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516B1 -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516B1
KR102535516B1 KR1020200177823A KR20200177823A KR102535516B1 KR 102535516 B1 KR102535516 B1 KR 102535516B1 KR 1020200177823 A KR1020200177823 A KR 1020200177823A KR 20200177823 A KR20200177823 A KR 20200177823A KR 102535516 B1 KR102535516 B1 KR 102535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unpleasant odor
cheonma
composition
chun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278A (ko
Inventor
최재훈
장귀영
최수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7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5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18Cells of the nervous system
    • C12N5/0619Neur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02Ad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70Undefined extracts
    • C12N2500/76Undefined extracts from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eu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쾌취 제거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불쾌취가 제거한 천마 추출물은 불쾌취가 제거되지 않은 천마 추출물보다 신경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므로, 불쾌취를 제거하면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tecting nerve cells compising an extract of gastodia elatablume with removed unpleasant odor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경 세포는 발생이라는 정상적인 생리 작용 과정 또는 질병이라는 병리 과정에서 사멸할 수 있다. 발생 과정 동안에는 적정하고 정확한 전시냅스(presynapse) 및 후시냅스(postsynapse)의 연결을 위하여 과도한 신경 세포들은 세포 사멸 과정을 거쳐 제거된다. 광범위한 신경세포의 사멸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 뇌졸증, 외상 후에 관찰이 된다. 이러한 질병들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는 세포 사멸과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세포 사멸에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는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 칼슘의 항상성 조절(calcium homeostasis) 이상,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 활성 산소종의 생성 증가, 흥분성 신경 독성, 카스파아제 활성화, 영양 인자 고갈 등이 원인이 된다.
피킨슨 병의 경우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는 칼슘의 분비와 활성 산소의 생성을 증가시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일으키게 되고, 항산화 시스템의 활성 감소가 보고되었으며, 도파민성 또는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흥분성 신경 독성 또한 파킨스 병과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현재 다양한 작용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사멸로부터 뉴런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신경 보호 약물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들면, 항산화제, 이온 킬레이터, 신경 영양 인자, 흥분성 아미노산 길항제, 생체에너지 보충제, 면역 억제제, 단백질의 응집이나 축적을 막아주는 제제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경 세포 사멸 또는 신경 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약제는 상용화되지 않은 상태로, 신경 세포 사멸 또는 신경 퇴화를 억제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lume)는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자생하고 있는 난초과(Orcb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엽록소가 없어 탄소동화작용이 불가능하므로 담자균류인 뽕나무버섯(Armillaria mellea)과 공생하며 생육한다. 천마의 임상적 효능들은 본초강목, 동의보감을 비롯한 여러 고문헌들에 널리 기록되어 있는데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 질환, 당뇨병 등의 성인병과 스트레스, 피로 등의 증상에 대하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간에서도 일찍부터 천마를 이용해왔다. 그러나 천마는 그동안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없는 품목규제에 묶여서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할 수가 없었으나, 2000년 9월 1일 식품의 주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품목으로 등재되어 기능성의 천마가공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그동안의 국내의 천마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주로 천마 재배, 일반적인 성분 분석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며 혈소판응집, 항 불안, 항경련 등의 천마 효능에 관한 연구가 일부 보고되어 있다. 2000년대에 이르러 천마의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천마의 식품으로서 이용이 가능해 진 이후에는 최덕경 등의 천마의 성분 특성 및 기능성 음료 제조, 천마의 활성성분과 유도체들의 GABA성 신경전달 조절작용, 천마 추출물이 국소적 관상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천마로부터 분리된 페놀성 물질의 멜라닌 생성억제 작용, 헛개나무와 천마 혼합물의 에탄올 섭취에 의한 숙취제거 작용,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분야의 효능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렇듯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약재로 중요하게 이용되어 온 천마가 최근 식품소재로 새롭게 주목받으면서 천마의 생리활성 성분과 관련된 보고가 일부 제시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천마에 관한 연구는 시작 단계이며 더욱이 약품이 아닌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체계적인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저감, 신경계질환 등에 효능이 있는 천마의 생리활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식품 소재로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능성들로 인해 천마는 2000년부터 식품 원료로 등록된 이후 가공식품으로서 개발되고 있으나, 천마 특유의 쓴맛, 비린맛, 불쾌취 등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한이 있다. 특히 천마의 쓴맛, 비린맛은 건조를 통해서 사라지게 할 수 있으나, 불쾌취는 건조 후에도 사라지지 않는다.
천마에서 나는 불쾌취는 돼지분변 냄새와 유사하며 원인 성분은 p-크레솔(p-cresol)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p-크레솔(p-cresol)제거를 위해 수회 반복하여 증숙, 건조하거나 매우 높은 온도에서 건조하는 방법이 이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불쾌취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의 문제점으로는 p-크레솔(p-cresol)의 끓는점이 201.8℃로 매우 높고 녹는점 또한 35.5℃이므로 상온에서 고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더하여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강한 자극취를 장시간 나타내므로 일부 제거되어도 불쾌한 냄새가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마의 불쾌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노력한 바, 천마를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로 제조한 후 p-크레솔(p-cresol)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기 위하여 스티렌(styren)과 디비닐 벤젠(divinyl benzene)의 공중합체의 high porous type 합성흡착제를 이용하여 불쾌취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천마의 불쾌취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불쾌취를 제거한 결과, 불쾌취 원인 성분인 p-크레솔(p-cresol)를 제거한 천마에서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천마의 불쾌취를 제거하기 전보다 신경보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출원번호 10-2019-0151600
본 발명의 목적은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 또는 사멸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 또는 사멸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불쾌취가 제거한 천마 추출물은 불쾌취가 제거되지 않은 천마 추출물보다 신경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므로, 불쾌취를 제거하면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불쾌취를 제거한 천마 추출물을 신경세포 SH-SY5Y에 처리한 후, 신경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 p-크레솔(p-cresol)을 신경세포 SH-SY5Y에 처리 후 신경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불쾌취를 제거한 천마 추출물의 신경독성 저해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p-크레솔(p-cresol)의 신경독성 저해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신경세포 보호 또는 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 또는 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은 MTT+에 의하여 유도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퇴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이로부터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상기 신경세포는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신경세포의 보호는 산화스트레스, 더 구체적으로, 1-methyl-4-phenylpyridinium로부터 신경세포의 손상을 보호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천마를 적절한 추출용매로 추출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천마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천마 추출물은 물, 메탄올, 알코올,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되고,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발효주정이나, 천마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은 p-크레솔(p-cresol)이 제거되고, 불쾌취 제거한 천마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은 천마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천마추출물을 다공성 비극성 합성 흡착제에 통과시켜 불쾌취를 제거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제는 불쾌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불쾌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공성 흡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소수성 겔인 스티렌(Styrene) 및 디비닐벤젠(Divinyl benzene)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는 입자크기가 0.250-850 ㎛이며 세공반경은 38-600Å인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충진제는 DIAION HP-20, MCI GEL CHP20P 또는 Sepabeads SP850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진제는 DIAION HP-20일 수 있다.
상기 DIAION HP-20은 스티렌과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인 다공성 합성흡착제로, 입자크기는 0.250-850 ㎛이며 세공반경은 200~300 Å이다. DIAION HP-20은 다수의 세공이 분포하며, 비표면적이 높아 흡착 능력이 우수하다. 세공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큰 분자의 흡착에 적합하며(MW 1,500 이상) 흡착물질의 용리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한 DIAION HP-20은 입자의 표면이 소수성을 띠고 있어서 유기물이 합성 흡착제에 흡착될 때 유기분자 중의 소수성기가 흡착될 수 있다.
상기 MCI GEL CHP20P는 스티렌과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인 다공성 합성흡착제로, 입자크기는 75-150 ㎛이며, 세공반경은 400-600 Å이다.
상기 Sepabeads SP850 또한 스티렌과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인 다공성 합성 흡착제이며, 입자크기는 250-850 ㎛이며, 세공반경은 평균 38 Å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열수 또는 에탄올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불쾌취가 제거된 추출물은 다공성 비극성 합성 흡착제에 용출 용매로서 증류수 및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에탄올의 농도를 순차적으로 높여서 용출시킬 수 있다.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신경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Lou Gehrig disease), 헌팅톤병(Huntington's diseas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뇌졸중(stroke) 및 치매(dement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질병들은 모두 뇌신경세포의 손상이 원인이며, 이러한 뇌신경세포의 손상은 글루타메이트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 내에 칼슘이 과도하게 유입되고, 카스파제를 활성화시켜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여 산화 스트레스가 일어나 결국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MTT+에 의하여 유도된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퇴화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 신경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붕괴를 막는 효과가 있어, 상기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성별, 신체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중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에0.01 ~ 5,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농도가 0.01 ㎍/ml 미만일 경우에는 약학 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000 ㎍/ml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는 신경세포 보호하는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불쾌취가 감소된 천마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는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불쾌취가 감소된 천마 추출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불쾌취가 감소된 천마 추출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불쾌취가 감소된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불쾌취가 감소된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공성의 비극성 합성흡착제를 이용하여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1> 합성흡착제를 이용하여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 제조
천마 열수 추출물은 경상북도 상주시 소재의 천마 가공업체로부터 천마 외 다른 원료가 사용되지 않은 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하기 실험에 사용한 다공성의 비극성 합성흡착제로서 Diaion HP-20 (HP-20, Supelco, Bellefonte,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출 용매로서 발효주정 및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가스트로닌(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 및 p-크레솔(p-cresol)은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천마 추출액의 파라크레졸은 다공성 비극성 합성흡착제(Diaion HP-20, Supelco Inc., Bellefonte, PA, USA)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직경 7 cm, 길이 15 cm의 오픈칼럼에 HP-20을 충진하고, 이 오픈 컬럼에 천마 추출물을 가하여 흡착시켰다. 이 후, 40 % 에탄올을 가하여 HP-20에 흡착된 천마 추출물 성분을 용출시켰다. 40% 에탄올으로 용출한 용액을 회전농축기로 에탄올을 분리하고 농축하였다. 농축한 용액은 천마추출물을 HP-20 컬럼에 가할 때 통과하여 나온 용액과 합하였다. 이것을 파라크레졸을 제거된 천마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2>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 처리 후 신경세포 생존율 확인
GE(gastrodia elata extract; 천마 추출물), GE-R(gastrodia elata extract with unpleasant odor removed; 불쾌취 제거 천마 추출물)를 신경세포 SH-SY5Y에 50, 100, 150, 200 μg/mL 농도로 20시간 처리한 후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쾌취를 제거한 천마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이 불쾌취를 제거하지 않은 천마 추출물보다 세포생존율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3> 신경세포 SH-SY5Y에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 p-크레솔(p-cresol) 처리 후 신경세포 생존율 확인
신경세포 SH-SY5Y에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 p-크레솔(p-cresol)을 5, 10, 15, 20 μg/mL 농도로 20시간 처리한 후 MTT assay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크레솔(p-cresol)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4>불쾌취 제거 천마 추출물의 신경독성 저해 효과 확인
신경세포 SH-SY5Y에 GE 또는 GE-R을 20, 40, 8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후 MPP+ 1mM을 처리하였다. 이 후, 20시간 후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쾌취를 제거한 천마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즉, 불쾌취를 제거하여도, 천마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는 유지됨을 화인하였다.
<실시예5>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 p-크레솔(p-cresol)의 신경독성 저해 효과 확인
신경세포 SH-SY5Y에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 p-크레솔(p-cresol)을 2, 8, 16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후 MPP+(1-methyl-4-phenylpyridinium) 1mM을 처리하였다. 이 후, 20시간 후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MPP+의 경우, 도파민 전달체에 의한 전달된 후, 도파민성 뉴런의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를 손상시키고, 미토콘드리아 막의 칼슘 투과성을 증가시키면 활성산소가 유도된다(Smeyne과 Jackson-Lewis, 2005). MPP+(1-methyl-4-phenylpyridinium)는 파킨슨병의 실험 모델에서 도파민성 뉴런의 선택적 퇴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Nakamura et al., 2000).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쾌취 제거된 천마 추출물에서 제거된 p-크레솔(para-cresol)이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을 촉진시켰으며, 이는 불쾌취의 원인이 되는 p-크레솔(para-cresol)이 신경세포 독성을 갖고 있어, 불쾌취를 제거하면, 신경세포 독성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6)

  1.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사멸 억제용 조성물로써,
    상기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은 p-크레솔(p-cresol)이 제거되고,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을 포함하고,
    상기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은 천마로부터 천마 추출물을 추출한 후, 다공성 비극성 합성 흡착제인 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에 통과시켜 불쾌취를 제거하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에 통과시켜 불쾌취를 제거하는 것은 용출 용매로서 증류수 및 에탄올을 순차적으로 이용하되, 에탄올의 농도를 순차적으로 높여서 용출시키는 것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 용매로서 에탄올의 농도는 3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써,
    상기 불쾌취가 제거한 천마 추출물은 p-크레솔(p-cresol)이 제거되고,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을 포함하고,
    상기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은 천마로부터 천마 추출물을 추출한 후, 다공성 비극성 합성 흡착제에 통과시켜 불쾌취를 제거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LouGehrig disease), 헌팅톤병(Huntington's disease),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뇌졸중(stroke) 및 치매(dement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조성물.
  12. 삭제
  13.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써,
    상기 불쾌취가 제거한 천마 추출물은 p-크레솔(p-cresol)이 제거되고,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을 포함하고,
    상기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은 천마로부터 천마 추출물을 추출한 후, 다공성 비극성 합성 흡착제에 통과시켜 불쾌취를 제거하는 것인, 조성물.
  14. 천마로부터 천마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다공성 비극성 합성 흡착제인 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에 통과시켜 불쾌취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사멸 억제용 조성물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p-크레솔(p-cresol)이 제거되고,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천마로부터 천마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다공성 비극성 합성 흡착제인 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에 통과시켜 불쾌취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p-크레솔(p-cresol)이 제거되고,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천마로부터 천마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다공성 비극성 합성 흡착제인 스티렌 및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에 통과시켜 불쾌취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p-크레솔(p-cresol)이 제거되고, 가스트로딘(gastrodin), 4-HBA(4-hydroxy butyl acrylate)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200177823A 2020-12-17 2020-12-17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2535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23A KR102535516B1 (ko) 2020-12-17 2020-12-17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823A KR102535516B1 (ko) 2020-12-17 2020-12-17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78A KR20220087278A (ko) 2022-06-24
KR102535516B1 true KR102535516B1 (ko) 2023-05-24

Family

ID=8221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823A KR102535516B1 (ko) 2020-12-17 2020-12-17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5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268A (ko) * 2011-06-30 2013-01-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바닐리 알코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장귀영 외. Diaion HP-20 레진을 이용한 천마 추출물의 불쾌취 제거.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 28(1), 2020년 2월. pp. 29-3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278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7596B2 (ja) 活性型フラボノイド化合物の含量が増加されたウルシ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2099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경련용 조성물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10603332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KR101694913B1 (ko) 양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JP6735347B2 (ja) フキの葉抽出物を含む記憶力改善用組成物
KR101676751B1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간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7590B1 (ko) 아로니아, 아사이베리 및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KR100923217B1 (ko) 겨우살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08929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535516B1 (ko) 불쾌취가 제거된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210074526A (ko) 초임계 추출을 이용하여 감차수국으로부터 필로둘신의 고효율 추출 방법
KR101333982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또는 수면유도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29147B1 (ko) 콜라비론의 제조방법
KR101854180B1 (ko) 감귤류 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496820B1 (ko) 불쾌취가 감소된 천마의 제조방법
KR102576222B1 (ko) 포도나무 줄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2558B1 (ko) 갈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01597B1 (ko) L­세린과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 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20230096421A (ko) 공심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7267A (ko) 옥수수수염 추출물 및 수국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 및 인지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20230034591A (ko) 쇠고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1440A (ko) 맥문동, 당귀 및 레몬머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220075968A (ko) 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 신경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