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965A -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965A
KR20230082965A KR1020210170972A KR20210170972A KR20230082965A KR 20230082965 A KR20230082965 A KR 20230082965A KR 1020210170972 A KR1020210170972 A KR 1020210170972A KR 20210170972 A KR20210170972 A KR 20210170972A KR 20230082965 A KR20230082965 A KR 20230082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nveyor
base member
pile
dumm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김복동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965A/ko
Publication of KR2023008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65H15/02Overturn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65H15/008Overturning articles employ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2Turning, overturning
    • B65H2301/3322Turning, overturning according to a determined angle
    • B65H2301/332241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는,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일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가로지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반복적으로 반전시키는 베이스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서로 마주보며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통로로 반입된 상기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여 반출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 유닛들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반전시 상기 시트형 더미를 고정하는 고정 위치 및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상기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는 이송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이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Sheet type pile reversing device}
본 발명은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는 경로 상에서 상기 시트형 더미를 반전하는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측면이 인쇄된 판지 더미는 인쇄면이 위쪽을 향한 상태로 절단된다. 상기 판지에 대해 중첩기-접착기(folder-gluer)로 이어지는 후속의 가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쇄면이 아래쪽을 향해야 하므로, 상기 판지 더미는 뒤집어져야 한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판지 더미를 반전하는 경우, 상기 판지 더미의 반전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판지 더미와 같은 시트형 더미를 전기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상하 반전시킬 수 있는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는, 상기 전기력을 사용하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전 작업의 생산성이 여전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시트형 더미의 반전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는,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일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가로지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반복적으로 반전시키는 베이스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서로 마주보며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통로로 반입된 상기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여 반출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 유닛들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반전시 상기 시트형 더미를 고정하는 고정 위치 및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상기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는 이송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이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반전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의 상하 위치가 반복적으로 바뀌고,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 중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반전에 따라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가 반출된 후, 새로운 시트형 더미의 반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은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각 컨베이어 유닛들은, 상기 시트형 더미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상기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은 상기 시트형 더미가 반출되는 방향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각 컨베이어 유닛들은, 자유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경사로 인해 자유 회전하면서 상기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들 및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이 상기 이송 위치와 상기 고정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가 반전하는 동안 상기 롤러들이 자유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들을 고정하는 롤러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서 상기 시트형 더미가 반출되는 부위와 인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 중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이 이송하는 상기 시트형 더미를 상기 컨베이어 유닛 상에 정지시키는 정지 위치 및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스토퍼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 중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의 높이는 상기 시트형 더미를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의 제1 이송면의 높이와 같거나 낮고, 상기 시트형 더미를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의 제2 이송면의 높이와 같거나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은 상기 시트형 더미와 접촉할 때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들에서 기 설정된 기준 압력이 측정될 때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의 위치를 상기 고정 위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을 상기 고정 위치 및 상기 이송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구동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에 각각 구비되며 마주보는 컨베이어 유닛을 향해 연장하는 랙 기어들 및 상기 랙 기어들과 동시에 맞물리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의 왕복 이동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의 속도와 이동 거리를 동기화하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에 각각 구비되며 마주보는 컨베이어 유닛을 향해 연장하는 랙 기어들과, 상기 랙 기어들과 동시에 맞물리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을 상기 고정 위치 및 상기 이송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피니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이 상기 고정 위치 및 상기 이송 위치로 동시에 이동하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의 고정과 고정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 중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에서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가 반출된 후, 새로운 시트형 더미의 반입이 바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더미의 고정과 고정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전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은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베이어 이동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베이어 유닛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이용한 시트형 더미의 반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은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100)는 인쇄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절단된 판지 더미와 같은 시트형 더미(10)를 상기 인쇄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반전시킨다. 상기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100)는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20)와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100)는 베이스 부재(110), 베이스 구동부(120), 한 쌍의 컨베이어 유닛들(130) 및 컨베이어 이동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일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가로지르는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서로 마주보도록 세워진 한 쌍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판 사이에 상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평판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통로의 양단에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입과 반출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축들(111)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들(111)은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기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대들(11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들(111)은 베어링 등을 매개로 상기 지지대들(1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상기 회전축들(11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구동부(120)는 상기 회전축(111)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111)을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반복적으로 반전시킨다.
상기 베이스 구동부(120)는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전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구동부(120)의 예로는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모터는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111)에 직접 전달하거나, 벨트와 풀리, 기어 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정확하게 180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구동부(120)는 스텝핑 모터 등과 같이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방식을 가지거나, 엔코더를 통해 회전각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가 상기 베이스 구동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서로 마주보며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기 통로로 반입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이송하여 반출하며,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전하기 위해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고정한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수평 상태로 상하로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서로 가까워져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고정하는 고정 위치 및 서로 이격되어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이송하는 이송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 사이에는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각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벨트(131)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131)를 구동시키는 벨트 구동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구동부(132)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벨트(131)가 구동하면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고정한다.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 중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이 상기 반입 컨베이어(20)로부터 반입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반전에 따라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전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은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이송하여 상기 반출 컨베이어(30)로 반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 중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의 높이는 상기 반입 컨베이어(20)의 제1 이송면의 높이와 같거나 낮고, 상기 반출 컨베이어(30)의 제2 이송면의 높이와 같거나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상기 반입 컨베이어(20)로부터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원활하게 반입될 수 있고,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으로부터 상기 반출 컨베어어(30)로 원활하게 반출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14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위치 및 상기 이송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140)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에 각각 연결되는 컨베이어 구동부들(141)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들(141)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을 상기 고정 위치 및 상기 이송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들(141)의 예로는 펌프와 실린더, 리니어 모터, 볼 스크류와 모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들(141)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을 상기 고정 위치와 상기 이송 위치 사이에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고정과 고정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구동부들(141)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에 각각 연결되므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의 속도와 이동 거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140)은 랙 기어들(142) 및 피니언 기어(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들(142)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에 각각 구비되며 마주보는 컨베이어 유닛(130)을 향해 연장한다. 상기 피니언 기어(143)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구비되며 상기 랙 기어들(142)과 동시에 맞물린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랙 기어들(142) 사이에는 상기 랙 기어들(14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 기어들(142)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들(142)과 상기 피니언 기어(143)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서로 연결되므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의 왕복 이동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의 이동 속도와 이동 거리를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 기어들(142)은 상기 피니언 기어(143)에 대해 대칭되도록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피니언 기어(14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상기 피니언 기어(14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송 위치 및 상기 고정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43)의 중심축은 상기 회전축(111)과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피니언 기어(14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므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회전축(111)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회전축(111)에 대해 편심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시트형 더미(10)와 접촉할 때 컨베이어 벨트들(13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33)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상기 압력 센서(133)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들(131)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들(133)에서 기 설정된 기준 압력이 측정될 때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의 위치를 상기 고정 위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 센서들(133)로부터 출력되는 압력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들(1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상하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 구동부(120)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110)가 반전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의 상하 위치가 지속적으로 바뀐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의 상하 위치가 지속적으로 바뀌더라도,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 중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이 상기 이송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출하고, 바로 새로운 시트형 더미(10)를 반입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출과 새로운 시트형 더미(10)의 반입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 유닛(130)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하방의 상기 이송 위치에 위치할 때마다 교대로 이루어진다.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출과 새로운 시트형 더미(10)를 반입이 연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입과 반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100)는 스토퍼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유닛(15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출되는 부위와 인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 유닛(150)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 중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이 이송하는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전면을 지지하여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 상에 정지시키는 정지 위치 및 상기 정지 위치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 유닛(150)은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상기 전면과 직접 접촉하여 지지하는 스토퍼 부재(151) 및 상기 스토퍼 부재(151)를 상기 정지 위치 및 상기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스토퍼 구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구동부(152)는 상기 스토퍼 부재(151)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거나, 안테나 구조를 갖는 스토퍼 부재(151)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유닛(150)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에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31) 및 상기 벨트 구동부(132)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벨트 구동부(132)를 제어하여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스토퍼 유닛(150)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100)는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고정과 고정 해제에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입과 반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전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컨베이어 이동 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140)은 랙 기어들(142), 피니언 기어(143) 및 피니언 구동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들(142)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에 각각 구비되며 마주보는 컨베이어 유닛(130)을 향해 연장한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랙 기어들(142) 사이에는 상기 랙 기어들(14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들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 기어들(142)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43)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구비되며 상기 랙 기어들(142)과 동시에 맞물린다.
상기 피니언 구동부(144)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을 상기 고정 위치 및 상기 이송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피니언 기어(143)를 회전시킨다.
상기 피니언 구동부(144)는 상기 피니언 기어(143)에 직접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기어, 체인, 벨트 등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들(142)과 상기 피니언 기어(143)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서로 연결되므로,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140)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상기 피니언 구동부(144)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1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컨베이어 유닛들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서로 마주보며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출되는 방향의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자유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들(134) 및 상기 롤러들(134)이 자유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롤러들(134)을 고정하는 롤러 고정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고정부(135)는 상기 롤러들(134)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 고정부(135)는 상기 롤러들(134)에 형성된 고정 부재를 고정하거나, 상기 롤러들(134)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롤러들(134)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경사지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반입 컨베이어(20)로부터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입되면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의 상기 롤러들(134)이 자유 회전하면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이송된다.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전되면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의 상기 롤러들(134)이 자유 회전하면서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출된다.
반입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그대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토퍼 유닛(150)가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하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유닛(130) 상에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스토퍼 유닛(150)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이 상기 이송 위치와 상기 고정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에도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만 상기 롤러 고정부(135)는 상기 롤러들(134)의 고정을 해제하므로, 상기 롤러들(134)이 상기 자유 회전하면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입 및 반출 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를 제외하면, 상기 롤러 고정부(135)는 상기 롤러들(134)을 고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로부터 반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상기 시트형 더미(10)와 접촉할 때 상기 롤러들(134)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33)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상기 압력 센서(133)는 상기 롤러들(134)의 표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에 상기 롤러들(134)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들(134)의 자유 회전을 이용하므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신속하게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컨베이어 유닛들(130)은 컨베이어 벨트(131), 벨트 구동부(132) 및 압력 센서(13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이동 유닛(140)은 랙 기어들(142), 피니언 기어(143) 및 회전 구동부(1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를 이용한 시트형 더미의 반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이송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반입 컨베이어(20)가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반입하고,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은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이송하여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스토퍼 유닛(150)이 상기 정지 위치로 이동하여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 유닛(130)이 이송하는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 상에 정지시킬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고정한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이송 위치에서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토퍼 유닛(150)이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에 고정되면, 상기 스토퍼 유닛(150)이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반전하여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에 고정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전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이송 위치로 이동하여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고정을 해제한다.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이송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토퍼 유닛(150)이 상기 스토퍼 유닛(150)이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스토퍼 유닛(150)이 상기 정지 위치에서 상기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130)이 상기 이송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 유닛(130)이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상기 반출 컨베이어(30)로 이송하여 반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가 반출된 후,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 유닛(130)이 상기 이송 위치에 그대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반입 컨베이어(20)가 새로운 시트형 더미(10)를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 유닛(130)으로 반입하고,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은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이송하여 정지시킨다.
상기 스토퍼 유닛(150)이 상기 정지 위치로 이동하여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 유닛(130)이 이송하는 상기 새로운 시트형 더미(10)를 상기 컨베이어 유닛(130) 상에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후 상기 과정들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전시킬 수 있다.
하방에 위치한 컨베이어 유닛(130)이 상기 이송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반전된 상기 시트형 더미(10)를 반출하고, 바로 새로운 시트형 더미(10)를 반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형 더미(10)의 반입과 반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시트형 더미 20 : 반입 컨베이어
30 : 반출 컨베이어 100 :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110 : 베이스 부재 111 : 회전축
112 : 지지대 120 : 베이스 구동부
130 : 컨베이어 유닛 131 : 컨베이어 벨트
132 : 벨트 구동부 133 : 압력 센서
134 : 롤러 135 : 롤러 고정부
140 : 컨베이어 이동 유닛 141 : 컨베이어 구동부
142 : 랙 기어 143 : 피니언 기어
144 : 피니언 구동부 150 : 스토퍼 유닛
151 : 스토퍼 부재 152 : 스토퍼 구동부

Claims (1)

  1.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일 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가로지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반복적으로 반전시키는 베이스 구동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서로 마주보며 서로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통로로 반입된 상기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여 반출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 유닛들;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반전시 상기 시트형 더미를 고정하는 고정 위치 및 상기 시트형 더미의 반입과 반출을 위해 상기 시트형 더미를 이송하는 이송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KR1020210170972A 2021-12-02 2021-12-02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KR202300829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72A KR20230082965A (ko) 2021-12-02 2021-12-02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72A KR20230082965A (ko) 2021-12-02 2021-12-02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965A true KR20230082965A (ko) 2023-06-09

Family

ID=8676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972A KR20230082965A (ko) 2021-12-02 2021-12-02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9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992B1 (ko) 기판반전장치
JP3619233B2 (ja) シート状材料のパイルを反転させる装置
CN107079612B (zh) 用于可变的基板厚度的外部翻转器系统以及用于旋转基板的方法
KR20170050580A (ko) 물품 이송 장치 및 물품 검사 장치
JPH11347779A (ja) ワーク加工装置及びそのワーク反転装置
WO2006137249A1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CN101643148B (zh) 输送系统
KR20230082965A (ko) 시트형 더미 반전 장치
JPH0549730U (ja) シートの反転搬送装置
KR100890952B1 (ko) 이송장치
KR101273607B1 (ko) 트레이 이송시스템
JP4510565B2 (ja) 搬送装置、表面実装機、半田塗布装置、プリント配線板用検査装置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の搬送方法
KR20150090934A (ko) 기판 이송 장치
US5735389A (en) Conveying system
JPH0648554A (ja) 基板反転装置
JP2008247578A (ja) 刷版供給装置
JPH07206129A (ja) 基板搬送装置
JP4707528B2 (ja) 計量搬送装置
JP2012182273A (ja) ガラス基板インライン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4789844B2 (ja) 刷版供給装置
EP4400451A1 (en) Transfer device and transport vehicle
CN114212462B (zh) 检测转运机构
KR20230083052A (ko) 시트형 더미 적재 장치
CN215430283U (zh) 一种六面体工件尺寸测量与外观检测系统
JP2002068457A (ja) パレット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