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315A - 접촉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접촉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315A
KR20090041315A KR1020080099848A KR20080099848A KR20090041315A KR 20090041315 A KR20090041315 A KR 20090041315A KR 1020080099848 A KR1020080099848 A KR 1020080099848A KR 20080099848 A KR20080099848 A KR 20080099848A KR 20090041315 A KR20090041315 A KR 20090041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or
tip
rear en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642B1 (ko
Inventor
에이치 오사토
히데카즈 미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마이크로닉스
Publication of KR2009004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자의 선단면에 부스러기가 축적되는 것을 저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전기적 접속 장치는, 각각이 만곡(灣曲)되어 기판의 도전성 부분을 향하고 있는 외면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하우징의 요소(凹所) 및 슬릿에 삽입된 주요부(主部), 상기 주요부의 선단측에 이어지며 피검사체의 전극에 상대적으로 눌려지도록 슬릿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선단부, 및 주요부의 후단측에 이어지며 요소에 위치된 후단부를 갖춘 복수의 접촉자를 이용한다. 각 접촉자의 선단부는, 그 선단부의 두께 치수 보다 크게 슬릿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둥근 형태(弧狀)의 선단면을 갖는다.
접촉자, 전기적 접속 장치, 도전성 부분, 하우징, 슬릿, 선단부, 주요부(主部)

Description

접촉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 장치{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Using It}
본 발명은, 집적 회로와 같은 평판형 피검사체의 통전 시험에 사용되는 접촉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판에 형성된 도전성 부분과 피검사체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촉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적 회로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는, 복수의 전극을 디바이스 본체에서 돌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반도체 디바이스는, 소켓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전기적 접속 장치를 이용하여, 이것이 소정의 기능을 갖고 있는지 아닌지의 전기적 검사, 즉 통전 시험을 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적 접속 장치의 하나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3-12387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적 접속 장치는, 배선 패턴의 배선의 일부와 같은 벨트 형태(帶狀, belt-like)의 복수의 도전성 부분을 전기 절연성인 판부재의 윗면에 있는 기판에 부착되는 판상(板狀)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병렬로 배치되어 기판의 도전성 부분과 피검사체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판상의 복수의 접촉자와, 그 접촉자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에 배치된 봉(棒) 형태의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 즉, needle presser)를 포함한다.
이 같은 접속 장치는, 하우징을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배선기판과 같은 기판에 나합된 복수의 나사 부재에 의해, 기판의 윗면에 설치된다.
하우징은, 수평면 내를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아래쪽으로 개방하는 요소(凹所)와, 제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평면 내를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슬릿과, 상하로 개방하며 그 하단부에서 슬릿의 위쪽에 연통된 개구를 갖는다.
각 슬릿은, 그 길이 방향의 후단부 및 선단부에서 각각 요소(凹所) 및 개구에 연통되어 있음과 동시에, 적어도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각 접촉자는, 만곡된 외면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그 외면이 기판의 도전성 부분을 향하도록 하우징의 요소 및 슬릿에 삽입된 주요부(主部)와, 상기 주요부의 선단측에 이어지며 피검사체의 전극에 상대적으로 눌려지도록 상기 슬릿에서 하우징의 개구 내로 돌출하는 선단부와, 상기 주요부의 후단측에 이어지며 상기 요소에 위치된 후단부를 갖춘다. 각 접촉자의 선단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형태의 선단면을 갖는다.
니들 리테이너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고무재료로, 원주(圓柱) 형태로 만들 어져 있고, 또한 하우징의 요소(凹所)에 배치되어 접촉자의 만곡된 외면의 일부를 기판의 도전성 부분에 접촉시키도록 접촉자의 상기 외면과 반대측 부분에 맞닿아 있다.
각 접촉자는, 접속 장치가 기판에 부착된 상태에서, 둥근 형태인 외면의 일부가 기판의 도전성 부분의 윗면에 맞닿아 있음과 동시에, 그 후단면이 요소(凹所)의 후방측 안쪽 면에 맞닿아 있다.
각 접촉자의 선단부의 선단면과 피검사체의 전극이 상대적으로 눌려지면, 접촉자(102)에 오버 드라이브 OD가 적용한다. 이에 의해, 각 접촉자는, 니들 리테이너를 압축시켜 탄성 변형시키면서, 만곡된 외면의 일부를 도전성 부분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그 도전성 부분의 윗면을 각도적으로 전동(轉動)시킨다.
상기의 결과, 각 접촉자는, 피검사체의 전극의 산화막의 일부를 깎아 없애고, 피검사체의 전극을 도전성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 상태에서, 피검사체의 통전 시험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 전기적 접속 장치에서는, 피검사체의 전극의 산화막의 일부가 접촉자에 의해 깎여 사라짐에 따라 발생하는 부스러기가 접촉자의 선단면 및 그 근방에 축적되기 쉽다. 그 결과, 축적된 부스러기, 즉 산화막의 일부가 비도전성이기 때문에, 접촉자와 전극 간의 접촉 저항이 높아져, 정확한 통전 시험을 행할 수 없다.
위와 같이, 본 발명자들에 의한 실험의 결과, 종래의 전기적 접속 장치에서는, 접촉자의 선단부의 위쪽으로의 돌출 치수가 작은 것과, 선단면의 곡률 반경이 판상(板狀)의 접촉자의 두께 치수보다 큰 것에 기인하는 것임이 판명됐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자의 선단면 및 그 근방의 부스러기의 축적을 저감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자는, 만곡(灣曲)되어 기판에 설치된 도전성 부분을 향하고 있는 외면을 갖고 있는 주요부(主部), 그 주요부의 선단측에 이어지며 상기 주요부의 선단측에서 위쪽으로 또는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선단부, 및 상기 주요부의 후단측에 이어지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선단측에서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 이상으로 크게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피검사체를 삽입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 또는 비스듬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형태(弧狀)의 선단면을 갖는다.
접촉자의 상기 선단면은,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접촉자의 상기 선단부는, 그 접촉자에 삽입된 피검사체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또는 경사져서 연장하는 선단 영역을 가져도 된다.
상기 선단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경사진 전후 방향의 폭 치수가 거의 일정한 값이 되는 형상, 및 상기 폭 치수가 상기 선단면측을 향해 작아지는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경사진 전후 방향의 상기 선단 영역의 폭 치수가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보다 작거나 거의 같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속 장치는, 수평면 내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아래쪽으로 개방하는 홈 형태(溝狀: groove-shaped)의 요소(凹所) 및 상기 좌우 방향에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면 내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슬릿으로서 각각이 후단부측에서 상기 요소에 연통되어 적어도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복수의 슬릿을 갖추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접촉자로서, 각 접촉자의 상기 외면이, 상기 도전성 부분으로 향하고, 상기 주요부가 상기 요소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전극에 상대적으로 눌려지도록 상기 슬릿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단부가 상기 요소에 위치된 복수의 접촉자와;
상기 요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자의 상기 외면의 일부를 상기 도전성 부분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접촉자의 상기 외면과 반대측 부분에 맞닿는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 즉, needle presser)를 포함한다.
상기 요소(凹所)는, 적어도 위쪽이 전방이 되는 상태로 수평면 및 수직면 모두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후방측 안쪽 면을 갖출 수 있고, 또한, 각 접촉자의 후단부는,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경사면에 맞닿는 후단을 가질 수 있다.
각 접촉자의 상기 후단은,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의 상기 경사면과 대향되며 윗면이 전방이 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면 및 상기 수직면 모두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의 상기 경사면과 각 접촉자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선단과 상기 전극이 눌려지지 않는 상태에서 맞닿아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또한 각 접촉자의 상기 후단의 아래쪽 모서리(隅角部)는 둥근 형태로 만곡(灣曲)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요소(凹所)의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은, 또한, 상기 접촉자가 상기 요소에서 탈락하는 것을 각 접촉자의 상기 후단부와 공동으로 방지하는 탈락방지부를 상기 경사면의 위쪽에 가질 수 있다.
상기 탈락방지부는, 위쪽이 후방을 향하도록 그 탈락방지부의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서 후퇴된 걸림면(係合面)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접촉자의 상기 후단은, 상기 걸림면에 걸릴 수 있게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凸部)를 그 접촉자의 상기 경사면의 위쪽에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또한, 위쪽으로 개방하며 그 하단부에서 상기 슬릿의 위쪽에 연통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접촉자는 상기 선단부를 상기 개구에 돌출시키고 있어도 된다.
전기적 접속 장치는, 또한, 상기 개구에 배치되며 피검사체를 그 전극이 상기 접촉자의 상기 선단에 맞닿도록 안내하는 제2 개구를 갖는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자의 둥근 형태(弧狀)의 선단면을 갖는 선단부는, 주요부의 선단측에서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 이상으로 크게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피검사체를 삽입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선단부가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 이상으로 크게 위쪽으로 돌출된다.
이 때문에, 선단면이 피검사체의 전극에 눌려진 상태에서, 전극의 아래쪽에 넓은 공간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선단면이 피검사체의 전극에 눌려질 때 생기는 부스러기가 선단면 및 그 근방에서 낙하하기 쉬워지고, 접촉자의 선단면 및 그 근방에 부스러기가 축적되는 일이 저감된다. 그 결과, 접촉자와 전극 간의 접촉 저항이 저감되어, 정확한 통전 시험을 행할 수 있다.
각 접촉자의 선단면이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면, 부스러기가 선단면 및 그 근방에서 확실히 낙하하여, 접촉자의 선단면 및 그 근방에 부스러기가 축적되는 일이 확실히 저감되고, 접촉자와 전극 간의 접촉 저항이 보다 확실히 저감되어, 보다 정확한 통전 시험을 행할 수 있다.
각 접촉자의 선단부가 그 접촉자에 삽입된 피검사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선단 영역을 갖고 있으면, 선단부가 피검사체에 대하여 후단부 측과 반대인 측으로 경사져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는 선단 영역을 갖는 경우에 비하여, 부스러기가 선단면 및 그 근방에서 확실히 낙하하여, 접촉자의 선단면 및 그 근방에 부스러기가 축적되는 일이 보다 확실히 저감되고, 접촉자와 전극 간의 접촉 저항이 보다 확실히 저감되어, 보다 정확한 통전 시험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각 접촉자는, 선단면이 피검사체의 전극에 눌려져, 오버 드라이브가 작용함으로써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를 탄성 변형시키고, 그 후단 아래쪽 모서리(隅角部)를 요소(凹所)의 후방측 안쪽 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후단부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기판의 도전성 부분에 대하여 니들 리테이너의 주위를 각도적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요소(凹所)의 후방측 안쪽 면의 경사부가 위쪽이 전방이 되는 상태에서 수평면 및 이와 수직인 수직면 모두에 대하여 경사져서 접촉자의 후단부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접촉되어 있으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각도적으로 회전시, 각 접촉자는 후단부가 위쪽이 되는 상태로 변위되어, 후퇴를 저지당한다. 그 결과, 기판의 도전성 부분에 대하여 접촉자의 미끄러짐이 저감되고, 도전성 부분 및 접촉자의 마모가 현저히 저감된다.
또한, 각 접촉자의 후단 아래쪽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弧狀) 만곡(灣曲)되어 있으면, 오버 드라이브가 작용시, 접촉자는 후방측 안쪽 면의 경사부에 대한 접촉자의 접촉 부분의 미끄러짐에 따라 변위하지만, 후방측 안쪽 면의 경사부에 대한 접촉자의 접촉 부분의 미끄러짐은 원활해진다.
[용어에 관하여]
본 발명에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슬릿의 배열 방향을 좌우 방향(X방향)이라 하고, 그 슬릿들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Y방향)이라 하며, 도2의 상하 방향을 상 하 방향(Z방향)이라 하고, X방향 및 Y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수평면이라 한다. 그러나, 이들 방향 및 면은, 피검사체를 검사 장치에 배치하는 자세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상기 방향 및 면은, 실제 검사 장치에 따라, X방향 및 Y방향을 포함하는 면이, 수평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 및 수평면에 수직인 수직면 중 어느 하나의 면내(面內)가 되도록 결정해도 되며, 이들 면의 조합이 되도록 결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촉자의 침선(tip) 쪽을 선단측 또는 전방측이라 하며, 이와 반대인 측을 후단측 또는 후방측이라 한다.
[실시예]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전기적 접속 장치(10)는, 평판형 피검사체(12)의 통전 시험(즉, 검사)에 집적회로(IC)용 소켓과 같은 보조 장치로 사용된다. 피검사체(12)는, 도시된 예에서는, 패키지(Package) 또는 몰드(Mold)로 된 집적 회로이지만, 패키지 또는 몰드로 된 집적회로 등과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라도 상관은 없다.
피검사체(12)는, 도2에 나타나 있듯이, 직사각형판과 같은 형상을 갖는 본체(14)와, 본체(14)의 한쪽 면에서 직사각형의 각 변에 설치된 복수의 전극(16)을 갖는다. 전극(16)은, 가늘고 긴 형상(短冊狀: strip-shaped)을 갖고 있고, 본체(14)의 직사각형의 변에 일대일의 형태로 대응된 4개의 전극 군(群)으로 나뉘어, 대응하는 변과 교차(도시된 예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전극 군(群)마다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접속 장치(10)를 부착하는 배선기판과 같은 기판(20)은, 도2, 도5(A) 및 도5(B)에 나타나 있듯이, 도전성인 배선 패턴을 유리 에폭시수지와 같은 전기 절연 재료제인 판재(22)의 한쪽 면에 인쇄 배선 기술로 형성한 배선 기판이고, 각각이 피검사체(12)의 전극(16)에 일대일 형태로 대응된 벨트 형태(帶狀, belt-like)의 복수의 배선부, 즉 도전성 부분(24)을 판재(22)의 한쪽 면에 갖는다.
각 도전성 부분(24)은, 배선 패턴의 일부이다. 도전성 부분(24)은, 피검사체(12)의 본체(14)의 직사각형의 변에 일대일 형태로 대응된 4개의 도전성 부분 군(群)으로 나뉘어져 있고, 또한 대응하는 변의 근방에서, 대응하는 변과 교차(도시된 예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그 변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離間) 형태로, 도전성 부분 군(群)마다 병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20)은, 일반적으로 피검사체(12)의 통전 시험을 행하는 사용자에 있어 접속 장치를 부착하는 검사 장치의 종류 및 검사해야 할 피검사체(12)의 종류에 따라 제작된다. 그러나 기판(20)은 접속 장치(10)의 제조업자 쪽에서 제작해도 된다.
접속 장치(10)는, 기판(20)에 부착되는 직사각형의 판상(板狀)인 하우징(26), 하우징(26)에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전극(16)과 도전성 부분(24)의 한 세트에 일대일 형태로 대응된 복수의 접촉자(28), 접촉자(28)에 접촉하도록 하우징(26)에 배치된 긴 4개의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 즉, needle presser)(30), 및 하우징(26)에 배치된 가이드판(34)을 포함한다.
하우징(26)은, 서로 교차하여 기판(20)과 평행인 수평면 내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여 아래쪽으로 개방하는 4개의 홈 형태(溝狀: groove-shaped)인 요소(凹所)(36)와,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평면 내를 제2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슬릿(38)과, 하우징(26)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위쪽으로 개방하는 개구(開口)(40)를 갖는다.
각 요소(36)는, 피검사체(12)의 본체(14)의 직사각형의 변에 일대일 형태로 대응되어 있고, 또한 대응하는 변의 길이 방향(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요소(36)를 형성하고 있는 후방측 안쪽 면(42)은, 수평면 및 이에 수직인 수직면 모두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42a)을 아래쪽에 갖고 있음과 동시에, 하우징(26)에서 접촉자(28)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방지부(42b)를 위쪽에 갖는다.
경사면(42a)은, 위쪽이 전방을 향하도록 기판(20)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탈락방지부(42b)는, 위쪽이 후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히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접촉자(28)가 요소(36)에서 탈락하는 것을 접촉자(28)의 후단부와 공동으로 방지하도록 경사면(42a)의 상단에서 후퇴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소(36)의 후방측 안쪽 면은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요소(36)의 선단측의 윗모서리는 둥근면(弧面)(44)으로 되어 있다. 각 요소(36)의 양단부(36a)는, 도4에 나타나 있듯이, U자 형태의 홈으로 되어 있다. 각 요소(36)의 중간 영역은, 대응하는 슬릿 군(群)의 슬릿(38)의 배치 영역 길이 이상의 길이 영역으로 되어 있다.
요소(36)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端部)(36a)(즉, U자 형태의 홈)는, 이것에 니들 리테이너(30)의 단부를 죄어 끼우는 상태(close fit state)로 감합시키도록, 요소(36)의 중간 영역 부분의 폭 치수보다 작은 곡률 반경과, 둥근면(44)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는 곡률 중심을 갖는다.
하우징(26)의 중앙 영역은, 평면적으로 볼 때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판상부(板狀部)(46)로 되어 있다. 개구(開口)(40)는, 평면적으로 보아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슬릿(38)은, 피검사체(12)의 본체(14)의 직사각형의 변 및 요소(凹所)(36)의 한 세트에 일대일 형태로 대응된 4개의 슬릿 군(群)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슬릿 군(群)의 슬릿(38)은, 대응하는 변 및 요소(36)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응하는 변과 교차하는 방향(도시된 예에서는, 직교하는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슬릿 군(群)의 서로 이웃하는 슬릿(38)의 사이는, 격벽(隔壁)으로 되어 있다.
각 슬릿(38)은, 하우징(26)의 상하로 개방되어 있고, 또한 길이 방향의 한쪽 단측(一端側)(후방측)에서 대응하는 요소(36)의 선단측의 아래쪽에 연통되어 있음과 동시에, 길이 방향의 타단측(他端側)(선단측)의 위쪽에서 개구(40)에 연통되어 있다.
개구(40)는, 평면적으로 볼 때 하우징(26)의 판상부(46) 주위의 작은 제1 요소영역(40a)과, 제1 요소영역(40a)의 위쪽에 이어짐과 동시에 제1 요소영역(40a)보다 큰 제2 요소영역(40b)을 갖는다.
제1 및 제2 요소영역(40a, 40b)은, 평면적으로 볼 때 피검사체(12)의 본체(14)와 유사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즉, 동축적(同軸的)이며 유사형(相似形)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슬릿(38)은, 그 선단측을 슬릿 군(群)마다 제1 요소영역(40a)의 직사각형의 1개의 변에 개구시키고 있다.
하우징(26)의 판상부(板狀部)(46)의 주변 영역은, 개구(40)의 제1 요소영역(40a)에 의해, 제2 요소영역(40b)보다 낮게 되어 있다. 하우징(26)의 판상부(46)의 주변 영역은, 직사각형의 틀 형태로 되어 있고, 또한 크랭크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26)은, 합성수지와 같은 전기절연성 재료에서 형성할 수 있다.
각 접촉자(28)는, 일정한 두께 치수(T)를 갖는 판상(板狀)의 접촉자로 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듯이, 각 접촉자(28)는, 요소(36) 및 슬릿(38)에 삽입된 주요부(50)와, 주요부(50)의 선단측에 이어짐과 동시에 슬릿(38)에서 그 방향의 개구(40) 내로 돌출하는 선단부(52)와, 주요부(50)의 후단측에 이어짐과 동시에 요소(50)에 위치된 후단부(54)를 갖추고 있다.
주요부(50)는, 후단부(54)에서 선단부(52)를 향해 만곡(灣曲)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요부(50)는, 도전성 부분(24)을 향하고 있는 외면(56)과, 위쪽으로 개방하는 둥근 형태의 요소(凹所)(58)를 후단측에 갖는다. 주요부(主部)(50)의 선단측 영역(50a)은, 선단부(52) 쪽으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접촉자(28)는, 그 외면(56)이 아래쪽이 되어, 후단부(54)가 요소(36) 내 에 위치하고, 주요부(50)가 요소(36) 내에서부터 슬릿(38) 내를 둥근 형태(弧狀)로 연장되어, 선단부(52)의 적어도 일부가 슬릿(38) 내에서 개구(40)의 제1 요소영역(40a)으로 돌출한 상태로, 하우징(26)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접촉자(28)의 후단부(54)는, 경사부(60)를 아래쪽에 갖고 있음과 동시에,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凸部)(62)를 위쪽에 갖는다. 각 접촉자(28)의 후단의 아래쪽 모서리는, 둥근 형태인 돌출면(凸面), 즉 돌출 형태인 둥근면(弧面)(64)으로 되어 있다.
접촉자(28)의 경사부(60)는, 요소(36)의 후방측 안쪽 면의 경사부(42a)에 맞닿을 수 있고, 위쪽이 전방이 되는 상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62)는 요소(36)의 탈락방지부(42b)에 걸리도록, 경사부(60)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위쪽이 후방측이 되는 하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부(60) 및 돌출부(62)의 양 경사면은, 접촉자(28)의 후단면을 공동으로 형성하고 있다.
각 접촉자(28)의 주요부(主部)(50)는, 피검사체(12)의 전극(16)이 선단부(52)에 눌려졌을 때, 탄성 변형하는 암(arm)부로서 작용한다. 이 같은 암부는, 도시된 예에서는, 요소(36) 안쪽으로부터 슬릿(38) 안으로 비스듬히 위쪽으로 둥근 형태로 연장되고, 슬릿(38) 내를 전방을 향해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어, 한층 선단부(52)를 향하여 만곡(灣曲)되어 있다.
각 접촉자(28)의 후단면은, 돌출부(凸部)(62)와 둥근면(弧面)(64)을 제외하고, 즉 후단부(60)의 경사면에서, 요소(凹所)(36)의 경사면(42a)에 접촉되어 있다. 돌출부(62)는, 요소(36)의 탈락방지부(42b)에 맞닿아 있다.
각 접촉자(28)의 선단부(52)는, 그 두께 치수 보다 크게 슬릿(38)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주요부(50)측의 영역(52a)에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각 선단부(52)의 선단 영역(52a)보다 선단측의 선단 영역(52b)은, 오버 드라이브 OD가 접촉자(28)에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 장치(10)에 삽입된 피검사체(12)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접촉자(2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면(66)을 갖고 있다. 선단면(66)은, 도시된 예에서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원호면(圓弧面)이고, 또한 선단부(52)의 두께 치수와 거의 같거나 또는 그 이하의 곡률 반경(R)을 갖는다.
선단부(52)는 접촉자의 두께 치수(T)보다 큰 돌출 치수(H)만큼 주요부(50)에서 돌출하고 있고, 선단면(66)은 두께 치수(T)보다 작은 곡률 반경(R)을 가지며, 선단 영역(52b)은 두께 치수(T)보다 작은 제1 또는 제2 방향의 폭 치수(W)를 갖는다.
이들 값 (T), (H), (R) 및 (W)은, 각각, 0.15mm, 0.2mm, 0.025mm 및 0.05mm 정도로 할 수 있다. 이들 값 (T), (H), (R) 및 (W)은, 접촉자(28)의 크기 및 형상, 피검사체(12)의 전극(16)의 크기 및 형상, 전극(16)의 배치 피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두께 치수(T)는, 피검사체(12)의 전극(16)의 배치 피치에 따라, 크게 다르다.
슬릿(38)에서의 선단부(52)의 돌출 치수(H)는, 접촉자(28), 특히 선단부(52)의 두께 치수(T)의, 1~3배, 바람직하게는 1배에서 2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배로 할 수 있다.
각 접촉자(28)의 선단 영역(52b), 특히 선단면(66)에 가장 가까운 부분의 폭 치수(W)는, 접촉자(28), 특히 선단부(52)의 두께 치수(T)의 0.1에서 1.0배, 바람직하게는 0.1에서 0.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배로 할 수 있다.
각 접촉자(28)의 선단면(66)의 곡률 반경(R)은, 선단면(66)에 가장 가까운 부분의 폭 치수(W)의 2분의 1 정도로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선단부(52)의 선단 영역(52b)은, 폭 치수(W)가 거의 일정한 값이지만, 폭 치수(W)가 선단면(66)측 만큼 작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접촉자(28)는, 니켈, 니켈주석이나 니켈은과 같은 니켈 합금, 로듐(rhodium) 등, 탄력성이나 고인성(高靭性)에 뛰어난 도전성 금속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3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부재에 의해 단면 원형인 봉(棒)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직사각형의 변 및 요소(凹所)(36)의 한 세트에 일대일 형태로 대응되어 있다. 각 니들 리테이너(30)는, 대응하는 요소(36) 내에서 대응하는 요소(3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니들 리테이너(30)의 양단부는, 도4에 나타나 있듯이, 니들 리테이너(30)의 중간 영역보다도 좁은 직경으로 되어 있어, 대응하는 요소(36)의 양단부(36a)에 죄어 끼우는 상태(close fit state)로 감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니들 리테이너(30)는 하우징(26)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각 침압(30)의 양단부 사이의 중간 영역은, 요소(36)의 선단측의 윗모서리의 둥근면(弧面)(44)의 곡률 반경과 거의 비슷한 반경을 갖고 있으며, 또한 요소(36)의 선단측의 윗모서리의 둥근면(44)에 접촉되어 있음과 동시에, 대응하는 접촉자 군(群)의 접촉자(28)의 요소(58)에 맞닿아 있다.
가이드판(34)은, 개구(40)와 유사한 직사각형을 갖고 있고, 또한 개구(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판(34)은, 피검사체(12)를 그 전극(16)이 접촉자(28)의 선단부(52)에 맞닿도록 삽입하는 직사각형의 개구(68)를 갖는다.
개구(68)는, 피검사체(12)보다 약간 크며, 동시에 피검사체(12)의 본체(14)와 유사한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또한 상하로 개방하고 있다. 개구(68)를 형성하고 있는 안쪽 면의 상반부는, 피검사체(12)를 안내하도록, 가이드판(34)의 외측에서 중심측으로 향함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접속 장치(10)는, 이하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우선, 각 니들 리테이너(30)가 요소(凹所)(36)에 배치된 후, 각 접촉자 군(群)의 접촉자(28)가, 선단부(52) 및 주요부(50)를 대응하는 요소(36)에서 대응하는 슬릿(38)으로 통과시키고, 선단부(52)가 개구(40)로 돌출됨과 동시에 경사부(60)의 경사면이 후방측 안쪽 면(42)의 경사면(42a)에 접촉된 상태로, 하우징(26)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접촉자(28)는, 그 후단부(54)에서 니들 리테이 너(30)에 의해 하우징(26)에 유지(保持)됨과 동시에, 탈락방지부(42b)와 돌출부(凸部)(62)에 의해 하우징(26)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가이드판(34)이 개구(40)의 제2 요소영역(40b)에 배치된다. 가이드판(34)은, 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하우징(26)의 나사 구멍(70)(도3참조)에 나합된 복수의 나사 부재(72)에 의해 하우징(26)에서 떼어 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접속 장치(10)는 분해가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조립된 접속 장치(10)를 분해할 때는, 상기와 반대의 작업으로 행한다.
접속 장치(10)에 조립된 상태에서, 각 접촉자(28)의 암(arm)부는, 도5(A)에 나타나 있듯이, 요소(凹所)(36) 안쪽으로부터 슬릿(38) 안으로 비스듬히 위쪽 및 전방으로 둥근 형태(弧狀)로 연장되고, 선단부(52)를 개구(40)로 돌출시켜, 선단부(52)의 선단면(66)을 하우징(26)의 개구(40) 내 및 가이드판(34)의 개구(68) 내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피검사체(12)가 가이드판(34)의 개구(68) 내에 삽입되므로, 각 접촉자(28)는 선단부(52)가 개구(68) 내에 위치하지 않은 형상이어도 된다.
조립된 접속 장치(10)는, 하우징(26)을 관통하여 기판(20)에 나합하는 복수의 나사 부재(74)에 의해, 기판(20)의 도전성 부분(24)을 갖는 면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접속 장치(10)가 기판(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접촉자(28)는, 외면(56)의 일부에서 니들 리테이너(30)에 의해 기판(20)의 도전성 부분(24)에 접 촉되고, 그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26)에서 접촉자(28)가 탈락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어, 접촉자(28)와 도전성 부분(24)이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니들 리테이너(30)의 양단부가 요소(36)의 양단부에 죄어 끼우는 상태로 감합됨과 동시에 니들 리테이너(30)의 중앙 영역이 접촉자(28)의 요소(凹所)(58)에 맞닿아 있으면, 하우징(26)에 대한 접촉자(28)의 위치 및 자세가 안정되고, 하우징(26)에서 접촉자(28)가 탈락하는 것이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
검사시, 피검사체(12)는, 위쪽에서 가이드판(34)의 개구(68)에 삽입된다. 이때, 접속 장치(10)에 대한 피검사체(12)의 위치가 어긋나 있으면, 피검사체(12)는, 개구(68)를 형성하고 있는 안쪽 면의 경사진 상반부에 맞닿고, 그 경사면을 따라 개구(開口)(68)의 중앙으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피검사체(12)는, 전극(16)이 접촉자(28)의 선단면(66)에 맞닿은 상태로, 접속 장치(10)에 수용된다.
접속 장치(10)에 배치된 피검사체(12)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누름체(押壓體)에 의해 눌려 내려가면, 각 접촉자(28)는, 오버 드라이브 OD에 의해, 외면(56)의 일부가 도전성 부분(24)에 눌려진 상태에서, 니들 리테이너(30)를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눌러 찌그러지도록 압축 변형시키면서, 도5(A)에 실선으로 나타낸 자세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자세(즉, 접촉자(28)의 후단이 위쪽으로 변위하는 상태)로, 니들 리테이너(30)의 주위를 각도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접촉자(28)와 도전성 부분(24)의 접촉 위치는,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변위한다. 이때, 니들 리테이너(30)의 반발력에 의해, 접촉자(28)를 그 외면(56)을 따라 후퇴시키는 힘이 접촉자(28)에 작용한다.
그러나, 후방측 안쪽 면(42)의 경사면(42a)이 위쪽이 전방측이 되는 상태로 수평면 및 수직면 모두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접촉자(28)는, 경사면(42a)에 맞닿고, 뒤이어 둥근면(弧面)(64)이 경사면(42a)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함으로써, 둥근면(64)이 침압(30)의 반발력에 기인해 후퇴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도전성 부분(24)에 대한 접촉자(28)의 미끄러짐이 저감되고, 도전성 부분(24) 및 접촉자(28)의 마모가 현저히 저감된다.
오버 드라이브 OD가 작용시, 접촉자(28)는 후방측 안쪽 면(42)의 경사부(42a)에 대한 접촉자(28)의 접촉 부분의 미끄러짐에 따라 변위하지만, 각 접촉자(28)의 후단의 아래쪽 모서리가 둥근면(64)으로 되어 있으므로, 경사면(42a)에 접촉된 접촉자(28)의 접촉 부분은 후방측 안쪽 면(42)의 경사면(42a)에 대하여 원활히 미끄러지고, 이에 따라 접촉자(28)는 확실히 전동(轉動)한다.
그러나, 각 접촉자(28)의 후단면이 요소(凹所)(36)의 안쪽을 향하는 후단면(42)의 경사면(42a)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각 접촉자(28)는, 둥근면(64)을 지렛목으로 도5(A)에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변위하고, 니들 리테이너(30)를 탄성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각 접촉자(28)의 선단부(52)는, 도5(A)에 나타나 있듯이, 선단면(66)이 전극(16)에 대하여 전방으로 거리(L1)만큼 크게 변위함과 동시에 도전성 부분(24)에 접촉된 접촉자(28)의 접촉 부분이 선단부(52)측으로 변화하므로, 전극(16)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막의 일부를 깎아 없애는 마찰 작용(또는 긁어 없애 는 작용)을 일으킨다.
상기와 같이, 피검사체(12)가 누름체(押壓體)에 의해 눌려 내려감으로써, 각 접촉자(28)가 도전성 부분(24)에 눌려지므로, 접속 장치(10)에 조립된 상태 또는 피검사체(12)가 누름체에 의해 눌려 내려가지 않는 상태에서, 각 접촉자(28)가 니들 리테이너(30)에 의해 도전성 부분(24)에 눌려져 있지 않도록, 접촉자(28)와 도전성 부분(24) 사이에 간극이 존재해도 된다.
수직면에 대한 경사부(60)의 각도는, 선단부(52)가 어떤 식으로 변위해도, 접촉자(28)의 후단의 일부, 특히 아래쪽 모서리의 둥근면(弧面)(64)이 경사면(42a)에 항상 접촉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전성 부분(24)과 접촉자(28)의 접점이 변화하여 도전성 부분(24)에 대한 접촉자(28)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수직면에 대한 접촉자(28)의 경사부(60)의 각도는, 수직면에 대한 경사면(42a)의 각도와 같아도 되며, 그보다 커도 된다. 즉, 수직면에 대한 경사부(60)의 각도는, 수직면에 대한 경사면(42a)의 각도 이상이면 된다. 또한,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60)를 접촉자(28)의 후단에 형성하는 대신에, 대응하는 부분을 둥근 형태(弧狀)의 오목면(凹面)으로 해도 된다.
접속 장치(10)에 있어서는, 각 접촉자(28)의 선단부(52)가 슬릿(38)에서 위쪽으로 크게 돌출하고 있으므로, 피검사체(12)의 위쪽, 특히 피검사체(12)와 접촉자(28)의 주요부(主部)(50) 사이에 커다란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 접촉자(28)의 선단면(66)이 피검사체(12)의 전극(16)에 눌려질 때 발생하는 부스러기는 선단면(66)에서 낙하하고, 선단면(66) 및 그 근방에 퇴적되는 일이 저감된다. 그 결과, 접촉자(28)와 전극(16)간의 접촉 저항이 저감되어, 정확한 통전 시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접촉자(28)의 선단면(66)이 접촉자(28)의 두께 치수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면, 부스러기가 선단면(66)에서 확실히 낙하하고, 선단면(66) 및 그 근방으로 부스러기가 축적되는 일이 확실히 저감되며, 접촉자(28)와 전극(16)간의 접촉 저항이 보다 확실히 저감되어, 보다 정확한 통전 시험을 행할 수 있다.
더욱이, 각 접촉자(28)의 선단부(52)가, 접촉자(28)에 삽입된 피검사체(12)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부스러기가 선단면(66)에서 보다 확실히 낙하하고, 선단면(66) 및 그 근방으로 부스러기가 축적되는 일이 보다 확실히 저감되어, 접촉자(28)와 전극(16)간의 접촉 저항이 보다 확실히 저감되어, 보다 정확한 통전 시험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적 시험이 반복되면, 접촉자(28)의 선단면(66)은 전극(16)과의 마찰 작용에 의해, 도5(B)에 나타나 있듯이 마모된다. 그러나, 접촉자(28)에 오버 드라이브가 작용했을 때 전극(16)에 대한 전방으로의 선단면(66)의 변위량은, 거리(L2)와 비교해 근소하게 감소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도5(A) 및 (B)는 모두 접촉자(28)를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14도 만큼 각도적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상태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7은, 접촉자에 오버 드라이브가 작용했을 때 전극에 대한 전방으로의 각종 접촉자(28)의 선단면(66), (66a) 및 (66b)의 변위량(L), (La) 및 (Lb)을 측정한 실 험 결과를 나타낸다. 어느 경우나, 접촉자에 오버 드라이브를 작용시킴으로써, 접촉자를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14도 만큼 각도적으로 회전시킨다.
각각의 접촉자(28)의 형상 등은, 선단부를 제외하고, 위에서 서술한 접촉자와 같다. 선단면(66)을 갖는 선단부 및 선단면(66a)을 갖는 선단부는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치수(T), (H), (W), (R)(도6참조)를 갖는다.
선단면(66)을 갖는 선단부는 피검사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크게 연장되어 있다. 선단면(66)을 갖는 선단부의 치수(T), (H), (W) 및 (R)은, 각각 0.15mm, 0.16mm, 0.05mm 및 0.025mm이었다.
선단면(66a)을 갖는 선단부는, 전방측을 향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크게 연장되어 있다. 선단면(66a)을 갖는 선단부의 치수(T), (H), (W) 및 (R)은, 각각 0.15mm, 0.16mm, 0.05mm 및 0.025mm이었다.
선단면(66b)을 갖는 선단부는 피검사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동시에, 선단부(52)의 두께 치수(T)와 거의 같은 곡률 반경(R) 및 폭 치수(W)를 갖고 있으나, 도7에 나타나 있듯이, 선단면(66) 및 (66a)을 갖는 선단부의 신장량(伸長量), 기타 치수 및 형상에 있어서는 달리하고 있다. 선단면(66b)을 갖는 선단부의 치수(T), (H), (W) 및 (R)은 각각 0.15mm, 0.078mm, 0.1mm 및 0.05mm이었다.
도7에서, 일점쇄선(一点鎖線)으로 나타낸 곡선(80), (80a) 및 (80b)는 각각, 선단면(66), (66a) 및 (66b)의 정점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다.
도7의 실험결과에서, 선단면의 변위량(L), (La) 및 (Lb)은, 선단면(66)을 갖 는 선단부가 (L)=0.093mm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선단면(66a)을 갖는 선단부가 (La)=0.08mm로 크며, 선단면(66b)를 갖는 선단부가 (Lb)=0.058mm로 가장 작다는 것이 밝혀졌다.
도8은, 접촉자에 오버 드라이브가 작용했을 때 전극에 대한 전방으로의 다른 각종 접촉자(28)의 선단면(66c), (66d) 및 (66e)의 변위량 (Lc), (Ld) 및 (Le)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어느 경우나, 접촉자에 오버 드라이브를 작용시킴으로써, 접촉자를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14도 만큼 각도적으로 회전시킨다.
각각의 접촉자(28)의 형상 등은, 선단부를 제외하고, 이미 서술한 접촉자와 같다. 또한, 각각의 접촉자(28)의 선단부는, 돌출 방향 및 돌출 치수(H)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 같은 치수(T), (R) 및 (W)를 갖는다.
선단면(66c)을 갖는 선단부는 피검사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크게 연장되어 있다. 선단면(66c)을 갖는 선단부의 치수(T), (H), (W) 및 (R)은, 각각 0.15mm, 0.2mm, 0.1mm 및 0.5mm이었다.
선단면(66d)을 갖는 선단부는,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크게 연장되어 있다. 선단면(66d)을 갖는 선단부의 치수(T), (H), (W) 및 (R)은, 각각 0.15mm, 0.167mm, 0.1mm 및 0.5mm이었다.
선단면(66e)을 갖는 선단부는, 선단면(66c)를 갖는 선단부와 마찬가지로 피검사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크게 연장되어 있다. 선단면(66e)을 갖는 선단부의 치수(T), (H), (W) 및 (R)은, 각각 0.15mm, 0.078mm, 0.1mm 및 0.5mm이었다.
도8에서, 일점쇄선(一点鎖線)으로 나타낸 곡선(80c), (80d) 및 (80e)은, 각각 선단면(66c), (66d) 및 (66e)의 정점의 이동 궤적을 나타낸다.
도8에 나타난 실험 결과에서, 선단면의 변위량(Lc), (Ld) 및 (Le)은, 선단면(66c)을 갖는 선단부가 (Lc)=0.086mm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선단면(66d)을 갖는 선단부가 (Ld)=0.06mm로 크며, 선단면(66e)을 갖는 선단부가 (L)=0.058mm로 가장 작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 양 실험에서, 선단면의 변위량이 클수록, 선단면이 한번 변위할 때 발생하는 부스러기양은 많아지지만, 선단면 및 그 근방에 부착되어 있는 부스러기가 선단면 및 그 근방에서 낙하하기 쉽다는 점, 선단부(52), 특히 선단면(66)측 부분의 폭 치수(슬릿(38)의 길이 방향의 치수)가 작을수록, 부스러기가 선단면(66)에서 낙하하기 쉽다는 점, 그리고 선단면(66)의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부스러기가 선단면(66)에서 낙하하기 쉽다는 점이 밝혀졌다.
특히, 선단부(52)가 피검사체(12)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하고 있으면, 상기와 같은 효과가 현저히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단부(52)가 접촉자(28)의 두께 치수(T)보다 크게 슬릿(38)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슬릿(3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형태(弧狀)의 선단면(66)을 갖는다면, 선단부(52)는 피검사체(12)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피검사체(12)에 대한 선단부(52)의 경사 각도는, 도7 및 도8의 예에서, 45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장치(10)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접촉자(28)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 즉, needle presser)(30)의 구조가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접촉자(28)끼리의 전기적 단락(短絡)이 확실히 방지되어, 접속 장치(10)의 제작이 용이하다.
피검사체(12)가 접속 장치(10)에 정확히 배치되고, 피검사체(12)의 전극(16)이 접속자(28)의 선단부(52)에 확실히 접촉한다.
접촉자(28)가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30)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소정의 침압(針壓, needle pressure)을 도전성 부분(24)과 접촉자(28)간에 작용시킬 수 있고, 마찰 작용을 전극(16)에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접속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2-2선을 따라 얻은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난 접속 장치의 가이드판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난 접속 장치의 접촉자 근방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5는, 도1의 5-5선을 따라 얻은 확대 단면도로서, 접촉자에 오버 드라이브를 작용시킨 상태와 작용시키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접촉자의 선단이 마모해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접촉자의 선단이 마모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6은, 도1에 나타난 전기적 접속 장치로 이용하는 접촉자의 위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7은, 피검사체의 전극에 대한 각종 선단부를 갖는 접촉자의 선단면의 변위량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피검사체의 전극에 대한 다른 각종 선단부를 갖는 접촉자의 선단면의 변위량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전기적 접속 장치 12: 피검사체
14: 본체 16: 전극
20: 기판 22: 판재
24: 도전성 부분 26: 하우징
28: 접촉자 30: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
34: 가이드판 36: 요소(凹所)
38: 슬릿 40: 하우징의 개구(開口)
42: 후방측 안쪽 면 42a: 경사면
42b: 탈락방지부 44: 요소의 둥근면(弧面)
46: 하우징의 판상부(板狀部) 50: 접촉자의 주요부(主部)
52: 접촉자의 선단부 54: 접촉자의 후단부
56: 접촉자의 외면 58: 접촉자의 요소(凹所)
60: 접촉자의 후단의 경사부 62: 접촉자의 후단의 돌출부(凸部)
64: 접촉자의 둥근면(弧面) 66: 접촉자의 선단면
68: 가이드판의 요소(凹所)

Claims (12)

  1. 기판에 형성된 도전성 부분과, 검사해야 할 피검사체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판상의 접촉자로서,
    만곡되어 상기 도전성 부분을 향하고 있는 외면을 갖는 주요부(主部), 상기 주요부의 선단측에 이어지고 상기 주요부의 선단측에서 위쪽으로 또는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하는 선단부, 및 상기 주요부의 후단측에 이어지는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는, 상기 선단측에서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 이상으로 크게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피검사체를 삽입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 또는 비스듬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형태(弧狀)의 선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면은,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그 접촉자에 삽입된 피검사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경사져서 연장하는 선단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경사진 전후 방향의 폭 치수가 거의 일정한 값이 되는 형상 및 상기 선단면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영역은, 상기 전후 방향 또는 상기 경사진 전후 방향의 폭 치수가,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거의 일정한 값이 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자.
  6. 기판에 부착되어, 그 기판에 형성된 도전성 부분과 피검사체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장치로서,
    수평면 내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아래쪽으로 개방하는 홈 형태의 요소(凹所)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면 내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슬릿으로서 각각이 후단부측에서 상기 요소에 연통되어 적어도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복수의 슬릿을 갖추고 있는 하우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접촉자로서, 각 접촉자의 상기 외면이 상기 도전성 부분을 향하고, 상기 주요부가 상기 요소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선단부가 상기 전극에 상대적으로 눌려지도록 상기 슬릿에서 위쪽 으로 돌출되고, 상기 후단부가 상기 요소에 위치된 복수의 접촉자; 및
    상기 요소(凹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자의 상기 외면의 일부를 상기 도전성 부분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접촉자의 상기 외면과 반대측 부분에 맞닿는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적어도 위쪽이 전방이 되는 상태로 수평면 및 수직면 모두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후방측 안쪽 면을 갖추고 있고;
    각 접촉자의 후단부는,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을 향해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경사면에 맞닿는 후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 접촉자의 상기 후단은,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의 상기 경사면과 대향된 경사면으로서 위쪽이 전방이 되는 상태로 상기 수평면 및 상기 수직면 모두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의 상기 경사면과 각 접촉자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선단면과 상기 전극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맞닿아 있고, 각 접촉 자의 상기 후단의 아래쪽 모서리는, 둥근 형태로 만곡(灣曲)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의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은, 또한, 상기 접촉자가 상기 요소에서 탈락하는 것을 각 접촉자의 상기 후단부와 공동으로 방지하는 탈락방지부를 상기 후방측 안쪽 면의 상기 경사면의 위쪽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락방지부는, 위쪽이 후방을 향하도록 그 탈락방지부의 상기 경사면의 상단에서 후퇴된 걸림면(係合面)을 포함하고, 각 접촉자의 상기 후단은, 상기 걸림면에 걸릴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그 접촉자의 상기 경사면의 위쪽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12. 기판에 부착되어, 그 기판에 형성된 도전성 부분과 피검사체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장치로서,
    수평면 내를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아래쪽으로 개방하는 홈 형태의 요소(凹所),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면 내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하고 각각이 후단부 측에서 상기 요소에 연통되어 적어도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복수의 슬릿을 갖추고 있는 하우징;
    각각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도전성 부분과 상기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판상(板狀)의 복수의 접촉자로서, 각각이, 만곡(灣曲)되어 상기 도전성 부분을 향하고 있는 외면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요소 및 상기 슬릿에 삽입된 주요부(主部), 상기 주요부의 선단측에 이어지며 상기 전극에 상대적으로 눌려지도록 상기 슬릿에서 위쪽으로 또는 비스듬히 위쪽으로 돌출하는 선단부, 및 상기 주요부의 후단측에 이어지며 상기 요소에 위치된 후단부를 갖추고 있는 복수의 접촉자; 및
    상기 요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자의 상기 외면의 일부를 상기 도전성 부분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접촉자의 상기 외면과 반대측 부분에 맞닿는 니들 리테이너(針押, needle retainer);
    를 포함하며, 각 접촉자의 상기 선단부는, 그 접촉자의 두께 치수 이상으로 상기 슬릿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 또는 비스듬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둥근 형태(弧狀)의 선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KR1020080099848A 2007-10-23 2008-10-10 접촉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 장치 KR101001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5074A JP5113481B2 (ja) 2007-10-23 2007-10-23 接触子及びこれを用いる電気的接続装置
JPJP-P-2007-275074 2007-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315A true KR20090041315A (ko) 2009-04-28
KR101001642B1 KR101001642B1 (ko) 2010-12-17

Family

ID=4049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848A KR101001642B1 (ko) 2007-10-23 2008-10-10 접촉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3693B2 (ko)
JP (1) JP5113481B2 (ko)
KR (1) KR101001642B1 (ko)
CN (1) CN101419244B (ko)
DE (1) DE102008052360B4 (ko)
TW (1) TW2009243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6579B2 (ja) * 2011-04-08 2016-04-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記録装置
EP2919020A4 (en) * 2012-11-07 2016-07-2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NNECTION CLAMP AND CONDUCTIVITY INSPECTION DEVICE THEREFOR
TWI657362B (zh) 2015-03-23 2019-04-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US9343830B1 (en) * 2015-06-08 2016-05-17 Xcerra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chip tester with embedded micro link
US10908182B2 (en) * 2016-06-28 2021-02-02 Kabushiki Kaisha Nihon Micronics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nd contact
WO2020022085A1 (ja) * 2018-07-27 2020-01-30 日置電機株式会社 測定装置
CN111060802A (zh) * 2019-11-28 2020-04-24 苏州韬盛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大电流测试以及高频测试的金属接触器
KR20230015824A (ko) * 2020-04-07 2023-01-31 스미스 인터커넥트 아메리카스, 인크. 반도체 집적 회로를 위한 테스트 소켓
CN115877170A (zh) * 2021-09-27 2023-03-31 史密斯互连美洲公司 具有擦拭触件的测试插座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02022U (en) * 1996-09-20 1997-04-01 Tian-Yi Chen Conducting interface apparatus for testing jig of integrated circuit
US5888075A (en) * 1997-02-10 1999-03-30 Kabushiki Kaisha Nihon Micronics Auxiliary apparatus for testing device
JP2001035578A (ja) * 1999-05-14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回路装置のテスト用ソ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23874A (ja) 2001-10-16 2003-04-25 Micronics Japan Co Ltd 接触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的接続装置
US7121842B2 (en) * 2004-01-13 2006-10-17 Kabushiki Kaisha Nihon Micronics Electrical connector
JP4592292B2 (ja) * 2004-01-16 2010-12-01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続装置
JP4395165B2 (ja) * 2004-06-03 2010-01-06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4472002B2 (ja) * 2005-04-21 2010-06-02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続装置
TWM302022U (en) 2006-05-29 2006-12-01 Tangerine System Co Ltd Transmitting interface apparatus of integrated circuit test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04795A1 (en) 2009-04-23
KR101001642B1 (ko) 2010-12-17
US7753693B2 (en) 2010-07-13
DE102008052360A1 (de) 2009-04-30
TWI376841B (ko) 2012-11-11
TW200924314A (en) 2009-06-01
JP5113481B2 (ja) 2013-01-09
JP2009103563A (ja) 2009-05-14
DE102008052360B4 (de) 2019-07-11
CN101419244B (zh) 2012-10-10
DE102008052360A8 (de) 2009-08-13
CN101419244A (zh)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642B1 (ko) 접촉자 및 이를 이용한 전기적 접속 장치
CN111007289B (zh) 检查单元
EP3156805B1 (en) Probe pi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TWI399897B (zh) 半導體機電性接觸
KR101049767B1 (ko) 전기적 접속장치
KR102366546B1 (ko)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CN109073679B (zh) 探针以及利用该探针的电子设备
JP2006177971A (ja) 電気デバイスの検査方法
KR101071561B1 (ko) 전기적 접속장치
JPH11248745A (ja) 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ミクロ構造用の試験ヘッド
JP5147227B2 (ja) 電気的接続装置の使用方法
KR19980032242A (ko) 프로브 조립체 및 프로브
JP2006234428A (ja)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検査装置
CN105988027B (zh) 线型探针用治具
US20090267629A1 (en) Contact for interconnect system in a test socket
US10622744B2 (en) Multipole connector
KR100692179B1 (ko) 평판디스플레이 검사를 위한 프로브 조립체
KR101378717B1 (ko) 전기적 접촉자 및 전기적 접촉자의 접촉방법
JP5491790B2 (ja) プローブ装置
CN112969923A (zh) 接触针及插座
CN112345802A (zh) 电触头及电连接装置
CN211263556U (zh) 探针及测试装置
JP5491789B2 (ja) プローブ装置
SG185157A1 (en) Electrical interconnect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