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707B1 -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707B1
KR102292707B1 KR1020210059864A KR20210059864A KR102292707B1 KR 102292707 B1 KR102292707 B1 KR 102292707B1 KR 1020210059864 A KR1020210059864 A KR 1020210059864A KR 20210059864 A KR20210059864 A KR 20210059864A KR 102292707 B1 KR102292707 B1 KR 10229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present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우
박선영
반영환
최민혁
강윤정
이영서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원국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원국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원국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46Salts

Abstract

본 발명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천연물에서 유래한 물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 및 우수한 제제안전성을 가진다. 상기 조성물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냄새가 적고,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그 활용도가 높다.

Description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ANTIVIRAL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SUBSTANCE-DERIVED SUBSTANCE AND ACIDIC HYPOCHLOROUS ACID}
본 발명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와 천연물에서 유래한 물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 및 코로나 바이러스(SARS, MERS, COVID-19 등)가 전 세계에 창궐하면서 그 병증과 확산속도 및 여파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전망 등이 쏟아지고 세계 각국은 방역대책을 세우기에 부심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서 항원 변이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감염인구 집단 내에서의 반복적인 재감염이 가능하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여러 변이를 형성하여 인간에게 심각한 전염성 폐렴과 같은 신종 감염병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여러 감염증의 확산에 따라 어느 때 보다도 소독의 생활화 및 위생 관리가 필요한 시기이다.
그로 인해 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하여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의 '접촉방어'의 개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공간방어'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이와 관련한 제품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간방어'란 특정 공간의 공기 중에 떠있는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공간 자체에 대하여 바이러스를 불활성화 하거나 사멸하여 바이러스의 전파 가능성을 낮추는 방법을 의미한다. 즉, 집안이나 사무실, 엘리베이터, 식당, 자동차, 호텔, 영유아 보육시설 등 일상생활 공간이나 교회, 교육장, 학교, 공연장 등의 공공장소 등에서 바이러스의 비말 감염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법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 WHO에 따르면 신종플루 및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람 간에 전염이 일어나고, 대부분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중에 확산되는 비말로 인해 감염되는 비말 감염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근무하거나 생활하는 공간의 대기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입자에 대한 방역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차아염소산수(HOCL)는, 살균소독수로서 미국 FDA로부터 일반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물질(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분류된 목록에 기재되어 있는 물질이다. 즉,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이라고 표현되기도 하는 차아염소수는 염소계 살균소독제로서 강력한 산화제이다.
이러한 차아염소산수는 염 형태의 차아염소산나트륨(락스)에 비해서 훨씬 살균력이 좋지만, 장기 보존성이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차아염소산수가 pH 변화에 민감하고 pH의 변화에 따라 유효염소가 휘발되어, 차아염소산수 내에서 잔존 또는 유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염소 냄새로 인해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대기중에 분사하는 경우 불쾌감 및 어지러움 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우수한 소독 및 살균 효과를 가지는 소독제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잔대, 하고초, 골풀, 모시풀 및 길경의 혼합 추출물을 염화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및 알킬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이 불쾌한 향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뛰어난 항균,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11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20488호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10 내지 100ppm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1200 내지 1800 중량부; 2-[[1,3-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술폰산 1 내지 5 중량부, 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0.01 내지 3 중량부; 및 육계, 음나무, 금은화, 천마, 도인, 팔각, 봉출, 무궁화, 비자나무 씨앗 및 말똥진흙버섯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의 추출물 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용 항바이러스 수분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이용한 소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10 내지 100ppm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1200 내지 1800 중량부; 2-[[1,3-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술폰산 1 내지 5 중량부, 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0.01 내지 3 중량부; 및 육계(Commiphora myrrha Holmes),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금은화(Lonicera japonica), 천마(天麻), 도인(桃仁), 팔각(八角), 봉출(蓬朮), 무궁화(Hibiscus syriacus),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씨앗 및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us)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의 추출물 1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수"는 염산 또는 식염수를 전기분해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차아염소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용액이다. 식품첨가물공전에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와 화학적 합성품으로 등록되어 있어 식품용 기구 등의 살균소독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200 mg/L 이하), 과실류, 채소류 등 식품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최종 식품의 완성 전에 중화 또는 제거하여야 한다. 차아염소산은 체내에서 활성화된 호중구 내에서 골수세포형과산화효소(myeloperoxidase, MPO)에 의해 생성되고, 각종 일반 세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다. 차아염소산은 강산성 (pH 2.7 이하), 약산성, 미산성으로 나누어지며,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는 높은 유효염소농도 (20~60ppm)의 특성이 있어 염소 냄새가 강하고 부식성이 많으며 산화작용으로 갈변이 촉진되어 식품에 직접 접촉하면 품질에 영향을 끼쳐 식품에 적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반면에,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무색, 무취, 무미로 식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보다 높거나 동등한 살균 효능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는 천연 살균제로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적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다양한 천연물과 혼합한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효능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상기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직접 제조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성분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으로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2-[[1,3-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술폰산 (2-[[1,3-dihydroxy-2-(hydroxymethyl)propane-2-yl]amino]ethane sulfonic acid)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Figure 112021053568228-pat00001
본 발명의 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3-morpholino propanesulfonic acid)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Figure 112021053568228-pat00002
본 발명의 육계(Cinnamomum cassia)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육계의 나무 줄기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한방에서는 식욕부진, 소화불량에 주로 쓰였으며, 진통 및 소염 작용, 면역 및 항암 작용, 항균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Kor. J. Herbol. 33(4): 19-26, 2018).
본 발명의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수목으로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 예로부터 음나무의 줄기 껍질은 해동피라 하고, 뿌리 껍질은 해동수근이라 하여 풍습의 제거, 경략소통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에 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금은화(Lonicera japonica)는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하는 인동덩굴의 꽃으로서 오래전부터 동양의학에서 호흡기 감염, 당뇨병 및 관절염 치료와 독소에 대한 중화 및 해열제로 활용되어 왔다. 금은화의 주요 생리활성인 염증반응 억제와 독소에 대한 중화반응 등은 금은화의 항산화 물질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최근 금은화의 항산화 성분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동안 진행된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다양한 용매로 추출된 금은화의 성분들은 chlorogenic acid, tannin 류, saponins,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lonicerin, luteolin, apigenin, quercetin, ochnaflavon, astragalin 등이 배당체로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1): 95-102, 2012).
본 발명의 천마(天麻, Gastrodiae rhizoma)는 뽕나무버섯과 편리 공생하는 난초과 식물에 속한 식물 천마의 구근이다. 천마는 약성이 평무독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구로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 질환 등의 성인병에 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도 보고된 바 있다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3(4): 211-219, 2009).
본 발명의 도인(桃仁, Persicae semen)은 낙엽 활엽 소교목인 복숭아 나무(Prunus persica)의 씨로, 오래전부터 여성질환과 퇴행성 질환 등에 사용되었으며, 항종양, 항어혈작용 등이 보고되었으나, 그 생리적인 효능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현재까지도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팔각(八角, Illicium verum Hook. f.)은 팔각회향, 대회향으로도 불리며, 붓순나무과(Illciaceae)의 열매로 8개의 골돌과가 방사상으로 퍼져 팔각형을 이루며 적갈색을 띈다. 중국 및 베트남에서 주로 자라고 향신료나 차로 사용되며, 페놀성 방향 성분이 많아 방부성, 구취성이 있고 마취용으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뿌리줄기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수증기로 증숙한 뒤 쇄건시켜 생약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효능으로는 진통작용, 항알레르기, 항궤양, 간보호 작용, 항염증, 항돌연변이, 항산화능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무궁화(Hibiscus syriacus)는 아욱과 무궁화 속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 또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인도,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무궁화의 잎은 난형, 꽃은 홑꽃, 화관은 종모양이고, 중심부는 붉은색을 나타내며, 꽃잎 끝부분은 엷은 자색 또는 흰색이다. 무궁화의 꽃, 잎, 씨앗과 껍질 등 모든 부위는 식용 가능하며, 동의보감에는 줄기와 꽃을 차로 다려 마시면 사혈과 장풍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전통의학에서 과실은 거담제 및 기침에 사용되고 껍질은 습진 및 건선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비자나무(Torreya nucifera)는 우리나라의 남부지방과 일본에 자생하며, 주목과(Taxaceae)의 상록 교목이다. 비자나무의 성숙된 종자에서 종피를 제거하고 건조한 것을 비자라 하며, 식욕 증진, 소화 촉진, 변비 및 치질 치료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며, 구충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비자나무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비자에 함유된 지방질과 sterol 성분, desmethylsterol 조성 및 비자유의 지질대사와 이와 관련된 효소 발현 등에 대하여 연구된 바 있다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 1-8, 2009). 본 발명에서는 비자나무 씨앗인 비자(榧子)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us)은 상황이라고도 불리며, 대표적인 악용버섯 중 하나로 주로 뽕나무와 활엽수의 줄기에 자생한다. 말똥진흙버섯은 항암 효과와 장내 유해효소 저해효과,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 항진효과, 급성 알러지 반응 저해효과, 혈당 강하효과 등의 성인병 예방 효과와 항염증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상기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pH는 5.0 내지 6.5이고, 상기 추출물은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9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육계(Cinnamomum cassia) 30 중량부,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20 중량부, 금은화(Lonicera japonica) 15 중량부, 천마(天麻) 10 중량부, 도인(桃仁) 10 중량부, 팔각(八角) 10 중량부, 봉출(蓬朮) 15 중량부, 무궁화(Hibiscus syriacus) 10 중량부,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씨앗 5 중량부 및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us) 5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60 내지 70%의 에탄올로 9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면, 추출 방법이나 유효성분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원료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원료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추출 공정은 냉침, 온침, 가열, 환류 및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추출 후에 감압 농축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은 육계, 음나무, 금은화, 천마, 도인, 팔각, 봉출, 무궁화, 비자나무 씨앗 및 말똥진흙버섯의 원물을 일정 중량으로 혼합하여 추출하거나, 각 천연물의 원물을 각각 추출하여 혼합하거나, 또는 각 천연물의 분말을 혼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육계, 음나무, 금은화, 천마, 도인, 팔각, 봉출, 무궁화, 비자나무 씨앗 및 말똥진흙버섯은 직접 채취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바이러스"란 병원체 바이러스의 불활성화, 바람직하게는 영구적인 불활성화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에 의해 비활성화 또는 영구 비활성화가 가능한 바이러스로는 DNA 바이러스 및 RNA 바이러스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사람, 새, 돼지(신형)),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E형)간염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광견병 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HIV 바이러스, SARS, 조류독감, 신종플루, 에볼라 바이러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및 COVID-19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일 수 있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플루엔자"는 오한, 발열, 근육통, 기침을 동반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보통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에어로졸(aerosol)을 통해서 인체-인체 전파에 따라 감염된다. 인플루엔자 감염은 오소믹소비리대(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하여 야기되며, RNA 바이러스로서 항원 변이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감염인구 집단 내에서의 반복적인 재감염이 가능하다. 따라서, 인플루엔자의 예방에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헤르페스(Herpes) 바이러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피부점막 혹은 손상된 피부를 통해 바이러스가 감염되며 감염 후 피부 내에서 증식하여 주변의 신경 세포로 침투한다. 이후, 잠복 상태로 존재하다가 열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자극을 받으면 감각신경을 타고 다른 점막 부위로 이동하여 증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및 헤르페스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효능을 확인하였다 (표 1).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항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료 또는 핸드크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1일 1회 내지 수회 적?韜?을 피부에 도포하여 1 주일 내지 수개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용 항바이러스 수분산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항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의 경우, 바이러스 억제라는 목적을 고려하면, 이용의 편의를 위하여 스프레이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항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공중보건과 위생관리를 위한 방역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살충, 살서제, 및 인체에 직접 적용되지 않는 살균제를 포함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알코올류, 알데히드, 크레졸, 비누제제 형태의 살균 소독제 및 기타 방역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바이러스 억제를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이용한 소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소독"은 물체 등의 표면에 있는 미생물을 사멸 또는 불활성화하여 감염력을 억제하는 조작을 의미하며, 위생 관리, 감염 및 전염병 방지의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유화안정제(emulsion stabilizers)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는 유제를 물에 희석할 경우 생성되는 유탁액의 유화성을 증진시키는 물질로서, 예컨대, 탄소수 8 미만의 저급 알코올, 글리콜류, 탄소수 11 이상의 고급 알코올, 요소,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질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질산나트륨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화안정제는 유효성분의 소독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그 함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소독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도 목적에 따라 향료, 색소, 방부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담체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경우, 점토(예: 카올린, 벤토나이트, 산 점토 등), 활석(예: 활석 분말, 납석 분말 등), 실리카(예: 규조토, 규산 무수물, 운모 분말 등), 알루미나, 황 분말 및 활성탄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소독 방법은, 상기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활성을 잃게 하여 감염력을 억제하는 모든 행위를 포함한다. 광의의 소독 방법은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거나, 화학적 방법을 이용하는 소독 방법을 모두 의미하나, 본 발명의 소독 방법은 소독력이 있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이므로, 화학적 소독 방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 및 우수한 제제안전성을 가진다. 상기 조성물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냄새가 적고,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그 활용도가 높다.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이는 전염의 주경로가 되는 병원, 강의실, 대중교통 등의 장소로부터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한 피해(전염)를 조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이는 병원, 강의실, 대중교통 등의 장소의 내벽, 외벽, 천장, 물품 등에 본 발명의 조성물이 잔류하여 상기 특성이 지속적으로 발현됨에도 건조가 빠르며 끈적거림이 없어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수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앞서, 차아염소산수와 혼합하기 위한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육계(Cinnamomum cassia),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금은화(Lonicera japonica), 천마(天麻), 도인(桃仁), 팔각(八角), 봉출(蓬朮), 무궁화(Hibiscus syriacus),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씨앗 및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us)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하고,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90℃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은 육계 30 중량부, 음나무 20 중량부, 금은화 15 중량부, 천마 10 중량부, 도인 10 중량부, 팔각 10 중량부, 봉출 15 중량부, 무궁화 10 중량부, 비자나무 씨앗 5 중량부 및 말똥진흙버섯 5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60 내지 70%의 에탄올로 90℃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제조
무격막 차아염소산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10 내지 100 ppm, 바람직하게는 30ppm의 유효 염소를 가지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고, 이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천연물 유래 추출물과 혼합하여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pH는 5.0 내지 6.5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저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1500 중량부 기준으로 2-[[1,3-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술폰산 1 중량부 및 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0.2 중량부를 첨가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15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은 1 내지 10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50 중량부, 가장 구체적으로는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내지 5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에서 다음과 같이 조성을 달리 하면서 비교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실시예 2와 비교하여 2-[[1,3-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술폰산 및 육계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비교예 1에 음나무를 더 제외하고, 비교예 3은 비교예 2에서 금은화를 더 제외하였으며, 비교예 4는 실시예 2의 조성물에서 실시예 1을 10 중량부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비교예 5는 실시예 2의 조성물에서 실시예 1을 1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및 바이러스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세포 독성 및 바이러스 억제 효과 확인을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을 위하여 RNA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A/Brisbane/59/2007, NCCP 42464) 및 DNA 바이러스인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NCCP 43109)를 고려대학교 병원성바이러스은행(KBPV)으로부터 분양 받았고, 이를 배양하기 위한 세포는 vero 세포(아프리카 녹색 원숭이 신장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5% FBS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유지 계대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에 대한 숙주세포의 세포독성은 세포 부착성 시험(cell attachment test)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양용 배지에 vero 세포 4.0Х104 cells/100 μL를 부유시켜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접종한 후, 5% CO2, 37℃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여 70-80% 단층(monolayer)을 형성시킨 다음, PBS로 1회 세척하고 배양액 100 μL와 상기 조성물 100 μL씩을 접종하였다. 이후, 2일간 세포병변효과를 현미경 관찰하여 세포가 부착 증식하여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접종용 바이러스는 75cm2의 조직배양 플라스크(Corning, USA)에서 배양하여 세포병변효과가 일어나 부착된 세포들이 떨어지면 냉동과 해동을 2번 반복한 후, 1,500Хg에서 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세포 잔해(Cell debris)는 제거하고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는 상등액을 극저온 바이알(cryogenic vial; Nalgene, USA)에 소분 후 -80℃에서 보관 사용하였다.
접종용 바이러스의 감염 역가 TCID50 (50% tissue culture infective dose)를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는 3.36Х102/mL,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3.26Х107/mL임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 시험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이 함유된 접종용 배양액 각 100 μL, TCID50의 10배량의 바이러스 100 μL를 접종하고, 2일간 배양 후 세포독성 시험 때와 반대로 조성물의 세포병변효과 억제 정도를 현미경 관찰하였다. 96-well 플레이트에 샘플 당 정상세포, 바이러스만 접종한 세포,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조성물만을 첨가한 세포를 각각 2 well씩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세포 독성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조성물을 100중량부 포함하여 제조한 비교예 5를 제외하고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 모두 상기 조건 하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이러스 억제 능력 확인 실험 결과는 바이러스를 억제하지 못함(-), 부분적으로 억제함(+), 완벽히 억제함(++)으로 구별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억제능력 ++ ++ + - +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 조성물은 바이러스를 완벽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음나무를 제외한 비교예 2는 바이러스 억제 능력이 다소 하락하였고, 금은화를 제외한 비교예 3은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현저히 효과가 하락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소량 첨가함으로써 효과의 하락이 발생하였고, 비교예 5는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나타내지만, 세포 독성 실험 결과 유일하게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인체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2. 분무 시 사용자의 관능감 평가 확인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이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일정 공간의 대기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억제를 위해 자동분사기 또는 가습기 등에 적용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의 조성물이 대기중에 분사될 때의 관능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때, 비교예 1은 천연물 유래 추출물의 함유 여부는 실시예 2와 동일하고 저장 안정성과 관련된 요소에서만 차이가 존재하므로, 비교예 1을 제외하였고, 세포 독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비교예 5 또한 제외하여 비교예 2 내지 4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대한 관능검사는 20 ~ 50대의 성인남녀 25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각 그룹별로 5명씩 나이와 성별이 골고루 분배하였고, 밀폐된 1평 공간 안에 1ml를 분사하고, 피험자가 느끼는 향 선호도, 불쾌감(염소 냄새), 어지럼증, 거북함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평점은 10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선호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각 사람당 1회 평가가 완료되면 30분간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하면서 완전히 환기를 시켰으며, 모두 3회 반복 평가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향 선호도 9.1 8.3 7.7 8.2
불쾌감(염소냄새) 9.0 7.4 7.2 8.5
어지럼증 8.9 8.3 8.1 8.5
거북함 8.7 8.0 7.8 8.2
종합 선호도 8.9 7.9 7.5 8.1
상기 표 2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음나무 추출물과 금은화 추출물이 전반적으로 향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로인한 불쾌감 및 종합 선호도 모두에서 실시예 2와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4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너무 적게 포함되는 경우 사람이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pH는 5.0 내지 6.5이고, 10 내지 50ppm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1200 내지 1800 중량부;
    2-[[1,3-디히드록시-2-(히드록시메틸)프로판-2-일]아미노]에탄술폰산 1 내지 5 중량부, 3-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산 0.01 내지 3 중량부; 및
    육계(Cinnamomum cassia) 30 중량부, 음나무(Kalopanax septemlobus) 20 중량부, 금은화(Lonicera japonica) 15 중량부, 천마(天麻) 10 중량부, 도인(桃仁) 10 중량부, 팔각(八角) 10 중량부, 봉출(蓬朮) 15 중량부, 무궁화(Hibiscus syriacus) 10 중량부,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씨앗 5 중량부 및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us) 5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60 내지 70%(v/v)의 에탄올로 90℃에서 3 내지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로써,
    상기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또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인 것인,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용 항바이러스 수분산 조성물.
  7. 제1항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8. 제1항의 항바이러스용 조성물을 이용한 소독 방법.
KR1020210059864A 2021-04-14 2021-05-10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2292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8769 2021-04-14
KR1020210048769 2021-04-14
KR1020210048982 2021-04-15
KR20210048982 2021-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707B1 true KR102292707B1 (ko) 2021-08-23

Family

ID=7749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864A KR102292707B1 (ko) 2021-04-14 2021-05-10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7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23B1 (ko) * 2021-09-24 2022-03-23 에코텍 주식회사 식물 살균 및 성장 촉진이 우수한 장기보존성 차아염소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팜
KR102448290B1 (ko) * 2021-10-05 2022-09-28 에코텍 주식회사 식물 살균 및 성장 촉진이 우수한 장기보존성 차아염소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한 방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역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28A (ko) * 2001-03-05 2002-09-12 연규동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271179B1 (ko) 2012-03-29 2013-06-04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관로 소독 시스템 및 세척 방법
KR101820488B1 (ko) 2015-07-01 2018-02-28 이동환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101925900B1 (ko) * 2018-09-20 2018-12-06 에코텍 주식회사 장기 보존성이 개선된 차아염소산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8654B1 (ko) * 2020-05-29 2020-07-28 김성재 천연물 유래 물질 및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228A (ko) * 2001-03-05 2002-09-12 연규동 엄나무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271179B1 (ko) 2012-03-29 2013-06-04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관로 소독 시스템 및 세척 방법
KR101820488B1 (ko) 2015-07-01 2018-02-28 이동환 차아염소산수 생성장치
KR101925900B1 (ko) * 2018-09-20 2018-12-06 에코텍 주식회사 장기 보존성이 개선된 차아염소산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8654B1 (ko) * 2020-05-29 2020-07-28 김성재 천연물 유래 물질 및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923B1 (ko) * 2021-09-24 2022-03-23 에코텍 주식회사 식물 살균 및 성장 촉진이 우수한 장기보존성 차아염소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팜
KR102448290B1 (ko) * 2021-10-05 2022-09-28 에코텍 주식회사 식물 살균 및 성장 촉진이 우수한 장기보존성 차아염소산수 제조 장치를 구비한 방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역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654B1 (ko) 천연물 유래 물질 및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260371B1 (ko) 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탈취 조성물
KR10212459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손소독제 조성물
KR102292707B1 (ko)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160079473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제조방법
CN104094977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Angaji et al. Antimicrobial effects of four medicinal plants on dental plaque
KR20160076816A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3514B1 (ko) 코로나 바이러스 활성 억제용 천연 조성물
KR20150029881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60079459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CN104758322A (zh) 一种具有驱虫杀菌灭毒和舒缓神经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4570A (ko) 구취제거용 조성물
KR20200064622A (ko) 박하, 오레가노, 생강 및 계피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취 및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708763A (zh) 一种含有艾叶提取物的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20200064384A (ko) 약쑥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2411576B1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1121615B1 (ko)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KR102252009B1 (ko) 비자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또는 살균용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