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180A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180A
KR20120126180A KR1020110043789A KR20110043789A KR20120126180A KR 20120126180 A KR20120126180 A KR 20120126180A KR 1020110043789 A KR1020110043789 A KR 1020110043789A KR 20110043789 A KR20110043789 A KR 20110043789A KR 20120126180 A KR20120126180 A KR 2012012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ngle adjustment
user
seating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8483B1 (ko
Inventor
성열규
Original Assignee
성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열규 filed Critical 성열규
Priority to KR1020110043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483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는,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한 쌍의 페달이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 사용자의 착석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착석부; 및 사용자의 등을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Sporting Goods}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체 근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부와 그 시트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한 쌍의 페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하체 근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는 하나, 사용자가 등을 기대지 못하고 앉은 채로 상기 페달을 돌려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를 주게 되는 단점을 초래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운동기구는 시트부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신체조건을 가지는 다양한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지 않는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나아가 운동효과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척추 및 골반에 무리를 주지 않고 하체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체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부합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한 쌍의 페달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 사용자의 착석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착석부; 및 사용자의 등을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에 대해 일정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석부는, 등받이부와 함께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착석부를 본체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착석부를 일정위치에 록킹 및 록킹해제시키는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착석부가 설치되고, 복수의 록킹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착석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리브; 상기 가이드리브의 가이드레일에 대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록킹홈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록킹바; 및 상기 록킹바와 록킹홈 간의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록킹바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바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착석부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 발명은 상기 등받이부의 착석부에 대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와 함께 각도조절이 될 수 있도록 그 등받이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각도조절 규제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각도조절 플레이트; 상기 각도조절 플레이트의 각도조절규제홈과 맞물리는 각도조절규제턱이 복수개 배열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레버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규제턱이 각도조절규제홈에 맞물리는 제1위치와 맞물림 해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조절규제링크; 및 상기 각도조절플레이트를 탄성 가압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받친 상태로 하체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착석부의 길이조절수단과 등받이부의 각도조절수단이 채용된 실시예에 의하면, 페달과 착석부 사이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조건이 다른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모두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과, 등받이부의 착석부에 대한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적절하게 등받이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신체조건에 최적으로 부합하는 운동환경에서 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하체 근력의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길이조절수단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도조절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도조절수단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도조절수단의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길이조절수단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도조절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도조절수단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도조절수단의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운동기구는, 본체부(1)와 착석부(2)와 등받이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는,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한 쌍의 페달(11)이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운동량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착석부(2)는, 사용자의 착석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부(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착석부(2)는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상기 등받이부(3)와 함께 본체부(1)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석부(2)의 본체부(1)에 대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착석부(2)의 본체부(1)에 대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수단(4)이 채용되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석부(2)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레일(41)과, 상기 착석부(2)에 마련되는 가이드리브(42)와, 록킹바(43)와, 스프링(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41)에는 복수의 록킹홈(41a)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상기 록킹바(43)는 상기 가이드리브(42)를 관통하여 상기 록킹홈(41a)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삽입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바(43)의 록킹홈(41a)에 대한 삽입상태에 해제된 이후에 도 3과 같이 상기 가이드리브(42)가 착석부(2)와 함께 이동되고 나면, 상기 록킹바(43)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홈(41a)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하고, 그 삽입상태가 유지되어야만 한다. 상기 스프링(44)은, 상기 록킹바(43)를 록킹홈(41a) 측으로 탄성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록킹바(43)와 록킹홈(41a) 간의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조절수단(4)이 채용된 본 실시예는, 페달(11)과 착석부(2) 사이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조건이 다른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모두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는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고 누워서 편안하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2)에 대해 일정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등받이부(3)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3)가 구비되는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받친 상태로 하체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이부(3)가 착석부(2)에 대해 각도조절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되었고, 상기 등받부의 착석부(2)에 대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각도조절플레이트(51)와 각도조절규제링크(52)와 스프링(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플레이트(51)는, 상기 등받이부(3)와 함께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그 등받이부(3)에 연결되는 각도조절로드를 구비하고, 복수의 각도조절규제홈(51a)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상기 각도조절규제링크(52)는, 상기 각도조절규제홈(51a)들에 맞물리는 각도조절규제턱(52a)이 복수개 배열되어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착석부(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작레버(6)와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레버(6)를 조작하게 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규제링크(52)의 각도조절축(56)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조절됨으로써 각도조절규체턱과 각도조절규제홈(51a)들 간의 맞물림이 선택적으로 해제된다.
이러한 각도조절규제링크(52)에는 상기 각도조절축(56)이 삽입되는 장공(52b)이 형성되어 있어서, 일정각도만큼만 틸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각도조절규제링크(52)는, 도 6과 같이 각도조절규제턱(52a)이 각도조절규제홈(51a)에 맞물려 있는 제1위치에서, 상기 조작레버(6)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장공(52b)이 각도조절축(56)을 따라 이동하게 됨에 따라, 도 7과 같이 각도조절규제턱(52a)과 각도조절규제홈(51a)들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제2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원리에 의해 상기 등받이부(3)의 착석부(2)에 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53)은, 상기 각도조절플레이트(51)를 탄성적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등받이부(3)의 착석부(2)에 대한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그 등받이부(3)에 텐션을 가하여 등받이부(3)의 임의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레버(6)와 각도조절규제링크(52) 간의 동력연결은 상기 조작레버(6)와 함께 회동되는 각도조절링크(54)와, 그 각도조절링크(54)와 각도조절규제링크(52)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바(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6)가 작동되면, 도 6에 도시된 각도조절링크(54)가 각도조절되고 그 각도조절링크(54)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바가 상기 각도조절규제링크(52)에 회전력을 가하여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각도조절규제링크(52)가 도 7과 같이 동작된 이후 사용자가 조작레버(6)에 가한 힘을 제거하는 순간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인 도 6과 같은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6)에 연결되어 있는 각도조절링크(54)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55)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3)의 착석부(2)에 대한 각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적절하게 등받이부(3)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신체조건에 최적으로 부합하는 운동환경에서 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하체 근력의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본체부 11:페달
12:디스플레이부 2:착석부
3:등받이부 4:길이조절수단
41:가이드레일 41a:록킹홈
42:가이드리브 43:록킹바
44:스프링 51:각도조절플레이트
51a:각도조절규제홈 52:각도조절규제링크
52a:각도조절규제턱 52b:장공
53:스프링 54:각도조절링크
55:스프링 56:각도조절축
6:조작레버

Claims (2)

  1.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한 쌍의 페달(1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1);
    사용자의 착석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상기 본체부(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착석부(2); 및
    사용자의 등을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착석부(2)에 대해 일정각도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등받이부(3); 및
    상기 착석부(2)를 본체부(1)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착석부(2)를 일정위치에 록킹 및 록킹해제시키는 길이조절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착석부(2)는, 등받이부(3)와 함께 상기 본체부(1)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3)는 상기 착석부(2)에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3)의 착석부(2)에 대한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4)은,
    상기 착석부(2)가 설치되고, 복수의 록킹홈(4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41); 상기 착석부(2)에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리브(42); 상기 가이드리브(42)의 가이드레일(41)에 대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리브(42)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레일(41)의 록킹홈(41a)에 삽입 및 삽입해제되는 록킹바(43); 및 상기 록킹바(43)와 록킹홈(41a) 간의 삽입이 해제된 상태에서 그 록킹바(43)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록킹바(4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4);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등받이부(3)와 함께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그 등받이부(3)에 연결되고, 복수의 각도조절규제홈(51a)이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각도조절플레이트(51); 상기 각도조절플레이트(51)의 각도조절규제홈(51a)과 맞물리는 각도조절규제턱(52a)이 복수개 배열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조작레버(6)와 동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작레버(6)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규제턱(52a)이 각도조절규제홈(51a)에 맞물리는 제1위치와 맞물림 해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조절규제링크(52); 및 상기 각도조절플레이트(51)를 탄성 가압시키는 스프링(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KR1020110043789A 2011-05-11 2011-05-11 운동기구 KR10121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89A KR101218483B1 (ko) 2011-05-11 2011-05-11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89A KR101218483B1 (ko) 2011-05-11 2011-05-11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180A true KR20120126180A (ko) 2012-11-21
KR101218483B1 KR101218483B1 (ko) 2013-01-04

Family

ID=4751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789A KR101218483B1 (ko) 2011-05-11 2011-05-11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4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48Y1 (ko) * 2013-09-03 2015-03-02 이종애 등받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이클 운동기구
KR101511677B1 (ko) * 2013-11-05 2015-04-13 유두선 하체단련을 위한 자전거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154B1 (ko) * 2016-11-30 2017-09-28 강정모 자전거형 전신운동기구
KR102535761B1 (ko) * 2022-10-27 2023-05-30 이봉원 스마트 체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594Y1 (ko) * 2002-05-28 2002-12-26 김미정 의자 탈부착식 헬스싸이클
KR20030036427A (ko) * 2003-04-01 2003-05-09 염락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323318Y1 (ko) * 2003-05-14 2003-08-14 진방호 다리 유산소 운동 기구
KR20110000763U (ko) * 2009-07-16 2011-01-24 김홍기 페달형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48Y1 (ko) * 2013-09-03 2015-03-02 이종애 등받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사이클 운동기구
KR101511677B1 (ko) * 2013-11-05 2015-04-13 유두선 하체단련을 위한 자전거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483B1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638B2 (en) Delordosation device
US20150105228A1 (en) Exercise apparatus
KR101218483B1 (ko) 운동기구
KR20140000216U (ko) 복부 운동 기계
US20110183826A1 (en) Exercise apparatus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KR101535753B1 (ko) 의자장착용 운동기구
KR20110019031A (ko) 다리 벌림 운동기구
EP2599526B1 (en) Machine for gymnastic exercises, particularly for exercising the abdominal muscles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KR101203236B1 (ko) 운동기구
US20080081749A1 (en) Exercise Device for at Least Parts of the Back Muscles of a Human Body
KR100760756B1 (ko) 의자의 틸팅장치
KR20140089194A (ko) 허리운동장치가 구비된 의자
KR20120080706A (ko) 스트레칭 기구
US9925414B2 (en) Training apparatus for the trunk musculature
KR20160053862A (ko) 회전의자를 이용한 운동기구
KR101131508B1 (ko) 스트레칭 의자
JP6075816B1 (ja) 多目的運動器具
US10589148B1 (en) Inclinable recumbent exercise device
KR101610054B1 (ko) 복합 스윙 운동기구
US11938368B1 (en) Exercise bench with adjustable backrest
WO2004098724A1 (en) Training apparatus with adjustment device
CN107080378A (zh) 一种适用于老人昏睡的椅子
KR20120006355A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