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636A -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24636A KR20090024636A KR1020080086536A KR20080086536A KR20090024636A KR 20090024636 A KR20090024636 A KR 20090024636A KR 1020080086536 A KR1020080086536 A KR 1020080086536A KR 20080086536 A KR20080086536 A KR 20080086536A KR 20090024636 A KR20090024636 A KR 200900246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cartridge
- container
- bottom portion
- stirr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16—Agitator type
- G03G2215/0819—Agitator type two or more agit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토너 카트리지(28)는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50a, 50b)를 갖는다. 제1 토너 수용부(50a)는 원호형으로 만곡된 제1 바닥부(51a)를 갖는다. 제2 토너 수용부(50b)는 원호형으로 만곡된 제2 바닥부(51b)를 갖는다. 제2 바닥부(51b)는 제1 바닥부(51a)에 인접하여 제1 바닥부(51a)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제1 바닥부(51a)와 제2 바닥부(51b) 사이에는 제3 바닥부(54)가 마련된다. 제3 바닥부(54)는 토너 배출구(55)를 갖는다.
화상 형성장치, 토너 카트리지, 토너 수용부, 바닥부, 토너 배출구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 개의 토너 수용부를 구비한 토너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러 복사기나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는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를 갖는다. 토너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장치의 카트리지 수용부에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에서 토너가 고갈되면 토너 카트리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보(공개) 제2007-310146호에 개시된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를 수용하는 긴 모양의 원통형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에 수용되는 교반부재와 카트리지 본체의 바닥에 배열되는 스크류를 갖는다. 카트리지 본체는 토너가 카트리지 본체 내로 인입되는 통로인 충전 포트와 토너가 현상장치를 향해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구를 갖는다. 교반부재는 카트리지 본체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토너를 교반한다. 스크류는 카트리지 본체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배출포트 쪽으로 토 너를 이동시킨다. 이런 유형의 토너 카트리지에서는 토너 충전량이 증가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 빈도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 충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로서, 두 개의 토너 수용부가 카트리지 본체 내부에 형성된다. 두 개의 토너 수용부가 카트리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될 때, 토너 하우징부의 높이(깊이)는 충분한 토너 충전량을 보장하도록 증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가 장전되는 카트리지 수용부는 화상 형성 유닛과 같은 화상 형성장치의 주 구성요소들과 용지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경로 다음에 배열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장치의 종류에 따라, 카트리지 수용부의 높이는 카트리지 수용부 다음에 배열되는 구성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카트리지 수용부의 높이가 제한되면, 토너 카트리지에 위치한 카트리지 수용부의 높이도 마찬가지로 제한된다. 이는 토너 카트리지의 부피 증가를 방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 충전량이 제한된 높이 범위 내에서 증가됨으로써 교체 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토너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충전량이 제한된 높이 범위 내에서 증가됨으로써 교체 빈도를 저감할 수 있는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는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를 포함한다. 제1 토너 수용부는 원호형으로 만곡된 제1 바닥부를 갖는다. 제2 토너 수용부는 원호형으로 만곡된 제2 바닥부를 갖는다. 제2 바닥부는 제1 바닥부에 인접하여 제1 바닥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제1 바닥부와 제2 바닥부 사이에는 제3 바닥부가 마련된다. 제3 바닥부는 토너 배출구를 갖는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는 화상 형성장치는 현상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과 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를 갖는다. 제1 토너 수용부는 원호형으로 만곡된 제1 바닥부를 갖는다. 제2 토너 수용부는 원호형으로 만곡된 제2 바닥부를 갖는다. 제2 바닥부는 제1 바닥부에 인접하여 제1 바닥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제1 바닥부와 제2 바닥부 사이에는 제3 바닥부가 마련된다. 제3 바닥부는 토너 배출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의 높이(깊이)를 변경함으로써 토너 충전량을 제한된 높이 범위 내에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의 교체 빈도가 저감될 수 있고 화상 형성장치의 보수유지가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과 장점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하기로 하며 부분적으로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되거나 발명의 실시를 통해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이하 특별히 지적되는 수단과 조합에 의해 구현되고 획득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하는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이하, 도1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4-드럼 직렬형 칼라 복사기와 같은 화상 형성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화상 형성장치(1)는 장치 본체(2)를 갖는다. 장치 본체(2)의 상부에는, 원고로부터 문자와 같은 화상 정보를 광학적으로 주사하는 스캐너(3)와 스캐너(3) 내부로 원고를 자동 전송하는 자동 문서 공급기(4)와 배지 트레이(5)가 마련된다.
장치 본체(2)의 하부에는 복수의 급지 카세트(6)가 마련된다. 급지 카세트(6)는 이송 경로(7)를 거쳐 배지 트레이(5)에 연결된다. 이송 경로(7)는 급지 카세트(6)에 수용된 용지를 한 장씩 배지 트레이(5)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 경로(7)는 급지 카세트(6)에서 상향 연장된 제1 경로(7a)와 제1 경로(7a)의 상측 모서리에서 배지 트레이(5)를 향해 수평 연장되는 제2 경로(7b)를 갖는다. 제1 경로(7a)의 아래에는, 복수의 급지 롤러(9), 정합 롤러(10), 전사 롤러(11) 및 정착 롤러(12)가 순서대로 마련된다. 제2 경로(7b)에는 복수의 배지 롤러(13)가 마련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중간 스테이지에는 화상 형성부(15)가 마련된다. 화상 형성부(15)는 흑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화상 형성 유닛(16)과, 시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2 화상 형성 유닛(17)과, 마젠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3 화상 형성 유닛(18)과, 황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4 화상 형성 유닛(19)을 갖는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은 장치 본체(2)의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수평 배열된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은 각각 감광 드럼(20)과, 감광 드럼(2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기(21)와, 감광 드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는 현상장치(22)와, 감광 드럼(20) 상의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벨트(23)로 전사하는 중간 전사 롤러(24)를 갖는다. 대전기(21), 현상장치(22) 및 중간 전사 롤러(24)는 감광 드럼(20)을 에워싸도록 배열된다.
중간 전사벨트(23)는 복수의 롤러(25) 위에 무단식으로 설치되고 네 개의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 상부에 마련된다. 중간 전사벨트(23)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수평 주행하는 수평 주행부(26)를 갖는다. 수평 주행부(26)는 감광 드럼(20)과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의 중간 전사 롤러(24) 사이를 통과한다. 또한, 중간 전사벨트(23)는 하나의 롤러(25)를 거쳐 이송 경로(7) 상에서 전사 롤러(11)에 가압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는 카트리지 수용부(27)를 갖는다. 카트리지 수용부(27)는 이송 경로(7)의 제2 경로(7b)와 중간 전사벨트(23) 사이에 마련된다. 카트리지 수용부(27)는 화상 형성장치(1)의 유형에 따라 그 높이가 엄격히 제한되기 쉽다.
제1 내지 제4 토너 카트리지(28, 29, 30, 31)는 카트리지 수용부(27)에 착탈식으로 수용된다. 제1 토너 카트리지(28)는 제1 화상 형성 유닛(16)의 현상장치(22)로 흑색 토너를 공급한다. 제2 토너 카트리지(29)는 제2 화상 형성 유닛(17)의 현상장치(22)로 시안색 토너를 공급한다. 제3 토너 카트리지(30)는 제3 화상 형성 유닛(18)의 현상장치(22)로 마젠타색 토너를 공급한다. 제4 토너 카트리지(31)는 제4 화상 형성 유닛(19)의 현상장치(22)로 황색 토너를 공급한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 하부에는 레이저 유닛(33)이 마련된다. 레이저 유닛(33)은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의 감광 드럼(20)으로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조사한다. 그 결과, 현상될 색깔의 정전 잠상이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의 감광 드럼(2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술한 화상 형성장치(1)에서,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의 감광 드럼(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장치(22)에 의해 원하는 색깔의 토너로 현상됨으로써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된다.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에 의해 형성된 네 가지 색깔의 토너 화상은 중간 전사 롤러(24)를 거쳐 중간 전사벨트(23)에 순서대로 전사되어 중간 전사벨트(23)에 중첩된다.
중간 전사벨트(23) 상에서 네 가지 색깔의 토너 화상의 중첩이 완료되면, 하나의 급지 카세트(6)에서 이송 경로(7)의 제1 경로(7a)로 공급되는 용지는 정합 롤러(10)를 거쳐서 중간 전사벨트(23)의 위치로 안내된다. 따라서, 중간 전사벨트(23) 상에 중첩된 네 가지 색깔의 토너 화상은 전사 롤러(11)를 거쳐 용지로 전 사된다. 용지로 전사된 전색 화상은 정착 유닛(12)에 의해 용지에 정착된다. 전색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이송 경로(7)의 제2 경로(7b)를 거쳐 배지 트레이(5)로 안내된다.
이하,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 유닛(16 내지 19)으로 토너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 토너 카트리지(28 내지 31)를 설명한다. 제2 내지 제4 토너 카트리지(29 내지 31)는 일본 특허 공보(공개) 제2007-310146호에 개시된 토너 카트리지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2 내지 제4 토너 카트리지(29 내지 31)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흑색 토너를 수용하는 제1 토너 카트리지(28)는 제2 내지 제4 토너 카트리지(29 내지 31)보다 빠르게 토너를 소모한다. 따라서 제1 토너 카트리지(28)는 교체 빈도를 줄이기 위해 토너 충전량을 증가시키는 구성을 이용한다. 이하, 제1 토너 카트리지(28)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너 카트리지(28)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카트리지 본체(35)를 갖는다. 카트리지 본체(35)는 화상 형성장치(1)의 깊이 방향을 따르는 장축(L1)과 화상 형성장치(1)의 폭 방향을 따르는 단축(S1)을 갖는 긴 모양의 상자 형상이다. 카트리지 본체(35)는 화상 형성장치(1)의 전방측에서 카트리지 수용부(27) 내로 착탈식으로 삽입된다.
카트리지 본체(35)는 용기(36)와 상부 커버(37)를 포함한다. 용기(36)는 좌우 측벽(38a, 38b), 바닥벽(39), 후방벽(40), 전방벽(41) 및 개방부(42)를 갖는 긴 모양의 상자 형상이다. 측벽(38a, 38b)은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을 따라 연장되며 단축(S1) 방향으로 서로 대면한다. 바닥벽(39)은 측벽(38a)의 하측 모서리와 측벽(38b)의 하측 모서리 사이에 놓인다. 후방벽(40)은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 방향을 따르는 일 단부에 위치된다. 전방벽(41)은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 방향을 따르는 타 단부에 위치된다. 개방부(42)는 측벽(38a, 38b)의 상부 모서리와 후방벽(40)의 상부 모서리와 전방벽(41)의 상부 모서리에 의해 정해지는 직사각형 개방부 형상을 가지며 바닥벽(39)에 대면한다.
카트리지 본체(35)가 화상 형성장치(1)의 카트리지 수용부(27) 내로 삽입되면, 카트리지 본체(35)의 후방벽(40)은 카트리지 수용부(27)의 말단에 위치된 도시 안된 커플링에 대면한다. 커플링은 화상 형성장치(1)의 장치 본체(2)에 마련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상부 커버(37)는 용기(36)의 개방부(42)를 실링한다. 상부 커버(37)는 용기(36)와 함께 카트리지 본체(35) 내부의 흑색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리셉터클(43)을 형성한다. 상부 커버(37)는 토너 리셉터클(43)에 노출되는 편평 내부면(37a)을 갖는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6)의 전방벽(41)에는 오목부(44)가 형성된다. 오목부(44)는 전방벽(41)에서 후방벽(40)을 향해 요입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본체(35)의 전방 단부는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용기(36)의 전방벽(41)에는 충전 포트(45)와 핸들(46)이 형성된다. 충전 포트(45)는 토너 리셉터클(43)을 흑색 토너로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 오목부(44)에 인접해서 배열된다. 충전 포트(45)는 토너 충전이 완료된 후 캡(47)에 의해 실링된 다. 핸들(46)은 사용자가 카트리지 수용부(27) 밖으로 카트리지 본체(35)를 당길 때 손가락을 걸기 위한 것이다. 핸들(46)은 충전 포트(45)의 주연부 상에 위치되고 전방벽(41)에서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 방향으로 돌출한다.
도5,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리셉터클(43)은 제1 토너 수용부(50a) 및 제2 토너 수용부(50b)를 갖는다.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50a, 50b)는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을 따라 연장되고 카트리지 본체(35)의 단축(S1)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용기(36)의 충전 포트(45)는 제1 토너 수용부(50a)의 전방 단부에서 개방된다. 용기(36)의 오목부(44)는 제2 토너 수용부(50b)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 토너 수용부(50b)는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 방향으로 오목부(44)의 크기만큼 제1 토너 수용부(50a)보다 짧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6)의 바닥벽(39)은 제1 토너 수용부(50a)의 바닥으로 작용하는 제1 바닥부(51a)와 제2 토너 수용부(50b)의 바닥으로 작용하는 제2 바닥부(51b)를 갖는다. 제1 및 제2 바닥부(51a, 51b)는 서로 인접하며 용기(36)의 하향으로 확장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제2 바닥부(51b)는 용기(36)의 하향으로 제1 바닥부(51a)보다 더 확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바닥부(51a)와 제2 바닥부(51b)는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결국, 제1 토너 수용부(50a)의 깊이(D1)는 상부 커버(37)의 내부면(37a)과 제1 바닥부(51a)의 최하부 사이에서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토너 수용부(50b)의 깊이(D2)는 상부 커버(37)의 내부면(37a)과 제2 바닥부(51b)의 최하부 사이에서 규정된다. 제2 토너 수용부(50b)의 깊이(D2)는 제1 토너 수용부(50a)의 깊이(D1) 보다 크다.
즉, 제1 토너 수용부(50a)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본체(35)의 부분과 제2 토너 수용부(50b)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본체(35)의 부분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용기(36)의 오목부(44)의 크기만큼 짧은 제2 토너 수용부(50b)의 길이에도 불구하고, 제2 토너 수용부(50b)는 충분한 양의 토너로 충전되도록 보장될 수 있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36)는 토너 이송부(52)를 갖는다. 토너 이송부(52)는 용기(36)의 바닥벽(39)에 형성된 홈(53)에 의해 규정된다. 홈(53)은 제1 토너 수용부(50a)의 제1 바닥부(51a)와 제2 토너 수용부(50b)의 제2 바닥부(51b) 사이에 마련되며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 방향을 따라 곧바르게 연장된다. 홈(53)은 토너 리셉터클(43)에 대해 개방된다.
용기(36)의 바닥벽(39)은 토너 이송부(52)의 바닥으로 작용하는 제3 바닥부(54)를 갖는다. 제3 바닥부(54)는 용기(36)의 하향으로 확장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고 제1 및 제2 바닥부(51a, 51b)보다 훨씬 아래로 용기(36)의 하향으로 확장된다.
제3 바닥부(54)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너 배출구(55)를 갖는다. 토너 배출구(55)는 토너 리셉터클(43)에 충전된 토너를 카트리지 본체(35) 외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토너 배출구(55)는 용기(36)의 전방벽(41)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셔터(56)에 의해 개폐된다.
용기(36)의 바닥벽(39)을 용기(36)의 외부에서 보면, 제1 바닥부(51a)와 제3 바닥부(54) 사이의 경계는 제1 리세스(57)에 의해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바닥부(51b)와 제3 바닥부(54) 사이의 경계는 제2 리세스(58)에 의해 규정된다. 제1 및 제2 리세스(57, 58)는 용기(36)의 하향으로 개방되고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 방향을 따라 곧게 연장된다.
용기(36)의 바닥벽(39)을 용기(36)의 내부에서 보면, 제1 리세스(57)는 바닥벽(39)에서 상향 돌출된 제1 돌출부(60)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리세스(58)는 바닥벽(39)에서 상향 돌출된 제2 돌출부(61)를 형성한다. 제1 돌출부(60)는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을 따라 곧게 연장되고 제1 바닥부(51a) 및 제3 바닥부(54) 간의 격벽으로 작용한다. 제2 돌출부(61)는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을 따라 곧게 연장되고 제2 바닥부(51b) 및 제3 바닥부(54) 간의 격벽으로 작용한다. 제3 바닥부(54)에 대한 제2 돌출부(61)의 높이는 제3 바닥부(54)에 대한 제1 돌출부(60)의 높이보다 크다. 제1 및 제2 돌출부(60, 61)는 홈(53)을 그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한다.
도3 내지 도5에서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너 카트리지(28)는 토너 리셉터클(43) 내부에 충전된 토너를 토너 배출구(55)로 이동시키는 스크류(63)와 토너 리셉터클(43)을 충전하고 있는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구(64)를 추가로 포함한다.
스크류(63)는 예시적인 이송부재이다. 스크류(63)는 회전 샤프트(65)와 회전 샤프트(6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안내 블레이드(66)를 갖는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63)는 홈(53)에 수용되고 제1 돌출부(60)와 제2 돌 출부(61) 사이로부터 토너 리셉터클(43)의 바닥에 노출된다. 스크류(63)는 토너 배출구(55)를 가로지른다. 스크류(63)의 회전 샤프트(65)는 용기(36)의 후방벽(40)과 전방벽(41) 사이에 놓여서 용기(3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토너 이송부(52)의 바닥으로 작용하는 제3 바닥부(54)는 스크류(63)의 안내 블레이드(66)의 외주연 모서리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궤도를 따르도록 만곡된다. 또한, 제2 토너 수용부(50b)의 제2 바닥부(51b)의 최하부는 스크류(63)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는 회전 샤프트(65)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바닥부(51b)의 최하부는 스크류(63)의 외주연 모서리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또는 스크류(63)의 하단부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스크류(63)의 회전 샤프트(65)의 후방단에는 구동 기어(69)가 시일 링(68)을 거쳐 동축적으로 고정된다. 구동 기어(69)는 용기(36)의 후방벽(40)의 외면에 위치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69)는 한 쌍의 결합 돌출부(69a, 69b)를 갖는다. 제1 토너 카트리지(28)가 카트리지 수용부(27) 내로 삽입되면, 결합 돌출부(69a, 69b)들은 카트리지 수용부(27) 내부의 커플링과 맞물린다. 이런 맞물림으로 인해 스크류(63)는 구동 장치의 토오크에 응답하여 회전하게 된다.
교반기구(64)는 제1 및 제2 교반부재(70, 71)와 제1 및 제2 기어(72, 73)를 갖는다. 제1 교반부재(70)는 제1 토너 수용부(50a) 내에 마련된다. 제1 교반부재(70)는 회전 샤프트(74) 및 패들 유닛(75)을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74)는 용기(36)의 후방벽(40)과 전방벽(41) 사이에 놓인다. 패들 유닛(75)은 복수의 막대부재를 트러스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며 회전 샤프트(74)의 축방향으로 연 장되는 두 개의 외측 프레임(76a, 76b)을 갖는다. 외측 프레임(76a, 76b)은 회전 샤프트(74)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회전 샤프트(7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한다. 따라서 패들 유닛(75)은 그 직경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74)와 교차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교반부재(70)는 회전 샤프트(74)에 의해 용기(36)에 대해 지지되고 회전 샤프트(74)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교반부재(70)가 회전할 때, 패들 유닛(75)의 외측 프레임(76a, 76b)은 제1 토너 수용부(50a)의 제1 바닥부(51a)에 대해 작은 간극을 둔 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바닥부(51a)는 외측 프레임(76a, 76b)이 그리는 회전궤도(R1)를 따르도록 만곡된다.
패들 유닛(75)도 나선형 이송 블레이드(77)를 갖는다. 이송 블레이드(77)는 토너 배출구(55) 바로 옆에 위치되어 토너 배출구(55)를 향해 토너를 전달한다.
제1 교반부재(71)는 제2 토너 수용부(50b) 내에 마련된다. 제2 교반부재(71)는 회전 샤프트(79)와 패들 유닛(80)을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79)는 용기(36)의 후방벽(40)과 전방벽(41)의 오목부(44) 사이에 놓인다. 패들 유닛(80)은 복수의 막대부재를 트러스 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형성되며 회전 샤프트(79)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외측 프레임(81a, 81b)을 갖는다. 외측 프레임(81a, 81b)은 회전 샤프트(79)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회전 샤프트(79)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한다. 따라서 패들 유닛(80)은 그 직경 방향으로 회전 샤프트(79)와 교차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 교반부재(71)는 회전 샤프트(79)에 의해 용기(36)에 대해 지지되고 회전 샤프트(79)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교반부재(71)가 회전할 때, 패들 유닛(80)의 외측 프레임(81a, 81b)은 제2 토너 수용부(50b)의 제2 바닥부(51b)에 대해 작은 간극을 둔 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2 바닥부(51b)는 외측 프레임(81a, 81b)이 그리는 회전궤도(R2)를 따르도록 만곡된다.
제1 교반부재(70)의 패들 유닛(75)과 제2 교반부재(71)의 패들 유닛(80)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회전 샤프트(74, 79)의 방사 방향을 따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반부재(70)와 제2 교반부재(71)는 카트리지 본체(35)의 단축(S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제1 교반부재(70)의 회전 샤프트(74)와 제2 교반부재(71)의 회전 샤프트(79) 사이의 거리(X)는 회전하는 패들 유닛(75, 80)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제2 교반부재(71)의 회전 샤프트(79)는 제1 교반부재(70)의 회전 샤프트(74) 아래로 이동된다. 따라서, 용기(36)로부터 제2 토너 수용부(50b)의 제2 바닥부(51b)의 하향 확장이 제1 토너 수용부(50a)의 제1 바닥부(51a)의 하향 확장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패들 유닛(80)의 외주부와 제2 바닥부(51b) 간의 간극은 패들 유닛(75)의 외주부와 제1 바닥부(51a) 간의 간극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교반부재(70)의 회전중심(O1)에서 스크류(63)의 회전중심(O2)까지의 거리(A1)가 제2 교반부재(71)의 회전중심(O3)에서 스크류(63)의 회전중심(O2)까지의 거리(A2)보다 짧다. 따라서,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교반부재(70)의 패들 유닛(75)이 수평일 때, 패들 유닛(75)의 외주 부는 스크류(63) 바로 위에 위치된다. 즉, 제1 교반부재(70)의 외주부가 그리는 회전궤도(R1)는 스크류(63) 바로 위를 지난다.
제1 교반부재(70)의 하나의 외측 프레임(76a)에는 스크래퍼(82)가 부착된다. 스크래퍼(82)는 패들 유닛(75)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제1 교반부재(70)가 회전하면, 스크래퍼(82)는 제1 토너 수용부(50a)의 제1 바닥부(51a)와 접촉한 상태로 이동한다.
제2 교반부재(71)의 하나의 외측 프레임(81a)에는 스크래퍼(83)가 부착된다. 스크래퍼(83)는 패들 유닛(80)의 전체 길이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제2 교반부재(71)가 회전하면, 스크래퍼(83)는 제2 토너 수용부(50b)의 제2 바닥부(51b)와 접촉한 상태로 이동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어(72, 73)는 예컨대 원반형 공통 요소들이고 용기(36)의 후방벽(40)의 외측에 배열된다. 제1 기어(72)는 제1 교반부재(70)의 회전 샤프트(74)의 후방단에 동축적으로 고정된다. 제2 기어(73)는 제2 교반부재(71)의 회전 샤프트(79)의 후방단에 동축적으로 고정된다. 회전 샤프트(74, 79)에 제1 및 제2 기어(72, 73)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들은 서로 공통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회전 샤프트(74)에 대한 제1 기어(72)의 고정 구조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72)는 그 회전중심에 원통형 삽입부(85)를 갖는다. 삽입부(85)는 후방벽(40)에 개방된 지지 홀(86)을 관통하여 회전 샤프트(74)의 후방단에 형성된 삽입 홀(87)에 끼워진다. 따라서 제1 기어(72)는 회전 샤프트(74)와 일체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74)와 함께 회전한다. 삽입부(85)는 와셔(88)와 시일 링(89)을 관통한다. 시일 링(89)은 토너가 지지 홀(86)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방벽(40)과 제1 기어(72) 사이에 마련된다.
도2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어(72, 73)는 용기(36)의 외면 상에서 서로 맞물린다. 이런 맞물림으로 인해 제1 및 제2 교반부재(70, 71)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동기하여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교반부재(70)는 도8에서 화살표 Y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교반부재(71)는 도8에서 화살표 Z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화상 형성장치(1)의 구동장치의 토오크가 커플링으로부터 구동 기어(69)로 전달될 때, 스크류(63)는 구동 기어(69)를 거쳐 회전한다. 구동 기어(69)는 제1 기어(72)와 맞물린다. 따라서 구동 장치의 토오크는 구동 기어(69)로부터 제1 및 제2 기어(72, 73)를 경유하여 제1 및 제2 교반부재(70, 71)로 전달됨으로써, 제1 및 제2 교반부재(70, 71)를 회전시킨다. 제1 및 제2 교반부재(70, 71)는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50a, 50b) 내에서 토너를 교반하여 스크류(63)를 향해 토너를 전송한다.
제1 및 제2 교반부재(70, 71)에 고정된 스크래퍼(82, 83)는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50a, 50b)의 제1 및 제2 바닥부(51a, 51b)와 접촉 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교반부재(70, 71)와 제1 및 제2 바닥부(51a, 51b) 사이의 간극에 위치된 토너와 제1 및 제2 바닥부(51a, 51b)에 부착된 토너는 스크래퍼(82, 83)에 의해 스크류(63) 방향으로 제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50a, 50b)에 충전된 토너는 폐기되지 않고 스크류(63)로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스크류(63)는 제1 및 제2 교반부재(70, 71)에서 전송된 토너를 토너 배출구(55) 쪽으로 이동시킨다. 토너 배출구(55)로 이동된 토너는 토너 배출구(55)로부터 제1 화상 형성 유닛(16)의 현상장치(22)로 공급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어(72, 73)는 카트리지 본체(35)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원형 단부면(72a, 73a)을 갖는다. 원형 단부면(72a, 73a) 각각의 중심부에는 원통부(91)가 일체로 형성된다. 원통부(91)는 제1 및 제2 기어(72, 73)의 원형 단부면(72a, 73a)으로부터 카트리지 본체(35)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동축적으로 돌출한다. 원통부(91)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보(공개) 제2007-310146호에 개시된 토너 카트리지에 이용되는 기술과 유사한 기술에 의해 제1 토너 카트리지(28)의 종류를 광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원통부(91)는 네 개의 슬릿(92)을 갖는다. 슬릿(92)들은 원통부(91)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원통부(91)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제1 토너 카트리지(28)가 화상 형성장치(1)의 카트리지 수용부(27) 내로 삽입될 때, 원통부(91)는 카트리지 수용부(27)의 말단부에 마련된 광검출기(미도시)와 같은 공간을 차지한다.
상술한 특허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광검출기는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를 포함한다.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는 간극을 두고 서로 대면한다. 발광 요소는 원통부(91)의 회전 중심부에 위치된다. 수광 요소는 원통부(91)의 외측에 위 치된다.
원통부(91)가 제1 및 제2 기어(72, 73)와 함께 회전하면, 슬릿(92)들은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 사이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수광 요소는 슬릿(92)들이 발광 요소와 수광 요소 사이에서 존재할 때 발광 요소에서 방출된 광을 수광한다. 수광 요소가 발광 요소에서 방출된 광을 수광할 때, 광검출기는 제어 유닛으로 제1 신호를 출력한다. 발광 요소에서 수광 요소를 향해 진행되는 광이 원통부(91)에 의해 차단되면, 광검출기는 제어 유닛으로 제2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유닛은 광검출기가 제1 신호를 출력할 때 시간 L을 검출하고 광검출기가 제2 신호를 출력할 때 시간 H를 검출한다. (시간 L)/(시간 H)의 값이 소정 범위 내에 있을 때, 제어 유닛은 제1 토너 카트리지(28)가 제조자가 추천하는 진품인 것으로 판단한다. (시간 L)/(시간 H)의 값이 소정 범위 밖에 있을 때, 제어 유닛은 제1 토너 카트리지(28)가 진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 유닛에 의한 판단 결과는 화상 형성장치(1)의 제어 패널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토너 카트리지(28)의 카트리지 본체(35)는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50a, 50b)를 갖는다.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50a, 50b)는 카트리지 본체(35)의 장축(L1)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축(S1) 방향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제1 토너 카트리지(28)는 두 개의 종래 원통형 카트리지가 배열된 구성을 이용한다. 따라서 토너 충전량은 두 배가된다.
또한, 제1 토너 카트리지(28)의 카트리지 본체(35)에서, 제2 토너 수용부(50b)에 대응하는 위치의 높이(D2)는 제1 토너 수용부(50a)에 대응하는 위치의 높이(D1)보다 크다.
따라서 제1 토너 카트리지(28)가 삽입된 카트리지 수용부(27)의 높이가 제한되더라도, 충분한 토너 충전량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토너 카트리지(28)의 교체 빈도가 저감될 수 있고 화상 형성장치(1)의 보수유지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는 제1 토너 카트리지(28)에서, 제1 교반부재(70)와 제2 교반부재(71)는 회전 샤프트(74)에 고정된 제1 기어(72)와 회전 샤프트(79)에 고정된 제2 기어(73)가 서로 맞물림에 따라 서로 동기하여 회전한다. 제1 및 제2 기어(72, 73)는 동일한 크기의 공통 요소이기 때문에, 제1 교반부재(70)와 제2 교반부재(71) 사이의 거리(X)는 고정된다.
이런 구성을 갖는 제1 토너 카트리지(28)에서, 제1 토너 수용부(50a)의 깊이(D1)와 제2 토너 수용부(50b)의 깊이(D2)가 같다면, 토너 충전량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제1 토너 수용부(50a)의 제1 바닥부(51a)는 제2 토너 수용부(50b)의 제2 바닥부(51b)와 동등한 위치까지 낮아져야만 하며, 제1 교반부재(70)의 위치도 제1 바닥부(51a)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낮아져야만 한다. 그러나, 스크류(63)는 제1 교반부재(70)의 외주부 바로 아래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 교반부재(70)를 낮출 경우 패들 유닛(75)과 스크류(63)가 서로 충돌하는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제1 바닥부(51a) 및 제3 바닥부(54) 간의 격벽으로 작용하는 제1 돌출 부(60)의 높이는 고정될 수 없다. 따라서 토너 이송부(52)와 제1 토너 수용부(50a)의 바닥 간의 경계는 불명료하고 스크류(63)가 회전할 때 토너 이송부(52)를 따라 전달되는 토너는 제1 토너 수용부(50a)로 빠져나간다. 이는 토너 충전량이 증가될 수 있더라도 토너의 원활한 이송을 방해한다. 따라서 토너는 제1 화상 형성 유닛(16)으로 충분히 공급될 수 없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2 토너 수용부(50b)의 제2 바닥부(51b)만이 낮아지기 때문에, 제1 교반부재(70)와 스크류(63)는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 또한, 제1 바닥부(51a)와 제3 바닥부(54) 사이의 높이차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토너 수용부(50a)의 바닥과 토너 이송부(52) 간의 격벽으로 작용하는 제1 돌출부(60)의 높이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63)가 토너를 이송하기 위해 회전할 때, 토너가 제1 토너 수용부(50a)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토너 수용부(52) 내의 토너는 토너 배출구(55)로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63)가 제1 토너 수용부(50a)의 바닥과 제2 토너 수용부(50b)의 바닥 사이에 위치되는 제1 토너 카트라지(28)에서, 토너 충전량은 토너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고도 증가될 수 있다. 이는 제1 토너 카트리지(28)의 교체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다른 장점과 변경예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보다 넓은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특정 설명과 대표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 균 등예에 의해 한정되는 일반 발명 개념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예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너 카트리지의 예시 전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교반부재와 스크류를 수용하는 용기의 예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교반부재와 스크류를 수용하는 용기의 예시 평면도.
도6은 도5에서 선 F6-F6를 따라 취한 예시 단면도.
도7은 도5에서 선 F7-F7를 따라 취한 예시 단면도.
도8은 도5에서 선 F8-F8를 따라 취한 예시 단면도.
도9는 도5에서 선 F9-F9를 따라 취한 예시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치합된 상태에 있는 토너 카트리지의 예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 형성장치
27: 카트리지 수용부
28: 제1 토너 카트리지
35: 카트리지 본체
36: 용기
37: 상부 커버
38a, 38b: 측벽
39: 바닥벽
40: 후방벽
41: 전방벽
42: 개방부
44: 오목부
45: 충전 포트
46: 핸들
43: 토너 리셉터클
50a: 제1 토너 수용부
50b: 제2 토너 수용부
51a: 제1 바닥부
51b: 제2 바닥부
54: 제3 바닥부
55: 토너 배출구
Claims (22)
- 원호형으로 만곡된 제1 바닥부를 갖는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토너 수용부와,원호형으로 만곡된 제2 바닥부를 갖되 제2 바닥부는 제1 바닥부에 인접하고 제1 바닥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토너 수용부와,제1 바닥부와 제2 바닥부 사이에 마련되고 토너 배출구를 갖는 제3 바닥부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제1 토너 수용부는 토너를 교반시키도록 회전하는 제1 교반부재를 갖고 제1 바닥부는 제1 교반부재가 그리는 회전궤도를 따르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고 제2 토너 수용부는 토너를 교반시키도록 회전하는 제2 교반부재를 갖고 제2 바닥부는 제2 교반부재가 그리는 회전궤도를 따르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제3 바닥부는 토너를 토너 배출구를 향해 이송하는 이송부재가 그리는 회전궤도를 따르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며, 제2 바닥부의 최하부는 이송부재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3항에 있어서, 제1 바닥부와 제3 바닥부 사이의 경계는 제1 및 제3 바닥부 위로 상향 요입된 제1 리세스에 의해 정해지고 제2 바닥부와 제3 바닥부 사이의 경계는 제2 및 제3 바닥부 위로 상향 요입된 제2 리세스에 의해 정해지는 토너 카트리지.
- 제3항에 있어서, 제1 바닥부와 제3 바닥부는 제1 및 제3 바닥부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제1 돌출부에 의해 구획되고 제2 바닥부와 제3 바닥부는 제2 및 제3 바닥부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제2 돌출부에 의해 구획되고 이송부재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 사이에 마련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바닥부와 대면하는 상부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부 커버는 편평 내부면을 갖는 토너 카트리지.
- 제6항에 있어서, 제1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상부 커버의 내부면과 제1 바닥부 사이에서 정해지고 제2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상부 커버의 내부면과 제2 바닥부 사이에서 정해지고 제2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제1 토너 수용부의 깊이보다 큰 토너 카트리지.
-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토너 수용부와,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토너 수용부와,토너를 배출하는 토너 배출구와,제1 토너 수용부에 수용되어 제1 토너 수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토너를 교반하는 제1 교반부재와,제2 토너 수용부에 수용되어 제2 토너 수용부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토너를 교반하는 제2 교반부재와,제1 토너 수용부 및 제2 토너 수용부 사이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교반부재에 의해 교반된 토너를 토너 배출구를 향해 이송하는 이송부재를 포함하며,제1 토너 수용부의 바닥은 제2 토너 수용부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고 제2 토너 수용부의 바닥은 이송부재의 하단부와 동일한 위치 또는 이송부재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8항에 있어서, 제1 토너 수용부의 바닥과 제2 토너 수용부의 바닥 사이에 마련되는 토너 이송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토너 이송부는 이송부재를 수용하고 토너 배출구를 가지며, 제1 토너 수용부의 바닥과 토너 수용부 간의 격벽으로 작용하도록 상향 돌출한 제1 돌출부가 제1 토너 수용부의 바닥과 토너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고 제2 토너 수용부의 바닥과 토너 이송부 간의 격벽으로 작용하도록 상향 돌출한 제2 돌출부가 제2 토너 수용부의 바닥과 토너 이송부 사이에 마련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9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는 제1 돌출부보다 높고 이송부재는 제1 돌출부 와 제2 돌출부 사이에 마련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9항에 있어서, 제1 토너 수용부와 제2 토너 수용부와 토너 이송부를 갖는 카트리지 본체를 추가로 포함하되 카트리지 본체는 제1 및 제2 토너 수용부의 바닥과 대면하는 개방부를 갖는 용기와 용기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 제11항에 있어서, 제1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상부 커버의 내부면과 용기의 바닥 사이에서 정해지고 제2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상부 커버의 내부면과 용기의 바닥 사이에서 정해지고 제2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제1 토너 수용부의 깊이보다 큰 토너 카트리지.
- 제11항에 있어서, 제1 교반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제2 교반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제2 기어와, 이송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 기어를 추가로 포함하며, 제1 기어 및 제2 기어는 카트리지 본체의 외면 상에서 서로 맞물림으로써 제1 및 제2 교반부재가 서로 동기하여 회전되도록 하고 구동기어는 카트리지 본체의 외면 상에서 제1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토너 카트리지.
- 제13항에 있어서, 제1 교반부재는 제1 기어가 부착된 회전 샤프트를 갖고 제2 교반부재는 제2 기어가 부착된 회전 샤프트를 갖고 제2 교반부재의 회전 샤프트 는 제1 교반부재의 회전 샤프트 아래로 이동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13항에 있어서,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서로 공통 요소인 토너 카트리지.
- 제9항에 있어서, 제1 토너 수용부의 바닥은 제1 교반부재가 그리는 회전궤도를 따르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고 제2 토너 수용부의 바닥은 제2 교반부재가 그리는 회전궤도를 따르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16항에 있어서, 제2 토너 수용부의 바닥의 최하부는 이송부재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토너 카트리지.
- 제16항에 있어서, 제1 교반부재가 회전할 때, 제1 교반부재의 외주부는 이송부재 위를 지나는 토너 카트리지.
- 현상장치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과,현상장치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하되,토너 카트리지는,원호형으로 만곡된 제1 바닥부를 갖는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토너 수용부와,원호형으로 만곡된 제2 바닥부를 갖되 제2 바닥부는 제1 바닥부에 인접하고 제1 바닥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토너 수용부와,제1 바닥부와 제2 바닥부 사이에 마련되고 토너 배출구를 갖는 제3 바닥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제3 바닥부는 토너 배출구를 향해 토너를 이송하는 이송부재가 그리는 회전궤도를 따르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며, 제2 바닥부의 최하부는 이송부재의 회전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화상 형성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반부재는 각각 회전 샤프트를 가지며, 제1 교반부재의 회전 샤프트는 제2 교반부재의 회전 샤프트 아래로 이동되는 화상 형성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는 제1 내지 제3 바닥부와 제1 내지 제3 바닥부에 대면하는 개방부를 갖는 용기와, 개방부를 폐쇄하고 제1 내지 제3 바닥부에 대면하는 편평 내부면을 갖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며, 제1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상부 커버의 내부면과 제1 바닥부 사이에서 정해지고 제2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상부 커버의 내부면과 제2 바닥부 사이에서 정해지고 제2 토너 수용부의 깊이는 제1 토너 수용부의 깊이보다 큰 화상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96991507P | 2007-09-04 | 2007-09-04 | |
US60/969,915 | 2007-09-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24636A true KR20090024636A (ko) | 2009-03-09 |
KR100968658B1 KR100968658B1 (ko) | 2010-07-06 |
Family
ID=40083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6536A KR100968658B1 (ko) | 2007-09-04 | 2008-09-03 |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8099029B2 (ko) |
EP (2) | EP3367176B1 (ko) |
JP (2) | JP2009064017A (ko) |
KR (1) | KR100968658B1 (ko) |
CN (2) | CN10138276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117B1 (ko) | 2008-03-03 | 2009-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
CN101907849A (zh) * | 2009-06-03 | 2010-12-08 | 株式会社东芝 | 色调剂盒和图像形成装置 |
TWI412903B (zh) * | 2011-07-27 | 2013-10-21 | Ricoh Co Ltd | 顯影劑容器、顯像裝置、處理單元、及影像形成裝置 |
KR101580841B1 (ko) * | 2011-11-17 | 2015-12-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JP6036101B2 (ja) * | 2012-09-27 | 2016-11-3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現像剤収容器 |
JP5764611B2 (ja) * | 2013-05-08 | 2015-08-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9888087B2 (en) | 2014-03-31 | 2018-02-06 | Uber Technologies, Inc. | Adjusting attributes for an on-demand service system based on real-time information |
US10282684B2 (en) | 2015-02-26 | 2019-05-07 | Uber Technologies, Inc. | Performing selective operations based on mobile device locations |
US9939279B2 (en) | 2015-11-16 | 2018-04-10 | Uber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system for shared transport |
US9813510B1 (en) | 2016-09-26 | 2017-11-07 | Uber Technologies, Inc. | Network system to compute and transmit data based on predictive information |
US9898791B1 (en) | 2017-02-14 | 2018-02-20 | Uber Technologies, Inc. | Network system to filter requests by destination and deadline |
US11681256B2 (en) * | 2020-11-04 | 2023-06-20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tachable cartridges and image forming system |
JP2023168943A (ja) * | 2022-05-16 | 2023-11-29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トナーカートリッジ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21778A (ja) * | 1984-04-19 | 1985-11-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トナ−補給装置 |
JPS60222878A (ja) * | 1984-04-20 | 1985-11-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トナ−補給装置 |
US4937625A (en) * | 1987-08-28 | 1990-06-26 | Sharp Kabushiki Kaisha | Developing device for copier |
JPH01306879A (ja) * | 1988-06-03 | 1989-12-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子写真装置 |
JPH02236573A (ja) * | 1989-03-10 | 1990-09-19 | Canon Inc | 現像装置及び現像装置を備え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US5122834A (en) * | 1989-09-07 | 1992-06-16 |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 Develop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decreased concentration of toner |
JP2858987B2 (ja) * | 1991-04-19 | 1999-02-17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トナー搬送装置 |
JP3008590B2 (ja) * | 1991-08-07 | 2000-02-1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装置 |
JP3239258B2 (ja) * | 1996-07-04 | 2001-12-17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攪拌器及びこれを備えたトナーカートリッジ |
DE69813131T2 (de) * | 1997-10-07 | 2003-10-23 | Canon K.K., Tokio/Tokyo | Bilderzeugungsverfahren |
JP2000347488A (ja) * | 1999-04-02 | 2000-12-15 | Canon Inc | 現像装置及びこの現像装置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
JP2001042617A (ja) * | 1999-07-29 | 2001-02-16 | Kyocera Mita Corp |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現像装置 |
EP1158370B1 (en) * | 2000-05-26 | 2010-02-17 | Kyocera Mita Corporation | Toner cartridge with toner agitator |
JP4259074B2 (ja) * | 2002-09-17 | 2009-04-3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KR100492122B1 (ko) | 2003-07-02 | 2005-06-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
JP2005037438A (ja) * | 2003-07-15 | 2005-02-10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3985753B2 (ja) * | 2003-08-19 | 2007-10-03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05091715A (ja) * | 2003-09-17 | 2005-04-07 | Ricoh Co Ltd |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4269873B2 (ja) * | 2003-10-06 | 2009-05-27 | 村田機械株式会社 | 現像器の現像剤残留状態検知装置 |
US7031644B2 (en) * | 2004-03-17 | 2006-04-18 | Kabushiki Kaisha Toshiba | Image forming apparatus |
JP4759287B2 (ja) * | 2004-08-30 | 2011-08-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2006276615A (ja) * | 2005-03-30 | 2006-10-12 | Kyocera Mita Corp | トナー供給装置 |
JP4641937B2 (ja) * | 2005-12-27 | 2011-03-02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トナー補給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JP2007310146A (ja) | 2006-05-18 | 2007-11-29 | Toshiba Corp | トナーカートリッジ |
JP4902376B2 (ja) * | 2007-02-01 | 2012-03-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101421142B1 (ko) * | 2007-05-21 | 2014-07-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KR20080111704A (ko) * | 2007-06-19 | 2008-12-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US8050599B2 (en) * | 2007-09-04 | 2011-11-01 | Kabushiki Kaisha Toshiba |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artridge |
KR100891117B1 (ko) * | 2008-03-03 | 2009-03-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
-
2008
- 2008-08-28 EP EP18166926.8A patent/EP3367176B1/en active Active
- 2008-08-28 EP EP08290807.0A patent/EP2034370B1/en active Active
- 2008-08-29 US US12/202,074 patent/US8099029B2/en active Active
- 2008-09-02 CN CN2008102143396A patent/CN101382760B/zh active Active
- 2008-09-02 JP JP2008225041A patent/JP2009064017A/ja active Pending
- 2008-09-02 CN CN201210006205.1A patent/CN102495541B/zh active Active
- 2008-09-03 KR KR1020080086536A patent/KR1009686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
- 2011-12-21 US US13/333,895 patent/US8320802B2/en active Active
-
2012
- 2012-03-15 JP JP2012059301A patent/JP5021103B2/ja active Active
- 2012-11-21 US US13/683,539 patent/US8472849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367176B1 (en) | 2022-07-13 |
US20090060589A1 (en) | 2009-03-05 |
US20120093542A1 (en) | 2012-04-19 |
US20130078005A1 (en) | 2013-03-28 |
CN102495541A (zh) | 2012-06-13 |
CN101382760B (zh) | 2012-03-21 |
KR100968658B1 (ko) | 2010-07-06 |
US8472849B2 (en) | 2013-06-25 |
EP2034370B1 (en) | 2018-06-13 |
US8099029B2 (en) | 2012-01-17 |
JP5021103B2 (ja) | 2012-09-05 |
EP2034370A3 (en) | 2009-05-27 |
JP2012108566A (ja) | 2012-06-07 |
JP2009064017A (ja) | 2009-03-26 |
EP2034370A2 (en) | 2009-03-11 |
CN102495541B (zh) | 2014-06-11 |
EP3367176A1 (en) | 2018-08-29 |
US8320802B2 (en) | 2012-11-27 |
CN101382760A (zh) | 2009-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8658B1 (ko) | 토너 카트리지 및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 |
JP3541691B2 (ja) |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納容器 | |
US7840167B2 (en) | Toner container including a gear which is at least partially exposed to an exterior | |
KR101004186B1 (ko) | 토너 카트리지 | |
JP5811452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756044B1 (ko) | 현상제통과 현상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
JP200903692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6432826B2 (ja) |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RU2658104C1 (ru) | Кассета с красителем и содержащий ее аппарат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 |
JP6555207B2 (ja) |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装着されるトナー容器 | |
JP2012053346A (ja) | 画像形成装置 | |
AU2007201405B2 (en) |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484519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11429039B2 (en) | Toner storage case,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16997865A (zh) |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装置 | |
JP2022160258A (ja) |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3163322U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7058610A (ja) |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