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609B1 -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609B1
KR101663609B1 KR1020140155826A KR20140155826A KR101663609B1 KR 101663609 B1 KR101663609 B1 KR 101663609B1 KR 1020140155826 A KR1020140155826 A KR 1020140155826A KR 20140155826 A KR20140155826 A KR 20140155826A KR 101663609 B1 KR101663609 B1 KR 101663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ible
fraction
inflammatory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415A (ko
Inventor
김영호
이지영
우현주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6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2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증매개인자 생성에 관여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2),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을 저해하고,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의 인산화를 저하여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s of barnyard millet for treating, improv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disease}
본 발명은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용피(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barnyard millet or Japanese millet)는 환경 적응성이 뛰어나 논밭 이외의 척박한 토양에서도 재배가 잘 되고 생육일수가 짧아 작부체계에 유리한 장점을 지닌 작물이다. 그러나 밀, 쌀, 보리, 옥수수와 수수와 같은 5대 곡물에 비해 기호도가 낮아 그 재배 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었으나, 최근 가소화성 단백질의 함량이 높고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쌀과 보리에 비해 1.5~3배이며, 지방, 비타민B 복합체와 니코틴산 함량이 높으면서 글루텐 함량이 낮을 뿐 아니라 비산성음식으로 알레르기 항원 반응성도 낮아 좋은 잡곡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강한 항산화력, 지방대사 개선 효능 및 면역활성 조절 기능성 페놀성 소재가 존재한다고 알려지면서 새로운 기능성 작물소재로 조명되고 있다. 이는 잡곡의 영양학적 가치와 예방치료학적 약리활성이 인정되면서 최근에는 잡곡이 대표적인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인정되고 있는 현실과 연관해 볼 때 식용피의 웰빙 건강 기능성 평가는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새로운 블루오션 자원으로 주목받을 수 있다.
식용피의 기능성 소재에 대한 연구는 영양학적 가치나 식용피내의 유효 성분에 대한 연구는 일부 보고되었으나(Watanabe M, J Agric Food Chem. 47:4500-4505, 1999 ; Seo et a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579-586 2012), 기능성물질 중심의 연구는 항산화력(Prashant et al., ,Food Chemistry 92:177-182, 2005), 지질 개선효과(Nishizawa et al., Biosci Biotechnol Biochem. 73:351-360. 2009)와 항 미생물활성(Odintsova et al., Biochimie. 90:1667-1673, 2008)이 보고되어 있는 수준이다. 특허와 관련해서는 식용피의 항당뇨 활성에 대하여만 보고되어 있다.
염증반응은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나 조직의 손상과 같은 외부 손상요인에 대한 생체방어기구로 감염부위나 손상부위에만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염증반응은 내재면역의 구성 요소를 이용한 병원성 요인의 제거와 특이적 적응면역의 유도 등으로 완성된다. 염증에 수반되는 특징은 발적, 부종, 열, 통증인데, 염증부위에서의 염증매개체와 사이토카인 등의 작용에 의한 혈관의 확장에 따른 국소혈류의 증가 및 국소혈류속도의 감소, 혈관의 투과성증가에 따른 혈장성분의 혈관외 유출 증가, 혈관내피세포의 순환면역세포에 대한 부착성 증가에 따른 면역세포의 혈관외 유출 증가, 화학주성에 의한 감염부위로의 이동 증가와 같은 일연의 면역반응들의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급성염증반응은 빠르게 진행되고 짧은 기간 유지되며, 전신성 반응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한편 감염이나 자가면역질환과 같은 일부 질환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면역활성화의 결과로서 유발되는 만성염증은 대식세포(macrophages)의 축적과 이의 활성화에 따른 만성염증반응 부산물에 의해 숙주세포나 조직에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염증 발생기전은 병원체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생성하는 반응성 활성산소종 및 활성질소종, 프로스타글란딘, 루코트리엔 등과 같은 염증매개체와 TNF-a, IL-6 및 IL-1b 등과 같은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 등이 염증반응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염증매개체 유전자들의 발현 개시에는 NF-κB의 활성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지속력이 짧은 자유라디칼로서 생체 내에서 다양한 면역관련 기능을 나타내지만, 과도한 산화질소의 생성은 오히려 세포독성을 유발하여 숙주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동맥경화, 발암 등 다양한 병리적 현상에 관여할 수도 있다. NO 생성을 촉매하는 산화질소 합성효소(NOS)에는 세 가지 유형이 알려져 있는데, 이들 중 신경 산화질소 합성효소(neuronal NOS, nNOS, NOS1)와 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endothelial NOS, eNOS, NOS3)는 구성적으로 항상 발현되는 반면, iNOS는 식세포(phagocytes)가 세균성 내독소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자극될 때 활성화되는 전사인자 NF-kB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성 단백질로 COX-2와 더불어 중요한 염증 지표로 이용된다. 즉, 염증반응에 있어서 iNOS의 전사단계에서의 발현조절은 NO의 지속시간과 생성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므로 iNOS의 발현 억제 및 활성 조절은 만성염증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항염증 약제를 분리하고자 하는 연구에서 COX-2와 더불어 약제작용의 표적이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2277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염증매개인자 생성에 관여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2),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ERK(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JNK(C-Jun N-terminal kinases) 및 p38 MAP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와 같은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a)식용피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식용피 추출물을 얻는 단계 및 (b)상기 식용피 추출물에 증류수를 가하고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얻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b)단계의 유기용매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식용피 분획물은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캠패롤(kaemfperol), 비오카닌 A(biochanin A), 폴모노네틴(formononetin)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2),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으며,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염증 질환은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위염, 위궤양, 기관지염, 천식, 부종, 간염, 신장염, 동맥경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대장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관절염증관련 질환, 암, 퇴행성 질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염증매개인자 생성에 관여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2),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으며, ERK(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JNK(C-Jun N-terminal kinases) 및 p38 MAP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와 같은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염증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 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항염증 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6종의 잡곡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용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iNOS, COX-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용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MAPKs 인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용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NF-kB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용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 캠페롤, 비오카닌 A 및 폴모네틴의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로부터 항염증 활성을 검정하고, 이 항염증 작용기전을 연구한 결과 식용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iNOS와 COX-2의 발현을 탁월하게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이같은 활성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주성분으로 존재하는 캠페놀(kaempferol)과 비오카닌 A(biochanin A)가 염증매개인자인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OS),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2), 염증성 사이토카인(IL-1, IL-1β, THNF-α의 발현을 억제하여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용피는 종자와 피가 있는 조곡의 형태와 피를 벗기고 종자만 남은 정곡 형태로 분류되는데,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조곡이나 종자 형태의 식용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분리 및 분획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분리 및 분획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식용피로부터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며, 예를 들어 식용피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용피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와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으며, 식용피로부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로는 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용매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80% 에탄올(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는 5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열수추출법 또는 환류냉각추출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용피 분획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된 식용피 추출물을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식용피 분획물을 분획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특히 물,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지는 분획물인 것이 좋다. 특히,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의 경우 다른 분획물에 비해 염증매개인자 생성에 관여하는 iNOS, COX-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강하게 저해하고, MAP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JNK(C-Jun N-terminal kinases) 및 세포외 신호조절인산화효소(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항염증 활성이 현저히 뛰어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식용피 분획물은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에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추출 및 분획된 추출물이나 분획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으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용피 추출물 및 분획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물, 분획물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와 같이 추출 또는 분획한 본 발명의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캠패롤(kaemfperol), 비오카닌 A(biochanin A), 폴모노네틴(formononet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 성분으로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항염증 활성이 보고된 페놀 화합물 중 상기 캠패롤, 비오카닌 A, 폴모노네틴을 85% 이상 차지하며, 이 외에도 항염증 활성이 보고된 헤스페리딘(hesperidin), 아이소오리엔틴 (isoorientin), 나란진(naringin),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 루틴 하이드레이트(rutin hydrate), 레스베라트롤 (rasveratrol), 시린직산(syringic acid), 바닐린산 (vanilliic acid), 바닐린(vanillin), 베라트르산(veratric acid), 다수의 페놀릭 소재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 기전은 캠패롤(kaemfperol), 비오카닌 A(biochanin A), 폴모노네틴(formononetin) 등의 항염증 기전과 일치하게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2),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염증성 사이토카인(pro inflammatory cytokines, IL-1β, IL-6, TNF-α의 발현을 억제하고, ERK(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JNK(C-Jun N-terminal kinases) 및 p38 MAP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와 같은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의 인산화를 저해하여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염증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유용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 질환은 통상의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위염, 위궤양, 기관지염, 천식, 부종, 간염, 신장염, 동맥경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대장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관절염, 관절염증관련 질환, 암, 퇴행성 질환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심장독성 및 유전체 변이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10,000㎎/㎏/day, 바람직하게는 1~200㎎/㎏/day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인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복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심장독성 및 유전체 변이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원료에 대하여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용피 추출물 제조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경남 밀양)로부터 제공받은 식용피의 종자 63g을 세척하여 세절한 후 Blender 7012(Dynamics Corporation, USA)로 10분간 마쇄하여 80% 에탄올 1,000mL를 3회(1회에 3시간씩) 섞은 다음, 80 ℃의 온도에서 환류냉각장치(Corning 2560-400, USA)를 이용한 환류추출법을 수행하였다. 상기 얻은 추출액을 10,000rpm의 속도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따로 모아 회전식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Heidolph LR 4000, Germany)로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80% 에탄올 식용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식용피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식용피 80% 에탄올 추출물의 소량을 남기고 나머지를 물 500mL에 녹여서(녹지 않는 부분을 n-헥산에 녹여 수층에 넣고 계속 분획하였다) n-헥산(500mL×3회)을 붓고 분별이 이루어진 후 n-헥산층을 농축하여 n-헥산 분획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수층을 메틸렌 클로라이드(500mL×3회)로 추출하였으며, 메틸렌 클로라이드 층을 농축하여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얻었다. 이어서 수층을 에틸 아세테이트(500mL×3회)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농축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수층을 n-부탄올(500mL×3회)로 추출하여 농축하여 n-부탄올 분획물을 얻었다. 최종적으로 남은 수층 또한 농축하여 수층 분획물을 얻었다.
실험예
시약 및 항체
이하 본 발명의 실험에서 사용한 시약 및 항체는 다음과 같은 곳에서 구입 및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스트렙토마이신-페니실린(streptomycin-penicillin), 말 혈청(Horse serum) 등의 세포 배양용 시약들은 Gibco BRL사(Grand Island,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황산 도데실 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 SDS),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Bis, Protein assay reagent는 Bio-Rad사(Hercules, USA)에서 구입하였고, NP-40, CAPS, 트윈 20, 프로테아제 억제제 등은 Sigma사(St. Louis, USA)에서 구입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Anti-COX-1, anti-COX-2, anti-β-actin, anti-NF-κB, p65, anti-p-JNK, anti-JNK 및 anti-p38 MAPK은 Santa Cruz Biotechnology(Santa Cruz, CA, USA)사에서 구입하였고, anti-p-p38 MAPK은 Cell Signaling Technology(Beverly,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Anti-p-ERK는 Millipore Corporation에서 anti-ERK는 Zymed Laboratories(South San Francisco, CA, USA)에서, 그리고 Anti-iNOS은 BD Biosciences(Chicago, IL,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orse radish peroxide(HRP)-conjugated anti-mouse IgG와 anti-rabbit IgG는 Cell Signaling에서, 그리고 HRP-conjugated anti-goat IgG은 Santa Cruz Biotechnology에서 구입하였다.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은 ATCC(Manassas, VA, US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
쥐의 대식세포주(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은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소태아혈청(FBS)과 100㎍/mL겐타마이신을 가한 배지에서 37 ℃, 5% CO2의 환경하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에서는 세포계대 회수 15회 이하인 세포를 사용하였다.
세포 용해액(cell lysate) 제조
세포의 총 세포 용해액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먼저, 세포를 cold PBS로 4에서 3회 세척한 후, 20mM Tris, 137mM NaCl, 1mM Na3VO4, 1mM 페닐메티설포닐(phenylmethlsulfonyl, PMSF), 10mg/mL 아프로티닌(aprotinin), 2.5mg/mL E-64, 1% NP-40, pH 8.0의 세포 용해 버퍼 용액으로 현탁한 다음 초음파 처리하여 아이스 상에서 30분 동안 세포용해를 유도하였다. 그 다음, 14,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총 세포 용해액으로서 얻었다. 얻어진 세포 용해액의 단백질 농도는 PIERCE사(Rockford, IL, USA)의 Micro BCA Protein Assay Reagent Kit으로 정량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
세포 용해액(20~30㎍)을 Novex NuPAGE Gel Electrophoresis System에서 전기영동한 후 Immobilon-P Nylon membrane에 전기이동하였다. 이어서 나일론 막 블롯을 블로킹 용액(3% 탈지유)으로 4시간 처리하고, 0.5~1mg/mL 농도의 일차 항체(primary antibody)로 하룻밤 동안 반응시켰다. 2차 항체(secondary antibody)로 horse radish peroxidase conjugated anti-rabbit, anti-mouse 또는 anti-rat IgG를 90분간 처리하고 세척한 다음, Amersham사의 ECL plus detection 방법으로 검출하였다.
아질산염 측정
산화질소(NO)의 생성은 축적되는 아질산염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각 시료의 NO 생성 저해능을 평가하기 위해 RAW264.7 세포를 96-well plate에서 각 well당 0.2×106개의 세포를 분주하여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시험 물질을 첨가한 다음 1시간 후 LPS(lipopolysaccharide) 0.1㎍/mL로 처리하고 다시 16시간 배양하였다. NO 합성 정도는 100㎕의 세포 배양상등액을 회수하여 동량의 Griess 시약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빛을 차단한 상태로 15분간 반응시켰다. 아질산염의 생성은 분광광도계 측정기를 사용하여 540㎚의 파장엥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iNOS와 다양한 친염증 매개체들의 mRNA 수준에서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다. RAW264.7 세포에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서 얻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농도별로 1시간 처리한 후, 0.1mg/ml의 LPS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NO 생성을 유도하였다. LPS 처리 후 4시간이 경과된 후에 세포를 Trypsin-EDTA를 처리하여 회수하고, 총 RNA를 TRIzole(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첫 번째 가닥 cDNA는 총 RNA의 2㎍으로부터 MMLV-역전사효소(Gibco BRL)를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PCR은 98℃에서 2분간 가열한 후 98℃에서 10초, 50℃에서 30초, 72℃에서 1분간 반응하는 순서로 20회 반복하였고, 이후 72℃에서 5분간 더 반응시켰다. PCR 생성물은 브롬화에티듐(ethidium bromide, 0.5㎍/mL)로 염색한 1.2 %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프라이머 시퀀스 크기
iNOS sense 5-ATGTCCGAAGCAAACATCAC-3 449 bp
antisense 5-TAATGTCCAGGAAGTAGGTG-3
COX-2 sense 5-CAGCAAATCCTTGCTGTTCC-3 490 bp
antisense 5-TGGGCAAAGAATGCAAACATC-3
TNF-α sense 5-TACTGAACTTCGGGGTGATCGGTCC-3 295 bp
antisense 5-CAGCCTTGTCCCTTGAAGAGAACC-3
IL-6 sense 5-GAAATGATGGATGCTTCCAAACTGG-3 414 bp
antisense 5-GGATATATTTTCTGACCACAGTGAGG-3
IL-1β sense 5-CAAGGAGAACCAAGCAAC-3 350 bp
antisense 5-GGGGAAGGCATTAGAAAC-3
GAPDH sense 5-CCACTGGCGTCTTCACCAC-3 349 bp
antisense 5-CCTGCTTCACCACCTTTTG-3
통계처리
이하 실험들은 별도의 언급 없는 한 3회 이상의 실험을 독립적으로 반복한 실험의 평균 ±mean standard deviation(SD) 값으로 기재하였다. 실험 결과 처리는 SPSS 프로그램(버전 12.0)을 이용하여 Two-way ANOVA로 하였으며, P<0.05 값을 갖는 차이를 통계적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실험예 1. 6종 잡곡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NO 생성 억제 효과
잡곡으로부터 항염증 활성 소재를 분리 동정하고자 항염증 활성이 보고된 6종의 잡곡, 즉 황금 찰수수(Sorghum bicolor (L.) Moench var. hwanggeumchal), 팥(Phaseolus angularis), 기장(Panicum miliaceum), 조(Setaria italica), 율무(Coix lacryma-jobi), 식용피(barnyard millet)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잡곡에 대한 80%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고, 6종의 잡곡 80% 에탄올 추출물이 RAW264.7의 세포독성과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금 찰수수, 팥, 율무 및 식용피는 RAW264.7 세포에 대해 200㎍/mL 농도까지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기장과 조는 각각 200㎍/mL에서 31.4%와 19.5%의 세포독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a). 또한 같은 농도에서 LPS 처리에 의한 NO 생성 저해율은 팥 81.5%, 기장 59.6%, 율무 63.4% 및 조 57.4%인데 반하여, 황금 찰수수와 식용피는 각각 89.3%와 96.4%의 강한 NO 생성 저해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1b), 이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식용피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험예 1에서 LPS-induced RAW 264.7에서 NO 생성을 가장 강하게 저해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식용피의 항염증 활성 소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처리하여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과 LPS 처리에 의한 NO 생성에 대한 영향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25~100㎍/mL의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경과 후 LPS를 처리한 결과 처리농도 100㎍/mL에서는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도 2a), LPS-induced NO 생성 저해 활성은 메틸클로라이드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b). 특히, 식용피 메틸클로라이드 분획물의 경우 100㎍/mL의 농도에서 NO 생성 저해율이 약 97%로 NO 생성을 매우 높게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iNOS, COX-2,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에 대한 영향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염증매개인자인 iNOS와 COX-2의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25, 50, 100㎍/mL의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후에 LPS 0.1㎍/mL를 20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 용해액을 얻었다. 각 세포 추출물을 전기영동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법으로 iNOS(130kDa), COX-2 protein(72kDa),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L-1β, TNF-α의 발현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실시예 2의 식용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식용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IL-1β및 TNF-α의 발현 또한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같은 결과로부터 식용피는 염증을 일으키는 염증매개인자 iNOS 및 COX-2와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MAPKs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예를 들어 ERK, JNK 및 p38 MAPK)의 인산화에 대한 영향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실시예 2의 식용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ERK(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JNK(C-Jun N-terminal kinases) 및 p38 MAPK(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PS-induced JNK 인산화 감소는 c-Jun protein의 Ser-63 잔기의 인산화 감소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NF-κB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식세포 내에서 전사인자인 NF-kB는 그 저해제인 IkB와 결합하여 불활성 상태로 세포질에 존재하지만, 세포표면의 Toll-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에 세균성 LPS가 결합할 때 유도되는 신호전달과정에 의해 IkB가 인산화되어 NF-kB/IkB로부터 해리되고 프로테아좀 분해작용에 의해 제거됨에 따라 NF-kB는 비로소 활성화 상태가 된다. 활성화된 NF-kB는 핵으로 이동하여 다양한 염증 관련 유전자들의 전사를 유도한다. 이러한 NF-kB의 활성화에는 Akt 신호전달과 ERK, c-jun JNK 및 p38-MAPK 신호전달 경로가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NF-kB의 활성화와 핵 내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의 처리에 의해서는 NF-kB의 활성화와 연관있는 IkB 단백질의 인산화가 증가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실시예 2의 식용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IkB 인산화 수준이 감소하고, NF-kB의 핵 내로의 이동도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는 식용피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 내에 LPS에 의해 유도되는 NF-kB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소재가 있어, iNOS, COX-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전사 및 합성을 저해하여 항염증 작용을 나타냄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6.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내 항염증 관련소재의 동정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내에 항염증 활성에 관여하는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내 페놀성 화합물을 HPLC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6 및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페놀성 화합물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80% EtOH Hexane MC EtOAc BuOH H2O
비오카닌 A 1.18 - 2.22 2.76 2.77 -
카페인산 0.41 - - 0.28 - 0.37
(±)-카테킨 0.46 - 0.17 - 0.40 0.72
클로로겐산 0.13 - - 0.33 - -
p-쿠마르산 1.90 - 0.01 2.53 0.26 -
t-쿠마르산 0.07 0.07 0.21 - - -
폴모노네틴 0.32 - 1.52 1.30 - -
갈릭산 0.07 - - 0.14 - 0.28
헤스페리딘 0.13 - 0.33 2.68 1.66 -
호모겐티신산 0.21 - - 0.06 0.35 0.41
이소오리엔틴 3.56 - 0.40 0.42 15.23 0.99
캠페롤 2.69 0.70 9.17 8.01 4.53 -
나리진 0.03 - 0.56 0.01 - -
오리엔틴 0.03 0.06 - 2.60 - -
프로토카테큐산 2.02 - 0.34 5.77 - -
피로갈롤 0.02 - - 0.13 - -
쿼세틴 1.60 - 0.03 11.05 - -
레스베라트롤 0.20 - 0.17 0.90 1.05 -
루틴 하이드레이트 0.02 - 0.87 - - -
시린직산 0.01 - 1.15 0.32 0.67 -
바닐린산 0.05 - 0.17 0.62 - -
바닐린 0.43 - 0.68 0.56 - -
베라트르산 0.03 - 0.13 0.12 0.92 -
α-토코페롤 - - - - - -
15.54 0.83 18.13 40.59 27.84 2.7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는 캠페롤, 비오카닌 A 및 폴모노네틴이 전체 페놀성 화합물의 85%를 차지하였으며, 헤스페리딘(hesperidin), 아이소오리엔틴 (isoorientin), 나란진(naringin), 프로토카테큐산(protocatechuic acid), 루틴 하이드레이트(rutin hydrate), 레스베라트롤 (rasveratrol), 시린직산(syringic acid), 바닐린산 (vanilliic acid), 바닐린(vanillin), 베라트르산(veratric acid), 다수의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0㎍/mL 농도의 식용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NO 생성 저해율은 49.8%이었으며, 대조구인 50μM 캠페롤과 비오카닌 A의 NO 저해율은 각각 45.7% 와 39.7%이었다.
이는 식용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 100㎍/mL 안에 캠페롤이 32μM, 비오카닌 A가 7.8μM이 함유되어 있고 이외에 다수의 항염증활성이 있는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이들 물질간의 상승효과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식용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식용피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은 항염증 활성이 보고된 캠페롤과 비오카닌 A에 기인하며, 작용기전 또한 이들의 항염증 기전과 일치하게 iNOS, COX2와 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6, TNF-α)의 발현을 억제하고, MAPKs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Choi et al., J Periodontol. 84:545-555, 2013; Kim et al., Biogerontology 8:399-408, 2007; Labanyamoy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653:8-15, 2011).
제제예 1. 약학 제제의 제조
산제 제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20㎎, 유당 100㎎ 및 탈트 10㎎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정제 제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캡슐제 제조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 결정성 셀룰로오스 3㎎, 락토오스 14.8㎎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주사제 제조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2mL)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 만니톨 180㎎,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및 Na2HPO2H2O 26㎎으로 제조하였다.
액제 제조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20㎎, 이성화당 10g 및 만니톨 5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더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식품 제제의 제조
건강식품 제조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g,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g, 비타민 C 10㎎, 비오틴 10g,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및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건강음료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 100㎎, 비타민 C 15g, 비타민 E(분말) 100g, 젖산철 19.75g, 산화아연 3.5g, 니코틴산아미드 3.5g, 비타민 A 0.2g, 비타민 B1 0.25g, 비타민 B2 0.3g 및 정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2)

  1. 캠패롤(kaemfperol), 비오카닌 A(biochanin A), 폴모노네틴(formononetin)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용피 에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피 에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피 에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OX-2),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 inflammatory cytokines)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피 에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MAPKs(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의 인산화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위염, 기관지염, 간염, 신장염,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대장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골관절염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1. 캠패롤(kaemfperol), 비오카닌 A(biochanin A), 폴모노네틴(formononetin)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용피 에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피 에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40155826A 2014-11-11 2014-11-11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3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26A KR101663609B1 (ko) 2014-11-11 2014-11-11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826A KR101663609B1 (ko) 2014-11-11 2014-11-11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15A KR20160056415A (ko) 2016-05-20
KR101663609B1 true KR101663609B1 (ko) 2016-10-10

Family

ID=5610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826A KR101663609B1 (ko) 2014-11-11 2014-11-11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8464A (zh) * 2020-04-28 2020-07-10 滨州医学院 芒柄花素磺酸钠在制备治疗类风湿性关节炎药物中的应用
KR20220161209A (ko) * 2021-05-28 2022-12-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난소내막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779B1 (ko) 2010-07-29 2013-01-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30051180A (ko) * 2011-11-09 2013-05-2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식용피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1095A (ko) * 2012-05-23 2013-12-03 참살이 모악골 영농조합법인 캄페롤을 포함한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항염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15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897B1 (ko)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668845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10040B1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5162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1092B1 (ko) 진통에 유효한 초피 잎 추출물의 분획물
KR101663609B1 (ko)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47664B1 (ko) 데속소-나치놀 A 및 8α-하이드록시피노레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01888B1 (ko) 진통에 유효한 조성물
KR101449575B1 (ko) 테뉴폴리사이드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35602A (ko) 압출성형 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20130060475A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EP3698805A1 (en) Fraction ofzanthoxylum piperitum
KR102114271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1830B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8263B1 (ko) 신규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 및 선퇴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48400B1 (ko) 카페오일글리콜산 메틸 에스테르 또는 1-o-카페오일글리세롤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47665B1 (ko) 데속소-나치놀 A 및 8α-하이드록시피노레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70600B1 (ko) 산성 다당체를 다량 함유하는 고압효소분해 인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1678646B1 (ko) 빵 나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8404B1 (ko) 대극속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8997B1 (ko) 세나 알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조성물
KR100694569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및 이로 부터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51200B1 (ko) 3-데옥시사판칼콘을 함유하는 심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40957B1 (ko) 모자반크로마놀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