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688A -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688A
KR20090038688A KR1020070104122A KR20070104122A KR20090038688A KR 20090038688 A KR20090038688 A KR 20090038688A KR 1020070104122 A KR1020070104122 A KR 1020070104122A KR 20070104122 A KR20070104122 A KR 20070104122A KR 20090038688 A KR20090038688 A KR 2009003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saddle
coupling
coupled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670B1 (ko
Inventor
김춘추
Original Assignee
김춘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10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670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춘추 filed Critical 김춘추
Priority to EP07851808A priority patent/EP2197732B1/en
Priority to CN2007801006323A priority patent/CN101815644B/zh
Priority to US12/679,480 priority patent/US8424963B2/en
Priority to ES07851808T priority patent/ES2387445T3/es
Priority to PCT/KR2007/006896 priority patent/WO2009051292A1/en
Priority to AT07851808T priority patent/ATE555973T1/de
Priority to JP2010529838A priority patent/JP5143907B2/ja
Publication of KR2009003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670B1/ko
Priority to US13/438,272 priority patent/US919340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0Internal adjustment of sa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6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saddle pillars, e.g. adjustable during r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 위치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 높이를 조정하는 구성의 상부에 안장의 각도를 조정하는 구성을 결합하여 자전거의 안장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길이에 따라 안장이 패달과 핸들에 적당한 각도를 가지도록 변경 가능한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는, 통상의 자전거용 프레임과 안장 사이에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자전거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높이 조절 장치 상부에 연결된 프레임 결합부와, 하단이 전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안장과 결합되며 상부에 내면을 관통하는 결합 홀이 형성된 안장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부채꼴형 판과 부체꼴형 판을 전후에서 연결하는 한쌍의 직사각형 판으로 형성되며 부채꼴형 판의 호측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각도 고정판 및; 상기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각도 고정판의 구멍에 탈착이 가능하여 안장 결합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각도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전거, 안장, 부채꼴, 각도, 톱니.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의 안장 위치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 높이를 조정하는 구성의 상부에 안장의 각도를 조정하는 구성을 결합하여 자전거의 안장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길이에 따라 안장이 패달과 핸들에 적당한 각도를 가지도록 변경 가능한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 것을 뜻하는 것으로, 넓은 뜻으로는 삼륜이나 사륜으로 만들어진 것과 수상 혹은 빙상자전거 등 지상 외의 곳을 주행하는 것도 총칭하여 일컬어지며,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특히 최근에는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효과와 함께 레크레이션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한편, 환경친화적인 특성에 의해 수요가 점차 확산 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의 구조는 대략적으로 바퀴부와 프레임부와 패달부, 체인부, 안장부 및 핸들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당수의 자건거의 상기 안장부와 프레임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가 구비되어 각기 다른 키를 가진 사용자도 자신의 발이 폐달에 적절하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맞춰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의 경우 안장을 상ㅇ하 방향으로는 그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발과 패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었으나, 사람의 신체는 같은 키, 또는 같은 다리 길이에서도 상체나 손의 길이가 다르므로 다리가 평균보다 많이 긴 경우는 안장을 다리길이에 맞추면 손이 핸들을 잡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다리가 짧은 경우에는 손을 접어야 핸들을 잡을 수 있어 오랜 시간 주행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사진 언덕을 오르거나 내려올 때는 사용자의 자세가 자전거의 전방이나 후방을 향하게 되는데 안장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으면 불편하여 안장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았으나, 안장에서 일어나서 패달에만 체중을 실으면 안정감이 떨어져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장시간동안 언덕을 오르거나 내려올 경우에는 그동안 계속 서 있어야 하므로 피로도가 쌓인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의 안장 높이를 조정하는 구성의 상부에 안장의 각도를 조정하는 부채꼴 형상의 구성을 결합하여 자전거의 안장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길이나 자전거가 이동하는 장소에 따라 안장이 패 달과 핸들에 적당한 각도를 가지도록 변경 가능한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는, 통상의 자전거용 프레임과 안장 사이에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자전거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높이 조절 장치 상부에 연결된 프레임 결합부와, 하단이 전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안장과 결합되며 상부에 내면을 관통하는 결합 홀이 형성된 안장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부채꼴형 판과 부체꼴형 판을 전후에서 연결하는 한쌍의 직사각형 판으로 형성되며 부채꼴형 판의 호측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각도 고정판 및; 상기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각도 고정판의 구멍에 탈착이 가능하여 안장 결합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각도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는 자전거의 안장 높이를 조정하는 구성의 상부에 안장의 각도를 조정하는 부채꼴 형상의 구성을 결합하여 자전거의 안장의 각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용자보다 다리나 팔이 긴 사용자도 자연스럽게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진 장소를 오르거나 내일 경우에 그에 적합하도록 안장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안장에 앉은 상태로 편하게 경사진 곳을 이동할수 있도록 하는 효과 도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창문틀 및 이를 이용한 복합창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를 사용한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바퀴부(200)와 사용자의 발구름에 의하여 회전하는 패달부(300)와, 상기 패달부(300)의 회전을 상기 바퀴부(200)로 전달하는 체인부(400)와, 상기 패달부(300)와 체인부(400)가 결합되는 프레임부(500)와, 상기 프레임부(500)의 전방 상부에 결합되어 자전거의 방향을 전환하는 핸들부(600)와 상기 프레임부(500)의 후방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 가능하도록 하는 안장부(700) 및 상기 프레임부(500)와 안장부(700)사이에 결합되어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800)를 포함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600)와 높이 조절부(800)의 사이에 결합되어 안장부(600)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결합부(110)와, 안장 결합부(120)와, 각도 변경부(130)와 각도 고정판(14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110)는 하단은 상기 높이 조절부(800)의 상부에 연결되 고 상단의 내측에는 안장 결합부(120)가 결합되며, 상단의 외측에 각도 고정판(140)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안장 결합부(120)는 하단이 상기 프레임 결합부(11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안장부(700)와 결합되며 상부에 내면을 관통하는 결합 홀이 형성되어 상기 각도 변경부(13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프레임 결합부(110)의 상단에 결합된 하단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각도 변경부(130)는 상기 안장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결합봉(131)과 상기 각도 고정판(14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133)과, 상기 결합봉(131)과 고정봉(133)을 연결시키는 연결부(135)와, 상기 결합봉(131)의 외부에 결합되어 결합봉(131)을 안장 결합부(120)에 밀착시키는 탄성부(137)와 상기 결합봉(1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137)를 고정시키는 마개부(139)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각도 변경부(130)는 도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안장 결합부(120)에 결합된 결합봉(131)을 도4에 도시된바와 같이 연결부(135)방향으로 당기면 연결부(135)에 연결된 고정봉(133)을 상기 각도 고정판(140)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도5에 도시된바와 같이 안장 결합부(12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원하는 각도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원하는 각도에서 결합봉(131)을 당기던 힘을 풀면 상기 탄성부(137)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봉(131)이 마개부(139)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고정봉(133)을 상기 각도 고정판(140)에 결합되도록 하여 각도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봉(131)은 도6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안장 결합부(120)의 결합홀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연결부(135)와 결합되고 타단에는 마개부(139)가 결합되며 마개부(139)와 안장 결합부(120)의 사이에 탄성부(137)가 외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봉(133)은 일단은 상기 연결부(135)와 결합되고 타단은 각도 고정판(14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도3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2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135)는 도7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133)들을 연결하는 수평봉(135a)과 상기 수평봉(135a)을 결합봉(131)과 연결하는 수직봉(135b)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고정봉(133)들을 연결하는 수평봉과 고정봉(133)과 결합봉(131)을 연결하는 대각선봉들로 삼각형 구성을 할 수도 있으며, 상기 결합봉(131)과 고정봉(133)의 일단을 연결한다는 조건만 만족 시킨다면 형태의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7)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마개부(139)와 접촉하고 타단은 안장 결합부(120)하며 상기 결합봉(131)을 감싸는 스프링형 구성으로 결합봉(131)을 연결부(135)방향으로 당기면 도8에 도시된바와 같이 수축하였다가 당기는 힘이 사라지면 도6에 도시된바와 같이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봉(131)을 마개부(139)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마개부(139)는 상기 결합봉(131)의 연결부(135)가 결합되지 않은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137)보다 지름이 크도록 형성되어 탄성부(137)가 상기 결 합봉(13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기 각도 고정판(140)은 도3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결합부(110)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부채꼴형 판과 부체꼴형 판을 전후에서 연결하는 한쌍의 직사각형 판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부채꼴형 판의 호측에는 상기 고정봉(133)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공(141)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 고정판(140)과 상기 프레임 결합부(110)의 외측의 연결 방법은 용접으로 하여 각도 고정판(140)이 각도 변경부(130)를 통하여 결합된 안장 결합부(120)의 압력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를 사용한 자전거는 도9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안장 결합부(120)를 후방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도 변경부(130)를 해당 위치에 있는 상기 각도 고정판(140)의 고정공(141)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다리에 비하여 손이 긴 사람이 자전거를 사용하거나 내리막길에서 자연스런 자세를 취하도록 안장의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고, 도10에 도시된바와 같이 안장 결합부(120)를 전방으로 회전 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도 변경부(130)를 해당 위치에 있는 상기 각도 고정판(140)의 고정공(141)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다리에 비하여 손이 짧은 사람이 자전거를 사용하거나 오르막길, 또는 고속 주행시 자연스런 자세를 취하도록 안장의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100)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결합부(110)와, 안장 결합부(120)와,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와 각도 고정 톱니판(150) 및 톱니 고정 나사(17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110)와, 안장 결합부(12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는 일정 크기의 톱니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결합홀과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된 톱니 바퀴이다.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의 안장 결합부(120)와 결합되는 면의 타면에는 도1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각도 변경 손잡이(165)가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도 고정 톱니판(150)은 도11에 도시된바와 같이 부채꼴형 판으로 형성되며 부채꼴형 판의 호에는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에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다.
상기 톱니 고정 나사(170)는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의 중앙에 형성된 홀과 상기 안장 결합부(120)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나사로, 나사가 조여지면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가 보다 안장 결합부(120)에 밀착하게 되어 회전이 불가능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톱니 고정 나사(170)는 도1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안장 결합부(120)에 결합되며 안장 결합부(120)와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 및 각도 변경 손잡이(165)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176)와, 상기 고정 볼트에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 및 각도 변경 손잡이(165)를 안장 결합부(120)로 밀착 시키는 회전 너트(171) 및 상기 회전 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고정용 손잡이(17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너트(171)는 일면이 상기 각도 변경 손잡이(165)의 외면측에 밀착하여 안장 결합부(120)로 밀착시키나 상부나 하부는 상기 각도 변경 손잡이(165)와 밀착하지 않도록 하여 회전시 상기 각도 변경 손잡이(165)까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용 손잡이(173)는 상기 회전 너트(171)의 각도 변경 손잡이(165)와 밀착되는 면의 타면측에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회전력을 상기 회전 너트(171)에 전달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도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는 부분이 회전 너트(171)에서 일정 이상 떨어진후에 좌우 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고정용 손잡이(173) 회전시 상기 각도 변경 손잡이(165)까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너트(171)가 상기 각도 변경 손잡이(165)를 안장 결합부(120)에 밀착될 경우 길게 형성되는 부분이 각도 변경 손잡이(165)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100)는 상기 톱니 고정 나사(170)를 풀어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면 안장 결합부(12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원하는 각도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톱니 고정 나사(170)를 조이면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가 고정되면서 각도 변경 톱니 바퀴(160)의 톱니가 각도 고정 톱니판(150)의 톱니와 맞물려 상기 안장 결합부(120)의 각도를 고정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를 사용한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도1의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3은 상기 도1의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상기 도2에서 결합봉을 이동하여 각도 변경이 가능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5는 상기 도2에서 안장 결합기의 각도를 변경하는 상태도이다.
도6은 상기 도2의 측단면도이다.
도7은 상기 도1의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8은 상기 도4의 측단면도이다.
도9는 상기 도1에서 안장 각도를 후방으로 꺽은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10은 상기 도1에서 안장 각도를 전방으로 꺽은 경우의 상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의 정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110: 프레임 결합부 120: 안장 결합부
130: 각도 변경부 140: 각도 변경판
150: 각도 고정 톱니판
160: 각도 변경 톱니 바퀴 165: 각도 변경 손잡이(165)
170: 톱니 고정 나사 171:회전 너트
173: 고정용 손잡이 176: 고정 볼트

Claims (9)

  1. 통상의 자전거용 프레임과 안장 사이에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자전거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높이 조절 장치 상부에 연결된 프레임 결합부와,
    하단이 전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안장과 결합되며 상부에 내면을 관통하는 결합 홀이 형성된 안장 결합부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좌우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부채꼴형 판과 부체꼴형 판을 전후에서 연결하는 한쌍의 직사각형 판으로 형성되며 부채꼴형 판의 호측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각도 고정판 및;
    상기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각도 고정판의 구멍에 탈착이 가능하여 안장 결합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각도 변경부를 포함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변경부는,
    상기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봉과,
    상기 각도 고정판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과,
    상기 결합봉과 고정봉들의 일단이 수평상태에 있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와,
    상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결합봉의 외부에 결합된 탄성부 및;
    상기 결합봉의 연결부와 연결되지 않은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를 고정시키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변경부는 상기 안장 결합부에 결합된 결합봉이 연결부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이동되면 연결부에 연결된 고정봉을 상기 각도 고정판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안장 결합부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원하는 각도로 변경이 가능하고, 특정 각도에서 결합봉을 이동하던 힘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봉이 마개부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고정봉을 상기 각도 고정판에 결합되도록 하여 각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봉은 상기 안장 결합부의 결합홀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고 타단에는 마개부가 결합되며 마개부와 안장 결합부의 사이에 탄성부가 외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4.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봉들을 연결하는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을 결합봉과 연결하는 수직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5. 통상의 자전거용 프레임과 안장 사이에 높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자전거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높이 조절 장치 상부에 연결된 프레임 결합부와,
    하단이 전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안장과 결합되며 상부에 내면을 관통하는 결합 홀이 형성된 안장 결합부와,
    일정 크기의 톱니가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결합홀과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된 각도 변경 톱니 바퀴와,
    부채꼴형 판으로 형성되며 호에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에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각도 고정 톱니판 및;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의 중앙에 형성된 홀과 상기 안장 결합부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며, 결합 강도를 제어하는 톱니 고정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 고정 나사가 풀어져 결합 강도를 약화 시키면 각도 변경 톱니 바퀴가 회전 가능하면서 안장 결합부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원하는 각도로 변경이 가능하고, 상기 톱니 고정 나사가 조여져 결합 강도를 강화 시키면 각도 변경 톱니 바퀴가 고정되면서 각도 변경 톱니 바퀴의 톱니가 각도 고정 톱니판의 톱니와 맞물려 안장 결합부의 각도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의 안장 결합부와 결합되는 면의 타면에는 각도 변 경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 고정 나사는,
    상기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며 안장 결합부와 각도 변경 톱니 바퀴 및 각도 변경 손잡이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에 결합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각도 변경 톱니 바퀴 및 각도 변경 손잡이를 안장 결합부로 밀착 시키는 회전 너트 및 상기 회전 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고정용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8.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너트의 일면은 상기 각도 변경 손잡이의 외면측에 밀착하나, 상부나 하부는 상기 각도 변경 손잡이와 밀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9.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손잡이는 상기 회전 너트의 각도 변경 손잡이와 밀착되는 면의 타면측에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KR1020070104122A 2007-10-16 2007-10-16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KR10090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22A KR100908670B1 (ko) 2007-10-16 2007-10-16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CN2007801006323A CN101815644B (zh) 2007-10-16 2007-12-27 用于自行车车座的角度调整装置
US12/679,480 US8424963B2 (en) 2007-10-16 2007-12-27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ES07851808T ES2387445T3 (es) 2007-10-16 2007-12-27 Dispositivo de ajuste de ángulo para un sillín de bicicleta
EP07851808A EP2197732B1 (en) 2007-10-16 2007-12-27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PCT/KR2007/006896 WO2009051292A1 (en) 2007-10-16 2007-12-27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AT07851808T ATE555973T1 (de) 2007-10-16 2007-12-27 Winkeleinstellungsvorrichtung für fahrradsättel
JP2010529838A JP5143907B2 (ja) 2007-10-16 2007-12-27 自転車サドルの位置調整装置
US13/438,272 US9193406B2 (en) 2007-10-16 2012-04-03 Angle adjusting device for bicycle sad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22A KR100908670B1 (ko) 2007-10-16 2007-10-16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688A true KR20090038688A (ko) 2009-04-21
KR100908670B1 KR100908670B1 (ko) 2009-07-21

Family

ID=4056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122A KR100908670B1 (ko) 2007-10-16 2007-10-16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424963B2 (ko)
EP (1) EP2197732B1 (ko)
JP (1) JP5143907B2 (ko)
KR (1) KR100908670B1 (ko)
CN (1) CN101815644B (ko)
AT (1) ATE555973T1 (ko)
ES (1) ES2387445T3 (ko)
WO (1) WO2009051292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94B1 (ko) * 2010-03-31 2010-09-13 이영자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장 유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자전거용 안장
WO2012050288A1 (ko) * 2010-10-11 2012-04-19 Choi Jong Tae 자전거용 안장의 유지각도 조정장치
KR101364771B1 (ko) * 2012-10-08 2014-02-27 주식회사 유진로봇 유아용 세발 자전거
KR101483948B1 (ko) * 2014-11-12 2015-01-20 이경현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CN104627274A (zh) * 2015-01-23 2015-05-20 天津市禧畅自行车有限公司 新型自行车鞍座装置
WO2017014408A1 (ko) * 2015-07-21 2017-01-26 황성만 자전거의 안장 경사각 조절장치
KR20170026006A (ko) * 2015-08-31 2017-03-08 이동철 자전거용 안장구조체
WO2018174588A1 (ko) * 2017-03-24 2018-09-27 황성만 전동식 안장각도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8498A1 (en) * 2008-08-18 2010-02-18 Skedco, Inc. Configurable anchor point and modular kit for an anchor point
US8104987B2 (en) * 2009-06-25 2012-01-31 Johnson Health Tech Co. Ltd. Self-locating engagement pin locking and unlocking apparatus
EP2464558A4 (en) * 2010-02-16 2013-07-24 Chun-Choo Kim ANGLE ADJUSTMENT DEVICE FOR ONE WHEEL SADDLE
KR101157840B1 (ko) * 2010-02-18 2012-06-22 박훈근 팔운동을 병행하는 헬스 자전거
US8668257B2 (en) * 2011-06-24 2014-03-11 Yao-Chuan Wu Foldable bracket of a chair
ES2405940B1 (es) * 2011-11-30 2014-09-02 José Luis FERNANDEZ SANCHEZ Dispositivo de posicionamiento del sillín de una bicicleta
KR101167029B1 (ko) * 2012-03-27 2012-07-24 김춘추 이동식 안장을 구비하는 자전거
TWM446744U (zh) * 2012-08-09 2013-02-11 Chiu-Hsiang Lo 自行車之車架
US20140292020A1 (en) * 2013-04-02 2014-10-02 Joseph Gallo Retractable Canopy Apparatus For a Golf Cart
CN104210577A (zh) * 2013-05-30 2014-12-17 上海黄燕模塑工程有限公司 车座单元及其自行车
US9481420B2 (en) 2013-08-01 2016-11-01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Saddle adjustment system
US9839292B2 (en) * 2014-04-08 2017-12-12 John Hart Miller Rotating and non-rotating reclining chairs w/tilting mechanisms
US9616954B2 (en) 2014-12-18 2017-04-11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Saddle adjustment system
EP3233616B1 (en) * 2014-12-18 2020-05-27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Saddle adjustment system
CN104709386A (zh) * 2015-01-23 2015-06-17 天津都市玛自行车有限公司 一种新型自行车车座结构
US10021979B2 (en) 2016-02-22 2018-07-17 John Hart Miller Rotating and non-rotating reclining chairs with tilting mechanisms
CN107031759B (zh) * 2017-06-01 2022-09-02 丁存保 电动自行车儿童前置可拆卸座椅
US20190174734A1 (en) * 2017-12-09 2019-06-13 Rod Dawg Holdings Llc Rod hold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US11510401B2 (en) * 2017-12-09 2022-11-29 Rod Dawg Holding LLC Rod hold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CN110001828A (zh) * 2019-04-29 2019-07-12 深圳市昌达顺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车座及折叠车
US20200344987A1 (en) * 2019-05-03 2020-11-05 Winthrop Tackle Adjustable butt and reel seat for a fishing rod
CN111713187B (zh) * 2020-06-12 2022-12-13 江苏大学 一种葡萄藤多刮板清土装置及安装该装置的工程机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37A (en) * 1891-06-02 Invalid-bed
AT296532B (de) * 1970-10-30 1972-02-25 Wiesner Hager Kg Vorrichtung zur Neigungsverstellung der Rückenlehne von Sesseln, insbesondere von Bürosesseln
DE2747584A1 (de) * 1977-10-24 1979-04-26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Traegheitssperreinrichtung fuer kraftfahrzeugsitze
JPS604476A (ja) 1983-06-22 1985-01-10 株式会社加島サドル製作所 角度調節型サドル
US4772069A (en) 1987-12-24 1988-09-20 Schwinn Bicycle Company Longitudinally adjustable saddle mounting for cycle-type apparatus
CA2011328C (en) * 1990-03-02 1995-08-22 Marc Bernier Support downtilt bracket for mounting an antenna on a metallic tower
US5163735A (en) * 1991-07-15 1992-11-17 Ford Motor Company Reduced pre-lock travel seat back hinge inertia lock
US5244301A (en) * 1992-09-22 1993-09-14 Kurke Martin I Bicycle seat mount
US5265969A (en) * 1992-12-16 1993-11-30 Chuang Ching Pao Angle-adjustable joint
US5364160A (en) * 1993-02-26 1994-11-15 Fritschen Thomas M Open air duct bicycle saddle mount
US5988741A (en) 1995-04-17 1999-11-23 Voss; Darrell W. Bicycle seat post flare post
US5779249A (en) * 1996-09-03 1998-07-14 Lin; Gin-Ding Seat height adjusting means of a bicycle
US5727583A (en) * 1997-03-19 1998-03-17 Kennedy; Phillip Donald Service umbrella
JPH11347171A (ja) * 1998-06-04 1999-12-21 Satoru Nakayama ゴルフのスイング練習装置
FR2790438A1 (fr) 1999-03-05 2000-09-08 Gilles Reguillon Dispositif de reglage d'une selle de bicyclette
US6176459B1 (en) * 1999-03-29 2001-01-23 Attwood Corporation Self-locking angularly-tilting seat support
US6533237B1 (en) * 2000-02-08 2003-03-18 Third Arm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an elongated member
DE10126757C1 (de) * 2001-06-01 2002-12-12 Franz Freund Vorrichtung für ein Fahrrad zur individuellen Anpassung des Sitzwinkels und der Sattelneigungseinstellung an einen Nutzer bzw. einer Nutzerin und zur aktuellen Bedarfsanpassung innerhalb einer vorgegebenen Verstelldistanz
AU2003281266A1 (en) * 2002-07-05 2004-01-23 Ts Tech Co., Ltd.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JP4283591B2 (ja) * 2003-04-30 2009-06-24 株式会社マルイ 自転車用サドルの取付構造
TW581028U (en) 2003-04-30 2004-03-21 Selle Tech Ind Co Ltd Bicycle seat capable of adjusting inclined angle
US6899389B2 (en) * 2003-09-03 2005-05-31 Macneil Bikes, Inc. Bicycle seat assembly
DE102005038565A1 (de) * 2005-08-12 2007-02-15 Udo Ochendalski Vorrichtung zur Winkeleinstellung eines Neigungswinkels eines Sattels
WO2007031335A1 (en) * 2005-09-15 2007-03-22 Intier Automotive Seating Systems Gmbh Seat assembly having a seat cushion rocker mechanism
CN2839075Y (zh) * 2005-09-23 2006-11-22 张权伟 可调式旋转形自行车座架
JP4084400B2 (ja) * 2006-06-02 2008-04-30 有限会社藤原ホイル 自転車のサドル昇降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94B1 (ko) * 2010-03-31 2010-09-13 이영자 자전거에 탑승한 상태에서 안장 유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자전거용 안장
WO2012050288A1 (ko) * 2010-10-11 2012-04-19 Choi Jong Tae 자전거용 안장의 유지각도 조정장치
KR101364771B1 (ko) * 2012-10-08 2014-02-27 주식회사 유진로봇 유아용 세발 자전거
KR101483948B1 (ko) * 2014-11-12 2015-01-20 이경현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CN104627274A (zh) * 2015-01-23 2015-05-20 天津市禧畅自行车有限公司 新型自行车鞍座装置
WO2017014408A1 (ko) * 2015-07-21 2017-01-26 황성만 자전거의 안장 경사각 조절장치
US10399625B2 (en) 2015-07-21 2019-09-03 Soung Man HWANG Tilt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bicycle saddle
KR20170026006A (ko) * 2015-08-31 2017-03-08 이동철 자전거용 안장구조체
WO2018174588A1 (ko) * 2017-03-24 2018-09-27 황성만 전동식 안장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4156A1 (en) 2010-08-05
US9193406B2 (en) 2015-11-24
JP2011500420A (ja) 2011-01-06
CN101815644B (zh) 2012-11-21
US8424963B2 (en) 2013-04-23
WO2009051292A1 (en) 2009-04-23
EP2197732A4 (en) 2011-04-06
KR100908670B1 (ko) 2009-07-21
EP2197732B1 (en) 2012-05-02
US20130093223A1 (en) 2013-04-18
ES2387445T3 (es) 2012-09-24
ATE555973T1 (de) 2012-05-15
JP5143907B2 (ja) 2013-02-13
CN101815644A (zh) 2010-08-25
EP2197732A1 (en)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670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JP5636137B2 (ja) 二重操舵可能車両
US4652026A (en) Manual propulsion apparatus for wheelchairs
US6220615B1 (en) Aerobic wheelchair attachment
CA1202221A (en) Passive leg-exercise apparatus
KR100967167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WO2003009911A3 (en) Hand steerable sports scooter
TW201247184A (en) Three-wheeled foot-pedaled wheelchair
CA2369480A1 (en) Leg-propelled wheelchair
US7654545B1 (en) Vehicle for exercising
JP2015146879A (ja) 下肢リハビリ訓練機器
US20040178603A1 (en) User-propelled riding toys and methods
KR20090043621A (ko) 양측 발판을 일체로 한 레저 자전거
KR101885468B1 (ko) 팔과 다리의 근력으로 움직이는 자전거
KR200405741Y1 (ko) 추진식 트라이보드
EP3177374B1 (en) Standup paddle board core activator
US9403551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ody support frame and means for manoeuvring this frame with respect to a sports board
KR101059394B1 (ko) 수동 킥보드
US5484363A (en) Mogul skiing simulating device
US7914422B1 (en) Exercise device
KR20080098782A (ko)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CN211585065U (zh) 一种可调间距的亲子互动用双人漫步机
KR100779301B1 (ko) 다기능 자전거
CN110585660A (zh) 一种多用健身设备
US20090229617A1 (en) Interactiv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