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715Y1 - 커넥터용 핀터미널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핀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715Y1
KR200425715Y1 KR2020060016894U KR20060016894U KR200425715Y1 KR 200425715 Y1 KR200425715 Y1 KR 200425715Y1 KR 2020060016894 U KR2020060016894 U KR 2020060016894U KR 20060016894 U KR20060016894 U KR 20060016894U KR 200425715 Y1 KR200425715 Y1 KR 200425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terminal
connector
housing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덕
석상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6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7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용 핀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핀터미널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기둥형상이고, 네 측면의 길이방향 중심부분이 가장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핀터미널(20)이 하우징(11) 내부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버어(burr)의 발생이 줄어들어, 커넥터의 생산시 불량율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핀터미널, 버어

Description

커넥터용 핀터미널{Pin terminal for connector}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에서 핀터미널이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핀터미널의 삽입시 버어가 발생한 커넥터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용 핀터미널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핀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핀터미널이 장착된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이 장착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이 하우징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 11: 하우징
12: 관통공 20: 핀터미널
22: 돌기부
본 고안은 핀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커넥터용 핀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에서 핀터미널이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핀터미널의 삽입시 버어가 발생한 커넥터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핀터미널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은 절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핀터미널(4)이 관통하는 다수개의 장방형의 관통공(3)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핀터미널(4)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핀터미널(4)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을 압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터미널(4)은 상기 관통공(3)에 대응되는 장방형의 단면을 갖는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터미널(4)에는 그 일단에 삽입단(4a)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핀터미널(4)은 상기 삽입단(4a)부터 상기 관통공(3)에 압입되어 상기 하우징(2)에 설치된다. 그리고, 압입된 후에는 상기 삽입단(4a)을 직교하게 절곡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핀터미널(4)은 삽입단(4a)을 상기 하우징(2)의 관통공(3)에 압입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핀터미널(4)의 단면이 장방형이므로 네 곳의 각진 모서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터미널(4)을 상기 관통공(3)에 압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핀터미널(4)의 모서리와 상기 관통공(3) 사이의 마찰로 인해, 상기 관통공(3)의 양단에서 미세한 버어(burr)(B)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핀터미널(4)이 상기 관통공(3)에 압입될 때, 상기 핀터미널(4)의 표면에 미세한 흠집이 발생함과 동시에 버어가 발생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2)에 유리(glass)재질이 함유된 경우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의 강도가 큰 경우에는 더욱 버어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버어는 작동중에 전기적 쇼트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에 압입하는 과정에서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 핀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기둥형상이고, 네 측면의 길이방향 중심부분이 가장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핀터미널은 금속재질을 압출성형하여 형성되고, 상기 핀터미널의 적어 도 일측면에는 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핀터미널의 양단은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은 하우징 내부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버어의 발생이 방지되어, 작동중에 전기적 쇼트발생이 줄어들어, 커넥터의 생산시 불량율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핀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핀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핀터미널이 장착된 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이 장착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0)의 외관을 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1)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은 일반적으로 그 내부에 설치되는 핀터미널(20)의 갯수만큼 형성된다. 이때,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관통공(12)의 입구에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함몰부(12')가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핀터미널(20)이 상기 관통공(12)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에는 삽입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4)은 상대 커넥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빈 공간으로서,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어 핀터미 널(20)과 결합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2)과 인접하여 절곡턱(16)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턱(16)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핀터미널(20)이 상기 관통공(12)을 관통한 후에 직교하게 절곡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공(12)에는 핀터미널(20)이 삽입된다. 상기 핀터미널(2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금속을 압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핀터미널(20)은 사각기둥형상으로, 그 일단에는 삽입단(20a)이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핀터미널(20)이 상기 관통공(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삽입단(20a)은 상기 핀터미널(20)이 상기 관통공(12)에 압입된 후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기판(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핀터미널(20)의 타단에는 결합단(20b)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20b)은 상기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삽입홈(1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결합단(20b)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단(20b) 역시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터미널(20)의 단면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특히 네 측면은 길이방향 중심부분이 가장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핀터미널(20)의 횡단면은 각변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운드진 각 변은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곡률반경은 적어도 2.0mm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핀터미널(20)이 상기 관통공(12)에 압입될 때, 관통공(12)과의 마찰로 인해 버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핀터미널(20)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관통공(12)에 압입될 때 상기 핀터미널(20)의 모서리가 아닌 만곡점(r)과 상기 관통공(12)의 내벽이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핀터미널(20)과 상기 관통공(12)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져 버어발생이 줄어들게 한다.
상기 핀터미널(20)의 일측면 혹은 양측면에는 돌기부(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22)는 상기 핀터미널(20)이 상기 관통공(12)에 압입되었을 때, 상기 관통공(12)에 묻힐 수 있는 위치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돌기부(22)는 상기 핀터미널(20)이 상기 하우징(11)에 압입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상기 핀터미널(2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핀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핀터미널(20)이 하우징(11)에 설치되는 모습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이에 따르면, 우선 상기 핀터미널(20)의 삽입단(20a)을 상기 함몰부(12')를 통해 상기 관통공(12) 안으로 압입한다. 이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22)가 상기 관통공(12) 내부에 뭍힐 수 있는 깊이로 상기 핀터미널(20)을 밀어 넣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삽입단(20a)은 상기 관통공(12)을 관통하여 하우징(11)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결합단(20b)은 상기 삽입홈(14)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핀터미널(20)을 상기 관통공(12)에 압입하는 과정에서 버어가 발생할 수 있다. 아래 표는 총 100회의 실험을 통해 종래기술에 의한 핀터미널(20)과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20)의 버어 발생횟수를 관통공(12)의 크기를 달리하며 실험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핀터미널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
관통공의 크기(mm) 0.56 0.6 0.62 0.56 0.6 0.62
버어 발생횟수 76 28 14 12 10 9
위 표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20)의 경우에는 관통공(12)의 크기에 관계없이 버어 발생횟수가 적어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단자유지력, 즉 하우징에 장착된 핀터미널(20)이 인장될 경우 하우징(11)으로부터 빠져 나올때의 하중은 관통공(12)의 크기가 작을수록 커진다. 본 고안에서는 관통공(12)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버어 발생횟수가 큰 차이 없이 적게 유지되므로, 높은 단자유지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큰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단(20a)을 상기 핀터미널(20)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게 절곡한다. 이때, 상기 핀터미널(20)을 상기 절곡턱(16)에 밀착하여 절곡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핀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핀터미널의 단면은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특히 각면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터미널이 하우징에 압입되는 경우에, 핀터미널의 각진 모서리부분이 아닌 만곡점이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벽과 마찰을 일으키므로 버어발생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핀터미널을 하우징에 압입하는 경우에 버어발생율이 크게 낮아져, 커넥터에서 전기적 쇼트의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생산시에 불량율이 줄어들고 제품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기둥형상이고, 네 측면은 길이방향 중심부분이 가장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핀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터미널의 횡단면은 각변이 2.0mm이상의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라운드된 사각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핀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터미널은 금속재질을 압출성형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핀터미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터미널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핀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터미널의 양단은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핀터미널.
KR2020060016894U 2006-06-22 2006-06-22 커넥터용 핀터미널 KR200425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94U KR200425715Y1 (ko) 2006-06-22 2006-06-22 커넥터용 핀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94U KR200425715Y1 (ko) 2006-06-22 2006-06-22 커넥터용 핀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715Y1 true KR200425715Y1 (ko) 2006-09-06

Family

ID=4177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894U KR200425715Y1 (ko) 2006-06-22 2006-06-22 커넥터용 핀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7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308A (ko) 2016-11-16 2018-05-25 명보 주식회사 핀 터미널 삽입고정 테스트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308A (ko) 2016-11-16 2018-05-25 명보 주식회사 핀 터미널 삽입고정 테스트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7677B2 (ja) 電気コネクタ
US9300064B2 (en) Connector
US7172434B2 (en)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capable of resisting repetition of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JP3041676B2 (ja) 改良された端子保持機構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7540764B2 (en) Connector
US7922499B2 (en) Electrical terminal
US20060035535A1 (en) Compliant pin and electrical connector utilizing compliant pin
US7179095B1 (en) Matrix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US6863559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5203029B2 (ja) 電気コネクタ
US798508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uxiliary hold-down arrangement
US20070167037A1 (en) Electric sub-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pin for pressing into an opening of a printed circuit board
JP5053062B2 (ja) コネクタ
KR200425715Y1 (ko) 커넥터용 핀터미널
US20020123268A1 (en) Horizontal electric connector
JP2009158327A (ja) コネクタ
US20080214050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938652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KR20060106837A (ko) 표면장착 헤더 조립체
US633863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CN113394593A (zh) 加强构件、卡缘连接器、电路板组件和绝缘本体
JP3930427B2 (ja) 電気コネクタ
CN212392415U (zh) 加强构件、卡缘连接器、电路板组件和绝缘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