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167B1 -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167B1
KR102087167B1 KR1020180051498A KR20180051498A KR102087167B1 KR 102087167 B1 KR102087167 B1 KR 102087167B1 KR 1020180051498 A KR1020180051498 A KR 1020180051498A KR 20180051498 A KR20180051498 A KR 20180051498A KR 102087167 B1 KR102087167 B1 KR 10208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k
extract
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207A (ko
Inventor
이민원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1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효과를 비롯하여 일산화 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및 IL-6 또는 TNF-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과가 있으며, 효소 가수분해하지 않은 음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항산화와 항염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물인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항산화제 및 항염증제, 건강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ti-oxidative or Anti-inflammatory comprising extract processed by Enzymatic hydrolysis of the Bark of Kalopanax pictus(Thunb.) Nakai}
본 발명은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나무(Kalopanax pictus Nakai;KP)는 두릅나무 과에 속하는 낙엽수이며, 한국, 일본 및 중국 남서부에 지리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 식물의 껍질 [해동피 (海桐皮)]은 전통적으로 살충제, 항진균제, 항 신경통제 및 살균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K.pictus를 대상으로 한 몇 가지 식물 화학 연구에서 항염증제, 항균제, 항류마티스제, 항비만제, 또는 항암제 효과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이 보고되었다.
또한 해동피 약리작용으로 알려진 효능은 진통작용(liliodendrin에는 간보호 활성이 있고 약한 부종억 제효과와 진통작용이 있음), 항미생물작용(항진균작용- Kalopanax saponin A와 I는 C andida albicans와 Cryptococcus neoformans의 성장을억제, 항말라리아 작용- 물 추출물은 Plasmodium falciparum에 대해서 항말라리아 작용), 항염증작용, 항산화작용(부탄올에 가용성인 혼합물을 알칼리 가수분해하여 얻은 α-hederin methyl ester-염증반응을 억제하고 항관절염작용, 사포닌(saponin)인 kalopanaxsaponin A와 pictoside A-항 염증작용) 등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성분의 약리작용으로는 칼로파낙스사포닌 A(Kalopanaxsaponin A)의 항산화작용을 통하여 관절염에 효과, 칼로파낙스사포닌 K(kalopanaxsaponin K, 장내미생물에 의하여 대사를 받아 주로 kalopanaxsaponin H를 거쳐 kalopanaxsaponin I 가 되며, kalopanaxsaponin A와 hederagenin이 됨)는 관절염 효과가 있으며 칼로파낙스사포닌 A(kalopanaxsaponin A)의 류머티스 관절 염에 대한 효과는 칼로파낙스사포닌 K(kalopanaxsaponin K) 보다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항종양작용(kalopanaxsaponin A) 헤데라게닌(hederagenin)과 헤데라게닌-3-O-글리코시드(hederagenin-3-O-glycoside)류의 돌연변이를 억제하고 여러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효과, 칼로파낙스사포닌 A와 헤데라게닌의 혈중 콜레스테롤과 지질의 수치를 낮추며 지질 저하 작용, 혈당 강하 작용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Parejo, I., Viladomat, F., Bastida, J., Rosas-Romero, A., Flerlage, N., Burillo, J., & Codina, C. (2002). Comparison betwee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distilled and nondistilled mediterranean herbs and aromatic plan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0(23), 6882-6890.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음나무 수피로부터 추출물을 얻어, 효소 가수분해하여 획득한 음나무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이 현저히 향상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는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카페산(caffeic acid), 칼로파낙스사포닌 A(kalopanaxsaponin A), 칼로파낙스사포닌 I(kalopanaxsaponin I),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 및 칼로파낙스사포닌 B(kalopanaxsaponin 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또는 니트로테트라졸리움 블루 클로라이드(Nitrotetrazolium Blue chloride, NBT)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소거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일산화 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또는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또는 종양 괴사 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TNF-α) 사이토카인 생산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음나무 수피를 환류 추출한 후 농축하여 음나무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수득된 음나무 추출물, 효소, 및 증류수를 혼합 및 가열 후 효소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효소는 배당체에 결합한 당을 분해하는 효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효과를 비롯하여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및 IL-6 또는 TNF-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과가 있으며, 효소 가수분해하지 않은 음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항산화와 항염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물인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EKP)로부터 화합물 1~5의 추출 및 분리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음나무 추출물(KP) 및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EKP)의 HPLC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화합물 1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화합물 2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화합물 3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화합물 4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화합물 5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음나무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EKP)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HPL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 및 항염증 치료제 개발을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아직 연구가 미비한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효과가 효소 가수분해하지 않은 음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뛰어남을 확인하여,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음나무의 효과 등을 확인하였다. 음나무는 두릅나무 과에 속하는 낙엽 수종으로 동북 아시아(한국, 일본, 중국)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 음나무의 수피 부분은 해동피라 불리는 약재로 본초학에서 거풍습으로 알려졌고 그 외 살균, 살충제 등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음나무에서는 탄닌,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트리터르펜의 분리가 보고되었으며, 항염, 항진균, 세포독성, 항암, 항류마티즘 및 항당뇨 효과도 지니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효소 분해가 배당체에 결합한 당을 분해하여 비당체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비당체가 생리활성 측면에서 배당체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음나무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과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 동정 및 생리활성의 증가에 연구 초점을 맞추었다.
본 발명자들은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준비한 후(실시예 1 참조), 상기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상기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이 효소 가수분해하지 않은 음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및 NBT/ 슈퍼옥사이드 소거 활성이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참조). 또한, 상기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한 결과, 상기 추출물이 NO 생산에 대한 억제 활성 및 사이토카인 생산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간략하게는 음나무 수피를 환류 추출한 후 농축하여 음나무 추출물을 얻어내는 단계; 상기 음나무 추출물, 효소, 및 증류수를 혼합 및 가열 후 효소 가수분해 시키는 단계;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통한 음나무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KPEA) 제조는 간략하게는 음나무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탈이온수(Deionized water, DW)에 녹이고, 분별 깔대기에 추출물을 녹인 DW를 넣어준 뒤, 1:1의 비율로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여 분획을 진행하며, 분획 후 생성된 에틸 아세테이트층와 물층(water layer)을 분리, 및 물층을 이용하여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반복 수행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기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은 항산화제 및 항염증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KP'는 일반적으로는 음나무(KP; Kalopanax pictus (Thunb.) Nakai)를 의미한다. 또한, 음나무 추출물(KP; Kalopanax pictus Extract)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EKP'는 음나무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Kalopanax pictus processed enzymatic hydrolysis)을 의미한다.'KPEA'는 음나무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hyl acetate fraction of Kalopanax pictus)을 의미하며, 또한'EKPEA'는 음나무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hyl acetate fraction of Kalopanax pictus processed enzymatic hydrolysis)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효소 가수분해'는 일반적으로는 효소가 물 성분을 첨가하여 분자결합의 절단을 촉진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효소 분해가 배당체에 결합한 당을 분해하여 비당체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비당체가 생리활성 측면에서 배당체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항산화 또는 항염증 활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목적 및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재료 준비
1-1. 음나무 수피의 준비
음나무(K. pictus;KP)의 껍질은 2017년 7월 김성식 박사(한국 국립 수목원)의 인증을 받아 서산에서 준비되었다.
1-2.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 준비
노보자임(Novozyme)에서 구입한 효소 'Pectinex® Ultra SP-L (펙티넥스, Pectinex)'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KP 추출물, 효소와 증류수를 1 : 3 : 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KP 추출물 : 펙티넥스 : 증류수). 이후 상기 혼합물을 37 ℃에서 3일간 배양한 후 효소가 활성화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90 ℃, 1 시간에서 효소 분해한 KP를 가열하였다. 효소 가수 분해 후, 효소 가수분해된 K.pictus extract (EKP)를 얻기 위해 추출물을 증발시켰다.
펙티넥스 효소가 동반된 KP의 효소 가수분해가 처리되어 KP와 비교하여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EKP의 HPLC 패턴은 배당체의 감소를 나타냈다(도 2).
1-3. 추출 및 분리
음나무(3.6 kg)의 껍질을 70 ℃ 온도에서 70% 프레탄올(prethanol)로 3회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 (180g)은 농축, 즉 진공하에 프레탄올을 제거하여 수득하였다. 예비 추출물을 증발시킨 후, 추출물 (170g)을 효소 가수분해시켜 음나무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Kalopanax pictus processed enzymatic hydrolysis; EKP)을 얻었다. 물을 사용하여 EKP (200g)를 용출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10회 분획하였다. EKPEA(28g, Ethyl acetate fraction of EKP)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메탄올(MeOH) : 물(H2O) 구배(gradient) (2:8 ~ 10:0)로 용출, 13개의 하위 분획물 (EKPEA-1 내지 13)을 수득하였다. EKPEA-6 분획 (2.6g)을 MCI gel 컬럼을 사용하여 MeOH : H2O의 농도 구배 (4:6 ~ 10:0)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 수행, 15개의 하위 분획물 (EKPEA-6.1 ~ 6.15)을 수득하여 EKPEA-6.2 분획물에서 화합물1 (카페 산, 195.9mg)을 수득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을 클로로포름 : 메탄올 (15 : 1)의 용매 구배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획물 EKPEA-8 (2.96g)의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를 수행, 13개의 하위 분획물(EKPEA-8.1 내지 8.13)을 수득하였다. EKPEA-8.11(188 mg) 분획을 MPLC 시스템(5 ml/분, 220 nm)을 이용하여 50%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CN) 조건으로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로 화합물 2 (칼로 파낙스 사포닌 A, 20 mg) 및 화합물 3 (칼로 파낙스 사포닌 I, 20 mg )을 수득하였다.
EKP (EKPW, 120g)의 물 분획을 세파덱스 LH-20 컬럼을 이용하여 MeOH : H2O 구배 (0:10 내지 10:0)로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를 수행, 7개의 하위 분획물 (EKPW-1 내지 7)을 수득하였다. MCI gel 컬럼을 사용하여 분획물 EKPW-3 (18g)을 MeOH : H2O의 구배 용배 시스템 (1:9 ~ 10:0)하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반복하여, 18개의 하위 분획물 (EKPW-3.1 내지 3.18)을 수득하여 분획물 EKPW-3.8에서 화합물 4(리리오덴드린, 186mg)를 얻었다. ODS 칼럼을 사용하여 EKPW-3.15 분획 (550mg)을 MeOH : H2O 용매 구배 시스템 (1:9 ~ 10:0)하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개의 하위 분획물을 수득하였다(EKPW-3.15.1 내지 3.15.4). MPLC 시스템 (5ml/분, 220 nm)을 이용하여 30% ACN 조건 하에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EKPW-3.15.3 (495 mg)에서 화합물 5 (칼로파낙스사포닌 B, 200 mg)가 생성되었다.
실시예 2. 실험 방법
2-1. 일반적 실험 과정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분리는 MCI-gel CHP 20P (75-150 ㎛, Mitsubishi Chemical, Japan), 실리카겔 60 (0.040-0.063mm, 230-400 메시 ASTM, 머크, 독일) 및 ODS-B gel (40-60㎛, Daiso, Japan)과 함께 세파덱스 LH-20 (10-25 ㎛, GE Healthcare Bio-Science AB, Uppsala, Sweden)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ODS-B gel은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PLC) 시스템 (Gilson, Korea)에서 고정상(stationary phase)으로도 사용되었다.
클로로포름, 메탄올 및 물 (6 : 4 : 1, 80 : 20 : 2 및 15 : 1 : 0 부피비상에서 미리 코팅된 실리카겔 60F254 판 (Merck, Germany)를 사용하여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TLC)를 수행했다. 점(spot)은 자외선 (254 nm) 및 FeCl3 및 10 % H2SO4 또는 아니스알데히드(anisaldehyde) 시약으로 분무 한 다음 가열함으로써 검출되었다.
화학 구조는 기기 분석에 의해 검증되었다. 1D-NMR 실험은 중앙대학교 연구 시설 센터에서 1H-(600MHz) 및 13C-(150MHz) 핵 자기 공명(NMR)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Gemini 2000과 VNS (JEOL, Japan)로 기록되었다. 중앙대학교 연구 시설 센터의 3000 RSLC 시스템 (Thermo, USA)을 사용하여 고해상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탠덤 질량 분석 (HRLC-MS / MS)을 수행하였다.
2-2. HPLC 분석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화합물의 정량 분석을 수행했다. 이동상(mobile phases)은 용매 A (0.2% 아세트산) 및 B (ACN)를 사용 하였다(표 1).
추출물 샘플(KP, EKP)을 30% 메탄올, 30mg/ml(30000 ppm)에 용해시켰다.
하기 표 1과 같이, HPLC 분석 조건을 설정하였다.
Figure 112018044094699-pat00001
2-3.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소프트웨어 팩을 사용한 Student-Newman-Keuls(SNK) 테스트에 이어 일원 분산 분석(ANOVA)으로 분석한 결과 p값이 0.05 미만일 때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같은 열에 다른 위첨자가 있는 값은 다른 데이터와 유의미하게 다르다.
실시예 3. 화합물의 구조 자료 및 HPLC 분석
3-1. 화합물 1(카페산)
갈색 무정형 분말. (Calcd. C9H8O4, 180.16);
1H-NMR (600MHz, MeOH-d4+D2O): δ 7.49 (1H, d, J=15.7 Hz, H-7), 7.03 (1H, brs, H-2), 6.91 (1H, d, J=8.2 Hz, H-6), 6.77 (1H, d, J=8.2 Hz, H-5), 6.23 (1H, d, J=14.7 Hz, H-8).
13C-NMR(150MHz, DMSO-d6+D2O): δ 169.2 (C-7), 148.3 (C-9), 145.8 (C-4), 144.9 (C-3), 126.4 (C-1), 121.9 (C-6), 116.26 (C-5), 114.7 (C-8), 114.7 (C-2).
3-2. 화합물 2(칼로파낙스사포닌 A)
백색 무정형 분말. HR-Negative LC-MS m/z: 795.455 [M+HCOO]-, (Calcd. C41H66O12, 750.96);
1H-NMR(600MHz, Pyridine-d5): δ 6.28 (1H , s , anomeric H, Rha-1), 5.48 (1H, s, H-12), 5.12 (1H, d, J =6.1Hz, anomeric H, Ara-1), 1.65 (3H, d, J =6.0Hz Rha-CH3), 1.24 (3H, s, CH3-27), 1.08 (3H, s, CH3-26), 1.03(3H, s, CH3-30), 1.01(3H, s, CH3-24), 0.95(3H, s, CH3-29), 0.94(3H, s, CH3-25).
13C-NMR(150MHz, Pyridine-d5): δ 180.17(C-28), 144.67(C-13), 122.36(C-12), 80.86(C-3), 63.77(C-23), 47.96(C-5), 47.54(C-9), 46.47(C-17), 46.24(C-19), 43.33(C-4), 41.96(C-14), 41.79(C-18), 39.56(C-8), 36.70(C-10), 34.04(C-21), 33.05(C-22), 33.08(C-29), 32.67(C-7), 30.77(C-20), 38.79(C-1), 28.18(C-15), 26.03(C-2), 25.97(C-27), 23.65(C-11), 23.60(C-16), 23.50(C-30), 17.96(C-6), 17.27(C-26), 15.89(C-25), 13.82(C-24), 104.24(Ara-1), 75.60(Ara-2), 73.94(Ara-3), 69.22(Ara-4), 65.59(Ara-5), 101.48(Rha-1), 72.19(Rha-2), 74.62(Rha-3), 72.35(Rha-4), 69.51(Rha-5), 18.37(Rha-6).
3-3. 화합물 3(칼로파낙스사포닌 I)
백색 무정형 분말.
HR-Negative LC-MS m/z: 881.492 [M-2H]-, (Calcd. C46H74O16, 883.08);
1H-NMR(600MHz, Pyridine-d5): δ 6.37 (1H , s , anomeric H, Rha-1), 5.48 (1H, s, H-12), 5.37(1H, d, J =7.4Hz, anomeric H, Xyl-1), 5.08 (1H, d, J =6.1Hz, anomeric H, Ara-1), 1.57 (3H, d, J =5.3Hz Rha-CH3), 1.26 (3H, s, CH3-27), 1.15 (3H, s, CH3-26), 1.03(3H, s, CH3-30), 1.01(3H, s, CH3-24), 0.95(3H, s, CH3-29), 0.94(3H, s, CH3-25).
13C-NMR(150MHz, Pyridine-d5): δ 180.12(C-28), 144.63(C-13), 122.40(C-12), 80.93(C-3), 63.80(C-23), 48.00(C-5), 47.48(C-9), 46.77(C-17), 46.22(C-19), 43.43(C-4), 41.97(C-14), 41.80(C-18), 39.58(C-8), 36.71(C-10), 34.04(C-21), 33.05(C-22), 33.08(C-29), 32.68(C-7), 30.77(C-20), 38.84(C-1), 28.16(C-15), 26.19(C-2), 25.98(C-27), 23.66(C-11), 23.59(C-16), 23.52(C-30), 17.94(C-6), 17.27(C-26), 15.91(C-25), 14.00(C-24), 104.55(Ara-1), 75.46(Ara-2), 74.98(Ara-3), 69.39(Ara-4), 66.15(Ara-5), 101.20(Rha-1), 71.83(Rha-2), 82.88(Rha-3), 72.66(Rha-4), 69.58(Rha-5), 18.25(Rha-6), 107.44(Xyl-1), 75.09(Xyl-2), 78.24(Xyl-3), 70.94(Xyl-4), 67.22(Xyl-5).
3-4. 화합물 4(리리오덴드린)
백색 무정형 분말.
HR-Negative LC-MS m/z: 787.268 [M+HCOO]-, (Calcd. C34H46O18, 742.72);
1H-NMR(600MHz, DMSO-d6+D2O) : δ 6.60 (4H, s, H-2', H-6', H-2'', H-6''), 4.82 (2H, brs, , anomeric H, H-1''', H-1''''), 4.62 (2H, brs, H-2, H-6), 4.15 (2H, m, H-4b, H-8b), 3.78 (2H, brd, J = 6.8 Hz, H-4a, H-8a), 3.70(12H, s, 3', 3'', 5', 5''-OCH3), 3.35 (2H, dd, J = 11.6, 5.4 Hz, H-6'''a, H-6''''a), 3.15-3.04 (8H, m, H-2''', 3''', 4''', 5''', H-2'''', 3'''', 4'''', 5''''), 2.99 (2H, m, H-1, H-5).
13C-NMR(150MHz, DMSO-d6+D2O): δ153.11 (C-3', 3'', 5', 5''), 137.73 (C-4', 4''), 134.13 (C-1', 1''), 104.64 (C-2', 2'', 6', 6''), 103.18 (C-1''', 1''''), 85.57 (C-2, 6), 77.58 (C-5''', 5''''), 76.75 (C-3''',3''''), 74.51 (C-2''', 2''''), 71.88 (C-4, 8), 70.23(C-4''', 4''''), 61.24(C-6''', 6''''), 56.91(C-3', 3'', 5', 5''-OCH3), 54.10 (C-1, 5).
3-5. 화합물 5(칼로파낙스사포닌 B)
백색 무정형 분말.
HR-Negative LC-MS m/z: 1265.619 [M+HCOO]-, (Calcd. C59H96O26, 1221.38);
1H-NMR(600MHz, Pyridine-d5): δ 6.28 (1H , s , anomeric H, Rha1-1), 6.26(1H, d, J =7.4Hz, anomeric H, Glc1-1), 5.88 (1H, s, anomeric H, Rha2-1),5.41 (1H, s, H-12), 5.12(1H, d, J =6.2Hz, anomeric H, Ara-1), 5.01 (1H, d, J =7.8Hz, anomeric H, Glu2-1), 1.72 (3H, d, J =6.2Hz Rha1-CH3), 1.65 (3H, d, J =6.2Hz Rha2-CH3), 1.18 (3H, s, CH3-27), 1.14 (3H, s, CH3-26), 1.09(3H, s, CH3-30), 0.99(3H, s, CH3-24), 0.89(3H, s, CH3-29), 0.88(3H, s, CH3-25).
13C-NMR(150MHz, Pyridine-d5): δ 176.33(C-28), 144.89(C-13), 122.75(C-12), 80.93(C-3), 63.77(C-23), 48.00(C-5), 47.53(C-9), 46.84(C-17), 45.97(C-19), 43.32(C-4), 41.95(C-14), 41.47(C-18), 39.72(C-8), 38.85(C-10), 36.70(C-21), 33.79(C-22), 32.91(C-29), 32.60(C-7), 32.37(C-20), 30.55(C-1), 28.12(C-15), 26.03(C-2), 25.85(C-27), 23.65(C-11), 23.49(C-16), 23.16(C-30), 18.37(C-6), 17.38(C-26), 16.00(C-25), 13.79(C-24), 104.19(Ara-1), 75.61(Ara-2), 74.59(Ara-3), 69.20 (Ara-4), 65.56(Ara-5), 101.50(Rha1-1), 72.18(Rha1-2), 73.96(Rha1-3), 72.59(Rha1-4), 69.52(Rha1-5), 18.35(Rha1-6), 95.46(Glc1-1), 75.17(Glc1-2), 78.56(Glc1-3), 70.13(Glc1-4), 73.32(Glc1-5), 70.68(Glc1-6), 104.7(Glc2-1), 76.99 (Glc2-2), 77.88(Glc2-3), 78.59(Glc2-4), 73.83 (Glc2-5), 61.10(Glc2-6), 102.57(Rha2-1), 72.40(Rha2-2), 72.37(Rha2-3), 73.70(Rha2-4), 69.03(Rha2-5), 17.97(Rha2-6).
3-6. 화합물의 HPLC 분석
EKP(음나무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 유래 화합물들 함량 및 KP(음나무 추출물)를 HPLC로 분석 하였다.
결과는 화합물 4의 함량 비가 감소하고 화합물 1의 함량 비가 상당히 증가한 것을 나타낸다. EKP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교정 곡선 및 방정식에 따라, 화합물의 함량은 추출물 내의 분리된 화합물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하기 표 2와 같이, EKP에서 화합물(1~5)의 머무름 시간과 구성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Retention time Contents
1 17.72 1.60%
2 43.21 0.76%
3 40.48 0.49%
4 17.72 0.62%
5 25.36 4.38%
[실험예]
실험예 1. 항산화 활성 확인
음나무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니트로테트라졸리움 블루 클로라이드(Nitrotetrazolium Blue chloride, NBT)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는 DPPH의 불안정한 원소인 하이드라질기의 질소 때문에 수소와 반응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항산화제의 DPPH와 수소의 반응에 따른 정색 반응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Hatano, YASUHARA, FUKUDA, Tadataka, & OKUDA, 1989). NBT chloride은 superoxide와 반응하여 불안정한 물질 음이온을 중화시킨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은 수퍼 옥사이드와의 반응에 따른 정색 반응에 의해 의해 측정된다.
1-1.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의 측정
항산화 활성은 DPPH 자유 라디칼 (Sigma, St. Louis, USA)의 소거 활성에 의해 결정되었다. 무수 에탄올에 녹인 각 시료 20㎕와 180㎕의 DPPH 용액 (0.2mM, in absolute ethanol)을 혼합한다. 부드럽게 혼합하고 30분 동안 방치한 후, 흡광도를 ELISA 리더(TECAN, Salzburg, Austria)를 사용하여 518 nm에서 측정하였다.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저해율(%) = [1- (샘플 O.D. / 대조 O.D.)] Х 100으로 계산하였다. IC50 값은 50%의 DPPH 자유 라디칼이 소거되는 농도로 정의하며, L-아스코르빈산(L-ascorbic acid)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K.pictus의 70% 프레탄올 추출물 및 화합물(1~5)을 처리하여 평가하였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트산에틸(EtOAc)에 의해 수득된 4개의 분획물(KP, EKP, KPEA, EKPEA)은 적당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EKPEA(IC50 = 27.28 ± 0.14μg/mL)는 양성 대조군인 L-아스코르빈산 (IC50 = 9.37 ± 0.18μg/mL)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EKP(IC50 = 90.80 ± 2.75 μg/mL)는 KP(IC50 = 113.05 ± 0.40μg/mL)에 비해 더 강력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K.pictus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표 3)에 따르면, 카페산(1)(IC50 = 19.13 ± 0.57μM)는 양성 대조군인 L-아스코르빈산 (IC50 = 44.68 ± 1.78μM)보다 강력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하기 표 3와 같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 대한 K.pictus의 추출물 및 화합물의 IC50 값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8044094699-pat00002
1-2. NBT/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소거 활성의 측정
EDTA (1.0 mM), 히포크산틴(hypoxanthine, 0.6 mM), NBT(0.2 mM) (Sigma, St. Louis, MO)을 함유하는 50 mM 인산 완충액 (pH 7.5)으로 최종 부피가 160 μl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 tube)인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0μl의 수용액, 화합물, 추출물 (대조군을 위한 증류수), 및 20μl의 크산틴 산화 효소 (20mU/ml) (Sigma, St. Louis, MO). NBT 감소의 후속 속도는 590 nm에서의 흡광도의 순차 분광 광도계 측정에 기초하여 결정되었다. 매일 용액(solution)을 준비하고 빛으로부터 보호한다. 결과는 샘플이 없는 반응 혼합물(only buffer)에 대한 NBT 저감의 억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제거 활성은 [(1- (샘플 O.D. - blank O.D.) / (대조 O.D.- blank O.D.)) Х 100]으로 계산되었고 IC50 값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50%의 NBT/ 슈퍼옥사이드 음이온이 제거되는 농도로 정의되었다. 알로푸리놀(Allopurinol)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NBT 수퍼옥사이드 소거 활성은 K.pictus의 70% 프레탄올 추출물로 처리하여 시험하였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트산에틸로 분획한 4종류의 추출물(KP, EKP, KPEA 및 EKPEA)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과 (표 4)에 따르면, EKP(IC50 = 173.45 ± 6.96 μg/mL)는 KP (IC50 = 216.50 ± 10.11μg / mL)보다 더 강력한 NBT 수퍼옥사이드 소거능을 보였다.
EKP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NBT 수퍼옥사이드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표 4)에 따르면, 카페산(1) (IC50 = 20.01 ± 2.07μM)는 양성 대조군인 알로푸리놀 (IC50 = 9.14 ± 2.38μM)과 비교하여 상당한 NBT 수퍼옥사이드 소거능을 나타냈다.
하기 표 4와 같이, NBT superoxide 소거 활성에 대한 K.pictus의 추출물 및 화합물의 IC50 값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8044094699-pat00003
실험예 2. 항염증 활성 확인
이 연구에서, 음나무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통해 분리된 화합물에 의한 NO 생성 억제는 LPS(Sigma, St. Louis, MO, USA)로 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 세포주에서 평가되었다. 그리스(Griess) 시약을 세포 상등액에 첨가하여 생산량을 결정하였다.
2-1. Raw 264.7 세포 배양
쥐 대식세포 Raw 264.7은 한국 세포주 은행(Korea Cell Line Bank)에서 구입하였다.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00 IU/㎖ 페니실린 G를 포함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s Medium, Sigma, St. Louis, MO, USA)에서 37℃의 가습 조건(5% CO2)과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Gibco BRL, Grand Island, NY, USA)을 사용하여 배양했으며, 혈구 계수기 (Mosmann, 1983)로 세포 수를 측정한 후 사용하였다.
2-2. 대식세포 분화 및 NO 생산에 대한 억제 활성의 측정
Raw 264.7 대식세포를 96 well plates에서 배양하고 가습 조건(5% CO2)에서 37 ℃에서 3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0.1 μg/ml LPS(Sigma, St. Louis, MO, USA) 및 샘플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추가로 24시간 더 배양한 후, NO 함량을 Griess assay로 분석하였다. 그리스(Griess) 시약 (0.1 % 나프틸 에틸렌디아민 및 5% H3PO4 용액 중의 1 % sulfanilamide) (Sigma, St. Louis, MO, USA)을 샘플로 처리된 세포로부터 각각의 상등액에 첨가하였다. L-NMMA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NO 함량은 표준 아질산염 곡선에 대해 540nm에서 측정되었다(Feelisch & Stamler, 1996, S. Park, Hong, Han, Ro, & Hwang, 2005). NO 합성 저해는 억제율 (%) = 1- (샘플 O.D. - blank O.D.) / (대조 O.D. - blank O.D.)] Х 100이고, IC50값은 NO 생성의 50%를 억제하는 농도로서 정의된다.
EKP로부터 분리된 분획물(KP, EKP, KPEA, 및 EKPEA) 및 화합물(1~5)의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NO 억제 활성을 Raw 246.7 대식세포에서 측정하였다.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수득된 4개의 분획물(KP, EKP, KPEA 및 EKPEA)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KPEA(IC50 = 1.63 ± 0.10μg / mL)와 EKPEA(IC50 = 1.35 ± 0.12μg / mL)는 NO 생산에 대한 강력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EKP (IC50 = 5.30 ± 1.99μg / mL)는 KP보다 NO 생산에 대한 강력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IC50 = 9.99 ± 2.51㎍ / mL).
EKP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중, 화합물 2 (IC50 = 1.03 ± 0.39 μM) 및 3 (IC50 = 1.91 ± 0.95 μM)은 양성 대조군인 L-NMMA (IC50 = 2.77 ± 1.48 μM )와 비교하여 NO 생산에 대한 강력한 억제 활성을 보였다.
하기 표 5와 같이, NO 생산에 대한 억제 활성에 대한 EKP로부터의 추출물 및 화합물의 IC50값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8044094699-pat00004
2-3. 사이토카인 생산 억제 활성의 측정
IL-6 및 TNF-α의 사이토카인 농도는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에 의해 배양 상등액에서 결정되었다. ELISA 리더(TECAN, Salzburg, Austri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사이토카인 함량을 정량화하였다. 사이토카인 생산량은 표준 검량선을 사용하여 계산했다.
사이토카인 (IL-6) 생산의 저해는 단백질 수준에서 ELISA에 의해 측정되었다. RAW 264.7 세포를 LPS에 노출시킨 후, 추출물 및 화합물(1~5)의 사이토카인 수준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IL-6 농도는 화합물(1~5) 처리군에서 감소하였다.
KP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 중 화합물 2 및 3은 IL-6 생산에 대해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하기 표 6과 같이, 본 발명에서 처리된 LPS 및 각 추출물의 IL-6 생산량(pg/ml)을 확인하였다.
25 ppb 12.5 ppb 6.25 ppb 3.13 ppb 1.56 ppb 0.78ppb
KP 49±5 158±53 888±101 869±133 982±90 1368±149
EKP 59±26 280±25 819±196 1052±201 1280±260 1503±167
KPEA 42±13 42±5 74±19 265±227 1174±306 1196±107
EKPEA 40±20 47±19 55±29 79±27 492±124 833±127
Control 1951±15
Blank 37±10
하기 표 7과 같이, 본 발명에서 처리된 LPS 및 EKP로부터 각 화합물의 IL-6 생산량(pM)을 확인하였다.
Compounds 12.5 μmol 6.25 μmol 1.56 μmol 0.78 μmol
1 33511±1321 14014±291 16159±93 8103±1970
2 54±43 175±174 7031±1236 8524±1968
3 17±102 251±216 8312±1204 9335±2711
4 7728±2782 12736±1204 11851±1861 28458±1662
5 10296±1547 12990±2711 11930±2451 31695±3108
Control 12014±700
Blank 1147±272
사이토카인(TNF-α) 생산의 저해는 단백질 수준에서 ELISA에 의해 측정되었다. RAW 264.7 세포를 LPS에 노출시킨 후, 추출물 및 화합물(1~5)의 사이토카인 수준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TNF-α 농도는 화합물(1~5) 처리군에서 감소 하였다.
EKP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 중, 화합물 2 및 3은 TNF-α 생산에 대해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하기 표 8과 같이, 본 발명에서 LPS 및 각 추출물의 TNF-α 생성량(pg/ml)을 확인하였다.
25 ppb 12.5 ppb 6.25 ppb 3.13 ppb 1.56 ppb
KP 1960±106 2146±222 2246±162 2197±291 2423±141
EKP 1684±230 1851±294 1872±218 2004±225 2159±209
KPEA 100±215 1216±187 1567±40 1593±96 1629±158
EKPEA 101±117 375±236 1373±187 1364±186 1674±278
Control 2642±514
Blank 700±72
하기 표 9와 같이, 본 발명에서 LPS 및 EKP로부터 각 화합물의 TNF-α 생성량(pM)을 확인하였다.
Compounds 12.5 μmol 6.25 μmol 1.56 μmol 0.78 μmol
1 1708±115 1895±172 1849±404 2810±261
2 14±8 11±2 1065±477 1972±392
3 2±30 23±42 1008±361 1813±204
4 1912±45 2221±45 1281±193 1757±299
5 2152±312 1934±316 1479±281 1808±35
Control 2423±188
Blank 42±20

Claims (7)

  1.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카페산(caffeic acid), 칼로파낙스사포닌 A(kalopanaxsaponin A), 칼로파낙스사포닌 I(kalopanaxsaponin I), 리리오덴드린(liriodendrin), 및 칼로파낙스사포닌 B(kalopanaxsaponin 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펙티넥스(Pectinex)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일산화 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및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또는 종양 괴사 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사이토카인 생산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음나무 수피를 환류 추출한 후 농축하여 음나무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된 음나무 추출물, 효소, 및 증류수를 혼합 및 가열 후 효소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음나무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6.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또는 니트로테트라졸리움 블루 클로라이드(Nitrotetrazolium Blue chloride, NBT)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소거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051498A 2018-05-03 2018-05-03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8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98A KR102087167B1 (ko) 2018-05-03 2018-05-03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498A KR102087167B1 (ko) 2018-05-03 2018-05-03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07A KR20190127207A (ko) 2019-11-13
KR102087167B1 true KR102087167B1 (ko) 2020-03-10

Family

ID=6853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498A KR102087167B1 (ko) 2018-05-03 2018-05-03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739A (ko) 2021-07-27 2023-02-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매생이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284B1 (ko) * 2018-09-20 2020-09-0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806B1 (ko) * 2016-04-04 2017-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28A (ko) * 2001-03-05 2002-09-12 연규동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896325B1 (ko) * 2002-06-29 2009-05-07 학교법인 상지학원 칼로파낙스사포닌 k 및 이의 대사물 및 이를 함유한 염증및 관절염 치료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806B1 (ko) * 2016-04-04 2017-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 Vol.7(no.4), pages.329~337, 20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739A (ko) 2021-07-27 2023-02-06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매생이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207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tos-Zea et al. Agave (Agave spp.) and its traditional products as a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KR101577111B1 (ko)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EP3075384B1 (en) Anti-obesity composition
KR102087167B1 (ko)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09574B1 (ko) 이고들빼기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JP4176638B2 (ja) 川椒抽出物を含む脳細胞保護及び記憶力増進用組成物
US2009031135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magnolia obovata thunb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flammation disease
KR102191279B1 (ko) 헛개나무 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90086807A (ko) 가공 인삼 또는 가공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663609B1 (ko)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0475A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102087165B1 (ko) 오가피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39151B1 (ko) 플라즈마 처리된 플로리진 반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2482A (ko) 원적외선 건조로 항균활성이 증가된 케나프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18018A (ko) 가공 인삼 또는 가공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10000323A (ko) 모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
KR20170073938A (ko)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11397B1 (ko) 가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494436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84840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