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318U -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 Google Patents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318U
KR19980020318U KR2019960033536U KR19960033536U KR19980020318U KR 19980020318 U KR19980020318 U KR 19980020318U KR 2019960033536 U KR2019960033536 U KR 2019960033536U KR 19960033536 U KR19960033536 U KR 19960033536U KR 19980020318 U KR19980020318 U KR 199800203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terminal plate
deflection yoke
attenuation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0150Y1 (ko
Inventor
김익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33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0150Y1/ko
Publication of KR19980020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3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0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0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temperature effect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운관 편향 요크에서 불요 복사되는 누설 자계를 감쇄시키기 위한 감쇄코일-보빈과 단자판 및 편향요크 홀더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쇄코일 결합 구조에서는 편향 요크 공정에서 단자판에 모두 결선되는 2가닥의 인출선으로 인하여 단자에 결선 및 결선후 잔여분의 코일을 절단해야 하는 작업 공정수의 증가와, 이로 인한 작업 능률의 저하가 초래되었고, 각각의 인출선마다 내압발생방지 및 절연을 위하여 절연튜브를 삽입해야 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쇄코일 보빈에 핀과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이 감쇄코일 보빈을 단자판에 일체화하고, 또 코넥터를 상기 감쇄코일 보빈에 핀결합하여 회로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수의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제 1 도는 종래의 편향 요크에서 불요복사 감쇄코일의 조립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수평 코일과 감쇄코일의 회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 4 도는 (가),(나)는 본 고안의 감쇄코일 보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감쇄코일 코넥타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 1 감쇄코일 보빈과 단자판 편향 요크의 결합 구성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제 2 감쇄코일 보빈과 편향 요크의 결합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31'; 감쇄코일32,32'; 감쇄코일 보빈
33; 단자판34; 코넥터
35; 홀더32b1,32b2,32b3,32'b1,32'b2; 핀
33a1,33a2,33a3; 핀구멍33b1,33b2,33b3; 납땜부
본 고안은 브라운관 편향 요크에서 불요 복사되는 누설 자계를 감쇄시키기 위한 감쇄코일-보빈과 단자판 및 편향 요크 홀더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쇄코일(1)이 권선된 감쇄코일 보빈(2)에서 동선( 3a1)을 절연튜브(3a2)로 감싼 구조의 인출선(3a)(3b)(3c)을 인출하여, 상기 인출선(3a)(3c)을 단자판(4)에 연결하고 또 인출선(3b)을 감쇄코일-보빈 사이에 연결하여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코일과 전기적으로 결선되도록 함으로써, 편향 요크에서 발생되는 누설자계와 반대 방향으로 자계가 형성되도록 하여(제 1 도에서 실선 화살표는 누설 자계이고, 점선 화살표는 감쇄자계이다), 두 자계가 서로 상쇄되는 효과로 인체에 유해한 누설 자계를 감쇄시켰다.
이때, 각각 분리된 두개의 감쇄코일-보빈의 인출선(3a)(3c) 2개소를 제 2 도 편향 요크의 회로 구성 단자판(4)에 결선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감쇄코일 결합 구조에서는 편향 요크 공정에서 단자판(4)에 모두 결선되는 2가닥의 인출선으로 인하여 단자에 결선 및 결선후 잔여분의 코일을 절단해야 하는 작업 공정수의 증가와, 이로 인한 작업 능률의 저하가 초래되었고, 각각의 인출선마다 내압발생방지 및 절연을 위하여 절연튜브를 삽입해야 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쇄코일 보빈에 핀과 결합구조를 형성하여 이 감쇄코일 보빈을 단자판에 일체화하고, 또 코넥터를 상기 감쇄코일 보빈에 핀결합하여 회로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수의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 제 3도에 도시하였다.
제 1 감쇄코일(31)이 권선된 제 1 감쇄코일 보빈(32)과 단자판(33)을 일체로 하고, 또 커넥터(34)를 편향요크 홀더(35)에 장착하여 그 일단은 제 1 감쇄코일(31)에 연결함과 함께 상기 제 1 감쇄코일(31)이 권선된 보빈(32) 및 단자판(33)을 조립하고, 제 2 감쇄코일(31')이 권선된 제 2 감쇄코일 보빈(32')을 편향요크 홀더(35)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커넥터(34)의 타단을 제 2 감쇄코일(32')에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제 1 감쇄코일 보빈(32)의 상세한 구성을 도면 제 4 도의 (가)에 도시하였다.
제 4 도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감쇄코일 보빈(32)에는 회로기판-단자판(33)과 감쇄코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돌기(32a)와, 제 1 감쇄코일(31)을 단자판(33)에 연결하기 위하여 동선(31a)이 연결된 접속핀(32b1,32b2,32b3)과, 감쇄코일(31)이 단자판(33)에 고정되게 하는 훅크(32c)와, 감쇄코일(31)이 편향요크 홀더(35)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돌기(32d)를 구비한다.
상기의 제 2 감쇄코일 보빈(32')의 상세한 구성을 제 4 도의 (나)에 도시하였다.
제 4 도는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감쇄코일 보빈(32')에는 회로기판-단자판(33)과 감쇄코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돌기(32'a)와, 제 2 감쇄코일(31')을 단자판(33)에 연결하기 위하여 동선(31'a)이 연결된 접속핀(32'b1,32'b2)과, 감쇄코일(31')이 고정되기 위한 훅크(32c)와, 감쇄코일(31')이 편향요크 홀더(35)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돌기(32'd)를 구비한다.
도면 제 5 도는 상기 코넥터(34)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양단에 각각 상기의 접속핀(32b1,32b2,32b3)(32'b1,32'b2)과 각각 접속되는 잭/플러그(34a)(34b)가 형성되며, 이 구조는 커넥터(34)는 제 1 감쇄코일(31)로부터 제 2 감쇄코일(31')로 배선되는 것 1개와, 제 2 감쇄코일(31')로부터 단자판(33)으로 배선되는 것 1개 등 총 2개가 구비된다.
도면 제 6 도는 상기의 제 1 감쇄코일(31)과 그 보빈(32)을 단자판(33)에 일체로 조립하고 또 이 것에 코넥터(34)를 연결하는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판(33)에는 상기 제 2 도의 회로가 이루어질 수 있는 PCB패턴(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접속핀(32b)이 관통하는 핀구멍(33a1,33a2,33a3)이 형성됨과 함께 이 핀구멍 주변에는 접속핀(32b1,32b2,32b3)을 납땜하기 위한 납땜부(33b1,33b2,33b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판(33)에는 상기 제 1 감쇄코일 보빈(32)의 고정돌기(32d)가 통과하여 이 고정돌기(32d)가 홀더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구멍(33d)도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홀더(35)에는 홈(35a)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35a)속에 상기 코넥터(34)가 삽입되어 배선처리되며, 코넥터(34)의 잭/플러그(34a)가 장착될 수 있는 코넥터 취부구(35b)도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 감쇄코일 보빈(32)의 접속핀(32b1,32b2,32b3)을 핀구멍(33a1,33a2,33a3)을 관통시켜 접속핀(32b2) 선단을 상기 코넥터(34)의 잭/플러그(34a)에 꼽아넣고 또 이 잭/플러그(34a)를 취부구(35b)에 취부하면, 제 1 감쇄코일(31)이 접속핀과 납땜부를 통해 단자판(33)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접속핀이 잭/플러그(34a)에 접속되어 코넥터(34)와도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 감쇄코일 보빈(32)의 고정돌기(32d)가 단자판 구멍(33d)을 통해 홀더(35)에 고정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코넥터(34)의 일단 잭/플러그(34a)는 취부구(35b)에 취부되어 요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훅크(32c)가 단자판(33)의 가장자리(33c)에 걸려서 조립됨으로써 감쇄코일과 단자판은 일체화되고, 이때 간격 유지돌기(32a)에 의해서 보빈(32)-코일(31)과 단자판(33) 사이의 간격이 적당하게 유지된다.
위와 같이 제 1 감쇄코일 보빈(32)과 코일(31)을 연결하고,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감쇄코일(31')과 그 보빈(32')을 상기 코넥터(34) 타단의 잭/플러그(34b)에 접속함과 함께 홀더(35)에 고정하는데, 그 고정 방법과 구조는 상기 제 6도에서와 유사하다.
즉, 제 2 감쇄코일 보빈(32')도 고정돌기(32'd)를 이용해서 홀더(35)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코넥터(34)의 잭/플러그(34b)가 고정되는 취부구(35c)가 홀더(35)에 구비됨으로써, 이 잭/플러그(34b)에 접속핀(32'b2)을 꼽아넣고 취부구(35c)에 고정함으로써, 전기적인 회로 연결과 고정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 1 감쇄코일(31)로부터 제 2 감쇄코일(31')로 코넥터(34)를 이용한 연결이 완성되는데, 이것은 종래의 제 1 도에서 인출선(3b)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인출선(3c)에 해당되는 또다른 코넥터(도시 생략)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과 구조에 의해서 더 연결함은 자명하다.
즉, 홀더(35)의 홈(35a)과 같은 구조의 홈이 상기 홀더의 다른쪽 가장자리에도 형성되고, 이곳에 상기 코넥터(34)와 동일한 구조의 제 2 의 코넥터가 삽입되어 제 2 감쇄코일 보빈(32')으로부터 상기 제 1 감쇄코일 보빈(32)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경우에 제 2 도의 회로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살펴보면, 수평코일의 한쪽 끝단에 연결되는 PCB 패턴을 가지는 단자판(33)의 납땜부(33b2)에 고정된 접속핀(32b2)→접속핀(32b2)에 접속된 잭/홀더(34a)→코넥터(34)→잭/홀더(34b)→접속핀(32'b2)→동선(31'a)→제 2 감쇄코일(31')→동선(31'a)→접속핀(32'b2)→도시 생략된 상기의 제 2의 코넥터→납땜부(33b3)에 고정된 접속핀(32b3)/동선(31a)→제 1 감쇄코일(31)→동선(31a)/접속핀(32b1)→납땝부(33b1)/단자판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회로 구성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감쇄코일은 편향 요크에서 발생되는 저주판 누설자계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감쇄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것에 의해서 인체에 유해한 누설 자계를 감쇄시켜 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에 의하면, 단자판 일체형이고 또 코넥터를 이용한 배선 처리가 완결되므로, 작업이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편향 요크의 불요 복사되는 누설 자계를 상쇄시키 위하여 수평 코일과 반대 방향의 자계를 발생하도록 권선되고 또 이것이 권선된 보빈을 홀더에 장착하여 단자판에 배선하는 감쇄코일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의 감쇄코일이 권선된 보빈에 다수의 접속핀과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단자판에는 상기 접속핀과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감쇄코일이 단자판에 일체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감쇄코일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감쇄코일을 상기 접속핀들에 결합되는 코넥터를 이용해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코넥터는 양단에 잭과 플러그 구조를 가지며, 이 코넥터가 장착되는 홈을 홀더에 형성하여 배선됨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KR2019960033536U 1996-10-11 1996-10-11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KR200160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36U KR200160150Y1 (ko) 1996-10-11 1996-10-11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36U KR200160150Y1 (ko) 1996-10-11 1996-10-11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318U true KR19980020318U (ko) 1998-07-15
KR200160150Y1 KR200160150Y1 (ko) 1999-11-01

Family

ID=1946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536U KR200160150Y1 (ko) 1996-10-11 1996-10-11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01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119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음극선관 전면에서 방사되는 전자기장 상쇄장치
KR20020040372A (ko) * 2000-11-24 2002-05-30 이형도 편향요크
KR20030010831A (ko) * 2001-07-27 200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119A (ko) * 1997-06-30 1999-01-25 김영환 음극선관 전면에서 방사되는 전자기장 상쇄장치
KR20020040372A (ko) * 2000-11-24 2002-05-30 이형도 편향요크
KR20030010831A (ko) * 2001-07-27 200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0150Y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100B1 (ko) 리졸버의고정자구조체
US4661792A (en) Apparatus for mounting printed circuit boards
KR20170124463A (ko) 전자유도기 및 전자유도기의 제조 방법
KR200160150Y1 (ko) 브라운관 편향 요크의 단자판 일체형 감쇄코일 구조
JP2002272050A (ja) レゾルバステータ構造
US5778086A (en)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terminal
US5742218A (en) Flyback transformer
US4912448A (en) Coil device with coil and lead terminals
JP3454577B2 (ja) トランス
JPH118131A (ja) トランスの配線構造
JP3042811B2 (ja) 極細同軸線の端子付け固定方法及び端子付け固定用部材
JP2000077035A (ja) 表示灯用電球
KR10059182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200190794Y1 (ko) 전동기의 결선용 기판
KR100217313B1 (ko) 진공청소기용 전동기의 결선구조
JP2727922B2 (ja) 高電圧発生装置
JP3126971B1 (ja) 抵抗素子付きcrtソケット
JPH0629125A (ja) 電磁機器
JP3648362B2 (ja) 多連式電子複合部品
KR20210076703A (ko) 코일단연결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기
KR19990019458A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유니트 케이블 컨넥터
JP3574713B2 (ja) 多連式コイル
KR960004555Y1 (ko) 편향요크의 단자판 홀 구조
KR20014578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JPS633148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