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356Y1 -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356Y1
KR200443356Y1 KR2020080007913U KR20080007913U KR200443356Y1 KR 200443356 Y1 KR200443356 Y1 KR 200443356Y1 KR 2020080007913 U KR2020080007913 U KR 2020080007913U KR 20080007913 U KR20080007913 U KR 20080007913U KR 200443356 Y1 KR200443356 Y1 KR 200443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edestal
backrest
bol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태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2020080007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3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3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복근력 강화를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허리운동, 다리운동, 힙운동 및 팔운동을 병행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상면에 착석판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하는 한 쌍의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일측으로 선회하면 타측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묶여 있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회전식 착석판, 등받이 프레임, 탄성 로프, 받침대, 잠금쇠

Description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for Strengthening Abdominal Muscles}
본 고안은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근력 강화뿐만 아니라, 허리운동, 다리운동, 힙운동 및 팔운동을 병행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최근 비만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비만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운동기구들은 근력이 약한 사람 즉 운동을 시작하거나 또는 노약자의 경우에 초기부터 과도한 힘이 요구됨에 따라, 힘이 들어 운동을 쉽게 포기하거나 운동 초기에 부상을 입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운동기구들은 운동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나 노약자들도 초기부터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복근력 강화 운동뿐만 아니라 허리운동, 다리운동, 힙운동 및 팔운동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상면에 착석판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하는 한 쌍의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일측으로 선회하면 타측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묶여 있는 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일측으로 선회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으로 선회하지 않도록 잠금하거나 선회하도록 잠금해제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잠금쇠이며, 상기 잠금쇠의 단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에 체결된 볼트에 정합되어 잠금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받침대에 힌지 결합된 잠금쇠이며, 상기 잠금쇠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구멍들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들 중 어느 한 구멍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등받이 프레임을 다수 개의 등받이 축이 연결하고, 상기 등받이 축을 합성수지 재질의 가압부가 감싸며, 상기 가압부의 외측면은 올록볼록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는 손잡이 프레임이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양측은 바깥방향으로 벌어지게 절곡되며,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양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프는 탄성을 갖는 탄성 로프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쇠의 자유단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된 볼트에 끼워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앉는 착석판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착석판에 앉은 사용자는 다리를 들고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허리를 돌리면서 허리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등받이 프레임을 잠금쇠로 잠금한 상태에서 등받이 프레임에 묶여 있는 탄성 로프를 파지하고 전방으로 당기면서 팔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프레임의 하단부에 탄성 로프를 묶고 앉았다 일어났다 하면서 다리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착석판에 올라서서 손을 벽에 대고 허리돌리기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는 등받이 부분이 등 근육을 지압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한 후 잠금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금쇠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탄성 로프를 묶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100)는, U자형 구조의 받침대(110)과, 상기 받침대(110)의 개방부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원형의 착석판(113)과, 상기 받침대(110)의 개방부 선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며 좌우 양측 후방에서 반원형으로 절곡된 손잡이 프레임(130)과, 상기 받침대(110)에 힌지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선회하는 한 쌍의 등받이 프레임(140)과, 한 쌍의 등받이 프레임(140)을 연결하는 다수 개의 등받이 축(141)과, 일단은 상기 받침대(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등받이 프레임(140)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140)이 후방으로 선회하면 전방으로 선회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인 코일스프링(15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4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110)에 체결된 볼트(115)에 정합하여 잠금하는 잠금수단인 잠금쇠(160)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묶여 있는 탄성 로프(190)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쇠(160)를 볼트(115)에서 분리하여 잠금을 해제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0)는 U자형 구조로서, 상호 평행한 두 수평부(111)가 후방에서 폐쇄되고 선단에서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받침대(110)의 저면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다수 개의 받침판(117)이 고정된다. 따라서 받침대(110)를 바닥에 놓더라도 받침판(117)이 바닥과 접함으로써 바닥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받침대(110)의 선단 상면에는 원형의 착석판(113)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받침대(110)의 개방부 선단을 고정프레임으로 연결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 중간에 베어링을 장착한 후 상기 베어링에 착석판(113)이 장착함으로써, 베어링에 의해 착석판(113)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받침대(110)의 개방된 선단에는 손잡이 프레임(130)이 연결된다. 구체 적으로 상기 받침대(110)의 두 수평부(111) 선단이 손잡이 프레임(130)의 길이 중간에 고정되며, 손잡이 프레임(130)은 받침대(110)의 좌우측 후방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반원형태로 만곡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손잡이 프레임(130)에서, 반원으로 만곡된 부분이 손잡이(131)이다. 상기 손잡이(131)는 받침대(110)와 손잡이 프레임(130)이 연결된 지점보다 후방에 형성되는데, 그 만큼 착석판(113)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 부분이 넓게 개방됨에 따라 착석판(113)에 앉아 다리를 들고 허리운동을 할 때에 다리의 회전반경이 넓어 허리운동에 효과적이다. 또한 손잡이(131)에는 손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고무 또는 가죽 그립이 감겨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받침대(110)의 수평부(111)의 길이 중간에는 C형 러그(119)가 각각 상향으로 개방되게 용접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러그(119) 안쪽에 등받이 프레임(140)의 단부가 각각 끼워지고, 러그(119)의 바깥쪽에는 롤러(170)가 위치하며, 한 개의 등받이 축(이하 '맨 하단의 등받이 축(141L)'이라 함.)이 상기 롤러(170)와 러그(119) 및 등받이 프레임(140)의 단부를 관통해 위치한다. 따라서 등받이 프레임(140)은 맨 하단의 등받이 축(141L)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그리고 다수 개의 등받이 축(141)이 한 쌍의 등받이 프레임(140)을 상호 연결하며 등받이 프레임(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 축(141)을 합성수지 재질의 지압부(180)가 감싼다. 상기 지압부(180)는 등받이 축(141, 141L)이 관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외측은 올록볼록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등받이 축(141)에 등을 지지하였을 때에 올록볼록한 지압 부(180)가 등을 가압하여 지압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편, 러그(119)에 끼워진 등받이 프레임(140)의 단부에는 잠금쇠(160)가 위치하며, 상기 잠금쇠(160)의 일단을 관통한 제1 볼트(161)가 등받이 프레임(140)의 단부에 나사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잠금쇠(160)는 제1 볼트(161)에 의해 힌지 결합되며 제1 볼트(161)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며, 잠금쇠(160)의 타단에는 홈(1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111)의 측부에는 제2 볼트(162)가 체결되며, 코일스프링(150)의 양단이 상기 제1 볼트(161)와 제2 볼트(162)에 각각 고정된다. 제1 볼트(161)와 제2 볼트(162)에 양단이 고정된 코일스프링(150)은 그 길이 중간이 롤러(170)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로 위치한다.
한편, 러그(119)를 기준으로 수평부(111)의 측면 후방에는 다수 개의 구멍들이 형성되고, 볼트(115)가 상기 구멍을 통해 등받이 프레임(140)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끼워진 상태로 등받이 프레임(140) 안쪽으로 돌출된 볼트(115)에 너트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115)의 헤드는 등받이 프레임(140)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잠금쇠(160)의 타단에 형성된 홈(163)이 상기 볼트(115)에 정합하면서 잠금된다. 여기에서 도면에는 등받이 프레임에 다수 개의 볼트가 나사체결된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한 개의 볼트(115)가 구멍들을 옮겨 가며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쇠(160)의 홈(163)에 볼트(115)가 끼워지면 등받이 프레임(140)은 후방으로 선회하지 않고 잠금쇠(160)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볼트(115)를 대신하여 등받이 프레임(140)에 돌기를 용접 고정하고 용접 고정된 돌기에 잠금 쇠(160)의 홈(163)을 끼워 잠금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보이듯이, 등받이 프레임(140)에는 탄성 로프(190)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 로프(190)의 일단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40)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가 고정되고, 탄성 로프(190)의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후크를 등받이 프레임에 장착한다. 사용자는 등받이 프레임(140)이 선회하지 않도록 잠금쇠(160)로 잠금한 상태에서 착석판(113)에 앉고 탄성 로프(190)를 손으로 파지한 후, 탄성 로프를 몸의 전방으로 민다. 그럼으로써, 사용자는 탄성 로프(19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팔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등받이 프레임(140)에는 고무밴드(143)가 감겨 있다. 상기 고무밴드(143)는 잠금하지 않은 상태의 잠금쇠(160)가 제1 볼트(161)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등받이 프레임(140)에 감아둔 것으로서, 자유롭게 선회하는 잠금쇠(160)를 고무밴드(143)로 묶어 잠금쇠(160)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작동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근력 강화 운동 시에는, 사용자가 착석판(113)에 앉은 상태로 손잡이(131)를 손으로 파지한 후 등을 지압부(180)에 대고 힘을 뺀다. 이 상태에서 등을 밀어 등받이 프레임(140)을 후방으로 민다. 그러면, 등받이 프레임(140)이 후방으로 선회하면서 제1 볼트(161)와 제2 볼트(162)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코일스프링(150)이 신장하게 되는데, 롤러(17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신장된다. 여기서 코일스프링(150)이 신장되면서 탄성력을 증가하게 되는데, 탄성력은 사용자가 상반신을 전 방으로 일으키려고 할 때에 사용자의 상반신을 밀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상반신을 끌어올리는 힘보다 작은 힘으로 운동할 수 있어 운동을 시작한 사용자 또는 노약자라도 쉽게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허리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착석판(113)에 앉은 상태에서 손잡이(131)를 파지하고, 다리를 든 상태에서 허리를 돌린다. 그러면 착석판(113)이 회전하면서 골반이 상반신에 대해 상대적으로 틀어지면서 허리운동이 된다. 이때, 손잡이(131)가 손잡이 프레임(130)의 후방에 형성됨으로써, 다리의 회전반경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허리운동에 효과적이다.
또한, 팔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 등받이 프레임(140)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잠금쇠(160)로 잠금한다. 그리고 착석판(113)에 앉은 상태에서 탄성 루프(190)의 후크를 등받이 프레임(140)에 체결하고 탄성 루프(190)의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한 후, 등을 지압부(180)에 밀착한다. 그리고 두 팔을 전방으로 밀면 탄성 루프(190)가 늘어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는데, 사용자가 상기 탄성 루프(190)의 탄성력에 대해 저항함으로써, 팔의 근력이 키워진다. 이때 등은 탄성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지압부(180)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지압부(180)가 등근육을 지압한다.
또한, 사용자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허리돌리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착석판(113)에 올라선 상태로 손을 벽에 대거나 또는 고정체를 잡은 상태에서 허리를 돌려 착석판(113)을 회전시키면서 허리돌리기 운동을 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잠금쇠와 등받이 프레임 및 수평부의 연결구조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에서 부여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11)에는 잠금쇠(160)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잠금쇠(16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구멍(165)이 형성되며, 등받이 프레임(140)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14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볼트(167)를 잠금쇠(160)에 형성된 구멍(165) 중 어느 한 구멍(165)에 끼우고 등받이 프레임(140)의 암나사공에 나사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등받이 프레임(140)을 잠금한다.
잠금쇠(160)가 수평부(111)에 힌지 결합된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구멍(165)에 볼트(167)를 관통시킨 상태로 등받이 프레임(140)의 암나사공에 나사체결하면 등받이 프레임(140)은 상대적으로 세워진 형태로 고정되고, 반대로 힌지 결합된 지점에 가까운 구멍(165)에 볼트(167)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등받이 프레임(140)의 암나사공에 나사체결하면 등받이 프레임(140)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누운 상태로 고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쇠(160)의 자유단 쪽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홈에 볼트(167)가 끼워져 신속하게 잠금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잠금쇠(160)는 상기 잠금쇠(160)에 형성된 구멍(165)에 볼트(167)를 끼워 나사체결하는 잠금방식과 잠금쇠(160)의 단부에 홈을 형성하여 볼트가 홈이 끼워지는 제1 실시예의 잠금방식을 함께 구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한 후 잠금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금쇠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에 탄성 로프를 묶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110 : 받침대
111 : 수평부 113 : 착석판
115 : 볼트 117 : 받침판
119 : 러그 130 : 손잡이 프레임
131 : 손잡이 140 : 등받이 프레임
141 : 등받이 축 150 : 코일스프링
160 : 잠금쇠 161 : 제1 볼트
162 : 제2 볼트 163 : 홈
165 : 구멍 167 : 볼트
170 : 롤러 180 : 지압부
190 : 로프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상면에 착석판(113)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하는 한 쌍의 등받이 프레임(140)과;
    상기 받침대(110)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140)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일측으로 선회하면 타측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140)이 일측으로 선회한 상태에서 상기 타측으로 선회하지 않도록 잠금하거나 선회하도록 잠금해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잠금쇠(160)이며, 상기 잠금쇠의 단부에는 홈(163)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에 체결된 볼트(115)에 정합되어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받침대에 힌지 결합된 잠금쇠(160)이며, 상기 잠금쇠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구멍(165)들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들 중 어느 한 구멍을 관통한 볼트(167)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140)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5.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등받이 프레임(140)을 다수 개의 등받이 축(141)이 연결하고, 상기 등받이 축을 합성수지 재질의 가압부(180)가 감싸며, 상기 가압부의 외측면은 올록볼록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6.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0)의 일측에는 손잡이 프레임(130)이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 프레임(130)의 양측은 바깥방향으로 벌어지게 절곡되며, 상기 손잡이 프레임의 양단부에 손잡이(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40)에 로프(190)가 묶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190)는 탄성을 갖는 탄성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의 자유단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된 볼트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는 상기 잠금쇠를 묶어두는 밴드(14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KR2020080007913U 2008-06-13 2008-06-13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KR200443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913U KR200443356Y1 (ko) 2008-06-13 2008-06-13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913U KR200443356Y1 (ko) 2008-06-13 2008-06-13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356Y1 true KR200443356Y1 (ko) 2009-02-09

Family

ID=4134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913U KR200443356Y1 (ko) 2008-06-13 2008-06-13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35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93B1 (ko) * 2009-11-10 2010-04-16 박성수 다기능 운동기구
KR100953502B1 (ko) * 2009-11-10 2010-04-16 박성수 다기능 운동기구
WO2011055963A2 (ko) * 2009-11-05 2011-05-12 Kim Ki-So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114285B1 (ko) 2009-02-04 2012-03-05 박병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KR101608372B1 (ko) 2015-12-31 2016-04-01 양준우 다목적 운동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85B1 (ko) 2009-02-04 2012-03-05 박병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WO2011055963A2 (ko) * 2009-11-05 2011-05-12 Kim Ki-Soo 다기능 운동기구
WO2011055963A3 (ko) * 2009-11-05 2011-11-03 Kim Ki-Soo 다기능 운동기구
KR100953493B1 (ko) * 2009-11-10 2010-04-16 박성수 다기능 운동기구
KR100953502B1 (ko) * 2009-11-10 2010-04-16 박성수 다기능 운동기구
KR101608372B1 (ko) 2015-12-31 2016-04-01 양준우 다목적 운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596B2 (ja) 腹部運動装置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311644B2 (en) Exercise ball mounted for rotation
US6652425B1 (en) Cyclocentric ergometer
JP2772142B2 (ja) 腹筋運動用器具装置
US7833143B1 (en) Sit-up exerciser
US20090017995A1 (en) Knee manipulating device
US8002683B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with plunger
KR200443356Y1 (ko)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JP2010511425A5 (ko)
US9278253B2 (en) Abdomen exercise bench
US6544151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70239515A1 (en) Apparatus for physical exercises
TWM565049U (zh) X-type flywheel pedal exercise bike
US6565494B1 (en) Portable and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US20040063555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20070155602A1 (en) Sit-up exercise bench
CN216092057U (zh) 一种多功能四肢力量训练拉力机
WO2011088721A1 (zh) 一种倒立机
US5902218A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rotating resistance exerciser system
CA2397438A1 (en) Multi-mode exerciser
US3510128A (en) Chair supported exercising device with overhead bar and leg exercising means
CN210728560U (zh) 一种体育器材用腿部拉伸装置
KR200451925Y1 (ko) 로윙 운동기구
JP6150160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