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117B1 -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117B1
KR100891117B1 KR1020080019645A KR20080019645A KR100891117B1 KR 100891117 B1 KR100891117 B1 KR 100891117B1 KR 1020080019645 A KR1020080019645 A KR 1020080019645A KR 20080019645 A KR20080019645 A KR 20080019645A KR 100891117 B1 KR100891117 B1 KR 100891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delete delete
accommodating member
outle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117B1/ko
Priority to US12/206,894 priority patent/US7881643B2/en
Priority to BRPI0803530A priority patent/BRPI0803530B1/pt
Priority to RU2008138097/28A priority patent/RU2404447C2/ru
Priority to EP12160287.4A priority patent/EP2469345B1/en
Priority to CN2008101680365A priority patent/CN101526777B/zh
Priority to EP08165098.8A priority patent/EP20989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117B1/ko
Priority to US12/976,214 priority patent/US8165506B2/en
Priority to US13/082,753 priority patent/US8126374B2/en
Priority to US13/424,793 priority patent/US8422921B2/en
Priority to US13/795,400 priority patent/US863056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16Special arrangement of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not acting as a pass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현상제 유입구를 가지며,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와, 복수의 현상기에 공급될 현상제를 수용한 것으로서, 각각 현상제 배출구와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교반기를 구비하며 복수의 현상기와 대면되는 위치에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와, 현상제 유입구들과 현상제 배출구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를 포함하며,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상기 교반기가 배치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현상기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들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재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 특히 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기와 이 현상기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재를 구비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48368호에는 옐로우(Y:yellow),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블랙(K:black)용 현상기들과, 각 색상의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제 보틀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현상제 보틀들 및 현상기들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K, Y, C, M 순 및 Y, M, C, K 순으로 각각 배열이 되어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K-현상제 보틀은 다른 보틀들에 비해 크기가 크다. 즉, K-현상제 보틀은 다른 보틀들보다 상방으로 더 길거나 또는 횡방향으로 더 길다. 따라서, 현상제 보틀들과 현상기들은 매우 복잡한 현상제 보급경로에 의하여 연결되며, 이러한 배치구조로 인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커진다.
본 발명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와 복수의 현상기의 효과적인 배치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이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는 현상제 수용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각각 현상제 유입구를 가지며,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공급될 현상제를 수용한 것으로서, 각각 현상제 배출구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교반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기와 대면되는 위치에 상기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 상기 현상제 유입구들과 상기 현상제 배출구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는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상기 교반기가 배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상기 교반기가 배치된 현상제 수용부재의 용량은 다른 현상제 수용부재의 용량보다 크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서, 상기 현상제 유입구의 상대적 위치 는 동일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의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배치간격이 동일하게 되도록 결정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의 상기 제1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최상부의 높이는 동일하며, 상기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상기 교반기가 배치된 현상제 수용부재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는 다른 현상제 수용부재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현상제 배출구와 상기 현상제 유입구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방향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45도 이내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와 상기 현상제 유입구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들은 서로 교차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교반기가 배치된 현상제 수용부재의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제1방향의 중간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현상제 수용부재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현상기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수용부재로서, 상기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배출구;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배출구 쪽으로 운반하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교반기;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현상제 배출구와 현상제 유입구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현상제 공급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며,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를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둘째, 현상기와 현상제 수용부재의 효과적인 배치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다.
셋째, 현상제 수용부재 내에 있는 현상제의 스트레스 또는 현상제 수용부재로부터 현상기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현상제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넷째, 복수의 현상기를 공용화함으로써 현상기의 제조과정에서의 품질관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복수의 현상기의 배치간격을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칼라화상형성과정에서 복수의 현상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들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이다. 도 1을 보면, 복수의 현상기(10)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가 배치된다. 복수의 현상기(10)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는 상호 나란하게 위치된다.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15)는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와 복수의 현상기(10)를 연결한다.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에 수용된 현상제를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15)를 통하여 복수의 현상기(20)로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와 복수의 현상기(10)는 독립적으로 교체가능하다.
도 2는 현상기(1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보면, 현상기(10)는 감광체(10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감광체(101)는 표면에 감광층이 형성된 원통형이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전롤러(103)는 감광체(101)가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킨다. 대전롤러(103)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대전롤러클리너(104)는 감광체(101)의 표면으로부터 대전롤러(103)로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클리닝 블레이드(105)는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체(101)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클리닝 블레이드(105)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장치가 채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102)는 현상기(10)내의 현상제를 감광체(101)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규제부재(108)는 현상롤러(102)에 의하여 감광체(101)와 현상롤러(102)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한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기(10) 내에는 자성 캐리어가 수용되어 있고, 현상롤러(102)는 감광체(101)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롤러(102)는 자기롤러일 수 있으며, 현상 슬리브 내에 자기롤러가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제 수용부재(20)로부터 현상기(10)로 공급된 현상제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02)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체(101)와 현상롤러(102)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롤러(102)와 감광체(101)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현상제만이 감광체(101)로 공급되어 감광체(10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롤러(102)는 감광체(101)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감광체(101)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제1, 제2공급부재(106)(107)는 현상제 유입구(110)를 통하여 현상제 수용부재(20)로부터 유입된 현상제를 현상기(10) 내의 캐리어와 혼합, 교반하여, 이들을 현상수단인 현상롤러(102)로 운반한다.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제1, 제2공급부재(106)(107)는 현상제 유입구(110)를 통하여 현상제 수용부재(20)로부터 유입된 현상제를 교반하여, 이들 을 현상수단인 현상롤러(102)로 운반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방식에 대하여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칼라 인쇄를 위하여, 복수의 현상기(10)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재(20) 및 현상기(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C)(20M)(20Y)(20K)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광주사유닛(40)은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후술하는 감광체(101)에 조사하여 감광체(10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광주사장치 등이 있다.
중간전사벨트(3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체(101) 상에 현상된 화상이 일시적으로 전사되는 것이다. 중간전사벨트(3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체(101)와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전사롤러(50)가 배치된다. 복수의 중간전사롤러(50)에는 감광체(101)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3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중간전사롤러(40)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60)는 중간전사벨트(3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60)에는 중간전사벨트(30)에 전사된 화상을 용지(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광체(101)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30)로 중간전사하고 그 후에 중간전사벨트(30)와 전사롤러(60)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로 전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지(P)가 중간전사벨트(30)와 감광체(101) 사이를 직접 통과하여 용지(P)로 직접 현상된 화상을 전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사롤러(60)은 채용되지 않는다.
정착기(80)는 용지(P)로 전사된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용지(P)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광주사유닛(40)은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 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체(101)로 주사하여 감광체(101)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C)(20M)(20Y)(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된 C, M, Y,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체(101)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3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70)에 적재된 용지(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60)와 중간전사벨트(3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60)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30) 위에 중간전사된 화상은 용지(P)로 전사된다. 용지(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용지(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는 배출부(93)로 배출된다, 양면인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선택기(90)는 정착기(80)를 통과하여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용지(P)를 양면인쇄경로(92)로 안내한다. 이에 의하여 용지(P)는 다시 중간전사벨트(30)와 전사롤러(60) 사이로 공급되며, 용지(P)의 배면에 다른 화상이 전사된다. 다시 정착기(80)를 통과한 용지(P)는 선택기(90)에 의하여 배출부(93)로 배출된다.
도 3은 복수의 현상기(10)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 및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15)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현상제 배출구와 현상제 유입구의 대응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현상기(10)에서 감광체(10)의 우측에 배치된 클리닝 블레이드(105), 대전롤러(103), 대전롤러 클리너(104)를 생략하며, 도 4에서는 현상제 수용부재(20)와 현상기(10)의 상세한 구조를 생략한다. 도 3과 도 4를 보면, 복수의 현상기(10)가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상방에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가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방향은 현상제 수용부재(20)의 폭방향(W)이며, 수평방향이다. 제1방향은 중간전사벨트(30)의 주행방향이기도 하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현상기(10)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 사이에는 중간전사벨트(30)가 배치된다.
복수의 현상기(10)에는 각각 현상제 유입구(110)가 마련된다.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에는 각각 현상제 배출구(26)가 마련된다. 현상제 공급로(15)는 현상제 배출구(26)와 현상제 유입구(110)를 연결한다. 현상제 배출구(26)는 현상제 수용부재(20)의 깊이방향(D)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다. 현상제 유입구(110)는 현상기(10)의 깊이방향(D)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다. 현상제 수용부재(20)에는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26)를 향하여 현상제 수용부재(20)의 깊이방향(D)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운반수단(25)이 마련된다. 운반수단(25)으로서는 예를 들면 오거(auger)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제 공급로(15)의 길이(L)는 짧을수록 좋다. 왜냐하면, 현상제 공급로(15)의 길이(L)가 길면 현상기(10)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동력이 많이 필요할 뿐 아니라, 현상제 공급로(15) 중에서 현상제가 적체되어 막힐 가능성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또한, 현상제 공급로(15)의 길이(L)가 짧다면, 현상기(10) 내부에서 토너가 부족하거나 없다는 신호가 발생할 경우, 더 신속하게 현상제를 현상기(10)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개의 현상제 공급로(15)가 필요한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현상제 공급로(15)의 길이(L)가 길면 현상제 공급(15)들 의 배치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현상제 유입구(110)와 현상제 배출구(26)는 제1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0)와 현상제 수용부재(20)가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에는 현상제 배출구(26)와 현상제 유입구(110)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0)와 현상제 수용부재(20)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현상제 배출구(26)와 현상제 유입구(110)는 실질직으로 서로 수평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현상제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수단, 예를 들면 회전되는 나선형 반송코일(미도시)이나 오거 등이 현상제 공급로(15)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기(10)와 현상제 수용부재(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제1방향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현상제 공급로(15)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는 현상제 유입구(26)와 현상제 배출구(110)는 제1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현상제 공급로(15)는 현상제를 중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현상기(10)로 공급하기 위하여 가급적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0)와 현상제 수용부재(20)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될 경우에도 그 기울기, 즉 제1방향과 수평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예를 들면 45도를 넘지 않는다면, 현상제 배출구(26)와 현상제 유입 구(110)는 수직방향으로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상제 공급로(15)의 길이(L)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현상제 공급로(15)가 거의 수직에 가까울 경우에는 현상제 공급로(15) 중에 현상제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매우 신뢰성 높게 현상제를 현상기(10)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로(15) 내에 현상제 공급로(15)의 길이방향으로 진동되는 운반보조수단으로서 나선형 코일(16)을 부가함으로써 현상제의 적체를 방지함과 동시에 현상제를 더 신뢰성 높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15)가 서로 교차되지 않으므로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15)의 배치가 매우 간결하다.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 일반적으로 블랙 색상의 현상제의 사용량은 다른 색상의 유채색 현상제의 사용량보다 많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재(20K)의 용량은 현상제 수용부재(20C)(20M)(20Y)의 용량보다 크다. 이하에서, 현상제 수용부재(20C)(20M)(20Y)는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 현상제 수용부재(20K)는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라 한다.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는 그 용량이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보다 크다. 화상형성장치의 깊이방향(D)의 길이는 인쇄에 사용되는 용지(P)의 폭에 의하여 제안을 받기 때문에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깊이방향(D)의 크기를 키우지는 어렵다. 현상제 수용부재(22)의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 현상제 수용부재(22)의 폭방향(W) 또는 높이방향(H)의 크기를 크게 하여야 하는데, 높이방향(H)의 크기를 크게 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높이를 가급적 낮추려는 추세에 역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현상제 수용부재(21)(22)의 제1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최상부의 높이는 동일하며,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제1방향의 길이, 즉 폭방향(W)의 길이가 제1 현상제 수용부재의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제1, 제2 현상제 수용부재(21)(22)의 제1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며,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제1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길이는 제1 현상제 수용부재의 제1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에는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26)로 운반하기 위한 교반기(23)가 마련된다. 제2현상제 수용부재(22)에는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26)로 운반하기 위한 두 개의 교반기(23)(24)가 마련된다. 교반기(23)(24)의 회전축의 방향은 현상제 공급로(15)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의 경우에는 현상제 배출구(26)를 그 폭방향(W)측 단부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하고, 하나의 교반기(23)만을 이용하여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26)로 운반할 수 있다.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경우에는 폭방향(W)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배출구(26)를 그 폭방향(W)측 단부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할 경우에, 반대쪽 단부에 있는 현상제를 현상제 배출구(26)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두 개의 교반기(23)(24) 또는 그 이상의 교반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현상제가 두 개의 교반기(23)(24)에 의하여 운반되는 동안에 교반기(23)(24) 및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내벽과의 마찰 등에 의하여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이 스트레스에 의하여 현상제를 구성하는 외첨제가 분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현상제로서의 기능이 열화되어 인쇄품질이 나빠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배출구(26)의 양쪽에 각각 교반기(23)(24)를 배치한다. 이 경우에 교반기(23)(24)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교반기(23)의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이며, 교반기(24)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현상제의 운반 거리가 짧아지고 또 교반기(23)(24) 및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내벽과의 마찰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현상제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에는 하나의 교반기(23)가,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에는 두 개의 교반기(23)(24)가 마련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는 그 폭방향(W)의 길이가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보다 길기 때문에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의 경우보다 많은 수의 교반기가 필요하며,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에도 둘 이상의 교반기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에 셋 이상의 교반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제1, 제2 현상제 수용부재(21)(22)의 현상제 배출구(26)의 위치는 복수의 현상기(10)를 등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는 폭방향(W)의 길이가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에 비하여 길기 때문에, 제2현상제 수용부재(22)의 현상제 배출구(26)를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와 같이 제1방향측 단부에 인접되게 배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에 대응되는 현상기(10C)(10M)(10Y)의 배치간격(A1)보다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에 대응되는 현상기(10K)의 배치간격(A2)이 커지게 된다. 그러면, 현 상기들(10C)(10M)(10Y)(10K)이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되고, 이는 곧바로 화상형성장치 전체의 크기의 증가를 야기한다. 그러나,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현상제 배출구(26)를 배치간격(A1)과 배치간격(A2)가 같아지도록 배치함으로써 현상기(10C)(10M)(10Y)(10K)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칼라화상형성장치에서는 현상기(10C)(10M)(10Y)(10K)의 현상개시시점이 현상기(10C)(10M)(10Y)(10K)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제어되어야 하는데, 현상기(10C)(10M)(10Y)(10K)의 배치간격을 동일하게 하면 더 쉽게 각 현상기(10C)(10M)(10Y)(10K)의 현상개시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복수의 현상기(10)는 기능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가급적 크기나 사용되는 부품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현상기(10)에서 현상제 유입구(110)의 위치를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현상기(10)에 채용되는 프레임이나 현상롤러 등을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조과정에서의 품질관리를 동일한 기준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용량이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의 용량보다 큰 경우에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는 제1방향으로 최외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폭방향(W)의 길이가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의 폭방향(W)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 제2현상제 수용부재(22)의 현상제 배출구(26)의 위치가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의 현상제 배출구(26)의 위치와 상대적으로 다르게 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수용부재(제2 현상제 수용부재)는 현상제 배출구의 위치가 다른 현상제 수용부재(제1 현상제 수용부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다르다는 데에 일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 수용부재(제2 현상제 수용부재)는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쪽에 각각 교반기가 배치된다는 데에 일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1, 제2 현상제 수용부재(21)(22)의 폭방향(W)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에도,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현상제 배출구(26)의 위치를 제1 현상제 수용부재(21)의 현상제 배출구(26)의 위치와 다르게 하거나, 제2 현상제 수용부재(22)의 현상제 배출구(26)의 양쪽에 교반기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는 점을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현상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복수의 현상기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현상제 배출구와 현상제 유입구의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복수의 현상기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복수의 현상기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복수의 현상기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배치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2 현상제 수용부재의 교반기의 배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현상기 15......현상게 공급로
16......나선형 코일 20......현상제 수용부재
21, 22......제1, 제2 현상제 수용부재 23, 24......교반기
25......운반수단 26......현상제 배출구
30......중간전사벨트 40......광주사유닛
50......중간전사롤러 60......전사롤러
70......급지수단 80......정착기
90......선택기 91......급지경로
92......양면인쇄경로 93......배출부
101......감광체 102......현상롤러
103......대전롤러 104......대전롤러 클리너
105......클리닝 블레이드 106, 107......제1, 제2공급부재
108.....규제부재 110......현상제 유입구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각각 현상제 유입구를 가지며,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기;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 공급될 현상제를 수용한 것으로서, 각각 현상제 배출구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배출구로 이송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교반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기와 대면되는 위치에 상기 제1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
    상기 현상제 유입구들과 상기 현상제 배출구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상기 교반기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상기 교반기가 배치된 현상제 수용부재의 용량은 다른 현상제 수용부재의 용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기에서, 상기 현상제 유입구의 상대적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의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복수의 현상기의 배치간격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의 상기 제1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최상부의 높이는 동일하며,
    상기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교반기가 배치된 현상제 수용부재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는 다른 현상제 수용부재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배출구와 상기 현상제 유입구는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45도 이내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와 상기 현상제 유입구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위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들은 서로 교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의 교반기가 배치된 현상제 수용부재의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제1방향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5. 현상제를 수용하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 내의 현상기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수용부재로서,
    상기 현상기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배출구;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배출구 쪽으로 운반하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제 배출구의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배치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부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는 블랙 현상제인 현상제 수용부재.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재의 상기 교반기의 아래쪽 영역은 상기 현상제 수용부재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형상인 현상제 수용부재.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교반기와 그 회전반경이 다른 현상제 수용부재.
  34.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재는 폭방향, 깊이방향, 및 높이방향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현상제 배출구는 상기 폭방향 및 깊이방향의 일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교반기들은 상기 현상제를 상기 현상제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폭방향으로 운반하는 현상제 수용부재.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들에 의하여 운반된 상기 현상제를 상기 깊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현상제 배출구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더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부재.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은 상기 현상제 배출구의 상방에 상기 깊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배치되는 오거인 현상제 수용부재.
KR1020080019645A 2008-03-03 2008-03-03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KR100891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45A KR100891117B1 (ko) 2008-03-03 2008-03-03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US12/206,894 US7881643B2 (en) 2008-03-03 2008-09-0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BRPI0803530A BRPI0803530B1 (pt) 2008-03-03 2008-09-10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recipiente revelador usável com um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para alimentar um revelador a uma unidade de revelação, aparelho com recipiente revelador usável com um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e recipiente revelador usável com um aparelho formador de imagens para alimentar um revelador a uma unidade de revelação
RU2008138097/28A RU2404447C2 (ru) 2008-03-03 2008-09-24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и контейнер с проявителем для него
EP12160287.4A EP2469345B1 (en) 2008-03-03 2008-09-2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CN2008101680365A CN101526777B (zh) 2008-03-03 2008-09-25 成像设备以及该成像设备的显影剂容器
EP08165098.8A EP2098916B1 (en) 2008-03-03 2008-09-2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US12/976,214 US8165506B2 (en) 2008-03-03 2010-12-2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US13/082,753 US8126374B2 (en) 2008-03-03 2011-04-0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US13/424,793 US8422921B2 (en) 2008-03-03 2012-03-20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US13/795,400 US8630566B2 (en) 2008-03-03 2013-03-1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45A KR100891117B1 (ko) 2008-03-03 2008-03-03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749A Division KR100896689B1 (ko) 2008-09-26 2008-09-26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117B1 true KR100891117B1 (ko) 2009-03-30

Family

ID=4016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645A KR100891117B1 (ko) 2008-03-03 2008-03-03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7881643B2 (ko)
EP (2) EP2469345B1 (ko)
KR (1) KR100891117B1 (ko)
CN (1) CN101526777B (ko)
BR (1) BRPI0803530B1 (ko)
RU (1) RU240444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4370B1 (en) 2007-09-04 2018-06-13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artridge
KR100891117B1 (ko) * 2008-03-03 2009-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KR101580841B1 (ko) * 2011-11-17 2015-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680612B2 (ja) * 2012-11-19 2015-03-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318604B2 (ja) 2013-04-25 2018-05-09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6367054B6 (ja) * 2014-09-03 2018-08-22 エイチピー プリンティング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659124B2 (ja) * 2014-12-04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00456B2 (ja) * 2015-01-28 2019-04-1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84276B2 (ja) * 2015-10-14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6859615B2 (ja) * 2016-06-28 2021-04-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81134B2 (ja) * 2017-09-21 2021-12-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03523B2 (ja) * 2017-09-21 2022-01-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RU2762822C2 (ru) * 2019-06-07 2021-12-23 Рикох Компани, Лимитед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рошка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4067A2 (de) * 1984-12-03 1986-06-11 Mannesmann Kienzle GmbH Mobiles Datenterminal für Taxifahrzeuge
JP2003167413A (ja) * 2001-12-03 2003-06-13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49490A (ja) 2003-07-31 2005-02-2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267896A (ja) 2005-03-25 2006-10-05 Asmo Co Ltd トナー撹拌装置及びトナー搬送装置、並びにトナー撹拌装置とトナー搬送装置とを備えたトナー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919A (en) * 1994-04-26 1996-12-31 Konica Corporation Toner cartridge an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in use therewith
JP2001183886A (ja) * 1999-12-24 2001-07-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049209A (ja) 2000-08-03 2002-02-15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US6597882B1 (en) * 2002-01-28 2003-07-22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ing apparatus
JP4259074B2 (ja) * 2002-09-17 2009-04-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85753B2 (ja) * 2003-08-19 2007-10-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R2861937A1 (fr) 2003-10-30 2005-05-06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navigation affichant une fenetre mobile, recepteur mettant en oeuvre le procede
JP4689327B2 (ja) * 2004-06-16 2011-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565090B1 (ko) * 2004-10-28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싱글패스방식 칼라인쇄기의 단색화상인쇄방법
KR100708175B1 (ko) 2005-08-26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E102005052123B3 (de) 2005-10-28 2007-01-11 Thyssenkrupp Presta Ag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JP2007148368A (ja) 2005-10-31 2007-06-14 Ricoh Co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19547B2 (ja) 2006-03-29 201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7298908A (ja) 2006-05-08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2007304281A (ja) * 2006-05-10 2007-11-22 Fuji Xerox Co Ltd 粉体供給器、粉体供給器への粉体充填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802872B2 (ja) 2006-06-08 2011-10-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着脱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10760B2 (ja) * 2006-08-29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20915B2 (ja) * 2006-10-16 2010-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684730B2 (en) * 2007-01-18 2010-03-23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unit
JP4902376B2 (ja) 2007-02-01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80111704A (ko) * 2007-06-19 2008-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EP2034370B1 (en) * 2007-09-04 2018-06-13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cartridge
KR100891117B1 (ko) * 2008-03-03 2009-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4067A2 (de) * 1984-12-03 1986-06-11 Mannesmann Kienzle GmbH Mobiles Datenterminal für Taxifahrzeuge
JP2003167413A (ja) * 2001-12-03 2003-06-13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49490A (ja) 2003-07-31 2005-02-2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6267896A (ja) 2005-03-25 2006-10-05 Asmo Co Ltd トナー撹拌装置及びトナー搬送装置、並びにトナー撹拌装置とトナー搬送装置とを備えたトナー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30566B2 (en) 2014-01-14
US20130188994A1 (en) 2013-07-25
US8126374B2 (en) 2012-02-28
BRPI0803530B1 (pt) 2019-08-27
US8422921B2 (en) 2013-04-16
EP2098916B1 (en) 2014-12-31
RU2404447C2 (ru) 2010-11-20
EP2098916A1 (en) 2009-09-09
CN101526777A (zh) 2009-09-09
BRPI0803530A2 (pt) 2009-11-03
US7881643B2 (en) 2011-02-01
RU2008138097A (ru) 2010-03-27
US8165506B2 (en) 2012-04-24
EP2469345B1 (en) 2019-07-24
US20110091246A1 (en) 2011-04-21
US20090220284A1 (en) 2009-09-03
US20120177413A1 (en) 2012-07-12
EP2469345A1 (en) 2012-06-27
US20110176834A1 (en) 2011-07-21
CN101526777B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117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US7457561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replenishing apparatus
KR100564958B1 (ko) 컬러 화상 형성 장치
KR100636239B1 (ko) 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
US20060140679A1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agitation effect
EP2595002B1 (en) Develop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70048028A1 (en) Develop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896689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제 수용부재
JP3940744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54737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7079796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oner recycling mechanism
JP5114165B2 (ja) 現像装置
JP462088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84178A (ja) 画像形成装置
JP5069074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3104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