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101B1 -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101B1
KR101349101B1 KR1020120063741A KR20120063741A KR101349101B1 KR 101349101 B1 KR101349101 B1 KR 101349101B1 KR 1020120063741 A KR1020120063741 A KR 1020120063741A KR 20120063741 A KR20120063741 A KR 20120063741A KR 101349101 B1 KR101349101 B1 KR 10134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hours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0390A (ko
Inventor
김동찬
Original Assignee
김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찬 filed Critical 김동찬
Priority to KR102012006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101B1/ko
Publication of KR2013014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4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hawthorn,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8Zingiberaceae [Ginger family], e.g.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및 진균에 대해 살균활성 및 항진균 작용을 갖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인삼 추출물 95~100중량부, 마늘 추출물 95~100중량부, 백과 추출물 190~200중량부, 오미자 추출물 48~50중량부 및 산초 추출물 48~5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Natural germicide compositio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 natural germicide}
본 발명은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및 진균에 대해 살균활성 및 항진균 작용을 갖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플루엔자, 조류 인플루엔자, 신종 인플루엔자, 구제역 등의 바이러스와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폐렴균, 디프테리아균, 파상풍균, 탄저균, 방선균 등의 그람양성균 및 살모넬라균, 이질균, 티푸스균, 대장균, 콜레라균 등의 그람음성균은 호흡기나 결막 또는 피부접촉을 통해 인체에 감염되어 폐렴,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결막염, 식중독, 콜레라, 전신 장기의 기능 이상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만성질환자 등의 고위험군에 감염 및 전염 시 치명적으로 작용하여 이환율 및 사망률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바이러스 및 세균 등에 의한 각종 질병 발생률이 증가하면서 개인 위생 및 식품에 대한 위생관념이 중요하게 부각되어 다양한 용도의 살균제 및 소독제가 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에탄올, 알콜 화합물이나 글루타르알데히드 화합물, 염소계, 포르말린 등의 합성화학 물질로 이루어져 독성이 높고 내성이 일어나 인체에 유해한 부작용과 2차적인 환경오염 등의 위험성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과 같이 농작물이나 관상식물 등에 발생하는 곰팡이병은 농작물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식물병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곰팡이병의 병원균을 방제하기 위해 합성 살균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합성 살균제의 경우 오남용으로 인한 환경오염, 저항성균의 발생, 잔류 독성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에서 유래하여 각종 병원체의 사멸률을 높임은 물론 독성이 거의 없으면서도 환경에 노출 시 잘 분해되어 인체나 가축 및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천연살균제 및 방충제의 개발을 갈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9544호(2011.03.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147호(2012.05.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5893호(2011.12.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029호(2011.03.0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5851호(2012.05.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2009호(2012.05.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0720호(2011.07.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7841호(2011.06.2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1879호(2010.05.3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7282호(2010.03.0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0690호(2012.03.2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8304호(2011.12.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6306호(2009.09.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9491호(2011.10.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0785호(2008.09.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02378호(2009.09.3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7591호(2009.06.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3717호(2008.08.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1847호(2008.02.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1585호(2007.03.2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살균성, 항균성 및 소취성이 우수한 천연물질을 선별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킴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아울러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강력한 살균력을 발휘하여 살균제, 항균제, 항진균제, 소독제, 방충제 따위의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다년간 연구하여 오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이며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는, 인삼 추출물 95~100중량부, 마늘 추출물 95~100중량부, 백과 추출물 190~200중량부, 오미자 추출물 48~50중량부 및 산초 추출물 48~5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살균 및 항진 효과가 월등하여 다양한 용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쑥 추출물 48~50중량부, 포공영 추출물 48~50중량부, 생강 추출물 48~50중량부, 호초 추출물 48~50중량부, 산수유 추출물 48~50중량부, 매실 추출물 48~50중량부 및 석류 추출물 48~50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추출물들은 당해 물질을 달여서 추출하는 증류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는, (A) 인삼 95~100중량부, 마늘 95~100중량부, 백과 190~200중량부, 오미자 48~50중량부, 산초 48~50중량부를 34~36℃에서 70~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50~60℃에서 46~5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에틸알코올 1000중량부와 혼합하여 75~80℃에서 22~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100℃에서 120~150분 동안 달이는 단계 (E) 상기 (D)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100℃에서 7~8시간 동안 더 달이면서 그 증류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는, (A) 인삼 95~100중량부, 마늘 95~100중량부, 백과 190~200중량부, 오미자 48~50중량부, 산초 48~50중량부를 34~36℃에서 70~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50~60℃에서 46~5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에틸알코올 1000중량부와 혼합하여 75~80℃에서 22~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100℃에서 120~150분 동안 달이는 단계 (E) 상기 (D) 단계를 거쳐 달여진 혼합물을 여과 및 30~60℃에서 감압농축하여 달인액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A) 단계에서 쑥 48~50중량부, 포공영 48~50중량부, 생강 48~50중량부, 호초 48~50중량부, 산수유 48~50중량부, 매실 48~50중량부 및 석류 48~50중량부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및 진균에 대해 탁월한 살균활성 및 항진균 작용을 가지므로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강력한 살균력을 발휘하여 살균제, 항균제, 항진균제, 소독제, 방충제 등의 광범위한 용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물질을 원료로 하므로 유해 독성이 없고 환경에 노출 시 잘 분해되어 환경친화적이며 인체나 가축 및 농작물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시험결과를 나타낸 시험성적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시험결과를 나타낸 시험성적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시험결과를 나타낸 시험성적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크게 인삼, 마늘, 백과, 오미자 및 산초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특정 비율로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중추신경조정 외에 매우 다양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b2의 표피세포증식에 의한 상처 치유력(Arch. Pharm. Res. 2002 Feb;25(1):71-6), 인삼 추출물 및 유도체의 암 예방효과(J. Korean Med. Sci. 2001 Dec;16 Suppl:S19-27), 과도한 근육 경련에 따른 상처 및 염증의 완화효과(Comp. Biochem. Physiol. C Toxicol. Pharmacol. 2001 Nov;130(3):369-77), 인삼추출물의 세포 성장촉진효과(미국특허 제5,318,906호), 인삼수용액의 세포 증식과 세포 자살(apoptosis)에 대한 영향(Kin SH, In Vivo 1998 Mar-Apr;12(2):219-22), 그리고 인삼의 항염증효과(Planta. Med.1990,56(1),19-23)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인삼에서 활성을 가지는 성분으로 진세노사이드, 다당체, 펩타이드, 폴리아세틸, 플라보노이드, 지방산 등이 있다. 특히 진세노사이드는 항암작용과 면역기능에 대하여 많은 생리활성을 가지는 항산화 기능이 있다(Wu, Gardner, Murphy, Seals, Kensil, Recchia, Beltz, Newman, & Newman,1992; Ryu, Oak & Kim, 2000; Shibata, 2001).
또한, 진세노사이드와 폴리아세틸(파나사콜, 파나시돌, 파나시트리올 등)은 그람 양성과 그람 음성 식중독균 모두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Sung & Lee, 2008). 인삼에서 분리된 산성다당체는 Staphylococcus aureus를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Benny & Vanitha, 2004).
마늘은 캡사이신, 알리신, 유기유황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항균, 항바이러스, 항진 기능이 있고, 마늘 추출물의 항균력은 여타 항균제와 대비하여 크게 떨어지지 않으며, 알리신(allicin)의 강력한 살균 및 항균 작용으로 각종 식중독균, 이질균, 장티푸스균 등 각종 세균을 살균하고 소독하며, 독특한 약리작용을 감안할 때 항생제와는 달리 미생물이 내성을 가지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또한, 마늘 추출액 속에서는 콜레라균, 비브리오균, 포도상구균이 성장하지 못하며 곰팡이도 자라지 못한다. 아울러 장티푸스균은 5분 만에 사멸하고 페니실린, 테라마이신과 같은 항생제보다 강한 살균력이 있다.
백과(白果)는 은행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innaeus) 열매의 속씨로써 주요성분으로는 단백질, 지방, 전분, Ginnol, Ginkgolic acid, Hydroginkgolinic acid 등이 있다. 백과에는 간놀, 펙틴, 히스티딘,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폐결핵 환자나 천식 환자가 오래 먹으면 기침이 없어지고 가래가 적게 나온다. 이 같은 효과는 백과가 호흡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염증을 소멸하며 결핵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백과의 특이한 작용 가운데 하나는 레시틴과 비타민 B의 모체가 되는 엘고스테린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성욕감퇴·뇌빈혈·신경쇠약·전신피로 등에 뇌혈관을 개선해 주는 효능이 있다.
산초(山椒)는 운향과의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 또는 동속 식물의 과피로써 소화불량, 식체, 위하수, 위확장, 구토, 이질, 설사, 신경쇠약, 기침, 회충 구제 등에 효능이 있고, 복부의 찬 기운으로 인한 복통, 설사와 치통, 천식, 요통에 효능이 있으며, 또 살충작용이 있어 옴, 버짐, 음부 가려움증, 음낭습진 등에도 사용하며, 약리작용으로 국부마취작용, 장관연동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오미자(五味子)는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를 말린 약재로써 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땀을 거두며 진액을 생성시켜 소갈증에 유효하다. 약리작용으로 대뇌피질 흥분작용, 혈압 강하작용, 거담, 진해 작용, 호흡 흥분 작용, 강심작용, 당대사 촉진과 당분해 작용, 세포 면역 기능 증강작용, 자궁 흥분 작용, 담즙 분비 촉진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 억균 작용이 보고되었다.
쑥은 치네올, 콜린, 아데닌, 모노기닌, 유칼리프톨, 아르테미신 등의 약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치네올(chneol)은 천연유기화합물이며 만성 폐색성 폐질환과 천식치료에 이용되는 물질로서 혼탁한 공기로 인한 호흡기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항염 작용으로 살균효과가 있으며, 면역력을 향상시킨다.
콜린(choline)은 비타민B 복합체의 하나로 지방간(脂肪肝)을 막아주는 효능이 있다.
아데닌(Adenine)은 염기성을 갖고 있으며, 핵산ADP, FMN, NAD, NADP, COA등이 생체 내에 반응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면역성을 갖게 된다.
모노기닌(Monoginine)은 해독, 지혈효과가 있다.
그 밖에 유칼리프폴(Eucalyptol)은 특이한 향과 청량한 맛을 내며, 아르테미신(artemisine)은 말라리아균 등을 사멸시키는 항균력이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인체나 동물체의 강한 청혈(淸血), 해독(解毒), 항균, 강장, 강정, 소염, 진통,면역, 이뇨, 지혈, 식욕증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유칼리프폴의 향기는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대장균, 디프테리아균, 말라리아균 등을 사멸하거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포공영은 Taraxacum platycarpum, Taraxacum mongolicum, Taraxacum sinicum, Taraxacum coreanum의 뿌리 달린 전초로 열(熱)을 내리고 해독하며 염증효소의 활동을 억제하고 울결(鬱結)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어 급성 유선염, 림프절염, 나력, 급성결막염, 감기 발열, 급성 편도염 등을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은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신진대사 기능의 항진,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호초(후추나무의 성숙하기 전의 열매를 건조시킨 것)는 주요성분으로 피페린(piperine)이 5∼5.5% 들어 있고, 차비신(chavicine)이 6% 내외, 정유가 1∼2.5% 들어 있으며, 소화를 촉진시키고 비위(脾胃)가 허약해서 일어난 소화불량, 음식부진, 설사 등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수유는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타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糖) 및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두통·이명(耳鳴)·해수병, 해열·월경과다 등에 약재로 쓰이며 지한(止汗), 보음(補陰) 등의 효과가 있다.
매실(梅實)은 무기질·비타민·유기산(시트르산·사과산·호박산·주석산, 카테킨산)이 풍부하고 칼슘·인·칼륨 등의 무기질과 카로틴도 들어 있다. 그 중 시트르산은 당질의 대사를 촉진하고 피로를 풀어주며, 유기산은 위장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식욕을 돋구는 작용을 하며, 카테킨산은 장 속의 유해 세균 번식을 억제한다.
또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피로회복에 좋고 체질개선 효과가 있다. 특히 해독작용이 뛰어나 배탈이나 식중독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신맛은 위액을 분비하고 소화기관을 정상화하여 소화불량과 위장 장애를 없애 준다. 변비와 피부미용에도 좋고 산도가 높아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 최근에는 항암식품으로도 알려졌다.
석류(石榴)는 에스트로겐이 풍부해서 여러 가지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석류의 씨 속에는 각종 폴리페놀과 지방산(punic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석류열매에는 폴리페놀과 안토시안이 많이 들어 있어서 항산화기능 및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준다.
열매와 껍질 모두 고혈압·동맥경화 예방에 좋으며, 부인병·부스럼에 효과가 있다. 특히 이질이 걸렸을 때 약효가 뛰어나고, 휘발성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어 기생충, 촌충 구제약으로 사용한다.
아출(莪朮)은 Curcuma phaeocaulis, Curcuma kwangsiensis, Curcuma wenyujin, Curcuma zedoaria의 덩이뿌리로, 파혈(破血)하고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기(氣)의 순환을 돕고 지통(止痛)하는 효능이 있고, 항균작용 및 암세포를 억제 및 파괴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창출(蒼朮)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 et. KITAGAWA)와 남창출(A. lancea DC.), 북창출(A. chinensis KOIDZ.)의 뿌리줄기로 만든 약재로, 약효성분은 정유가 5~9% 들어 있고, 주성분은 아트락티롤(Atractylol), 히네솔(Hinesol), 베타유데스몰(β-Eudesmol) 등이 들어 있으며, 발한, 이뇨, 진통, 건위 등에 효능이 있어 식욕부진, 소화불량, 위장염, 감기 등에 사용하며, 병원균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으면서 내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1> 증류식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
다음과 같은 제조 과정 중 특정한 온도 및 시간 등의 조건하에서 각각 특수한 성분과 효능을 가진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1) 발효
깨끗하게 세척하여 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 또는 선별하는 과정을 거친 인삼 100중량부와 마늘 100중량부, 백과 200중량부, 오미자 50중량부, 산초 50중량부 및 쑥 50중량부를 채반에 담아 발효기에 넣고 3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2) 건조
발효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건조기에 넣고 60℃에서 48시간 동안 송풍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3) 숙성
건조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에틸알코올 1000㎖와 혼합한 후 숙성기에 넣고 8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4) 가열
숙성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약탕기에 넣고 100℃에서 120분 동안 달였다.
5) 증류액 추출
달여진 혼합물을 100℃에서 8시간 동안 더 달이고, 이때 발생하는 증류액을 추출하여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 예2> 농축식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
다음과 같은 제조 과정 중 특정한 온도 및 시간 등의 조건하에서 각각 특수한 성분과 효능을 가진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1) 발효
깨끗하게 세척하여 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 또는 선별하는 과정을 거친 인삼 95중량부와 마늘 95중량부와 백과 190중량부와 오미자 48중량부와 산초 48중량부를 채반에 담아 발효기에 넣고 35℃에서 72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2) 건조
발효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건조기에 넣고 60℃에서 48시간 동안 송풍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3) 숙성
건조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에틸알코올 1000㎖와 혼합한 후 숙성기에 넣고 75℃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4) 가열
발효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약탕기에 넣고 100℃에서 120분 동안 달였다.
5) 농축액 추출
달여진 혼합물을 깔대기에 여과지(또는 필터)를 넣고 통과시켜는 정제 및 여과 과정을 통해 찌꺼기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감압농축기에 넣고 30~60℃에서 원래 부피의 1/10로 농축하여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 예3> 증류식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
다음과 같은 제조 과정 중 특정한 온도 및 시간 등의 조건하에서 각각 특수한 성분과 효능을 가진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1) 발효
깨끗하게 세척하여 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 또는 선별하는 과정을 거친 인삼 100중량부와 마늘 100중량부와 백과 200중량부와 오미자 50중량부와 산초 50중량부를 채반에 담아 발효기에 넣고 35℃에서 72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2) 건조
발효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건조기에 넣고 60℃에서 48시간 동안 송풍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3) 숙성
건조 단계를 거친 각 구성물질을 에틸알코올 1000㎖와 혼합한 후 숙성기에 넣고 80℃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4) 가열
발효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약탕기에 넣고 100℃에서 120분 동안 달였다.
5) 증류액 추출
달여진 혼합물을 100℃에서 8시간 동안 더 달이고, 이때 발생하는 증류액을 추출하여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얻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득한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인체나 동물, 환경 등에 독성이 없어서 미생물 감염이 의심되는 물체의 표면이나 인체의 피부 혹은 농작물에 살포할 경우 각종 유해성 병원균을 살균 및 방제하는 살균제, 소독제, 항균제, 방충제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제로서의 기능성을 효과적이면서 안정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세균 또는 진균을 억제하여 세균 감염을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용 농약을 대체할 수 있고, 가축의 장내 병원균을 억제하여 폐사율을 줄이고 증체율을 높일 수 있으며, 분뇨의 분해 시 각종 유해 가스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축사 내의 사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비교 예1> 증류식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각 구성물질의 성분비를 인삼 80중량부와 마늘 80중량부와 백과 100중량부와 오미자 30중량부와 산초 30중량부 및 쑥 30중량부로 조정하였다.
<비교 예2> 농축식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 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각 구성물질의 성분비를 인삼 110중량부와 마늘 110중량부와 백과 220중량부와 오미자 60중량부와 산초 60중량부로 조정하였다.
<시험 예1> 실시 예1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효력 시험
실시 예1에 의해 제조된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살균 및 항진균 효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그람 양성균인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 - Resistant Staphyllococcus Aureus : MRSA) ATCC 33591, (S. mutans) ATCC 27351, 무좀균인 적색 백선균(Trichophyton rubrum) KCTC 6345, 비듬균인 말라세지아균(Pityrosporum ovale) ATCC 12078을 이용한 시험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1) 살균력 시험 방법
MRSAS. mutans균을 액체배지에 배양시킨 후 배양된 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05~106 CFU/mL이 되도록 조정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용액(실시 예1에 의해 얻은 천연살균제 조성물) 20mL에 시험균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하였을 때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에 대한 살균감소율을 알아보았다. 생리식염수를 대조로 하여 세균수를 측정한 것을 초기 세균수로 표시하였다.
다만, 최초 희석 단계에서는 D/E Neutralizing Broth(DIFCO)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 미만 (<10)』으로 표시하였다.
모든 단계에서의 세균수 측정은 TSA(2.2항 참고)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살균감소율(%)은 {(A-B)/A}×100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여기서, A는 초기 세균수이고, B는 일정시간 후 세균수이다.
2) 항진균력 시험 방법(Halo test)
Trichophyton rubrum
사면배지(Sabouraud Dextrose Agar)에 저장 중인 Trichophyton rubrum균으로부터 포자현탁액(Spore solution)을 만든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준비된 평판배지(Sabouraud Dextrose Agar)에 포자현탁액 200μL를 rod culture하고, 멸균된 disc(Φ 6.0.mm)에 시험용액 20μL를 처리한 후, disc를 배지 중앙에 놓은 후, 25±1℃에서 10일 동안 배양한 후 저지대(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Pityrosporum ovale
미리 준비된 평판배지에 Pityrosporum ovale균을 접종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증균시켜 시험에 사용하였다. 잘 자란 Pityrosporum ovale균을 멸균 생리식염수에 부유시켜 108 CFU/mL농도의 균 현탁액을 준비하고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준비된 배지에 고르게 접종하고, 멸균된 disc(Φ 6.0.mm)에 시험용액 20μL를 처리한 후, disc를 배지 중앙에 놓은 후, 35±1℃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저지대(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성장저지대(W)는 (T-D)/2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여기서, W는 저지대의 폭(mm), T는 시험용액과 저지대의 전체 지름(mm), D는 시험용액 및 disc의 지름(mm)이다.
3) 시험 결과
이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1 및 표 2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살균시험>
시험 균주 초기 48시간 후 살균감소율
MRSA 6.5×105 < 10 99.9% 이상
S. mutans 2.7×105 < 10 99.9% 이상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MRSA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6.5×105 CFU/mL]에서 48시간 후 [< 10(10 미만) CFU/mL]로 감소하였다.
또한, S. mutans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2.7×105 CFU/mL]에서 48시간 후 [< 10(10 미만) CFU/mL]로 감소하였다.
<항진균시험>
시험 균주 전체 지름(T) 시료 및 Disc 의 지름(D) 저지대의 폭(W)
Trichophyton rubrum 6.0 6.0 0
Pityrosporum ovale 6.0 6.0 0
상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T. rubrum P. ovale에 대하여 저지대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시험 예2> 실시 예2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효력 시험
실시 예2에 의해 제조된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살균 및 항진균 효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그람 양성균인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 - Resistant Staphyllococcus Aureus : MRSA) ATCC 33591, (S. mutans) ATCC 27351, 무좀균인 적색 백선균(Trichophyton rubrum) KCTC 6345, 비듬균인 말라세지아균(Pityrosporum ovale) ATCC 12078을 이용한 시험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여기서, 살균력 시험 및 항진균력 시험(Halo test)은 상술한 시험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3 및 표 4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살균시험>
시험 균주 초기 48시간 후 살균감소율
MRSA 6.5×105 2.2×105 66.2%
S. mutans 2.7×105 < 10 99.9% 이상
상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MRSA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6.5×105 CFU/mL]에서 48시간 후 [2.2×105 CFU/mL]로 감소하였다.
또한, S. mutans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2.7×105 CFU/mL]에서 48시간 후 [< 10(10 미만) CFU/mL]로 감소하였다.
<항진균시험>
시험 균주 전체 지름(T) 시료 및 Disc 의 지름(D) 저지대의 폭(W)
Trichophyton rubrum 6.0 6.0 0
Pityrosporum ovale 6.0 6.0 0
상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T. rubrum P. ovale에 대하여 저지대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시험 예3> 실시 예3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효력 시험
실시 예3에 의해 제조된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살균 및 항진균 효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그람 양성균인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구균(Methicillin - Resistant Staphyllococcus Aureus : MRSA) ATCC 33591, 장구균(E. faecalis) ATCC 29212, 고초균(B. subtilis) ATCC 6633,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 monocytogenes) ATCC 19111,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S. mutans) ATCC 27351와, 그람 음성균인 폐렴막대균(K. pneumoniae) ATCC 4352, 병원성 균종(P. mirabilis) ATCC 29906, 살모넬라균(S. typhimurium) ATCC13311, 이질균(S. flexnery) ATCC 12022, 녹농균(P. aeruginosa) ATCC 27853, 병원성 대장균(E. coli O-157) ATCC 43895,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V. parahaemolyticus ATCC 33844, 효모균인 C. albicans ATCC 10231, 무좀균인 적색 백선균(Trichophyton rubrum) KCTC 6345, 비듬균인 말라세지아균(Pityrosporum ovale) ATCC 12078을 시험균주로 이용한 시험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하였다.
1) 살균력 시험 방법
MRSA , E. faecalis , B. subtilis , L. monocytogenes , S. aureus, S. mutans , K. pneumoniae , P. mirabilis , S. typhimurium , S. flexnery , P. aeruginosa , E.coli O-157, E. coli, V. parahaemolyticus , C. albicans를 액체배지에 배양시킨 후 배양된 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04~106 CFU/mL이 되도록 조정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시험용액(실시 예3에 의해 얻은 천연살균제 조성물) 20mL에 각각의 시험균액을 첨가하고 혼합하고 상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방치한 후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에 대한 살균감소율을 알아보았으며, MRSA에 대해서는 2시간, 8시간, 48시간 방치 후에 대해서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료 50%(w/v) 농도로 시험용액을 조제하여 MRSA 시험균액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방치한 경우에 대해서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생리식염수를 대조로 하여 세균수를 측정한 것을 초기 세균수로 표시하였다.
다만, 시험의 최초 희석 단계에서는 D/E Neutralizing Broth(DIFCO)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상의 균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 미만 (<10)』으로 표시하였다.
모든 단계에서의 세균수 측정은 TSA(2.2항 참고)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생균수 계산(N)은 C×N의 관계식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기서, C는 집락수(2매의 집락수 평균치)이고, D는 희석배수(희석액의 희석배수)이다.
그리고 살균감소율(%)은 {(A-B)/A}×100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여기서, A는 초기 세균수이고, B는 일정시간 후 세균수이다.
2) 항진균력 시험 방법(Halo test)
Trichophyton rubrum
사면배지(Sabouraud Dextrose Agar)에 저장 중인 T. rubrum균으로부터 포자현탁액(Spore solution)을 만든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준비된 평판배지(Sabouraud Dextrose Agar)에 포자현탁액 200μL를 rod culture하고, 멸균된 disc(Φ 6.0.mm)에 시험용액 20μL를 처리한 후, disc를 배지 중앙에 놓은 후, 25±1℃에서 10일 동안 배양한 후 억제대(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Pityrosporum ovale
미리 준비된 평판배지에 Pityrosporum ovale균을 접종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증균시켜 시험에 사용하였다. 잘 자란 P. ovale균을 멸균 생리식염수에 부유시켜 108 CFU/mL농도의 균 현탁액을 준비하고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준비된 배지에 고르게 접종하고, 멸균된 disc(Φ 6.0.mm)에 시험용액 20μL를 처리한 후, disc를 배지 중앙에 놓은 후, 35±1℃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저지대(Inhibition Zone)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성장저지대(W)는 (T-D)/2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여기서, W는 저지대의 폭(mm), T는 시험용액과 저지대의 전체 지름(mm), D는 시험용액 및 disc의 지름(mm)이다.
3) 시험 결과
이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5 내지 표 7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살균시험>
시험균주 시료 구분 초기 1시간 30분 후 2시간 후 8시간 후 48시간 후


MRSA
50%(w/v) 용액 8.7×105 5.4×105
(37.9%)

-

-

-
원액 6.1×105 < 10
(> 99.9%)
< 10
(> 99.9%)
< 10
(> 99.9%)
< 10
(> 99.9%)
상기 표 5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MRSA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시료 원액으로 시험했을 때 초기 접종균수가 [6.1×105 CFU/mL]에서 1시간 30분 후 [< 10(10 미만) CFU/mL], 2시간 후 [< 1(10 미만) CFU/mL], 8시간 후 [< 10(10 미만) CFU/mL], 48시간 후 [< 10(10 미만) CFU/mL]로 각각 감소하였으며, 시료 50%(w/v)용액으로 시험했을 때에는 초기 접종균수가 [8.7×105 CFU/mL]에서 1시간 30분 후 [5.4×105 CFU/mL]으로 감소하였다.
<살균시험>
시험균주 시료 구분 초기 1시간 30분 후
E. coli 원액 8.9×105 < 10 (> 99.9%)
S. aureus 원액 3.2×105 < 10 (> 99.9%)
S. typhimurium 원액 5.2×105 < 10 (> 99.9%)
S. flexnery 원액 3.2×105 < 10 (> 99.9%)
P. aeruginosa 원액 5.2×105 < 10 (> 99.9%)
E. coli O-157 원액 4.0×105 < 10 (> 99.9%)
S. mutans 원액 3.1×105 < 10 (> 99.9%)
P. mirabilis 원액 3.2×105 < 10 (> 99.9%)
L. monocytogenes 원액 8.4×105 < 10 (> 99.9%)
B. subtilis 원액 7.9×105 < 10 (> 99.9%)
K. pneumoniae 원액 8.6×105 < 10 (> 99.9%)
E. faecalis 원액 9.4×105 < 10 (> 99.9%)
V. parahaemolyticus 원액 2.6×105 < 10 (> 99.9%)
C. albicans 원액 1.1×105 2.0×105(81.8%)
상기 표 6 및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E. coli , S. aureus , S. typhimurium , S. flexnery , P. aeruginosa, E. coli O-157, S. mutans , P. mirabilis , L. monocytogenes , B. subtilis, K. pneumoniae , E. faecalis , V. parahaemolyticus , C. albicans 각각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1시간 30분 후 모두 [< 10(10 미만) CFU/mL]로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을 시험용액으로 1시간 30분 후 살균력을 측정하였을 때 E. coli , S. aureus , S. typhimurium , S. flexnery , P. aeruginosa , E. coli O-157, S. mutans , P. mirabilis , L. monocytogenes , B. subtilis, K. pneumoniae , E. faecalis ,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모두 99.9% 이상의 살균력을 나타내었으며, C. albicans에 대해서는 81.8%의 살균력을 나타내었다.
<항진균시험>
시험 균주 전체 지름(T) 시료 및 Disc 의 지름(D) 저지대의 폭(W)
Trichophyton rubrum 8.0 6.0 1
Pityrosporum ovale 10 6.0 2
상기 표 7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T. rubrum에 대하여 1mm의 저지대를 형성하였고, P. ovale에 대하여 2mm의 저지대를 형성하였다.
<시험 예4> 비교 예1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효력 시험
비교 예1에 의해 제조된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살균 및 항진균 효력을 시험 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8 및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살균시험>
시험 균주 초기 48시간 후 살균감소율
MRSA 6.5×105 2.2×105 66.9% 이상
S. mutans 2.7×105 1.1×105 68.4% 이상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예1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MRSA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6.5×105 CFU/mL]에서 48시간 후 [2.2×105 CFU/mL]로 감소하였다.
또한, S. mutans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2.7×105 CFU/mL]에서 48시간 후 [1.1×105 CFU/mL]로 감소하였다.
<항진균시험>
시험 균주 전체 지름(T) 시료 및 Disc 의 지름(D) 저지대의 폭(W)
Trichophyton rubrum 6.0 6.0 0
Pityrosporum ovale 6.0 6.0 0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예1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T. rubrum P. ovale에 대하여 저지대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시험 예5> 비교 예2에 대한 살균 및 항진균 효력 시험
비교 예2에 의해 제조된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살균 및 항진균 효력을 시험 예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10 및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살균시험>
시험 균주 초기 48시간 후 살균감소율
MRSA 6.5×105 2.3×105 65.7% 이상
S. mutans 2.7×105 1.2×105 66.3% 이상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예2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MRSA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6.5×105 CFU/mL]에서 48시간 후 [2.3×105 CFU/mL]로 감소하였다.
또한, S. mutans에 대한 살균시험 결과 초기 접종균수가 [2.7×105 CFU/mL]에서 48시간 후 [1.2×105 CFU/mL]로 감소하였다.
<항진균시험>
시험 균주 전체 지름(T) 시료 및 Disc 의 지름(D) 저지대의 폭(W)
Trichophyton rubrum 6.0 6.0 0
Pityrosporum ovale 6.0 6.0 0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예2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저지대(Inhibition Zone)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T. rubrum P. ovale에 대하여 저지대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 등에 사용 시 세균 및 진균에 대한 살균력과 항진효과가 매우 우수함과 동시에 소독제로 사용 시 위생 및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식중독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살균제 조성물은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을 살균하는 용도와 더불어 유해성 병원균 및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미생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음료, 사료,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좀과 같은 각종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의학용 살균제와 식물에 격심한 피해를 주는 곰팡이병 및 진균병을 방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농업용 살균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합성농약을 대체하여 방충제로 사용할 수 있어 유기농산물의 품질향상 및 생산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농업생산성의 제고와 농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인삼 추출물 95~100중량부, 마늘 추출물 95~100중량부, 백과 추출물 190~200중량부, 오미자 추출물 48~50중량부 및 산초 추출물 48~50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살균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쑥 추출물 48~50중량부, 포공영 추출물 48~50중량부, 생강 추출물 48~50중량부, 호초 추출물 48~50중량부, 산수유 추출물 48~50중량부, 매실 추출물 48~50중량부, 석류 추출물 48~50중량부, 아출 추출물 48~50중량부 및 창출 추출물 48~50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천연살균제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추출물들은 당해 물질을 달여서 추출하는 증류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살균제 조성물.
  6. 다음의 각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 인삼 95~100중량부, 마늘 95~100중량부, 백과 190~200중량부, 오미자 48~50중량부, 산초 48~50중량부를 34~36℃에서 70~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을 거친 각 구성물질을 50~60℃에서 46~50시간 동안 건조하는 공정
    (C) 상기 (B) 공정을 거친 각 구성물질을 에틸알코올 1000중량부와 혼합하여 75~80℃에서 22~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
    (D) 상기 (C) 공정을 거친 혼합물을 100℃에서 120~150분 동안 달이는 공정
    (E) 상기 (D) 공정을 거친 혼합물을 100℃에서 7~8시간 동안 더 달이면서 그 증류액을 추출하는 공정
  7. 다음의 각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 인삼 95~100중량부, 마늘 95~100중량부, 백과 190~200중량부, 오미자 48~50중량부, 산초 48~50중량부를 34~36℃에서 70~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을 거친 각 구성물질을 50~60℃에서 46~50시간 동안 건조하는 공정
    (C) 상기 (B) 공정을 거친 각 구성물질을 에틸알코올 1000중량부와 혼합하여 75~80℃에서 22~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
    (D) 상기 (C) 공정을 거친 혼합물을 100℃에서 120~150분 동안 달이는 공정
    (E) 상기 (D) 공정을 거쳐 달여진 혼합물을 여과 및 30~60℃에서 감압농축하여 달인액을 추출하는 공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쑥 48~50중량부, 포공영 48~50중량부, 생강 48~50중량부, 호초 48~50중량부, 산수유 48~50중량부, 매실 48~50중량부 및 석류 48~50중량부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천연살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063741A 2012-06-14 2012-06-14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4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741A KR101349101B1 (ko) 2012-06-14 2012-06-14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741A KR101349101B1 (ko) 2012-06-14 2012-06-14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90A KR20130140390A (ko) 2013-12-24
KR101349101B1 true KR101349101B1 (ko) 2014-01-09

Family

ID=4998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741A KR101349101B1 (ko) 2012-06-14 2012-06-14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5587B (zh) * 2014-01-21 2016-01-06 北京联合大学 一种能有效阻止空气中有害细微颗粒物吸入并具有抑菌作用的口罩及其制备方法
KR102330946B1 (ko) * 2017-10-12 2021-11-2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백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KR102287951B1 (ko) * 2019-04-04 2021-08-06 안태우 여성 질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74557A (ko) 2019-12-12 2021-06-22 장기환 천연 살균용 알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366B1 (ko) * 1993-05-21 1997-05-08 김영우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JP2001081027A (ja) 1999-09-09 2001-03-27 Ichimaru Pharcos Co Ltd 抗菌・防腐剤
KR20090057591A (ko) * 2007-12-03 2009-06-08 대은엠비코(주) 천연 물질을 이용한 무독성 살균제 제조 방법
KR20090102378A (ko) * 2008-03-26 2009-09-30 윤순복 쑥을 주원료로 하는 천연 살균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366B1 (ko) * 1993-05-21 1997-05-08 김영우 항균성성분, 전기한 항균성성분을 함유하는 부패방지제 및 항균성성분의 제조방법
JP2001081027A (ja) 1999-09-09 2001-03-27 Ichimaru Pharcos Co Ltd 抗菌・防腐剤
KR20090057591A (ko) * 2007-12-03 2009-06-08 대은엠비코(주) 천연 물질을 이용한 무독성 살균제 제조 방법
KR20090102378A (ko) * 2008-03-26 2009-09-30 윤순복 쑥을 주원료로 하는 천연 살균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390A (ko) 201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hiowemwenguan et al. Antibacterial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Banana fruit peel
KR101315656B1 (ko) 엽록소가 함유된 미강의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810218B (zh) 基于中草药的杨梅保鲜剂及其制备方法
Sher et al. Ethnobotanical and antibacterial potential of Salvadora persica l: a well known medicinal plant in Arab and Unani system of medicine
CN104146055A (zh) 一种植物源果蔬保鲜剂
CN103451032B (zh) 安全环保茶籽洗洁粉及其制备方法
KR101613294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단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KR101407051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탈취제와 그 제조방법
KR101349101B1 (ko)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Akinnibosun et al. Evaluation of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synergistic effect of Garcinia kola Heckel (Family: Guttiferae) seed extract and honey on some bacteria
KR102171948B1 (ko) 허브 혼합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590492B1 (ko) 발효된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소독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523684A (ja) 活性化かんきつ類果皮エキス含有組成物
CN112772681B (zh) 一种生物复合型消毒剂及其制备方法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1317000A (zh) 一种中草药消毒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13373B1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bd-ELmageed et 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hysalis peruviana and Hyphaene thebaica extracts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2009B1 (ko) 비자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또는 살균용 조성물
KR102228735B1 (ko)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804740A1 (en) Compositions of the olea europaea v. sylvestris with antimicrobial efficacy
KR101943153B1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방부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0454B1 (ko) 저장성이 향상된 김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