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088B1 -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088B1
KR102351088B1 KR1020210056071A KR20210056071A KR102351088B1 KR 102351088 B1 KR102351088 B1 KR 102351088B1 KR 1020210056071 A KR1020210056071 A KR 1020210056071A KR 20210056071 A KR20210056071 A KR 20210056071A KR 102351088 B1 KR102351088 B1 KR 102351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parts
present
colla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훈 filed Critical 최지훈
Priority to KR102021005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0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bes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NO 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다. 또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효능을 통해,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혈관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및 운동 능력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염의 경우와 같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장, 간, 폐 등의 내부 장기에 대하여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세포들을 활성화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Functional composition comprising lactic acid bacteria, propolis, vitamins and collagen}
본 발명은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이 특정비율로 혼합됨으로써 효능이 극대화된 기능성 조성물로서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과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화와 각종 염증질환, 암의 대처 방안으로 항산화 물질을 비롯한 체내 질병과 대사를 위한 생리활성물질 개발에 대해 관심이 증대되었다 (KB Kim, et al.,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0(5);415-425(2017)). 생체 내에서 필요한 에너지 공급을 위해 생화학적 산화 반응은 끊임없이 일어나며 이 과정 중에 발생하는 유해산소라 불리어지는 활성산소 (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가장 안정한 형태의 산소인 삼중항산소가 산화, 환원과정에서 생성되는 일중항산소인 수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와 같은 불안정한 상태의 유리 라디칼(free radical) 및 과산화수소 (H2O2)로 불안정하고 산화력이 높아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 제거되지 못하면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염증반응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여러 대사과정에서 지질과산화를 유도하고, 단백질, 세포막 및 DNA 등을 손상시켜 세포의 노화와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뇌졸중, 암, 동맥경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동맥경화증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Valko M, et al., Int J Biochem Cell Biol. 39:44-84(2007); 및 Halliwell B, et al., NY, USA. 968(1999)). 이렇게 생성된 활성탄소를 제거시켜 생체를 보호하는 생리학적 항산화 효소로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제(catalase), 글루타치온-퍼옥시다제(glutathione-peroxidase, GSHpx) 및 글루타치온 S-트랜스퍼라제(glutathione S-transferase, GST) 등이 있으며, 저분자의 항산화제 혹은 유리 라디칼 소거역할을 하는 것으로 α-토코페롤, β-카로틴, 아스코브산 및 글루타치온 등이 알려져 있다 (Kim SM, et al., Life Sci. 90(21-22);874-882(2012)).
한편, 현대인은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라 지방질 섭취량은 많아짐에도 운동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각종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고혈압, 동맥경화 또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혈액 순환 장애는 기억력 감퇴, 무기력, 집중력의 약화 및 만성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순환이란 체내의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고, 혈액 순환 장애는 혈관이 탄력을 잃고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되고 노폐물 수치가 증가하여 혈액의 유동성이 저하하고, 혈관 내부가 좁아져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으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또는 뇌혈전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 있다. 심혈관계 질병 중에서도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또는 뇌졸증 등은 노령층에서는 사망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처럼 혈액 순환 장애를 방치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주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질환으로 발전되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따라서,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질병에 대한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체내 염증이란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조직손상 세균감염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응하기 위한 생체조직에서 일어나는 방어 기전으로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신체적 반응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오히려 혈관 활성물질인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라딘, 류코트리엔, 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ydroxyeicosatetraenoic acid)에 의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만성염증을 유도하거나 점막 손상을 촉진시켜 통증, 부종, 발열 등 기능장애를 일으키며 염증성 질환 및 암의 발병을 유발한다 ([BK Kang, et al., Cells in Mice.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112-119, 2015]; [BK Kang, et al., Microbiol. Biotechnol. Lett. 44, 236-245, 2016]; 및 [MJ Kim, et a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32, 352-360, 2017]). 체내의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을 통해 염증반응과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세포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 Woo, et al., Cells. Korean J. Plant Res. 31. 466-477, 2018]; [JH Kim, et al.,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24, 1149-1157, 2018]; [TH Lee, et al., Mol. Cells. 23, 398-404, 2007] 및 [D Bishop-Bailey, et al., J. Environ. Pathol. Tox. Oncol. 21, 93-101, 2002]). 대식세포는 그람 음성균의 외막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의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되며 감염 초기에는 생체 방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LPS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종양괴사인자-α (TNF-α), 인터루킨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전 사이토카인, 염증성 케모카인인 GM-CSF를 과도하게 분비하여 산화질소 (NO),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매개 물질을 다량 분비하게 된다.
염증전 사이토카인 및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은 핵인자-카파 B (nuclear factor-kappa B, NF-κB)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키나제 (p38), c-Jun NH2-말단 키나제 (JNK)와 같은 유사분열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체내의 염증과정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사이클로옥시제나제-2 (COX-2)에 의하여 과량의 산화질소 (NO)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인자가 생성된다. NO는 반응성이 높은 물질로 NO 합성효소 (NOS)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되며, NOS는 구성 NOS와 유도 NOS로 나누어진다. 특히 iNOS는 외부자극이나 염증전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다량의 NO를 생산하며 과잉 생산된 NO는 혈관 투과성 및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염증 매개인자인 COX는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유리된 후 프로스타글란딘으로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이며, COX-2는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등 다양한 자극에 의해서 마크로파지나 단핵구(monocyte) 등의 세포에서 다량 발현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프로스타글란딘은 종양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생성을 유도하여 종양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대식세포 매개의 염증반응의 조절을 위하여 NO 생성 효소인 iNOS,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의 단계효소인 COX-2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조절과 이들의 주요 신호전달 분자인 MAPKs와 NF-κB의 활성 조절은 염증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면역반응이란, 외부에서 우리 몸으로 들어오는 모든 물질에 대해서 나타나는 반응으로서 특히 살아있는 생명체인 미생물들이 질병의 발생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면역반응이 숙주에게 매우 중요하다.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발전된 산업으로 인한 여러 돌연변이 발암 원이 생활공간 가까이 접근되어 있고, 그러한 돌연변이 발암 원으로 인해 인체의 정상 유전자나 바이러스 등의 유전자의 변형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결국 약품은 발전하였지만 면역세포는 유전자의 변형으로 인하여 그 기능이 약화되고 바이러스는 더욱 강해져 더욱더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인의 식습관이나 환경의 오염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는 더 강해진 바이러스, 외부의 미생물 등의 침입에 의해 야기되는 홍역 및 독감과 같은 전염성 질환, 암, 선천성기형, 면역계 결함 및 많은 치명적 질병에 쉽게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이 극대화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이 특정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이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및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화분, 히알루론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 히알루론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은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20 내지 21 중량부, 55 내지 65 중량부 및 280 내지 3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및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분, 히알루론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 히알루론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은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20 내지 21 중량부, 55 내지 65 중량부 및 280 내지 3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및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 조성물은 화분, 히알루론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 히알루론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은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20 내지 21 중량부, 55 내지 65 중량부 및 280 내지 3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NO 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다. 또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효능을 통해,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혈관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및 운동 능력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염의 경우와 같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장, 간, 폐 등의 내부 장기에 대하여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세포들을 활성화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및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콜라겐(collagen)은 결합 조직의 주성분이며 뼈와 피부에 주로 있지만, 관절, 각 장기의 막, 머리카락 등 우리 몸 전체에 분포되어 있는 성분이다. 포유동물에 가장 풍부한 단백질로 전신 단백질 성분 중 25~35%를 차지한다. '교원질'(膠原質)이라고도 불리는 경단백질로 섬유상 고체로 존재하며, 인간의 신체에 여러 장기와 몸의 형체를 만들고 지지해 주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콜라겐은 동물이나 해양 생물의 피부, 뼈 및 조직 등의 부산물에서 얻을 수 있으며, 동물성 콜라겐, 식물성 콜라겐 및 피쉬 콜라겐이 있으며, 글리신(glycine), 프롤린(proline), 하이드록시 프롤린(hydroxyl proline), 아르기닌(arginine) 등 필수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콜라겐은 저분자 콜라겐으로 피부노화 방지, 주름개선, 피부탄력강화, 미백 등 미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체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콜라겐 펩타이드(경단백질 또는 알부미노이드 등)를 물리적 처리, 화학적 처리 및 생물학적 처리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에 의한 기작으로 저분자화하여 분자량이 1ㅧ104 dalton 이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의 분자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은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살아있는 모든 균으로, 장내세균이 장 건강과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면역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Figure 112021118878998-pat00001
프로바이오틱스는 모양에 따라 크게 막대균(bacillus)과 알균(coccus)으로 나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유익균 증식ㅇ유해균 억제ㅇ배변활동 개선 등 기능성을 인정받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총 19종이다. 락토바실러스 11종, 비피더스(또는 비피도박테리움) 4종, 락토코쿠스 1종, 엔테로코쿠스 2종, 스트렙토코쿠스 1종 등이 포함된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장 정착성이 높고 산도 변화에 안정적이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GG)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 연구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스는 장내에 정착하지 않고 통과한다. 일야 메치니코프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교수가 불가리아인의 장수 비결로 이 유산균이 든 요거트를 꼽으면서 널리 알려졌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와 특성이 비슷하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는 치즈에서 처음 분리됐다. 카제이(Casei)는 치즈를 의미한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김치의 유산발효를 주도한다.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으며, 과민성대장증후군(IBS)으로 찬 내장 가스 제거에 도움된다. 실험 결과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수치를 높여 우울증 완화 가능성이 확인됐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는 산도(pH) 5 이하인 산성에서 잘 자란다. 궤양서대장염 치료에 활용활용되며, 황색포도상구균을 죽이는 능력이 뛰어나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는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설사 치료 기간을 단축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을 억제한다.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균 증식을 저해하는 데 효과적이다.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은 콜레스테롤을 흡수해 세포실험에서 지질 수치를 떨어뜨렸다.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는 설사를 유발하는 대장균과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 등의 성장을 저해한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는 소규모 임상에서 혈중 면역글로불린E(IgE) 수치를 낮춰 알레르기질환을 완화했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는 논쟁 끝에 혈압 감소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완화하고, 살모넬라균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등의 증식을 억제한다.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은 급성설사와 대장균 감염 등을 예방하고, 질내 항상성을 유지한다.
비피도박테리움 브리브는 운동성이 없으며, 궤양성대장염 치료에 활용된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은 섬모 구조를 띠어 소장 내피세포 벽에 정전기적으로 강하게 달라붙는다.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는 과민성장증후군 치료에 도움된다.
락토코쿠스 락티스는 병원균 편모의 운동성을 저해한다. 이 유산균에 발암 억제인자인 KiSS-1 유전자를 삽입한 중국 연구진의 실험 결과 대장암 전이를 방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엔테로코쿠스 패시움은 동물 장 안에서 공생하지만 신생아뇌막염, 심장내막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두 가지 이상의 항생제가 듣지 않는, 즉 다제내성을 보이는 흔한 균 중 하나다.
엔테로코쿠스 패갈리스는 요로감염증, 수막염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생제 다제내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염기(PH9.6) 등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력이 뛰어나다. 60℃에서 30분간 생존한다.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는 열에 강해 35~42℃에서 잘 자라고, 유제품 안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유당을 분해하므로 유당불내성 환자가 배탈 없이 우유를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19종의 유산균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유산균은 35 내지 45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유산균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물질에 꿀벌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 항염, 항산화, 면역증강 등의 작용을 하며 천연 항생물질로도 잘 알려져 있다.
프로폴리스는 항산화, 항생, 항진균, 항원충, 항종양,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된 성분은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프로폴리스는 0.01 내지 0.1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이 때 프로폴리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비타민은 정상적인 성장 및 영양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며 모두 신체 반응과 관련된 역할을 하며, 체내에서 합성될 수 없기 때문에 식사에 소량으로 요구되는 유기화합물의 그룹 중 어느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비타민은 수용성 및 지용성 두 가지 그룹으로 크게 구분되며, 수용성 비타민(비타민 B와 C)은 물 없이도 우리 몸에 쉽게 흡수되며, 지용성 비타민(비타민 A, D, E 및 K)이 우리 몸에 흡수되려면 지방의 도움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비타민은 비타민 A, B, C, D, E 및 K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비타민 C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비타민은 콜라겐의 흡수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타민 C에는 비타민 C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타민 C는 적어도 하나의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AA2G), 아스코빌 3-아미노프로필 포스페이트(비타젠) 및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AA2P)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비타민은 0.3 내지 0.9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된다. 이 때 비타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의 혼합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 중량% 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이면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이 미미하고, 상기 범위 초과이면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 혼합물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은 화분, 히알루론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 히알루론산 및 프락토올리고당은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20 내지 21 중량부, 55 내지 65 중량부 및 280 내지 3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과 관련된 질병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과 관련된 질병의 진행이 지연 또는 멈춰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을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례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혈액 순환 개선용일 수 있으며, 혈관 질환의 예방, 증상의 경감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전생성 방지, 혈관수축 억제 및/또는 콜레스테롤 억제 효능이 인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은, 항혈전 효능에 기인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일 수 있으며,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을 포함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증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혈관 질환은, 예를 들어,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고,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켜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 등의 혈관 질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i)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ii) 다른 측면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iii)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아래의 실험예에서 정신적 스트레스의 대표적 지표물질인 코티졸의 농도가 회복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iv)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로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및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목적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g/㎏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및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가용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검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막형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및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또는 점적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 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차류, 음료류, 육류, 초코렛, 젤리,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스틱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 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는 식품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서 소개하는 유효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향미제 및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 할 수 있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보조제에는 부형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결합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한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을 예를 들면, 초코렛류, 음료류, 식품류, 스낵류, 면류, 껌류, 사탕류 및 건강보조식품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에 따라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NO 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다. 또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효능을 통해,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혈관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및 운동 능력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염의 경우와 같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장, 간, 폐 등의 내부 장기에 대하여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세포들을 활성화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분자 콜라겐을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유산균을 14 중량%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산균을 2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비타민 C를 8.4 중량%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타민 C를 0.4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프로폴리스를 3.5 중량%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타민 C를 3.9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프로폴리스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저분자 콜라겐 17.00 10.00 17.00 17.00 17.00
LP Q1 유산균 사균체 분말 7.00 14.00 2.00 7.00 7.00
비타민C 3.40 3.40 8.40 0.40 3.90
프로폴리스 0.50 0.50 0.50 3.50 -
비타민 및 미네랄 믹스 1.00 1.00 1.00 1.00 1.00
화분 10.00 10.00 10.00 10.00 10.00
히알루론산 3.50 3.50 3.50 3.50 3.50
프락토올리고당 49.50 49.50 49.50 49.50 49.50
기타 맛분말 등 8.10 8.10 8.10 8.10 8.10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측정
(1)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전자공여능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조성물을 농도별 용액 100㎕에 DPPH 용액 (5x10-4 M) 100㎕를 넣고 25℃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클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대조구로는 L-아스코브산을 사용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DPPH 전자공여능
L-아스코브산 100
실시예 1의 조성물 94.5
비교예 1의 조성물 75.3
비교예 2의 조성물 67.2
비교예 3의 조성물 61.1
비교예 4의 조성물 56.3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은 94.5%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2)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
7mM 2,2-azino-bis(3-ethyl-benthiazoline-6-sulfonic acid)와 2.4mM 과황산칼륨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를 형성시킨 후 에탄올로 희석하여 ABTS+ㅇ 100㎕에 시료 100㎕를 가하여 1분동안 방치한 후 7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대조구로는 L-아스코브산을 사용하였다. 라디칼 소거능은 1/2로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항산화 효과
L-아스코브산 100
실시예 1의 조성물 96.1
비교예 1의 조성물 71.5
비교예 2의 조성물 56.2
비교예 3의 조성물 60.3
비교예 4의 조성물 59.7
ABTS+ㅇ 측정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은 81.2%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혈관 이완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혈관 이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돼지 심장의 관상동맥의 이완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도축장에서 도살 직후의 돼지 심장을 구입한 후 관상동맥을 적출하여 18 mM NaCl, 47 mM KCl, 11 mM MgSO4, 12 mM KH2PO4, 15 mM CaCl2, 25 mM NaHCO3, 10 mM glucose가 들어있는 크렙스(Krebs) 용액(pH 7.4)에 넣고 연결조직과 지방을 제거한 후 약 3 mm의 길이의 절편으로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관상동맥을 95% O2 및 5% CO2 기체로 포화시킨 37℃의 크렙스 용액에 고정시킨 후, 트롬복산 유도체인 U46619(1-60 nM)로 혈관최고수축의 80%로 10분 동안 수축시켰다. 그 다음 300 nM의 브레드키닌(Bradykinin)으로 이완 반응시켜 혈관 내피세포의 안정성을 측정한 후, 크렙스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상기 안정성을 측정한 관상동맥에 U45519로 수축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처리하여 등척성 장력(isometric tension)을 힘-변위 변환기(force-displacement transducer, HugoSachs, Germany)가 장착된 생리기록계(Grass physiograph, HugoSachs, Germany)를 이용하여 혈관이완효과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종래 혈관보호제로 사용되는 은행잎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혈관이완효과 변화 측정은 매 시료마다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 변차로 표기하였으며, ED50 값은 수축된 혈관이 시료처리에 의해 50%의 혈관 이완을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ml)를 의미한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ED50(㎍/ml)
대조군(은행잎 추출물) 288
실시예 1의 조성물 6.6
비교예 1의 조성물 120
비교예 2의 조성물 110
비교예 3의 조성물 152
비교예 4의 조성물 131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대조군(은행잎 추출물)에 비하여 약 40 내지 55배 정도의 혈관 이완 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조성물의 높은 혈과 이완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사람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사람의 혈소판 농축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를 분리하기 위하여, 32%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을 항응고제로 사용하였으며, 2주일 이상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건강한 남성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혈된 혈액 150 g을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PRP)을 얻고 잔사를 다시 원심분리하여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을 분리하여 분리된 PRP의 혈소판 수는 세포 카운터를 사용하여 세고, PRP를 PPP로 희석하여 1ml 3x108개의 혈소판이 포함되도록 희석한 뒤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소판의 응집 활성은 혈소판 응집계(lumi-aggregometer, Chrono-Log Co,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 변화를 통해 측정하였다.
2분간 37℃가 되도록 열혼합기(thermomixer)에서 선 배양한 PRP에 울타리콩 추출물을 200mg/ml 농도가 되도록 가하고 7분간 배양하여 배양된 PRP 500 ㎕를 실리콘이 코팅된 혈소판 응집계용 큐벳에 넣고 3분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혈소판 응집 유발 시료인 콜라겐을 최대 응집을 일으키는 최소 농도인 1~3 ㎍/ml를 가하고, 이 후 6분간 반응을 관찰하여, 관찰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콜라겐만 처리한 대조군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을 0%로 했을 때의 비교값을 나타낸 것이다.
혈소판 응집 억제율(%)
대조군(은행잎 추출물) 12.2
실시예 1의 조성물 58.9
비교예 1의 조성물 11.4
비교예 2의 조성물 10.2
비교예 3의 조성물 14.1
비교예 4의 조성물 13.6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인 은행잎 추출물에 비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율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5배 정도 우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혈전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비장 내 면역세포인 T-림프구와 B-림프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7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오리엔트 바이오, 경기도 가평군, 대한민국)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험군당 6마리씩 총 42마리를 사용하였다. 구입한 동물은 온도 21±3℃, 상대습도 50±5%, 조도 200-300 룩스(Lux) 조건의 실험실에서 일주일 간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동물들 모두에서 심한 체중변화나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료는 생리식염수(중외제약,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현탁하였으며, 시료의 투여는 100 mg/kg씩 하루 1회, 총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투여가 끝난 실험동물로부터 비장을 적출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한 다음,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X105 cells/well로 접종하였다. 이 후 T-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각 웰에 5 ㎍/ml 농도의 concanavalin A (Con A;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B-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15 ㎍/ml 농도의 LPS(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각각 10 ㎕씩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세포 배양액에 Cell titer 용액 (Promega, USA)을 20 ㎕씩 첨가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한 다음, fluorescence Multi-Detection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Power wave X340,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 정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투여군에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대조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T 림프구 12 64 12 11 9 11
B 림프구 8 58 9 10 10 7
<시험예 5> 대식세포주 (RAW264.7)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억제 측정
대식세포에서는 LPS와 같은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NO를 분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생성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병리적인 반응이 일어난다.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조성물을 처리하여 항염증 효능을 조사하였다.
안정화된 NO 산화물인 NO2 (Nitrite)는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대식세포주(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CO₂ 배양한 뒤 준비한 조성물 시료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CO₂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 배양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여기에 동량의 Griess 시약 (0.1% N-1-naphtyl-ethylendiamine in H2O : 1% sulfanilamide in 5% H3PO4 = 1 : 1)을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 (Nitrite)의 농도는 NaNO2 (sodium nitrite)를 100 μM에서부터 0.7 μM 까지 2배씩 희석하여 얻은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LPS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Control LPS DMSO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N.D 9.57±0.0 10.20±0.5 8.65±0.3 10.61±0.2 11.23±0.1 11.64±0.2 11.12±0.5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이 NO 생산 억제율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대식세포주 (RAW 264.7)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측정
RAW264.7 대식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5 cells/1m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CO₂배양하였다. 이후 well에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 조성물을 처리하여 24시간 CO₂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배양 상층액을 수거하였다. 상층액에 포함된 사이토카인 (cytokine)인 IL-6, TNF-α, GM-CSF, IL-1β를 효소항체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ELISA) 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즉, plate-bottom micro-well에 1차 항체 (capture antibody)를 코팅액(0.1 M sodium carbonate, pH 9.5)에 희석하여 100 μl/well로 분주하고 4℃에서 밤새 배양한 후, 세척용액 (0.05% Tween 20/PBS)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마이크로웰은 10% FBS가 첨가된 PBS로 블로킹(blocking)하였으며, 실험에서 채취한 배양 상층액을 적당한 비율로 희석한 후 각 well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바이오틴이 부착된 2차 항체 100㎕/well와 일정시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아비딘-퍼옥시다제 (enzyme reagent) 100 μl/well을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질 (3,3′,5,5′-Tetramethylbenzidine Liquid Substrate, H2O2) 을 첨가하여 발색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IL-6, TNF-α, GM-CSF, IL-1β의 농도는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Cytokine Control LPS DMSO 실시예 1
IL-1β N.D 513.44±4.4 507.19±4.4 88.23±5.3
GM-CSF N.D 1801.65±58.4 1723.14±64.3 159.16±5.5
IL-6 N.D 18.98±0.5 18.19±0.1 0.82±0.2
TNF-α N.D 8.28±0.1 9.47±0.2 2.91±1.3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이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IL-6, IL-1β, TNF-α, GM-CSF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염증전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7> 장기능 개선 및 변비 개선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장기능 개선 및 변비 개선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여 실시하였다.
배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동물모델로 웅성의 평균 체중 220-240g 정도의 스프라그 도울리(Sprague Dawley) 랫트 (대한바이오링크, 음성)를 1군당 8 내지 10 마리를 사용하여 대사 케이지에서 3일간 순화 적응시키고, 4일째부터 변비를 유발시키기 위해 로페라마이드 (Sigma사, 미국)를 사료 3g당 1mg 함유하는 사료를 공급하였다. 대조군(로페라마이드군 처리군)은 식수만을 공급하였으며, 생약 조성물은 3.2㎎/㎖ 농도로 식수에 녹여 공급하여 실험 종료시까지 투여하였다. 변은 매일 채취하여 무게를 측량하였다.
조성물의 변비 개선 효과를 실험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변비유발 기간동안에 배변량을 증가시켜 변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조군 대비 변량 증가 (%)
시료 투여 경과 일수
D+1
D+1
D+1
D+1
D+1
D+1
D+1
실시예 1의 조성물
47
61
35
17
35
21
32
<시험예 8>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실험
실험동물로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재료로 한 시험대조군과 정상군을 식이 급여하며 사육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기본 식이는 AIN-76을 기본으로 단백질급원은 카제인(Japan), 탄수화물급원은 옥수수전분(제일제당), 지방급원으로 옥수수유(대상)을 사용한 정상군과 시험대조군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품 조성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1 ml씩 경구 급여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임의로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동물 사육환경은 항온(20±2℃), 항습(50±5%)하고 12 시간 광주기로 일정 조건을 유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서 2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동물에서 콜레스테롤은 혈류를 따라 순환하며 몇몇 기관에서 합성되며 혈류 내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분석항목은 (1)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12 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er)를 흡입시켜 마취시킨 다음 복부 하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으며, 헤파린을 처리하여 원심분리(15 mins, 3,000 RPM)로 혈장을 분리하여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동물의 내장(간, 부고환, 신장)을 혈액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 수분을 제거하여 비교 정량하였다. 혈장 중성지질은 McGowan 등(1983)의 효소법을 이용한 발색방식의 중성지방 측정용 시액(Asan kit)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장 총 콜레스테롤은 Allain 등(1974)의 효소법을 응용한 총콜레스테롤 측정용 시액(Asan kit)를 사용하여 발색처리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콜레스테롤 표준곡선과 비교 정량하는 방식으로 하였으며, 장기의 지질은 Folch 등(1957)의 방법으로 잘게 자른 후 2 ml, Chloroform: Methyl alcohol 2:1 용액하에서 추출하여 중성지질, 콜레스테롤은 혈장에서와 동일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각 항목은 통계처리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
(1) 체중변화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을 하기 표 10 및 11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를 참조하면,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조성물을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의 경우 실험전에 비하여 체중이 유사 또는 저하되었고, 반면, 일반식이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경우 실험전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11를 참조하면,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조성물 및 일반식이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식이섭취량은 모두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전(g) 실험후(g)
실시예 1 27.51 25.03
일반식이 27.21 28.31
식이섭취량(g)
실시예 1 4.0
일반식이 4.0
이를 통하여 모든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동물의 체중이 모두 증가하지 않고, 실험 전과 유사하거나 실험전에 비하여 감소하여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실험동물의 혈장 중성지질, 혈장 콜레스테롤, 부고환 중성지질, 신장 조직의 중성지질 및 간조직에서의 콜레스테롤을 하기 표 12 및 1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중성지질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일반식이를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전(mg/dL) 실험후(mg/dL)
실시예 1 121 118
일반식이 120 131
하기 표 13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콜레스테롤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일반식이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전(mg/dL) 실험후(mg/dL)
실시예 1 156 118
일반식이 157 152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중성지질의 양의 감소현상을 확인할 수 있어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9> 주름개선 효과 측정
(1)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활성 측정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측정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 0.5 ml을 시험관에 취하고, 50 mM tris-HCl 완충액 (pH 8.6)에 녹인 porcine pancreas elastase (2.5 Unit/ml)용액 0.5 ml을 가한 후 50 mM tris-HCl 완충액(pH 8.6)에 녹인 기질 N-숙시닐-(L-Ala)3-p-니트로아닐라이드 (0.5mg/ml)을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켜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니트로아닐라이드의 생성량을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엘라스타제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로 다른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 효소이다. 피부의 진피조직 속에는 콜라겐과 피부의 탄력성에 관련된 엘라스틴이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데, 엘라스틴이 엘라스타제에 의해 분해되어 피부의 그물망 구조 결합이 끊어짐으로, 엘라스타제가 주름생성의 주원인 효소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체내의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백혈구 과립 효소 중의 하나로 이상조직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극히 높아 조직 파괴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피부의 주름 및 탄력성 소실을 유발한다.
비교를 위해 양성 대조군으로 우르솔산(Ursolic Acid, UA)을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보듯이, 난황유 및 배초향 줄기세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elastase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대조군 Ursol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미비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2) 콜라게나제(Collagenase) 저해활성 측정
콜라게나제 저해활성 측정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즉, 반응구는 0.1 M tris-HCl 완충액 (pH 7.5)에 4 mM CaCl2를 첨가하여, 4-페닐아조벤질옥시카보닐-Pro-Leu-Gly-Pro-D-Arg (0.3 mg/ml)를 녹인 기질액 0.25 ml 및 시료용액 0.1 ml의 혼합액에 콜라게나제 (0.2 mg/ml) 0.15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정치한 후 6% 시트르산 0.5 ml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 1.5 ml을 첨가하여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콜라겐은 대부분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며, 피부 전체 건조중량의 약 70~80%를 차지하고 있어, 세포외 기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연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와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가 가속화되어 피부 기질이 파괴되면서 주름이 생성된다.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콜라게나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양성 대조군으로 우르솔산(Ursolic Acid, UA)을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해 양성 대조군으로 우르솔산(Ursolic Acid, UA)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콜라게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500u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높은 콜라게나제 저해활성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10> 세포독성 시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TCC)에서 분양받아 10% FBS(fetalbovine serum), 1% 항생제, 2-ME(2-mercaptoethanol)를 함유한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37℃, 4% CO2에서 조절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마우스의 대식세포주 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1시간 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 상층액을 각각 100 μl씩 제거하고, CCK-8 시약을 10 μl씩 처리하여 3시간 CO2 배양한 뒤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Control LPS 실시예 1의 조성물
100.00±0.2 97.64±0.9 99.76±5.2
결과에서 보듯이, 시료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 실험시료를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주 (RAW264.7)에 처리하여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약학적 제제의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300 mg
소듐 메타비설파이트 3.0 mg
메틸파라벤 0.8 mg
프로필파라벤 0.1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상기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최종 부피가 2 ㎖이 되도록 제조하여,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1-2>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0 m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3>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0.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4>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0.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5> 환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1 m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6> 과립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0.15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200 mg
전분 600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g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의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2> 화장료 제제
<2-1> 유연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아르기닌 0.08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2.79
총계 100.0
<2-2> 영양로션의 제조
하기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5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2-3> 영양크림의 제조
하기의 표 17과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아르기닌 0.18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2-4> 마사지 크림의 제조
하기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마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아르기닌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2-5> 팩의 제조
하기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의 조성물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하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3> 건강음료의 제조
<3-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mL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mL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4>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4-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5 내지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4-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1 내지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4-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4-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5 내지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 화분 20 내지 21 중량부, 히알루론산 55 내지 65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28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 화분 20 내지 21 중량부, 히알루론산 55 내지 65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28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콜라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산균 35 내지 45 중량부, 프로폴리스 0.01 내지 0.1 중량부, 비타민 0.3 내지 0.9 중량부, 화분 20 내지 21 중량부, 히알루론산 55 내지 65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28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항비만, 면역기능, 피부탄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식품 조성물.
  8. 삭제
  9. 삭제
KR1020210056071A 2021-04-29 2021-04-29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2351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71A KR102351088B1 (ko) 2021-04-29 2021-04-29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71A KR102351088B1 (ko) 2021-04-29 2021-04-29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088B1 true KR102351088B1 (ko) 2022-01-14

Family

ID=7934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071A KR102351088B1 (ko) 2021-04-29 2021-04-29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0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309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비티엠 유산균을 이용한 환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JP2015023829A (ja) * 2013-07-26 2015-02-05 キユーピー株式会社 飲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309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비티엠 유산균을 이용한 환형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JP2015023829A (ja) * 2013-07-26 2015-02-05 キユーピー株式会社 飲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oS ONE 10(1) e011653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984B1 (ko) 나노형 김치 유산균
KR102121826B1 (ko) 간 기능 개선용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962266B1 (ko) 순비기나무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263698B1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195 균주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복합체
KR101689746B1 (ko)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될 수 있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305931B1 (ko)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190002036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JP4119656B2 (ja) 抗酸化剤
KR101894807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51088B1 (ko)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200070081A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03994A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5484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KR102297957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102179849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99700B1 (ko) 장기능 개선 및 면역력 증진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장기능 개선 및 면역력 증진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
KR101600884B1 (ko) 결명자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311266B1 (ko)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891408B1 (ko) 영지버섯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20200070080A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05 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00075724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