가 각각 4개 수용되고, 부품 공급 상자 가-Aβ-1, 부품 공급 상자 가-Aβ-2에는, 부품 가가 각각 4개 수용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나-Aα-1」 등은, 부품 공급 상자를 식별에 사용하는 정보이며, 부품, 라인, 공정 및 추적 번호의 정보로 구성된다. 예컨대 「나-Aα-1」은, 수용하는 부품이 부품 나이고, 배치되는 라인 및 공정이 Aα이며, 추적 번호가 1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부품 공급 상자 가-Bα-1, 부품 공급 상자 가-Bα-2에는, 부품 가가 각각 1개와 4개 수용되고, 부품 공급 상자 다-Bβ-1, 부품 공급 상자 다-Bβ-2에는, 부품 다가 각각 4개 수용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품 공급 상자 나-Bα-1, 부품 공급 상자 나-Bα-2에는, 부품 나가 각각 4개 수용되고, 부품 공급 상자 가-Bβ-1, 부품 공급 상자 가-Bβ-2에는, 부품 가가 각각 4개 수용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로, 제조 착수의 통지를 받으면, 감산부(170)는, 제조가 착수된 대상의 특정, 즉 라인, 공정 및 조립 도번의 특정을 제조 오더 DB(22)를 참조하여 행한다. 그리고, 감산부(170)는, 특정한 조립 도번과 공정으로부터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가 기억하는 부품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부품 및 수를 특 정한다. 그리고, 감산부(170)는, 라인, 공정 및 부품으로 특정되는 부품 공급 상자 중 라인에 들어간 시간이 가장 이른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를 부품 공급 상자 DB(140)로부터 판독하고, 「잔여수」로부터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빼서 갱신된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로서 부품 공급 상자 DB(140)에 기록한다.
예컨대, 라인 A의 공정 α에서 조립 도번 a를 이용한 제조가 착수되면, 감산부(170)는, 라인 A, 공정 α 및 조립 도번 a를 제조 오더 DB(22)를 참조하여 특정하고, 조립 도번 a와 공정 α로부터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가 기억하는 부품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부품 및 나 및 수「2」를 특정한다. 그리고, 감산부(170)는, 라인 A, 공정 α 및 부품 나로 특정되는 부품 공급 상자 중 라인에 들어간 시간이 가장 이른 부품 공급 상자 나-Aα-1의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를 부품 공급 상자 DB(140)로부터 판독하고, 「잔여수」로부터 사용되는 부품의 수「2」를 빼서 갱신된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로서 부품 공급 상자 DB(140)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감산부(170)가, 제조가 착수된 라인, 공정 및 조립 도번을 제조 오더 DB(22)를 참조하여 특정하고, 특정한 조립 도번과 공정으로부터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가 기억하는 부품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부품 및 수를 특정하며, 라인, 공정 및 부품으로 특정되는 부품 공급 상자 중 라인에 들어간 시간이 가장 이른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잔여수」를 갱신하는 것에 의해,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감산부(170)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잔여수」를 갱신한 갱신 일시에서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최종 감산 일시를 갱신한다. 감산부(170)가 부 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최종 감산 일시를 갱신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운용 감시부(190)가 부품 공급 상자의 라인에서의 체류를 감시할 수 있다.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는, 부품 구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도 10은,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가 기억하는 부품 구성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는, 조립 도번마다 사용하는 부품 및 수와 조립이 행해지는 공정을 대응시켜 기억한다.
추출부(180)는, 부품 공급 상자 DB(140)가 갱신되면, 갱신된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로그로서 기록하는 처리부이다. 즉, 이 추출부(180)는, 부품 공급 상자가 이동되거나,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이 사용되거나 하면, 대응하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로그로서 기록한다.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는, 부품 공급 상자 DB(140)가 갱신된 경우에, 추출부(180)에 의해 부품 공급 상자 DB(140)로부터 추출된 로그를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운용 감시부(190)는,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기록된 로그를 이용하여 부품 공급 페이스나 부품의 사용 상황을 감시하고, 필요에 따라서 부품 공급 페이스 과부족 알람, 빈 상자 회수 체류·모순 알람을 출력하는 처리부이다.
도 11a은, 운용 감시부(190)가 출력하는 부품 공급 페이스 과부족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용 감시부(190)는, 동일 종류의 부품 공급 상자가 라인으로부터 나오는(퇴장하는) 시간 간격의 평균값을 부품 공급 간격으로서 계측하고, 부품 공급 상자가 라인에 들어간 시간(부품 공급 일시)으로부터 부품수(잔여수)가 영이 될 때까지의 시간의 평균값을 전체 수 감산 간격으로서 계측한다.
그리고, 부품 공급 간격과 전체 수 감산 간격×bin 수를 비교하고, 부품 공급 간격<전체 수 감산 간격×bin 수인 경우에는, 부품 공급 페이스가 부품 사용 스페이스에 비해 과잉 상태로 판정되어 과잉 알람을 출력하고, 부품 공급 간격> 전체 수 감산 간격×bin 수+일정 기준인 경우에는, 부품 공급 페이스가 부품 사용 페이스에 비해 부족한 상태로 판정되어 부족 알람을 출력한다.
도 11b는, 운용 감시부(190)가 출력하는 빈 상자 회수 체류·모순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용 감시부(190)는, 빈 상자가 회수된(퇴장한) 시점에서, 이동 일시와 최종 감산 일시를 비교하고, 이동 일시≥최종 감산 일시+일정 시간인 경우에는, 부품 공급 상자가 빈 시점부터 미회수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계속된다고 판정하여, 체류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운용 감시부(190)는, 빈 상자가 회수된(퇴장한) 시점에서,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잔여수가 영인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영이 아닌 경우에는, 미사용 부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 상자가 회수된 것으로 하여 모순 알람을 출력한다.
또한, 운용 감시부(190)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잔여수가 영이며 트랙킹 로그의 이동 종별이 「입장」인 경우에, 최종 감산 일시로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경과 시간을 감시하고,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부품이 모두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 상자가 회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며, 체류 알람을 출력한 다.
이와 같이, 운용 감시부(190)가,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기록된 로그를 이용하여 부품 공급 페이스나 부품의 사용 상황을 감시하고, 필요에 따라서 부품 공급 페이스 과부족 알람, 빈 상자 회수 체류·모순 알람을 출력하는 것에 의해, 라인 관리자는 라인의 상황을 적절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운용 감시부(190)는,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기록된 로그 및 창고 관리 시스템(30)이 관리하는 선반 재고 DB(32)를 이용하여 라인·공정·부품 공급 상자 단위로 부품 재고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를 출력한다.
여기서, 창고 관리 시스템(30)은 창고 및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이고, 선반 재고 DB(32)는, 창고 및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의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12는, 선반 재고 DB(32)가 기억하는 선반 재고 정보의 레코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레코드는, 부품의 도면 번호를 나타내는 「도번」과, 부품이 창고에 있는지 라인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로케이션」과, 부품이 창고에 있는 경우에는 선반 번호를 나타내고, 부품이 라인에 있는 경우에는 라인명을 나타내는 「선반 번호」와, 재고의 수를 나타내는 「재고수」로 구성된다.
도 13는, 운용 감시부(190)에 의한 라인·공정·부품 공급 상자 단위로 부품 재고의 모니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용 감시부(190)는, 각 부품에 대해서, 부품 창고 및 라인·공정·부품 공급 상자 단위로 부품의 재고수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를 출력한다.
편집부(195)는,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기록된 로그를 편집하고, 부품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작성하며, 창고 관리 시스템(30)에 통지하는 처리부이다. 즉, 이 편집부(195)는, 부품 공급 상자가 라인에 입장하면, 부품 공급 상자에 수용된 부품이 창고로부터 출고되어 라인측에 들어간 것을 창고 관리 시스템(30)에 통지하고, 부품의 감산이 행해지면, 부품이 재고 상태로부터 제작중인 물건의 상태가 된 것을 창고 관리 시스템(30)에 통지한다. 부품의 이동에 관한 통지를 받은 창고 관리 시스템(30)은, 이동 처리부(31)가 이동을 선반 재고 DB(32)에 반영한다.
이와 같이, 편집부(195)가 부품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작성하고, 창고 관리 시스템(30)에 통지하는 것에 의해, 창고 관리 시스템(30)은,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포함해서 부품의 재고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관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OPT 일관 라인의 공정 α에 의해 제조가 착수되면, 공정 α의 어드레스「3」의 추적 번호「1」의 부품 a가 1개 사용되기 때문에, 부품 관리 시스템(100)의 부품 공급 상자 DB(140)의 대응하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잔여수가 3개로부터 2개가 되고, 또한 창고 관리 시스템(30)의 선반 재고 DB(32)의 OPT 일관 라인의 재고수가 6개로부터 5개가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100)의 처리 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시스템(100)의 처리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하나의 부품 공급 상자가,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상자 DB(140)에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가 등록되고, 부품을 라인으로 운반하여 회수될 때까지의 부품 관리 시스템(100)의 처리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부품 관리 시스템(100)은, 부품 공급 상자가 수용하는 부품, 부품이 사용되는 라인이나 공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정보를 메인터넌스부(110)가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120)에 등록한다(단계 S101). 그리고, 부품 공급 상자로서의 사용이 시작되면, 등록부(130)가 부품 공급 상자 마스터 DB(120)의 정보로부터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를 작성하여, 부품 공급 상자 DB(140)에 등록한다(단계 S102).
그리고, 창고의 출구에 설치된 RFID 태그 리더가 RFID 태그로부터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트랙킹부(150)가 부품 공급 상자의 라인으로의 입장을 검출하면(단계 S103), 트랙킹부(150)가 트랙킹 로그를 작성하고, 상태 반영부(160)는 트랙킹 로그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상자 DB(140)를 갱신한다(단계 S104).
그리고, 추출부(180)가 부품 공급 상자 DB(140)의 갱신 로그를 작성하여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기록하고, 갱신 로그에 기초하여, 운용 감시부(190)가 모니터링 출력을 갱신하며, 편집부(195)가 부품의 이동을 창고 관리 시스템(30)에 통지한다(단계 S105).
그 후, 제조 관리 시스템(20)으로부터 제조 착수의 통지를 받으면(단계 S106, 긍정), 감산부(170)가 제조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수를 빼는 감산 처리를 행하여 부품 공급 상자 DB(140)를 갱신하고(단계 S107), 추출부(180)가 부품 공급 상 자 DB(140)의 갱신 로그를 작성하여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기록한다.
그리고, 운용 감시부(190)가 갱신 로그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출력을 갱신하고,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수가 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영이 된 경우에는, 전체 수 감산 간격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부품 공급 페이스를 체크한다(단계 S108). 또한 편집부(195)가 부품이 재고품의 상태가 아니었던 것을 창고 관리 시스템(30)에 통지한다(단계 S109).
또한, 운용 감시부(190)는, 부품수가 영이 된 부품 공급 상자가 일정 시간 이상 라인에 입장한 채로 있는 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상자가 체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품 공급 상자가 체류하고 있다고 판정되면(단계 S110, 긍정), 체류 알람을 출력한다(단계 S111).
그리고, 트랙킹부(150)가 라인의 출구에 설치된 RFID 태그 리더가 RFID 태그로부터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상자의 라인으로부터의 퇴장을 검출하면(단계 S112), 트랙킹부(150)가 트랙킹 로그를 작성하고, 상태 반영부(160)는 트랙킹 로그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상자 DB(140)를 갱신한다(단계 S113).
그리고, 추출부(180)가 부품 공급 상자 DB(140)의 갱신 로그를 작성하여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기록하고, 갱신 로그에 기초하여, 운용 감시부(190)가 부품 공급 상자의 체류 체크 및 부품수의 모순 체크를 행한다(단계 S114).
이와 같이,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부품 공급 상자의 이동을 추적하고, 제조 착수 통지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상자의 부품수를 관리하는 것에 의해, 라인에서의 부품의 사용 상황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한 감산 처리의 처리 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감산 처리의 처리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감산 처리에서는, 감산부(170)는, 제조가 착수된 제조 오더로부터 라인, 공정 및 조립 도번을 특정하고(단계 S201), 부품 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공정, 조립 도번으로부터 사용 부품 및 수를 특정한다(단계 S202).
그리고, 라인, 공정, 부품으로부터 사용 부품수를 빼는 대상의 부품 공급 상자를 특정하고(단계 S203), 부품 공급 상자 DB(140)의 대응하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로부터 사용 부품수를 빼며, 현재 일시를 최종 감산 일시로서 부품 공급 상자 DB(140)를 갱신한다(단계 S204).
이와 같이, 감산부(170)가 제조 오더 및 부품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 부품수를 빼는 대상의 부품 공급 상자를 특정하고, 대응하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에 의해, 부품 공급 상자마다 정확히 재고 부품을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감산부(170)가 부품 구성 정보 기억부(175)의 부품 구성 정보 및 제조 오더 DB(22)의 제조 오더에 기초하여, 제조가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 사용수 및 부품 공급 상자를 특정하고, 특정한 부품 공급 상자에 대응하는 부품 공급 상자 데이터의 부품수로부터 사용수를 감산하여 부품 공급 상자 DB(140)를 갱신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부품 공급 상자 DB(140)를 이용하여, 부품 재고수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킹부(150)가 UHF대 RFID 태그의 정보에 기초하 여 부품 공급 상자의 라인으로의 입퇴장을 검출하고, 상태 반영부(160)가, 부품 공급 상자의 이동을 부품 공급 상자 DB(140)에 반영시키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부품 공급 상자 DB(140)를 이용하여 부품이 부품 창고에 있는 것인지 라인에 있는 것인지를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부(180)가 부품 공급 상자 DB(140)의 갱신 로그를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에 기록하고, 운용 감시부(190)가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의 갱신 로그에 기초하여 부품 공급 페이스의 과부족, 부품 공급 상자의 라인에서의 체류, 부품수를 감시하는 것 등으로 했기 때문에, 라인에서의 부품의 사용 상황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의 상태가 창고 재고로부터 라인 재고로 변화되고, 라인 재고로부터 제작중인 물건으로 변화되면, 편집부(195)가 부품 공급 상자 로그 기억부(185)의 갱신 로그에 기초하여 창고 관리 시스템(30)에 통지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창고 관리 시스템(30)은,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도 포함시켜 정확히 부품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 관리 시스템(100), 생산 관리 시스템(10), 제조 관리 시스템(20) 및 창고 관리 시스템(30)이 별도의 시스템으로서 구축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시스템 전부 또는 몇 개의 시스템이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구축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부품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부품 관리 시스템이 갖는 구성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함으로써, 같은 기능을 갖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이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컴퓨터(200)는, RAM(210)과, CPU(220)와, HDD(230)와, LAN 인터페이스(240)와, 입출력 인터페이스(250)와, DVD 드라이브(260)를 갖는다.
RAM(210)은,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의 실행 도중 결과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이고, CPU(220)는, RAM(210)으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이다. HDD(230)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스크 장치이고, LAN 인터페이스(240)는, 컴퓨터(200)를 LAN 경유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0)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DVD 드라이브(260)는, DVD의 기록 및 판독을 행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 컴퓨터(200)에 있어서 실행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211)은, DVD에 기억되고, DVD 드라이브(260)에 의해 DVD로부터 판독되어 컴퓨터(200)에 인스톨된다. 또는 이 부품 관리 프로그램(211)은, LAN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접속된 다른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등에 기억되고, 이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되어 컴퓨터(200)에 인스톨된다. 그리고, 인스톨된 부품 관리 프로그램(211)은, HDD(230)에 기억되고, RAM(210)에 판독되어 CPU(220)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품의 운반에 부품 공급 상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4에 도시한 부품 공급 상자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부품을 운반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부품 공급 상자를 이용하는 것 이외의 부품 운반 형태에 대해서 도 18∼도 19e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여러 가지 형태로 부품을 운반하는 경우에 공통으로 이용되는 태그 케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9a∼도 19e는, 도 4에 도시한 부품 공급 상자를 이용하는 것 이외의 부품 운반 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태그 케이스는, RFID 태그를 부착하는 케이스이고, RFID 태그를 저장하는 RFID 태그 저장 스페이스와, 부품 수용물로서 이용하는 상자나 토이레 등을 부착하기 위한 상자·토이레 부착용 레일을 갖는다. RFID 태그는 RFID 태그 저장 스페이스에 끼워 넣어지는 형태로 저장된다. 태그 케이스를 이용하여 RFID 태그를 저장하고, RFID 태그와 부품 및 부품 수용물과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위치에 태그 케이스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RFID 태그를 직접 부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응답 전파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a은, 박스 타입의 부품 수용물을 이용한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에 도시한 부품 공급 상자와 비교하면, 태그 케이스를 이용하여 RFID 태그를 부착하는 점이 상이하다. 도 19b는, 패키징 타입의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패키징된 채의 부품이 부품 위치에 직접 놓이며, 부품 인수 간판, 어드레스 라벨 및 태그 케이스가 부착된 토대가 패키징된 채의 부품 위에 놓인다. 토대는, 어드레스 라벨 및 부품 인수 간판을 종방향으로 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19c은, 트레이 타입의 부품 수용물을 이용한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키트 단위로 부품을 공급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트레이 타입의 부품 수용물은, 작업원이 복수의 부품을 보기 쉽게 바닥이 얕은 것이 이용된다.
도 19d는, 스틱 타입의 부품 수용물을 이용한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IC나 커넥터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도 19e는, 주머니·팩 타입의 부품 수용물을 이용한 부품 운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습기로 열화되는 작은 부품 등을 납품시의 밀봉된 주머니채로 공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관리 프로그램,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는, 부품의 재고 관리에 유용하고, 특히,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를 정확히 관리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11)

  1.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상기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판독하는 사용 부품 정보 판독 단계와,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사용 부품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상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부품수 갱신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물이 제조 라인으로부터 회수되었을 때에 상기 부품 수용물에 첨부된 RFID 태그로부터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출측(出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와,
    상기 출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 수용물 정보의 부품수가 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부품 잔여수 판정 단계와,
    상기 부품 잔여수 판정 단계에 의해 부품수가 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상자 회수시 경보 출력 단계
    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물 정보는, 상기 사용수를 마지막으로 뺀 시점을 나타내는 최종 감산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는, 상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 하고 현재 시점을 새로운 최종 감산 시점으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며,
    상기 출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 수용물 정보의 최종 감산 시점에 미리 결정된 체류 한도 시간을 가한 체류 한도 시점과 현재 시점을 비교하며, 현재 시점이 체류 한도 시점 이상인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퇴장시 수용물 체류 경보 출력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에 의해 갱신된 부품수가 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부품수가 영인 경우에 시간의 계측을 시작하는 체류 시간 계측 시작 단계와,
    상기 체류 시간 계측 시작 단계에 의해 계측이 시작된 시간이 미리 결정된 시간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장내 수용물 체류 경보 출력 단계
    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물에 부품을 출고 지시된 수만큼 수용하여 제조 라인에 가지고 들어갈 때에 상기 부품 수용물에 첨부된 RFID 태그로부터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입측(入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와,
    상기 입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가 판독된 시점부터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에 의해 갱신된 부품수가 영이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을 전체 수 감산 간격으로서 계측하는 전체 수 감산 간격 계측 단계와,
    동일 종류의 부품 수용물에 대하여 상기 출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가 판독되는 시간 간격을 부품 공급 시간 간격으로서 계측하는 부품 공급 간격 계측 단계와,
    상기 전체 수 감산 간격 계측 단계에 의해 계측된 전체 수 감산 간격과 상기 부품 공급 간격 계측 단계에 의해 계측된 부품 공급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부품 공 급 간격의 적부(適否)를 판정하는 부품 공급 간격 적부 판정 단계와,
    상기 부품 공급 간격 적부 판정 단계에 의해 부품 공급 간격이 부적절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경보를 출력하는 부품 공급 간격 경보 출력 단계
    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에 의해 부품수가 갱신된 부품 수용물 정보에 기초하여 제조 라인에서의 부품 재고 정보를 출력하는 라인 재고 정보 출력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가 판독된 부품 수용물에 수용된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을 저장하는 창고의 정보를 관리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에 출고 정보로서 통지하는 출고 부품 정보 통지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을 저장하는 창고의 정보를 관리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에 상기 부품수 갱신 단계에 의해 갱신된 부품수를 부품 식별 정보와 함께 제작중인 물건 정보로서 통지하는 제작중인 물건 정보 통지 단계를 컴퓨터에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수용물은 부품 공급 상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프로그램.
  10.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관리 장치에 의한 부품 관리 방법으로서,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상기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판독하는 사용 부품 정보 판독 단계와,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한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사용 부품 정보 판독 단계에 의해 판독된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상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기억 장치에 기록하는 부품수 갱신 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방법.
  11.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관리 장치로서,
    조립품을 식별하는 조립품 식별 정보와 상기 조립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대응시켜 부품 구성 정보로서 기억하는 부품 구성 정보 기억 수단과,
    부품 수용물에 수용되는 부품의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부품 수용물을 식별하는 부품 수용물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부품 수용물마다 부품 수용물 정보로서 기억한 부품 수용물 정보 기억 수단과,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대응하는 부품 식별 정보 및 부품수를 사용 부품 식별 정보 및 사용수로서 상기 부품 구성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사용 부품 정보 판독 수단과,
    상기 제조에 착수된 조립품에 사용되는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 수용물의 부품 수용물 정보를 상기 부품 수용물 정보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사용 부품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사용 부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부품의 부품수로부터 상기 사용수를 뺀 값을 새로운 부품수로서 갱신한 부품 수용물 정보를 상기 부품 수용물 정보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부품수 갱신 수단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관리 장치.
KR1020097006214A 2006-09-28 2007-05-15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 KR101132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65888 2006-09-28
JPJP-P-2006-265888 2006-09-28
PCT/JP2007/059988 WO2008038434A1 (fr) 2006-09-28 2007-05-15 Programme de gestion de pièces, procédé de gestion de pièces et dispositif de gestion de piè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599A true KR20090043599A (ko) 2009-05-06
KR101132116B1 KR101132116B1 (ko) 2012-04-05

Family

ID=3922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214A KR101132116B1 (ko) 2006-09-28 2007-05-15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77560A1 (ko)
EP (1) EP2071508A4 (ko)
JP (1) JP4819127B2 (ko)
KR (1) KR101132116B1 (ko)
CN (1) CN101523430B (ko)
WO (1) WO20080384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836A (ko) * 2015-04-20 2017-11-30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섬유 도구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8572A (ja) * 2009-12-02 2011-06-16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Rfidかんばん及びこれを用いた部品手配システム
WO2011128253A2 (en) * 2010-04-12 2011-10-20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monitoring system for a packaging system with batch equipment
CN103430113B (zh) * 2011-01-20 2015-10-07 日本电气株式会社 部件管理装置和部件管理方法
EP2705474A1 (en) * 2011-05-06 2014-03-12 Keonn Technologies S.L. Inventory system using radiofrequency enabled inventory identifications
JP5556825B2 (ja) * 2012-01-24 2014-07-23 株式会社安川電機 生産システムおよび物品製造方法
CN103793781A (zh) * 2013-12-31 2014-05-14 青岛中科软件股份有限公司 基于条形码技术的工业生产管理系统
TWM505131U (zh) * 2015-01-30 2015-07-11 Arima Communication Corp 手機自動化生產系統
US20180157246A1 (en) * 2015-01-30 2018-06-07 Arima Communications Corp. Automated production system for mobile phone
JP6594164B2 (ja) * 2015-11-03 2019-10-23 ジヤトコ株式会社 生産ライン、および生産ライン用のプログラム。
JP2017097631A (ja) * 2015-11-25 2017-06-0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の稼働監視装置
DE102016114671A1 (de) 2016-08-08 2018-02-08 CURO GmbH Kleinteilbehälter mit RFID
CN107102624A (zh) * 2017-04-27 2017-08-29 常州市武进区半导体照明应用技术研究院 基于gprs和gps的冷链物流智能监控系统
WO2019030818A1 (ja) * 2017-08-08 2019-02-14 株式会社Fuji 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7156840B2 (ja) * 2018-07-10 2022-10-19 Juki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
JP2020052706A (ja) * 2018-09-27 2020-04-02 横河電機株式会社 工程管理システム、工程管理方法、および工程管理プログラム
WO2021059457A1 (ja) * 2019-09-26 2021-04-01 株式会社Fuji 部品実装システム
WO2021090392A1 (ja) * 2019-11-06 2021-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在庫費算出システム、在庫費算出方法および在庫費算出プログラム
JP6816810B1 (ja) * 2019-11-12 2021-01-20 凸版印刷株式会社 裁断工程管理システム、裁断工程管理装置、及び裁断工程管理方法
JP6816809B1 (ja) * 2019-11-12 2021-01-20 凸版印刷株式会社 生産工程管理システム、生産工程管理装置、及び生産工程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1075A (ja) * 1999-03-26 2000-10-10 Okamura Corp 部品搬送ケース
US20030080191A1 (en) * 2001-10-26 2003-05-01 Allen Lubow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bar code information to products during production
JP3709876B2 (ja) * 2002-05-17 2005-10-26 マツダ株式会社 組立生産ラインの部品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供給方法
JP2005222165A (ja) * 2004-02-03 2005-08-18 Honda Motor Co Ltd 製品生産システム
JP4589639B2 (ja) 2004-02-23 2010-12-01 株式会社サトー 自動倉庫システム
JP4364705B2 (ja) * 2004-04-02 2009-11-1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物品管理システム、物品管理装置及びサーバ
US8209219B2 (en) * 2004-04-13 2012-06-26 Hyperactive Technologies, Inc. Vision-based measurement of bulk and discrete food products
JP2006026843A (ja) * 2004-07-20 2006-02-02 Canon Inc 生産管理方法及び生産システム
US20070203809A1 (en) * 2006-02-25 2007-08-30 Praveen Bapat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store inventory
KR100925288B1 (ko) 2007-06-12 2009-11-05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836A (ko) * 2015-04-20 2017-11-30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섬유 도구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7034A (ko) * 2015-04-20 2018-12-26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섬유 도구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0872308B2 (en) 2015-04-20 2020-12-22 Groz-Beckert Kg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textile-too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8434A1 (fr) 2008-04-03
KR101132116B1 (ko) 2012-04-05
EP2071508A4 (en) 2011-09-21
CN101523430A (zh) 2009-09-02
CN101523430B (zh) 2016-04-20
JP4819127B2 (ja) 2011-11-24
EP2071508A1 (en) 2009-06-17
JPWO2008038434A1 (ja) 2010-01-28
US20090177560A1 (en)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116B1 (ko) 부품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부품 관리 방법 및 부품 관리 장치
JP3200037B2 (ja) レンタル商品管理システム
JP2004531437A (ja) 小売り事業において無線周波数識別技術を用い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7542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tative item identification based on facility operations
CN113657835A (zh) 智慧云仓管理系统
KR20090127258A (ko) 물류 용기 관리 시스템
JP6930836B2 (ja) 物品物流管理システム及び物品物流管理方法
KR20210047300A (ko) 멀티모달 센서 작동에 기초한 재고의 자동 제품 식별
CN11169585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物料管理系统
US8423429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an advanced material management center
CN111639886A (zh) 一种智能物流仓库的仓储方法
KR20090000720A (ko) 지능형 관리 점검 서비스 메카니즘 및 방법
JP5340825B2 (ja) 物品の集荷装置制御方法
KR20210022032A (ko) Erp 기초 부품 대차 관리 시스템
CN114626780A (zh) 出库操作方法、电子设备、介质及产品
KR101042199B1 (ko) Rfid를 이용한 용기 투입물 관리방법
JP2004189484A (ja) 供給管理方法、供給管理システム及び供給管理装置
JP2007039156A (ja) 消耗品管理システム、そのサーバ、消耗品管理用媒体、およびその方法
JP5096985B2 (ja) 容器管理装置、容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16145B2 (ja) ユニット振り分け配送管理システム
JP2005063061A (ja) 運搬用具のレンタルシステム
JP2006327743A (ja) 物品集荷装置および方法
EP4129873A1 (en) Collapsable frame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nd program
JP2007299280A (ja) 価値管理装置
CN116664032A (zh) 一种仓储运输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