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453A -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453A
KR20090022453A KR1020070087812A KR20070087812A KR20090022453A KR 20090022453 A KR20090022453 A KR 20090022453A KR 1020070087812 A KR1020070087812 A KR 1020070087812A KR 20070087812 A KR20070087812 A KR 20070087812A KR 20090022453 A KR20090022453 A KR 2009002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guide
stopper
head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0952B1 (ko
Inventor
박남규
성은형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7008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9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 시 이송대상물이 서로 접촉되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0)와, 복수개의 지지부재(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과,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가이드되는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회전부재(30)와,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 사이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지지부재(10)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부재(30)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로 이송 시 이송대상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함께 전진 이송되어 이송대상물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고, 이송대상물이 목적위치에 이송되면 다음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후진하는 이송가이드부재(4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 컨베이어, 스토퍼, 분리, 롤러

Description

이송장치{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 시 이송대상물이 서로 접촉되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상물을 검사나 제조하는 위치로 이송하기 위해 이송장치가 사용되며, 이러한 이송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송장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의 양단에 각각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2)이 설치되고, 가이드 프레임(2)은 복수개의 롤러(roller)(3)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복수개의 롤러(3)는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belt)(4)가 설치되고,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 사이에 회전축(5)이 설치된다. 회전축(5)은 모터(도시 않음)에 의해 회전되어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3)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되는 벨트(4)를 회전시키고, 벨트(4)의 회전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가이드 프레임(2)을 따라 검사위치나 제조위치(이하 '목적위치'라 함)로 이송한다.
이송대상물이 목적위치에 도달되면 검사대상물을 정지시키기 위해 보조 프레 임(7)에 스토퍼(stopper)(6)가 설치된다. 스토퍼(6)는 보조 프레임(7)에 고정 설치되어 이송대상물이 목적위치로 이송되면 스토퍼부재(6a)를 승강시켜 정지시키고, 검사나 제조가 완료되면 이송대상물을 다시 이송 가능하도록 하강된다.
종래와 같은 이송장치는 스토퍼로 연속적으로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킨 후 검사나 제조가 완료된 이송대상물을 재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이송대상물들의 이격 간격이 좁아져 서로 접하거나 겹쳐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송대상물의 이송경로가 긴 경우에 순환 회전되는 벨트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벨트가 복수개가 구비되는 경우에 서로 미세한 이송속도의 차가 발생되고, 이러한 차이로 인해 이송대상물이 서로 접하거나 겹쳐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송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 시 이송대상물이 서로 접촉되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복수개의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과,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에 가이드되는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회전부재와,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지지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부재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로 이송 시 이송대상물을 지지한 상태에 서 함께 전진 이송되어 이송대상물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고, 이송대상물이 목적위치에 이송되면 다음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후진하는 이송가이드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이송대상물을 연속적으로 이송 시 이송대상물이 서로 접촉되거나 겹쳐지지 않도록 이송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가이드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10),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 회전부재(30) 및 이송가이드부재(40)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부재(10)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지지부재(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가이드 프레임(20)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유지시킨다.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의 각각의 일측면에 회전부재(30)가 설치된다. 회전부재(30)는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된다.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가이드되는 이송대상물(P)을 이송시키는 회전 부재(30)는 복수개의 종동롤러(31), 구동롤러(32), 벨트(33) 및 회전축(34)으로 구성된다.
종동롤러(31)는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각각 복수개가 설치되며, 구동롤러(32)는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종동롤러(31)와 구동롤러(32)에 각각 벨트(33)가 설치되고, 벨트(33)는 구동롤러(32)의 회전에 의해 복수개의 종동롤러(31)에 가이드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롤러(32)에 회전축(34)이 삽입 설치된다. 회전축(34)은 모터(도시 않음)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구동롤러(32)로 전달하여 복수개의 종동롤러(31)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되는 벨트(33)에 의해 이송대상물(P)이 이송되도록 벨트(33)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벨트(33)에 의해 이송대상물(P)이 이송되면 이를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이송가이드부재(40)는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 사이에 위치되도록 복수개의 지지부재(10)에 각각 설치된다. 이송가이드부재(40)는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의 길이방향 즉, 이송대상물(P)의 이송방향에 설치되어, 회전부재(30)에 의해 이송대상물(P)을 목적위치로 이송 시 이송대상물(P)을 지지한 상태에서 함께 전진 이송되어 이송대상물(P) 목적위치에 정지시키는 스토퍼 작용을 한다. 이송대상물(P)이 목적위치에 이송되면 이송가이드부재(40)는 다음 이송대상물(P)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후진하여 다음 이송대상물(P)을 다시 목적위치에 정지시킨다.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부재(30)에 의해 이송되 는 이송대상물(P)을 연속적으로 목적위치에 정지시키는 이송가이드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베이스 블록(base block)(41), 직선이송기구(42) 및 스토퍼 헤드(stopper head)(43)로 구성된다.
베이스 블록(4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은 복수개의 지지부재(10)에 설치되며, 특히 베이스 블록(41)은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된 지지부재(10)에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지지부재(10)를 따라 이동시켜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이송대상물(P)의 크기나 형상에 제한 없이 이송가이드부재(40)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부재(10)에 각각 설치된 베이스 블록(41)에 직선이송기구(42)가 설치된다. 직선이송기구(42)는 고정 프레임(42a), 헤드 이송기구(42b), 리니어 가이드(42c) 및 보조 스토퍼(42d)로 구성되며, 고정 프레임(42a)은 복수개의 지지부재(10)에 각각 베이스 블록(41)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 프레임(42a)은 직선이송기구(42)를 전반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그 상측에 헤드 이송기구(42b)가 설치되며 그 측면에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42c)가 각각 설치된다. 고정 프레임(42a)의 측면에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42c)의 일단에 위치되도록 고정 프레임(42a)에 보조 스토퍼(42d)가 설치된다. 여기서, 헤드 이송기구(42b)는 볼 스크류 이송기구나 리니어모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되며, 보조 스토퍼(42d)는 스토퍼 헤드(43)가 리니어 가이드(42c) 범위 내에서 이송되도록 제한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스토퍼 헤드(43)는 직선이송기구(42)에 의해 이송되도록 설치되며, 스토퍼 헤드(43)는 이송대상물(P)과 함께 전진 이송되어 이송대상물(P)을 목적위치에 정지 시킨 후 이송대상물(P)이 목적위치에 정지되면 다음 이송대상물(P)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후진되도록 직선이송기구(42)에 설치된다.
스토퍼 헤드(43)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이송블럭(43a), 헤드 브라켓(43b), 스토퍼 승강기구(43c) 및 이송대상물 스토퍼(43d)로 구성된다.
헤드 이송블럭(43a)은 리니어 가이드(42c)에 가이드되어 이송되도록 헤드 이송기구(42b)에 설치되고, 헤드 브라켓(43b)은 헤드 이송블럭(43a)의 일측에 설치된다. 헤드 브라켓(43b)에는 스토퍼 승강기구(43c)가 설치되며, 스토퍼 승강기구(43c)의 일단에 이송대상물 스토퍼(43d)가 설치된다. 일단에 이송대상물 스토퍼(43d)가 설치된 스토퍼 승강기구(43c)는 공압 실린더가 적용되어 스토퍼 헤드(43)가 후진 시에는 이송대상물 스토퍼(43d)를 하강시키고, 후진이 완료되면 이송대상물(P)과 함께 이송되거나 스토퍼 작용을 하는 경우에는 승강시키게 된다. 이송대상물(P)과 함께 이송되는 이송대상물 스토퍼(43d)가 안정적으로 이송대상물(P)들 사이를 분리하고, 목적위치에 도달된 이송대상물(P)을 안정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해 사각형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e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 스토퍼(43d)가 높이(h: 도 4a에 도시됨)만큼 승강된 상태에서 스토퍼 헤드(43)가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20)의 일측에 위치되고 이송대상물(P)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 임(20)에 도달되면, 회전부재(30)에 의해 이송대상물(P)은 도 4b에서와 같이 이송된다. 이송대상물(P)의 이송 시 이송대상물 스토퍼(43d)는 승강된 상태로 스토퍼 헤드(43)와 함께 이송대상물(P)과 같은 방향으로 함께 이송된다.
이송대상물(P)과 스토퍼 헤드(43)가 함께 이송되어 도 4c에서와 같이 이송대상물(P)과 스토퍼 헤드(43)가 목적 위치에 도달되면, 스토퍼 헤드(43)는 이송대상물(P)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킨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 스토퍼(43d)를 승강된 높이(h: 도 4a에 도시됨)만큼 하강시킨 상태에서 후진 이송된다.
스토퍼 헤드(43)가 후진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이송되는 이송대상물(P)과 함께 다시 목적위치로 이송되고, 목적위치에 이송대상물(P)이 이송되면 정지시킨다. 이송대상물(P)과 스토퍼 헤드(43)의 이송속도는 서로 동일한 속도로 이송시키거나 스토퍼 헤드(43)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하여 이송대상물(P)을 분리시킨 후에 이송대상물(P) 보다 빠르게 목적위치로 이송되어 분리된 이송대상물(P)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송장치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대상물을 검사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가이드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지지부재 20: 가이드 프레임
30: 회전부재 31: 종동롤러
32: 구동롤러 33: 벨트
34: 회전축 40: 이송가이드부재
41: 베이스 블록 42: 직선이송기구
42a: 고정 프레임 42b: 헤드 이송기구
42c: 리니어 가이드 42d: 보조 스토퍼
43: 스토퍼 헤드 43a: 헤드 이송블럭
43b: 헤드 브라켓 43c: 스토퍼 승강기구
43d: 이송대상물 스토퍼

Claims (8)

  1. 복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에 가이드되는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는 회전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로 이송 시 이송대상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함께 전진 이송되어 이송대상물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고, 이송대상물이 목적위치에 이송되면 다음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후진하는 이송가이드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종동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복수개의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에 각각 설치되는 벨트와,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구동롤러에 삽입 설치되어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구동롤러로 전달하여 상기 복수개의 종동롤러에 의해 가이드되어 회전되는 벨트에 의해 이송대상물이 이송되도록 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블록과,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블록에 설치되는 직선이송기구와,
    상기 직선이송기구에 의해 이송되도록 설치되어 이송대상물과 함께 전진 이송되어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킨 후 이송대상물이 목적위치에 정지되면 다음 이송대상물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해 후진하는 스토퍼 헤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블록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부재를 따라 이동시켜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송기구는 상기 베이스 블록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헤드 이송기구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리니어 가이드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의 일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는 보조 스토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송기구는 볼 스크류 이송기구나 리니어모터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헤드는 리니어 가이드에 가이드되어 이송되도록 헤드 이송기구에 설치되는 헤드 이송블럭과,
    상기 헤드 이송블럭의 일측에 설치되는 헤드 브라켓과,
    상기 헤드 브라켓에 설치되는 스토퍼 승강기구와,
    상기 스토퍼 승강기구의 일단에 설치되어 스토퍼 승강기구에 의해 승/하강되는 이송대상물 스토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승강기구는 공압 실린더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상물 스토퍼는 사각형 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
KR1020070087812A 2007-08-30 2007-08-30 이송장치 KR100890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12A KR100890952B1 (ko) 2007-08-30 2007-08-30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812A KR100890952B1 (ko) 2007-08-30 2007-08-30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453A true KR20090022453A (ko) 2009-03-04
KR100890952B1 KR100890952B1 (ko) 2009-03-27

Family

ID=4069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812A KR100890952B1 (ko) 2007-08-30 2007-08-30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971B1 (ko) * 2013-06-19 2014-08-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비정질 리본의 연속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1582896B1 (ko) * 2014-12-19 2016-01-07 (주)넥스티지 부품 부착 상태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919B1 (ko) * 2012-05-15 2014-12-02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이송체 위치 추적 기능을 구비한 공압식 이송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이송체 위치 추적 방법
KR101359752B1 (ko) 2013-01-22 2014-02-06 권순창 재단 철판 이송 후 적재시 전후 좌우 가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355A (ja) * 1993-04-07 1994-10-21 Nec Niigata Ltd バーコード自動読取り装置
JPH07267359A (ja) * 1994-03-25 1995-10-17 Nippon Steel Corp 鋼板停止装置における過負荷キャンセル機構
KR20000007549A (ko) * 1998-07-04 2000-02-07 윤종용 리드프레임 쉬프터
WO2002096755A1 (en) 2001-05-30 2002-12-05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Automatic lidder and/or un-lidder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971B1 (ko) * 2013-06-19 2014-08-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비정질 리본의 연속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KR101582896B1 (ko) * 2014-12-19 2016-01-07 (주)넥스티지 부품 부착 상태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952B1 (ko) 200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992B1 (ko) 기판반전장치
KR20170050580A (ko) 물품 이송 장치 및 물품 검사 장치
WO2006137249A1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KR101827313B1 (ko) AOI θ축 얼라인 조정이 가능한 이송장치를 갖는 인라인 스테이지
KR100890952B1 (ko) 이송장치
JP2005212943A (ja) ガラス基板の搬送システム
KR101265085B1 (ko) 반전부를 구비한 이송장치 및 반전부를 이용한 글래스패널의 반전방법
KR20180080985A (ko) 기판 가공 장치
JP2009085865A (ja) 基板検査装置
KR20120032085A (ko) 정렬부재를 구비한 자재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재 이송 방법
JP2011042066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バキュームベルト搬送方法とその搬送装置
JP6473987B2 (ja) リフト装置及びリフト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
JP2003285925A (ja) 搬送設備
KR101899387B1 (ko) 대면적 기판의 이송장치
JP2008169015A (ja) 板状体搬送設備
KR20190063399A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기판 가공 장치
KR930004640Y1 (ko) 반도체 패키지 마킹장치
CN110379755B (zh) 一种太阳能电池片生产用链式设备的上料装置
WO2023032404A1 (ja) 移載装置および搬送車
KR20230082965A (ko)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JP4390496B2 (ja) 切断機に対する素材供給方法および装置
TWI531516B (zh)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equipment
JP2005280966A (ja) 物品の位置決め装置
TWM527433U (zh) 傳送裝置
JP2519285B2 (ja) 板ガラスの入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