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427A -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427A
KR20030036427A KR1020030020625A KR20030020625A KR20030036427A KR 20030036427 A KR20030036427 A KR 20030036427A KR 1020030020625 A KR1020030020625 A KR 1020030020625A KR 20030020625 A KR20030020625 A KR 20030020625A KR 20030036427 A KR20030036427 A KR 20030036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ackrest
movement
exercise
sid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락호
Original Assignee
염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락호 filed Critical 염락호
Priority to KR102003002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6427A/ko
Publication of KR2003003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427A/ko
Priority to KR1020040022467A priority patent/KR100555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체력증진 또는 재활을 위해 사용 가능한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운동 가능한 한 쌍의 페달, 페달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안장 포스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안장, 안장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페달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측방향으로 반복적인 비틀림 운동을 하는 등받이부, 페달의 회전운동을 등받이부의 반복적인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전환부, 및 등받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HEALTH MACHINE USING PEDALS}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력증진 또는 재활을 위해 사용 가능한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체력증진에 많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대부분 자전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체인구동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형태의 운동기구는 체인 또는 체인에 의해 회전하는 휠에 적절한 유압을 가하여 페달을 구르는 사용자가 적절한 강도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술한 운동기구는 단지 페달을 구르는 동작만을 유도할 뿐, 팔이나 어깨, 허리 등에 대한 운동효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이 운동기구에 구비된 손잡이는 단순히 사용자가 균형을 잡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하체단련만을 위한 제한적인 효과를 제공하였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흥미를 제공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페달과 손잡이가 서로 연동되어 움직이게 함으로써, 페달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전신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페달이 자동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전신운동 및 재활운동이 가능한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좌측 페달이 앞으로 이동한 경우 도 1의 운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a 및 3b는 좌측 페달이 뒤로 이동한 경우 도 1의 운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동기구에 모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 및 6b는 페달이 앞뒤로 이동한 경우 도 5의 운동기구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 프레임 20,20'..페달 30,40..운동전환부
32,42,82..링크 34,44,84..커넥터 36,46,86..서브링크
50..안장 52..안장 포스트 60..등받이부
61..등받이 62..백포스트 64..측부연장부
70,70',170,170'..손잡이 80..손잡이용 운동전환부
84a..제1 부재 84b..제2 부재 84c..제3 부재
120..모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달을 이용한 운동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운동 가능한 한 쌍의 페달; 상기 페달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안장 포스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안장; 상기 안장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측방향으로 반복적인 비틀림 운동을 하는 등받이부;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상기 등받이부의 반복적인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전환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페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전환부는 상기 페달이 회전할 때 상기 등받이부를 뒤로 후퇴하는 페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안장의 후위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운동전환부에 의해 상기 페달에 연동되어 소정 범위 내에서 측방향 선회운동을 하는 측부연장부; 및 상기 측부연장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측부연장부와 함께 측방향 선회운동을 하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측부연장부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측부연장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등받이와 상기 측부연장부 사이의 설치각은 조절이 가능한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동전환부는 상기 한 쌍의 페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링크; 상기 제1 및 제2 링크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중간 부위가 상기 안장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페달의 전진운동을 후퇴운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페달의 후퇴운동을 전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의 단부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의 측부연장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제1 및 제2 서브링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페달과 상기 안장 사이의 거리도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서브링크 역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상기 등받이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소정 범위 내의 상하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상하방향 왕복운동을 상기 손잡이로 전달하는 손잡이용 운동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그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상기 페달이 회전운동을 하는 동안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용 운동전환부는 상기 페달에 연결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전후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3 링크; 상기 제3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3 링크의 전후방향 왕복운동을 상하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3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 및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3 커넥터의 상하방향 왕복운동을 상기 손잡이로 전달하는 제3 서브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커넥터는 L자 형상을 가지며 중심이 상기 등받이부의 측부연장부에 피봇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향하면서 상기 제3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향하는 제1 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부재의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부재의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중심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와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와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대략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 페달(20), 운동전환부(30)(40), 안장(50), 등받이(60) 및 손잡이(70)를 구비한다.
베이스 프레임(10)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면에 직접 설치되는 부분이다. 베이스 프레임(10)은 운동을 위한 각종 장치 및 부품이 설치되는 주 프레임(12)과 주 프레임(12)의 양단에 연결되어 운동기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다. 보조 프레임(14)은 주 프레임(12)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대략 H 형태가 된다. 물론, 베이스 프레임(10)의 형상은 이 외에 다른 대안이 충분히 가능하다. 보조 프레임 (14)의 하부에는 다수의 받침구(16)가 설치되어, 각 프레임(12, 14)을 설치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받침구(16)는 스크루 방식으로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페달(20)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두기 위한 것으로서, 운동기구의 양측 방향에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0), 특히 주 프레임(12)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페달 지지대(22)가 설치되고, 페달 지지대(22)에는 소정 길이의 회동부재(24)가 결합되며, 페달(20)은 회동부재(24)의 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페달(20)은 페달 지지대(22)와 회동부재 (24) 사이의 결합위치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안장(50)은 본 발명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앉기 위한 것으로서, 페달(20)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안장(50)의 설치를 위해서, 베이스 프레임(10), 특히 주 프레임(12)에는 안장 포스트(52)가 상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그 상단(50)에 안장이 결합된다. 이때, 안장(50)의 하단에는 소정 길이의 삽입봉이 안장 포스트(52)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안장(50)을 안장 포스트(52)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장 포스트 (52)의 상단에는 조임부재(54)를 설치할 수 있다. 조임부재(54)는 안장(50) 하단의 삽입봉을 안장 포스트(52)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안장(50)을 적절한 높이로 조절한 후 조임부재(54)를 조임으로서 안장(5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구성에서, 페달(20)과 안장(50)의 거리는 사용자의 체형 및 원하는 운동형태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달(20)과 안장(50)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데, 도면에는 한 예로써 페달(20)이설치된 페달 지지대(22)를 이동시키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0), 특히 주 프레임(12)에는 소정 길이의 가이드 슬롯(18)이 형성되며, 페달 지지대(22)는 부분적으로 가이드 슬롯(18)에 삽입된다. 또한, 페달 지지대(22)는 페달 결합부(26)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0), 특히 주 프레임(12)에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페달(20)과 안장(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페달 결합부(26)의 결합을 해제한 후 페달 지지대(22)를 가이드 슬롯(18)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재차 페달 결합부(26)를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시키면 된다. 여기서는 페달(20)과 안장(50) 사이의 거리조절을 위한 하나의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대안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안장(50)의 후위에는 등받이부(60)가 설치된다. 등받이부(60)는 안장(50)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어 허리를 곧추 세우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등받이부(60)는 적어도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비틀림 운동 또는 회동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등받이부(60)는 안장(50)의 후위에서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백포스트(62), 백포스트(62)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측부연장부(64), 측부연장부(64) 상에서 측부연장부(64)와 함께 이동하는 등받이(61)를 구비한다. 측부연장부(64)는 백포스트(62)와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측방향 회동을 할 수 있으며, 등받이(61)는 측부연장부(64)의 회동중심(a)(도 2a 및 도 3a 참조), 즉 백포스트 (62)와 측부연장부(64) 사이의 결합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측부연장부(64)에 결합된다. 따라서, 등받이(61)는 백포스트(62)와 측부연장부(64)와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궤적을 그리며 측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등받이부(60), 특히 등받이(61)는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의 구조에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 및 운동목적에 따라서 등받이부(60)의 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한 예로서 등받이(61)와 측부연장부(64) 사이의 설치각을 변경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등받이(61)와 측부연장부(64) 사이에 별도의 경사조절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등받이부(60)의 측부연장부(64)는 백포스트(62)와의 결합위치로부터 약간 이격된 곳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양측 연장부위의 단부(64a)(64b)는 후술될 운동전환부(30)(40)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측부연장부 (64)의 단부(64a)(64b)에는 운동전환부(30)(4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강성 재질의 핀(66)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손잡이(70)는 등받이부(60)의 상단에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며, 등받이부(60)의 등받이(61)가 일정한 궤적으로 선회운동을 할 때 함께 이동한다. 손잡이(70)의 위치는 안장(50)의 상부이며, 사용자가 안장(50)에 앉아 허리를 곧추세운 상태에서 손으로 쥐는데 불편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잡이(70)는 사용자의 체형 및 운동목적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전환부(30)(40)는 페달(20)의 회전운동을 소정 범위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등받이부(6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페달(20)을 밟아 회전시킬 경우, 페달(20)의 회전운동은 운동전환부(30)(40)에 의해 변환되어 등받이부(60)로 전달되고, 그로 인해 등받이부(60), 특히 등받이(61)가 일정한 궤적으로 비틀림 운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전환부(30)(40)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도 1과 함께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동전환부(30)(40)는 일측(도면에서 좌측) 페달(20)과 측부연장부(64)의 일측(도면에서 좌측) 단부(64a)를 연결하는 제1 운동전환부(30)와, 타측(도면에서 우측) 페달(20')과 측부연장부(64)의 타측(도면에서 우측) 단부(64b)를 연결하는 제2 운동전환부(4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운동전환부(30)는 일단부가 좌측 페달(20) 또는 좌측 페달(20)과 연동되는 좌측 회동부재(2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32)와,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32)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안장 포스트(52)에 연결축(48)에 의해 피봇 결합된 제1 커넥터(34)와, 일단부가 상기 제1 커넥터(34)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측부연장부(64)의 좌측 핀(66)에 미끄럼 결합된 제1 서브링크(36)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운동전환부(40)는 일단부가 우측 페달(20') 또는 우측 페달(20')과 연동되는 우측 회동부재(2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링크(42)와, 일단부가 상기 제2 링크(42)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연결축(48)에 의해 안장 포스트(52)에 피봇 결합된 제2 커넥터(44)와, 일단부가 상기 제2 커넥터(44)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측부연장부(64)의 우측핀(66')에 미끄럼 결합된 제2 서브링크(46)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링크(32)(42)와 각 서브링크(36, 46)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것처럼 페달(20)과 안장(5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경우, 또는 안장(50)과 등받이부(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경우, 각 링크(32)(42)와 각 서브링크(36)(46)의 길이를 그에 맞게 변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예로서 각 링크(32)(42)와 각 서브링크(36)(46)를 두 개의 삽입 가능한 부재로 구성하고, 이 부재들을 서로 삽입한 상태에서 너트(38)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을 채택하였다. 따라서, 너트(38)를 풀고 삽입된 두 부재의 삽입 깊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한 후 다시 너트(38)를 조이는 단순한 과정에 의해서 각 링크(32)(42)와 각 서브링크(36)(46)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링크(32)(42), 커넥터(34)(44) 및 서브링크(36)(46)는 자유로운 회동을 위해 피봇 또는 유니버설 조인트 등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페달(20)이 앞으로 이동하면,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링크(32)가 좌측 페달(20)을 따라서 앞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커넥터(34)는 일단부가 제1 링크(32)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면서 연결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타단부가 반대 방향, 즉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 서브링크(36)를 뒤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측부연장부(64)의 좌측 단부(64a) 또는 좌측 단부(64a)에 설치된 좌측 핀(66)을 뒤로 밀어내고, 그로 인해 등받이(61)는 측부연장부(64)의 회동중심(a), 즉 백포스트(62) 및 측부연장부(64) 사이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며, 그에 따라 측부연장부(64)에 설치된 등받이(61)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측방향 선회운동 또는 비틀림 운동을 하게 된다. 물론, 이때 등받이(61)의 상단에 설치된 좌측 손잡이(70)도 뒷방향으로 선회하며 이동하게 된다.
또한, 좌측 페달(20)이 앞으로 이동하면 구조적 메커니즘에 의해 우측 페달(20')은 뒤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2 운동전환부(4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뒤로 이동하는 우측 페달(20') 또는 우측 페달(20')과 연동되는 우측 회동부재(24')에 의해 제2 링크(42)는 뒷방향으로 밀리며, 제2 링크(42)에 연결된 제2 커넥터(44)의 일단부가 제2 링크(42)에 의해 뒤쪽으로 밀린다. 이때, 제2 커넥터(44)는 연결축(48)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제2 커넥터(44)의 타단부는 앞쪽으로 회동하며, 그에 따라 제2 서브링크(46)가 함께 앞쪽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제2 서브링크(46)와 결합된 측부연장부(64)의 우측 단부(64b) 또는 우측 핀(66')이 앞으로 당겨지며, 그로 인해 등받이(61)는 측부연장부(64)의 회동중심(a), 즉 백포스트(62)와 측부연장부(64) 사이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한다. 이때, 등받이(61)의 상단에 설치된 우측 손잡이(70')는 물론 등받이(61)와 함께 선회하여 앞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은 우측 페달(20')을 앞으로 밀 때 역으로 적용되며, 이러한 상태는 도 3a 및 3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제1 운동전환부(30)와 제2 운동전환부(40)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며, 서로 하나의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측 페달(20)을 앞으로 밀면서 좌측 발을 앞으로 뻗을 때,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손잡이(70)가 뒤로 이동하면서 좌측 팔이 뒤로 이동하게 되어 신체의 좌측 전체가 크게 이완되고, 반대로 우측 페달(20')이 뒤로 밀리면서 우측 발이 접히고 우측 손잡이(70')가 앞으로 선회하여 이동하여 우측 팔이 앞으로 당겨짐으로써 신체의 우측이 수축되는 스트레칭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반대로 우측 페달(20')을 밟을 때에는 신체의 우측이 크게 이완되고 좌측이 수축됨으로써, 페달(20)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몸 전체를 고르게 움직이게 되므로 균형 있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의 운동기구에 모터(120)를 더 부가한 것으로서, 제1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모터(120) 및 모터(120)에 의해 구동되는 페달(20)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모터(120)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모터(120)는 외부전원 또는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사용자의 힘이 아닌 동력에 의해 페달(20)을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페달(20)과 모터(120)의 회전축에는 각각 기어(125)(126)가 설치되며, 이들은 하나의 체인(12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운동기구는 다리의 근력이 부족한 사용자도 모터(120)의 동력에 의해 용이하게 전신운동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신체 회복을 위한 재활기구로서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모터(12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부를 마련하여 모터(120)의 회전속도를 선택 및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있으며, 별도의 계기판을 마련하여 모터(120) 또는 페달(20)의 현재 회전속도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방식으로 외부 동력에 의해 신체의 좌우측을 구부리고 펴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으며, 특히 전신을 고르게 사용함으로 인해 탁월한 치료 및 재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각 구성을 대부분 채용하고 있으며, 다만 손잡이(170)(170')가 등받이부(60)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손잡이(170)(170')의 회동을 위한 손잡이용 운동전환부(80)가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에서 도 1과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운동기구에서 손잡이(170)(170')는 등받이부(60), 특히 등받이(61)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손잡이(170)(170')의 중심부 하단에는 소정 형상의 연장 클립(90)이 등받이(61)의 상단 전후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이 연장 클립(90)에는 피봇(92)이 결합된다.
손잡이용 운동전환부(80)는 페달(20)(20')의 회전운동을 일정 범위 내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손잡이(170)(17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로 인해 손잡이(170)(170')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하게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손잡이용 운동전환부(80)는 일단부가 좌측 페달(20)에 연결되어 좌측 페달(20)이 회전운동을 할 때 함께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제3 링크(82), 제3 링크(82)와 연동되어 제3 링크(82)의 전후방향 왕복운동을 상하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3 커넥터(84), 제3 커넥터(84)와 연동되어 제3 커넥터(84)의 상하방향 왕복운동을 좌측 손잡이(170)로 전달하는 제3 서브링크(86)를 포함한다.
제3 링크(82)는 일단부가 제1 링크(32)의 타단부 또는 제1 커넥터(34)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 커넥터(84)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제3 링크(82)의 일단부는 좌측 페달(20)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1 링크(32)의 특정 위치 또는 제1 커넥터(34)의 하부 특정 위치와도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3 링크(82)는 페달(20)이 회전운동을 하는 동안, 그 회전운동을 전후방향의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면 된다.
제3 커넥터(84)는 제3 링크(82)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제3 링크(82)의 전후방향 왕복운동을 상하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3 커넥터(84)는 제3 링크(82)가 전방으로 향하는 전진운동을 위로 향하는 상승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제3 링크(82)가 후방으로 향하는 후퇴운동을 아래로 향하는 하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제3 커넥터(84)는 L자 형태로 절곡되어 중심이 등받이부(60)의 측부연장부(64)의 좌측 단부(64a)에 피봇 연결된 제1 부재(84a), 제1 부재(84a)의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부재(84b),및 제2 부재(84b)의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간의 소정 위치가 등받이부(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부재(84c)를 구비한다.
제1 부재(84a)는 일단부가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향하여 제3 링크(82)의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향한다. 또한, 제1 부재(84a)는 중심위치가 측부연장부(64)의 좌측 단부(64a)에 피봇(84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1 부재(84a)는 상술한 위치 외에도 제1 서브링크(36)의 타단부 등에도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링크(82)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1 부재(84a)의 일단부는 제3 링크(82)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로 인해 제1 부재(84a)가 피봇(84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후방에 위치한 타단부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제3 링크(8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제1 부재(84a)의 일단부가 뒤로 밀리면서 피봇(84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로 인해 제1 부재(84a)의 타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 부재(84b)는 직선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제1 부재(84a)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 부재(84c)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 부재(84c)는 일단부가 제2 부재(84b)의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 서브링크(86)의 일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제3 부재(84c)는 중심의 소정 위치가 등받이부(60)에 피봇(84c')에 의해 결합되어, 피봇(84c')을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한다. 이때, 제3 부재(84c)와 등받이부(60)의 피봇결합을 위해서, 등받이부(60)에는 제3 부재(84c)와 인접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별도의 연장부재(168)를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재(168)는 등받이부(60)의 등받이(61) 또는 측부연장부(64)와 같이 선회운동을 하는 구성요소에 설치되어, 등받이부(60)가 움직이더라도 제3 부재(84c)와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서브링크(86)는 일단부가 제3 커넥터(84)의 제3 부재(84c)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좌측 손잡이(17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손잡이용 운동전환부(80)의 동작을 제1 운동전환부(30)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측 페달(20)이 앞으로 이동하면, 제1 링크(32)가 제3 링크(82)와 함께 좌측 페달(20)을 따라서 앞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3 링크(82)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3 커넥터(84)의 제1 부재(84a)의 일단부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피봇(84a')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그로 인해 제1 부재(84a)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1 부재(84a)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2 부재(84b)가 하방으로 이동하며, 그와 함께 제2 부재(84b)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3 부재(84c)의 일단부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3 부재(84c)는 중심의 소정 위치가 피봇(84c')에 의해 등받이부(6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3 부재(84c)는 피봇(84c')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3 부재(84c)의 타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제3 서브링크(86)로 전달되고, 그로 인해 제3 서브링크(86)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측 손잡이(17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 좌측 페달(20)이 앞으로 이동하면 좌측 손잡이(170)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연동되는 것이다. 이 상태는 각 링크만을 별도로 도시한 도 6a에 잘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좌측 손잡이(170)와 우측 손잡이(170')는 피봇(92)을 중심으로 함께 회동하므로, 좌측 손잡이(17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우측 손잡이(17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때 우측 페달(20')은 좌측 페달(20)과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좌측 페달(20)이 뒤로 이동할 때에는 각 링크 및 부재가 상술한 과정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을 하며, 결과적으로 좌측 손잡이(17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는 도 6b에 잘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용 운동전환부(80)는 운동기구의 좌측에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손잡이용 운동전환부(80)는 운동기구의 우측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운동기구의 양측 모두에 설치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페달(20)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에 따라 등받이부(60)와 손잡이(170)가 양측방향으로 선회하는 왕복운동을 함과 동시에, 양측 손잡이(170)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동시에 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다이내믹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도 4와 같은 모터(120)를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운동기구는 사용자에게 보다 역동적인 움직임을 제공함으로써, 재활 및 치료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페달과 등받이가 서로 연동되어 움직임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페달을 누르고 그에 연동되는 등받이 및 손잡이에 의해 허리를 비틀고 팔을 뻗고 당기게 함으로써, 다리의 근력강화와 더불어 전신의 스트레칭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팔, 어깨, 허리, 다리로 이어지는 몸의 각 관절을 모두 이용하게 되므로 운동효과가 탁월하며, 특히 모터를 사용하여 페달을 동력에 의해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는 페달 및 그에 따라 연동되는 손잡이에 의해서 전신운동을 하게 되므로, 신체 회복을 위한 재활기구로서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Claims (14)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운동 가능한 한 쌍의 페달;
    상기 페달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된 안장 포스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안장;
    상기 안장에 앉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측방향으로 반복적인 비틀림 운동을 하는 등받이부;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상기 등받이부의 반복적인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전환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페달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환부는 상기 페달이 회전할 때 상기 등받이부를 뒤로 후퇴하는페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안장의 후위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운동전환부에 의해 상기 페달에 연동되어 소정 범위 내에서 측방향 선회운동을 하는 측부연장부; 및
    상기 측부연장부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측부연장부와 함께 측방향 선회운동을 하면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측부연장부의 회동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측부연장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와 상기 측부연장부 사이의 설치각은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환부는,
    상기 한 쌍의 페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링크;
    상기 제1 및 제2 링크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중간 부위가 상기 안장 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페달의 전진운동을 후퇴운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페달의 후퇴운동을 전진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 및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의 단부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의 측부연장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소정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시키는 제1 및 제2 서브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과 상기 안장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링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이용한 운동기구.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상기 등받이부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과 연결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소정 범위 내의 상하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상하방향 왕복운동을 상기 손잡이로 전달하는 손잡이용 운동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그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손잡이는 상기 페달이 회전운동을 하는 동안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용 운동전환부는,
    상기 페달에 연결되어 상기 페달의 회전운동을 전후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3 링크;
    상기 제3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3 링크의 전후방향 왕복운동을 상하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3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 및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3 커넥터의 상하방향 왕복운동을 상기 손잡이로 전달하는 제3 서브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는,
    L자 형상을 가지며 중심이 상기 등받이부의 측부연장부에 피봇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향하면서 상기 제3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향하는 제1 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 부재의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2 부재의 타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고, 중심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등받이부와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와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회동운동을 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20030020625A 2003-04-01 2003-04-01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KR20030036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625A KR20030036427A (ko) 2003-04-01 2003-04-01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20040022467A KR100555140B1 (ko) 2003-04-01 2004-04-01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625A KR20030036427A (ko) 2003-04-01 2003-04-01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879U Division KR200319057Y1 (ko) 2003-04-01 2003-04-01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427A true KR20030036427A (ko) 2003-05-09

Family

ID=295791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625A KR20030036427A (ko) 2003-04-01 2003-04-01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20040022467A KR100555140B1 (ko) 2003-04-01 2004-04-01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467A KR100555140B1 (ko) 2003-04-01 2004-04-01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00364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4316A2 (ko) * 2009-03-09 2010-09-16 Kim San 전신 운동 기구
KR101127509B1 (ko) * 2009-12-08 2012-03-22 전우식 안장의 요동각 조절구조를 갖는 헬스 자전거
CN106075815A (zh) * 2016-08-08 2016-11-09 江苏康力源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多功能健身车
KR20180052142A (ko) * 2016-11-09 2018-05-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신경계 질환용 하지 재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057B1 (ko) * 2009-09-18 2012-06-29 박순일 허리 운동형 헬스 자전거
KR100978621B1 (ko) 2009-10-06 2010-08-27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다기능 운동기구
KR101218483B1 (ko) * 2011-05-11 2013-01-04 성열규 운동기구
KR101525225B1 (ko) * 2012-08-13 2015-06-04 신광의료기산업(주)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KR101593069B1 (ko) 2015-06-01 2016-02-11 조위현 근력 및 관절 향상용 운동기구
KR101879435B1 (ko) * 2016-12-22 2018-07-18 임세종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4316A2 (ko) * 2009-03-09 2010-09-16 Kim San 전신 운동 기구
WO2010104316A3 (ko) * 2009-03-09 2011-01-20 Kim San 전신 운동 기구
KR101127509B1 (ko) * 2009-12-08 2012-03-22 전우식 안장의 요동각 조절구조를 갖는 헬스 자전거
CN106075815A (zh) * 2016-08-08 2016-11-09 江苏康力源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多功能健身车
KR20180052142A (ko) * 2016-11-09 2018-05-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신경계 질환용 하지 재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140B1 (ko) 2006-03-03
KR20040088386A (ko) 200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6811B (zh) 具多種運動型態的複合式運動機
KR101794684B1 (ko) 전신 재활운동기구
US9050485B2 (en) Elliptical trainer with variable track
TWM351090U (en) Pulley-type foot strengthening device
US4796882A (en) Physical training apparatus
TWM380146U (en) Oval stroll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span
KR20030036427A (ko)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1869978B1 (ko) 재활운동기구
CN110624206B (zh) 一种重症病人康复装置
JP2008264319A (ja) 運動補助装置
KR200319057Y1 (ko)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CN201223528Y (zh) 多功能腹肌健身器
KR20170000039U (ko) 다리찢기 운동기구
KR101677528B1 (ko)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
KR100637316B1 (ko) 고정식 자전거 운동기구
GB2371997B (en) Spine exerciser for exercising and strengthening the muscles of the spinal column, vertebral joints and for posture correction
US6679814B2 (en) Rower exerciser
KR200419079Y1 (ko) 고정식 자전거 운동기구
CN201179305Y (zh) 运动器材
KR20080098782A (ko) 포복자세의 전신 운동장치
CN2776464Y (zh) 划船健身器之结构改良
CN201006232Y (zh) 可调整跨距的踏步及走步两用健身器
CN2520897Y (zh) 健身器
US5520596A (en) Stepping exercise apparatus
CN217645756U (zh) 一种预防肌肉萎缩的截瘫患者锻炼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