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7739A - 매생이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매생이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739A
KR20230017739A KR1020220090236A KR20220090236A KR20230017739A KR 20230017739 A KR20230017739 A KR 20230017739A KR 1020220090236 A KR1020220090236 A KR 1020220090236A KR 20220090236 A KR20220090236 A KR 20220090236A KR 20230017739 A KR20230017739 A KR 2023001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maesaengi
lactobacillus plantaru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우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1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rds (AREA)
  • Toxi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LPS로 유도된 RAW 274.7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NO)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주요인자 및 MAPK 경로를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바, 강력한 천연의 항염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고,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높고, 강력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여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바, 항산화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매생이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ingredients of fermented kimchi lactic acid bacteria of Maesaengi extract}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링산(syringic acid)를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매생이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 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천연 조성물과 상기 천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활성 산소종은 체내의 세포막, 단백질 및 DNA 등의 손상을 일으켜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자유라디칼 및 다른 반응성 산소종 (ROS)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산화 진행 중에 부산물로써 생성될 수 있다(Halliwell & Gutteridge, 1999). 반응 산소종(ROS)은 정상적인 신진대사에 많은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과도한 ROS는 단백질의 기능을 손상, 세포 거대 분자에 산화 손상을 가져오고, trigger cell의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 (Kremer et al. 2012). 산화 스트레스의 장기간 상태는 심혈과 질환과 암 등 여러 질병의 발병에 관여한다 (Sun et al. 2004). DNA, 단백질 및 기타 거대 분자에 대한 산화 손상은 나아가 노화로 이어지는 내적 손상의 주요 유형을 구성한다고 가정되어지고 있다(Fraga et al. 1990). 따라서 항산화 물질을 섭취하여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데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체에 무해 한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천연물 유래의 다양한 항산화제의 탐색이 진행되고 있다(Choi et al., 2005).
염증은 인체의 대식세포(macrophage)가 외부의 자극이나 침입한 병원체에 반응하여 염증유발인자인 TNF-α, interleukin1-ββ및 IL-6와 같은 cytokine을 생성하고 또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2(COX-2)를 합성하여 nitric oxide (NO) 및 prostaglandin E2(PGE2)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생성된 NO는 종양과 세균을 제거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NO가 체내에 과도하게 생성되면 조직의 손상, 유전자의 변이 및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주게 된다(Moncada et al., 1991; Choi et. al., 1993). 이로 인해 항염증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해양 생물종은 지구 전체 생물종의 약 80 %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종의 수가 50 만종 이상으로 알려져 있어, 종의 다양성과 더불어 진화과정의 독자성과 서식환경의 특이성이라는 요인에 의하여 풍부한 영양분외에도 기존의 육상생물이 보유할 수 없는 생리활성 물질과 신종효소 등을 보유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으로서의 활용도와 소비수요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해양생물 중에서 해조류는 일반 농산 채소류에 비하여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 일반성분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필수 미량원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해조류의 알칼리 이온은 체내의 산성 노폐물과 결합하여 배설됨으로써 신진대사 작용을 활발하게 돕는 등 2 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독성제거에도 크게 기여하여,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흡착, 배출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종류에 따라 특이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해조류 중 녹조류인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는 영양성분이 고루 함유된 해조류로서 무기질을 성분 중 칼슘과 철의 함량이 높고, 칼륨함량도 높아서 이들 무기질에 의한 생리효과가 기대되는 조류이다.
상기 매생이는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 청정지역의 조간대 상부에서 서식하여, 11 월 중순부터 4~5 월까지만 번식할 뿐 아니라 환경오염에 매우 민감하여 육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임되면 생육이 저하되고, 특히 유기산 함량이 조금만 있어도 녹아버리고, 보관도 용이하지 않아 전국적인 공급이 되지 못하고 대부분 생산지역에서 소비되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매생이를 제외한 다른 녹조류에 대한 기능성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매생이에 대해서는 생태 등의 기초적인 연구와 일부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외에는 그 기능성 연구가 상당히 미진한 상태이다.
생물 전환(biotransformation)은 생체의 생리·대사 기능을 세포의 수준에서 또는 생체 촉매인 효소의 수준에서 활용하여 유용 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최근 생물 산업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것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생체 내에 존재하는 복잡·다양한 생체 물질의 불활성기에 정확하게 작용하는 생체 기능을 이용하여 원료 물질을 고부가가치의 물질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매생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고, 상기 매생이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생물 전환시켜 수득한 유산균 발효성분에서 높은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871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시링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12116으로 기탁된 유산균을 사용하는 것이 생리활성에 있어 유리하다.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유기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LPS로 유도된 RAW 274.7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NO)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 주요인자 및 MAPK 경로를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우수할 뿐만아니라, 항산화 효과 역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매생이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시링산의 표준성분 그래프(a)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매생이 추출물의 HPLC 성분분석 결과 그래프(b)이다.
매생이 추출물의 HPLC 성분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매생이 추출물의 염증성 인자 발현(a) 및 MAPK 발현(b)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매생이는 영양성분이 고루 함유된 해조류로서 무기질을 성분 중 칼슘과 철의 함량이 높고, 칼륨함량도 높아서 이들 무기질에 의한 생리효과가 기대되는 조류이다. 상기 매생이는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 청정지역의 조간대 상부에서 서식하여, 11 월 중순부터 4~5 월까지만 번식할 뿐 아니라 환경오염에 매우 민감하여 육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임되면 생육이 저하되고, 특히 유기산 함량이 조금만 있어도 녹아버리고, 보관도 용이하지 않아 전국적인 공급이 되지 못하고 대부분 생산지역에서 소비되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매생이는 또한, 미끌미끌한 점액인 알긴산 성분등 해양생물에 풍부함 각종 신 기능성 성분이 체내에 쌓인 중금속과 미세먼지를 배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생이는 시링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시링산(syringic acid)은 시킴산 경로(shikimic acid pathway)에 의하여 합성되는 페놀 화합물로서, 항산화, 미백활성, 항균, 항암 등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Khim P.C., 2009,1(2):15-20.; J. Exp. Biomed. Sci., Lee et al., 2005. 11:337-341.).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상기 시링산을 표준물질로 함유하고, 상기 시링산은 본 발명 조성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의 주요성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매생이 추출물에 김치 유산균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하여 수득한 생물 전환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물 전환(biotransformation)은 생체의 생리·대사 기능을 세포의 수준에서 또는 생체 촉매인 효소의 수준에서 활용하여 유용 물질을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곰팡이, 효모, 유산균 및 버섯류와 같은 유익한 미생물을 활용한 발효기술로 원료의 생리활성을 높이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그 중 유산균은 저분자 항균물질로 알려진 박테리오신(Bacteriocin)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는 원료의 생리활성을 증가시켜 원료의 가치를 높이는데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상기 김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생물 전환되어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김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Lactobacillus plantarum)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에 속하는 그람 양성균으로서 일반적으로 김치, 피클, 올리브절임 및 식물 발효 식품이나 일부 치즈에서 발견되고, plantaricin이라는 이름의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추출 대상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은 (1) 매생이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매생이 추출물을 김치 유산균으로 생물 전환하여 생물 전환된 매생이 추출물 발효성분을 수득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은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생이는 시링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할 수 있고, 상기 김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Lactobacillus plantaru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은 본 발명의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서, 유효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유효물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물질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0.001-100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5 mg/kg/일이다.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7-7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7-2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생이는 시링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할 수 있고, 상기 김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Lactobacillus plantaru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의 발효성분은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물질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물질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유효물질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 식품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생이는 시링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할 수 있고, 상기 김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넘(Lactobacillus plantaru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은 본 발명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유효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유효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일 수 있으며, 건강식품의 예로는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물질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물질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매생이( capsosiphon fulvescens )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매생이(완도 매생이 협동조합, 전남완도군 고금면 고금남로 446번지) 100 g을 70 % 에탄올 12 L를 이용하여 2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온열 농축기를 통하여 37 ℃에서 에탄올을 제거하고 추출물을 농축하여 매생이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매생이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L. plantarum, KCCM12116) 발효성분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매생이 추출물에 Difco Lactobacillus MRS Broth 250 mL, Agr 배지에서 37 ℃의 인큐베이터에 24 시간 동안 배양한 김치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기탁번호 KCCM12116) 균주를 매생이 추출물 500 mL의 2 %(v/v) 만큼 접종하고 24 시간 및 48 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 배양하여 매생이 김치 유산균 생물 전환 결과물(매생이 L. plantarum 발효성분)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매생이 추출물의 고초균(Bacillus subtilis) 발효성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대신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이용하고, 24 시간 매생이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매생이 추출물의 발효성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매생이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발효성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대신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를 이용하고, 24 시간 매생이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매생이 추출물의 발효성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매생이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 발효성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대신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 casei)를 이용하고, 24 시간 매생이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매생이 추출물의 발효성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매생이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L. plantarum, KFCC 11542) 발효성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KCCM12116) 대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KFCC 11542)를 이용하고, 24 시간 매생이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매생이 추출물의 발효성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매생이 추출물의 김치 유산균(L. plantarum, KFCC 11028) 발효성분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KCCM12116) 대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KFCC 11028)를 이용하고, 24 시간 매생이 추출물을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매생이 추출물의 발효성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매생이 추출물의 독성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매생이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를 대식세포인 Raw 264.7에서 MTT assay를 통한 세포생존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는 96 well plate에 well당 5×104 세포로 150 μL 분주하고, 37 ℃, 5 %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LPS 농도가 1 μg/mL이 되도록 첨가한 후, 제조예 1의 매생이 추출물을 0, 10, 25, 50, 100, 250, 500 및 1000 μg/mL로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고, 배양 후 각 well에 5 mg/mL 농도로 제조한 MTT (Sigma-Aldrich) 용액 50 μL를 첨가하여 2 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 200 μL 분주하여 실온에서 10 분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매생이 추출물은 250 μg/mL 까지는 독성이 없었으며, 이후의 고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매생이 추출물의 HPLC 분석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매생이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을 측정하였다. Capcellpak C18 UG 120(4.6 X 250 mm, 5 μm) [Shiseido, Tokyo, Japan] column을 사용하였고, 1 % Acetic acid: Acetonitrile = 3: 2(v/v) 비율로 진행하였다. Flow rate는 1 mL/min를 유지하였고, Injection volume은 20 μL, Fluorescence Detector(Ex: 280 nm, Em: 325 nm)로 측정하였다.
도 2의 a)는 시링산의 표준성분 그래프이고, b)는 본 발명의 매생이 추출물의 HPLC 성분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조예 1의 매생이 추출물은 시링산 성분이 함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염증 활성 평가
- 염증성 인자 발현 분석
RAW 264.7 세포를 6 well plate에 5 X 105 세포/well의 밀도로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제조예 1의 매생이 추출물 0, 10, 30 및 100 μg/mL 샘플에 1 μg/mL LPS를 적용하여 24 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얼음처럼 차가운 PBS로 2 회 세척하고 1 mL PBS를 사용하여 플레이트에서 긁어 낸 다음 원심 분리 후, PBS를 제거하였다.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PRO 200 균질기를 사용하여 1 % 프로테아제 억제제 칵테일을 사용하는 방사성 면역 침전 분석(RIPA) 용해 완충액에서 세포를 균질화 한 다음 디스 멤브레이터로 초음파 처리한 후, 균질물을 4 ℃에서 12,000 rpm에서 15 분 간 원심 분리하고, 세포 파편 제거 후, 상청액을 수집하였다.
총 단백질 농도는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Bio-Rad 단백질 분석 시약을 사용하여 결정되었고, 단백질 (레인당 20 μg)을 SDS-폴리 아크릴 아미드 겔 전기 영동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겔에서 니트로 셀룰로오스 막으로 옮겼다. 니트로 셀룰로오스 막을 5 % BSA에서 차단하고 각각 4 ℃에서 iNOS, COX-2, IL-6 및 β-액틴을 포함한 1 차 항체와 함께 밤새 배양한 후, 다음 막을 해당 2 차 항체와 함께 배양하고 막의 표적 단백질을 강화된 화학 발광(ECL) 시약을 사용하여 시각화 하였다.
밴드의 상대적인 강도는 Imae Lab 소프트웨어와 함께 BIO-RAD ChemiDoc XRD+(BIO-RAD, Philadelphia, PA, 미국) 이미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각화 및 분석하여 도 3의 a)에 도시하였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조예 1의 매생이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염증성 인자인 iNOS, COX-2 및 IL-6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MAPK 발현 측정
RAW264.7 세포를 6 well plate (Corning, USA)에 1×106 cells/well의 세포 수가 되도록 분주하여 37 ℃, 5 % CO2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1의 매생이 추출물 0, 10, 30 및 100 μg/mL 샘플에 1 μg/mL LPS를 적용하여 30 분 동안 CO2 incubator에 배양하였다. 이후 Protein extraction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BSA를 표준으로 하여 Bio-Rad Protein Assay (Bio-Rad, California, USA)로 정량하였다. 이후 8-15 % SDS-PAGE로 30 μg의 단백질을 로딩하고, PVDF 멤브레인으로 옮겼다. 상기 멤브레인을 5 % BSA로 blocking한 후 p-JNK, JNK, p-ERK 및 ERK((Cell Signaling Technologies, Massachusetts, USA) 항체를 4 ℃에서 overnight 반응한 후 Washing하고 HRP-conjugated secondary antibody로 1 시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iBright CL1000 imaging 시스템 (Thermo Fisher Scientific, USA)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양을 검출하여 도 3의 b)에 도시하였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조예 1의 매생이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강한 염증반응으로 MAPK 인산화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NO 생성 측정
NO(Nitric oxide)는 cytokine의 자극 또는 미생물 침입으로 인해 세포가 활성되는 것으로서 NO 합성효소에 의하여 L-arginine으로부터 생성되는 무기 유리체이다. RAW 264.7 대식세포에 LPS 자극에 의해 많은 양의 NO를 형성하며 이에 의한 세포 독성은 염증반응, 세포의 돌연변이 및 종양 발생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염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매생이 추출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생이 L. plantarum 발효성분(24 h)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각각의 균주로 발효된 매생이 발효성분의 NO 생성 억제능을 각각 처리 농도별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대식세포를 1×106 cells/well로 6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 시간 후에 상기 제조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료를 10, 25, 50, 100 및 250 μg/mL mg/mL 처리한 다음, LPS(1 μg/mL)를 처리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에 세포배양액 150 μL와 Griess시약 150 μL를 혼합하여 37 ℃에서 10분 동안 incubator에서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sodium nitrate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NO의 함량을 산출하고, 하기의 표 1에 그 결과를 도시하였다.
시료 처리농도 (μg/mL)
10 25 50 100 250
NO 생성량
(μM)
Control 0.98 - - - - -
LPS
(1μg/mL)
2.8 - - - - -
실시예 1 - 1.74 1.51 1.40 1.16 0.97
제조예 1 - 2.54 2.39 2.23 1.84 1.56
비교예 1 - 2.71 2.47 2.24 2.01 1.65
비교예 2 - 2.52 2.45 2.24 1.86 1.54
비교예 3 - 2.60 2.51 2.23 1.76 1.40
비교예 4 - 2.46 2.28 2.03 1.74 1.35
비교예 5 - 2.45 2.31 2.11 1.81 1.46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모든 시료에서 LPS를 통하여 증가된 NO 발생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주요 기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1의 샘플이 제조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샘플 대비 NO 생성량을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산화 활성 평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매생이 추출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생이 L. plantarum 발효성분(24 h)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각각의 균주로 발효된 매생이 발효성분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시험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ABTS는 7 mM의 최종 농도로 DW에 용해되었고 최종 농도 2.45 mM (V/V의 50 %)에서 과 황산칼륨 용액과 혼합되어, 어두운 곳에서 12 시간 내지 16 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Jeong, et al. 2009). 각 실험에서 새로 준비된 ABTS 용액을 0.01 M 인산염 완충 식염수(PBS, pH 7.4)로 희석하여 734 nm 파장에서 흡광도가 0.70 ± 0.02 이내로 조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매생이 추출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매생이 L. plantarum 발효성분(24 h)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각각의 균주로 발효된 매생이 발효성분과 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AA)을 이용하여, 각각 0.25, 0.5, 1, 2, 4 μg/mL 농도의 샘플 용액 및 대조군을 준비하고, 상기 각각의 샘플 용액 및 대조군 100 μL를 0.9 mL의 ABTS 용액과 혼합하고 상온에서 5 분 동안 배양한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자유 라디칼의 소거 활성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1]
ABTS 소거 활성(%)=[(대조군의 흡광도-샘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시료 처리농도 (μg/mL)
0.25 0.5 1 2 4
ABTS 라디칼 소거활성 (%) 대조군 99.2 99.1 98.8 99.2 99.8
실시예 1 12.4 22.1 48.7 75.9 98.7
제조예 1 5.4 7.2 8.9 17.9 25.4
비교예 1 4.9 7.1 9.0 16.7 20.4
비교예 2 6.1 9.6 13.4 23.4 31.2
비교예 3 7.5 11.4 20.1 37.1 40.3
비교예 4 7.6 11.8 21.5 39.8 45.2
비교예 5 7.5 11.8 21.4 40.2 46.8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매생이 추출물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매생이 발효성분과 비교하여 실시예 1의 매생이 L. plantarum 발효성분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더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 약제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약제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추출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추출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4. 주사제의 제조
추출물 10 μg/mL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mL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하고,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mL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 ℃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5. 경비흡수제 (Nasal spray)의 제조
추출물 1.0 g
아세트산나트륨 0.3 g
메틸파라벤 0.1 g
프로필파라벤 0.02 g
염화나트륨 적량
HCl 또는 NaOH pH 조정 적량
정제수 적량
통상의 경비흡수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염수 (0.9% NaCl, w/v, 용매는 정제수) 1 mL당 추출물 3 mg이 포함되도록 제조하고, 이를 불투명한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경비흡수제를 제조하였다.
약제 제조예 6. 액제의 제조
추출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 건강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식품 제조예 1.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0.01-1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건강식품 제조예 2.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4 중량부, 율무 19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추출물 (2 중량부),
영지(1.5 중량부), 및
지황(1.5 중량부).
-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추출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성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2. 건강 기능 음료의 제조
추출물 100 mg
구연산 100 mg
올리고당 100 mg
매실농축액 2 mg
타우린 100 m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 화장료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추출물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알란토인 0.10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중량부
에탄올 30.0 중량부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화장료 제조예 2. 영양 크림의 제조
추출물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D-판테놀 0.10 중량부
식물 추출물 3.2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0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0 중량부
스테아르산 2.0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3.0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0 중량부
스쿠알란 3.80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0 중량부
식물성오일 1.80 중량부
디메치콘 0.40 중량부
디포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시링산(syringic acid)을 표준물질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12116으로 기탁된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생이 추출물은 유기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12116으로 기탁된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12116으로 기탁된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은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1.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12116으로 기탁된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추출물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기탁번호 KCCM12116으로 기탁된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
KR1020220090236A 2021-07-27 2022-07-21 매생이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30017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63 2021-07-27
KR20210098463 2021-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739A true KR20230017739A (ko) 2023-02-06

Family

ID=8522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236A KR20230017739A (ko) 2021-07-27 2022-07-21 매생이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77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167B1 (ko) 2018-05-03 2020-03-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167B1 (ko) 2018-05-03 2020-03-1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3631B2 (ja) 無辛味品種トウガラシの発酵組成物及びその利用
KR102263698B1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195 균주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복합체
KR20150007810A (ko)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1409764B1 (ko)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우뭇가사리 주정추출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078933B1 (ko) 락토바실러스 속의 젖산균으로 발효된 버섯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200101113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2523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31008B1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89331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97957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9800B1 (ko) 발효 팥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40095132A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17739A (ko) 매생이 김치 유산균 발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79500B1 (ko) 율무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351088B1 (ko)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150059092A (ko) 증숙 후 발효시킨 더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670653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조성물
KR20130058388A (ko) 발효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673407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5089385A (ja) リポキシゲナーゼ阻害剤
KR102129461B1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04803B1 (ko) 진세노사이드 f2 및 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