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031A - 다리 벌림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리 벌림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031A
KR20110019031A KR1020090076576A KR20090076576A KR20110019031A KR 20110019031 A KR20110019031 A KR 20110019031A KR 1020090076576 A KR1020090076576 A KR 1020090076576A KR 20090076576 A KR20090076576 A KR 20090076576A KR 20110019031 A KR20110019031 A KR 20110019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chair
movable block
ratche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중
Original Assignee
이희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중 filed Critical 이희중
Priority to KR102009007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031A/ko
Publication of KR2011001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쳇트 방식의 핸들 조작을 통해 양 다리의 벌림 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다리 벌림 운동을 무리하지 않으면서도 매우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다리 벌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등받이(11)에 등을 편하게 기대고 앉을 수 있는 의자(10)와; 상기 의자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랙(21)이 형성된 고정 지지바(20)와; 상기 의자에 대하여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유설되고, 사용자의 양 다리를 각각 올려 놓을 수 있는 다리 거치대(31)가 구비되며, 회동용 바퀴(32)가 구비된 회동 지지바(30)와; 상기 고정 지지바에 관통 형성되고, 하부로는 이동용 바퀴(41)가 구비된 이동블럭(40)과; 상기 고정 지지바(20)의 랙(21)을 따라 상기 이동블럭(40)을 라쳇트 방식으로 전후 이동 조작하기 위한 핸들(58)을 포함하는 전후 이동 조작부(50); 및 상기 이동블럭(40)과 상기 회동 지지바(30)와의 사이에 양단이 상호 유설 지지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전후 이동에 따라 동시에 움직이면서 상기 회동 지지바(30)를 동일한 각도로 동시에 벌어지게 하거나 오므려지도록 절첩 조작하는 절첩 조작간(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다리벌림, 다리 거치대, 랙, 구동기어, 절첩 조작간

Description

다리 벌림 운동기구{Sporting goods for spreading legs}
본 발명은 다리 운동 벌림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쳇트 방식의 핸들 조작을 통해 양 다리의 벌림 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여 다리 벌림 운동을 무리하지 않으면서도 매우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다리 벌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유연성은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데, 특히 무용이나 체조, 태권도, 합기도 등의 운동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하체의 유연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이다. 이러한 하체의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양쪽 다리를 벌려 앉은 자세에서 상체를 앞으로 굽히거나, 한쪽 발을 수평바에 올려놓고 상체를 굽히는 반복 동작을 통해 인위적으로 다리를 벌리는 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운동 방법은 매우 원시적인 방법으로서, 순전히 운동자의 의지력에 따라 운동량이 좌우될 뿐 아니라 양쪽 다리를 균등하게 벌리거나 오래 참고 견디는 것이 매우 어렵고, 또 잘못하는 경우 근육 파열 등 신체 손상 우려를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효과적이면서도 체계적인 다리 벌림 운동을 기대하기는 매우 어렵다고할 것이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기구적인 방법을 통해 다리 벌림 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몇몇 기구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다.
그 일 예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하체 스트레칭기구가 개발되어 혼자서도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하체 스트레칭기구는 힌지블록(110)과, 이 힌지블록(11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20)과, 이 가이드레일(120)에 전 후진가능하게 설치된 착석부(130)와, 상기 가이드레일(120) 양측에 위치되어 그 기단부가 힌지블록(11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한 쌍의 발판 연결바아(150)와, 이 발판 연결바아(150)의 선단에 구비되어 발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된 한 쌍의 발판(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하체 스트레칭기구는 자신의 발을 양측의 발판(140)에 각각 거치시키고 자신이 앉아있는 착석부(130)를 힌지블록(110) 쪽으로 강제 전진시키므로써, 발판(140)에 거치시킨 양쪽 다리가 벌어지도록 하여 스트레칭운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스트레칭기구는 양쪽 다리를 원하는 각도로 벌리기 위해서는 자신의 체중이 실린 착석부(130)를 팔의 힘으로 상당거리 전진시켜야 하므로, 기구의 사용이 매우 힘들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당한 힘을 가해 자신이 앉은 착석부(130)가 일단 전진되기 시작하면, 관성력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쉽게 전진되므로, 다리의 벌림 각도를 조금씩 조절 하기가 어려워 근육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부상을 입기 쉽다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스트레칭기구는 양쪽 다리가 벌려진 각도를 확인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지 않아, 운동자가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여 스트레칭 각도를 조금씩 늘려갈 뿐 체계적인 운동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으며, 그 외에도 상기한 구조의 스트레칭기구는 힘을 가해 양쪽 다리를 벌리게 되면 양쪽 다리가 다시 오무려들려고 하기 때문에 다리를 벌린 상태로 상당시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앉아있는 착석부(13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몸을 강제로 지탱하고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3945호의 “다리벌림 운동기구”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다리벌림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지지블럭에 구비된 벨트부재를 허리에 묶어 움직이도 못하도록 한 다음 고정바아를 따라 주행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블럭에 대하여 볼트로 좌우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양 회동바아의 안치대에 양발을 놀려 놓은 다음 지지블럭에 구비된 권취기의 제1조작구를 전후로 움직여 줌으로써 장력을 조절하는 로프가 제1조작구에 감겨지게 됨과 동시에 그 타단부로 연결된 이동블럭이 지지블럭 방향으로 고정바아를 중심으로 잡아당겨지도록 강제 주행하고, 이러한 이동블록의 전진 주행과 동시에 상기 양발이 안치된 회동바아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동작을 통해 양 다리가 벌어지도록 하고, 상기 로프의 권취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블럭이 역 주행하는 것에 의해 다시 양 회동바아가 오므려지도록 하는 동작을 통해 양 다리를 반 강제로 벌리는 운동을 하도록 한 구성이다.
하지만, 상기한 운동기구는 이동블럭에 구비된 양 회동바아가 볼트로 좌우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가 완전히 일자 상태로 벌어져 고정블럭에 고정 지지되기 전까지는 양 회동바아의 좌우 회동 상태가 일정한 각도가 유 지되도록 조절 제어되지 못하기 때문에 최초 다리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완전히 벌어지는 상태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양 다리가 벌어지는 각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벌어지지 못함에 따라 양 다리의 벌림 정도가 다르게되어 안정되고 균형된 운동 효과를 발휘하기가 매우 어렵게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어서 전자의 운동기구에 비하여 진보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용은 저조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운동기구들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편한 자세로 앉은 상태에서 다리 거치대에 올려진 양 다리를 라쳇트방식의 핸들 조작을 통해 상기 다리 거치대가 구비된 회동 지지바가 항상 동일한 각도로 안정되게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제어됨에 따라 양 다리의 벌림 각도가 항상 균등하게 유지되도록 조절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한 다리 벌림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리 벌림운동기구는, 등받이에 등을 편하게 기대고 앉을 수 있는 의자와; 상기 의자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랙이 형성된 고정 지지바와; 상기 의자에 대하여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유설되고, 사용자의 양 다리를 각각 올려 놓을 수 있는 다리 거치대가 구비되며, 이동용 바퀴가 구비된 회동 지지바와; 상기 고정 지지바에 관통 형성되고, 하부로는 이동용 바퀴가 구비된 이동블럭과; 상기 고정 지지바의 랙을 따라 상기 이 동블럭을 라쳇트 방식으로 전후 이동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는 전후 이동 조작부; 및 상기 이동블럭과 상기 회동 지지바와의 사이에 양단이 상호 유설 지지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전후 이동에 따라 동시에 움직이면서 상기 회동 지지바를 동일한 각도로 동시에 벌어지게 하거나 오므려지도록 절첩 조작하는 절첩 조작간; 을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쳇트 방식으로 이동블럭을 전후로 이동 조작하는 전후 이동 조작부는, 이동블럭의 내부에 고정 지지바의 랙과 맞물려지도록 구비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기어는 양 단부가 안착요홈이 마련되어 지게 형성된 관통공 및 관통공이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조작간에 의해 양단이 상기 이동블럭의 관통공을 통해 회전 자재되게 관통 지지되고 동시에 중앙의 다각형 축이 이와 동일한 형상의 축홈에 끼워지는 구동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 지지되고, 상기 제1 조작간의 안착요홈으로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으로 형성된 래칫휠부가 안착 지지되며, 상기 제1조작간의 안착요홈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공간으로는 상기 래칫휠부에 대한 회전 방향을 구속하기 위한 제1 및 제2래칫기어부가 형성되고 또 방향 전환 지지용 걸림부가 구비된 폴이 끼워지며, 상기 폴은 제1조작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이에 형성된 다각형 홈에 동일 형상의 축부가 끼워지는 폴 방향 조절구의 조절에 의해 상기 래칫휠부에 대한 제1 및 제2래칫기어부의 구속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래칫휠부에 대한 폴의 구속 방향 제어는 제1조작간의 조절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공에 일단부가 관통 지지된 지지돌기 및 그 후방부를 상시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방향 전환 조절 제어부의 구 성에 의해 조절 제어되며, 상기 제1 및 제2 조작간에 대하여 일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대 및 이들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핸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후 이동 조작부의 핸들 조작으로 회전 이동하는 구동기어는 일시정지수단에 의해 그 회전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시정지수단은, 이동블럭의 조절공 외측으로 일단부가 노출되게 핀으로 유설된 조작레버와, 상기 구동기어의 정역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에 선택적으로 걸림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레버의 타단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정지편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와 이동블럭 과의 사이로는 상기 이동블럭의 임의적인 전진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의자의 반대방향으로 텐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고정 지지바에 탄력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를 중심으로 양 다리를 올려놓고 벌리거나 오므리기 위한 다리 거치대가 구비된 회동 지지바가 이동블럭을 따라 전 후이동 조작되는 절첩 조작간에 의해 항상 동일한 각도로 절첩 조작되기 때문에 양 다리의 벌림 동작이 균등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상기 회동 지지바의 벌림 각도가 라쳇트 방식의 핸들 조작을 통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자의 운동량에 맞추어 적절한 다리 벌림 운동을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 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다리벌림 운동기구와 관련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리 벌림 운동기구는, 등받이(11)에 등을 편하게 기대고 앉을 수 있는 의자(10)와; 상기 의자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랙(21)이 형성된 고정 지지바(20)와; 상기 의자에 대하여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유설되고, 사용자의 양 다리를 각각 올려 놓을 수 있는 다리 거치대(31)가 구비되며, 회동용 바퀴(32)가 구비된 회동 지지바(30)와; 상기 고정 지지바에 관통 형성되고, 하부로는 이동용 바퀴(41)가 구비된 이동블럭(40)과; 상기 고정 지지바(20)의 랙(21)을 따라 상기 이동블럭(40)을 라쳇트 방식으로 전후 이동 조작하기 위한 핸들(58)을 포함하는 전후 이동 조작부(50); 및 상기 이동블럭(40)과 상기 회동 지지바(30)와의 사이에 양단이 상호 유설 지지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전후 이동에 따라 동시에 움직이면서 상기 회동 지지바(30)를 동일한 각도로 동시에 벌어지게 하거나 오므려지도록 절첩 조작하는 절첩 조작간(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라쳇트 방식으로 이동블럭(40)을 전후로 이동 조작하는 전후 이동 조작부(50)는, 이동블럭(40)의 내부에 고정 지지바(20)의 랙(21)과 맞물려지도록 구비되는 구동기어(51)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기어는 양 단부가 안착요홈(521)이 마련 되어 지게 형성된 관통공(521a) 및 관통공(531)이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조작간(52)(53)에 의해 양단이 상기 이동블럭의 관통공(42)을 통해 회전 자재되도록 관통 지지되고 동시에 중앙의 다각형 축(541)이 이와 동일한 형상의 축홈(511)에 끼워지는 구동축(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 지지되고, 상기 제1 조작간의 안착요홈(521)으로는 상기 구동축(54)의 일단으로 형성된 래칫휠부(542)가 안착 지지되며, 상기 제1조작간(52)의 안착요홈(521)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공간(522)으로는 상기 래칫휠부(542)에 대한 회전 방향을 구속하기 위한 제1 및 제2래칫기어부(551)(552)가 형성되고 또 방향 전환 지지용 걸림부(553)가 구비된 폴(55)이 끼워지며, 상기 폴(55)은 제1조작간(52)에 형성된 관통공(523)을 통해 이에 형성된 다각형 홈(554)에 동일 형상의 축부(561)가 끼워지는 폴 방향 조절구(56)의 조절에 의해 상기 래칫휠부(542)에 대한 제1 및 제2래칫기어부(551)(552)의 구속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래칫휠부(541)에 대한 폴(55)의 구속 방향 제어는 제1조작간(52)의 조절공간(522)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공(524)에 일단부가 관통 지지된 지지돌기(571) 및 그 후방부를 상시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572)로 이루어진 방향 전환 조절 제어부(57)의 구성에 의해 조절 제어되며, 상기 제1 및 제2 조작간(52)(53)에 대하여 일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대(581) 및 이들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손잡이(582)로 이루어지는 핸들(58)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제1조작간(52)의 안착요홈(521)으로 안착 지지되는 구동축(54)의 래칫휠부(542)는 커버(59)에 의해 커버 고정된다.
또한, 이동블럭(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기어(51)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동시에 제1 및 제2조작간(52)(53)이 동시에 회전 자재되도록 관통 지지되는 구동축(54)은 제2조작간(53)의 외측으로 노출된 단부를 E-링(542)으로 고정 지지함으로써 이들의 분해 조립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작간(52)의 조절공간(522)에 구비된 폴(55)의 방향을 전환하기위한 폴 방향 조절구(56) 역시 그 타단부를 E-링(542)으로 고정 지지함으로써 분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방향 전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전후 이동 조작부(50)의 구성에 의해 이동블럭(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기어(51)는 다각형 축홈(511)에 끼워진 구동축(54)의 축부(541) 구성에 의해, 또 상기 폴(55)은 이에 형성된 다각축 홈(553)에 끼워지는 폴 방향 조절구(56)의 축부(561) 구성에 의해 그 회전 구동력 및 방향 전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구동기어(51)는 폴(55)의 방향 전환에 따라 이에 형성된 제1 및 제2래칫기어부(541)(542)가 선택적으로 물리게되고 동시에 핸들(58)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축(54)을 통해 상기 구동기어(51)가 선택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 지지바(20)의 랙(21)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후 이동 조작부(50)의 핸들(58) 조작으로 회전 이동하는 구동기어(51)는 일시정지수단(70)에 의해 그 회전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일시정지수단(70)은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럭(40)의 조절공(43) 외측으로 일단부가 노 출되게 핀((71)으로 유설된 조작레버(72)와, 상기 구동기어(51)의 정역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51)에 선택적으로 걸림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레버(72)의 타단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정지편(73)(74)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핸들(58) 조작으로 회전되는 구동기어(51)는 상기한 일시정지수단(70)의 조작으로 인해 구동기어(51)는 제1 또는 제2정지편(73)(74)의 걸림에 의해 그 회전력이 일시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핸들(58)을 잡고 있지 않더라도 이동블럭(40)의 이동은 저지되고, 동시에 회동 지지바(30)의 벌어짐 또는 오므려지는 각도가 정지됨에 따라 운동자는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의자(10)와 이동블럭(40) 과의 사이로는 상기 이동블럭의 임의적인 전진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의자(10)의 반대방향으로 텐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80)를 고정 지지바(20)에 탄력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이동블럭(40)이 의자(10) 방향으로 전진되는 경우, 항상 의자(10) 반대쪽으로 탄성부재(80)의 텐션력이 제공됨에 따라 핸들(58)의 전진 조작에 따른 이동블럭(40)의 급속한 이동이 저지됨에 따라 회동 지지바(30)의 안정된 벌림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 지지바(30)와 이동블럭(40)에 각각 구비되는 이동용 바퀴(32)(41)는 360°회전 가능한 구조로 채용됨으로써 상기 회동 지지바(30) 및 이동블럭(40)의 회동이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 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리벌림운동기구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의자(10)를 중심으로 이동블럭(40)이 가깝게 다가오는 것을 ‘전진’이라고 하고, 멀어지는 것을 ‘전진’이라고 한다.
도 8a는 이동블럭(40)이 의자(10) 방향으로 전진 이동되면서(화살표 ‘A’방향) 회동 지지바(30)가 도 6a와 같이 벌어지도록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1조작간(52)의 조절공간(522)으로 끼워진 폴(55)의 방향이 폴 방향 조절구(56)의 인위적인 조절을 통해 제1레칫기어부(551)가 래칫휠부(542)와 서로 치합되도록 조작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폴(55)은 방향 전환 지지용 걸림부(553)가 탄성부재(572)로 탄력 설치된 지지돌기(571)에 탄성 걸림되어 해당 조작 위치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조작간(52)(53)과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전후 이동 조작부(50)의 핸들(58)을 운동자가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화살표 ‘B’방향), 폴(55)의 제1레칫기어부(551)에 의해 이와 맞물려진 래칫휠부(5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되고 동시에 구동축(54)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54)의 다각형의 축부(541)에 해당 축홈(511)이 관통 지지된 구동기어(51)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조작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51)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하부로 위치된 고정 지지바(20)의 랙(21)을 따라 전진하게 되고, 구동축(54)을 통해 일체로 구동기어(51)와 일체로 조립되어진 이동블럭(40) 역시 함께 전진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으로 당기고 있던 핸들(58)을 후방으로 젖히면(화살표 ‘B ’방향과 반대) 이때 폴(55)의 제1레칫기어부(551)는 레칫휠부(542)로부터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제1 및 제2조작간(52)(53)과 함께 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젖혀지게 되고, 이때 구동기어(51)는 래칫휠부(542)의 구동력 상실로 인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이동블럭(40)은, 상기한 핸들(58)의 반복적인 전 후방향 조작을 통해 전진 구동력이 제어되는 구동기어(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고정 지지바(20)을 중심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이동블럭(40)의 전진 이동과 동시에 상기 이동블럭(40)과 회동 지지바(30)와의 사이에 유설된 절첩 조작간(60)은 점차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한편, 도 8b는 이동블럭(40)이 의자(10)로부터 멀어지도록 후진 이동되면서(화살표 ‘A1’방향) 회동 지지바(30)가 도 6b와 같이 오므려지도록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1조작간(52)의 조절공간(522)으로 끼워진 폴(55)의 방향이 폴 방향 조절구(56)의 인위적인 조절에 의해 폴(55)의 제2레칫기어부(552)가 구동축(54)의 레칫휠부(542)와 맞물려 지도록 조절된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폴(55)은 방향 전환 지지용 걸림부(553)의 반대 측이 탄성부재(572)로 탄력 설치된 지지돌기(571)에 상호 걸림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조작간(52)(53)과의 사이에 연결 설치된 전후 이동 조작부(50)의 핸들(58)을 운동자가 후방으로 밀면(화살표 ‘B1’방향), 폴(55)의 제1레칫기어부(552)에 의해 이와 맞물려진 래칫휠부(5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조작되고, 이러한 래칫휠부(542)의 회전 조작을 통해 구동축(54)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다각형의 축 부(541)가 해당 축홈(511)에 관통 지지된 구동기어(51)가 동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51)는 구동축(54)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하부로 위치된 고정 지지바(20)의 랙(21)을 따라 후진하게 되고, 또한 이동블럭(40) 역시 함께 후진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으로 당기고 있던 핸들(58)을 전방으로 젖히면(화살표 ‘B1’방향과 반대) 이때 폴(55)의 제2레칫기어부(552)는 레칫휠부(542)로부터 구속력이 해제되면서 제1 및 제2조작간(52)(53)과 함께 전방으로 일정 거리만큼 젖혀지게 되고, 이때 구동기어(51)는 래칫휠부(542)의 구동력 상실로 인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이동블럭(40)은, 상기한 핸들(58)의 반복적인 후전진 조작을 통해 후진 구동력이 제어되는 구동기어(51)가 시게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고정 지지바(20)을 중심으로 후진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이동블럭(40)의 후진 이동과 동시에 상기 이동블럭(40)과 회동 지지바(30)와의 사이에 양단이 유설된 양 절첩 조작간(60)은 점차적으로 오므려지게 이러한 절첩 조작간(60)의 접힘 동작에 의해 상기 회동 지지바(30) 역시 균등하게 오므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의 다리 벌림 운동기에 따르면, 라쳇트방식으로 이루어진 전후 이동 조작부(50)의 핸들(58)을 당기거나 미는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전 후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제어되는 구동축(54)에 의해 구동기어(51)가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 지지바(20)의 랙(2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고 동시에 이동블럭(40)과 회동 지지바(30)와의 사이에 게재된 절첩 조작 간(60)의 절첩 동작을 통해 다리 거치대(31)가 구비된 회동 지지바(30)가 의자(10)를 중심으로 항상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기 때문에 다리 벌림 운동을 매우 효과적이면서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다리 벌림 운동시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회동 지지바(30)의 벌림이나 좁혀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블럭(40)에 구비된 일시정지수단(70)의 조작레버(72)를 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이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정지편(73)(74)이 구동기어(51)에 선택적으로 걸림됨에 따라 운동자가 전후 이동 조작부(50)의 핸들(58)을 잡고 있지 않더라도 상기 구동기어(51)가 회전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운동자는 편안한 자세에서 필요한 각도 만큼 벌어지거나 오므려진 다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체스트레칭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벌림 운동기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 이동 조작부의 발췌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조작부가 이동블럭에 조립된 상태의 조립 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 이동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이동블럭이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상태를 각각 보인 전후 이동 조작 평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시정지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발취 측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 이동조작부 구성에 의해 이동블럭이 고정 지지바를 따라 전진 및 후진하는 상태를 보인 발췌 측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의자 20: 고정 지지바
21: 랙 30: 회동 지지바
31: 다리 거치대 32, 41: 이동용 바퀴
40: 이동블럭 42: 관통공
43: 조절공 50: 전후 이동 조작부
51: 구동기어 52,53: 제1 및 제2조작간
54: 구동축 55: 폴
56: 폴 방향 조절구 57: 방향 전환 조절 제어부
58: 핸들 60: 절첩 조작간
70: 일시정지수단 71: 핀
72: 조작레버 73,74: 제1 및 제2정지편
80,572: 탄성부재 511: 축홈
521: 안착요홈 521a,523,531: 관통공
522: 조절공간 524: 조절공
541: 다각형 축 542: 래칫휠부
551,552: 제1 및 제2래칫기어부 553: 방향 전환 지지용 걸림부
554: 다각형 홈 561: 축부
571: 지지돌기

Claims (5)

  1. 등받이(11)에 등을 편하게 기대고 앉을 수 있는 의자(10)와;
    상기 의자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랙(21)이 형성된 고정 지지바(20)와;
    상기 의자에 대하여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유설되고, 사용자의 양 다리를 각각 올려 놓을 수 있는 다리 거치대(31)가 구비되며, 회동용 바퀴(32)가 구비된 회동 지지바(30)와;
    상기 고정 지지바에 관통 형성되고, 하부로는 이동용 바퀴(41)가 구비된 이동블럭(40)과; 상기 고정 지지바(20)의 랙(21)을 따라 상기 이동블럭(40)을 라쳇트 방식으로 전후 이동 조작하기 위한 핸들(58)을 포함하는 전후 이동 조작부(50); 및
    상기 이동블럭(40)과 상기 회동 지지바(30)와의 사이에 양단이 상호 유설 지지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전후 이동에 따라 동시에 움직이면서 상기 회동 지지바(30)를 동일한 각도로 동시에 벌어지게 하거나 오므려지도록 절첩 조작하는 절첩 조작간(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벌림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라쳇트 방식으로 이동블럭(40)을 전후로 이동 조작하는 전후 이동 조작부(50)는, 이동블럭(40)의 내부에 고정 지지바(20)의 랙(21)과 맞물려지도록 구비되는 구동기어(51)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기어는 양 단부가 안착요홈(521)이 마련 되어 지게 형성된 관통공(521a) 및 관통공(531)이 각각 구비된 제1 및 제2 조작간(52)(53)에 의해 양단이 상기 이동블럭(40)의 관통공(42)을 통해 회전 자재되도록 관통 지지되고 동시에 중앙의 다각형 축(541)이 이와 동일한 형상의 축홈(511)에 끼워지는 구동축(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 지지되고, 상기 제1 조작간의 안착요홈(521)으로는 상기 구동축(54)의 일단으로 형성된 래칫휠부(542)가 안착 지지되며, 상기 제1조작간(52)의 안착요홈(521)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공간(522)으로는 상기 래칫휠부(542)에 대한 회전 방향을 구속하기 위한 제1 및 제2래칫기어부(551)(552)가 형성되고 또 방향 전환 지지용 걸림부(553)가 구비된 폴(55)이 끼워지며, 상기 폴(55)은 제1조작간(52)에 형성된 관통공(523)을 통해 이에 형성된 다각형 홈(554)에 동일 형상의 축부(561)가 끼워지는 폴 방향 조절구(56)의 조절에 의해 상기 래칫휠부(542)에 대한 제1 및 제2래칫기어부(551)(552)의 구속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래칫휠부(541)에 대한 폴(55)의 구속 방향 제어는 제1조작간(52)의 조절공간(522)과 연통되게 형성된 조절공(524)에 일단부가 관통 지지된 지지돌기(571) 및 그 후방부를 상시 전방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572)로 이루어진 방향 전환 조절 제어부(57)의 구성에 의해 조절 제어되며, 상기 제1 및 제2 조작간(52)(53)에 대하여 일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연결대(581) 및 이들 사이에 연결 조립되는 손잡이(582)로 이루어지는 핸들(58)로 이루어진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벌림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이동 조작부(50)의 핸들(58) 조작으로 회전 이동하는 구동기어(51)는 일시정지수단(70)에 의해 그 회전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벌림 운동기구.
  4. 제3항에 잇어서,
    상기 일시정지수단(70)은, 이동블럭의 조절공(43) 외측으로 일단부가 노출되게 핀((71)으로 유설된 조작레버(72)와, 상기 구동기어(51)의 정역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 및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기어(51)에 선택적으로 걸림 조작되도록 상기 조작레버(72)의 타단부에 구비된 제1 및 제2정지편(73)(7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벌림 운동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10)와 이동블럭(40) 과의 사이로는 상기 이동블럭의 임의적인 전진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의자(10)의 반대방향으로 텐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80)가 고정 지지바(20)에 탄력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벌림 운동기구.
KR1020090076576A 2009-08-19 2009-08-19 다리 벌림 운동기구 KR20110019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576A KR20110019031A (ko) 2009-08-19 2009-08-19 다리 벌림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576A KR20110019031A (ko) 2009-08-19 2009-08-19 다리 벌림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031A true KR20110019031A (ko) 2011-02-25

Family

ID=4377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576A KR20110019031A (ko) 2009-08-19 2009-08-19 다리 벌림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03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4112A (zh) * 2017-05-11 2017-07-21 杭州厚谋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腿部劈叉训练装置的分腿机构
CN106975201A (zh) * 2017-05-11 2017-07-25 杭州厚谋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腿部劈叉训练装置的后座板
CN107096181A (zh) * 2017-05-11 2017-08-29 杭州厚谋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腿部劈叉训练装置
CN108905074A (zh) * 2018-07-19 2018-11-30 卢乐 腿部韧带拉伸器
CN117482470A (zh) * 2024-01-03 2024-02-02 江苏奥泰家具有限公司 一种可调式肢体活动康复训练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4112A (zh) * 2017-05-11 2017-07-21 杭州厚谋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腿部劈叉训练装置的分腿机构
CN106975201A (zh) * 2017-05-11 2017-07-25 杭州厚谋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腿部劈叉训练装置的后座板
CN107096181A (zh) * 2017-05-11 2017-08-29 杭州厚谋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腿部劈叉训练装置
CN108905074A (zh) * 2018-07-19 2018-11-30 卢乐 腿部韧带拉伸器
CN117482470A (zh) * 2024-01-03 2024-02-02 江苏奥泰家具有限公司 一种可调式肢体活动康复训练装置
CN117482470B (zh) * 2024-01-03 2024-03-19 江苏奥泰家具有限公司 一种可调式肢体活动康复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00632A (en) Exercising device
AU2015202320B2 (en) Cord retraction assembly
CA2436231C (en) Exercise device
US7396319B1 (en) Inner and outer thigh exercise machine
US6652425B1 (en) Cyclocentric ergometer
US5498222A (en) Exercise device
US7654941B2 (en) Exercise apparatus
US8790227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US912607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9168416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KR20110019031A (ko) 다리 벌림 운동기구
KR10102878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EP3130379B1 (en) Elasticity adjusting mechanism of an exercise equipment
KR101506419B1 (ko) 다리 찢기 운동기구
US9101792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TWM522050U (zh) 腰腹運動健身椅
GB2482136A (en) A portable exercise device with a rotatable lever or leg support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US20110105285A1 (en) Abdominal exercising device
JP4648720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KR101316228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130084738A (ko) 탄성 복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용 의자
KR200338175Y1 (ko) 하체운동기구
KR101114285B1 (ko)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AU2015202270A1 (en) Arm cord ri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