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493B1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493B1
KR100953493B1 KR1020090107837A KR20090107837A KR100953493B1 KR 100953493 B1 KR100953493 B1 KR 100953493B1 KR 1020090107837 A KR1020090107837 A KR 1020090107837A KR 20090107837 A KR20090107837 A KR 20090107837A KR 100953493 B1 KR100953493 B1 KR 100953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ounder
coupled
body frame
slider
exercis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102009010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8On a track which is itself moving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02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on a curved pa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바디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는 리바운더;로 구성됨에 따라,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리, 골반,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운동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 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리, 골반,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개발되고 있는 운동기구들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사용이나 보관이 편리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리, 골반,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바닥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고, 하나의 회전축에 축 결합된 한 쌍의 회전대 위에 각각 발판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을 밟고 다리를 좌우로 벌리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 및 상기 바디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고, 안장 위에 앉은 상태에서 후방에 힌지 결합된 백보드를 밀어 상체를 눕혔다 일으키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 리바운더;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대에 연결되고, 상기 발판을 좌우로 회전시 일정한 힘이 작용하도록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 상기 회전대 또는 발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체중을 지지하면서 구동하는 롤러; 상기 롤러를 받치고, 원활하게 구동하도록 하는 레일; 상기 발판의 좌우에 형성된 이탈방지턱; 및 상기 회전축 전방에 세워진 지지대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가 구성된다.
상기 발판은 회전대 상에서 좌우로 360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의 지지대는 상하로 구획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접을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의 반대 측 상부에는 걸림쇠와 걸쇠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손잡이의 지지대는 상하로 구획된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형 성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지지대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조절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끼워 고정하는 고정핀이 구성된다.
상기 리바운더는 상기 안장 양측에 축 결합되는 캐스터; 및 상기 케스터의 상부면에 지지되면서 양 끝단이 상기 안장과 백보드에 각각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 또는 리바운더는 상기 바디 프레임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은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후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위치조절구멍; 상기 슬라이더 또는 리바운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위치조절구멍에 대응하는 제2 위치조절구멍이 형성된 이동판; 및 상기 제1,2 위치조절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끼워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바운더는 상기 이동판 상에서 좌 또는 우로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다.
상기 리바운더는 상기 안장에 고정되고, 상기 안장과 백 보드가 결합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백 보드가 후방으로 기우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각도조절구멍이 형성된 각도조절판; 및 상기 각도조절구멍에 끼워 상기 백 보드가 걸리도록 하는 고정핀;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에 의하면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리, 골반,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에 의하면 운동량이나 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무리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바디 프레임(100), 상기 바디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는 슬라이더(200) 및 상기 바디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는 리바운더(30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100)은 바닥에 낮게 형성된다. 즉, 전후에 받침대가 놓이고, 상기 전후 받침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파이프로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회전축(210)에 축 결합된 한 쌍의 회전대(220) 위에 각각 발판(2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을 밟고 다리를 좌우로 벌리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판(230)은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발판(230)을 좌우로 회전시 일정한 힘이 작용하도록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240)가 상기 회전대(220)에 연결되다. 즉,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0)에 결합된 회전대(220)의 끝단에 고무로 형성된 탄성부재(240)가 연결된 상태로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발판(230)을 좌우로 벌릴 때 상기 탄성부재(240) 수축되면서 일정한 힘이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대(220) 또는 발판(2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체중을 지지하면서 구동하는 롤러(250)와 상기 롤러(250)를 받친 상태에서 원활하게 구동하도록 하 는 레일(260)과 상기 발판(230)의 좌우에 형성되어 발을 좌우로 벌릴 때 발이 발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턱(270) 및 상기 회전축(210) 전방에 세워진 지지대(281)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230) 위에 서서 손으로 잡아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28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판(230)은 회전대(220) 상에서 좌우로 360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0)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280)의 지지대(281)는 높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비 사용시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28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구획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접을 수 있도록 힌지(282) 결합되고, 상기 힌지(282)의 반대 측 상부에는 걸림쇠(283)와 걸쇠(284)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쇠(284)는 힌지에 의해 회전하면서 걸림쇠(283)을 걸거나 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280)의 지지대(281)는 사용하는 사람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28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구획된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지지대(281)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조절구멍(285a, 285b)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위치조절구멍(285a, 285b)에 끼워 고정하는 고정핀(286)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장(310) 위에 앉은 상태에서 후방에 힌지 결합된 백보드(320)를 밀어 상체를 눕혔다 일으키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백보드(320)는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 전체가 아닌 허리만을 받치도록 낮게 형성하여 허리를 보호함과 아울 러, 상체를 눕히고 들어올리기 위한 운동량을 높여 더욱 효율적인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안장(310) 양측에 캐스터(caster: 330)가 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안장(310)과 백보드(320)의 양측에는 안장(310)과 백보드(320)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340)이 결합되는데, 상기 코일 스프링(340)은 상기 케스터(330)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코일 스프링(340)에 의해 백보드(320)가 항상 세워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200) 또는 리바운더(3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신체 조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00)와 리바운더(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움직이도록 하면 된다.
상기 슬라이더(200)와 리바운더(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으로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전후로 다수개의 제1 위치조절구멍(110)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200) 또는 리바운더(300)의 하부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위치조절구멍(110)에 대응하는 제2 위치조절구멍(410)이 형성된 이동판(40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1,2 위치조절구멍(110, 410)이 일치된 상태에서 끼워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500)이 구성된다.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이동판(400) 상에서 좌우로 360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다. 즉, 상기 리바운더(300)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바운더(30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발판(230)에 허벅지를 올린 상태에서 몸을 좌우로 비틀어 허리 운동이나 골반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바운더(300)는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운동량이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백 보드(32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초보자의 경우 백 보드(320)가 뒤로 기우는 각도를 줄여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로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310)에 고정되고, 상기 안장(310)과 백 보드(320)가 결합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백 보드(320)가 후방으로 기우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각도조절구멍(351)이 형성된 각도조절판(350) 및 상기 각도조절구멍(351)에 끼워 상기 백 보드(320)가 걸리도록 하는 고정핀(360)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360)을 각도조절판(350)의 어느 각도조절구멍(351)에 끼워 백 보드(320)가 그만큼만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판(350)은 힌지 결합된 백 보드(320)의 프레임 중앙에 슬릿을 형성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리, 골반,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바운더(300)의 안장(310)에 앉은 상태에서 백보드(320)를 밀어 배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안장(310)에 앉은 상태에서 종아리나 허벅지를 상기 슬라이더(200)의 발판(230)에 올려놓고 좌우로 벌리면서 골반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판(230)에 올려진 종아리나 허벅지는 좌우 이탈방지턱에 의해 쉽게 빠지지 않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200)의 발판(230)에 두 발을 올린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80)를 잡고 두 발을 벌리면서 다리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 보드(320)의 기우는 최대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무리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다른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바디 프레임 110: 제1 위치조절구멍
200: 슬라이더 210: 회전축
220: 회전대 230: 발판
240: 탄성부재 250: 롤러
260: 레일 270: 이탈방지턱
280: 손잡이 281: 지지대
282: 힌지 283: 걸림쇠
284: 걸쇠 285a, 285b: 위치조절구멍
286: 고정핀
300: 리바운더 310: 안장
320: 백보드 330: 캐스터
340: 코일 스프링 350: 각도조절판
351: 각도조절구멍 360: 고정핀
400: 이동판 410: 제2 위치조절구멍
500: 고정핀

Claims (10)

  1. 바닥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바디 프레임(100);
    상기 바디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고, 하나의 회전축(210)에 축 결합된 한 쌍의 회전대(220) 위에 각각 발판(2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을 밟고 다리를 좌우로 벌리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200); 및
    상기 바디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고, 안장(310) 위에 앉은 상태에서 후방에 힌지 결합된 백보드(320)를 밀어 상체를 눕혔다 일으키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 리바운더(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회전대(220)에 연결되고, 상기 발판(230)을 좌우로 회전시 일정한 힘이 작용하도록 고무 또는 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240);
    상기 회전대 또는 발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체중을 지지하면서 구동하는 롤러(250);
    상기 롤러를 받치고, 원활하게 구동하도록 하는 레일(260);
    상기 발판의 좌우에 형성된 이탈방지턱(270); 및
    상기 회전축 전방에 세워진 지지대(281)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28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30)은 회전대(220) 상에서 좌우로 360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80)의 지지대(281)는 상하로 구획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접을 수 있도록 힌지(282) 결합되고, 상기 힌지의 반대 측 상부에는 걸림쇠(283)와 걸쇠(28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80)의 지지대(281)는 상하로 구획된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부와 하부 지지대(281)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조절구멍(285a, 285b)을 형성하며, 상기 위치조절구멍에 끼워 고정하는 고정핀(286)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안장 양측에 축 결합되는 캐스터(caster: 330); 및
    상기 케스터의 상부면에 지지되면서 양 끝단이 상기 안장과 백보드에 각각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34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0) 또는 리바운더(3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다기능 운동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은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전후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위치조절구멍(110);
    상기 슬라이더(200) 또는 리바운더(3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위치조절구멍에 대응하는 제2 위치조절구멍(410)이 형성된 이동판(400); 및
    상기 제1,2 위치조절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끼워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이동판(400) 상에 좌 또는 우로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안장(310)에 고정되고, 상기 안장(310)과 백 보드(320)가 결합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백 보드(320)가 후방으로 기우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각도조절구멍(351)이 형성된 각도조절판(350); 및
    상기 각도조절구멍(351)에 끼워 상기 백 보드(320)가 걸리도록 하는 고정핀(36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090107837A 2009-11-10 2009-11-10 다기능 운동기구 KR100953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37A KR100953493B1 (ko) 2009-11-10 2009-11-10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37A KR100953493B1 (ko) 2009-11-10 2009-11-10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493B1 true KR100953493B1 (ko) 2010-04-16

Family

ID=4222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837A KR100953493B1 (ko) 2009-11-10 2009-11-10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47B1 (ko) * 2010-07-27 2010-12-28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다기능 운동기구
CN103252059A (zh) * 2013-03-26 2013-08-21 郭学武 多功能康复健身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850B2 (en) * 2000-10-04 2004-09-07 Skatestrider Inc.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skating movement
US7419459B2 (en) * 2006-01-31 2008-09-02 Willem Johannes Van Straaten Exercise machine
US7485078B1 (en) * 2008-03-03 2009-02-03 Chih-Liang Chen Waist and buttocks exerciser
KR200443356Y1 (ko) * 2008-06-13 2009-02-09 김기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850B2 (en) * 2000-10-04 2004-09-07 Skatestrider Inc. Exercise apparatus for simulating skating movement
US7419459B2 (en) * 2006-01-31 2008-09-02 Willem Johannes Van Straaten Exercise machine
US7485078B1 (en) * 2008-03-03 2009-02-03 Chih-Liang Chen Waist and buttocks exerciser
KR200443356Y1 (ko) * 2008-06-13 2009-02-09 김기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447B1 (ko) * 2010-07-27 2010-12-28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다기능 운동기구
CN103252059A (zh) * 2013-03-26 2013-08-21 郭学武 多功能康复健身器
CN103252059B (zh) * 2013-03-26 2016-02-03 南通鑫健体育用品有限公司 多功能康复健身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3431B2 (ja) 方向可変マシ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方法
US5971902A (en) Lumbar extension machine
US881476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US20050245370A1 (en) Powerwalk plus
US7141009B2 (en) Weightlifting system for doing leg presses
US20190009137A1 (en) Balancing push up bar
EP2537564B1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JP3168541U (ja) 開脚運動器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KR20090067007A (ko) 운동 기구
KR102071893B1 (ko) 스쿼트 및 로망체어 운동이 가능한 복합운동기구
US20170014679A1 (en) Abdominal Strengthening Apparatus
WO2013112501A1 (en) Abdominal exercising apparatus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KR100953493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003447B1 (ko) 다기능 운동기구
US11311773B2 (en) Balancing push up bar
US6733429B2 (en) Multi-mode exerciser
KR101414353B1 (ko) 절첩형 싯업 보드
AU2012101686A4 (en) Abdomen exercise machine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0953502B1 (ko) 다기능 운동기구
JP2006239395A (ja) 筋力訓練機
KR101185773B1 (ko) 복부 운동 장치
US20240115901A1 (en)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