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35B1 -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435B1
KR101879435B1 KR1020160176308A KR20160176308A KR101879435B1 KR 101879435 B1 KR101879435 B1 KR 101879435B1 KR 1020160176308 A KR1020160176308 A KR 1020160176308A KR 20160176308 A KR20160176308 A KR 20160176308A KR 101879435 B1 KR101879435 B1 KR 10187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ing
roller
frame
underframe
fro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922A (ko
Inventor
임세종
Original Assignee
임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세종 filed Critical 임세종
Priority to KR1020160176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4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7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면서도 심신 이완과 즐거움의 다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프레임(2200)을 좌우 회동 지지하는 전방프레임부(1100)와, 전방프레임부 및 지지부(4030)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10)을 구비하는 베이스부(1000), 착좌부(3000)를 상측에 지지하며 지지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되는 요동언더프레임(1320), 상기 요동언더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손잡이프레임에 대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요동전방프레임(1310) 및 페달부(4110)로부터의 동력을 후방으로 전달하여 요동언더프레임이 베이스부에 대해 좌우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4000)를 포함하는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MULTIPURPOSE BICYCLE TYPE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페달을 구비하는 운동기구에 관련된 것으로서, 운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면서도 심신 이완과 신체적 즐거움의 다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산업화 및 도시화되고 교통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감소할 뿐만 아니라, 운동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운동량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 부족은 근육의 노화와 경직 현상을 발생시키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현대인들을 위하여 실내외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들이 지속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실외에서 운동을 수행하는 기구의 경우 번거롭고 공간이 크게 필요한 단점이 있고, 실내에서 운동하도록 하는 기구의 경우는 운동의 효과와 재미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실내에서 수행하는 운동기구 중에서 심폐기능의 향상과 근력향상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것으로서 자전거를 모방한 운동기구를 들 수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6227호는 종래기술의 고정 자전거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레임(frame)(100), 시트(seat)(200), 페달조종장치(pedal driving mechanism)(300) 및 기부(base)(60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포크(fork)(101), 시트튜브(tube)(102) 및 시트 스테이(stay)(103)을 포함하며, 시트(100) 및 페달조종장치(300)는 프레임(100)의 적절한 위치에 실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페달조종 장치에는 소정의 부하가 가해지고 이용자는 시트에 안착한 상태에서 페달을 구름으로써 실외에서 타는 자전거와 유사한 운동의 효과를 획득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상체는 고정되고 하체는 상하 운동만 반복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근육을 사용할 수 없어, 상기 문헌에서는 포크(102)의 하단부, 시트튜브(102) 및 시트스테이(103)가 피벗 조인트(101A, 102A, 103A)를 각각 구비하고, 포크(101)는 유체 실린더(hydraulic cylinders)인 2개의 쿠션부재(40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자전거가 좌우로 요동되어 보다 많은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으나 불규칙한 좌우 스윙으로 인하여 오히려 운동 효과가 반감될 수 있고 심각한 경우 근육의 피로 누적과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이러한 실내용 자전거는 한정된 공간에서 운동을 하기 때문에 운동시간이 지루하고 답답하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었고, 근래에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운동기구의 전면에 영상장치나 음향장치를 설치하여 영화를 감상하거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한 것이 있으나, 운동 과정이 단순히 페달을 작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이루어지므로 이 또한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신체의 다양한 부위의 운동의 효과의 증대와 운동을 하는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의 구조가 요청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신체의 다양한 부위의 스트레칭 또는 근력의 향상이 가능한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긴장감을 이완시킬 수 있고 운동의 재미를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프레임(2200)을 좌우 회동 지지하는 전방프레임부(1100)와, 전방프레임부 및 지지부(4030)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10)을 구비하는 베이스부(1000), 착좌부(3000)를 상측에 지지하며 지지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되는 요동언더프레임(1320), 상기 요동언더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손잡이프레임에 대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요동전방프레임(1310) 및 페달부(4110)로부터의 동력을 후방으로 전달하여 요동언더프레임이 베이스부에 대해 좌우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4000)를 포함하는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하체의 전신 운동이 가능하므로 운동의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손잡이프레임과 전방프레임부의 제1힌지부는, 손잡이프레임과 요동전방프레임의 제2힌지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요동전방프레임이 요동언더프레임과 함께 일측으로 회동되면 손잡이프레임이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동되어 상체와 하체의 움직이는 방향이 반대되도록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동력전달부의 전후방향 회전을 좌우방향의 회전으로 전환하는 직교전달부(4320)와, 요동언더프레임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요동롤러(4330)와, 상기 요동롤러의 일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요동로드(43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좌부는 요동언더프레임 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제공받아 승하강되는 승하강부(3410)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마찰부(342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는 페달부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페달롤러(4120)와, 페달롤러와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중계롤러(4210)와, 중계롤러(4210)와 연결되고 직교전달부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롤러(4310)와, 전달롤러의 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승하강부의 저부에 연결되어 전달롤러의 회전을 승하강부의 승하강 운동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푸시로드(4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자전거에서 페달부를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하체를 운동함과 동시에 좌우 스윙동작이 연계되어 작동되므로 상체의 운동은 물론 허리의 각도를 최대화하여 스트레칭이 가능하므로 전신 운동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좌부에서 소정의 골반 부위나 성기 부위를 자극하여 성기능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체적인 긴장감을 이완하고 운동과 동시에 즐거움을 얻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좌부의 작동이나 형태를 선택할 수 있고, 승하강부, 마찰부의 작동이나 요동부의 운동을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고정 자전거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가 좌우로 틸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에서 동력전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에서 착좌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손잡이프레임을 회동 지지하는 전방프레임부와 전방프레임부 및 지지부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후방프레임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 착좌부를 상측에 지지하며 지지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되는 요동언더프레임, 요동언더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손잡이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요동전방프레임, 페달부로부터의 동력을 후방으로 전달하여 요동언더프레임을 좌우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손잡이가 배치되는 측을 전방으로, 이에 대향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자전거형 운동기구는 착좌부와 페달부를 구비하는 것이면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베이스부(1000)는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하며 바닥면에 어느 정도 고정 배치되는 구조물을 말하며, 전방측의 전방프레임부(1100)와 후방측의 후방프레임부(1200)와 전방프레임부(1100) 및 후방프레임부(1200)를 저부에서 연결하는 베이스프레임(10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10)은 지지부(403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4030)는 후술될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400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이 좌우 스윙운동으로 전환되면 요동언더프레임(1320)이 회동될 수 있는 회동축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부(4030)가 긴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단일로 길게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동언더프레임(1320)의 회동을 지지하면서 착좌부(3000)에 앉은 이용자의 무게를 포함한 요동부 전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4030)는 전후방측에 베이스부(1000)에 대해 좌우 회동 가능한 핀 내지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동부는 베이스부(1000)에 대해 좌우로 스윙운동하는 착좌부(3000), 요동전방프레임(1310), 요동언더프레임(1320) 및 동력전달부(40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방프레임부(1100)는 베이스프레임(1010)의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손잡이부(2000)를 지지하는 손잡이프레임(2200)이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손잡이프레임(2200)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 하측으로 요동전방프레임(1310)이 연결되는데, 상기 요동전방프레임(1310)은 손잡이프레임(2200)에 대해서도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이 경우 스윙 동작에 의하여 손잡이프레임(2200)이 전방프레임부(1100)에 좌우로 회동되며, 요동전방프레임(1310)이 손잡이프레임(2200)에 대해 좌우로 회동되어 소정의 링크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손잡이부(2000)를 형성하고 있는 핸들부(2100)와 손잡이프레임(2200)이 함께 좌우로 회동되므로 이용자의 상체가 함께 좌우로 스윙동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의 힌지 연결 구조에 따라 요동전방프레임(1310)과 손잡이프레임(2200)의 스윙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요동전방프레임(1310)은 그 하측에 페달부(41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페달부(4110)는 양측에서 이용자의 발을 통하여 회전운동을 개시할 수 있는 선택적인 형상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페달부(4110)는 요동전방프레임(1310)이 아닌 요동언더프레임(1320)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페달부(4110)의 회전중심을 동축으로 하여 페달롤러가 연결되고 소정의 동력전달구조를 통하여 동력전달부(4000)가 구성될 수 있는데, 주요하게는 상기 동력전달부(4000)는 후방측으로 전후방향으로의 회전동력을 연결하고 이러한 전후 회전동력은 좌우회전동력으로 전환되어 지지부(4030)에 대해 요동언더프레임(1320)이 스윙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러한 동력전달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착좌부(3000)는 이용자의 엉덩이 및/또는 허벅지 부위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데, 요동언더프레임(1320)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직립부(135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착좌부(3000)가 직립부(1350) 또는 요동언더프레임(1320)에 고정 배치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용자의 다양한 신체형상이나 하중, 후술될 바와 같은 유희 내지는 운동의 기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와 형태의 착좌부(3000)가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타측에 동력전달부(4000)에서 전달도니 동력이 스윙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상기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구조는 상호 치환될 수 있음은 물론 서로 양측의 동일한 방향에 배열되는 경우도 당업자에 자명하다.
전방프레임부(1100)의 상측으로 손잡이프레임(2200)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손잡이프레임(2200)에 대해 요동전방프레임(1310)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전방프레임부(1100)와 손잡이프레임(2200)의 연결부위인 제1힌지부는 손잡이프레임(2200)과 요동전방프레임(1310)의 연결부위인 제2힌지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상호 반대방향의 회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힌지부 및/또는 제2힌지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핀이 소정의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프레임(2200) 및 요동전방프레임(1310)에는 높이방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높이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페달부(4110)는 요동전방프레임(1310)에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페달부(4110)와 동축으로 페달롤러(4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페달롤러(4120)는 최초의 회전동력을 제공하도록 기능하며, 소정의 동력전달구조를 통하여 후방측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로서 기능하는 롤러들과 벨트의 연결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치합이 이루어지는 기어구조, 체인, 마찰롤러 등의 다양한 동력전달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4000)의 후방측 말단에는 전달롤러(4310)가 배치되어 소정의 감속비로서 회전동력이 전달되며, 일측에서 후방으로 전달된 전후방향의 회전동력은 직교전달부(4320)를 통하여 좌우방향 회동으로 전환되어 요동롤러(433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요동롤러(4330)는 요동부에 대해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베이스부(1000)에 연결되는 요동로드(4340)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좌우 스윙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동로드(4340)의 일단은 베이스부(1000), 더욱 정확하게는 베이스프레임(1010)의 일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은 요동롤러(4330)의 일면에서 회전축의 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요동롤러(4330)의 회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요동로드(4340)의 경사각도가 가변되며 요동로드(4340)와 요동롤러(4330)의 연결부위의 위치에 따라 요동부의 좌우 스윙 방향 및 각도가 결정된다. 상기 요동롤러(4330)의 직경은 스윙 운동의 정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동로드(4340)는 요동롤러(4330)의 회전운동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길이가 신축 가능한 바의 슬라이딩 연결구조나 피스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요동운동에 대하여 직립 방향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부(4010)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부(401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요동부의 요동언더프레임(1320)과 베이스부(1000)의 후방프레임부(1200)를 상호 연결하여 직립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복원부(4010)는 대칭적으로 균등한 힘을 작용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가 좌우로 틸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요동부, 더욱 정확하게는 손잡이프레임(2200), 요동전방프레임(1310), 착좌부(3000) 및 요동언더프레임(1320)이 직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요동언더프레임(1320) 및 착좌부(3000)가 왼쪽으로 틸팅되고 손잡이프레임(2200)에 오른쪽으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용자가 착좌부(3000)에 착좌한 상태에서 페달부(4110)를 구르는 동작을 수행하면 동력전달부(4000)를 통하여 소정의 감속비를 가지고 후방측인 전달롤러(4310)에 최종 전달동력을 제공하게 되면, 직교전달부(4320)를 통하여 회전방향이 절환되어 요동롤러(4330)의 좌우 회전을 발생하게 된다.
요동롤러(4330)는 베이스부(1000)에 연결되는 요동로드(4340)와의 연결상태에 의하여 회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요동언더프레임(1320)의 좌우 회동동력을 발생시키며 착좌부(3000) 및 손잡이부(2000)는 지속적인 스윙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요동언더프레임(1320)의 왼쪽으로의 틸팅에 따라 요동전방프레임(1310)이 손잡이프레임(2200)에 대해 왼쪽으로 틸팅되며, 요동전방프레임(1310)과 손잡이프레임(2200)의 제2힌지부가 손잡이프레임(2200)과 전방프레임부(1100)의 제1힌지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므로 손잡이프레임(2200)은 우측으로 틸팅된다.
이러한 요동부와 손잡이부(2000)의 반대방향 틸팅은 하체와 상체의 서로 다른 방향의 움직임을 의미하는데 이를 통하여 종래의 자전거형 운동기구가 하체의 운동만 가능한 것임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체의 운동 또는 스트레칭이 가능해짐을 의미한다.
또한, 하체와 상체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틸팅된다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위만 틸팅되는 것보다 허리의 꺾임 각도가 더 크게 형성됨을 의미하고 이는 허리 운동량의 극대화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직교전달부(4320)는 소정의 베벨기어의 연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력의 단속이 가능하도록 최소한 어느 하나의 기어가 회전축에 커플링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달의 움직임이 좌우 스윙운동으로 전환되지 않도록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요동부의 직립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요동부와 베이스부(1000) 사이에는 직립상태 또는 틸팅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핀 및 홀이나 후크 등과 같은 위치고정수단이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부(4010)는 후방프레임부(1200)의 상측과 요동언더프레임(1320)에 연결되는 상측탄성부(4012)와 요동언더프레임(1320)과 베이스프레임(1010)에 연결되는 하측탄성부(40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 틸팅 동작에 따라 어느 한 측에 위치되는 상측탄성부(4012) 및 하측탄성부(4010)의 세트는 압축과 신장을 교번하여 작동하며 이는 직립성의 향상에 더욱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복원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판스프링이나 탄성 와이어 또는 댐퍼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에서 동력전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4000)의 구조 및 방식은 반드시 본 발명의 설명 및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요동전방프레임(1310)에는 페달부(4110)와 페달롤러(4120)가 배치되어 전후 회전동력을 개시하도록 한다. 이때, 페달롤러(4120)는 다른 롤러들에 비하여 비교적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동력전달 과정에서 감속을 수행하여 후술될 바와 같은 착좌부 또는 요동롤러(4330)의 회전수를 저감하는 동시에, 운동으로서의 기능을 향상하도록 페달부(4110) 측으로의 역부하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페달롤러(4120)는 중량체로 이루어져 회전질량을 더욱 크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페달롤러(4120)와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중계롤러(4210)가 연결되고, 상기 중계롤러(4210)는 착좌부(3000) 측으로 회전동력을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할 수 있고, 소정의 회전비로서 전달롤러(43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달롤러(4310), 직교전달부(4320) 및 요동롤러(4330)의 동력전달 과정과 관련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착좌부(3000)는 소정의 가동구조를 구비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의 승하강부(3410)와 전방측의 마찰부(3420)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3410)는 착좌부(3000)의 소정의 개구를 통하여 승하강될 수 있으며 하측에서 푸시로드(44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4410)의 하단은 전달롤러(431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달롤러(4310)의 회전을 승하강부(3410)의 승하강 운동으로 전환하게 된다. 요동롤러(4330)와 마찬가지로 푸시로드(4410)가 전달롤러(4310)의 일면에서 회전축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부(3410)는 선택적인 형상과 가동거리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동거리는 전달롤러(4310)의 직경 내지는 전달롤러(4310)와 푸시로드(4410)의 연결부위와 회전축과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3410)의 작동은 착좌부(3000)에 앉은 이용자의 음부 내지는 성기를 자극하여 신체를 이완하고 만족감을 향상하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페달을 구르는 운동과 동시에 골반 부위 내지는 성기를 자극하여 즐거움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3410)에 추가적 또는 선택적으로 전방측에 마찰부(3420)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어 신체 자극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마찰부(3420)는 그 하측으로 마찰롤러(4420)에 연결되어 가속부(4530)로부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거나 직접적으로 가속부(4530)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속부는 복수의 롤러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중계롤러(4210)의 타측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하단롤러(참조번호 미표시)로부터 중간롤러(참조번호 미표시)로 가속되어 동력이 전달된 이후 상단롤러(참조번호 미표시)로 다시 가속이 이루어져 마찰부(3420)에 가속된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단롤러, 중간롤러, 상단롤러는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가속의 정도에 따라 직경 및 개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성능의 증가를 고려하여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측에서는 롤러의 직경이 크고, 제공받는 측에서는 롤러의 직경이 작도록 좌우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마찰부는 남성의 전립선을 자극하거나, 여성의 음핵 부위를 자극하는 방식으로 건강을 증진하고 흥분감을 제공하여 즐거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마찰부(3420) 및 승하강부(3410)는 신체와의 접촉을 고려하여 피부에 무해하고 다른 부위보다는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에서 착좌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착좌부(3000)는 착좌부위를 지지하는 착좌프레임(2200)과 후방측의 개구를 통하여 승하강되는 승하강부(3410)와, 전방측에서 상측의 일부가 노출되어 회전동력을 제공받는 마찰부(3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착좌프레임(2200)의 상측으로는 엉덩이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쿠션감이 있는 재질이 더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마찰부(3420)는 마찰롤러(4420)에 벨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하측의 가속부(4530)에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착좌부(3000)는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른 롤러들의 관계가 벨트 구동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과 달리 마찰롤러(4420)가 가속부(4530)의 말단에 배치되는 상단롤러에 접촉면에서 마찰되는 방식으로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푸시로드(4410)는 승하강부(3410) 또는 전달롤러(4310)와 연결상태를 해제하여 불필요하게 승하강부(341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마찰롤러(4420)가 가속부(4530)와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거나 접촉되는 경우가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착좌부(300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성과 크기로써 복수로 형성되어 직립부(1350)에 대해 탈착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되는 예는 여성 이용자를 위한 구조로 사용될 수 있고 남성을 위한 구조는 승하강부(3410)가 생략되고 전방측으로 소정의 피스톤 운동이 가능한 삽입구를 구비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마찰부(3420)는 필요에 따라 공용으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착좌부(3000)의 승하강부(3410) 및 마찰부(3420)와, 요동롤러(4330)의 작동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력전달부(4000)의 동력이 연결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는 자전거에서 페달부를 구르는 동작을 통하여 하체를 운동함과 동시에 좌우 스윙동작이 연계되어 작동되므로 상체의 운동은 물론 허리의 각도를 최대화하여 스트레칭이 가능하므로 전신 운동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좌부에서 소정의 골반 부위나 성기 부위를 자극하여 성기능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체적인 긴장감을 이완하고 운동과 동시에 즐거움을 얻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착좌부의 작동이나 형태를 선택할 수 있고, 승하강부, 마찰부의 작동이나 요동부의 운동을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베이스부 1010...베이스프레임
1100...전방프레임부 1200...후방프레임부
1310...요동전방프레임 1320...요동언더프레임
1350...직립부 2000...손잡이부
2100...핸들부 2200...손잡이프레임
3000...착좌부 3010...착좌프레임
3410...승하강부 3420...마찰부
4000...동력전달부 4010...탄성복원부
4011...하측탄성부 4012...상측탄성부
4030...지지부 4110...페달부
4120...페달롤러 4210...중계롤러
4310...전달롤러 4320...직교전달부
4330...요동롤러 4340...요동로드
4410...푸시로드 4420...마찰롤러
4530...가속부

Claims (5)

  1. 손잡이프레임(2200)을 좌우 회동 지지하는 전방프레임부(1100)와, 전방프레임부 및 지지부(4030)를 저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10)을 구비하는 베이스부(1000);
    착좌부(3000)를 상측에 지지하며 지지부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되는 요동언더프레임(1320);
    상기 요동언더프레임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손잡이프레임에 대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요동전방프레임(1310); 및
    페달부(4110)로부터의 동력을 후방으로 전달하여 요동언더프레임이 베이스부에 대해 좌우로 회동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400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프레임과 전방프레임부의 제1힌지부는,
    손잡이프레임과 요동전방프레임의 제2힌지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요동전방프레임이 요동언더프레임과 함께 일측으로 회동되면 손잡이프레임이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동되어 상체와 하체의 움직이는 방향이 반대되도록 하는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부의 전후방향 회전을 좌우방향의 회전으로 전환하는 직교전달부(4320)와, 요동언더프레임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요동롤러(4330)와, 상기 요동롤러의 일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요동로드(4340)를 구비하는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는,
    요동언더프레임 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제공받아 승하강되는 승하강부(3410)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마찰부(3420)를 구비하는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페달부와 동축으로 회전되는 페달롤러(4120)와, 페달롤러와 연결되어 가속회전하는 중계롤러(4210)와, 중계롤러(4210)와 연결되고 직교전달부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롤러(4310)와, 전달롤러의 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승하강부의 저부에 연결되어 전달롤러의 회전을 승하강부의 승하강 운동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푸시로드(4410)를 포함하는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KR1020160176308A 2016-12-22 2016-12-22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KR10187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308A KR101879435B1 (ko) 2016-12-22 2016-12-22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308A KR101879435B1 (ko) 2016-12-22 2016-12-22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22A KR20170004922A (ko) 2017-01-11
KR101879435B1 true KR101879435B1 (ko) 2018-07-18

Family

ID=5783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308A KR101879435B1 (ko) 2016-12-22 2016-12-22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0285A (zh) * 2017-09-04 2019-03-05 必艾奇亚洲(香港)控股有限公司 健身装置的限位结构
KR102323896B1 (ko) * 2019-12-06 2021-11-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용 의자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282A (en) * 1989-07-17 1990-09-18 Wakefield Timothy A Gyro-cycle
JPH03127734U (ko) * 1990-04-06 1991-12-24
KR20040088386A (ko) * 2003-04-01 2004-10-16 염락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US20050209064A1 (en) * 2004-03-15 2005-09-22 Peterson Lewis D Bicycle trainer
US20080020908A1 (en) * 2006-07-21 2008-01-24 Inigo Lizarralde Ibarguren Static pedalling fitness apparatus with lateral swinging
US20090048076A1 (en) * 2007-08-17 2009-02-19 Realryder, Llc Bicycling exercise apparatus
JP2009514739A (ja) * 2005-11-08 2009-04-09 バダルネー、ジアド 傾動機能を有する屋内運動自転車
KR100942386B1 (ko) * 2009-09-11 2010-02-12 김용겸 틸팅이 가능한 실내용 노젓기식 자전거
KR20100016866A (ko) * 2008-08-05 2010-02-16 전우식 안장의 좌우 요동구조를 갖는 헬스 자전거
US20110105282A1 (en) * 2008-06-12 2011-05-05 Cassiano Pinzon Stationary articulated bicycle
KR20110064491A (ko) * 2009-12-08 2011-06-15 전우식 안장의 요동각 조절구조를 갖는 헬스 자전거
KR101099332B1 (ko) * 2010-07-23 2011-12-26 전우식 안장의 요동각 조절장치를 갖는 헬스 자전거
US20120277067A1 (en) * 2011-04-22 2012-11-01 Vincent Bowman Cycle Exerciser With Peddles and Ballistic Handle Bars
KR20140005089U (ko) * 2014-08-11 2014-09-25 공대식 회음부 맛사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 안장
KR101500619B1 (ko) * 2014-03-05 2015-03-18 이수복 헬스 바이크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282A (en) * 1989-07-17 1990-09-18 Wakefield Timothy A Gyro-cycle
JPH03127734U (ko) * 1990-04-06 1991-12-24
KR20040088386A (ko) * 2003-04-01 2004-10-16 염락호 페달을 이용한 운동기구
US20050209064A1 (en) * 2004-03-15 2005-09-22 Peterson Lewis D Bicycle trainer
JP2009514739A (ja) * 2005-11-08 2009-04-09 バダルネー、ジアド 傾動機能を有する屋内運動自転車
US20080020908A1 (en) * 2006-07-21 2008-01-24 Inigo Lizarralde Ibarguren Static pedalling fitness apparatus with lateral swinging
US20090048076A1 (en) * 2007-08-17 2009-02-19 Realryder, Llc Bicycling exercise apparatus
US20110105282A1 (en) * 2008-06-12 2011-05-05 Cassiano Pinzon Stationary articulated bicycle
KR20100016866A (ko) * 2008-08-05 2010-02-16 전우식 안장의 좌우 요동구조를 갖는 헬스 자전거
KR100942386B1 (ko) * 2009-09-11 2010-02-12 김용겸 틸팅이 가능한 실내용 노젓기식 자전거
KR20110064491A (ko) * 2009-12-08 2011-06-15 전우식 안장의 요동각 조절구조를 갖는 헬스 자전거
KR101099332B1 (ko) * 2010-07-23 2011-12-26 전우식 안장의 요동각 조절장치를 갖는 헬스 자전거
US20120277067A1 (en) * 2011-04-22 2012-11-01 Vincent Bowman Cycle Exerciser With Peddles and Ballistic Handle Bars
KR101500619B1 (ko) * 2014-03-05 2015-03-18 이수복 헬스 바이크
KR20140005089U (ko) * 2014-08-11 2014-09-25 공대식 회음부 맛사지 기능을 갖는 자전거 안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22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3723U (ja) ストレッチングハンドル付き運動自転車
US7695408B2 (en) Elliptical exercise device and methods of use
US20160151660A1 (en) Exercise machine
CN202618951U (zh) 多功能健身椅
WO2013124930A1 (ja) 運動補助装置
JP5806120B2 (ja) 運動補助装置
KR101879435B1 (ko) 다목적 자전거형 운동기구
CA2187577C (en) Exerciser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CN111514523B (zh) 运动器材
KR20170000039U (ko) 다리찢기 운동기구
JP4682298B2 (ja) 運動装置
CA2485140C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JP4183696B2 (ja) パワーアシストつき体幹筋力トレーニングマシン
JP5213086B1 (ja) 運動補助装置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TWI374764B (en) An athletic apparatus with non-parallel linear sliding track
JP3134532U (ja) 交差式足踏みマシンの構造
JP3100083U (ja) 伸展トレーニング機
KR102434901B1 (ko) 노젓기
JP3118248U (ja) 身体鍛錬器
CN103961842B (zh) 运动用自行车支撑台
CN201030184Y (zh) 交叉式踏步机构造
CN219963859U (zh) 一种划船高位下拉一体机
KR102434911B1 (ko) 역기 내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