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787A - 기판 실장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실장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787A
KR20090015787A KR1020080044537A KR20080044537A KR20090015787A KR 20090015787 A KR20090015787 A KR 20090015787A KR 1020080044537 A KR1020080044537 A KR 1020080044537A KR 20080044537 A KR20080044537 A KR 20080044537A KR 20090015787 A KR20090015787 A KR 2009001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ovable
housing
termin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9409B1 (ko
Inventor
츠요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Abstract

과제
플럭스 등의 침입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과, 하우징에 장착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한다. 가동 단자는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으로 된 가동부와, 가동부와 연속되며 하우징과의 사이에 밀착면을 형성하는 밀착부와, 연결부를 개재하여 밀착부와 연속되며 땜납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부를 이 순서로 갖는다. 밀착면에는 가동부를 향해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한다. 가동 단자에는 밀착부와 가동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개방부를 홈부와 연결한 상태에서 형성한다.
커넥터

Description

기판 실장형 커넥터{BOARD MOUNTING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 실장형 커넥터, 특히, 기판에 대한 납땜시에 발생한 플럭스 등을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종래의 기기 중에는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있다.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기기 내의 신호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기기의 회로 특성을 검사할 수 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6612호에, 이런 종류의 동축 커넥터의 종래예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동축 커넥터는 리플로우 처리를 통해 기기의 내부 기판에 땜납 실장되는데, 이 납땜시, 크림 땜납 등에 포함되는 플럭스 등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동축 커넥터 내로 침입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기 종래 커넥터에서는 이와 같은 플럭스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동축 커넥터에 침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의해 플럭스의 침입을 저지하며, 나아가서는 동축 커넥터 내에서의 단자 접촉 불량 등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76612호
그러나, 상기 종래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홈은 하우징에 플럭스의 침입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럭스를 홈으로 확실히 유도할 수는 없고, 이 결과, 접촉부 등의 부적절한 장소에 대한 플럭스의 침입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었다. 또한, 이 홈은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의 것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플럭스 등이 있는 경우에, 그것들의 침입을 확실히 체류시킬 수는 없었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플럭스 등을 유도함으로써, 부적당한 장소에 대한 플럭스 등의 침입을 보다 확실히 저지함과 함께, 플럭스 등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것들을 체류시킴으로써, 플럭스 등의 침입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는 기판 실장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플럭스 등」이란, 플럭스에 한정되지 않고, 땜납, 플럭스와 땜납의 혼합물 등, 납땜시에 침입할 수 있는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되는 것 전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장착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으로 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연속되고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밀착면을 형성하는 밀착부와,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기 밀착부와 연속되며 땜납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부를 이 순서로 갖고, 상기 밀착면에 상기 가동부를 향해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동 단자에 상기 밀착부와 상기 가동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개방부를 상기 홈부와 연결한 상태에서 형성하고 있는 커넥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가동부를 향해 상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교차 방향에서의 상기 연결부측의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홈부 부근에서의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홈부의 종단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홈부의 도중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복수의 홈부는 상기 개방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홈부의 홈의 깊이를 얕게 하여 상기 홈부의 갯수를 줄일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의 상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커넥터는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 (2) 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 (3) 와, 그 고정 단자 (3) 와 세트로 하여 형성되는 가동 단자 (4)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플로우 등에 의한 납땜시에 발생된 플럭스 등을 홈부에 의해 확실히 유도하여, 소정 위치 이상의 원하지 않는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 에,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 도 2 에 그 배면도, 도 3 에 도 1 의 A-A 선 (중심선) 단면도, 도 4 에 도 3 의 B-B 선 (상) 단면도, 또한, 도 5 에 도 4 의 C-C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 (1) 는 주로, 수지제의 절연 하우징 (2) 과, 절연 하우징 (2) 에 장착되는 1 세트의 고정 단자 (3) 및 가동 단자 (4) 와, 절연 하우징 (2) 을 외부로부터 덮는 금속제의 외부 도체 (7) 로 이루어진다. 이 동축 커넥터 (1) 는 고정 단자 (3) 와 가동 단자 (4) 로 형성되는 단자 스위치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 내의 신호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기기의 회로 특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실제 사용시에는 납땜에 의해 기기 내의 기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실장되고, 검사시에는 상부로부터 삽입된 검사침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의해, 고정 단자 (3) 와 가동 단자 (4) 를 접촉·비접촉으로 전환 가능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절연 하우징 (2) 은 대략 원주상의 본체부 (8) 와, 이 본체부 (8) 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 비교적 얇은 연장부 (9) 및 비교적 두꺼운 연장부 (10) 와, 저판 (15) 으로 구성된다. 검사침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부 (8) 의 상면 중앙부에, 절구 형상의 오목부 (11) 를 형성해 두어도 된다. 연장부 (9, 10) 와 저판 (15) 사이에는 중공부 (14)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오목부 (11) 와 중공부 (14) 사이에는 축 방향을 따라 천공된 연통 구멍 (16) 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부 (14) 는 연장부 (9) 에 형성된 단자 (3) 삽입용의 가로 구멍 (18) 이나, 연장부 (10) 에 형성된 단자 (4) 삽입용의 가로 구멍 (20) 을 통해, 외부 연락 가능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 (9) 측의 저판측면에는 가로 구멍 (18) 과 평행이지만 이것보다 폭이 좁은 하부 홈 (19) 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연장부 (10) 측의 저판측면에는 가로 구멍 (20) 과 평행이지만 이보다 폭이 좁은 하부 홈 (21)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단자 (3) 는 고정부 (23), 연결부 (24) 및 접속부 (25) 를, 서로 연속한 상태에서 이 순서로 갖는다. 고정부 (23) 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폭이 넓은 판상의 부분으로서, 선단 (22) 은 다소 좁은 폭으로 되어 있다. 고정부 (23) 는 그 하방에 비교적 큰 공간 (70) 을 가진 상태에서, 압입 돌기 (31) (도 4 참조) 를 이용하여 가로 구멍 (18) 에 압입되어, 연장부 (9) 의 저면 (35) 과 밀착된다. 연결부 (24) 는 고정부 (23) 와 접속부 (25) 를 연결하는 고정부 (23) 보다 폭이 좁은 만곡 부분으로서, 저판 (15) 의 측면 (73) 과의 사이에 간극 (41) 을 가진 상태에서 설치된다. 접속부 (25) 는 고정부 (23) 와 동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 (24) 와 동폭의 판상 부분으로서, 하부 홈 (19) 에 수용된 상태에서 저판 (15) 에 설치된다. 사용시에는 접속부 (25) 는 기판의 소정 회로 (도시 생략) 에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가동 단자 (4) 는 가동부 (26), 고정부 (밀착부) (27), 연결부 (28) 및 접속부 (29) 를, 서로 연속한 상태에서 이 순서로 갖는다. 가동부 (26) 는 상방으로 약간 탄성 지지된 폭이 좁은 판상의 부분으로서, 선단 (39) 은 다소 날카로운 상태로 되어 있다. 가동부 (26) 는 절연 하우징 (2) 이나 고정 단자 (2) 에 대하여 가동이다. 가로 구멍 (20) 으로의 삽입시, 가동부 (26) 는 지그 (도시되어 있지 않음) 를 이용하여 하방으로 변위시킨 상태에서 그곳에 삽입된다. 가동부 (26) 는 가로 구멍 (20) 중, 특히, 폭이 좁은 상부 구멍 (20') 에 삽입된다. 상부 구멍 (20') 에 삽입되었을 때, 가동부 (26) 의 선단 (39) 은 고정 단자 (3) 의 고정부 (23) 에 형성된 하방 접점 (30) 과 탄성 접촉된다. 이 선단 (39) 은 검사침과의 접촉을 통해 가동부 (26) 가 하방 (도 3 의 화살표 「a」방향) 으로 변위되었을 때에, 고정 단자 (3) 와의 접촉이 분리되어, 비접촉으로 된다. 즉, 전환된다. 한편, 고정부 (27) 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폭이 넓은 판상의 부분으로서, 가로 구멍 (20) 중, 특히, 폭이 넓은 하 구멍 (20") 에, 압입 돌기 (32) (도 6 참조) 나, 가로 구멍 (20) 의 안쪽으로 진행됨에 따라 하방으로의 연장이 커지도록 형성된 경사면 (72) (도 5 참조) 을 이용하여 압입되어, 연장부 (10) 측의 저판 상면 (36) 과 플랫면에서 밀착되도록 압입 고정된다. 연결부 (28) 는 고정부 (27) 와 접속부 (29) 를 연결하는 가동부 (26) 보다 폭이 좁은 만곡 부분으로서, 저판 (15) 의 측면 (83) 과의 사이에 비교적 큰 간극 (42) 을 가진 상태에서 설치된다. 접속부 (29) 는 고정부 (27) 와 동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 (28) 와 동폭의 판상 부분으로서, 하부 홈 (21) 에 수용된 상태에서 저판 (15) 에 설치된다. 사용시에는 접속부 (29) 는 기판의 소정 회로 (도시 생략) 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외부 도체 (7) 는 1 매의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주로, 둘레벽부 (49) 와, 동형상의 레그부 (57) 와 레그부 (58) 를 구비한다. 둘레벽부 (49) 는 절연 하우징 (2) 의 본체부 (8) 를 외부로부터 덮는 원통상 부분이다. 검사침과의 접촉을 유지 가능하게 하기 위해, 둘레벽부 (49) 의 주위에 고리형 홈 (59) 을 형성해도 된다. 레그부 (57) 는 절연 하우징 (2) 의 연장부 (9, 10) 의 상부 (33, 34) 나 측면 (37) 을 부분적으로 덮고, 또한, 단부 (47) 에서 단차부 (45) 로 접어 구부려 고정된다. 레그부 (57) 의 중앙 부근에서 절결되어 분단되어 있다. 레그부 (58) 도 레그부 (57) 와 마찬가지로 분단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 (2) 의 연장부 (9, 10) 의 상부 (33, 34) 나 측면 (38) 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또한, 단부 (48) 에서 단차부 (46) 로 접어 구부려 고정된다. 외부 도체 (7) 는 이들 단부 (47, 48) 의 저면에서, 기판 (도시 생략) 의 그라운드 회로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이어서, 주로 도 3, 도 4 를 참조하여, 모세관 현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동 단자 (4) 의 접속부 (29) 를 기판에 납땜하였을 때, 액상화된 플럭스 등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가동부 (26) 를 향해 진입할 우려가 있다. 모세관 현상은 접속부 (29) 와 하 홈 (21) 의 면 (84)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면이나, 연결부 (28) 와 저판 (15) 측면 (83) 의 간극 (42), 및 고정부 (27) 와 저판 (15) 의 상면 (36)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면에 의해 구성되는 단면 ㄷ 자 부분 (65) (도 3 참조) 을 통 해, 가동부 (26) 를 향해 기어오른다. 플럭스 등이 가동부 (26) 에 도달하면, 가동부 (26) 의 스프링 특성에 지장이 발생하고, 또한, 가동부 (26) 와 고정 단자 (3) 의 전기적 접촉이 방해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세관 현상을 저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문제는 주로, 가동 단자 (4) 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며, 고정 단자 (3) 와의 관계에서는 그러한 문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정 단자 (3) 에서는 비록 간극 (41) 을 통해 플럭스 등이 기어올랐다고 해도, 고정부 (23) 의 하방에 공간 (70) 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한 플럭스 등은 고정부 (23) 까지는 도달하지 않기 때문이다.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 등의 기어 오름에 의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가동부 (26) 를 향해 모세관 현상을 발휘하여 유도하는 홈부 (60) 를 형성한다. 홈부 (60) 는 고정부 (27) 와 저판 (15) 상면 (36) 의 밀착면을 따라, 고정부 (27) 와 가동부 (26) 를 연결하는 방향 (도시된 화살표 「b」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동일한 형상 치수의 홈부 (60A, 60B) 를 2 개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홈부 (60) 는 도 6 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이 도 6 은 동축 커넥터 (1) 에 가동 단자 (4) 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홈부 (60) 를 형성함으로써, 플럭스 등을 홈부 (60) 를 따라 가동부 (26) 측으로 유도 (콘트롤) 할 수 있고, 이 결과, 홈부 (60) 이외의 고정부 (27) 와 저판 (15) 상면 (36) 의 밀착면에서는 모세관 현상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홈부 (60) 는 절연 하우징에 가로 구멍 (20) 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금형 (도시되어 있지 않음) 에 홈부 (60) 의 단면 형상에 대응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 는 봉상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이 봉상 부분은 금형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도움이 된다.
가동 단자 (4) 에는 홈부 (60) 가 연장되는 도시된 화살표 「b」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도시된 화살표 「c」방향) 을 따라, 홈부 (60) 와 연결된 상태에서 구멍 (61)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61) 은 도시된 화살표 「c」방향에 있어서, 홈부 (60A) 나 홈부 (60B) 의 각각의 폭「f」,「f'」나, 가동 단자 (4) 의 연결부 (28)측의 홈부 (60A) 와 홈부 (60B) 의 합계 폭「g」보다 큰 폭「h」를 갖고, 또한, 가동 단자 (4) 의 연결부 (28) 측의 홈부 (60A) 와 홈부 (60B) 의 합계 폭「g」는 홈부 (60A, 60B) 부근에 있어서의 가동 단자 (4) 의 연결부 (28) 의 폭「i」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크기로 함으로써, 홈부 (60) 에 의한 모세관 현상을 확실히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구멍 (61) 은 홈부 (60A, 60B) 각각의 종단 위치 (67) 에, 그들 홈부 (60A, 60B) 를 연결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종단 위치 (67) 에 형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점선으로 나타낸 홈부 (60') 와 같이, 도시된 화살표「b」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길게 하여, 구멍 (61) 을 그들 홈부 (60') 의 도중 위치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구멍 (61) 은 홈부 (60A) 와 홈부 (60B) 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구멍을, 홈부 (60A, 60B) 각각에 독립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멍 (61) 을 형성함으로써, 홈부 (60) 를 개방하여, 유도된 플럭스 등의 모세관 현상을 종료시키고, 플럭스나 땜납이 대량일 때에는 구멍 (61) 에 모으도록 하여, 모세관 현상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구멍 (61) 에는 홈부 (60) 와의 관계에서 T 자 형상이 되는 가동부 (26) 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 (62) 를 형성해도 된다. 연장부 (62) 를 형성함으로써, 플럭스의 개방부의 용적을 크게 함과 함께, 가동 단자 (4) 의 스프링 특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덧붙여 말하면, 연장부 (62) 를 형성함으로써, 판 폭이 변경되기 때문에, 가동부 (26) 와 고정부 (27) 의 경계 부근에서 가동 단자 (4) 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어,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에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장부 (62) 의 양측, 바꿔 말하면, 고정부 (27) 와 가동부 (26) 를 연결하는 영역 부근 (68) 은 양측에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단자 (4) 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구멍 (61) 의 상방에는 가동부 (26) 를 변위시키는 데 필요한 공간 (66) (도 3, 도 5S 참조) 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홈 (60) 을 구멍 (61) 에 의해 공간 (66) 과 연통시켜 크게 개방할 수 있고, 비록 구멍 (61) 이 플럭스 등에 의해 가득 찼다고 해도, 이 상방 공간 (66) 으로 플럭스 등을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접촉 불량을 보다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에 한정되지 않고, 가동 단자를 구비한 여러가지 타입의 커넥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홈부 (60) 를 가동 단자 (4) 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가동 단자 (4) 에 형성하는 대신에, 또는 가동 단자 (4) 와 함께, 하우징 (2) 에 동일한 홈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홈부 (60) 를 2 개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홈부 (60) 는 플럭스 등을 유도하는 데 충분한 용량을 갖고 있으면 충분하고, 예를 들어, 홈부 (60) 의 홈의 깊이 (도 5 에 나타내는 폭「j」) 를 얕게 하고, 대신에, 도시된 화살표「c」방향에 있어서의 홈부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필요한 홈의 용적을 확보하여, 홈부의 개수를 줄일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A-A 선 (중심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B-B 선 (상)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C-C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동축 커넥터에 가동 단자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
2 절연 하우징
3 고정 단자
4 가동 단자
7 외부 도체
8 본체부
9 연장부
10 연장부
11 오목부
14 중공부
15 저판
16 연통 구멍
18 가로 구멍
19 하부 홈
20 가로 구멍
21 하부 홈
22 선단
23 고정부
24 연결부
25 접속부
26 가동부
27 고정부
28 연결부
29 접속부
31 압입 돌기
32 압입 돌기
35 저면
36 상면
37, 38 측면
41, 42 간극
45, 46 단차부
47, 48 단부
59 고리형 홈
60 홈부
61 구멍 (개방부)
62 연장부
65 ㄷ 자 부분
66 공간
67 종단 위치
70 공간

Claims (12)

  1.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장착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으로 된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연속되고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밀착면을 형성하는 밀착부와,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기 밀착부와 연속되고 땜납에 의해 접속되는 접속부를 이 순서로 가지며, 상기 밀착면에 상기 가동부를 향해 연장되는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동 단자에 상기 밀착부와 상기 가동부를 연결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개방부를 상기 홈부와 연결한 상태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가동부를 향해 상기 연결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측의 상기 홈부의 폭은 상기 홈부 부근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부의 폭보다 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홈부의 종단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홈부의 도중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복수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는 상기 개방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홈의 깊이를 얕게 하여 상기 홈부의 갯수를 줄인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가동 단자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의 상방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스위치 장착 동축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단자와, 그 고정 단자와 세트로 하여 형성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20080044537A 2007-08-09 2008-05-14 기판 실장형 커넥터 KR101059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8136 2007-08-09
JP2007208136A JP4424519B2 (ja) 2007-08-09 2007-08-09 基板実装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787A true KR20090015787A (ko) 2009-02-12
KR101059409B1 KR101059409B1 (ko) 2011-08-29

Family

ID=4034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537A KR101059409B1 (ko) 2007-08-09 2008-05-14 기판 실장형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32123B2 (ko)
JP (1) JP4424519B2 (ko)
KR (1) KR101059409B1 (ko)
TW (1) TW2009084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8069A (zh) * 2011-05-11 2013-01-09 第一精工株式会社 带开关的同轴连接器
KR200471414Y1 (ko) * 2011-04-25 2014-02-19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 커넥터용 가동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5596B2 (ja) * 2009-03-31 2012-06-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EP2256874B1 (en) * 2009-05-29 2012-01-04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Miniature switch connector
TWM366202U (en) * 2009-06-03 2009-10-01 Advanced Connectek Inc Miniature RF connector
US8550859B2 (en) * 2011-10-20 2013-10-08 Andrew Llc Close proximity panel mount connectors
CN202076457U (zh) * 2010-12-20 2011-12-14 深圳市电连精密技术有限公司 改进的高频信号连接器
CN102738614A (zh) * 2011-03-29 2012-10-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及其电源管理系统
JP5979407B2 (ja) * 2012-02-23 2016-08-24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JP5497836B2 (ja) * 2012-05-11 2014-05-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5928166B2 (ja) * 2012-06-05 2016-06-01 第一精工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CN202759104U (zh) * 2012-07-18 2013-0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3915703B (zh) * 2014-03-05 2019-09-20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微型射频连接器
KR101977473B1 (ko) * 2017-07-27 2019-05-10 주식회사 기가레인 플럭스 확산이 개선된 프로브핀 및 이의 제조 방법
JP7185998B2 (ja) * 2017-08-10 2022-12-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環状の嵌合部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装置
CN107978938B (zh) * 2017-11-22 2023-01-17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同轴连接器
CN112490779A (zh) * 2018-08-10 2021-03-1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连接器以及连接器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273U (ko) * 1985-03-22 1986-09-29
JP3551770B2 (ja) * 1998-01-13 2004-08-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JP3346360B2 (ja) 1999-12-21 2002-11-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機装置
JP3473560B2 (ja) * 2000-07-21 2003-12-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及びこの同軸コネクタを備えた通信機装置
JP3446726B2 (ja) * 2000-08-11 2003-09-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動端子、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JP3881863B2 (ja) * 2001-10-18 2007-02-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N2770151Y (zh) * 2004-12-14 2006-04-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开关连接器
JP4417322B2 (ja) 2005-11-18 2010-02-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414Y1 (ko) * 2011-04-25 2014-02-19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전자기기 커넥터용 가동단자
CN102868069A (zh) * 2011-05-11 2013-01-09 第一精工株式会社 带开关的同轴连接器
KR101324446B1 (ko) * 2011-05-11 2013-10-31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08486A (en) 2009-02-16
TWI376074B (ko) 2012-11-01
JP2009043607A (ja) 2009-02-26
US7632123B2 (en) 2009-12-15
KR101059409B1 (ko) 2011-08-29
US20090042427A1 (en) 2009-02-12
JP4424519B2 (ja)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09B1 (ko) 기판 실장형 커넥터
US6783374B2 (en) Electronic component,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495399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US7452219B2 (en) Flat earth terminal and method of surface-mounting same
KR20060016726A (ko) 커넥터
US20150038002A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5352125A (en) Anti-wicking electrical connector
KR100592622B1 (ko) 접지 컨택에 의해 잡음의 발생이 억제된 커넥터
JP6597881B2 (ja) 半導体装置、金属電極部材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10014548A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6575829B (zh) 电缆连接器
KR100311272B1 (ko) 전자기기
JP2005216695A (ja) 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回路基板
CN115864029A (zh) 固定连接器以及具备其的连接器组件
KR102444784B1 (ko) 결합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96373B1 (ko) 고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WO2021145208A1 (ja) スイッチコネクタ
CN220553616U (zh) 电连接端子和电连接装置
CA2361452A1 (en) Hf coaxial angled plug connector part
KR200425715Y1 (ko) 커넥터용 핀터미널
KR100919945B1 (ko) 커넥터
JP2005323441A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とバスバーと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KR101589056B1 (ko) 인쇄 회로기판용 커넥터
JP2016096253A (ja) 基板及び電子回路装置
KR19980020318U (ko)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