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712A -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712A
KR20220105712A KR1020210008185A KR20210008185A KR20220105712A KR 20220105712 A KR20220105712 A KR 20220105712A KR 1020210008185 A KR1020210008185 A KR 1020210008185A KR 20210008185 A KR20210008185 A KR 20210008185A KR 20220105712 A KR20220105712 A KR 2022010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owder
weight
eoseongcho
garde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종
최사랑
최믿음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아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아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아흐
Priority to KR102021000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712A/ko
Publication of KR2022010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및 박하로부터 추출액을 수득하여 냉각하고 농축한 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인체 및 동물에 무해하며 우수항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항균 조성물은 식품, 화장료, 세정제, 탈취제, 약학적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herbal mixture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기오염이 심해지고, 황사 등이 자주 발생되는 환경 하에서 미세먼지 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10 ㎛보다 작은 미세먼지와 25 ㎛보다 작은 초미세먼지로 나뉘고, 그 성분은 발생 지역이나 계절, 기상조건 등에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다 사람의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갈 수 있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신체에서 분비되는 땀이나, 피지 등의 오염물을 미생물 또는 세균이 섭취하여 분해할 경우, 강한 피부 자극에 의해 염증이 유발되고,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의 세균들에 의해 심한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신체의 특정부위에는 세균이 번식하기 유리한 습도 및 온도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테리아, 진균류(fungi), 병원성균, 무좀균, 곰팡이균 등 각종 미생물들이 번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 자극, 가려움증, 염증, 수포, 발진, 및 악취가 생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의류, 침구류 및 신발 등에 각종 미생물의 번식이 왕성하게 일어날 경우, 심한 악취가 발생될 수 있으며, 다수의 사람들이 단체로 함께 생활하는 군부대, 기숙사, 수련원 등과 같은 단체 생활의 환경에서는 신체에 해로운 각종 미생물에 대한 노출 빈도가 증가하여 감염 및 악취의 원인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미세먼지를 정화하고, 각종 미생물의 번식 및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항균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곰팡이균을 제거하기 위한 곰팡이 제거제, 의류나 침구류에 서식하는 각종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성 세정제, 인체에 서식하여 염증의 원인을 제공하는 세균을 박멸하기 위한 피부질환용 약제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용도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범용의 항균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574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93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1415호
본 발명은 복합 식물 추출물로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a)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및 박하로부터 각각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저온진공으로 농축하는 단계; d) 혼합탱크에 상기 농축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투입한 후 덱스트린을 첨가하는 단계; 및 e) 상기 덱스트린이 첨가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의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 e)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a) 단계는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및 박하로부터 각각의 추출액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약모밀이라고도 하며, 잎에서 비린내가 난다고 해서 어성초라고 이름 붙여졌다. 잡초와 같은 왕성한 번식력을 자랑하는 어성초는 나쁜 피, 즉 어혈을 풀어주고, 살균효과가 뛰어나 아토피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다. 잎에는 쿠에르시트린이, 꽃과 열매 이삭에는 아이소쿠에르시트린이 들어 있어,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삼(Sophora flavescens AIT)은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로 뿌리를 한약재로 사용한다. 약효성분으로는 마트린이 함유되어 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해열작용과 이뇨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건위작용이 있어, 위장염, 장염, 세균성 이질에 목향(木香)·감초와 같이 달여서 복용하면 치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자는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J.Ellis)의 열매로, 뜨거운 물에 우려내면 식용으로 사용 가능한 노란색 색소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일정량 이상을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한다. 한방에서는 해열, 지혈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애엽은 한방에서 국화과의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et Vant.), 쑥(A. princeps Pamp. var. orientlis Hara) 또는 산쑥(A. montana Pamp.)의 잎 및 어린줄기를 말린 약재를 의미하며,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고 약간 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애엽은 지혈작용, 억균작용, 기관지 평활근 이완작용, 진해거담작용, 수면작용, 자궁흥분유도작용, 과민성 쇼크 보호작용 등이 있다.
박하는 온대지방이 고향인 여러해살이풀로, 잎 표면에 있는 기름샘에 정유의 대부분을 저장하여 잎과 줄기에서 진한 향이 난다. 박하유의 주성분은 멘톨이며, 이 멘톨은 도포제(塗布劑), 진통제, 흥분제, 건위제, 구충제 등에 약용하거나 치약, 잼, 사탕, 화장품, 담배 등에 청량제 또는 향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추출액”은 각 식물 재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 사용하여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추출 시 사용된 용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식물 재료는 본 발명에서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및 박하에서 선택된 것을 의미한다.
각 식물 재료는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재배, 판매하는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또는 박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식물 재료는 가공하지 않은 날 것이거나 동결, 건조 등의 가공을 거친 상태일 수 있으며, 각 식물 재료의 꽃, 잎, 잎자루, 줄기, 뿌리, 열매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모두 사용하여 얻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액은 당 업계에 공지된 추출 방법을 제한 없이 사용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일례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열수 추출, 가압 추출, 용매 추출 등을 들 수 있으며, 효과적인 활성성분 추출을 위해 2종 이상의 추출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액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액은 증류수 또는 50 내지 70% 에탄올 용매 추출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액은 70% 에탄올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액 수득 단계는 각 식물 재료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기에 투입하여 15 ~ 45℃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5 ~ 30℃의 온도)에서 3 ~ 12시간 (바람직하게는, 8시간) 송풍에 의해 건조하고, 실온에서 5 ~ 10일간 (바람직하게는, 7 ~ 8일간) 자연상태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물을 분쇄기로 30 ~ 500 메쉬(mesh)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분쇄한 후 분쇄물과 에탄올을 0.1 ~ 10 : 10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5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 95℃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70 ~ 80℃의 온도)에서 추출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혼합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2회) 여과하고 고형분을 제외한 액상 성분만을 분리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b) 단계는 각 수득된 추출액을 냉각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수득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저온 냉각기로 냉각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액 냉각 단계는 각 식물 재료의 추출액을 -4 ~ 14℃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 ~ 10℃의 온도)에서 2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 ~ 4시간) 냉각하였다.
상기 c) 단계는 각 냉각된 추출액을 저온진공으로 농축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에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수득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온도 조절이 가능한 가압기를 이용하여 진공 상태에서 농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액 농축 단계는 각 식물 재료의 냉각된 추출액을 0.01 ~ 1.2 MPa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0.06 ~ 0.08 MPa의 압력)으로 진공을 걸어 40℃ 이상의 저온 (바람직하게는, 50 ~ 70℃의 온도)에서 4 ~ 18시간 (바람직하게는, 6 ~ 10시간) 정도 증기를 가한 후 증기탑을 통해 냉각수로 응축시켜 30 ~ 60 브릭스(brix)의 농도로 농축하였다.
상기 d) 단계는 각 식물 재료의 추출액을 혼합하고 분말화를 위해 전처리 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혼합탱크에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0.1 ~ 1 : 0.1 ~ 1 : 0.1 ~ 1 : 0.1 ~ 1 : 0.1 ~ 1의 중량비로 투입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율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항균 효과,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없거나 향, 피부 자극, 지속력, 전체적인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덱스트린은 당업계에 공지된 덱스트린의 종류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는 말토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아밀로덱스트린, 베타 덱스트린, 알파덱스트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덱스트린은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의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50%(w/v)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덱스트린은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40%(w/v), 1 내지 30%(w/v), 1 내지 20%(w/v), 또는 5 내지 15%(w/v)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추출액 혼합 단계는 혼합탱크에 각 식물 재료의 농축된 추출액을 각각 20 L씩 투입한 후 덱스트린을 전체 중량 대비 10%(w/v)로 첨가한 후 혼합하고 고속균질기를 이용하여 13,500 rpm으로 3분간 균질화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e) 단계는 5종의 식물 추출액의 혼합물을 분말화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e) 단계는 덱스트린이 첨가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의 혼합물을 분무건조기로 분말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물 분말화 단계는 혼합물을 주입 온도 150℃, 방출 온도 100℃, 분무속도 15,000 rpm, 시료 공급속도 8 ml/min의 조건으로 아토마이저(Atomizer)가 장착된 분무건조기로 건조하여 혼합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e) 단계 이후, 여기서 수득된 혼합물 분말과 수용성 규산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규산염은 규석을 1,500 ~ 1,75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제조한 규산염을 물에 녹여 규산염 용액을 만들고, 이를 감압증류하여 규산염 다공체를 제조한 후 분쇄된 규산염 분말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용성 규산염은 독성이 없고, 유해 성분을 흡착, 분해 및 중화시키고, 필수 미량원소가 함유되어 유익 미생물을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규산염은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0.1 ~ 1 중량%가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e) 단계 이후, 여기서 수득된 혼합물 분말을 자스민 분말, 민들레 분말, 곤포 분말, 모과 분말, 황기 분말 및 솔잎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자스민 분말, 민들레 분말, 곤포 분말, 모과 분말, 황기 분말 또는 솔잎 분말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제는 자스민 분말 및 솔잎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 황기 분말 또는 모과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자스민은 상록관목으로서, 항암 및 항균 효과가 있으며, 향이 좋아 신경을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며, 우울증 등의 불안 증상을 경감시키며, 방향성이 강해 향료로 사용된다.
민들레는 세균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천연 항생제 작용과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고, 피를 맑게 하는 작용과 해독 작용을 한다.
곤포는 요오드, 칼륨, 칼슘 등을 다량 함유하며 무기염류 공급원으로 좋으며,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이 혈압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모과는 기관지 질환 및 천식 등에 도움을 주고, 피로를 회복하고 면역력을 높여주는데 도움을 준다.
황기는 항산화 효능과 항염증 작용으로 외부 바이러스에 대한 대항력을 향상시키는 등 면역력을 증대시키고, 혈압강하, 이뇨작용, 강장작용 및 혈액순환을 도와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준다.
솔잎은 세균에 대한 항염작용을 하고, 가려움증과 염증을 제거하며,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완화하여 심신을 안정화시키고,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며, 불면증을 개선하고, 청량감을 더해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는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0.1 ~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가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항균 효과, 탈취 효과를 얻을 수 없거나 향, 피부 자극, 지속력, 전체적인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혼합물의 분말 99.5 중량%와 첨가제로서 자스민 분말, 민들레 분말, 곤포 분말, 모과 분말, 황기 분말 또는 솔잎 분말 0.5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고, 혼합물의 분말 99.5 중량%와 첨가제로서 자스민 분말 및 황기 분말 0.5 중량%, 또는 자스민 분말 및 모과 분말 0.5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균”은 미생물에 저항하는 능력 및 미생물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세균이나 곰팡이, 효모 등과 같은 미생물의 작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모든 기작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항균 조성물은 미생물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 효과, 탈취 효과를 달성함으로써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어성초 추출액 1 ~ 30 중량%, 고삼 추출액 1 ~ 30 중량%, 치자 추출액 1 ~ 30 중량%, 애엽 추출액 1 ~ 30 중량% 및 박하 추출액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조성물은 식품,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품 조성물"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 (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 (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 (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 (예, 스넥류), 유가공품 (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 (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 (예, 과실 및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 (예, 라면스프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기능성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나 모발의 청결, 미화 유지를 위해 사용하거나 건강을 증진하기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물품으로 포괄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추출액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 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세정제는 미생물을 비롯한 이물질을 씻어내는데 사용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일례로는 물티슈, 반려동물용 물티슈, 의류용 세제, 주방 세척제, 식품 세척제, 욕실 세척제, 가전제품 세척제, 반려동물용 세정제, 섬유용 항균제, 렌즈 세정제, 여성용 청결제 등이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된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정제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제 중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성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탈취제는 악취의 원인 물질을 흡착, 흡수, 분해, 중화하여 악취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일례로는 섬유 탈취제, 냉장고 탈취제, 가구 탈취제, 반려동물용 탈취제 등이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된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탈취제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탈취제 중 조성물의 사용량은 사용목적과 적용형태, 적용부위, 적용대상물품 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0.0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항균성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약학적 조성물은 의약품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례로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 형태의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는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위한 제재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 기제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담체,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1일 투여 용량은 0.001 ~ 1,0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 ~ 100 mg/kg/일,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 10 mg/kg/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및 박하로부터 추출액을 수득하여 냉각하고 농축한 후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인체 및 동물에 무해하며 우수항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는 항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항균 조성물은 식품, 화장료, 세정제, 탈취제, 약학적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Bacillus cereus, Campylobacter coliClostridium perfringens에 대한 살균력 테스트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Cronobacter sakazakii,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살균력 테스트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Listeria monocytogenes, Rhodococcus equi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살균력 테스트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조성물의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한 살균력 테스트의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예시적인 설명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균 조성물의 제조
식물 재료로서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및 박하를 사용하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1. 추출액 수득
먼저, 어성초를 흐르는 물에 3회 이상 세척하여 어성초에 묻어 있는 흙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한 후 건조기에 투입하여 25 ~ 30℃의 온도에서 8시간 송풍에 의해 건조하였다. 이후, 실온에서 7 ~ 8일간 자연상태에서 건조하였다. 어성초 건조물을 분쇄기로 50 ~ 300 메쉬(mesh)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분쇄하였다. 교반기에 어성초 분쇄물과 70% 에탄올을 1 ~ 5 :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70 ~ 80℃의 온도에서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혼합액은 여과지를 이용하여 2회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외한 액상 성분만을 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1-2. 추출액 냉각 및 농축
상기 1-1에서 수득된 각 추출액을 저온 냉각기에 투입하여 1 ~ 10℃의 온도에서 2 ~ 4시간 냉각하였다.
이후, 각각의 냉각된 추출액을 0.06 ~ 0.08 MPa의 압력으로 진공을 걸어 50 ~ 70℃의 온도에서 6 ~ 10시간 정도 증기를 가한 후 증기탑을 통해 냉각수로 응축시켜 30 ~ 60 브릭스(brix)의 농도로 농축하였다.
1-3. 추출액 분말화
혼합탱크에 상기 1-2에서 농축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각각 20 L씩 투입한 후 덱스트린을 전체 중량 대비 10%(w/v)로 첨가한 후 혼합하고 고속균질기를 이용하여 13,500 rpm으로 3분간 균질화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주입 온도 150℃, 방출 온도 100℃, 분무속도 15,000 rpm, 시료 공급속도 8 ml/min의 조건으로 아토마이저(Atomizer)가 장착된 분무건조기로 건조하여 혼합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11. 항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혼합물의 분말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첨가제의 종류 및 복합 식물 추출물의 분말과 첨가제의 사용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전체 100 중량%
혼합물의 분말
(실시예 1)
첨가제
실시예 2 99.5 중량% 자스민 분말 0.5 중량%
실시예 3 99.5 중량% 민들레 분말 5 중량%
실시예 4 99.5 중량% 곤포 분말 5 중량%
실시예 5 99.5 중량% 모과 분말 5 중량%
실시예 6 99.5 중량% 황기 분말 5 중량%
실시예 7 99.5 중량% 솔잎 분말 5 중량%
실시예 8 99.5 중량% 자스민 분말 0.25 중량%, 황기 분말 0.25 중량%
실시예 9 99.5 중량% 자스민 분말 0.25 중량%, 모과 분말 0.25 중량%
실시예 10 99.5 중량% 솔잎 분말 0.25 중량%, 황기 분말 0.25 중량%
실시예 11 99.5 중량% 솔잎 분말 0.25 중량%, 모과 분말 0.25 중량%
제조예 1 ~ 11. 액상 항균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 11에서 제조된 항균 조성물을 액상 형태의 항균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먼저, 혼합탱크에 에탄올 1 L를 투입한 후 실시예 1의 항균 조성물 100 mL를 첨가하여 교반기로 75℃의 온도에서 3시간 혼합한 후 97℃ 이상의 온도로 15분 가열하여 살균처리하고, 실온에서 냉각하여 액상 형태의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항균 조성물을 분사장치의 저장 용기에 넣어 사용하였다 (제조예 1).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2 ~ 11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상 형태의 항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11).
비교예 1. 항균 조성물
실시예 1의 어성초 추출액을 분사장치의 저장 용기에 넣어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항균 조성물
실시예 1의 고삼 추출액을 분사장치의 저장 용기에 넣어 사용하였다.
비교예 3. 항균 조성물
실시예 1의 치자 추출액을 분사장치의 저장 용기에 넣어 사용하였다.
비교예 4. 항균 조성물
실시예 1의 애엽 추출액을 분사장치의 저장 용기에 넣어 사용하였다.
비교예 5. 항균 조성물
실시예 1의 박하 추출액을 분사장치의 저장 용기에 넣어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관능 평가
제조예 1 ~ 11 및 비교예 1 ~ 5의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관능 평가는 각 항균 조성물을 침구류에 10분 단위로 3회 분사한 후 30분 후에 평가를 실시하였고, 20대 ~ 60대의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점수 및 평가 기준은 5점 만점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향 선호도 자극도 상쾌함 지속력 전체적인 기호도
제조예 1 4.5 4.5 4.6 4.7 4.5
제조예 2 4.6 4.6 4.7 4.7 4.7
제조예 3 4.5 4.6 4.8 4.8 4.8
제조예 4 4.5 4.7 4.5 4.7 4.6
제조예 5 4.5 4.6 4.8 4.8 4.8
제조예 6 4.4 4.5 4.6 4.6 4.5
제조예 7 4.6 4.6 4.8 4.7 4.8
제조예 8 4.6 4.6 4.6 4.6 4.6
제조예 9 4.6 4.7 4.6 4.7 4.7
제조예 10 4.7 4.6 4.7 4.7 4.7
제조예 11 4.8 4.7 4.9 4.7 4.8
비교예 1 3.8 4.6 4.0 4.0 4.0
비교예 2 4.2 4.5 4.1 4.2 4.3
비교예 3 4.3 4.5 4.2 4.3 4.3
비교예 4 4.2 4.6 4.2 4.2 4.4
비교예 5 4.6 4.5 4.6 4.3 4.6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조성물 (제조예 1 ~ 11)은 각 식물의 단독 추출액 (비교예 1 ~ 5)에 비해 향 선호도, 자극도, 상쾌함, 지속력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첨가제로 자스민, 민들레, 모과 또는 솔잎 분말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제조예 2, 3, 5, 7)은 상대적으로 상쾌함 및 지속력이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솔잎 분말과 모과 분말을 모두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제조예 11)은 향 선호도가 좋으며, 상쾌함 및 지속력이 강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라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및 박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피부 저자극 테스트
2020년 11월 9일 ~ 13일 동안 제조예 1의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저자극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피시험 지원자는 피부과 의사인 시험책임자와 연구원의 병력조사, 문진 및 시진과 필요한 경우 촉진 등을 통해 피시험자의 선정 및 제외기준에 적합한 건강한 성인 남녀 31명이 완료하였으며 연령분포는 만 20세에서 29세 사이, 평균연령은 23.0±2.4세, 성별은 남자와 여자 각각 11명과 22명이었다. 대조군으로는 2% SLS(sodium lauryl sulfate)를 사용하였다.
시험을 완전히 종료한 피시험자 31명을 대상으로 단회첩포시험(single patch test) 후 평가기준 (하기 표 3 참조)에 의거한 피부자극도의 판독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피부자극 반응의 결과를 통해 자극도를 평가할 때 인체피부반응에서 적용되는 세계적인 공통기준은 정해진 바 없으나, 통상 50명 이하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험에서는 단회첩포시험의 판독 시 총 자원자의 20%를 초과하는 빈도로 반응이 출현하는 시료 (본 시험의 경우 31명의 20%를 초과하는 7명 이상) 혹은 매회 판독 시 +2 이상 자극반응이 총 자원자의 10% 초과하여 관찰된 시료 (본 시험의 경우 자극도 총합을 7점 기준으로 볼 때, 피부자극지수 1.882 이상 초과)를 유의한 수준에서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볼 수 있다.
자극지수 피부증상 혹은 징후의 형태
? 0.5 인지가능수준 미약홍반 doubtful visible erythema
+ 1 약한 홍반 Slight erythema, either spotty or diffuse
++ 2 매우 뚜렷한 홍반 Moderate uniform erythema
+++ 3 부종을 동반한 홍반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4 소수포까지 동반한 홍반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vesicles
- (negative) 음성 반응
IR (irritant reaction) 기타 여러 형태의 자극반응 (접착자극을 포함)
NT (not tested) 자극반응의 발생 혹은 여타 이유에 의해 검사중단
반응자 수
(피부반응양성빈도 %*)
피부자극반응강도의 합 피부자극지수**
1차 2차 3차 0.134
실시예 1 1(3.2) 0.5 0 0 0.134
대조군
(2%SLS)
10(32.3) 1.0 4.5 2.5 2.151
*: (반응발생한 시험자 / 총 시험자수) x 100
**: (∑매 팜독시 관찰값의 합 x 100) / (최대평점 4 x 전체 참여자원자의 수 x 3회 판독차수)
실험 결과, 시험시료 2종을 대상으로 피부자극도를 살펴보았을 때 유의한 수준의 피부자극지수를 보인 시료는 하나도 없었다.
본 연구에 응용된 단회첩포시험은 연구자의 취향이나 시험물질의 특성에 따라 24시간 혹은 48시간 첩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본 임상시험은 48시간 첩포와 이후 3차에 걸친 판독과정으로 자극반응을 평가하였다. 이는 24시간 첩포 후 2차에 걸쳐 하는 평가방법에 비해 시료와 피부의 접촉시간을 연장시키고 반응의 강도 추이를 반복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높은 반응 정도를 보일 수 있지만, 한차례만으로 수행되는 단회첩포시험의 결과가 갖는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화장품처럼 피부에 대한 자극가능성이 낮은 물질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24시간 보다는 48시간 첩포시험을 통해 사소한 피부반응이라도 쉽게 간과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험예 3. 살균력 테스트
제조예 1의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살균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표준균주로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양받은 Campylobacter coli (ATTC 33559)와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 받은 Salmonella enteritidis (NCCP 14546), Escherichia coli O157:H7 (NCCP 15739)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 받은 Bacillus cereus (KCCM 11204), Clostridium perfringens (KCCM 40947), Cronobacter sakazakii (KCCM 42932), Escherichia coli (KCCM 40403), Listeria monocytogenes (KCCM 40307), Rhodococcus equi (KCCM 41048), Staphylococcus aureus (KCCM 12256), Vibrio parahaemolyticus (KCCM 41664), Yersinia enterocolitica (KCCM 41657)를 사용하였다.
PCA(Plate Count Agar) (BD) 배지는 18.8 g을 1,000 mL 멸균병에 취하여 증류수 800 mL를 가하여 흔들어 섞은 후 고압멸균기에 121℃,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멸균생리식염수는 염화나트륨 (SAMCHUN chemicals, GR 등급) 8.5 g을 증류수 1,000 mL에 취하여 혼합한 뒤 시험관에 10 mL을 분주하여 고압멸균기에 121℃,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표준균주 용액은 분양받은 표준균주로부터 계대 배양된 용액 100 ㎕를 10 mL의 멸균생리식염수에 희석한 것을 표준균주 용액으로 하였다.
살균력을 측정하기 위해, 표준균주 용액에서 100 ㎕를 취하여 9 mL의 멸균생리식염수에 넣어 단계별로 희석하여 균질화 시킨 후 균 용액 1 mL와 제조예 1의 항균 조성물 1 mL를 섞어 페트리디쉬에 분주하여 PCA 배지를 약 15 mL 무균적으로 첨가하여 잘 혼합 후 냉각시켰다. 배지가 완전히 응고된 후 거꾸로 놓아 저온배양기(Low Temperature Incubator) (VS-3250Bi, S/N A020501RG0006)에서 35±1℃, 48±2시간 배양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 균주 대조군 (CFU) 제조예 1 (CFU) 감소율 (%)
Bacillus cereus 30,000 0 99.9 이상
Campylobacter coli 1,200,000 0 99.9 이상
Clostridium perfringens 1,400,000 0 99.9 이상
Cronobacter sakazakii 4,000,000 0 99.9 이상
Escherichia coli 2,000,000 0 99.9 이상
Escherichia coli O157:H7 50,000 0 99.9 이상
Listeria monocytogenes 2,400,000 0 99.9 이상
Rhodococcus equi 8,000 0 99.9 이상
Staphylococcus aureus 1,000,000 0 99.9 이상
Vibrio parahaemolyticus 8,000,000 0 99.9 이상
Yersinia enterocolitica 1,500,000 0 99.9 이상
Salmonella enteritidis 4,100,000 0 99.9 이상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조성물 (제조예 1)은 실험 대상 균주 모두 증식되지 않아, 세균 및 병원성 유해균에 대해 99.9% 이상의 살균력 또는 항균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탈취능 테스트
제조예 1의 항균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실 냄새, 땀 냄새, 음식 냄새, 등의 악취 성분이 강한 가스인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에 대한 탈취능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의 탈취율 (%)
암모니아 99.6 초과
아세트산 99.7 초과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항균 조성물 (제조예 1)은 각각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에 혼합하고 30분 경과 후, 30분 후의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에 대하여 각각 99.6% 초과 및 99.7% 초과의 저해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a) 어성초, 고삼, 치자, 애엽 및 박하로부터 각각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b) 상기 수득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냉각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저온진공으로 농축하는 단계;
    d) 혼합탱크에 상기 농축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투입한 후 덱스트린을 첨가하는 단계; 및
    e) 상기 덱스트린이 첨가된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의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추출액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인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혼합탱크에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을 0.1 ~ 1 : 0.1 ~ 1 : 0.1 ~ 1 : 0.1 ~ 1 : 0.1 ~ 1의 중량비로 투입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덱스트린은 어성초 추출액, 고삼 추출액, 치자 추출액, 애엽 추출액 및 박하 추출액의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50%(w/v)로 첨가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 분말과 수용성 규산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상기 e)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 분말을 자스민 분말, 민들레 분말, 곤포 분말, 모과 분말, 황기 분말 및 솔잎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와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균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기준으로, 어성초 추출액 1 ~ 30 중량%, 고삼 추출액 1 ~ 30 중량%, 치자 추출액 1 ~ 30 중량%, 애엽 추출액 1 ~ 30 중량% 및 박하 추출액 1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항균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세정제, 탈취제 또는 약학적 조성물인 것인 항균 조성물.
KR1020210008185A 2021-01-20 2021-01-20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 KR20220105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85A KR20220105712A (ko) 2021-01-20 2021-01-20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185A KR20220105712A (ko) 2021-01-20 2021-01-20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12A true KR20220105712A (ko) 2022-07-28

Family

ID=8260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185A KR20220105712A (ko) 2021-01-20 2021-01-20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57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820B1 (ko) * 2022-09-01 2023-03-23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생활용품 폐기물에서 발생한 플라스틱 스크랩을 재활용한 건축용 시트 제조
CN117534948A (zh) * 2023-11-22 2024-02-09 东莞市森宏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弹性环保轻质舒适发泡鞋底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740A (ko) 2010-09-08 2012-03-16 마수희 항균용 천연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액
KR101161415B1 (ko) 2011-10-26 2012-07-02 주식회사 패시픽사이언스 천연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항생물성 조성물
KR101439385B1 (ko) 2014-03-04 2014-09-12 김태성 탈취 및 살균력이 우수한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천연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740A (ko) 2010-09-08 2012-03-16 마수희 항균용 천연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액
KR101161415B1 (ko) 2011-10-26 2012-07-02 주식회사 패시픽사이언스 천연 허브추출물을 이용한 항생물성 조성물
KR101439385B1 (ko) 2014-03-04 2014-09-12 김태성 탈취 및 살균력이 우수한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된 천연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820B1 (ko) * 2022-09-01 2023-03-23 주식회사 유진유포리아 생활용품 폐기물에서 발생한 플라스틱 스크랩을 재활용한 건축용 시트 제조
CN117534948A (zh) * 2023-11-22 2024-02-09 东莞市森宏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弹性环保轻质舒适发泡鞋底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30792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polis-Extraktes, das einenm Anionenaustauschschritt umfasst
JP3966924B2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101897359B1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CN103451032B (zh) 安全环保茶籽洗洁粉及其制备方法
KR20120107557A (ko) 엽록소가 함유된 미강의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651530B1 (ko)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101824687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60358B1 (ko) 유산균 발효 허브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81371B1 (ko) 유자씨 오일 및 유자 과즙을 포함하는 항균용 에멀젼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05712A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
KR20170121653A (ko)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 한방약재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소금의 용도
KR102292707B1 (ko)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włowska et al. Properties and use of rosemary (L.)
KR101349101B1 (ko)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1246417A (ja) 美肌用石鹸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1406588B2 (en) Method for eliminating odors comprising a deodorant composition containing Opuntia ficus extract or persimmon juice
KR101817318B1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