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810A -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810A
KR20150007810A KR20130082310A KR20130082310A KR20150007810A KR 20150007810 A KR20150007810 A KR 20150007810A KR 20130082310 A KR20130082310 A KR 20130082310A KR 20130082310 A KR20130082310 A KR 20130082310A KR 20150007810 A KR20150007810 A KR 2015000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tivity
antioxidant
canc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547B1 (ko
Inventor
부희옥
김학현
우선희
권수정
Original Assignee
(주)파이토엠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토엠앤에프 filed Critical (주)파이토엠앤에프
Priority to KR102013008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5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DPPH, 아질산염 또는 ABTS 양이온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고, 위암세포, 유방암세포, 직장암세포, 폐암세포, 간암세포, 자궁경부암세포에서 항암활성을 보였으며, 글루코오즈 내당성이 높았고, 기관지질환의 여러 균에 항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여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포독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도 안정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xidant or anticancer or antidiabete or antimicrobial containing balloon flower extract}
본 발명은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라지는 한의학에서는 길경(桔梗)이라고 하며, 초롱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지에 자생하며, 배농, 거담, 기관지염, 천식 등의 호흡기계 질환에 사용되어온 생약재이다. 또한, 도라지는 이를 이용한 한방처방 수가 동의보감에 273건, 방약합편에 49건이 수록되어 있을 정도로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는데, 도라지의 주요 약리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사포닌(saponin)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성분은 진해, 거담작용, 중추신경억제작용(진정, 진통, 해열효과), 급만성염증에 대한 항염증 작용, 항궤양 및 위액분비 억제작용,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콜린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대사 개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도라지의 추출물은 곰팡이의 아프라톡신을 억제하며, 이눌린 분획은 식균작용과 고형암 및 복수암에 대한 강력한 항종양 효능이 있고, 40% 도라지엑기스는 알코올 흡수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다.
한편, 도라지를 포함하여 생체 유용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식물은 1차 생산자로서 사람을 비롯한 모든 동물의 식량이 되기 때문에 이의 개량이나 증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 결과 식물의 세포 및 조직배양 기술이 발달하였고 미분화 세포 덩어리인 캘러스로부터 완전히 식물체의 재분화가 가능해지면서 식물자원의 효과적 활용이 가능케 되었는데, 연구 결과의 예로 식물생장조절 물질들을 사용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되었고, 식물의 조직이나 기관을 특수한 기내 환경 조건을 구비하여 재배함으로써 외부의 악영향을 받지 않고 기내에서 지속적인 식물 생산물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외에도 배수체를 제조하여 식물을 증가시키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한편, 개발된 종래 방법에 있어서 4배체 식물을 유도하는 방법으로는 콜히친 방법에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는 종자를 콜히친 용액에 처리하여 식물체를 획득하는 것으로 4배체의 유기 효율이 적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기내라는 특수 환경 하의 식물 생장 증식은 여러 가지 기내 환경에 맞는 선별적인 영양분이 필요하며, 대상이 되는 식물의 종류 및 특성에 따른 적정배지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라지의 생리활성물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25942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다양한 약리 효과를 갖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라지는 2배체 또는 4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동결건조, 자연건조, 열풍건조 또는 마이크로웨이브건조를 수행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DPPH, 아질산염 또는 ABTS 양이온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곰보배추, 산수유 및 유자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직장암 또는 자궁경부암 세포 사멸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KCCM 40413, 클렙시엘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subsp . pneumoniae) KCCM 41285,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KCCM 11817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를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DPPH, 아질산염 또는 ABTS 양이온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고, 위암세포, 유방암세포, 직장암세포, 폐암세포, 간암세포, 자궁경부암세포에서 항암활성을 보였으며, 글루코오즈 내당성이 높았고, 기관지질환의 여러 균에 항균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여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포독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약물에 대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도 안정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2배체, 4배체 도라지 추출물의 건조방법별 SOD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FD: 동결건조, ID: 자연건조, HD: 열풍건조, MD: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도 2는 2배체, 4배체 도라지 추출물의 건조방법별 CAT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FD: 동결건조, ID: 자연건조, HD: 열풍건조, MD: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도 3은 2배체, 4배체 도라지 추출물의 건조방법별 APX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FD: 동결건조, ID: 자연건조, HD: 열풍건조, MD: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도 4는 2배체, 4배체 도라지 추출물의 건조방법별 POD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FD: 동결건조, ID: 자연건조, HD: 열풍건조, MD: 마이크로웨이브 건조).
도 5는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KCCM 40413의 항균활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A: 2배체, B: 4배체).
도 6은 클렙시엘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subsp . pneumoniae) KCCM 41285의 항균활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A: 2배체, B: 4배체).
도 7은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KCCM 11817의 항균활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A: 2배체, B: 4배체).
본 발명은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라지’는 한의학에서는 길경이라고도 하는데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독이 많고 맛은 맵고 쓰다. 한방에서 길경은 노쇠하거나 폐기가 완전히 쇠약해지지 않은 사람의 기관지와 폐의 병에 특효약이라고 언급한다. 주로 기혈을 보강해주고 뱃속의 냉기를 덜어주어 심장쇠약, 설사, 주독 등에도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도라지의 주성분이라 할 수 있는 사포닌에 의한 것으로 거담, 항염, 항궤양, 부신피질호르몬 분비촉진, 기도점액분비, 타액분비 촉진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며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영양소라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의 생리활성물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던 중 2배체 도라지에 비해 4배체 도라지에서 생리활성물질의 효과가 더욱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건조방법에 따라서도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라지 추출물을 2배체와 4배체로 나누었으며, 동결건조(FD), 실내건조(ID), 열풍건조(HD), 마이크로웨이브 건조(MD)의 방법 및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DPPH 소거 활성을 분석한 결과, 2배체 도라지에 비해 4배체 도라지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조방법별로는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비교적 높은 효능을 보였고, 이러한 DPPH 소거 활성의 증가는 농도에 비례하는 농도의존적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표 2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라지 추출물을 2배체와 4배체로 나누었으며, 동결건조(FD), 실내건조(ID), 열풍건조(HD), 마이크로웨이브 건조(MD)의 방법 및 다양한 농도의 pH를 처리하여 도라지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반응 용액이 pH 1.2일 경우 시료 추출물 대부분이 아질산염을 60% 이상 분해시킬 수 있었으며, 이 중 2배체 도라지의 자연건조와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에서 각각 69.8%와 66.7%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2배체 도라지에서 4배체 도라지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소거능을 보였지만, 크게 유의성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표 4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을 2배체, 4배체 도라지의 건조방법별 검증한 결과를 보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4배체 도라지에서 2배체 도라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지만, 건조방법은 소거활성의 변화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표 6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라지 추출물에 항암 활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부위의 인체암세포주에 MTT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4배체 도라지에서 2배체 도라지보다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러 세포주 중에서 특히 직장암세포인 HCT 116 Cell과 자궁경부암세포인 헬라 세포(Hela Cell)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MCF-7 Cell과 Calu-6 Cell에서는 다른 암세포주와 비교하여 다소 낮은 독성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표 1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라지 추출물에 항당뇨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2배체, 4배체로 나눈 다음 건조방법에 따른 내당성 실험을 한 결과, 2배체와 4배체 도라지 추출물 모두에서 내당성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동결건조, 자연건조보다 열풍건조 및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에서 내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13 참조).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추출물에 항균활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3 종류의 기관지질환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4배체 도라지 도라지 추출물이 2배체 도라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클렙시엘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subsp . pneumoniae)에서는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도 5 내지 7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이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라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도라지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도라지의 열수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라지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도라지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도라지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ug/ml 내지 500u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도라지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도라지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항산화, 항암, 항당뇨 및 항균 효과를 위한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항산화, 항암, 항당뇨 및 항균 효과를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도라지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도라지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도라지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도라지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도라지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도라지 추출물의 제조
도라지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를 동결건조 후, 증류수와 주정알코올을 50%:50%의 비율로 3회 상온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하였으며, 상기의 방법으로 감압농축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동결건조 분말 100g을 n-헥산(n-hexane),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 부틸 알코올(Butyl alcohol), 증류수(D.W.)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연속 추출하여 분획화한 다음,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로 완전히 농축한 후에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각 분획물의 회수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배체, 4배체 도라지 모두 물 추출에서 가장 높은 회수율을 보였고 아세트산에틸 층에서는 극히 미미한 수준의 수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표 1 참조).
도라지 추출물의 용매별 추출 수율 측정 결과
Solvents Yield (g)
2배체( Diploid ) 4배체( Tetraploid )
n - hexane 2.31 2.64
Methylene chloride 2.44 3.04
Ethyl acetate 0.26 0.30
Butyl alcohol 9.97 10.05
D.W.( distilled water ) 83.03 80.12
< 실시예 2>
도라지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2-1> 건조 방법에 따른 2배체 , 4배체 도라지의 DPPH 소거 활성 측정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도라지 추출물에 항산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Choi 등(2003)의 방법을 이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먼저, 여러 농도의 시료를 메탄올 용매로 용해하여 900 μL의 DPPH 용액(100 μM)과 각 시료 100 μL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이 혼합 시료를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수소전자공여능은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 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An= (A0-A)/A0 × 100
An :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A0 :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DPPH 용액의 흡광도
A : 반응용액 중의 DPPH와 시료의 반응한 흡광도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을 2배체와 4배체로 나누었으며, 동결건조(FD), 실내건조(ID), 열풍건조(HD), 마이크로웨이브 건조(MD)의 방법 및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DPPH 소거 활성을 분석한 결과, 2배체 도라지에 비해 4배체 도라지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조방법별로는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비교적 높은 효능을 보였고, 이러한 DPPH 소거 활성의 증가는 농도에 비례하는 농도의존적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표 2 참조).
Figure pat00001

<2-2> 기능성 강화를 위한 선발 소재의 DPPH 소거 활성 측정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과 더불어 다른 식물 소재를 추가하여 더욱 더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식물 소재의 DPPH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식물 소재에서 DPPH 소거 활성이 존재하였지만 특히 산수유와 뱀차조기 추출물에서 월등한 DPPH 소거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표 3 참조).
Figure pat00002

< 실시예 3>
도라지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3-1> 건조 방법에 따른 2배체 , 4배체 도라지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1mM NaNO2 20㎕에 시료의 추출액 40㎕와 0.1N HCl(pH 1.2) 또는 0.2M 시트레이트 버퍼(citrate buffer (pH 4.2, 6.0))를 140㎕ 사용하여 부피를 200㎕로 맞추었다. 이 반응액을 37℃ 항온수조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2% 아세트산 1000㎕, Griess 시약 (30% 아세트산으로 조제한 1% 설파닐산(sulfanilic acid)과 1% 나프틸아민(naphthylamine)을 1:1 비율로 혼합한 것, 사용직전에 조제) 80㎕를 가하여 잘 혼합시켜 빛을 차단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아질산염 소거능을 구하였다.
N(%) = [1-(A-C)/B]×100
N : 아질산염소거(nitrite scavenging ability)
A : 1시간 기다린 후 샘플에 1mM 아질산염을 가한 다음의 흡광도(absorbance of 1mM NaNO2 added sample after standing for 1hour)
B : 아질산염의 흡광도(absorbance of 1NaNO2)
C : 대조군의 흡광도(absorbance of control)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을 2배체와 4배체로 나누었으며, 동결건조(FD), 실내건조(ID), 열풍건조(HD), 마이크로웨이브 건조(MD)의 방법 및 다양한 pH를 처리하여 도라지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반응 용액이 pH 1.2일 경우 시료 추출물 대부분이 아질산염을 60% 이상 분해시킬 수 있었으며, 이 중 2배체 도라지의 자연건조와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에서 각각 69.8%와 66.7%로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2배체 도라지에서 4배체 도라지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소거능을 보였지만, 크게 유의성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pH 4.2에서도 대부분 5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냈지만, pH 6.0에서는 거의 대부분 활성이 없었다.
따라서 pH 변화에 따른 식물 배수성별, 건조방법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pH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 점차 감소되거나 상실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2> 기능성 강화를 위한 선발 소재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과 더불어 다른 식물 소재를 추가하여 더욱 더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식물 소재의 pH농도를 달리하여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4

그 결과, 반응 용액이 pH 1.2일 경우 시료 추출물 대부분이 아질산염을 85% 이상 분해시킬 수 있었으며, pH 4.2에서도 대부분 1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냈지만, pH 6.0에서는 거의 대부분 활성이 없었다.
따라서 pH 변화에 따른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pH가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 점차 감소되거나 상실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다양한 식물 소재 중 산수유 및 여주 추출물에서 월등한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표 5 참조).
< 실시예 4>
도라지 추출물의 ABTS 양이온( ABTS +) 소거활성 측정
<4-1> 건조 방법에 따른 2배체 , 4배체 도라지의 ABTS 양이온 소거활성 측정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추출물의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7.4 mM ABTS(2,2'-azin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용액과 2.6
mM과 황산칼륨(potassium persulphate)을 혼합한 다음 암소에서 약 15시간 반응시킨 후 414 nm에서 흡광도가 1.5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희석한 용액 3 ㎖에 각 농도별로 조제한 시료 150 ㎕를 첨가한 다음 시험관 혼합기(vortex mixer)로 10초간 진탕하고 실온에 90분간 방치한 후 41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시료와 같은 농도로 조제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비교하였다.
양이온 소거능은 AEAC(relative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로 나타내었으며, 이는 아스코르브산의 소거능을 1.000으로 하였을 때 동일농도 시료의 ABTS 양이온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RAEAC = Caa × As
△Aaa Cs
ΔAaa : 아스코르브산 넣었을 때 흡광도 변화, Caa : 아스코르브산의 농도
ΔAs : 시료 넣었을 때 흡광도 변화, Cs : 시료 농도
Figure pat00005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을 2배체, 4배체 도라지의 건조방법별 검증한 결과를 보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4배체 도라지에서 2배체 도라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지만, 건조방법은 소거활성의 변화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표 6 참조).
<4-2> 기능성 강화를 위한 선발 소재의 ABTS 양이온 소거활성 측정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과 더불어 다른 식물 소재를 추가하여 보다 더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식물 소재의 농도를 달리하여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6

그 결과, 다양한 식물 소재에서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이 존재하였지만 특히 산수유, 뱀차조기 및 유자(과피 또는 잎) 추출물에서 월등한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표 7 참조).
기능성 강화 소재로서 선발된 8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항산화활성을 검증한 결과를 보면, DPPH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 ABTS 소거능 결과 모두에서 곰보배추, 산수유, 유자가 다른 식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도라지 소재 외 첨가소재로서는 이들 식물이 적합하다.
< 실시예 5>
도라지 추출물의 건조방법별 항산화효소 활성 측정
<5-1> SOD ( SuperOxide Dismutase ) 효소활성 측정
시료 0.5g에 분획 버퍼(extraction buffer)[100 mM K-PO4 buffer(pH7.5), 100 mM EDTA, 1% PVP, 100 mM PMSF] 2 ml로 균질화하여 15,000g 로 2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항산화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Ascorbate peroxidase(APX)의 경우 분획 버퍼(extraction buffer)에 위의 조성액 10mM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BSA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Bradford (1976)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SOD효소 활성 검정은 분석용 Kit (Sigma사,1916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SOD의 효소활성이 NBT(Nitroblue tetrazolium)의 환원을 저해하는 능력을 검정하는 photochemical NBT method를 사용하였다. 반응액은 50 mM 카르보닉 버퍼(carbonic buffer, pH 10.2), 0.1 mM EDTA, 0.1 mM 크산틴(Xanthine), 0.025 mM NBT로 하였으며, NBT환원 저해율을 흡광도 450nm에서 측정하였다. 각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으로 하였으며, SOD효소 활성은 다음의 계산식에 의해 환산하였다.
SOD활성 (NBT환원 저해율, %) = {[(Ablank1-Ablank3)-(Asample-Ablank2)] / (Ablank1-Ablank3)x100
그 결과, 동결건조 및 자연건조한 4배체 도라지에서 9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의 2배체 도라지에서 47.5%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으로 4배체 도라지가 2배체 도라지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도 1 참조).
<5-2> CAT ( Catalase ) 활성 측정
CAT활성은 Aebi 등(1984)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반응액은 50 m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0)와 10 mM H2O2로 하였다. CAT 활성은 반응액에 추출액을 가한 다음 240 mM에 2분간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건조조건에서 4배체 도라지의 활성이 2배체에서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건조방법은 동결건조와 자연건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도 2 참조).
<5-3> APX ( Ascorbate Peroxidase ) 활성 측정
APX 활성은 Nacano and Asada(1981)방법에 따라 아스코르브산염(ascorbate)의 산화 정도를 290nm에서 2분간의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APX의 반응액은 0.5mM 아스코르브산염와 0.2mM H2O2가 첨가된100m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로 하였다.
그 결과, 동결건조한 도라지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배수성과 건조방법 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도 3 참조).
<5-4> POX ( Peroxidase ) 활성 측정
POX활성은 Egley 등 (1983)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반응액은 최종농도가 40mM K-PO4 buffer (pH6.9), 1.5mM guaiacol, 6.5mM H2O2가 되도록 만든다. POD 활성은 반응액에 샘플을 혼합하여 스펙트로포타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서 470nm에서 2분간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2배체, 4배체 도라지 모두 동결건조 및 자연건조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지만, 배수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4 참조).
< 실시예 6>
도라지 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효소 활성 측정
각 시료 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효소 활성을 보면, SOD와 CAT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분획과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분획에서, APX 활성은 부틸알코올(Butyl alcohol) 분획과 물(Water) 분획에서, 그리고 POD 활성은 메틸렌 클로라이드 분획과 물 분획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4배체 도라지가 2배체 도라지에서보다 활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표 8 내지 11 참조).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 실시예 7>
도라지 추출물의 항암활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추출물에 항암 활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2배체, 4배체 도라지를 준비하였으며 MTT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bromide) 분석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위암세포인 SNU-601, SNU-1066, 유방암세포인 MCF-7, 직장암세포인 HCT-116, 폐암세포인 Calu-6, 간암세포인 Hep 3B, 자궁경부암세포인 Hela 등 7종의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시료 농도가 125, 250, 500, 1000, 2000, 4000㎍/㎖이 되도록 10㎕ 처리한 후, 각각 24시간 배양하였고, 0.2㎎/㎖의 MTT 용액 10㎕를 각 웰에 넣고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웰에 100㎕의 DMSO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흡광기(microplate reader)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세포독성은 시료의 흡광도를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1

MTT방법에 의한 각 시료 추출물의 인체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도를 확인한 결과, 전반적으로 4배체 도라지에서 2배체 도라지보다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암세포인 HCT 116 Cell과 자궁경부암세포인 헬라 세포(Hela Cell)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MCF-7 Cell과 Calu-6 Cell에서는 다른 암세포주와 비교하여 다소 낮은 독성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표 12 참조).
< 실시예 8>
도라지 추출물의 항당뇨활성 분석
또한,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추출물에 항당뇨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내당성(glucose tolerance test) 실험은 글루코오즈(Glucose)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으며, 본 발명자들은 각 시료 추출액이 글루코오즈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BCS 글루코오즈 키트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효소시약을 완충용액에 용해시킨 효소액 1.5 ml에 각 식물 추출액 10 μl을 넣고 충분히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가온한 후 40분 이내에 blank를 대조로 하여 파장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다음의 식에 따라 글루코오즈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효소액 1.5 ml에 표준액 (glucose 200mg/dl) 20ul를 넣은 용액을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다.
글루코오즈 함량 (mg/dl) = (ODsample/ODstandard)× 200mg/dl
Figure pat00012

상기 방법으로 내당성 실험한 결과, 배체 도라지에서 글루코오즈 내당성이 다소 양호하게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도라지는 내당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동결건조, 자연건조보다 열풍건조 및 마이크로웨이브 건조에서 내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표 13 참조).
< 실시예 9>
도라지 추출물의 항균 활성 분석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도라지 추출물에 항균활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2배체, 4배체 도라지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기관지질환 균배양용 액체배지(meat extract 1%, tryptone 1%, NaCl 0.5%, glucose 0.2%, yeast extract 0.3%, pepton 0.1% pH7.3)에 첨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세균배양용 배지는 blood agar base (Difco 0045)를 변형하여 이용하였으며, 항균활성 검정은 한천배지확산법(disk agar plate diffusion method)으로 측정한다.
즉, 각 시험미생물에 적합한 배지에 107 CFU/mL 농도로 시험미생물을 배양한 soft agar를 페트리디시(petri dish)에 분주한 후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를 올려놓고 시료 추출물 40 μL씩 분주 후 배양하여 저해환의 생성을 관찰하였다. 24시간 이내에 저해환이 생성된 경우 항균활성이 양성인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저해환의 직경을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하기 표 14는 본 발명의 도라지 항균활성 실험에 사용한 3가지 균주 종류 및 배양 조건을 기재한 것이다.
Figure pat00013

3 종류의 기관지질환 유발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결과, 4배체 도라지 추출물이 2배체 도라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다소 활성이 높았으며, 특히 클렙시엘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에서는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도 5 내지 7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라지는 2배체 또는 4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동결건조, 자연건조, 열풍건조 또는 마이크로웨이브건조를 수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DPPH, 아질산염 또는 ABTS 양이온 소거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곰보배추, 산수유 및 유자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직장암 또는 자궁경부암 세포 사멸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 KCCM 40413, 클렙시엘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subsp . pneumoniae) KCCM 41285,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KCCM 11817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를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9.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30082310A 2013-07-12 2013-07-12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1705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10A KR101705547B1 (ko) 2013-07-12 2013-07-12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10A KR101705547B1 (ko) 2013-07-12 2013-07-12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810A true KR20150007810A (ko) 2015-01-21
KR101705547B1 KR101705547B1 (ko) 2017-02-13

Family

ID=5257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310A KR101705547B1 (ko) 2013-07-12 2013-07-12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5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99B1 (ko) 2018-10-18 2019-05-10 한국수목원관리원 복합 효소를 이용한 도라지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976998B1 (ko) 2018-10-18 2019-05-10 한국수목원관리원 초고압 효소처리를 이용한 도라지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07222B1 (ko) 2019-12-27 2020-05-28 임영지 구증구포 약도라지를 이용한 추출 닭발 동결건조 과립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2322A1 (en) * 2019-10-31 2022-11-17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for inhibiting tumor proliferation comprising salvia plebei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KR102535396B1 (ko) 2020-10-08 2023-05-22 롯데웰푸드 주식회사 귤속 식물 과피를 이용한 미세먼지 자극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제조 방법
KR20230077926A (ko) 2021-11-26 2023-06-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성 플라스틱 프리 물티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345A (ko) * 1998-07-02 2000-02-07 이영춘 장생도라지 추출물로 제조된 약제
KR101259421B1 (ko) 2012-09-14 2013-04-30 (주)휴벳 인지능을 향상시키는 분무건조된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도라지 양갱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345A (ko) * 1998-07-02 2000-02-07 이영춘 장생도라지 추출물로 제조된 약제
KR101259421B1 (ko) 2012-09-14 2013-04-30 (주)휴벳 인지능을 향상시키는 분무건조된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도라지 양갱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999B1 (ko) 2018-10-18 2019-05-10 한국수목원관리원 복합 효소를 이용한 도라지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976998B1 (ko) 2018-10-18 2019-05-10 한국수목원관리원 초고압 효소처리를 이용한 도라지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107222B1 (ko) 2019-12-27 2020-05-28 임영지 구증구포 약도라지를 이용한 추출 닭발 동결건조 과립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547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576B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05547B1 (ko)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1682916B1 (ko) 항염증 또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구기자 증숙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3536A (ko)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및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889331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90035139A (ko) 곤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KR102064516B1 (ko) 꾸지뽕 잎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817053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150037774A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정향의 제조방법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200084215A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200101114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세포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KR102673407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18748A (ko)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52032B1 (ko) 도라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 효능의 도라지 함유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