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228A -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228A
KR20020071228A KR1020010011226A KR20010011226A KR20020071228A KR 20020071228 A KR20020071228 A KR 20020071228A KR 1020010011226 A KR1020010011226 A KR 1020010011226A KR 20010011226 A KR20010011226 A KR 20010011226A KR 20020071228 A KR20020071228 A KR 20020071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tivity
bark
composition according
exhi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조
연규동
김주성
권용수
유창연
임요섭
김진영
김이훈
Original Assignee
연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규동 filed Critical 연규동
Priority to KR102001001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1228A/ko
Publication of KR2002007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22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엄나무(Kalopanax pictus)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암, 항미생물, 항산화, 항지질과산화와 항바이러스 활성 및 간기능 개선(숙취해소)작용을 나타내는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의약품, 화장품 첨가물, 식품 및 음료 등으로 사용되는 엄나무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Extract of Kalopanax pictus, method fo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엄나무(Kalopanax pictus)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암, 항미생물, 항산화, 항지질과산화와 항바이러스 활성 및 간기능 개선(숙취해소)작용을 나타내는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의약품, 화장품 첨가물, 식품 및 음료 등으로 사용되는 엄나무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엄나무는 오갈피나무과로 넓은 잎을 지니는 다년성 낙엽교목으로 25 m까지
자라며 가지에는 가시가 있다. 잎은 오갈피나무과의 공통된 특징인 손바닥모양이며, 보통 5 ∼ 9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은 황록색으로 5 ∼ 6월경에 피며 산형화서로서 정생(頂生)한다. 과실은 핵과로 되어 있고 구형(球形)으로 10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그 안에 1 ∼ 2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우리 나라 전지역에서 자라며 자생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그 발육도 대단히 빠르고 수근피와 잎까지도 유효성분이 거의 고르게 들어있는 것이 자원 생약으로서 유리한 점이라고 사료된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해동피를 삶은 물로 단술이나 술을 빚어 마시면 신경통과 요통에 효과를 보고 타박상이나 삔데, 류머티즘에 효과를 보고, 또한 봄에 돋아나는 어린순은 개두릅이라고도 하여 끓는 물에 데쳐 초장에 찍어 먹으면 산채로서 한층 입맛을 돋우어 주는 별미가 된다.
엄나무의 수피는 해동피(海桐皮, Kalopanacis cortex)라 하여 널리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뿌리를 해동근(海桐根)이라 하며, 가지를 모아 해동목(海桐木)이라 하여 역시 약용으로 이용[Lee, E., et al., Kor. J. Pharmacogn. 26(2) 122-129. 1995]하고 있으나 식물전체의 성분상의 차이는 없고 다만 함량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거풍습(祛風濕)하고 활혈(活血)하며, 진통, 소종(消腫)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신경통, 요통, 관절염 등에 많이 쓰일 뿐만 아니라 피부진균류에 대해서도 강력한 저지 효과가 있어 개선(疥癬) 등의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고 이것은 엄나무가 지니는 헤데라게닌 모노데스모사이드(hederagenin monodesmoside)에 의한 효과라는 것이 입증되고[Park H. J. et al, Arch. Pharm. Res. 21(1) 24-29,1998]있다. 엄나무의 수피에는 탄닌(tannin)이 13 ∼ 30% 함유되어 있으며 수피와 중심부 목부에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화합물이 들어 있으며 줄기와 잎에는 강심배당체가 들어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의 자료에서는 확인되어 있지 않다. 기타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코마린 글리코사이드(coumarin glycoside), 소량의 알칼로이드(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국내 자원에 대해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수피에서 헤데라게닌 헥사글리코사이드(hederagenin hexaglycoside) 즉 새로운 사포닌(Saponin) F가 분리되었고 헤데라게닌 펜타글리코사이드(hederagenin pentaglycoside)도 새로이 분리되었다. 이들은 헤데라게닌 비스데스모사이드(hederagenin bisdesmoside)이어서 피부진균류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배당체 외에도 헤데라게닌 모노데스모사이드도 수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들 모노데스모사이드가 항피부진균작용이 있어서 실제 의약품으로 개발될 소지를 지니고 있다. 이 생약이 구내염(口內炎)에 유효하다는 것은 상기 성분에 의한 효과라할 수 있다. 아마도 헤데라게닌 비스데스모사이드 및 모노데스모사이드는 소염(消炎)작용의 주체물질로 확인되고 있어 새로운 의약개발의 좋은 소재를 제공하는 우리 나라의 자원생약이라 할 수 있다.
엄나무의 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는 성분 연구와 간단한 활성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엄나무의 어린싹(순) 또는 엄나무로부터 약리활성물질의 탐색과 약리활성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보고는 미비한 실정이다. 지금까지 엄나무의 화학성분에 대한 연구는 해동피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Shao C. J., et al, Chem. Pharm. Bull. 37(2) 311-314, 1989; Shao C. J., et al, Chem. Pharm. Bull.38(4) 1087-1089, 1990; Sano K., et al, Chem. Pharm. Bull. 39(4) 865-870, 1991; 이은 등, 생약학회지. 26(2) 122-129, 1995; Park H. J. et al, Arch. Pharm. Res. 21(1) 24-29, 1998; Kim D. W., et al, Arch. Pharm. Res. 21(6) 688-691, 1998; Kim D. H., et al, Biol. Pharm. Bull. 21(4) 360-365, 1998; Lee K. T., et al, Planta Med. 66(4) 329-332, 2000]. 한국산 엄나무에 대해서는 항산화 활성물질에 대한 연구[김영희 등, 시험연구논문집 89-109, 1996]가 있다.
지금까지 엄나무에서 발견된 화합물로는 카페산(caffeic acid), 트리하이드록시플라본(4,5,7-trihydroxyflavanone), 페릭산(ferulic acid), 트리하이드럭시찰콘(2',4',4"-trihydroxy-chalcone), 코니페릴알콜(coniferyl alcohol), 시링긴(syringin), 갈로파낙스사포닌 A(kalopanaxsaponin A), 갈로파낙스사포닌 B(kalopanaxsaponin B), 갈로파낙스사포닌 C(kalopanaxsaponin C), 갈로파낙스사포닌 D(kalopanaxsaponin D), 갈로파낙스사포닌 E(kalopanaxsaponin E), 갈로파낙스사포닌 F(kalopanaxsaponin F), 갈로파낙스사포닌 G(kalopanaxsaponin G), 갈로파낙스사포닌 H(kalopanaxsaponin H), 갈로파낙스사포닌 I(kalopanaxsaponin I), 릴리오덴드린(liriodendrin), 갈로파낙신 A(kalopanaxins A), 갈로파낙신 B(kalopanaxins B), 갈로파낙신 C(kalopanaxins C), 갈로파낙신 D(kalopanaxins D), 페리카사포닌 P13(pericarsaponin P13), 헤데라사포닌 B(hederasaponin B), 프로토카테추익 산(ptotocatechuic acid), 코니페린(coniferin), 글루코시링산(glucosyringic acid) 및 크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이 밝혀진 바 있다[Sano K., et al, Chem. Pharm. Bull. 39(4) 865-870, 1991]. 이들 성분은 주로 배당체화합물로서 이 중 갈로파낙스사포닌 A는 인간 병원성 곰팡이의 생육억제효과가 있으며[Kim D. W., et al, Arch. Pharm. Res. 21(6) 688-691, 1998] 갈로파낙스사포닌 B와 갈로파낙스사포닌 H는 항당뇨 효과 작용이 있다[Kim D. H., et al, Biol. Pharm. Bull. 21(4) 360-365, 1998].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인체에 좋은 건강증진 원료로 이용이 가능한 엄나무의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이용하기 위하여 엄나무 추출물을 얻어 이를 이용하여 항산화, 항암 활성 및 간기능 개선(숙취해소)작용 등으로 식품첨가물, 의약품, 화장품 첨가물, 음료 및 건강보조식품 등에 사용하는 새로운 용도와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생약재인 엄나무의 어린순 또는 엄나무로부터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항산화, 항암, 항미생물 활성 및 간기능 개선(숙취해소)작용을 갖는 이의 용도로 식품첨가제, 의약품, 화장품 첨가제, 음료 및 건강보조식품 등에 사용하는 새로운 제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엄나무 추출물과 기존 숙취해소음료의 간기능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엄나무 추출물과 이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숙취해소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혈중알콜농도 : % (v/w)].
본 발명은 엄나무 추출물의 항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간염바이러스 및 간기능 개선(숙취해소)작용을 나타내는 새로운 용도 및 제조방법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엄나무의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엄나무(내피를 포함하는 수피 또는 수피를 제거한 목재부 또는 내피와 수피를 포함하는 잎)를 깨끗이 씻고 5 내지 30 cm 길이, 바람직하게는 15 cm의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1주일 내지 3개월 바람직하게는 1개월 정도 건조 후, 파쇄시키거나 그대로 사용하는데, 이때 엄나무의 목재부를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시키지 않고 목재칩 제조기나 톱밥 제조기를 이용하여 목재칩이나 톱밥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100 내지 1000 g/ℓ, 바람직하게는 340 g/ℓ의 물을 가하고 80 내지 140 ℃ , 바람직하게는 100 ℃에서 1시간 내지 18시간, 바람직하게는 7시간 가열하여 갈색 또는 진흑색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또는 유기용매를 엄나무의 동량 가하여 35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40 ℃의 수조에서 1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5일동안 방치하거나 실내에서 10 내지 30일동안 방치하여 갈색 또는 진흑색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용매 추출액을 30분 내지 1시간 정도 식힌 다음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한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를 유기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농축액에 농축액의 동량 내지 2배량의 물을 가하여 교반하고 수용성 물질만을 수득한 후 다시 여과하여 농축한다.
본 발명의 엄나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SRB 법[Skehan, et al., Proc. Am. Assoc. Cancer Res., 30: 612, 1989] 등을 사용하여 전립선(Prostate) 암 세포주, 백혈병(Leukemia) 암 세포주, 결장(Colon) 암 세포주, 위(Renal) 암 세포주, 폐(Lung) 암 세포주 등의 성장 억제정도를 측정한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인 1,1-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을 사용하여 항산화활성 측정방법[Blois, Nature, 188: 1199, 1958; Choi, et al., Kor. J. Phamacogn, 24: 299-303, 1993] 및 페릭 티오시아네이트(Ferric thiocyanate)이용한 지질과산화억제활성 측정방법[Nakatani와 Nikuzaki, Agric. Biol. Chem. 1987: 2727-2732; Tae et al., Kor. Agri. Chem. Biotec. 1996: 506-511]등으로 조사한다.
또한, 항미생물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바야시[Kobayashi, et al., Biosci. Biotech. Biochem., 58: 133-134, 1994] 등의 방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곰팡이 균주로는 아스페리길루스 이와모리(Asperigillus niger), 클라도스포리움 허바룸(Cladosporium herbarum)을 사용하고, 세균균주로는 바실루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lis)와 대장균(Escherichia coli)를 사용하여 성장저해 활성을 측정한다.
또한, 간기능 개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라자[Raza H, et al., J Biochem Mol Toxicol., 14(3):131-139, 2000] 등의 방법과,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활성은 브렌트 및 존[Brent and John, Antiviral Research, 19: 55-70, 1992]의 방법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암, 항미생물, 항산화, 항지질과산화, 간염바이러스 활성 및 간기능 개선(숙취해소)작용이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독성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마우스(군당 5마리)에 각각 투여한 다음 14일 동안 관찰하여 사망률을 측정하였다. 이때 농도 단계별로 상기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50% 치사량은(LD50)은 16 g/kg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치료용 약제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forming agent), 희석제(diluent)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용 제제와 같은 단위투여형 또는 수회투여형 제제로 제형화하여 항암, 항미생물, 항산화, 항지질과산화, 항바이러스 및 간기능 개선(숙취해소)을 위한 치료 및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용량수준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체중,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식이, 투여시간, 배설율,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에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체중 1 kg당 엄나무 추출액을 10 내지 100 mg의 양으로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엄나무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은 강원도 정선군 일대에서 자생 또는 재배하는 엄나무(내피를 포함하는 수피 또는 수피를 제거한 목재부 또는 내피와 수피를 포함하는 잎)를 깨끗이 씻고, 15 cm 의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1개월 정도 건조시킨 후, 파쇄시키거나 그대로 사용하는데, 이때 엄나무의 목재부를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시키지 않고 목재칩 제조기나 톱밥 제조기를 이용하여 목재칩이나 톱밥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340 g/ℓ의 물을 가하고 100 ℃에서 7시간 가열하여 갈색 또는 진흑색의 추출물을 얻었다.
이어서, 용매 추출액을 실온이 될 때까지 식힌 다음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이때 상기의 추출용매를 유기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농축액에 농축액의 동량 내지 2배량의 물을 가하여 교반하였고 수용성 물질만을 수득한 후 다시 여과하여 농축하였다.
<실시예 2> 엄나무 추출물로부터 활성 분획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 50 L를 감압 농축하여 농축물 54.2 g을 증류수로 희석한 후 핵산(n-hexane), 에칠아세테이트(EtOAc), 부탄올(BuOH), 물층(H2O)순으로 분획하여 각각 241 mg, 1.9 g, 7.95 g 및 44.1 g 의 용매분획물을 얻었다.
<실시예 3> 항암활성 조사
상기 엄나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암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 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을 SRB 법으로 조사하였다. 이때 암세포주로는 전립선(Prostate)암세포주인 PC-3, 결장(Colon)암 세포주인 HCT-15와 SW-620, 신장(Renal)암 세포주인 ACHN, 폐(Lung)암 세포주인 A549, 백혈병(Leukemia) 세포주인 MOLT-4F를 사용하였다.
상기 암세포주는 10% 소태아 혈청이 포함된 RPMI 1640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고, 배양된 세포는 일주일에 1 ∼ 2 번 정도 분주하여 유지하였다. 항암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하는 세포 농도는 3,000 ∼ 6,000 개/㎖이었으며, 상기 방법에 사용한 모든 시약은 100%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에 녹이고 이를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시료의 농도를 10, 3, 1, 0.3, 0.1 ㎍/㎖로 맞추었다.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일정한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하루가 경과한 다음 세포가 나타내는 기본적인 흡광도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Tz(Time/Zero) 플레이트로서 시료를 처리할 플레이트와 동일한 세포 농도를 가진 다른 플레이트를 50% TCA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리고, 시료를 처리할 플레이트는 시료의 최종 농도를 0.1% DMSO로 맞추어 5가지 시료 농도로 처리하였다. Tz 플레이트는 1시간이 경과하면 수돗물(Tap water)로 세척하고, 시료를 처리한 플레이트는 2일이 경과한 다음 50% TCA를 웰당 50 ㎕씩 처리하여 고정하고 역시 1시간이 경과하면 수도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플레이트는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그 후 0.4% SRB 용액(1% 아세트산에 용해되어 있는 용액)을 웰 당 100 ㎕씩 가한 다음 30분이 경과하면 1%아세트산 용액으로 세척하였고 이를 다시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다음 10 mM 트리스 염기(pH 10.5)를 웰 당 100 ㎕씩 가하여 다시 용해시키고, 효소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ELISA 해독기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GI50(㎍/㎖)은 암세포의 성장을 50% 억제하는 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 다음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핵산분획이 5종의 암세포주에 대해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백혈병 암세포주인 MOLT-4F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항미생물활성 조사
본 발명의 엄나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이 나타내는 항미생물 활성은 고바야시 등의 방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곰팡이 균주로는 아스페리길루스아와모리(Asperigillus awamori), 클라도스포리움 허바룸(Cladosporium herbarum), 페니실리움 옥살리쿰(Penicillium oxalicum)을 사용하고, 이들 곰팡이 배양용 PDB 슬란트(Slant)에 곰팡이 포자발아저해시험용 배지 2 ㎖를 첨가하여 유리봉으로 상기 곰팡이 포자를 분리시키고 이를 다시 가제로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을 얻어 96-웰 플레이트에 100 ㎕씩 분주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면서 시야에 50개의 포자가 관찰될 때까지 희석하였다. 상기의 시료를 4 에서 1000 ppm 농도까지 제조하여 상기 웰에 가하고 27 ℃에서 24시간 동안 암배양 후, 현미경으로 포자발아가 저해되는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세균균주로는 바실루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대장균(Escherichia coli)를 사용하고, 이들 세균주들을 NB배지 10 ㎖에 이식하여 27 ℃에서 12시간 동안 진탕배양 후 바실루스 섭틸리스는 106 /㎖, 대장균은 107 /㎖이 되도록 NB배지로 희석하였다. 그런 다음, 96-웰 플레이트에 100 ㎕씩 분주하고 상기의 시료를 4 에서 1000 ppm 농도까지 제조하여 상기 웰에 가하고 27 ℃에서 24시간 동안 암배양 후 현탁도를 기준으로 세균 성장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바실루스 섭틸리스 세균주에서 전반적으로 강한 활성을 보였고, 페니실리움 옥살리쿰(Penicillium oxalicum) 곰팡이 균주에서 핵산 분획에서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이 나타냈다.
<실시예 5> 항산화활성 조사
상기 엄나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유 라디칼인 DPPH을 사용한 항산화활성 측정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유리 시험관에 4 ㎖의 메탄올을 넣고 시료 화합물을 농도 별(1.5 ∼ 30 ㎕)로 첨가한 다음 상기 DPPH(0.15 mM)용액을 1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RC50(㎍/㎖)은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값을 50% 감소시키는 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 다음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부탄올 분획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이 보였고, 물 분획에서도 약간의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6> 항지질과산화활성 조사
상기 엄나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지질과산화 활성은 쥐 간의 마이크로좀을 이용하여 상기 화합물이 지질과산화를 저해하는 활성을 오카와 등의 방법에 따라 조사하였다. 먼저, 쥐의 간에서 마이크로좀을 분획하고 분리하여 100 ㎖ 트리스-염산 완충용액(pH 7.4)에 현탁시켰다. 얻어진 마이크로솜 분획 0.3%와 농도별 화합물을 혼합하여 그 혼합액에 500μM FeSO4·7H2O를 첨가하고 37 ℃에서 30분 동안 진탕반응시킨 다음, 20% TCA(3 M 트리클로로아세트산 : 2.5 M 염화암모니움 = 1 : 1)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반응을 통해 지질과산화물은 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생성되는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는 티오바빅튜르산(Thiobarbituric acid, TBA)과 반응하게 되는데, 지질과산화 반응은 이 TBA반응산물을 측정하여 다음 수학식 1로부터 % 지질과산화 저해 활성을 계산할 수 있다.
T = 화합물을 첨가한 과산화 반응이 일어난 시험군에 나타난 흡광도를 530 nm에서 측정하여 얻은 값
C =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과산화 반응이 일어난 시험군에 나타난 흡광도를 530 nm에서 측정하여 얻은 값
B = 과산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대조군에 나타난 흡광도를 530 nm에서 측정하여 얻은 값
그 결과, 다음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강한 항지질과산화 활성이 보였고, 부탄올 분획에서도 약간의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7>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활성 조사
상기 엄나무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세포의 형태 및 세포의 성장억제를 관찰하여 조사하고, 구체적으로는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엄나무 추출물이 나타내는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활성은 브렌트 및 존의 방법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접종농도: 2 ×104세포/웰/2 ㎖) 24시간동안 반응시킨 다음, 배지를 0.01% 중성 적색 염색시약(Netural red dye)을 포함한 인산 완충용액 2 ㎖로 교체하고 본 발명의 시료를 농도별(0 ∼ 50 ppm)로 첨가하여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이를 인산 완충용액으로 세척하고 1% 아세트산(Glacial acetic acid)을 포함한 50% 에탄올 용액으로 고정하여 30분 동안 가볍게 진탕하였다. 다음 현미경으로 세포의 형태가 변화하고 세포의 성장이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핵산 분획,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약간의 인체 간염바이러스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이 나타냈다.
<실시예 8> 간기능 개선작용에 대한 활성 조사
상기 엄나무 추출물의 간기능 개선작용은 해당 식품이 체내에서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 능력과 간의 기능을 관찰하여 조사하고, 구체적으로는 간기능 개선효과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간의 주요 해독작용 중 하나인 글루타치온-S-트랜스퍼라제(Glutathione-S-transferase, GST)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해당식품이 체내에서 독성물질을 해독하는 능력과 간의 기능을 증진시키는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0.2 mM의 1-클로로-2,4-디니트로벤젠(1-chloro-2,4-dinitrobenzen) 1 ㎖에 5 mM의 글루타치온(glutathione), 0.1 mM의 GST, 0.25 mM의 PBS(pH 6.5)를 첨가하고 37 ℃에서 5분간 배양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대조구로 하였다. 여기에 엄나무 추출액을 첨가한 후 다시 37 ℃에서 5분간 배양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표 6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기존의 숙취음료인 컨디션, 여명808, 리셉션과 비교하여 뛰어난 간기능 개선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숙취해소 작용에 대한 활성 조사
상기 엄나무 추출물의 숙취해소 작용을 관찰하여 조사하고, 구체적으로는 숙취해소 효과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엄나무 추출물이 나타내는 숙취해소 효과에 대한 활성은 베르그메이어[Bergmeyer, 3rd ed. 598-606, 1984]의 방법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4주령의 랫(rat)각 처리구당 7마리씩 음용수만 제공하고 24시간 절식시킨 후 시판용 소주(25% 알콜) 4 ㎖을 랫당 강제투여하고 4시간째에 심장으로부터 채혈된 혈액에서 혈중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구의 경우 혈중알콜농도가 0.107%였으나, 추출물 투여시 혈중알콜농도가 0.042%로 떨어뜨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엄나무(kalopanax pictus)의 엄나무(내피를 포함하는 수피 또는 수피를 제거한 목재부 또는 내피와 수피를 포함하는 잎)로부터 항산화, 항암 활성 및 간기능 개선 작용을 갖는 추출물 또는 용매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얻고,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항암 활성, 항지질과산화, 항미생물, 항바이러스 및 간기능 개선(숙취해소) 효능이 우수하여 앞으로 건강보조식품, 의약품, 화장품 첨가물, 식품 및 음료 등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a) 엄나무(kalopanax pictus)(내피를 포함하는 수피 또는 수피를 제거한 목재부 또는 내피와 수피를 포함하는 잎)를 5 내지 30 cm 길이로 절단하여 그늘에서 1주일 내지 3개월 정도 건조시키는 단계; 및
    b) 100 내지 1000 g/ℓ의 물을 가하고 80 내지 140 ℃에서 3시간 내지 18시간 가열하여 갈색 또는 진흑색의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대신 유기용매를 엄나무의 동량 가하여 35 내지 60 ℃의 수조에서 1 내지 10일 동안 방치 또는 실내에서 10 내지 30일동안 방치하여 갈색 또는 진흑색의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엄나무으로부터 얻은 추출물 또는 용매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항산화 및 항지질과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3 항에 있어서, 간기능 개선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3 항에 있어서, 숙취해소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엄나무로부터 얻은 추출물 또는 용매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첨가제,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음료 또는 화장품 첨가제.
KR1020010011226A 2001-03-05 2001-03-05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20071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226A KR20020071228A (ko) 2001-03-05 2001-03-05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226A KR20020071228A (ko) 2001-03-05 2001-03-05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228A true KR20020071228A (ko) 2002-09-12

Family

ID=2769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226A KR20020071228A (ko) 2001-03-05 2001-03-05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122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9305A1 (en) * 2002-05-27 2003-12-04 Eun-Bang Lee Composition containing an ethyl acetate soluble extract from kalopanax pictus nakai and kalopanaxsaponin a derivatives isolated therein for protec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and rheumatic disease
KR101122100B1 (ko) * 2009-12-17 2012-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매자나무 수피로부터 천연 코니페릴 알코올을 고수율로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단리 성분
US10181125B2 (en) 2007-05-15 2019-01-15 Viacom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reating a social-networking online community
KR20190042484A (ko) * 2018-12-10 2019-04-24 류형준 바이러스 질환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
KR20190127207A (ko) * 2018-05-03 2019-11-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33685A (ko) * 2018-09-20 2020-03-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2292707B1 (ko) * 2021-04-14 2021-08-23 주식회사 중원국제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WO2021241796A1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맥바이오테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547497A (zh) * 2023-12-31 2024-02-13 武汉森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酪氨酸酶活性的美白抗衰组合物及其应用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9305A1 (en) * 2002-05-27 2003-12-04 Eun-Bang Lee Composition containing an ethyl acetate soluble extract from kalopanax pictus nakai and kalopanaxsaponin a derivatives isolated therein for protec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and rheumatic disease
US10181125B2 (en) 2007-05-15 2019-01-15 Viacom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reating a social-networking online community
KR101122100B1 (ko) * 2009-12-17 2012-03-1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매자나무 수피로부터 천연 코니페릴 알코올을 고수율로 분리하는 방법 및 그 단리 성분
KR20190127207A (ko) * 2018-05-03 2019-11-1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음나무 수피의 효소 가수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33685A (ko) * 2018-09-20 2020-03-3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20190042484A (ko) * 2018-12-10 2019-04-24 류형준 바이러스 질환 개선을 위한 식품조성물
WO2021241796A1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맥바이오테크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707B1 (ko) * 2021-04-14 2021-08-23 주식회사 중원국제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17547497A (zh) * 2023-12-31 2024-02-13 武汉森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酪氨酸酶活性的美白抗衰组合物及其应用
CN117547497B (zh) * 2023-12-31 2024-04-09 武汉森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酪氨酸酶活性的美白抗衰组合物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dayachee et al. An overview of the medicinal importance of Moringaceae
Gahlawat et al. Murraya koenigii (L.) Spreng: an ethnobotan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Yadav et al. Cassia occidentalis L.: A review on its ethnobotany,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file
De Padua et al. Plant resources of South-East Asia.
Chhabra et al. Plan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Eastern Tanzania. II. Angiosperms (Capparidaceae to Ebenaceae)
Mallik et al. Pharmacological activity of Cucumis sativus L.–a complete overview
Olivier et al. Annickia affinis and A. chlorantha (Enantia chlorantha)–a review of two closely related medicinal plants from tropical Africa
Sabir et al. Pharmacognostic and clinical aspects of Cydonia oblonga: A review
Zibbu et al. Thevetia peruviana (Pers.) Schum.: A plant with enormous therapeutic potential
Parra et al. An overview on various aspects of plant Berberis Lycium Royale
Ukande et al. Review on Pharmacological potentials of Prosopis juliflora
KR100394089B1 (ko) 알러지 유발성분을 배제한 옻나무 추출물
Barua et al. A review on effective utilization, phytochemical compounds,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of a popularly used plant for developing a new drug: Zanthoxylum armatum with reference to its anticancer activity
KR20020071228A (ko)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ewlani et al. Pharmacological and phytochemical potential of Rubus ellipticus: a wild edible with multiple health benefits
El Haouari et al. An insight into phyt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Arbutus unedo L. from Morocco
Priya et al. Phytochemical compounds of Leucas aspera L
Ahuja et al. An ethnomed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file of Artemisia parviflora Roxb
Antony et al. Review study on pharmacological importance of Simarouba glauca
Asuzu Bitter herbs of eastern Nigeria (Gongronema latifolium, Vernonia amygdalina and Vitex doniana): A review
Battase et al. Phytochemical and Medicinal Study Of Lantana Camara Linn.(Verbenaceae)-A Review
Ezebo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Lantana camara Leaf
Halder et al. A Review on Kigelia africana
Lomate et al. A review on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values of Aegle marmelos
Shirisha et al. Review on Albizia lebbeck (L.) Benth: a plant possessing diverse pharmacological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