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259A -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259A
KR20090039259A KR1020070104792A KR20070104792A KR20090039259A KR 20090039259 A KR20090039259 A KR 20090039259A KR 1020070104792 A KR1020070104792 A KR 1020070104792A KR 20070104792 A KR20070104792 A KR 20070104792A KR 20090039259 A KR20090039259 A KR 20090039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neuropathic pain
mistletoe
homoflavoyadorin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217B1 (ko
Inventor
양현옥
김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2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비스쿰네오시드 Ⅲ(Viscumneoside Ⅲ) 또는 호모플라보야도린 B(Homoflavoyadorin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우수한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외상이나 염증, 허혈성 손상 또는 대사산물에 의한 신경 손상으로 야기되는 난치성 질환인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로 뿐만 아니라 식품 첨가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겨우살이, 신경병증성 통증, 비스쿰네오시드 Ⅲ, 호모플라보야도린 B, 염증, 허혈성 손상

Description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COMPRISING AN EXTRACT OF LORANTHUS YADORIKI OR ACTIV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본 발명은 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비스쿰네오시드 Ⅲ(Viscumneoside Ⅲ) 또는 호모플라보야도린 B(Homoflavoyadorin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은 외상이나 염증, 허혈성 손상 또는 대사산물에 의한 신경 손상으로 야기되는 난치성 질환으로 자발통, 작열통, 이질통, 통각과민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제로는 칼슘 채널에 작용하는 가바펜틴(Gabapentin), 프레가발린(Pregabalin)과 같은 항경련제; 나트륨 채널에 작용하는 카바마제핀(Carbamazepine)과 같은 항경련제; SNRI(Serotonin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계열 항우울제; 및 응급 시에만 추천되는 아편류 등의 4가지 계열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병 용되지만, 각 계열의 약제들이 모두 비슷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어 오히려 이러한 병용으로 인해 환자에 따라서는 부작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는 반면, 치료효과는 저조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제는 보통 환자에게 장기적으로 투여되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제는 독성이 적고 경구투여가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이에 신경병증성 통증에 효과적인 억제제로서 독성이 미비한 약제 및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동의보감 국역위원회, 동의보감 국역증보, 남산당, 1217, 서울, 1988)에 따르면, 겨우살이 중 상기생(뽕나무 겨우살이)은 성질이 평(平)하며 맛은 쓰고[苦] 달며[甘] 독이 없고 요통과 관절염에 효과가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서양에서는 겨우살이가 황금가지라고 불릴 정도로 약효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겨우살이는 기생식물로서 그 기생하는 숙주에 따라 뽕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 상기생), 참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유기생)와 동백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Pseudicis ramulus, 영기생) 등으로 분류된다(김재길, 원색천연약물 대사전(하권), 138, 남산당, 서울, 1989).
겨우살이 추출물은 1920년대에 in vitroin vivo에서의 항암작용이 밝혀지면서 관심이 집중되었고 그 이후에 많은 연구 논문들이 보고되었다(Taek Joon Yoon 등,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1881-1889, 2001; Gorter RW 등,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 Medicine 5(6): 37-44, 47-8, 1999; Hajto T 등, Forschende Komplementarmedizin 6(4): 186-94, 1999; Vehmeyer K 등, European Journal of Haematology 60(1): 16-20, 1998; Bruseth S 등, Tidsskrift for Den Norske Laegeforening 113(9): 1058-60, 1993; Kast A 등, Schweizerische Rundschau fur Medizin Praxis 79(11): 332-4, 1990; Stein GM 등, Anticancer Research 20(3A): 1673-8, 2000; Kunze E 등, Journal of Cancer Research & Clinical Oncology 126(3): 125-38, 2000; Stein GM 등, Anticancer Research 19(4B): 2925-8, 1999 Jul-Aug.; Yoon TJ 등, Cancer Letters 97(1): 83-91, 1995; Mannel DN 등, Immunotherapy 33(3): 177-82, 1991; Bussing A 등, Anticancer Research 19(1A): 23-8, 1999; 및 Weber K 등, Arzneimittel - Forschung 48(5): 497-502, 1998).
겨우살이 추출물에서 분리된 항암 활성성분은 대부분이 렉틴류(Lectin)이고 일부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보고되었으나(Khwaja TA 등, Oncology 43 Suppl 1: 42-50, 1986), 아직까지 이들의 구조는 규명되지 않았다. 또한 겨우살이는 당뇨병(Gray AM 및 Flatt PR, Journal of Endocrinology 160(3): 409-14, 1999)의 치료제로도 기대되어 민간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치료효과는 렉틴이 아닌 다른 활성성분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겨우살이의 항혈전 효과 및 그 활성성분에 대한 연구(Hyun Ok Yang 등, Natural Product Sciences 8(4), 2002)와 한국산 겨우살이 물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cytotoxcity)(Park JH 등, Cancer Letters 126(1): 43-8, 1998)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겨우살이 추출물 중 렉틴이 종양세포에서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고(Yoon TJ 등, Cancer Letters. 136(1): 33-40, 1999), 겨우살이 자체가 종양전이에 대해 예방 효과를 가짐이 보고 되었다(Yoon TJ 등,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harmacology 20(4-5): 163-72, 1998). 이 외에도 겨우살이가 항암 및 면역 조절작용이 있으며, 그 활성성분으로 당분과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렉틴(1-14)과 다수의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 식물스테롤류(Ohta N, Agric . Biol . Chem. 34: 900-907, 1970; Sam S 등, Thrombosis Research 98: 531-540, 2001) 등이 규명되었다.
그러나 겨우살이 추출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그동안 규명되지 않았던 겨우살이 추출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능을 발견하고, 이로부터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능을 나타내는 활성성분을 분리, 정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상이나 염증, 허혈성 손상 또는 대사산물에 의한 신경 손상으로 야기되는 난치성 질환인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갖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비스쿰네오시드 Ⅲ와 호모플라보야도린 B를 포함하고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되고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비스쿰네오시드 Ⅲ(Viscumneoside Ⅲ)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되고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호모플라보야도린 B(Homoflavoyadorin B)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스쿰네오시드 Ⅲ, 호모플라보야도린 B, 상기 화합물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 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비스쿰네오시드 Ⅲ, 호모플라보야도린 B, 상기 화합물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겨우살이 추출물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능을 갖는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외상이나 염증, 허혈성 손상 또는 대사산물에 의한 신경 손상으로 야기되는 난치성 질환인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스쿰네오시드 Ⅲ 및 호모플라보야도린 B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겨우살이 추출물은 음건하여 세절한 겨우살이의 부피에 대하여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20 내지 100℃에서 1시간 내지 10일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3일간 추출하고 냉각 및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물,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부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공정은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냉침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겨우살이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겨우살이 또는 이의 건조물에 5 내지 10배 부피의 100%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2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환류 냉각 하에 추출한 후 여지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그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겨우살이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겨우살이 또는 이의 건조물에 1 내지 20배 부피의 증류수를 가하고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에서 3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6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여지를 사용하여 상압 하에서 여과하고 그 여액을 동결 건조하여 겨우살이 물 추출물을 제조한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로부터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으로 비스쿰네오시드 Ⅲ 및 호모플라보야도린 B를 분리, 정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을 에테르(ether), 헥산(hexan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 추출한다. 이때 비극성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에틸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겨우살이의 메탄올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획득한 메탄올 가용 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헥산으로 추출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과 증류수 분획으로 분리한다. 상기 증류수 분획에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가하고 추출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가용성 분획과 증류수 분획으로 분리하고, 이로부터 분리된 증류수 분획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과 증류수 분획으로 분리한다. 수득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을 분리, 정제하기 위하여 용출용매의 단계적 농도구배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다(도 1 참조).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RP-18, 폴리아미드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충진제를 이용한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용출용매로 메틸렌클로라이드와 메탄올의 혼합용액을 사용하고,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용출용매로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액을 사용하는데, 이때 메탄올 농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는 농도구배 용출방식(gradient elution)으로 용출 분획한다.
상기 과정에 의해 겨우살이 추출물로부터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1의 비스쿰네오시드 Ⅲ(viscumneoside Ⅲ) 및 화학식 2의 호모플라보야도린 B(Homoflavoyadorin B)를 분리, 정제한다.
Figure 112007074430706-PAT00001
Figure 112007074430706-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비스쿰네오시드 Ⅲ 및 화학식 2의 호모플라보야도린 B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무기산 또는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에 당 분야에 공지된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과 같은 무기산,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구연산, 폼산, 말레산, 수산, 호박산, 벤조산, 주석산, 푸마르산, 만델산, 아스코르브산 또는 말산 등의 유기 카복실산, 메탄설폰산, 또는 파라-톨루엔설폰산 등을 부과하여 얻은 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산부가염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기타의 산, 예를 들면 옥살산 등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2의 화합물은 또한 염기를 이용하여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염기로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예: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알칼리금속 중탄산염(예: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 알칼리금속 탄산염(예: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등과 같은 무기 염기와 1차, 2차, 3차 아민 아미노산과 같은 유기 염기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또한 용매화물, 특히 수화물의 형태일 수 있다. 수화는 상기 화합물을 분리하는 동안 일어날 수 있거나 또는 화합물의 흡습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들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통증이 유발된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이들이 우수한 항이질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한다(표 1 내지 5도 2 내지 6 참조). 또한, 본 발명의 겨우살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중 비스쿰네오시드 Ⅲ는 10 ㎎/㎏의 소량으로 투여하여도 300 ㎎/㎏의 가바펜틴이 투여된 군과 통계적으로 유사하거나 이보다 우수한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면서도(표 6도 7 참조), 가바펜틴의 단점인 졸림, 운동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독성을 나타내 지 않음을 확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들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유용한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를 위한 경구 치료제로서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 및 붙이는 패치 제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신경 손상,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으로 인한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게 더욱 안전하게 처방될 수 있으며 장기 복용이 용이한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겨우살이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 정제된 비스쿰네오시드 Ⅲ 또는 호모플라보야도린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겨우살이 추출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된 것이 바람직하나, 단순히 용매 추출법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비스쿰네오시드 Ⅲ 및 화학식 2의 호모플라보야도린 B는 겨우살이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하거나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신경병증성 통증이란 외상이나 염증, 허혈성 손상 또는 대사산물에 의한 신경 손상 등에 의해 통증을 전달하는 말초·중추신경이 통증 통제센터에 잘못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로 인해 통증의 원인이 없는데도 통증을 느끼게 되는 난치성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종류의 신경병증성 통 증 억제제와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당 분야에 통상적인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활성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덱스트린(dextrin),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락토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 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겨우살이 추출물, 비스쿰네오시드 Ⅲ, 호모플라보야도린 B, 상기 화합물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1일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할 때 겨우살이 추출물은 1일 0.01 내지 10,0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 ㎎/㎏ 체중의 범위, 비스쿰네오시드 Ⅲ 및 호모플라보야도린 B 각각은 0.01 내지 1,000 ㎎/㎏ 체중,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 체중의 범위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 비스쿰네오시드 Ⅲ, 호모플라보야도린 B, 상기 화합물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갖는 건강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겨우살이 추출물, 비스쿰네오시드 Ⅲ 또는 호모플라보야도린 B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면 각종 식품류, 음료수, 껌류, 차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경우,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 중량%로 첨가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에는 100 ㎖를 기준으로 0.01 내지 90 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의 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필수성분으로서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을 지시된 비율로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액체 성분의 종류 및 함량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콜을 포함한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 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 100 ㎖ 당 일반적으로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겨우살이 추출물의 제조
<1-1>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2004년 4월에 강원도 치악산에서 채집하여 상온에서 음건하여 세절된 건조 겨우살이 2 ㎏에 10 ℓ의 100% 메탄올을 가한 후 약 3시간 동안 환류 냉각 하에서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지를 사용하여 상압 하에서 여과(filtering)하였다. 이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 160 g을 수득하였다(도 1)
<1-2> 겨우살이 물 추출물의 제조
2004년 4월에 강원도 치악산에서 채집하여 상온에서 음건하여 세절된 건조 겨우살이 200 ㎏에 증류수 1 ℓ를 가하고 90 내지 100℃에서 6시간씩 2회 가열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지를 사용하여 상압 하에서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겨우살이 물 추출물 6.73 g을 수득하였다(도 1).
< 실시예 2> 활성성분의 분리, 정제 및 동정
<2-1> 비극성 용매 추출
겨우살이 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 160 g을 증류수 1 ℓ에 현탁시키고 n-헥산(n-hexane)을 1 ℓ씩 가하여 세게 흔들어 섞은 후 분획이 되도록 방치하였다. 헥산으로 3회 추출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과 증류수 분획으로 분리하였고, 상기 증류수 분획에 메틸렌클로라이드(methlyene chloride, CH2Cl2)를 1 ℓ 가하고 추출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가용성 분획과 증류수 분획으로 분리하였다. 상기 메틸렌클로라이드 가용성 분획을 제외한 나머지 증류수 분획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1 ℓ를 가하고 추출하였고, 이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5 g을 수득하였다(도 1).
<2-2> 비스쿰네오시드 Ⅲ의 분리, 정제 및 동정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4.5 g을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용매를 용출용매로 사용하는 실리카겔(70-230 mesh, 350 g) 컬럼(φ=3.0× 50 ㎝)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이때, 용출용매를 유속 5 ㎖/분으로 흘려주면서 메탄올의 농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주는 농도구배 용출법(20:1→1:1)을 이용하였다. 이로부터 KW-E1(1.05 g), KW-E2(0.87 g), KW-E3(0.56 g), KW-E4(1.2 g) 및 KW-E5(0.3 g)의 총 5개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들 중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분획 KW-E4 1.0 g을 메탄올/물 혼합용매를 용출용매로 사용하는 역상 실리카겔(Reverse Phase, C18, 350 g) 컬럼(φ=2.0× 40 ㎝)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이때, 용출용매를 유속 1 ㎖/분으로 흘려주면서 메탄올의 농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주는 농도구배 용출법(1:1→9:1)을 이용하였다. 이로부터 총 6개의 분획(KW-E4-A 내지 KW-E4-F)을 수득하였고, 이들 중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분획 KW-E4-B로부터 170 ㎎의 화합물 1을 분리하였다(도 1). 상기 화합물 1을 H-NMR, C-NMR, EI-MS 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이 비스쿰네오시드 Ⅲ임을 확인하였다.
UV λmax MeOH nm: 282, 222, 248, EI-MS(m/z): 596 C27H32O15, m/e: 596.17(100%), 597.18(30.1%), 598.18(7.5%), 599.18(1.3%)
1H-NMR(500 MHz, CDCl3): δ 2.71(1H, dd, J=3.0, 17.4 Hz, H-3), 3.15(1H, dd, J=8.5, 19.5 Hz, H-3), 3.32(1H, m, H-4"), 3.45(1H, m, H-5"), 3.49(2H, s, H-5"), 3.62(1H, m, H-2"), 3.64(1H, H-4"'), 3.75(1H, d, J=9.5 Hz, H-6"), 3.82(1H, H-4"'), 3.88(3H, s, C-3'-OCH3), 3.91(1H, s, H-2'"), 3.94(1H, dd, J=4.5, 9.5 Hz, H-6"), 5.01(1H, d, J=2.5 Hz, H-1"), 5.37(1H, m, H-1'"), 5.38(1H, d, J=1.0 Hz, H-1'"), 6.12(1H, d, J=2.5 Hz, H-8), 6.15(1H, d, J=2.5 Hz, H-6), 6.78(1H, d, J=8.1 Hz, H-5'), 6.88(1H, d, J=8.1 Hz, H-6'), 7.04(1H, s, H-2')
13C-NMR(125 MHz, CDCl3): δ 44.3(C-3), 56.6(C-3'-OCH3), 62.3(C-6"), 65.9(C-5"), 71.2(C-4"), 75.4(C-4"'), 78.1(C-2"'), 80.7(C-3"'), 80.9(C-2), 96.9(C-6), 98.0(C-8), 99.8(C-1"), 105.0(C-10), 110.9(C-1"'), 111.4(C-2'), 116.2(C-5'), 120.7(C-6'), 130.5(C-1'), 148.2(C-3'), 149.2(C-4'), 165.0(2C, C-5, 9), 166.8(C-7), 198.6(C-4)
<2-3> 호모플라보야도린 B의 분리, 정제 및 동정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4.5 g을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혼합용매를 용출용매로 사용하는 실리카겔(70-230 mesh, 350 g) 컬럼(φ=3.0× 50 ㎝)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이때, 용출용매를 유속 5 ㎖/분으로 흘려주면서 메탄올의 농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주는 농도구배 용출법(20:1→1:1)을 이용하였다. 이로부터 KW-E1(1.05 g), KW-E2(0.87 g), KW- E3(0.56 g), KW-E4(1.2 g) 및 KW-E5(0.3 g)의 총 5개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들 중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분획 KW-E4 1.0 g을 메탄올/물 혼합용매를 용출용매로 사용하는 역상 실리카겔(Reverse Phase, C18, 350 g) 컬럼(φ=2.0× 40 ㎝)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이때, 용출용매를 유속 1 ㎖/분으로 흘려주면서 메탄올의 농도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주는 농도구배 용출법(1:1→9:1)을 이용하였다. 이로부터 총 6개의 분획(KW-E4-A 내지 KW-E4-F)을 수득하였고, 이들 중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분획 KW-E4-E로부터 160 ㎎의 화합물 2를 분리하였다. 상기 화합물 2를 H-NMR, C-NMR, EI-MS 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이 호모플라보야도린 B임을 확인하였다.
UV λmax MeOH nm: 343.5, 286.5, 269.0, 257.5, 250.5, 232.5, 214.5, EI-MS(m/z): 608 C28H32O15, m/e: 59608.17(100%), 609.18(31.2%), 610.18(7.8%), 611.18(1.4%)
1H-NMR(500 MHz, CDCl3): δ3.12(1H, m, H-4"), 3.28(2H, br s, H-5"), 3.41(1H, m, H-5"), 3.44(1H, m, H-6") 3.50(1H, m, H-3"), 3.59(1H, m, H-2"), 3.59(1H, d, J=9.5 Hz, H-4'"), 3.69(1H, m, H-6"), 3.76(1H,br s, H-2'"), 3.88(3H, s, C-3'-OCH3), 3.90(3H, s, C-3'-OCH3), 4.06(1H, d, J=9.5 Hz, H-4'"), 5.14(1H, d, J=7.7 Hz, H-1"), 5.42(1H, br s, H-1'"), 6.40(1H, d, J=1.5 Hz, H- 6), 6.86(1H, d, J=1.5 Hz, H-8), 7.08(1H, s, H-3), 7.22(1H, d, J=8.6 Hz, H-5'), 7.65(1H, s, H-2'), 7.68(1H, d, J=8.6 Hz, H-6')
13C-NMR(125 MHz, CDCl3): δ55.9(2C, C-3'-OCH3 , C-3', C-7), 64.3(C-5"), 69.8(C-4"), 73.9(C-4'"), 74.7(C-2"), 76.0(C-2'"), 76.1(C-6"), 76.8(C-5"), 77.0(C-3"), 79.3(C-3'"), 93.1(C-8), 97.9(C-6), 98.1(C-1"), 104.3(C-3), 104.8(C-10), 108.3(C-1"'), 110.0(C-2'), 114.6(C-5'), 119.9(C-6'), 124.1(C-1'), 148.9(C-4'), 149.1(C-3'), 157.2(C-9), 161.4(C-5), 163.4(C-2), 165.1(C-7), 182.1(C-4)
< 실험예 1>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1-1>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동물실험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한 동물실험은 세계통증연구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의 윤리 규정에 따라 시행되었다.
실험동물은 수술 당시 체중이 180 내지 200 g 정도인 6주령의 수컷 백서(Sprague Dawley rat)를 이용하였고 수술 1주일 전에 사육실에 도착하도록 하여 사육실 분위기에 적응시켰다. 사육실에서는 물과 먹이가 충분히 공급되는 상황 하에서 일정한 광주기성(낮: 오전 6시-오후 6시)을 유지하며 적응시켰고, 4마리씩 깔 집이 있는 통에 사육하였고, 실험기간 동안 일정 온도(20 내지 24℃) 및 일정 습도(40 내지 60%)를 유지하였다.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 쥐의 제작 및 행동검사는 문헌(Kim SH 및 Chung JM, Pain 50: 255-63, 199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수술 전 1주일 동안 3회의 기계적 회피반응 실험을 수행하여 실험 시의 상황에 익숙하게 하고 이러한 통증 행동검사에서 3회 모두 통증 회피반응을 보이지 않은 쥐를 대상으로 수술하였다. 수술은 실험동물을 100% 산소와 4 vol%의 세보플루란(sevoflurane)이 분당 3 ℓ로 흐르는 투명한 마취 유도상자에서 마취시킨 후 수술대로 옮기고 마스크를 씌운 뒤, 세보플루란을 4 vol%로 유지하며 자발호흡을 유지시켰다. 실험동물 등의 정중선을 따라 대략 L3에서 S2까지 피부절개를 한 후 좌측의 L6-S1 관절간 돌기를 노출시켰다. 이로부터 L6 횡돌기를 제거하고 근막 밑부분에서 좌측 L4, L5 척수신경을 찾아 조심스럽게 요척수 신경을 분리한 후 L5 척수신경을 5-0 명주실(silk)로 결찰하였다. 생리식염수로 관주하고 지혈한 후 1, 4, 7 및 14일째에 통증 반응검사를 수행하여 통증이 확실히 발생한 쥐들을 대상으로 약물을 투여하였다.
기계적 회피반응은 광주기성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일정한 시간대(오전 9시에서 오후 3시)를 택하여 실시하였다. 기계적 자극에 대한 통증 회피반응은 대상 쥐를 바닥이 철망으로 된 투명한 플라스틱 상자(8×8×18 ㎝) 속에 넣고 30분간 안정시킨 후 측정하였다. 통증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정상상태의 대조군에서는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압력에서 유발되는 통증에 대한 회피반응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서 구부러질 때의 압력이 일정한 본 프레이 필라멘트(von Frey filament, Semmes-Weinstein monofilament, USA)를 사용하였다. 상기 필라멘트는 실험동물의 발에 자극을 가하여 구부러질 때의 압력이 0.41, 0.70, 1.20, 2.00, 3.63, 5.50, 8.50 및 15.14 g이 되는 것으로 8개가 있다. 이들 중에서 압력이 낮은 필라멘트부터 높은 필라멘트로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플라스틱 상자의 바닥 철망사이로 노출된 동물의 좌측 발바닥 중심부에 아래쪽에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필라멘트가 약간 휘어질 정도로 6초씩 수직으로 자극을 가하였다. 이때, 실험동물이 신속하게 회피하거나 발바닥을 들거나, 핥거나, 털거나, 도망가는 현상을 양성 회피반응으로 간주하였고, 이러한 회피반응을 유발시킨 필라멘트의 압력을 회피반응의 역치 값으로 결정하였다.
실험은 맹검적으로 시행하여 약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시그마 스탯(Sigma Stat, version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실험군 및 대조군 내 기준치와의 비교는 페어드 t-테스트(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효과 차이를 검증하고 시간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편도 편차 반복 측정 분석(One 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을 이용하였고 스튜던트-뉴만-쿨스(Student-Newman-Keuls) 방식으로 사후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만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1-2>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겨우살이 물 추출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에 따라 통증이 발생한 실험동물에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겨우살이의 메탄올 추출물 1 g/㎏(n=9)을 투여하여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도 2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n=21)에는 동량의 용매(0.5% CMC/물 현탁액,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투여하였다.
통증 회피반응 역치 변화(g)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대조군 1.5± 0.9 3.4± 3.4 4.4± 3.7 5.0± 3.4 4.0± 3.4 4.3± 3.6 3.4± 2.2
메탄올 1.9± 0.7 9.6± 5.7 11.9± 4.8 15.0± 0.0 10.0± 5.1 10.4± 4.8 9.6± 5.5
상기 표 1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p<0.001)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3> 겨우살이 물 추출물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에 따라 통증이 발생한 실험동물에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겨우살이의 물 추출물 1 g/㎏(n=8)을 투여하여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도 3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n=21)에는 동량의 용매(0.5% CMC/물 현탁액,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투여하였다.
통증 회피반응 역치 변화(g)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대조군 1.5± 0.9 3.4± 3.4 4.4± 3.7 5.0± 3.4 4.0± 3.4 4.3± 3.6 3.4± 2.2
실험군 1.9± 0.5 8.9± 5.8 9.0± 5.9 9.3± 5.5 12.1± 4.6 15.0± 0 10.9± 5.7
상기 표 2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겨우살이 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p<0.001)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4> 겨우살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에 따라 통증이 발생한 실험동물에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겨우살이의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 1 g/㎏(n=8)을 투여하여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n=21)에는 동량의 용매(0.5% CMC/물 현탁액,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투여하였다.
통증 회피반응 역치 변화(g)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대조군 1.5± 0.9 3.4± 3.4 4.4± 3.7 5.0± 3.4 4.0± 3.4 4.3± 3.6 3.4± 2.2
실험군 1.6± 0.6 8.7± 5.7 11.6± 6.2 11.5± 6.0 12.0± 5.1 12.2± 5.3 10.9± 5.8
상기 표 3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겨우살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p<0.001)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5> 비스쿰네오시드 Ⅲ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에 따라 통증이 발생한 실험동물에 실시예 <2-2>에서 분리된 비스쿰네오시드 Ⅲ 20 ㎎/㎏(n=19)을 투여하여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n=21)에는 동량의 용매(0.5% CMC/물 현탁액,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투여하였다.
통증 회피반응 역치 변화(g)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대조군 1.5± 0.9 3.4± 3.4 4.4± 3.7 5.0± 3.4 4.0± 3.4 4.3± 3.6 3.4± 2.2
실험군 1.5± 0.7 6.7± 4.3 7.3± 5.2 9.1± 5.6 9.3± 4.8 8.9± 5.3 10.7± 5.0
상기 표 4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스쿰네오시드 Ⅲ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p<0.001)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6> 호모플라보야도린 B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에 따라 통증이 발생한 실험동물에 실시예 <2-3>에서 분리된 호모플라보야도린 B 20 ㎎/㎏(n=11)을 투여하여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도 6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n=21)에는 동량의 용매(0.5% CMC/물 현탁액,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투여하였다.
통증 회피반응 역치 변화(g)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대조군 1.5± 0.9 3.4± 3.4 4.4± 3.7 5.0± 3.4 4.0± 3.4 4.3± 3.6 3.4± 2.2
실험군 1.8± 0.6 7.5± 5.4 7.8± 5.3 10.7± 5.5 9.4± 5.6 9.2± 5.0 8.9± 5.1
상기 표 5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모플라보야도린 B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p<0.001)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1-7> 비스쿰네오시드 Ⅲ와 가바펜틴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 비교
비스쿰네오시드 Ⅲ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현재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제로 사용되고 있는 가바펜틴(Gabapentin)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의 방법에 따라 통증이 발생한 실험동물에 비스쿰네오시드 Ⅲ 10 ㎎/㎏(n=12) 및 가바펜틴 300 ㎎/㎏(n=11)을 각각 투여하여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도 7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n=21)에는 동량의 용매(0.5% CMC/물 현탁액,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를 투여하였다.
통증 회피반응 역치 변화(g)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
대조군 1.5± 9.9 3.4± 3.4 4.4± 3.7 5.0± 3.4 4.0± 3.4 4.3± 3.6 3.4± 2.2
가바펜틴 1.9± 1.0 3.9± 5.2 8.2± 6.8 9.0± 7.5 9.7± 6.6 9.2± 7.3 11.0± 6.8
비스쿰네오시드 Ⅲ 2.3± 0.6 6.5± 5.9 13.1± 5.1 12.4± 4.5 13.3± 3.2 13.4± 4.3 11.8± 5.5
상기 표 6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스쿰네오시드 Ⅲ 및 가바펜틴을 투여한 실험군 모두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p<0.05) 있는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스쿰네오시드 Ⅲ는 300 ㎎/㎏이 투여된 가바펜틴에 비하여 소량인 10 ㎎/㎏이 투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바펜틴 투여군과 유사하거나 이보다 우수한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겨우살이 추출물의 급성독성 실험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들의 급성독성(LD50)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이 18 내지 22 g 정도인 6주령의 수컷 생쥐(ICR mice)를 사용하였고, 실험 1주일 전에 사육실에 도착하도록 하여 사육실 분위기에 적응시켰다. 사육실에서는 물과 먹이가 충분히 공급되는 상황 하에서 일정한 광주기성(낮: 오전 6시-오후 6시)을 유지하며 적응시켰으며, 4마리씩 깔집이 있는 통에 사육하였고, 일정 온도(20 내지 24℃) 및 일정 습도(40 내지 60%)를 유지하였다. 실험동물은 실험 시작하기 하루 전날 밤부터 절식시켜 음식물로 인한 실험오차를 사전에 제거하였다. 실험군은 한 군당 8마리씩 분배하였으며, 모든 시료는 0.5% CMC(Sodium Carboxy Methyl Cellulose) 수용액에 현탁시켜 경구 투여하였다. 각 시료를 실험동물에 용량별(2, 1.0, 0.5, 0.25 및 0.125 g/㎏)로 경구 투여한 후 사망 여부 및 실험동물의 이상행동 여부를 2주일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2주일 경과 후 실험동물을 해부하여 각 장기의 이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상기한 방법으로 겨우살이의 메탄올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인 비스쿰네오시드 Ⅲ 및 호모플라보야도린 B에 대하여 급성독성을 측정한 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 비스쿰네오시드 Ⅲ 및 호모플라보야도린 B는 모두 생쥐에서 2 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적어도 2 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 제제예 1> 환제의 제조
비스쿰네오시드 Ⅲ 120 ㎎
옥수수 전분 100 ㎎
멸균 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고, 통상의 환제 제조방법에 따라 0.3 cm 지름으로 제환하여 환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호모플라보야도린 B 200 ㎎
유당 100 ㎎
전분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3> 액제의 제조
겨우살ㅌ이 추출물 1000 ㎎
설탕 20 g
이성화당 20 g
레몬향 적량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부피를 1000 ㎖ 맞춘 후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 제제예 4> 패치제의 제조
겨우살이 추출물 15 중량%
크로다몰(Crodamol) CAP 10 중량%
유탄올(Eutanol) GM 2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 4 중량%
올레인산 1 중량%
점착성 고분자 68 중량%
통상적인 패치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들을 모두 혼합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점착성 고분자 용액을 가하여 10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로부터 기포를 제거한 후 부직포에 1.3 ㎜ 두께로 도포한 후, 70℃에서 24시간 건조시켜 휘발성 용매를 모두 제거하였다. 그 후 부직포 위에 폴리우레탄 필름을 접착시키고 20 ㎠ 크기로 절단하여 최종 제품을 얻었다.
< 제제예 5> 건강음료의 제조
겨우살이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부피를 900 ㎖로 맞춘 후,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하였다. 그 결과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담아 밀봉 멸균한 후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한 것으로, 수요 계층, 수요 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겨우살이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을 렛트에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통증 회피반응의 역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겨우살이 물 추출물을 렛트에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통증 회피반응의 역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겨우살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을 렛트에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통증 회피반응의 역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비스쿰네오시드 Ⅲ를 렛트에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통증 회피반응의 역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겨우살이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호모플라보야도린 B를 렛트에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통증 회피반응의 역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비스쿰네오시드 Ⅲ의 신경병증성 통증 억제효과를 가바펜틴(Gabapentin)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2 내지 7에서 *는 대조군 값과 비교하여 p<0.05를, **는 대조군 값과 비교하여 p<0.01을, #:는 기준(0분) 값과 비교하여 p<0.05를 나타낸다.

Claims (5)

  1. 비스쿰네오시드 Ⅲ(Viscumneoside Ⅲ), 호모플라보야도린 B(Homoflavoyadorin B), 상기 화합물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겨우살이(Loranthus yadorik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겨우살이 추출물이 겨우살이 또는 이의 건조물을 물,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부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신경병증성 통증에 관련된 외상이나 염증, 허혈성 손상 또는 대사산물에 의한 신경 손상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비스쿰네오시드 Ⅲ, 호모플라보야도린 B, 상기 화합물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겨우살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건강 기능 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음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 식품.
KR1020070104792A 2007-10-18 2007-10-18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2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792A KR100923217B1 (ko) 2007-10-18 2007-10-18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792A KR100923217B1 (ko) 2007-10-18 2007-10-18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259A true KR20090039259A (ko) 2009-04-22
KR100923217B1 KR100923217B1 (ko) 2009-10-27

Family

ID=4076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792A KR100923217B1 (ko) 2007-10-18 2007-10-18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2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853A (ko) * 2014-03-10 2015-09-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백기생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80032A1 (ko) * 2016-10-31 2018-05-03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억제 및 근 비대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80077118A (ko) * 2018-06-25 2018-07-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7117A (ko) * 2018-06-25 2018-07-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5547B1 (ko) * 2016-06-27 2018-07-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5853A (ko) * 2014-03-10 2015-09-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백기생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5547B1 (ko) * 2016-06-27 2018-07-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80032A1 (ko) * 2016-10-31 2018-05-03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 위축 억제 및 근 비대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80077118A (ko) * 2018-06-25 2018-07-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7117A (ko) * 2018-06-25 2018-07-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겨우살이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217B1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6758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gnitive function disorders comprising spinosin
KR101668845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77111B1 (ko)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23217B1 (ko)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618875B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lowering
KR101590842B1 (ko)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에 유효한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102087167B1 (ko)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1457B1 (ko) 씀바귀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건조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2074B1 (ko)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6881890B2 (ja) カテキン類吸収促進剤
KR101651100B1 (ko) 상백피에서 유래된 mac 6.4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화합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102535516B1 (ko)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90014886A (ko) 자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70600B1 (ko) 산성 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고압효소분해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059452B1 (ko) 패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87165B1 (ko) 오가피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3372B1 (ko) 비목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30302071A1 (en) Antidepressant composition containing pleurotus eryngii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051751B1 (ko)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9269896A (ja) 抗糖尿病食品または医薬品素材及び抗糖尿病食品または医薬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