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285B1 -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285B1
KR101114285B1 KR1020090009042A KR20090009042A KR101114285B1 KR 101114285 B1 KR101114285 B1 KR 101114285B1 KR 1020090009042 A KR1020090009042 A KR 1020090009042A KR 20090009042 A KR20090009042 A KR 20090009042A KR 101114285 B1 KR101114285 B1 KR 101114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ck plate
fixed
torsion sp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689A (ko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박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수 filed Critical 박병수
Priority to KR102009000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2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63B21/025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by torsion of the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을 이용하여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근력 외에도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구성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수평하게 위치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착석판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등판과,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장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09042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프레임. 등판, 회전착석판, 탄성부, 장력제어부

Description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bdominal Muscles}
본 발명은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을 이용하여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근력 강화 운동 외에도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최근 비만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비만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운동기구들을 작동하기 위해서는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근력이 약한 운동 초보자 및 노약자의 경우에 힘이 부족하여 운동을 쉽게 포기하거나 운동 초기에 과도한 힘을 쓰다가 부상을 입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숙련자는 현재 실시하고 있는 운동량 보다 더 큰 운동량으로 운동하고자 할 경우, 기존에 운동하였던 운동기구를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운동기구들은 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나 노약자들도 초기부터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개발되고 있으며,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근력에 맞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어 초보자 및 노약자들은 작은 운동량으로 운동을 시작하고, 숙련자는 보다 큰 운동량으로 운동할 수 있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목적인 복근력 강화 운동 외에도 허리돌리기, 팔굽혀펴기, 지압 등의 효과를 발현할 수 있게 구성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수평하게 위치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착석판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등판과,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장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는 안쪽으로 접히거나 바깥쪽으로 수직보다 큰 각으로 선회하여 펼쳐지는 다리가 장착되며, 상기 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받쳐준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리와 상기 프레임 사이 에는 제1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제1토션스프링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상기 다리가 접히거나 펼쳐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판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탄성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등판이 선회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상기 회전축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판에는 지지축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을 관통하고, 상기 브라켓의 바깥쪽에는 장력제어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장력제어부는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인 스파이럴 스프링의 안쪽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바깥단부는 상기 장력제어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에는 다수 개의 암나사공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사형으로 형성된 암나사공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력제어부의 일측을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고 타측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암나사공들 중 어느 한 암나사공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장력제어부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바깥쪽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은 회전프레임에 회 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접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암레스트가 각각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판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판에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측으로 연장된 손잡이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판에는 지압 롤이 다수 개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등판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축이 장착되고, 상기 등판이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비틀릴 수 있게 트위스트 조립체가 상기 지지축과 상기 등판을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위스트 조립체는, 상기 지지축의 둘레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둘레에 위치하는 제2토션스프링과, 상기 고정체가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의 둘레에 고정되며 상기 제2토션스프링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양단을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등판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2토션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결합 용 브라켓과, 상기 고정체에 장착된 상기 제2토션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용 브라켓이 이탈하지 않게 상기 고정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멈춤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토션스프링은 그 양단이 상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돌기는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양단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용 브라켓은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양단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돌기와, 상기 절곡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절곡돌기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어 상기 결합용 브라켓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홈과, 상기 등판에 고정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평판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원하는 운동량의 정도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운동량을 조절함으로써, 남녀노소 구분 없이 다양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앉는 착석부가 회전 가능함에 따라 허리 돌리기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암레스트를 파지한 상태로 팔굽혀 펴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주목적인 복근력 강화 운동 외에도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다리를 세우거나 눕힘에 따라 허리를 펼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다리를 세우면 사용자의 허리를 활처럼 최대한 펼 수 있어 운동 전에 스트레칭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등판에 지압 롤이 장착되어 운동하면서 등쪽에 위치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헤드레스트 및 손잡이가 설치되어 편안하고 바른 자세에서 복근력 강화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그래픽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간판과 다리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회전축과 탄성부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조립체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트위스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한 회전착석판(110)과, 상기 회전착석판(110)이 장착되는 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120)의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등판(150)과, 상기 등판(150)이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70) 및 상기 프레임(120)의 저면에 세워지거나 접히도록 장착된 다리(18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에는 사용자가 회전착석판(110)에 앉은 상태에서 두 팔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191)가 프레임(120)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되고, 등판(150)의 상부 중앙에는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193)가 장착되며, 헤드레스트(193)의 양측으로는 손잡이(195)가 좌우측으로 형성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은 상판(121), 중간판(131), 하판(141)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판(121)과 하판(141)이 상호 접하여 고정되며, 상호 접하여 고정된 상판(121)과 하판(141)의 사이에 중간판(131)이 위치하고, 중간판(131)은 하판(14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120)에 있어서, 상기 하판(141)은 좌우방향으로 날개부(143)가 형성되고 하판(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145)가 상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하판(141)에 2개의 다리(180)가 놓이는데, 상기 2개의 다리(180)는 수평부(181)의 양단이 절곡된 구조로서, 수평부(181)가 수직부(183)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다. 이와 같은 다리(180)는 하판(141)의 날개부(143)에 위치하되, 날개 부(143)의 테두리(145)에는 상기 다리(180)가 안착될 수 있게 제1반원홈(14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다리(18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차후에 설명하기로 하고, 다리(180)가 하판(141)에 안착된 상태에서 중간판(131)이 하판(141)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중간판(131)은 도 4에 보이듯이, 좌우측 양단부에 상기 다리(180)를 감쌀 수 있게 반원 형태로 만곡된 터널(133)이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판(131)이 하판(141)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됨에 있어 터널(133) 안쪽에 다리(180)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한다. 또한 중간판(131)의 좌우측에는 암레스트(191)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편(13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135)에 끼워진 암레스트(191)는 하판(141)의 테두리(145)에 형성된 제1반원홈(147)을 통해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부로 절곡되어 회전착석판(110)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양측 옆구리로 연장된다.
한편, 이와 같이 중간판(131)이 고정된 하판(141)에 상판(121)이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상판(121) 또한 좌우측으로 날개부(123)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125)가 하향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판(121)의 테두리(125)에는 제2반원홈(127)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반원홈(127)은 상기 하판(141)의 테두리(145)에 형성된 제1반원홈(147)과 대응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120)에 있어서, 상기 다리(180)의 회전을 제1토션스프링(185)으로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180)의 수평부(181)에는 제1스토퍼(187)가 고정된다. 그리고 중간판(131)에 형성된 터널(133)에는 길이방향 으로 개방부(137)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37)와 대응하여 중간판(131)의 상면에 제2스토퍼(138)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토션스프링(185)이 상기 개방부(137)에 위치하며 상기 제1토션스프링(185)의 일단은 제1스토퍼(187)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스토퍼(138)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다리(180)가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185)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다리(180)가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작동관계는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1토션스프링(185)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져 다리(180)가 회전할 경우에, 제1토션스프링(185)의 위치가 제2스토퍼(138)에 고정된 제1토션스프링(185)의 타단을 기준으로 변위하게 된다. 이때 다리(180)의 수직부(183)가 세워지도록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수직부(183)는 프레임(120)에 대해 수직방향 보다 더 바깥쪽으로 회전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다리(180)가 둔각으로 회전하여야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프레임(120)에 수직이거나 그 이하일 경우에 사용자의 하중이 제1토션스프링(185)의 탄성력보다 커서 다리(180)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접히게 되면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에 보이듯이, 상판(121)의 상면 전방에는 고정축(1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11)에는 원형의 고정판(113)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113)의 상면에는 케이지(115)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지(115)에 볼베어링(117)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13)에 회전착석판(110)이 올려지면서 고정판(11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착석판(110)은 고정판(113)에 장착된 볼베어링(11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전착석판(110)은 볼 베어링(117)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120)에 있어서, 상판(121)의 후단은 하판(141)의 후단보다 짧다. 상판(121)의 후단이 짧은 관계로 프레임(120)의 상면에는 중간판(131)의 후단이 노출되고, 노출된 중간판(131)의 후단에는 회전프레임(151)이 고정된다. 상기 중간판(131)의 후단 좌우측에는 제1러그(139)가 각각 형성되고, 회전프레임(151) 전방의 좌우측에는 제2러그(152)가 형성되며, 제1러그(139)와 제2러그(152)가 맞대응한 상태에서 축(153)이 관통하여 회전프레임(151)을 중간판(13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축(153)을 중심으로 회전프레임(151)이 전방으로 선회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프레임(151)이 후방으로 선회하면 중간판(131)과 접하면서 더 이상 후방으로 선회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등판(150)을 전방으로 접으면 회전프레임(151)이 전방으로 선회하면서 등판(150)이 암레스트(191) 사이로 끼워져 보관이 용이하도록 부피가 작아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프레임(151)에는 등판(150)을 지지하는 지지축(15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회전프레임(151)의 후방 우측에는 제3러그(155)가 형성되고, 후방 좌측에는 브라켓(156)이 고정된다.
브라켓(156)은 중간이 절곡된 'L'형 구조로서, 일측은 회전프레임(151)의 후방에 안착된 상태로 피스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3러그(155)와 대응하게 위치한 브라켓(156)의 타측에는 다수 개의 암나사공(157)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사형으로 형성된 암나사공(157)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56) 의 관통공에는 상기 지지축(154)에 수직으로 형성된 회전축(158)이 관통해 위치한다.
한편, 브라켓(156)의 타측 바깥에는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장력 즉 탄성력을 제어하는 장력제어바(173)가 위치하며, 상기 장력제어바(173)의 일측을 회전축(158)이 관통하며, 상기 장력제어바(173)의 타측에는 볼트(177)가 관통하는 구멍(175)이 형성된다. 상기 장력제어바(173)는 회전축(158)을 중심으로 선회하며, 장력제어바(173)에 형성된 구멍(175)은 브라켓(156)의 타측에 형성된 다수 개의 암나사공(157)들과 대응한다. 따라서 장력제어바(173)에 형성된 구멍(175)이 브라켓(156)의 어느 한 암나사공(157)에 대응한 상태에서 구멍(175)을 관통한 볼트(177)가 암나사공(157)에 체결됨으로써, 장력제어바(173)는 고정된다. 또한 장력제어바(173)의 중간에는 바깥방향으로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바깥단부가 체결되는 고정핀(179)이 형성된다.
한편, 장력제어바(173)를 관통한 회전축(158)의 단면에는 슬롯(159)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58)의 슬롯(159)에는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안쪽 단부가 끼워진다. 그리고 회전축(158)의 슬롯(159)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롯(159)에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안쪽 단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58)의 관통공에 안전핀(160)을 삽입하여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단부가 슬롯(159)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양측에는 각각 와셔(161)가 위치한다.
이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안쪽 단부는 회전축(158)의 슬롯(159)에 끼워지고 바깥쪽 단부는 고정된 장력제어바(173)의 고정핀(179)에 고정되어 있어, 지지축(154)이 후방으로 선회하면 회전축(158)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스파이럴 스프링(171)은 지지축(154)이 후방으로 선회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지지축(154)을 후방으로 선회시키기 위해서는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주어야 한다. 한편,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탄성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장력제어바(173)의 구멍(175)을 관통해 체결된 볼트(177)를 풀고 스파이럴 스프링(171)이 감기는 방향으로 장력제어바(173)를 선회시킨 후에 구멍(175)에 볼트(177)를 끼우고 구멍(175)과 대응하는 암나사공(157)에 볼트(177)를 체결한다. 그러면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탄성력을 종전의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더 커지면서 지지축(154)을 선회시키기 위해서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반대로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탄성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스파이럴 스프링(171)이 풀리는 방향으로 장력제어바(173)를 선회한 후 볼트(177)로 고정하면 보다 작은 힘으로도 지지축(154)을 후방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축(154)에는 등판(150)이 고정된다. 상기 지지축(154)의 길이방향을 다수 개의 트위스트 조립체(200)가 장착되며, 상기 트위스트 조립체(200)들은 등판(150)의 배면에 피스로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축(154)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비틀어질 수 있게 트위스트 가능하다. 상기 트위스트 조립체(200)는 차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등판(150)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193)가 형성되며, 헤드레스트(193)의 양측부로는 손잡이(195)가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착석판(110)에 안착 하고 머리를 헤드레스트(193)에 기댄 상태에서 손을 머리 양측에 위치한 손잡이(195)를 파지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복부에 힘을 주어 등판(150)을 후방으로 민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등판(150)에 있어 전체적으로 지압 롤(163)이 장착되어 등에 형성된 근육을 가압하여 지압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지압 롤(163)의 형태 및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193)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193)의 높이조절기능은 일반적인 의자 및 차량 시트 등에 실시되는 기술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트위스트 조립체(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154)의 둘레에 고정되는 고정체(210)와, 상기 고정체(210)의 둘레에 위치하는 제2토션스프링(220)과, 상기 고정체(210)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체(210)에 고정되어 상기 제2토션스프링(220)이 회전하지 않도록 제2토션스프링(220)의 일단을 지지함으로써 제2토션스프링(220)의 타단이 회전하면서 탄성변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30)와, 등판(150)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평판(2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와 상대회전하면서 상기 제2토션스프링(220)의 타단을 밀어 탄성변형시키는 결합용 브라켓(240)과, 상기 고정체(210)에 장착된 제2토션스프링(220)과 가이드 플레이트(230) 및 결합용 브라켓(24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체(210)의 상단에 체결되는 멈춤링(260)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트위스트 조립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체(210)는 중공이 형성된 실린더 구조로서, 길이 중간에는 단턱이 형성 되어 상부가 하부보다 외경이 작다. 그리고 고정체(210)의 하단 측부에는 키(211)가 삽입될 수 있는 키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키홈(213)에 삽입된 키(211)는 지지축(154)에 끼워져 고정체(210)가 지지축(154)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거나 상하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체(210)를 지지축(154)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210)에는 상단에서 아래방향으로 홈(210h)이 형성되는데, 상기 홈(210h)에 가이드 플레이트(230)가 정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체(210)의 상부에는 순차적으로 와셔(250), 제2토션스프링(220), 가이드 플레이트(230), 결합용 브라켓(240), 와셔(250), 멈춤링(260)이 장착되는데, 고정체(210)의 단턱 상면에 와셔(250)가 안착되고, 와셔(250) 위에 제2토션스프링(220)이 안착된다. 상기 제2토션스프링(220)은 그 양단이 상향으로 절곡된다. 한편 제2토션스프링(220)의 상부에 가이드 플레이트(230)가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31)가 상기 제2토션스프링(220)의 절곡된 양단 사이(220c)에 끼워져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중공의 안쪽에는 상기 고정체(210)에 형성된 홈(210h)에 끼워지는 돌기(230P)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 안쪽에 형성된 돌기(230P)가 상기 고정체(210)의 홈(210h)에 끼워지면서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고정체(210)에 회전하지 않게 고정되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31)가 제2토션스프링(220)의 일단을 지지함으로써, 제2토션스프링(220) 또한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230)에 형성된 돌기(231)의 반대측부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돌기('절곡돌기(233)'라 함)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돌기(233)는 상부에 위 치한 결합용 브라켓(240)에 끼워진다.
결합용 브라켓(240)은 등판(150)의 배면에 고정되는 평판(241)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돌기(231)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돌기(243)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절곡돌기(233)가 끼워지는 홈(245)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상부에 결합용 브라켓(240)을 안착하였을 때에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돌기(231)와 결합용 브라켓(240)의 돌기(243)가 적층되어 상기 제2토션스프링(220)의 양단 사이(220c)에 끼워지며 절곡돌기(233)는 결합용 브라켓(240)의 홈(245)이 끼워진다. 이때 상기 홈(245)의 폭은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절곡돌기(233)의 폭 보다 넓어서 상기 홈(245)의 폭과 상기 절곡돌기(233)의 폭 차이 만큼 상기 결합용 브라켓(240)이 고정체(2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결합용 브라켓(240)이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돌기(231)와 결합용 브라켓(240)의 돌기(243)가 제2토션스프링(220)의 양단 사이(220c)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결합용 브라켓(240)의 회전에 따라 제2토션스프링(220)의 일단이 결합용 브라켓(240)의 돌기(243)에 의해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토션스프링(220)이 회전함에 따라 결합용 브라켓(240)의 회전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용 브라켓(240)의 상부에는 와셔(250)가 안착되고 와셔(250)의 상부에 멈춤링(260)이 고정체(210)의 상단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체(210)의 상단 외주면에는 홈(215)이 형성되어 상기 멈춤링(260)이 홈(215)에 정합한다.
이와 같이 지지축(154)에 장착된 트위스트 조립체(200)는 평판(241)이 등판(150)에 고정되고, 지지축에 상기 고정체(210)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체에 가이드 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용 브라켓(240)이 등판(150)과 함께 지지축(154)을 중심으로 회전 즉 비틀어질 수 있으며 등판(150)이 비틀어짐에 따라 제2토션스프링(220)이 탄성변형하면서 비트는 힘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등판(150)을 복근력으로 전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지지축(154)을 중심으로 등판(150)을 비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판(150)을 비트는 힘이 제거되면 제2토션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등판(150)이 복원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체력에 맞춰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장력을 조절한다. 장력 즉 탄성력을 조절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고 있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장력을 조절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착석판(110)에 앉고 등을 등판(15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헤드레스트(193)에 기댄다. 그리고 손잡이(195)를 양손으로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복부에 힘을 주어 등판(150)을 후방으로 민다. 그러면 지지축(154)은 회전축(158)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선회하며 회전축(158)은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158)의 단부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171)이 탄성변형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이때 발생하는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등판(150)을 밀어야 등판(150)이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상체가 뒤로 넘어간다.
이때 사용자는 등판(150)을 후방으로 미는 과정 중에 등판(150)을 좌우방향을 비틀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위스트 조립체(200)가 등판(150)을 비틀어질 수 있게 지지하고 있어 복근을 이용하여 상체를 좌우방향으로 트위스트하면서 등판(150)을 후방으로 밀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가 후방으로 넘어간 상태에서 상체를 일으킬 때에는 스파이럴 스프링(171)의 탄성력에 의해 쉽게 상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때에서 상체를 트위스트하면서 상체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복근력을 키우는 운동으로서, 반복할수록 사용자의 복근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복근강화운동에서도 등판(150)을 전후방향으로만 이동시키는 운동방식과 등판(15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좌우방향으로 비트는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비트는 운동은 지지축(154)에 등판(150)이 트위스트 조립체(200)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회전착석판(110)에 앉은 상태에서 두 다리를 들고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허리운동을 시행할 수 있고, 또 다른 운동으로서, 사용자는 다리를 세운 상태에서 복근운동을 하면서 허리를 다리의 높이만큼 상대적으로 더 젖힐 수 있다. 따라서 복근운동을 하면서 허리를 펴는 스트레칭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회전착석판(110)에 선 상테어서 손잡이를 파지하고 허리를 돌리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암레스트(191)를 파지한 상태로 엎드려 팔굽혀 펴기를 수행 할 수 있다. 이때 통상적으로 지면에서 실시하는 팔굽혀 펴기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팔굽혀 펴기를 시행하면 굽혔을 때에 상체가 암레스트(191) 사이로 더 깊숙이 굽힐 수 있어 운동효과가 크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그래픽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간판과 다리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회전축과 탄성부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트 조립체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트위스트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회전착석판 111 : 고정축
113 : 고정판 115 : 케이지
117 : 볼베어링 120 : 프레임
121 : 상판 123 : 날개부
125 : 테두리 127 : 제2반원홈
131 : 중간판 133 : 터널
135 : 고정편 137 : 개방부
138 : 제2스토퍼 139 : 제1러그
141 : 하판 143 : 날개부
145 : 테두리 147 : 제1반원홈
150 : 등판 151 : 회전프레임
152 : 제2러그 153 : 축
154 : 지지축 155 : 제3러그
156 : 브라켓 157 : 암나사공
158 : 회전축 159 : 슬롯
160 : 안전핀 161 : 와셔
170 : 탄성부 171 : 스파이럴 스프링
173 :장력제어바 175 : 구멍
177 : 볼트 179 : 고정핀
180 : 다리 181 : 수평부
183 : 수직부 185 : 제1토션스프링
187 : 제1스토퍼 191 : 암레스트
193 : 헤드레스트 195 : 손잡이
200 : 트위스트 조립체 210 : 고정체
211 : 키 213 : 키홈
215 : 홈 220 : 제2토션스프링
230: 가이드 플레이트 230P : 돌기
231 : 돌기 233 : 절곡돌기
240 : 결합용 브라켓 241 : 평판
243 : 돌기 245 : 홈
250 : 와셔 260 : 멈춤링

Claims (14)

  1. 수평하게 위치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착석판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등판과,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을 제어하는 장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안쪽으로 접히거나 바깥쪽으로 수직보다 큰 각으로 선회하여 펼쳐지는 다리가 장착되며, 상기 다리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을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제1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제1토션스프링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상기 다리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탄성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의 타단은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등판이 선회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이 상기 회전축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지지축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을 관통하고, 상기 브라켓의 바깥쪽에는 장력제어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장력제어부의 선회 가능한 범위 중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인 스파이럴 스프링의 안쪽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바깥단부는 상기 장력제어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다수 개의 암나사공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사형으로 형성된 암나사공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력제어부의 일측을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고 타측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암나사공들 중 어느 한 암나사공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장력제어부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바깥단부가 고정 되는 고정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회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등판이 전방으로 접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암레스트가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양측으로 연장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지압 롤이 다수 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에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축이 장착되고, 상기 등판이 상기 지지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비틀릴 수 있게 트위스트 조립체가 상기 지지축과 상기 등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조립체는,
    상기 지지축의 둘레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둘레에 위치하는 제2토션스프링과,
    상기 고정체가 관통하여 상기 고정체의 둘레에 고정되며 상기 제2토션스프링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양단 사이에 끼워진 돌기가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등판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2토션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는 결합용 브라켓과,
    상기 고정체에 장착된 상기 제2토션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용 브라켓이 이탈하지 않게 상기 고정체의 상단에 체결되는 멈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션스프링은 그 양단이 상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용 브라켓은 상기 제2토션스프링의 양단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돌기와, 상기 절곡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절곡돌기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어 상기 결합용 브라켓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홈과, 상기 등판에 고정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20090009042A 2009-02-04 2009-02-04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1114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42A KR101114285B1 (ko) 2009-02-04 2009-02-04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042A KR101114285B1 (ko) 2009-02-04 2009-02-04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689A KR20100089689A (ko) 2010-08-12
KR101114285B1 true KR101114285B1 (ko) 2012-03-05

Family

ID=4275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042A KR101114285B1 (ko) 2009-02-04 2009-02-04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2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65A (ja) 2003-07-09 2005-02-03 Deiriikea:Kk 運動機器
KR200443356Y1 (ko) 2008-06-13 2009-02-09 김기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8065A (ja) 2003-07-09 2005-02-03 Deiriikea:Kk 運動機器
KR200443356Y1 (ko) 2008-06-13 2009-02-09 김기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689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6220995B1 (en) Exerciser
US7833143B1 (en) Sit-up exerciser
US7311644B2 (en) Exercise ball mounted for rotation
US7686750B2 (en) Seated abdominal exerciser
AU2007238575B2 (en) Resistance chair with wheels
WO2010105061A2 (en) Portable and adjustable stretching device
US20170239515A1 (en) Apparatus for physical exercises
US9278253B2 (en) Abdomen exercise bench
WO2020135139A1 (zh) 一种锻炼按摩椅
US5595558A (en) Exerciser
KR200443356Y1 (ko)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US20070298943A1 (en) Orbital exerciser system
KR101114285B1 (ko)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KR200451925Y1 (ko) 로윙 운동기구
KR200385453Y1 (ko) 개량된 구조를 가진 스트레칭 기구
KR101540538B1 (ko) 허리운동기구
CA2528548C (en) Wheeled exercise device
CN212757093U (zh) 一种迷你型瑜伽倒立运动器
CN206934597U (zh) 结合按摩器的多功能健身机
CN111659084B (zh) 一种迷你型瑜伽倒立运动器
CN209997103U (zh) 一种健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