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266B1 -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266B1
KR102311266B1 KR1020200154339A KR20200154339A KR102311266B1 KR 102311266 B1 KR102311266 B1 KR 102311266B1 KR 1020200154339 A KR1020200154339 A KR 1020200154339A KR 20200154339 A KR20200154339 A KR 20200154339A KR 102311266 B1 KR102311266 B1 KR 102311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ncentrate
weight
part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열
Original Assignee
(주)딥셀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딥셀라이트 filed Critical (주)딥셀라이트
Priority to KR1020200154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 추가로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효능을 통해,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혈관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및 운동 능력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염의 경우와 같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위 오일의 경우 신장, 간, 폐 등의 내부 장기에 대하여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세포들을 활성화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IMPROVING CIRCULATION OF BLOOD, ANTIINFLAMMATION, ACTIVATING AND GENERATING CELL, AND INCREASING FUNCTIONS OF IMMUNE AND INTERNAL ORGANS COMPRISING ARROWROOT JUICE AND PLUM CONCENTRATES}
본 발명은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칡즙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에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이 추가로 첨가된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효과를 가지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은 지방질 섭취량은 많아짐에도 운동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각종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고혈압, 동맥경화 또는 혈액 순환 장애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혈액 순환 장애는 기억력 감퇴, 무기력, 집중력의 약화 및 만성 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 순환이란 체내의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고, 혈액 순환 장애는 혈관이 탄력을 잃고 내벽에 콜레스테롤 등이 침착되고 노폐물 수치가 증가하여 혈액의 유동성이 저하하고, 혈관 내부가 좁아져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으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근경색 또는 뇌혈전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 있다. 심혈관계 질병 중에서도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또는 뇌졸증 등은 노령층에서는 사망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처럼 혈액 순환 장애를 방치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주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질환으로 발전되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따라서,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질병에 대한 치료보다는 예방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생물체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기 위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들 중 일부는 각종 생물체 유래의 생리 활성 물질이다. 지금까지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항균 및 항진균 물질에 관한 연구는 생명과학 및 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체내 염증이란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자극이나 조직손상 세균감염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응하기 위한 생체조직에서 일어나는 방어 기전으로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신체적 반응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오히려 혈관 활성물질인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라딘, 류코트리엔, 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hydroxyeicosatetraenoic acid)에 의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만성염증을 유도하거나 점막 손상을 촉진시켜 통증, 부종, 발열 등 기능장애를 일으키며 염증성 질환 및 암의 발병을 유발한다 ([BK Kang, et al., Cells in Mice.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112-119, 2015]; [BK Kang, et al., Microbiol. Biotechnol. Lett. 44, 236-245, 2016]; 및 [MJ Kim, et al.,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32, 352-360, 2017]). 체내의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는 식균작용을 통해 염증반응과 면역기능을 조절하는 세포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S Woo, et al., Cells. Korean J. Plant Res. 31. 466-477, 2018]; [JH Kim, et al.,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24, 1149-1157, 2018]; [TH Lee, et al., Mol. Cells. 23, 398-404, 2007] 및 [D Bishop-Bailey, et al., J. Environ. Pathol. Tox. Oncol. 21, 93-101, 2002]). 대식세포는 그람 음성균의 외막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PS)의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되며 감염 초기에는 생체 방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지만, 과도한 LPS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종양괴사인자-α (TNF-α), 인터루킨 (IL)-1β 및 IL-6와 같은 염증전 사이토카인, 염증성 케모카인인 GM-CSF를 과도하게 분비하여 산화질소 (NO),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매개 물질을 다량 분비하게 된다.
염증전 사이토카인 및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은 핵인자-카파 B(nuclear factor-kappa B, NF-κB)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38 키나제 (p38), c-Jun NH2-말단 키나제 (JNK)와 같은 유사분열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MAPKs)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체내의 염증과정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사이클로옥시제나제-2 (COX-2)에 의하여 과량의 산화질소 (NO)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등의 염증인자가 생성된다. NO는 반응성이 높은 물질로 NO 합성효소 (NOS)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되며, NOS는 구성 NOS와 유도 NOS로 나누어진다. 특히 iNOS는 외부자극이나 염증전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다량의 NO를 생산하며 과잉 생산된 NO는 혈관 투과성 및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 다른 주요 염증 매개인자인 COX는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유리된 후 프로스타글란딘으로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이며, COX-2는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및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등 다양한 자극에 의해서 마크로파지나 단핵구(monocyte) 등의 세포에서 다량 발현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프로스타글란딘은 종양의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혈관생성을 유도하여 종양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대식세포 매개의 염증반응의 조절을 위하여 NO 생성 효소인 iNOS,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의 단계효소인 COX-2와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조절과 이들의 주요 신호전달 분자인 MAPKs와 NF-κB의 활성 조절은 염증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면역반응이란, 외부에서 우리 몸으로 들어오는 모든 물질에 대해서 나타나는 반응으로서 특히 살아있는 생명체인 미생물들이 질병의 발생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면역반응이 숙주에게 매우 중요하다.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발전된 산업으로 인한 여러 돌연변이 발암 원이 생활공간 가까이 접근되어 있고, 그러한 돌연변이 발암 원으로 인해 인체의 정상 유전자나 바이러스 등의 유전자의 변형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결국 약품은 발전하였지만 면역세포는 유전자의 변형으로 인하여 그 기능이 약화되고 바이러스는 더욱 강해져 더욱더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인의 식습관이나 환경의 오염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는 더 강해진 바이러스, 외부의 미생물 등의 침입에 의해 야기되는 홍역 및 독감과 같은 전염성 질환, 암, 선천성기형, 면역계 결함 및 많은 치명적 질병에 쉽게 노출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칡즙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에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이 추가로 첨가된 조성물이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 효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칡즙 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 농축액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을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칡즙 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 농축액 1 내지 3 중량부, 녹용 농축액 1 내지 3 중량부, 푸룬과즙 농축액 15 내지 30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2 중량부, 복합황금 추출물 1.5 내지 3 중량부, 배 농축액 30 내지 40 중량부, 유산균 0.5 내지 2 중량부 및 모링가 추출분말 1.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연산, 식물혼합추출농축액, 자몽종자, 푸드겔, 흰강낭콩추출물, 녹차추출물, 정제소금 및 스테비텐후레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스틱 액상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 추가로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으며, 혈관의 수축을 억제하여 혈관 이완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인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효능을 통해,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혈관 건강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으며,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 및 운동 능력 향상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염의 경우와 같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위 오일의 경우 신장, 간, 폐 등의 내부 장기에 대하여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세포들을 활성화하거나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칡즙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 농축액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을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천연 식물 건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물 또는 물과 알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2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7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 농축하여 물에 녹는 성분과 알콜에 녹는 성분 분리하여 물 용해성분과 알콜 용해성분을 5: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각 천연 추출물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농축액”은 생약을 착즙한 후에 1~5시간 가열하여 각종성분들이 우러난 액상추출물을 통상의 마쇄기로 마쇄하여 농축기에서 1/3 ~ 1/5로 농축한 농축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분말 상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칡(Pueraria thunbergiana Benth)은 콩과(Legn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활엽덩굴성 식물로서 지리적으로는 동북아시아의 일본, 중국, 대만, 만주에 분포하고 북미에는 귀화되어 분포하고 있다.
칡은 예로부터 농촌에서 섬유질 성분을 이용하여 새끼줄 대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절개지 사면 보호를 위한 사방용 및 퇴비나 사료용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또한, 칡뿌리는 곡물에 버금가는 구황식물(救荒植物)로 갈분을 생산하여 갈분국수, 갈분 죽을 만들어 먹었다. 또한, 자양강장 식품인 갈분에 생강즙과 꿀로 반죽을 해서 만드는 갈분다식, 갈분을 묽게 쑤어 생강즙과 꿀을 탄 갈분 등은 술이 깬 뒤에 먹는 음식으로도 유명하였다.
이외에도 한방에서 칡의 어린순을 갈용이라 하고, 칡꽃은 갈화라 하여 식욕부진, 구토, 장출혈, 술 중독 등에 처방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뿌리는 갈근이라 하여 고열, 두통, 고혈압, 주독, 설사, 귀울림, 경련방지제 등의 처방에 이용되며 갈근탕은 한약의 한 종류로 감기 증세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칡뿌리의 주요성분은 전분(10-15%), D-mannitol 등이며, 그 외에 아이소 프라보노이드(oflavonoid)계통의 다이진(daidzin), 다이자인(daidze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 에서도 푸에라인(puerarin)은 순환기 계통의 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칡 성분에 대한 약리적인 효과는 아직 구명된 부분이 적은 실정이지만 칡은 상당히 많은 생리적인 활성 능력과 약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훌륭한 식물 자원으로 이용되어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칡즙은 칡뿌리를 세척, 분쇄 및 착즙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자두(plum)"은 장미과 벚나무속 자두아속에 속하는 자두나무의 열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자두는 동양계 자두와 서양계 자두를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동양계 자두(Prunus salicina), 유럽계 자두(Prunus domestica) 및 북미 원산의 미국 자두(Prunus americana)를 포함한다. 자두에는 플라보노이드와 페놀산과 같은 페놀성 파이토케미칼이 풍부하게 존재하고, 주로 네오클로로겐산과 루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붉은 색 자두 품종의 경우 안토시아닌이 소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Donovan et al., 1998).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두는 바람직하게는 동양계 자두(Prunus salicina)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홍로센(Hongrosen) 또는 헐리웃(Hollywood) 품종의 자두이다.
본 발명에서 자두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자두의 과육 또는 과피 추출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두의 과피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칡즙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 농축액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홍삼(紅蔘)은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말리지 않은 수삼을 증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쪄서 익혀 말린 것으로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또한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기능식품기준과에서 제시한 자료에 의하면, 현재까지 수행된 인체적용시험 중심으로 인삼 및 홍삼은 피로회복, 면역력 증진, 기억력증진,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에 도움 등의 기능성이 인정되었다. 이외에도 혈당강하작용, 항산화작용 및 상처치유 등의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홍삼 농축액은 인삼의 재배적지에서 생산된 6년근 수삼 중에서 좋은 품질의 수삼을 정선하고 증숙, 건조 등의 특수처리과정을 거쳐 인체에 흡수가 잘 되도록 제조한 홍삼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유효성분만을 추출한 것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혈액순환개선, 신체기능 항상성유지 등과 같이 세포활성화 및 피로회복, 강장, 심박수 감소, 면역력 증진의 탁월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녹용은 부위별로 분골, 상대, 중대, 하대로 나누어진다. 분골은 녹용의 맨 꼭지부분으로 흰색을 띄고 굵기가 가늘고 조직이 치밀하다. 생산량 부족으로 가격은 가장 비싸다. 상대는 녹용의 윗부분으로 거의 붉은 핏빛의 연한 갈색을 띄며 비교적 조직이 치밀하다.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좋은 부분이다. 중대는 녹용의 중간부분으로 가운데 구멍이 있고 나이테 같은 줄이 보인다. 색은 대체로 붉다. 조직은 약간 엉글며 둘레가 약간 각질화된 부분이다. 하대는 녹용의 중간부분 이하로써 가운데 약간 붉은 색상을 띄운다. 조직은 엉글며 거의 각질화가 된 딱딱한 부분이고, 큰 구멍이 숭숭 뚫려있으며 흰갈색을 띈다.
녹용의 함유 성분으로는 각종 필수 아미노산과 Ca(칼슘), Mg(마그네슘) 등의 미량 원소, 당류, 뮤코폴리사카라이드(mucopolysaccharide), 스쿠알렌(squalene), 트리글리세라이드(tryglyceride) 등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푸룬(Prune)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소교목으로 유럽 남부와 서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자두나무와 비슷한 서양자두 플럼의 씨앗을 빼고 말린 것이다. 이는 80 여가지 이상의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핵과류 중에서 과육(果肉)의 비율이 가장 높아 95%나 된다. 과육 중의 주요 영양성분은 탄수화물로서 생과 가식부(可食部) 100g당 13.0%나 함유되어 있어 주요 핵과류인 복숭아보다 높으며 특히 유럽계 자두인 프룬(prune)을 말린 건과는 그 함량이 100g당 62.7%나 된다. 또한 비타민 A 함량은 국제단위(I.U.)로 생과의 경우 323, 건과는 1,987이나 되며 이 외에도 비타민 C를 비롯한 여러 가지 비타민류와 무기 영양소, 섬유소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항암작용이나, 당뇨예방, 심건강 향상 및 변비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 자두보다 신맛과 당도가 높으며, 통상, 쥬스나 생과로 섭취하고 있다. 하지만 플럼의 씨앗에 시안화물이 포함되어 있어 씨앗을 섭취할 경우 설사를 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어 씨앗을 제거하고 섭취해야 하는 불편함과 말린 푸룬이 플럼보다 훨씬 더 많은 영양분을 가지고 있어 플럼 보다 푸룬이 더 각광 받고 있다.
본 발명에서 황금ㅇ감초ㅇ대추ㅇ황기농축혼합물(이하 '복합황금추출물'이라 한다)은 생약재 황금농축액, 감초농축액, 대추농축액 및 황기농축액은 각각 25 중량% 씩 함유된 것을 혼합한 것으로 정의되며, 각 생약재 농축액은 50-100℃에서 2-10시간 열수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한 농축액이다.
복합황금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첨가물로 음료 100ml 중에 1000ppm 사용하더라도 식품의 주 부패 원인인 곰팡이균에 대해서는 항균작용이 매우 미약할 뿐만 아니라, 음료 100ml 중에서 관능한계치 용량은 2-300ppm으로서, 300ppm 이상 사용 범위에서 관능적으로 매우 강한 쓴맛과 이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는 폐의 열을 내리고 기관지를 윤활하게 하는 진액 생성을 도와줘 기침, 감기, 천식을 호전시킨다고 기록돼 있다. 이는 배에 들어있는 루테올린 성분이 항염증, 항알레르기 효과에 효과적이며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이 함유돼있어 항산화 능력과 면역 기능이 뛰어나다. 배는 기관지 질환에 도움이 되는 효능이 많아 감기와 천식 등의 질병에 많이 쓰이며 배변과 이뇨작용을 돕는다. 가래와 기침을 없애는 거담 작용을 하고 목이 쉬거나 배가 차고 아플 때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은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살아있는 모든 균으로, 장내세균이 장 건강과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면역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지면서 프로바이오틱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Figure 112020123602808-pat00001
프로바이오틱스는 모양에 따라 크게 막대균(bacillus)과 알균(coccus)으로 나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유익균 증식ㅇ유해균 억제ㅇ배변활동 개선 등 기능성을 인정받은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는 총 19종이다. 락토바실러스 11종, 비피더스(또는 비피도박테리움) 4종, 락토코쿠스 1종, 엔테로코쿠스 2종, 스트렙토코쿠스 1종 등이 포함된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장 정착성이 높고 산도 변화에 안정적이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LGG)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의 효능 연구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전세계 과학저널에 실린 논문 800건이 이상으로 200건 이상의 임상시험에서 다뤄졌다.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스는 장내에 정착하지 않고 통과한다. 일야 메치니코프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 교수가 불가리아인의 장수 비결로 이 유산균이 든 요거트를 꼽으면서 널리 알려졌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와 특성이 비슷하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는 치즈에서 처음 분리됐다. 카제이(Casei)는 치즈를 의미한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김치의 유산발효를 주도한다.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으며, 과민성대장증후군(IBS)으로 찬 내장 가스 제거에 도움된다. 실험 결과 뇌유래 신경영양인자 수치를 높여 우울증 완화 가능성이 확인됐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는 산도(pH) 5 이하인 산성에서 잘 자란다. 궤양서대장염 치료에 활용활용되며, 황색포도상구균을 죽이는 능력이 뛰어나다.
락토바실러스 루테리는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설사 치료 기간을 단축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을 억제한다. 충치를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균 증식을 저해하는 데 효과적이다.
락토바실러스 퍼멘텀은 콜레스테롤을 흡수해 세포실험에서 지질 수치를 떨어뜨렸다.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는 설사를 유발하는 대장균과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 등의 성장을 저해한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는 소규모 임상에서 혈중 면역글로불린E(IgE) 수치를 낮춰 알레르기질환을 완화했다.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는 논쟁 끝에 혈압 감소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완화하고, 살모넬라균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등의 증식을 억제한다.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은 급성설사와 대장균 감염 등을 예방하고, 질내 항상성을 유지한다.
비피도박테리움 브리브는 운동성이 없으며, 궤양성대장염 치료에 활용된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은 섬모 구조를 띠어 소장 내피세포 벽에 정전기적으로 강하게 달라붙는다.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는 과민성장증후군 치료에 도움된다.
락토코쿠스 락티스는 병원균 편모의 운동성을 저해한다. 이 유산균에 발암 억제인자인 KiSS-1 유전자를 삽입한 중국 연구진의 실험 결과 대장암 전이를 방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엔테로코쿠스 패시움은 동물 장 안에서 공생하지만 신생아뇌막염ㅇ심장내막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두 가지 이상의 항생제가 듣지 않는, 즉 다제내성을 보이는 흔한 균 중 하나다.
엔테로코쿠스 패갈리스는 요로감염증ㅇ수막염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항생제 다제내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염기(PH9.6) 등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력이 뛰어나다. 60도에서 30분간 생존한다.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는 열에 강해 35~42℃에서 잘 자라고, 유제품 안에 풍부하게 들어 있다. 유당을 분해하므로 유당불내성 환자가 배탈 없이 우유를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19종의 유산균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링가(Moringa oleifera)는 콩과식물로 원산지는 북부 인도지방이고 열대와 아열대지방에 자생하고 있으며, 다량의 아미노산과 무기물, 비타민 등 90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 수치는 비타민 B2의 경우 아몬드의 30배, 칼륨의 경우 바나나의 15배, 철분의 경우 시금치의 25배, 비타민 A의 경우 당근의 10배, 칼슘의 경우 우유의 17배, 프로틴의 경우 요거트의 9배로 알려져 있다.
상기 모링가는 나뭇잎과 열매는 물론 나무 전체를 식용으로 하는 열대성 나무로 (1) 콜레스테롤 예방, (2) 항염증 작용, (3) 시력 개선, (4) 에너지 증가, (5) 혈압 정상화, (6) 피부 건강 회복, (7) 소화기능 개선, (8) 면역 시스템 강화, (9) 주름 & 노화 방지, (10) 상처 치료 개선, (11) 종양 예방, (12) 혈당 정상화, (13) 궤양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모링가에는 46가지 이상의 항산화제와 36가지 이상의 항염증 혼합물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최고의 천연 항산화 원천으로 300가지 질병을 다스린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칡즙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 농축액 90 내지 110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에 더하여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이 추가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칡즙 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홍삼 농축액 1 내지 3 중량부, 녹용 농축액 1 내지 3 중량부, 푸룬과즙 농축액 15 내지 30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2 중량부, 복합황금 추출물 1.5 내지 3 중량부, 배 농축액 30 내지 40 중량부, 유산균 0.5 내지 2 중량부 및 모링가 추출분말 1.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연산, 식물혼합추출농축액, 자몽종자, 푸드겔, 흰강낭콩추출물, 녹차추출물, 정제소금 및 스테비텐후레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례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혈액 순환 개선용일 수 있으며, 혈관 질환의 예방, 증상의 경감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전생성 방지, 혈관수축 억제 및/또는 콜레스테롤 억제 효능이 인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은, 항혈전 효능에 기인하는 혈액 순환 개선용일 수 있으며, 비만, 당뇨 및 고지혈증 등을 포함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증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혈관 질환은, 예를 들어,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협심증, 심근경색,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생성을 저해하고,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억제하여 혈액과 간의 지질을 감소시켜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적이며, 비만, 당뇨, 뇌졸증, 뇌출혈, 동맥경화, 고혈압, 빈혈, 편두통 또는 고지혈증 등의 혈관 질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각질세포주(HaCaT cell)에서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인 IL(Interleukin)-6, IL-8, IL-1β, IL-4 및 IL-13의 생성을 억제하고, MAPKs의 활성을 억제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되는 케모카인의 일종인 TARC와 MDC의 발현을 억제하고, NF-κB 및 IκBα의 발현을 조절하는 효능을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i)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신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ii) 다른 측면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체적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iii)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신적 스트레스는 집중력을 저하시키고, 아래의 실험예에서 정신적 스트레스의 대표적 지표물질인 코티졸의 농도가 회복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iv)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집중력 향상용 조성물로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0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천연 추출물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를 수득할 수 없으며,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라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또는 점적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 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차류, 음료류, 육류, 초코렛, 젤리,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에 더하여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스틱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 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에는 식품조성물로서 발명에서 소개하는 유효성분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향미제 및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 할 수 있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해당 보조제에는 부형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결합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명에서 첨가한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을 예를 들면, 초코렛류, 음료류, 식품류, 스낵류, 면류, 껌류, 사탕류 및 건강보조식품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에 따라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 함유 식품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으로 칡즙 농축액, 자두 농축액, 홍삼 농축액, 녹용 농축액, 푸룬과즙 농축액, 구연산, 복합황금 추출물, 배 농축액, 유산균 및 모링가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칡즙농축액 20.00 15.00
홍삼농축액 - 0.20
녹용농축액 - 0.20000
푸룬과즙농축액 - 3.00
구연산 - 0.15000
복합황금추출물 - 0.30000
식물혼합추출농축액 HMS - 5.000
DF-100(자몽종자) - 0.100
배농축액 - 5.00
푸드겔 2.00 2.00
흰강남콩추출물분말 0.10 0.10
녹차추출분말 0.10 0.10
자두농축액 20.00 15.00
유산균 0.15 0.15
모링가추출분말 - 0.30
정제소금 0.10 0.10
스테비텐후레쉬 0.20 0.20
정제수 57.35 53.1
100 100
<시험예 1> 혈관 이완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혈관 이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돼지 심장의 관상동맥의 이완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도축장에서 도살 직후의 돼지 심장을 구입한 후 관상동맥을 적출하여 18 mM NaCl, 47 mM KCl, 11 mM MgSO4, 12 mM KH2PO4, 15 mM CaCl2, 25 mM NaHCO3, 10 mM glucose가 들어있는 크렙스(Krebs) 용액(pH 7.4)에 넣고 연결조직과 지방을 제거한 후 약 3 mm의 길이의 절편으로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관상동맥을 95% O2 및 5% CO2 기체로 포화시킨 37℃의 크렙스 용액에 고정시킨 후, 트롬복산 유도체인 U46619(1-60 nM)로 혈관최고수축의 80%로 10분 동안 수축시켰다. 그 다음 300 nM의 브레드키닌(Bradykinin)으로 이완 반응시켜 혈관 내피세포의 안정성을 측정한 후, 크렙스 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상기 안정성을 측정한 관상동맥에 U45519로 수축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100 ㎍/ml 농도로 처리하여 등척성 장력(isometric tension)을 힘-변위 변환기(force-displacement transducer, HugoSachs, Germany)가 장착된 생리기록계(Grass physiograph, HugoSachs, Germany)를 이용하여 혈관이완효과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종래 혈관보호제로 사용되는 은행잎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혈관이완효과 변화 측정은 매 시료마다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 변차로 표기하였으며, ED50 값은 수축된 혈관이 시료처리에 의해 50%의 혈관 이완을 나타내는 시료의 농도(㎍/ml)를 의미한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ED50(㎍/ml)
대조군(은행잎 추출물) 288
실시예 1의 조성물 6.6
실시예 2의 조성물 5.3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 및 실시예 2은 대조군(은행잎 추출물)에 비하여 약 40 내지 55배 정도의 혈관 이완 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조성물의 높은 혈과 이완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사람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사람의 혈소판 농축 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를 분리하기 위하여, 32% 구연산 나트륨(sodium citrate)을 항응고제로 사용하였으며, 2주일 이상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건강한 남성의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혈된 혈액 150 g을 15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PRP)을 얻고 잔사를 다시 원심분리하여 혈소판 결핍 혈장(platelet poor plasma, PPP)을 분리하여 분리된 PRP의 혈소판 수는 세포 카운터를 사용하여 세고, PRP를 PPP로 희석하여 1ml 3x108개의 혈소판이 포함되도록 희석한 뒤에 실험에 사용하였다.
혈소판의 응집 활성은 혈소판 응집계(lumi-aggregometer, Chrono-Log Co,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 변화를 통해 측정하였다.
2분간 37℃가 되도록 열혼합기(thermomixer)에서 선 배양한 PRP에 울타리콩 추출물을 200mg/ml 농도가 되도록 가하고 7분간 배양하여 배양된 PRP 500 ㎕를 실리콘이 코팅된 혈소판 응집계용 큐벳에 넣고 3분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혈소판 응집 유발 시료인 콜라겐을 최대 응집을 일으키는 최소 농도인 1~3 ㎍/ml를 가하고, 이 후 6분간 반응을 관찰하여, 관찰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콜라겐만 처리한 대조군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을 0%로 했을 때의 비교값을 나타낸 것이다.
혈소판 응집 억제율(%)
대조군(은행잎 추출물) 12.2
실시예 1의 조성물 58.9
실시예 2의 조성물 66.4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인 은행잎 추출물에 비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율이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은 5배 정도 우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항혈전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이 비장 내 면역세포인 T-림프구와 B-림프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7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오리엔트 바이오, 경기도 가평군, 대한민국)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험군당 6마리씩 총 42마리를 사용하였다. 구입한 동물은 온도 21±3℃, 상대습도 50±5%, 조도 200-300 룩스(Lux) 조건의 실험실에서 일주일 간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동물들 모두에서 심한 체중변화나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료는 생리식염수(중외제약,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현탁하였으며, 시료의 투여는 100 mg/kg씩 하루 1회, 총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투여가 끝난 실험동물로부터 비장을 적출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한 다음,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X105 cells/well로 접종하였다. 이 후 T-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각 웰에 5 ㎍/ml 농도의 concanavalin A (Con A;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B-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15 ㎍/ml 농도의 LPS(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각각 10 ㎕씩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세포 배양액에 Cell titer 용액 (Promega, USA)을 20 ㎕씩 첨가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한 다음, fluorescence Multi-Detection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Power wave X340,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 정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 투여군에서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대조군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T 림프구 12 57 64
B 림프구 8 54 58
<시험예 4> 면역기능 증강 활성 실험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구입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s를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은 RPMI 1640 배지에 sodium bicarbonate (NaHCO3, 2 ㎍/l), 항생제(10,000 units/ml penicillin G sodium, 10,000 units/ml streptomycin sulfate, 25 ㎕/ml amphotericin B), 2-ME (2-mercaptoethanol, 50 μM), 10% FBS (fetal bovine serum)를 첨가한 것을 이용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를 96 well plate에 5 X104cells/well의 세포 수로 분주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LPS(1㎍/㎖)를 처리하여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다음 실시예 1의 조성물 시료를 0.05㎎/㎖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산화질소의 생성 정도를 ELISA 리더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시료 무처리군(LPS만의 처리군)과 비교하여 NO 생성 촉진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NO 생성 촉진 활성(%)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은 143.5±5.8%이고, 실시예 2의 조성물은 155.6±3.2% 로 조성물 시료가 NO 생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대식세포주 (RAW264.7)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억제 측정
대식세포에서는 LPS와 같은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NO를 분비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생성하고,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다양한 병리적인 반응이 일어난다.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조성물을 처리하여 항염증 효능을 조사하였다.
안정화된 NO 산화물인 NO2 (Nitrite)는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대식세포주(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로 처리하고 1시간 CO₂ 배양한 뒤 준비한 조성물 시료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CO₂배양하였다. 그 다음 각 배양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여기에 동량의 Griess 시약 (0.1% N-1-naphtyl-ethylendiamine in H2O : 1% sulfanilamide in 5% H3PO4 = 1 : 1)을 첨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 (Nitrite)의 농도는 NaNO2 (sodium nitrite)를 100 μM에서부터 0.7 μM 까지 2배씩 희석하여 얻은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LPS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Control LPS DMSO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2의 조성물
N.D 9.57±0.0 10.20±0.5 8.07±0.2 8.65±0.3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이 NO 생산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대식세포주 (RAW 264.7)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측정
RAW264.7 대식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5 cells/1m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CO₂배양하였다. 이후 well에 LPS (lipopolysaccharide)를 1μg/ml 농도, 조성물을 처리하여 24시간 CO₂ 배양하였다. 그 다음 세포배양 상층액을 수거하였다. 상층액에 포함된 사이토카인 (cytokine)인 IL-6, TNF-α, GM-CSF, IL-1β를 효소항체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 ELISA) 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즉, plate-bottom micro-well에 1차 항체 (capture antibody)를 코팅액(0.1 M sodium carbonate, pH 9.5)에 희석하여 100 μl/well로 분주하고 4℃에서 밤새 배양한 후, 세척용액 (0.05% Tween 20/PBS)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마이크로웰은 10% FBS가 첨가된 PBS로 블로킹(blocking)하였으며, 실험에서 채취한 배양 상층액을 적당한 비율로 희석한 후 각 well에 분주하여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바이오틴이 부착된 2차 항체 100㎕/well와 일정시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아비딘-퍼옥시다제 (enzyme reagent) 100 μl/well을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질 (3,3′,5,5′-Tetramethylbenzidine Liquid Substrate, H2O2) 을 첨가하여 발색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IL-6, TNF-α, GM-CSF, IL-1β의 농도는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환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Cytokine Control LPS) DMSO 실시예 1의 조성물
IL-1β N.D 513.44±4.4 507.19±4.4 86.23±5.2
GM-CSF N.D 1801.65±58.4 1723.14±64.3 156.16±5.7
IL-6 N.D 18.98±0.5 18.19±0.1 0.87±0.1
TNF-α N.D 8.28±0.1 9.47±0.2 2.95±1.5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IL-6, IL-1β, TNF-α, GM-CSF 3종류의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염증전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7> 장기능 개선 및 변비 개선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장기능 개선 및 변비 개선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여 실시하였다.
배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동물모델로 웅성의 평균 체중 220-240g 정도의 스프라그 도울리(Sprague Dawley) 랫트 (대한바이오링크, 음성)를 1군당 8 내지 10 마리를 사용하여 대사 케이지에서 3일간 순화 적응시키고, 4일째부터 변비를 유발시키기 위해 로페라마이드 (Sigma사, 미국)를 사료 3g당 1mg 함유하는 사료를 공급하였다. 대조군(로페라마이드군 처리군)는 식수만을 공급하였으며, 생약 조성물은 3.2㎎/㎖ 농도로 식수에 녹여 공급하여 실험 종료시까지 투여하였다. 변은 매일 채취하여 무게를 측량하였다.
조성물의 변비 개선 효과를 실험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변비유발 기간동안에 배변량을 증가시켜 변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조군 대비 변량 증가 (%)
시료 투여 경과 일수
D+1
D+1
D+1
D+1
D+1
D+1
D+1
실시예 1의 조성물
47
61
35
17
35
21
32
<시험예 8>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실험
실험동물로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재료로 한 시험대조군과 정상군을 식이 급여하며 사육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기본 식이는 AIN-76을 기본으로 단백질급원은 카제인(Japan), 탄수화물급원은 옥수수전분(제일제당), 지방급원으로 옥수수유(대상)을 사용한 정상군과 시험대조군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품 조성물은 매일 일정시간에 1 ml씩 경구 급여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임의로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동물 사육환경은 항온(20±2℃), 항습(50±5%)하고 12 시간 광주기로 일정 조건을 유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서 2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동물에서 콜레스테롤은 혈류를 따라 순환하며 몇몇 기관에서 합성되며 혈류 내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분석항목은 (1)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12 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er)를 흡입시켜 마취시킨 다음 복부 하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으며, 헤파린을 처리하여 원심분리(15 mins, 3,000 RPM)로 혈장을 분리하여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동물의 내장(간, 부고환, 신장)을 혈액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 수분을 제거하여 비교 정량하였다. 혈장 중성지질은 McGowan 등(1983)의 효소법을 이용한 발색방식의 중성지방 측정용 시액(Asan kit)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장 총 콜레스테롤은 Allain 등(1974)의 효소법을 응용한 총콜레스테롤 측정용 시액(Asan kit)를 사용하여 발색처리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콜레스테롤 표준곡선과 비교 정량하는 방식으로 하였으며, 장기의 지질은 Folch 등(1957)의 방법으로 잘게 자른 후 2 ml, Chloroform: Methyl alcohol 2:1 용액하에서 추출하여 중성지질, 콜레스테롤은 혈장에서와 동일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각 항목은 통계처리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
(1) 체중변화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을 하기 표 8 및 9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8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조성물을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의 경우 실험전에 비하여 체중이 유사 또는 저하되었고, 반면, 일반식이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경우 실험전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9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조성물 및 일반식이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식이섭취량은 모두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전(g) 실험후(g)
실시예 1 27.51 25.03
실시예 2 27.52 24.12
일반식이 27.21 28.31
식이섭취량(g)
실시예 1 4.0
실시예 1 4.0
일반식이 4.1
이를 통하여 모든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섭취한 실험동물의 체중이 모두 증가하지 않고, 실험 전과 유사하거나 실험전에 비하여 감소하여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실험동물의 혈장 중성지질, 혈장 콜레스테롤, 부고환 중성지질, 신장 조직의 중성지질 및 간조직에서의 콜레스테롤을 하기 표 10 및 1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중성지질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일반식이를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전(mg/dL) 실험후(mg/dL)
실시예 1 121 118
실시예 2 121 113
일반식이 120 131
하기 표 1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2의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콜레스테롤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일반식이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전(mg/dL) 실험후(mg/dL)
실시예 1 156 118
실시예 2 156 112
일반식이 157 152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중성지질의 양의 감소현상을 확인할 수 있어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9> 세포독성 시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TCC)에서 분양받아 10% FBS(fetalbovine serum), 1% 항생제, 2-ME(2-mercaptoethanol)를 함유한 RPMI 1640 배지를 이용하여 37℃, 4% CO2에서 조절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마우스의 대식세포주 RAW264.7를 96웰 플레이트에 well당 5 X 104 cells/100 μl씩 분주한 뒤, 24 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LPS (lipopolysaccharide)를 1 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1시간 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 상층액을 각각 100 μl씩 제거하고, CCK-8 시약을 10 μl씩 처리하여 3시간 CO2 배양한 뒤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Control LPS 실시예 1의 조성물 실시예 1의 조성물
100.00±0.2 97.64±0.9 99.76±5.2 99.74±4.6
결과에서 보듯이, 시료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 실험시료를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주 (RAW264.7)에 처리하여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0>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을 이용한 액상 스틱 및 홍삼 액상 스틱을 비교하는 관능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향, 맛, 색상,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3회 반복하여 아래의 표 1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검사 방법으로는 5 점 비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아주 좋다는 5 점, 좋다 는 4 점, 보통이다는 3 점, 싫다는 2 점, 아주 싫다는 1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고, 최종 응답된 점수를 합하여 산술평균값을 연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홍삼 액상 스틱
4.6 4.7 3.2
4.7 4.8 3.0
색상 4.4 4.4 3.0
식감 4.5 4.5 3.1
전체적인 기호도 4.6 4.7 3.1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스틱은 향, 맛, 색상 및 식감이 매우 높아 전체적인 기호도가 4.6 및 4.7인 한편, 홍삼 액상 스틱은 전체적인 기호도가 각각 3.1로 매우 낮았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 200 ㎎
구연산 ............................................. 1000 ㎎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제예 2>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 50 ml
그라비올라 추출물 .................................... 10 ml
코코넛꽃액즙 ......................................... 5ml
패션푸루츠 ............................................ 5ml
코코넛워터를 가하여 ................................. 전체 10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제예 3>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 50 ml
그라비올라 추출물 ....................................10 ml
코코넛꽃액즙 .......................................... 5ml
홍삼진액 ............................................ 5ml
코코넛워터를 가하여 ................................. 전체 10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5)

  1.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칡즙 농축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두 농축액 90 내지 110 중량부, 홍삼 농축액 1 내지 3 중량부, 녹용 농축액 1 내지 3 중량부, 푸룬과즙 농축액 15 내지 30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2 중량부, 복합황금 추출물 1.5 내지 3 중량부, 배 농축액 30 내지 40 중량부, 유산균 0.5 내지 2 중량부 및 모링가 추출분말 1.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혼합추출농축액, 자몽종자, 푸드겔, 흰강낭콩추출물, 녹차추출물, 정제소금 및 스테비텐후레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식품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스틱 액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54339A 2020-11-18 2020-11-18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2311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39A KR102311266B1 (ko) 2020-11-18 2020-11-18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39A KR102311266B1 (ko) 2020-11-18 2020-11-18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266B1 true KR102311266B1 (ko) 2021-10-14

Family

ID=7811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339A KR102311266B1 (ko) 2020-11-18 2020-11-18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266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자두’ 자두 효능은 비타민C가 풍부해 감기 예방과 면역력 증강. 리더스경제신문. [online], 2020.01.14., [2021.06.10. 검색], 인터넷: <URL: http://www.leaders.kr/news/articlePrint.html?idxno=139979> 1부.*
Zhou et al., Puerarin: A Review of Pharmacological Effects. PHYTOTHERAPY RESEARCH. 13 December 2013, Vol. 28, pp. 961-975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6614B (zh) 一种功能性钙果酵素、酵素饮料及其生产方法
KR101705547B1 (ko)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2305931B1 (ko)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18022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US2021035369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molokhi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gut microbiome or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intestinal inflammation, leaky gut syndrome,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KR101770766B1 (ko) 익모초 특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9732B1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Murevanhema Evaluation of bambara groundnuts (Vigna subterrenea (L.) Verdc.) milk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s a probiotic beverage
KR20180091348A (ko)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1266B1 (ko) 칡즙 농축액 및 자두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세포활성화 및 재생, 다어어트, 면역기능 및 장기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604347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53016A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475667B1 (ko) 유산균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수면 장애 개선 및 숙면 유지용 조성물
KR10225213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JP2010254594A (ja) 腸内バクテロイデス増殖促進剤
KR102499700B1 (ko) 장기능 개선 및 면역력 증진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장기능 개선 및 면역력 증진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
KR102351088B1 (ko) 유산균, 프로폴리스, 비타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20220125943A (ko) 당근잎 분말 및 브로콜리 분말을 함유하는 혈액순환 개선, 항염증, 항비만 및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20170029103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564685B1 (ko) 홍삼 나또 발효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0060B1 (ko) 헴프씨드,해방풍 및 마를 포함하는 항산화,항당뇨 및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죽
KR102531295B1 (ko) 곤드레 착즙액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102552842B1 (ko) 천연 추출물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9594A (ko) 콩 발효 식품으로부터 분리된 올리고당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