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502B1 -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502B1
KR100953502B1 KR1020090107830A KR20090107830A KR100953502B1 KR 100953502 B1 KR100953502 B1 KR 100953502B1 KR 1020090107830 A KR1020090107830 A KR 1020090107830A KR 20090107830 A KR20090107830 A KR 20090107830A KR 100953502 B1 KR100953502 B1 KR 10095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ounder
toner
pilates
body frame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102009010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63B21/4031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with parts of the bench moving against a resistanc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는 필라티스 토너; 및 상기 바디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는 리바운더;로 구성됨에 따라, 하나의 운동기구로 팔, 다리,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운동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운동기구{Multifunction 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운동기구로 팔, 다리,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호 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개발되고 있는 운동기구들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다양한 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사용이나 보관이 편리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운동기구로 팔, 다리,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바닥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고, 일정한 탄성력으로 감긴 로우프 끝단의 손잡이를 끌어당기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 필라티스 토너; 및 상기 바디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고, 안장 위에 앉은 상태에서 후방에 힌지 결합된 백보드를 밀어 상체를 눕혔다 일으키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 리바운더; 가 구성된다.
상기 필라티스 토너 또는 리바운더는 상기 바디 프레임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은 상기 바디 프레임의 전후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위치조절구멍; 상기 필라티스 토너 또는 리바운더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위치조절구멍에 대응하는 제2 위치조절구멍이 형성된 이동판; 및 상기 제1,2 위치조절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끼워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라티스 토너는 상기 이동판 상에서 360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다.
상기 리바운더는 상기 안장 양측에 축 결합되는 캐스터; 및 상기 케스터의 상부면에 지지되면서 양 끝단이 상기 안장과 백보드에 각각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 이 구성된다.
상기 필라티스 토너 또는 리바운더는 상기 이동판 상에서 좌 또는 우로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다.
상기 리바운더는 상기 안장에 고정되고, 상기 안장과 백 보드가 결합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백 보드가 후방으로 기우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각도조절구멍이 형성된 각도조절판; 및 상기 각도조절구멍에 끼워 상기 백 보드가 걸리도록 하는 고정핀;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에 의하면 하나의 운동기구로 팔, 다리,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에 의하면 운동량이나 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무리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다기능 운동기구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바디 프레임(100), 상기 바디 프레임 전방에 설치되는 필라티스 토너(200) 및 상기 바디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는 리바운더(30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100)은 바닥에 낮게 형성된다. 즉, 전후에 받침대가 놓이고, 상기 전후 받침대는 하나 또는 두 개의 파이프로 연결된다.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탄성력으로 감긴 로우프(210) 끝단의 손잡이(220)를 끌어당기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는 내부에 일정 길이의 로우프(210)가 감겨있고, 상기 로우프(210) 끝단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손잡이(220)가 연결되는데, 상기 로우프(210)는 내부에 설치되는 태엽 등에 의해 항상 감기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장(310) 위에 앉은 상태에서 후방에 힌지 결합된 백보드(320)를 밀어 상체를 눕혔다 일으키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백보드(320)는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 전체가 아닌 허리만을 받치도록 낮게 형성하여 허리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체를 눕히고 들어올리기 위한 운동량을 높여 더욱 효율적인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안장(310) 양측에 캐스터(caster: 330)가 축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안장(310)과 백보드(320)의 양측에는 안장(310)과 백보드(320)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340)이 결합되는데, 상기 코일 스프링(340)은 상기 케스터(330)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코일 스프링(340)에 의해 백보드(320)가 항상 세워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 또는 리바운더(3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신체 조건에 따라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와 리바운더(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움직이도록 하면 된다.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와 리바운더(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으로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전후로 다수개의 제1 위치조절구멍(110)을 형성하고,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 또는 리바운더(300)의 하부에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위치조절구멍(110)에 대응하는 제2 위치조절구멍(410)이 형성된 이동판(40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제1,2 위치조절구멍(110, 410)이 일치된 상태에서 끼워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500)이 구성된다.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 또는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이동판(400) 상에서 좌우로 360도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다. 즉,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는 리바운더(300)의 안장(310)에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티스 토너(200)를 좌우로 돌린 상태로 자리에 일어서서 또는 엎드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바운더(300)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를 당기면서 몸을 좌우로 비틀어 허리 운동이나 골반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바운더(300)는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운동량이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백 보드(32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즉, 초보자의 경우 백 보드(320)가 뒤로 기우는 각도를 줄여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310)에 고정되고, 상기 안장(310)과 백 보드(320)가 결합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백 보드(320)가 후방으로 기우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각도조절구멍(351)이 형성된 각도조절판(350) 및 상기 각도조절구멍(351)에 끼워 상기 백 보드(320)가 걸리도록 하는 고정핀(360)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360)을 각도조절판(350)의 어느 각도조절구멍(351)에 끼워 백 보드(320)가 그만큼만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판(350)은 힌지 결합된 백 보드(320)의 프레임 중앙에 슬릿을 형성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운동기구로 팔, 다리, 배 등의 다양한 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바운더(300)의 안장(310)에 앉은 상태에서 필라티스 토너(200)의 손잡이(220)를 끌어당겨 팔 운동을 할 수 있고, 리바운더(300)를 사용하여 배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라티스 토너(200)와 리바운더(30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를 좌우로 회전시킨 후, 상기 바디 프레임(100) 일측에 서서 필리티스 토너(200)의 손잡이(220)를 끌어당겨 팔운동을 하거나, 필라티스 토너(200)를 감싸듯 엎드려 손잡이(220)를 발에 걸은 상태로 발을 밀어 발과 허리 운동을 하는 등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 보드(320)의 기우는 최대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무리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 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기능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바디 프레임 110: 제1 위치조절구멍
200: 필라티스 토너 210: 로우프
220: 손잡이
300: 리바운더 310: 안장
320: 백보드 330: 캐스터
340: 코일 스프링 350: 각도조절판
351: 각도조절구멍 360: 고정핀
400: 이동판 410: 제2 위치조절구멍
500: 고정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바닥에 안착되도록 형성된 바디 프레임(100);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일정한 탄성력으로 감긴 로우프(210) 끝단의 손잡이(220)를 끌어당기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 필라티스 토너(200); 및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후방에 설치되고, 안장(310) 위에 앉은 상태에서 후방에 힌지 결합된 백보드(320)를 밀어 상체를 눕혔다 일으키면서 운동하도록 형성된 리바운더(300);로 구성되고,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 또는 리바운더(3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면서 거리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거리를 조절하는 수단은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전후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위치조절구멍(110);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 또는 리바운더(3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위치조절구멍에 대응하는 제2 위치조절구멍(410)이 형성된 이동판(400); 및 상기 제1,2 위치조절구멍이 일치된 상태에서 끼워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핀(500);으로 구성된 다기능 운동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필라티스 토너(200) 또는 리바운더(300)는 상기 이동판(400) 상에 좌 또는 우로 회전하도록 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더(300)는,
    상기 안장(310)에 고정되고, 상기 안장(310)과 백 보드(320)가 결합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백 보드(320)가 후방으로 기우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각도조절구멍(351)이 형성된 각도조절판(350); 및
    상기 각도조절구멍(351)에 끼워 상기 백 보드(320)가 걸리도록 하는 고정핀(36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090107830A 2009-11-10 2009-11-10 다기능 운동기구 KR100953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30A KR100953502B1 (ko) 2009-11-10 2009-11-10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830A KR100953502B1 (ko) 2009-11-10 2009-11-10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02B1 true KR100953502B1 (ko) 2010-04-16

Family

ID=4222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7830A KR100953502B1 (ko) 2009-11-10 2009-11-10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355B1 (ko) * 2019-02-26 2020-06-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복합 트레이닝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349Y1 (ko) * 1978-11-30 1979-08-23 이상철 다목적 운동구
US20080242519A1 (en) * 2005-02-11 2008-10-02 Parmater Kim M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abdominal muscles while receiving a cardiovascular workout
KR200443356Y1 (ko) * 2008-06-13 2009-02-09 김기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349Y1 (ko) * 1978-11-30 1979-08-23 이상철 다목적 운동구
US20080242519A1 (en) * 2005-02-11 2008-10-02 Parmater Kim M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abdominal muscles while receiving a cardiovascular workout
KR200443356Y1 (ko) * 2008-06-13 2009-02-09 김기수 다목적 복근력 강화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355B1 (ko) * 2019-02-26 2020-06-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정용 복합 트레이닝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681B2 (en) Core training bench
US8992393B2 (en) Change of direction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JP5903431B2 (ja) 方向可変マシ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トレーニング方法
US9713745B2 (en) Portable calisthenics exercise device
US9259612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US7951056B2 (en) Rockable exercise apparatus
US8235876B2 (en) Abdominal training apparatus
US7435207B2 (en) Collapsible and storable apparatus for exercising core muscles
US6872170B2 (en) Multi-function physical training machine
US20170014679A1 (en) Abdominal Strengthening Apparatus
US8016731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CA2393983A1 (en) Multifunctional physical training machine
EP3868449B1 (en) Apparatus aiding body balance
KR101003447B1 (ko) 다기능 운동기구
US7134989B2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KR101410899B1 (ko) 힙업 운동기구
KR101144976B1 (ko) 복합 헬스 운동기구
KR100953502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351985B1 (ko) 힙업 운동기구
KR101414353B1 (ko) 절첩형 싯업 보드
KR100953493B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02478493U (zh) 可调式多功能仰卧起坐板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KR101668041B1 (ko) 괄약근 운동기구
KR101386260B1 (ko) 근력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