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948B1 -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 Google Patents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948B1
KR101483948B1 KR20140157446A KR20140157446A KR101483948B1 KR 101483948 B1 KR101483948 B1 KR 101483948B1 KR 20140157446 A KR20140157446 A KR 20140157446A KR 20140157446 A KR20140157446 A KR 20140157446A KR 101483948 B1 KR101483948 B1 KR 101483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case
frame
bicycl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현
Original Assignee
이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현 filed Critical 이경현
Priority to KR20140157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0Internal adjustment of sa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또는 사람이 앉아 운동을 하는 기구의 안장에 회음부가 아닌 양측 대퇴부 상단의 중심 부위가 안착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안장 케이스가 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안장이 곡선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대퇴부가 페달운동을 할때 안장도 대퇴부에 밀착된 채 따라 움직여서 고관절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 설치되어 사람의 대퇴부 부위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상축형 안장(10)으로, 상기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 측으로 구비되는 거치봉(110); 상기 거치봉(110) 상부는 요입부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110) 상부 요입부에 삽입되도록 하단부가 요철부로 형성되는 T형 조절대(120); 및 상기 T형 조절대(120) 양측으로 안장(27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절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100); 상기 조절 프레임(13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고정대(211)가 일측에 형성되어 안장(27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장케이스(210); 및 상기 안장케이스(210) 일측으로 케이스 마감처리를 위해 다수개의 핀 또는 볼트로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 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Virtual axial hip slide saddle}
본 발명은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 또는 사람이 앉아 운동을 하는 기구의 안장에 회음부가 아닌 양측 대퇴부 상단의 중심 부위가 안착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안장 케이스가 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안장이 곡선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대퇴부가 페달운동을 할때 안장도 대퇴부에 밀착된 채 따라 움직여서 고관절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에 대한 것이다.
기존 자전거의 안장 또는 운동기구의 안장의 구조는 두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리기에 편리하도록 앞부분은 좁게 하고, 뒷부분은 엉덩이 부분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의 안장은 타는 사람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보통의 의자보다 면적이 적고, 앞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안장들은 구조상 하중이 회음부와 항문으로 집중되게 된다.
따라서, 회음부(항문과 생식기) 등의 인체의 민감한 기관들이 있는 부분에 탑승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힘이 많이 부하되기 때문에, 주행중 회음부와 안장이 밀착된 상태에서 페달을 밟는 동작시마다 회음부와 안장과의 압착상태에서 유동되는 현상에 의해 통증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현재 다양한 안장이 개발되고 있으며, 인체에 통증을 주지 않는 안장이 설계되고 있다.
<참고문헌>
출원번호 10-2012-0062208 자전거용 안장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사람이 앉아서 운동하는 기구의 안장에 회음부가 아닌 양측 대퇴부 상단의 중심 부위가 안착되어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장이 호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안장 케이스를 따라 안장이 슬라이딩되어 대퇴부의 페달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안장의 폭과 높낮이가 원터치 방식으로 조절되도록 하며, 운동상황에 따라 안장의 전후 각도조절이 이루어져 다양한 운동방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대퇴부의 상하 운동시 안장 자체의 회전이 가능하여 회음부 및 생식기에 무리를 주지 않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 설치되어 사람의 대퇴부 부위가 안착되도록 상기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 측으로 구비되는 거치봉(110); 상기 거치봉(110) 상부는 요입부로 형성되고, 요입부 양측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각도 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110) 상부 요입부에 삽입되도록 하단부가 요철부로 T형 조절대(120)가 형성되고, 요철부 양측으로 상기 각도 조절홈(111)에 원터치 방식으로 위치되도록 각도 조절버튼(121)이 구비되며, 상기 T형 조절대(120) 양측으로 안장(27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절프레임(130) 상면으로 사람의 대퇴부에 맞게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폭 조절홈(131)이 구비되며, 상기 폭 조절홈(131)을 따라 원터치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 고정대(211)에 구비되는 폭 조절버튼(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100)와, 상기 조절 프레임(13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고정대(211)가 일측에 형성되어 안장(27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장케이스(210); 및 상기 안장케이스(210) 일측으로 케이스 마감처리를 위해 다수개의 핀 또는 볼트로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 부(200); 로 이루어지는 가상축형 안장(10)에 있어서, 상기 안장 케이스(210)는 원호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 케이스(210) 상면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는 슬라이딩 홈(220); 상기 안장 케이스(210)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 가이드 홈(2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 가이드 홈(2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롤러(250); 상기 롤러(250)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롤러(250) 사이에서 상측으로 구비되는 롤러 고정대(251); 상기 롤러 고정대(251) 상면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안장 고정부재(260); 및 상기 안장 고정부재(260) 상면에 대퇴부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안장(270); 상기 롤러(250)는 롤러 가이드 홈(230)에 안착되어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그네운동을 하며, 상기 가상의 축은 고관절 축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자전거 또는 사람이 앉아서 운동하는 기구의 안장에 엉덩이가 아닌 대퇴부 상단부위가 안착되어 회음부(전립선) 및 외음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안장이 호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진 안장 케이스를 따라 안장이 상하 슬라이딩되어 대퇴부의 고관절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사용자에 따라 안장의 폭과 높낮이, 운동상황에 따라 안장의 전후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운동방식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사용자의 고관절 운동시 인체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에 대한 케이스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된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케이스 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 설치되어 사람의 대퇴부 부위가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상축형 안장(10)으로, 상기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 측으로 거치봉(110)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봉(110) 상부는 요입부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110) 상부 요입부에 삽입되도록 하단부가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T형 조절대(120)가 구비되며, 상기 T형 조절대(120) 양측으로 안장(270)이 구비될 수 있도록 조절 프레임(130)이 포함되는 프레임 부(100)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절 프레임(130)에 결합되도록 프레임 고정대(211)가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고정대(211) 일측에 안장(27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안장 케이스(210)가 구비되며, 상기 안장 케이스(210) 일측으로 케이스 마감처리를 위해 다수개의 핀 또는 볼트로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240)가 포함되는 케이스 부(200)가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거치봉(110)의 요입부 양측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각도 조절홈(111)은 다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T형 조절대(120)의 요철부 양측으로 상기 각도 조절홈(111)에 원터치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버튼(121)이 구비되며, 따라서 상기 거치봉(110)의 요입부에 T형 조절대(120)의 요철부가 힌지를 통해 결합되며, 각도 조절버튼(121)을 눌러 원하는 각도의 각도 조절홈(111)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절 프레임(130) 상면으로 사람의 대퇴부에 맞게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폭 조절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폭 조절홈(131)은 다수개의 홈으로 형성되어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광범위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폭 조절홈(131)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폭 조절버튼(212)은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고정대(211)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장 케이스(210)는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 케이스(210) 상면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장 케이스(210) 내부 상면과 하면에 롤러 가이드 홈(230)이 형성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 가이드 홈(2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롤러(250)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250)는 좌우 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좌우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롤러(250)를 동시에 움직이도록 고정하고, 상기 롤러(250) 사이에서 상측으로 롤러 고정대(251)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롤러 고정대(251) 상면에 볼트를 통해 안장 고정부재(260)가 고정되며, 상기 안장 고정부재(260) 상면에 안장(270)이 구비되어 대퇴부가 안착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장 케이스(210)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구비되는 롤러(250)가 움직여 페달을 밟으면 뒤로 들어올릴 땐 앞으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대퇴부 상단이 안장에 앉아 있기에 안장이 연동돼 움직여 지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따라서,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서 운동시 고관절의 축과 안장의 가상축이 일치가 되어 다리의 운동을 원할하게 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관절 가상축형 안장은 롤러(250)가 롤러 가이드 홈(230)에 안착되어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그네운동을 하며, 상기 가상의 축이 고관절 축과 일치되도록 프레임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안장 하측은으로 스프링 장치가 내장되어 완충효과를 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의 엉덩이가 아닌 대퇴부가 안착되는 것으로, 회음부(전립선) 및 외음부를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가상축형 안장
100 : 프레임 부 110 : 거치봉
111 : 각도 조절홈 120 : T형 조절대
121 : 각도 조절버튼 130 : 조절프레임
131 : 폭 조절홈
200 : 케이스 부 210 : 안장 케이스
211 : 프레임 고정대 212 : 폭 조절버튼
220 : 슬라이딩 홈 230 : 롤러 가이드홈
240 : 케이스 덮개 250 : 롤러
251 : 롤러 고정대 260 : 안장 고정부재
270 : 안장

Claims (5)

  1.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에 설치되어 사람의 대퇴부 부위가 안착되도록 상기 자전거 또는 운동기구 측으로 구비되는 거치봉(110); 상기 거치봉(110) 상부는 요입부로 형성되고, 요입부 양측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각도 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봉(110) 상부 요입부에 삽입되도록 하단부가 요철부로 T형 조절대(120)가 형성되고, 요철부 양측으로 상기 각도 조절홈(111)에 원터치 방식으로 위치되도록 각도 조절버튼(121)이 구비되며,
    상기 T형 조절대(120) 양측으로 안장(27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절프레임(130) 상면으로 사람의 대퇴부에 맞게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폭 조절홈(131)이 구비되며, 상기 폭 조절홈(131)을 따라 원터치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 고정대(211)에 구비되는 폭 조절버튼(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 부(100)와, 상기 조절 프레임(13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 고정대(211)가 일측에 형성되어 안장(27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장케이스(210); 및 상기 안장케이스(210) 일측으로 케이스 마감처리를 위해 다수개의 핀 또는 볼트로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 부(200); 로 이루어지는 가상축형 안장(10)에 있어서,
    상기 안장 케이스(210)는 원호형태의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 케이스(210) 상면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는 슬라이딩 홈(220);
    상기 안장 케이스(210) 내부 상면과 하면에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 가이드 홈(2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 홈(23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롤러(250);
    상기 롤러(250)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롤러(250) 사이에서 상측으로 구비되는 롤러 고정대(251);
    상기 롤러 고정대(251) 상면에 볼트를 통해 결합되는 안장 고정부재(260); 및
    상기 안장 고정부재(260) 상면에 대퇴부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안장(270);
    상기 롤러(250)는 롤러 가이드 홈(230)에 안착되어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그네운동을 하며, 상기 가상의 축은 고관절 축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140157446A 2014-11-12 2014-11-12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KR101483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7446A KR101483948B1 (ko) 2014-11-12 2014-11-12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7446A KR101483948B1 (ko) 2014-11-12 2014-11-12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948B1 true KR101483948B1 (ko) 2015-01-20

Family

ID=5259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7446A KR101483948B1 (ko) 2014-11-12 2014-11-12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826A (ko) * 2019-10-31 2021-05-10 김준서 접철식 안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352A (ko) * 2003-10-28 2005-05-03 (주)중원자전거 자전거 안장
KR100861230B1 (ko) 2007-05-07 2008-10-02 이용견 자전거 안장
KR20090038688A (ko) * 2007-10-16 2009-04-21 김춘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KR20120086470A (ko) * 2011-01-26 2012-08-03 박민서 자전거의 안장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352A (ko) * 2003-10-28 2005-05-03 (주)중원자전거 자전거 안장
KR100861230B1 (ko) 2007-05-07 2008-10-02 이용견 자전거 안장
KR20090038688A (ko) * 2007-10-16 2009-04-21 김춘추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 장치
KR20120086470A (ko) * 2011-01-26 2012-08-03 박민서 자전거의 안장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826A (ko) * 2019-10-31 2021-05-10 김준서 접철식 안장
KR102259516B1 (ko) 2019-10-31 2021-06-02 김준서 접철식 안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7128B2 (en) Leg press machine
US10149999B2 (en) Lower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upper body ped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3190492U (ja) マッサージチェア
US8562496B2 (en) Thigh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US20100167878A1 (en) Exercise device with gliding footlink pivot guide
JP6120190B2 (ja) 調整可能なバックレスト及びシートを備えた椅子
US3968963A (en) Chair-type bicycle exercise device
CA2302063A1 (en) Ergonomic chair
EP1011594A1 (en) A stretching device
US20200171347A1 (en) Stationary bike
US20020193710A1 (en) Leg stretching apparatus
US20150182027A1 (en) Composite chair
KR101483948B1 (ko)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KR20190014681A (ko) 자세교정의자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JP6401024B2 (ja) 腰掛け装置
KR101281675B1 (ko)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US11051627B2 (en) Anterior support device for the lower limbs
KR20160056739A (ko) 고관절 일치형 외축안장
FI85437C (fi) Justerbar stol.
US20200276468A1 (en) Machine for assisted physical activity exercise
KR20120126180A (ko) 운동기구
KR102262359B1 (ko) 하체 운동용 기구
US5267926A (en)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KR101683871B1 (ko) 전신 운동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