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399B1 -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5399B1 KR101495399B1 KR20120014200A KR20120014200A KR101495399B1 KR 101495399 B1 KR101495399 B1 KR 101495399B1 KR 20120014200 A KR20120014200 A KR 20120014200A KR 20120014200 A KR20120014200 A KR 20120014200A KR 101495399 B1 KR101495399 B1 KR 1014953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s
- contact
- row
- ground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7—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contact of the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복수 쌍의 신호 접촉자, 복수의 접지 접촉자 및 신호 접촉자와 접지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차동 신호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 상대와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는 고정된 피치의 접촉자 어레이가 형성되도록 각 쌍의 신호 접촉자의 양측에 배치된다. 한편,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는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열에 배치되고, 제 1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는 제 1 열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2 열과 제 3 열에 배당되도록 배치되어서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는 제 2 연결면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1 년 2 월 23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1-037321 호, 2011 년 10 월 11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1-224075 호, 2011 년 10 월 11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1-224098 호 및, 2011 년 10 월 11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1-224139 호를 기반으로 하고 우선권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 내용은 전부 본원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차동 신호쌍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선 연결에 사용하기 위한 커넥터 (이하 "차동 신호 커넥터" 라고 함) 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을 형성하는 2 개의 신호선에서 반대 위상을 가지는 신호로 이루어진 차동 신호쌍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차동 전송 시스템은 알려져 있다. 차동 전송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게 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므로, 이것은 최근에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자와 액정 디스플레이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하기 위한 차동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 소자와 액정 디스플레이 각각은 디스플레이 포트 규격에 따라 구성된 디스플레이 포트 커넥터를 구비한다. 이 디스플레이 포트 규격으로서, VESA 디스플레이 포트 규격 버전 1.0 또는 그 버전 1.1a 가 알려져 있다.
이 디스플레이 포트 커넥터는 일종의 차동 신호 커넥터이고 연결 상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면 및, 소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면을 가진다. 제 1 연결면의 구성은 연결 상대와의 관련 면에서 디스플레이 포트 규격에 의해 엄격하게 한정되고 제 2 연결면의 구성은 비교적 자유롭다. 이런 형태의 차동 신호 커넥터는 특허 문헌 1 (JP-A-2008-41656) 에 개시된다.
도 1a 및 도 1b 는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것과 다르지만 구성은 유사한 종래의 차동 신호 커넥터에 포함된 접촉자 조립체 (1) 를 도시한다. 접촉자 조립체 (1) 는 복수 쌍의 신호 접촉자 (2), 복수의 접지 접촉자 (3) 및, 신호 접촉자 (2) 와 접지 접촉자 (3) 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 (4) 을 포함한다. 연결 상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 (3) 는 고정된 피치의 접촉자 어레이가 형성되도록 각 쌍의 신호 접촉자 (2) 의 양측에 배치된다. 한편,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면에서, 신호 접촉자 (2) 와 접지 접촉자 (3) 가 2 열로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신호 접촉자 (2) 와 접지 접촉자 (3) 는 접촉자 어레이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도 2 는, 도 1a 및 도 1b 의 접촉자 조립체 (1) 를 포함하는 차동 신호 커넥터를 그 위에 장착하기 위한 기판 (5) 을 도시한다. 이 기판 (5) 은 복수의 관통홀 (6) 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관통홀 (6) 은 제 2 연결면에서 신호 접촉자 (2) 및 접지 접촉자 (3) 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2 열로 지그재그 배치된다.
차동 신호 커넥터가 기판 (5) 에 장착되었을 때, 신호 접촉자 (2) 및 접지 접촉자 (3) 는 각각 관통홀 (6) 안으로 삽입된다. 각각 도우넛 형상의 도체 패턴 형태인 랜드 (land) (7) 는 관통홀 (6) 의 개구부 주위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배선 패턴 (8) 은 신호 접촉자 (2) 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관통홀 (6) 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랜드 (7) 로부터만 기판 (5) 을 따라 평행하게 그려진다. 따라서, 각각의 신호 접촉자 (2) 는 관통홀 (6) 및 랜드 (7) 를 통하여 배선 패턴 (8) 에 연결된다.
전술한 차동 신호 커넥터에서, 제 2 연결면에 신호 접촉자와 접지 접촉자를 2 열로 지그재그로 배치하는 자체가 커넥터의 크기를 용이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커넥터의 크기가 실제로 이런 식으로 감소된다면, 한 쌍을 이루는 차동 신호 접촉자 사이의 길이 차이 발생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도 3 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쌍의 신호 접촉자와 복수의 접지 접촉자는 전체적으로 단일 도체 플레이트를 펀칭한 후 절곡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제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접촉자의 선단부가 절곡된 상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접촉자의 절곡 횟수가 두 번으로 설정된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상식적인 것이다. 그러나, 접촉자의 선단부를 절곡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도록, 도 3 에 도시된 접촉자의 전개된 상태에서 잘 알 수 있듯이 한 쌍을 이루는 차동 신호 접촉자 사이에 길이 차이가 발생한다. 이런 길이 차이는 차동 신호 커넥터에서 차동 신호쌍 사이에 전파 시간 차이 (스큐) 를 야기한다.
또한, 이런 길이 차이 때문에, 제 2 연결면에서, 즉 기판에서, 한 쌍을 이루는 차동 신호 접촉자가 2 열로 분리되고, 즉 동일 열로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이러한 한 쌍의 차동 신호 접촉자의 양측에 배치된 접지 접촉자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에, 다른 열로 형성된 랜드로부터 그려진 다른 길이를 가지는 배선 패턴을 도시한 도 2 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러한 한 쌍의 차동 신호 접촉자에 연결된 한 쌍의 배선 패턴 사이에 길이 차이가 발생한다. 한 쌍의 배선 패턴 사이의 이런 길이 차이는 또한 차동 신호쌍 사이에 스큐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목적은 크기가 작고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세한 설명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양태에 따르면, 복수 쌍의 신호 접촉자, 복수의 접지 접촉자 및, 신호 접촉자와 접지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차동 신호 커넥터는 연결 상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면 및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면을 가지고, 제 1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는 고정된 피치의 접촉자 어레이가 형성되도록 각 쌍의 신호 접촉자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 2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는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열에 배치되고, 제 1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는 제 2 열과 제 3 열에 할당되도록 배치되는데 제 2 열과 제 3 열은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가 제 2 연결면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되도록 제 1 열의 양측에 위치되는, 차동 신호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일 평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리드, 제 1 리드 사이에서 쌍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 2 리드, 일 단부측에서 제 1 리드와 제 2 리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쌍을 이룬 제 2 리드의 피치는 일 단부측에서보다 타 단부측에서 더 크게 형성되며, 각각의 제 1 리드는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직선부, 제 2 리드로부터 떨어지도록 제 1 직선부로부터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 1 오프셋부 및, 제 1 직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오프셋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직선부를 가지는, 커넥터의 접촉자 그룹을 형성하기 위한 중간 부재로서 리드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리드 프레임을 중간 부재로서 사용하는 접촉자 그룹을 포함하고,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는 각각 제 1 절곡 의도부와 제 2 절곡 의도부에서 평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추가 절곡 의도부에서 평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며, 연결부는 제 1 리드 및 제 2 리드로부터 절개되는 차동 신호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접지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 사이에 각각 쌍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신호 접촉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접지 접촉자의 일 단부와 각각의 신호 접촉자의 일 단부는 커넥터의 제 1 연결면에서 일 평면에서 인접하여 배치되고, 접지 접촉자와 신호 접촉자는 단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후 서로 오프셋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며, 커넥터의 제 2 연결면에서, 인접한 접지 접촉자의 타 단부는 사다리꼴 장변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각 쌍을 형성하는 신호 접촉자의 타 단부는 사다리꼴 단변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각 쌍을 형성하는 신호 접촉자의 타 단부 사이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양쪽 신호 접촉자는 타 단부 근처에서 서로 떨어지게 외향 절곡되고, 각각의 접지 접촉자는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과 그 타 단부 사이에 오프셋부를 가지는 차동 신호 커넥터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 는 종래의 차동 신호 커넥터에 포함된 접촉자 조립체를 도시하는데, 도 1a 는 사시도이고 도 1b 는 저면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차동 신호 커넥터를 위에 장착하기 위한 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도 1a 및 도 1b 의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신호 접촉자와 접지 접촉자의 제조시 접촉자 (캐리어를 가지는 리드 프레임) 전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신호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도 4a 는 정면도, 도 4b 는 우측면도, 도 4c 는 저면도이고, 도 4d 는 도 4a 의 Id - Id 선을 따라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 는 도 4a 내지 도 4d 의 차동 신호 커넥터에 포함된 하부 접촉자 조립체를 도시하는데, 도 5a 는 사시도, 도 5b 는 우측면도, 도 5c 는 배면도이고, 도 5d 는 저면도이다.
도 6 은 도 5a 내지 도 5d 의 하부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신호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부재로부터 캐리어를 잘라냄으로써 얻어진 리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도 4a 내지 도 4d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제 1 변형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한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 는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제조에서 하나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4 는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내부 구성요소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4a 내지 도 4d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제 2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내부 구성요소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상부 접촉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상부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7 의 상부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하부 접촉자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하부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사용되는 리드 프레임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3 은 도 21 의 접촉자 그룹의 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신호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4 의 주요부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4 및 도 2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사시도이다.
도 27 은 도 26 의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사용되는 리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28 은 도 27 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29 는 도 26 의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사용되는 리드 프레임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30 은 도 29 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차동 신호 커넥터를 위에 장착하기 위한 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도 1a 및 도 1b 의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신호 접촉자와 접지 접촉자의 제조시 접촉자 (캐리어를 가지는 리드 프레임) 전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신호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도 4a 는 정면도, 도 4b 는 우측면도, 도 4c 는 저면도이고, 도 4d 는 도 4a 의 Id - Id 선을 따라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 는 도 4a 내지 도 4d 의 차동 신호 커넥터에 포함된 하부 접촉자 조립체를 도시하는데, 도 5a 는 사시도, 도 5b 는 우측면도, 도 5c 는 배면도이고, 도 5d 는 저면도이다.
도 6 은 도 5a 내지 도 5d 의 하부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신호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부재로부터 캐리어를 잘라냄으로써 얻어진 리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9 는 도 4a 내지 도 4d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제 1 변형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한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 는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제조에서 하나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4 는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내부 구성요소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4a 내지 도 4d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제 2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내부 구성요소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상부 접촉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상부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도 17 의 상부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하부 접촉자 조립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20 의 하부 접촉자 조립체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 는 도 21 의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사용되는 리드 프레임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3 은 도 21 의 접촉자 그룹의 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신호 커넥터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24 의 주요부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26 은 도 24 및 도 2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사시도이다.
도 27 은 도 26 의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사용되는 리드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28 은 도 27 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29 는 도 26 의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사용되는 리드 프레임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30 은 도 29 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도 8 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동 신호 커넥터 (10) 가 설명될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차동 신호 커넥터 (10) 가 인쇄 기판 (11) 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차동 신호 커넥터 (10) 는 상하 2 열로 접촉자를 가지는 인쇄 기판 장착식 20-핀 커넥터이고 사용될 때 인쇄 기판 (11) 에 장착된다. 차동 신호 커넥터 (10) 의 연결 상대로서 역할을 하는 상대측 커넥터 (미도시) 에 연결하기 위한 전방측은 제 1 연결면으로 불리고, 인쇄 기판 (11) 에 연결하기 위한 바닥측은 제 2 연결면으로 불린다. 제 1 연결면에서, 끼움 돌기 (12) 는 상대측 커넥터에 끼우기 위해 구비된다. 끼움 돌기 (12) 는 커넥터 끼움 평면에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제 2 연결면은 이후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인쇄 기판 (11) 은 다층 기판이다. 인쇄 기판 (11) 은 인쇄 기판 (11) 의 하부면 (11a) 을 도시하는 도 4c 에서 볼 수 있듯이 다수의 관통홀 (13) 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각각 도우넛 형상의 도체 패턴 형태인 랜드 (14) 는 관통홀 (13) 의 개구부 주위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배선 패턴 (15) 은 일부 랜드 (14) 로부터 기판 (11) 을 따라 평행하게 그려진다. 관통홀 (13) 의 위치 및 역할은 이후 분명히 설명될 것이다.
차동 신호 커넥터 (10) 는,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및, 전체적으로 상부 및 하부 접촉자 조립체 (16, 17) 를 둘러싸는 전도성 커넥터 쉘 (shell) (18) 을 포함한다.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는, 본원에서 추가 접촉자로 불리는 다수의 전도성 상부 접촉자 (19) 및 상부 접촉자 (19) 를 유지하는 절연 상부 하우징 (21) 을 포함한다. 상부 접촉자 (19) 는 끼움 돌기 (12) 의 상부에 배치된 선단부를 가지고, 후방으로 연장된 후, 상부 접촉자 (19) 의 하단부가 SMT 구조체에서 인쇄 기판 (11) 의 상부면 (미도시) 상의 배선 패턴에 납땜되도록 직각으로 하향 절곡된다. 커넥터 쉘 (18) 은 인쇄 기판 (11) 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2 쌍의 고정 레그 (18a, 18b) 를 가진다. 고정 레그 (18a, 18b) 와 인쇄 기판 (11) 의 맞물림에 의해, 차동 신호 커넥터 (10) 는 인쇄 기판 (11) 에 단단히 고정된다.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는 이후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도 4a 내지 도 4d 와 더불어 도 5a 내지 도 5d 를 참고로,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가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는 3 쌍의 전도성 신호 접촉자 (22), 4 개의 전도성 접지 접촉자 (23) 및, 신호 접촉자 (22) 와 접지 접촉자 (23) 를 유지하는 절연 하부 하우징 (24) 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 (24) 의 제 1 연결면에, 고정된 피치 (바람직하게 소형화된 디스플레이 포트 커넥터에서 0.7mm 이하) 의 접촉자 어레이가 형성되는데, 이 접촉자 어레이는 접지 접촉자 (23) 가 각 쌍의 신호 접촉자 (22) 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방향 (A1) 으로 연장된다.
모든 신호 접촉자 (22) 와 접지 접촉자 (23) 는 하부 하우징 (24) 을 통과하도록 제 1 방향 (A1) 과 직각을 이루는 제 2 방향 (A2) 으로 후방으로 연장된 후 제 1 방향 (A1) 및 제 2 방향 (A2) 과 직각을 이루는 제 3 방향 (A3) 으로 하향 연장되도록 하부 하우징 (24) 의 반대측에서 직각으로 절곡된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신호 접촉자 (22) 와 접지 접촉자 (23) 는 통틀어 하부 접촉자 (25) 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d 에서 알 수 있듯이, 차동 신호 접촉자 (10) 의 제 1 연결면에서, 하부 접촉자 (25) 는 상부 접촉자로부터 떨어져 상부 접촉자 (19) 를 마주보도록 끼움 돌기 (12) 의 하부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상대측 커넥터가 끼움 돌기 (12) 에 끼워졌을 때 상부 접촉자 (19) 및 하부 접촉자 (25) 와 접촉하게 되어서, 상대측 커넥터는 차동 신호 커넥터 (10) 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각 하부 접촉자 (25) 의 상대측 커넥터와 접촉하는 부분은 커넥터 접촉부로 불린다.
반면에, 차동 신호 커넥터 (10) 의 제 2 연결면에서, 하부 접촉자 (25) 는 각각 인쇄 기판 (11) 의 관통홀 (13) 로 삽입되고 인쇄 기판 (11) 의 하부면 (11a) 에 납땜함으로써 랜드 (14) 에 각각 연결된다. 하부 접촉자 (25) 는 인쇄 기판 (11) 의 하부면 (11a) 에 납땜되므로, 차동 신호 커넥터 (10) 가 인쇄 기판 (11) 에 장착될 때 납땜 상태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점검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하부 접촉자 (25) 의 관통홀 (13) 로 삽입되는 부분은 기판 연결부로 불린다.
하부 접촉자 (25) 의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일 때, 인쇄 기판 (11) 의 관통홀 (13) 의 직경은 하부 접촉자 (25) 의 대각선 길이보다 적어도 약간 크도록 구성된다. 또한, 랜드 (14) 는 관통홀 (13) 주위에 형성되고 인접한 관통홀 (13) 사이에 절연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했을 때, 관통홀 (13) 에 대해 약 0.8mm 의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d 에서, 하부 접촉자 (25) 의 기판 연결부는, 제 2 방향 (A2) 으로 연장되고 제 1 방향 (A1) 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3 개의 평행열로 배치된다. 특히, 접지 접촉자 (23) 의 기판 연결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열 (R1) 에 배치되고, 커넥터 접촉부가 접지 접촉자 (23) 사이에 배치된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 (22) 는 제 1 열 (R1) 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 2 열 (R2) 및 제 3 열 (R3) 에 할당되도록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도 5a 내지 도 5d 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 (22) 의 기판 연결부는 제 1 열 (R1) 의 양측에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 2 열 (R2) 에 배치된 신호 접촉자 (22) 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 3 열 (R3) 에 배치된 신호 접촉자 (22) 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동일한 열에 배치된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 (22) 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그러면,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 (22) 는 절곡시 상호 차이, 특히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 사이에서 절곡 위치의 상호 차이에 의해 제 2 열 (R2) 과 제 3 열 (R3) 에 할당된다. 접지 접촉자 (23) 는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 사이의 신호 접촉자 (22) 와 절곡 위치 차이에 의해 제 1 열 (R1) 에 배치된다. 절곡 위치에 차이를 주는 대신에, 신호 접촉자 (22) 와 접지 접촉자 (23) 는 절곡 횟수의 차이에 의해 제 2 연결면에서 3 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거나 양자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연결면에서, 각 쌍의 신호 접촉자 (22) 는 인접한 접지 접촉자 (23)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각 쌍의 신호 접촉자 (22) 의 피치는 접촉자 어레이 피치보다 약간 크도록 구성된다.
제 2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 (23) 각각은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 (22)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연결면에서 각각의 접지 접촉자 (23)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 (22) 는 제 1, 제 2 및 제 3 열 (R1, R2, R3) 을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인쇄 기판 (11) 의 관통홀 (13) 은 물론 제 2 연결면에서 신호 접촉자 (22) 및 접지 접촉자 (23) 의 전술한 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에서, 각 쌍의 인접한 신호 접촉자 (22) 는 반대 위상을 가지는 신호로 이루어진 차동 신호쌍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선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므로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Sig 접촉자 및 -Sig 접촉자로 각각 명명될 것이다. 또한, 관통홀 (13) 중에서, +Sig 접촉자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관통홀 (13) 은 +Sig 관통홀로 명명되고, -Sig 접촉자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관통홀 (13) 은 -Sig 관통홀로 명명되며, 접지 접촉자 (23) 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관통홀 (13) 은 GND 관통홀로 명명될 것이다. 또한, 배선 패턴 (15) 중에서, +Sig 관통홀에 연결된 배선 패턴 (15) 은 +Sig 배선 패턴으로 명명되고 -Sig 관통홀에 연결된 배선 패턴 (15) 은 -Sig 배선 패턴으로 명명될 것이다.
전술한 차동 신호 커넥터에 따르면, +Sig 관통홀 및 -Sig 관통홀은 커넥터 끼움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Sig 배선 패턴 및 -Sig 배선 패턴은 커넥터의 후방으로 연장되고 길이가 동일하며 다층 기판으로서 인쇄 기판 (11) 의 하부면 (11a) 에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배선 패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동 신호쌍 사이의 스큐는 작다. 쌍을 이룬 차동 신호를 전달하기에 적합한 선이 연결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은 복수 쌍의 차동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3 쌍의 전도성 신호 접촉자 (22) 및 4 개의 전도성 접지 접촉자 (23) 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프레싱에 의해 단일 도체 플레이트로부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6 에 도시된 형상이 처음 얻어진다. 그 후, 캐리어 (26) 가 절단되어서, 중간 부재의 일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 에 나타낸 리드 프레임 (30) 을 형성한다.
도 7 및 도 8 에서, 리드 프레임 (30) 은 일 평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리드 (31), 제 1 리드 (31) 사이에 각각 쌍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 2 리드 (32), 제 1 리드 (31) 사이에 쌍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 3 리드 (33) 및, 일 단부측에서 제 1 리드 (31), 제 2 리드 (32) 및 제 3 리드 (33) 를 연결하는 연결부 (34) 를 포함한다. 연결부 (34) 로부터 제 2 리드 (32) 의 길이는 제 1 리드 (31) 의 길이보다 짧게 만들어진다. 연결부 (34) 로부터 제 3 리드 (33) 의 길이는 제 1 리드 (31) 의 길이보다 길게 만들어진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할 때, 타 단부측에서, 즉 자유 단부측에서 각 쌍의 제 2 리드 (32) 및 각 쌍의 제 3 리드 (33) 의 피치 (P2) 는 일 단부측에서 피치 (P1) 보다 크게 만들어져서, 각 쌍의 리드 (32, 33) 는 자유 단부측에서 제 1 리드 (31) 에 접근한다.
각각의 제 1 리드 (31) 는 연결부 (34) 로부터 연장된 제 1 직선부 (35), 더 큰 피치 (P2) 로 제 2 리드 (32) 의 일 부분에서 떨어지도록 제 1 직선부 (35) 에서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 1 오프셋부 (36), 제 1 직선부 (35) 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오프셋부 (36) 에서 연장되는 제 2 직선부 (37), 제 2 리드 (32) 에 접근하도록 제 2 직선부 (37) 에서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 2 오프셋부 (38) 및, 제 1 직선부 (35) 의 연장선상에서 제 2 오프셋부 (38) 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직선부 (39) 를 가진다.
또한, 각각의 제 1 리드 (31) 는 제 1 직선부 (35) 에서 전술한 평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기 위한 제 1 절곡 의도부 (41) 를 가진다. 각각의 제 2 리드 (32) 는, 더 큰 피치 (P2) 를 가지는 부분과 연결부 (34) 사이 및 더 큰 피치 (P2) 를 가지는 부분과 인접한 한 위치에서, 전술한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기 위한 제 2 절곡 의도부 (42) 를 가진다.
도 7 및 도 8 의 리드 프레임 (30) 에서, 더 큰 피치 (P2) 를 가지는 부분이 각 쌍을 형성하는 제 2 리드 (32) 의 자유 단부측에 구비될지라도, 각각의 제 1 리드 (31) 와 대응하는 제 2 리드 (32) 사이의 거리는 제 1 오프셋부 (36) 의 존재로 인해 비교적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드 프레임 (30) 은 프레스-펀칭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리드 프레임 (30) 은 제 1 절곡 의도부 (41) 및 제 2 절곡 의도부 (42) 에서 절곡된 후 연결부 (34) 는 절단된다. 이런 식으로, 도 5a 내지 도 5d 에 나타낸 하부 접촉자 조립체의 6 개의 신호 접촉자 (22) 와 4 개의 접지 접촉자 (23) 로 이루어진 접촉자 그룹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더 큰 피치 (P2) 가 리드 프레임 (30) 에서 각 쌍의 제 2 리드 (32) 및 각 쌍의 제 3 리드 (33) 의 자유 단부측에 제공되므로, 도 5a 내지 도 5d 의 제 2 열 (R2) 및 제 3 열 (R3) 에서 신호 접촉자 (22) 사이의 거리는 인쇄 기판 (11) 의 관통홀과 랜드에 그 사이에 충분한 전기 절연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길게 만들어진다. 또한, 접지 접촉자 (23) 와 제 1 및 제 2 신호 접촉자 (22) 가 3 개의 다른 열로 배치되므로, 그 사이 거리를 길게 설정할 수 있어 차동 신호쌍 사이에 전기 절연을 충분히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용이하게 접촉자 그룹의 피치를 좁힐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 1 리드 (31) 는, 더 큰 피치 (P2) 로 대응하는 제 2 리드 (32) 의 부분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 1 오프셋부 (36) 를 구비하므로, 제 1 오프셋부 (36) 를 따르는 제 2 직선부 (37) 와 더 큰 피치 (P2) 를 가지는 제 2 리드 (32) 의 부분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펀칭이 용이하게 적용되어 협피치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기여하는 리드 프레임 (30) 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 를 참고하여, 전술한 차동 신호 커넥터의 제 1 변형예가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부여되므로, 이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변형예는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및, 커넥터 쉘 (18) 에 결합된 절연 위치결정구 (43) 를 포함한다.
다수의 상부 접촉자 (19) 각각은 끼움 돌기 (12) 의 상부면에 배치된 수평부 (19a), 수평부 (19a) 의 후단부로부터 상부 하우징 (21) 의 후방으로 노출되고 하향 절곡된 절곡부 (19b), 절곡부 (19b) 로부터 수직 하향 연장되는 수직부 (19c), 수직부 (19b) 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고 SMT 구조체에서 인쇄 기판과 같은 장착물의 상부면 상의 배선 패턴에 납땜되기에 적합한 연결부 (19d) 를 가진다. 이하, 상부 접촉자 (19) 는 통틀어 접촉자 그룹으로도 불릴 수 있다.
상부 접촉자 (19) 는 삽입 성형에 의해 수평부 (19a) 의 부분에서 상부 하우징 (21) 에 의해 유지된다. 여기에서 각 수평부 (19a) 의 상부 하우징 (21) 에 의해 유지되는 부분은 유지부로 명명된다.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인 유전체 (44) 는 삽입 성형에 의해 상부 접촉자 (19) 의 수직부 (19c) 에 부착된다. 유전체 (44) 는 상부 접촉자 (19) 와 일체화되도록 외부에서 접촉하게 각 수직부 (19c) 의 대부분을 덮는다. 결과적으로, 접촉자 그룹의 어레이 된 상태는 유전체 (44) 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맞물림 돌기 (44a) 는, 접촉자 그룹의 어레이 방향으로, 유전체 (44) 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각 수직부 (19c) 의 유전체 (44) 로 덮은 부분은 여기에서 중간부로 명명된다.
도 4a 내지 도 8 을 참고로 설명된 차동 신호 커넥터의 하부 접촉자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는 절연 하부 하우징 (24) 및 하부 하우징 (24) 에 의해 어레이 유지되는 신호 접촉자 (22) 와 접지 접촉자 (23) 를 포함하는 다수의 전도성 하부 접촉자 (25) 로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 (24) 은 상부 하우징 (21) 과 함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한 쌍의 기둥 (24a) 을 가진다. 하부 접촉자 (25) 각각은 상부 하우징 (21) 의 끼움 돌기 (12) 의 하부면을 따라 배치된 수평부 (25a) 및 하부 하우징 (24) 의 후방으로 노출되고 수직 하향 연장되는 수직부 (25b) 를 포함한다. 하부 접촉자 (25) 의 수직부 (25b) 의 하단부는, 납땜에 의해 고정되고 장착물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홀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단자부 (25c) 로서 역할을 한다.
위치결정구 (43) 는 그 하부면에 장착물의 위치결정홀 (미도시) 에 끼우기 위한 한 쌍의 위치결정 보스 (45) 를 가진다. 위치결정구 (43) 는 그 후면에 유전체 (44) 의 형상 및 크기와 일치하는 리세스 (46) 를 가진다. 리세스 (46) 의 상호 대향한 측면에, 유전체 (44) 의 맞물림 돌기 (44a) 에 대응하는 맞물림 돌기 (46a) 가 형성된다. 또한, 키홈 (46b) 이 리세스 (46) 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커넥터 쉘 (18) 은 복수의 고정 레그 (18a, 18b) 를 가진다. 고정 레그 (18a, 18b) 와 장착물의 맞물림에 의해, 차동 신호 커넥터 (10) 는 장착물에 단단히 고정된다.
여기에서, 도 13a 및 도 13b 를 참고하여,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를 제조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상부 접촉자 (19) 에 절곡부 (19b) 를 형성하기 전에, 상부 하우징 (21) 과 유전체 (44) 는 접촉자 그룹에 대해 동시에 삽입 성형되어서, 도 13a 에 도시된 구조를 얻는다. 그러면, 접촉자 그룹은 절곡되어서, 도 13b 에 도시된 대로 절곡부 (19b) 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절곡부 (19b) 의 양측은 상부 하우징 (21) 및 유전체 (44) 에 의해 일체로 유지되므로, 접촉자 그룹은 접촉자 그룹의 오정렬 없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다. 부호 '44b' 는 키홈 (46b) 에 대응하는 키를 나타낸다.
전술한 대로, 제조 프로세스 면에서 접촉자 그룹에 대해 상부 하우징 (21) 및 유전체 (44) 를 동시에 삽입 성형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부 하우징 (21) 과 유전체 (44) 는 분리하여 성형될 수도 있다.
도 14 는,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및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가 위치결정구 (43) 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를 위치결정구 (43) 에 장착했을 때, 유전체 (44) 는 도 11 에 도시된 키홈 (46b) 안으로 도 13a 및 도 13b 에 나타낸 키 (44b) 를 끼우면서 위치결정구 (43) 의 리세스 (46) 안으로 삽입된다. 삽입 후에, 유전체 (44) 는 맞물림 돌기 (44a) 와 맞물림 돌기 (46a) 의 맞물림에 의해 리세스 (46) 내부에 고정되게 끼워진다.
또한,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및 위치결정구 (43) 는 전체로서 커넥터 쉘 (18) 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서,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낸 커넥터 (10) 가 얻어진다. 위치결정구 (43) 는 커넥터 (10) 의 양측에서 커넥터 쉘 (18) 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노출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도 9 내지 도 14 를 참고로 설명한 차동 신호 커넥터에 따르면, 상부 접촉자 (19) 의 상부 하우징 (21) 에서 노출된 부분이 유전체 (44) 의 삽입 성형에 의해 접촉식으로 덮어지고 유전체 (44) 는 장착물에 대해 위치 결정되기에 적합한 위치결정구 (43) 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임피던스 정합을 달성할 수 있고 상부 접촉자 (19) 의 연결부 (19d) 의 위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구 (43) 는 커넥터 쉘 (18) 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므로, 돌출된 부분의 이미지 인식에 의해 높은 위치 정확성을 갖고 커넥터의 표면 실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 및 도 16 을 참고로, 전술한 차동 신호 커넥터의 제 2 변형예가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부여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에서,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를 장착하기 전에, 상부 접촉자 (19) 의 수직부 (19c) 는 전부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위치결정구 (43) 의 후면은, 수직부 (19c) 와 동일한 피치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평행홈 (47) 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홈 (47) 각각은 작은 갭을 가지고 상부 접촉자 (19) 의 수직부 (19c) 전체를 실질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홈 (47) 안으로 수직부 (19c) 를 삽입하는 조작이 용이하다.
도 16 은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와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가 위치결정구 (43) 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를 위치결정구 (43) 에 장착했을 때, 상부 접촉자 (19) 의 수직부 (19c) 는 위치결정구 (43) 의 홈 (47) 내부로 각각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도 9 내지 도 14 를 참고로 설명된 차동 신호 커넥터 (10) 의 유전체 (44) 와 유사한 효과가 달성된다. 그 후에, 위치결정구 (43) 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전율을 가지는 수지가 상부 접촉자 (19) 의 수직부 (19c) 전체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홈 (47) 내부에 채워진 후 임피던스 조절 자유도가 높아지도록 경화된다. 각 수직부 (19c) 의 경화된 수지로 덮은 부분은 본원에서 중간부로 명명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 도 9 의 차동 신호 커넥터 (10) 와 동일한 외관을 가지는 커넥터가 얻어진다.
도 15 및 도 16 을 참고로 설명된 커넥터에 따르면, 경화 수지 형태의 유전체가 상부 하우징 (21) 에서 노출된 상부 접촉자 (19) 의 부분을 접촉식으로 덮고 장착물에 대해 위치 결정되기에 적합한 위치결정구 (43) 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임피던스 정합을 달성하고 상부 접촉자 (19) 의 연결부 (19d) 의 위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구 (43) 는 커넥터 쉘 (18) 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므로, 돌출된 부분의 이미지 인식에 의해 높은 위치 정확성을 갖고 커넥터의 표면 실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 은, 도 15 의 차동 신호 커넥터의 일 구성요소로서 상부 접촉 조립체 (16) 의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동일한 참조부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부여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을 참고하여,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제 1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8 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4 개의 접지 접촉자 (19-1) 및 접지 접촉자 (19-1) 사이에 각각 3 쌍을 형성하도로 배치된 6 개의 신호 접촉자 (19-2) 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지 접촉자 (19-1) 는 접지선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각각의 신호 접촉자 (19-2) 는 신호선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지 접촉자 (19-1), 신호 접촉자 (19-2), 신호 접촉자 (19-2) 및 접지 접촉자 (19-1) 순으로 배치된 4 개의 접촉자가 하나의 접촉자 세트 (51) 를 형성하고, 접촉자 세트 (51) 를 서로 일부 겹치면서 반복함으로써 접촉자 그룹이 형성된다. 모든 접촉자 세트 (51) 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그 중 하나만 설명될 것이다.
모든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19-2)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지 접촉자 (19-1) 에서, 절곡부 (19b) 가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즉, 절곡부 (19b) 는 접촉자의 어레이 방향으로 일렬로 구비된다. 따라서,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일 단부측에서 (도 18 의 하측), 접촉자 세트 (51) 의 4 개의 접촉자가 도 17 에 나타낸 것처럼 끼움 돌기 (12) 의 상부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타 단부측에서 (도 18 의 상측) 접촉자 세트 (51) 의 4 개의 접촉자가 위치결정구 (43) 의 후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도록 도 15 에 도시된 위치결정구 (43) 의 홈 (47) 안으로 삽입된다.
또한, 접촉자 세트 (51) 의 4 개의 접촉자 각각은 삽입 성형에 의해 도 17 의 상부 하우징 (21) 에 유지되기에 적합한 유지부 (52) 를 가진다. 즉, 유지부 (52) 와 상부 하우징 (21) 의 맞물림에 의해, 접촉자 그룹은 상부 하우징 (21) 에 단단히 유지된다.
각 접촉자의 유지부 (52) 는 접촉 너비를 바꾸는 일종의 다른 형상부로서 복수의 (이 실시예에서 2개) 돌기부 (53) 를 구비한다. 각각의 접촉자에서, 돌기부 (53) 는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접촉자의 양측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다.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돌기부 (53) 의 형성 위치는 접지 접촉자 (19-1) 및 신호 접촉자 (19-2) 사이에서 서로 상이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지 접촉자 (19-1) 의 돌기부 (53) 는 유지부 (52) 에서 절곡부 (19b) 에 가까운 쪽에 형성되고 신호 접촉자 (19-2) 의 돌기부 (53) 는 유지부 (52) 에서 절곡부에서 먼 쪽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어쨌든, 돌기부 (53) 는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19-2) 어레이의 중심에 대해, 즉 4 개의 접촉자 어레이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돌기부 (53) 는 전술한 대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4 개의 접촉자로 이루어진 차동 신호 전송선의 대칭이 유지되고 따라서 돌기부 (53) 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의 고주파 특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부 (53) 는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복수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므로, 인접한 접촉자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길게 만들어질 수 있어서 프레싱이 용이하게 적용된다.
도 19 를 참고하여, 상부 접촉자 조립체 (16) 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제 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도 18 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부여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도 19 의 접촉자 그룹에서, 모든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19-2)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지 접촉자 (19-1) 에서, 절곡부 (19b) 는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제공된다. 즉, 절곡부 (19b) 는 접촉자의 어레이 방향으로 1 열로 구비된다. 따라서,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일 단부측 (도 19 의 하측) 에서, 접촉자 세트 (51) 의 4 개의 접촉자는 도 17 에 도시된 것처럼 끼움 돌기 (12) 의 상부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타 단부측 (도 19 의 상측) 에서, 접촉자 세트 (51) 의 4 개의 접촉자는 위치결정구 (43) 의 후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도록 도 15 에 도시된 위치결정구 (43) 의 홈 (47) 안으로 삽입된다.
각 접촉자의 유지부 (52) 는, 접촉 너비를 바꾸는 일종의 다른 형상부로서 복수의 (이 실시예에서 2개) 절개부 (54) 를 구비한다. 각각의 접촉자에서, 비록 절개부 (54) 가 양 측면에 구비될지라도, 절개부 (54) 는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비대칭되도록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절개부 (54) 의 형성 위치는 인접한 접촉자 사이에서 서로 상이하다. 어쨌든, 절개부 (54) 는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19-2) 어레이의 중심, 즉 4 개의 접촉자 어레이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절개부 (54) 는 전술한 대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4 개의 접촉자를 포함하는 차동 신호 전송선의 대칭이 유지되므로 절개부 (54) 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의 고주파 특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절개부 (54) 는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복수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므로, 인접한 접촉자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길게 만들어질 수 있어서 프레싱이 용이하게 적용된다.
도 20 및 도 21 을 참고하여,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일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20 및 도 21 에 도시된 접촉자 그룹에서, 3 쌍의 신호 접촉자 (22) 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4 개의 접지 접촉자 (23)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접지 접촉자 (23) 는 접지선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고 각각의 신호 접촉자 (22) 는 신호선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지 접촉자 (23), 신호 접촉자 (22), 신호 접촉자 (22) 및 접지 접촉자 (23) 의 순서로 배치된 4 개의 접촉자는 하나의 접촉자 세트 (61) 를 형성하고 접촉자 세트 (61) 를 서로 일부 겹치면서 반복함으로써, 접촉자 그룹이 형성된다. 모든 접촉자 세트 (61) 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본원에서는 이 중 하나만 설명될 것이다.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22)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지 접촉자 (23) 에서, 절곡부 (22b, 23b) 는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일 단부측 (도 20 의 상부 좌측) 에서, 접촉자 세트 (61) 의 4 개의 접촉자가 한 평면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타 단부측 (도 20 의 하부 우측) 에서,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 (22)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지 접촉자 (23) 가 다른 열, 즉 도 5a 내지 도 5d 의 열 (R1 ~ R3) 로 배치된다. 또한,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22) 의 피치는 일 단부측에서보다 타 단부측에서 더 크게 만들어진다.
또한, 접촉자 세트 (61) 의 4 개의 접촉자는 삽입 성형에 의해 하부 하우징 (24) 에 의해 유지되기에 적합한 유지부 (62) 를 각각 가진다. 즉, 유지부 (62) 와 하부 하우징 (24) 의 맞물림에 의해, 접촉자 그룹은 하부 하우징 (24) 에 의해 단단히 유지된다.
각 접촉자의 유지부 (62) 는 접촉 너비를 바꾸는 일종의 다른 형상부로서 복수의 (이 실시예에서 2개) 돌기부 (63) 를 구비한다. 이 돌기부 (63) 의 기능은 도 18 에 나타낸 접촉자 그룹에서 돌기부 (53) 의 기능과 동일하다.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의 돌기부 (63) 도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4 개의 접촉자를 포함하는 차동 신호 전송선의 대칭이 유지되므로 돌기부 (63) 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의 고주파 특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부 (63) 는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복수의 다른 위치에 형성되므로, 인접한 접촉자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길게 만들어질 수 있어서 프레싱이 용이하게 적용된다.
또한 하부 접촉자 조립체 (17) 에 포함되는 접촉자 그룹에서, 도 19 에 나타낸 접촉자 그룹에서 절개부 (54) 와 동일한 절개부가 돌기부 (63) 대신에 구비될 수 있다. 그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과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 없다.
도 22 는 단일 금속 플레이트가 리드 프레임으로 프레스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3 은 도 22 의 리드 프레임에서 얻어진 도 21 의 접촉자 그룹의 세 도면을 도시한다. 접촉자 세트 (61) 에서,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22) 의 양측에서 2 개의 접지 접촉자 (23) 는,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22) 의 피치가 증가되는 위치에서 2 개의 중간 신호 접촉자 (22) 로부터 떨어진 도피부 (64) 를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신호 접촉자 (22) 와 접지 접촉자 (23) 사이의 거리는 도피부 (64) 가 구비된 위치에서 길게 만들어지므로, 프레싱에 의한 형성이 용이해진다.
다음에, 도 24 및 도 25 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70) 가 설명될 것이다.
이 커넥터 (70) 는 그 단부에서 인쇄 기판 (71) 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차동 신호 커넥터이다. 커넥터 (70) 는 다수의 전도성 상부 접촉자 (접촉자 그룹) (72), 다수의 전도성 하부 접촉자 (73), 접촉자 (72, 73) 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 (74) 및 이들을 둘러싸는 전도성 커넥터 쉘 (75) 을 포함한다. 인쇄 기판 (71) 은 그 단부에 절개부 (71a) 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접촉자 (72, 73) 는 각각 도 25 의 시트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하우징 (74) 은 인쇄 기판 (71) 의 절개부 (71a) 로 삽입되기에 적합한 제 1 부분 (74a) 및 인쇄 기판 (71) 의 하부면을 따라 제 1 부분 (74a) 에서 연장되는 제 2 부분 (74b) 을 가진다. 각각의 상부 접촉자 (72) 는 제 1 부분 (74a) 에서 연장된 후 제 2 부분 (74b) 에서 절곡되고 납땜에 의해 연결되도록 인쇄 기판 (71) 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는 단자부 (72a) 를 가진다. 각각의 하부 접촉자 (73) 는 제 1 부분 (74a) 에서 연장된 후 제 2 부분 (74b) 에서 절곡되고 납땜에 의해 인쇄 기판 (71) 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단자부 (73a) 를 가진다. 연결 상대로서 역할을 하는 상대측 커넥터 (미도시) 는 상부 접촉자 (72) 및 하부 접촉자 (73)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 1 부분 (74a) 에 끼워진다.
도 26 을 참고하면, 상부 접촉자 (72) 만 접촉자 그룹으로서 전체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26 에서 볼 수 있듯이, 상부 접촉자 (72) 는 단자부 (72a) 의 위치를 토대로 3 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즉, 단자부 (72a) 는 3 열로 배치된다. 단자부 (72a) 가 중간 열 (R1) 에 배치된 상부 단자 (72) 는 접지 접촉자로 명명된다. 단자부 (72a) 가 중간 열 (R1) 일측의 열 (R2) 에 배치된 상부 단자 (72) 는 제 1 신호 접촉자로 명명된다. 단자부 (72a) 가 중간 열 (R1) 타측의 열 (R3) 에 배치된 상부 단자 (72) 는 제 2 신호 접촉자로 명명된다. 따라서, 도 26 의 접촉자 그룹은 4 개의 접지 접촉자, 4 개의 제 1 신호 접촉자 및, 2 개의 제 2 신호 접촉자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접지 접촉자는 각각 인쇄 기판 (71) 의 접지선에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신호 접촉자는 각각 인쇄 기판 (71) 의 신호선에 연결된다.
도 26 에 도시된 대로, 커넥터의 제 1 연결면에서, 각 접지 접촉자의 일 단부와 각 신호 접촉자의 일 단부는 일 평면에서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 후, 접지 접촉자 및 신호 접촉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후 서로 오프셋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제 2 연결면에서, 인접한 접지 접촉자의 타 단부 (단자부 (72a)) 는 사다리꼴의 장변의 양단에 위치하고 각 쌍을 형성하는 신호 접촉자의 타 단부 (단자부 (72a)) 는 사다리꼴의 단변의 양단에 위치한다. 또한, 각 쌍을 형성하는 신호 접촉자의 타 단부 (단자부 (72a))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양쪽 신호 접촉자는 이하 분명히 설명되는 것처럼 타 단부 (단자부 (72a)) 근처에서 서로 떨어지게 약간 외향 절곡된다.
도 27 및 도 28 을 참고하면, 리드 프레임 (80) 은 전술한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중간 부재의 일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리드 프레임 (80) 은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함으로써 제조되고 일 평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리드 (81), 제 1 리드 (81) 사이에 각각 쌍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 2 리드 (82), 제 1 리드 (81) 사이에 한 쌍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 3 리드 (83) 및, 일 단부측에서 제 1 리드 (81), 제 2 리드 (82) 및 제 3 리드 (83) 를 연결하는 연결부 (84) 를 포함한다. 연결부 (84) 로부터 제 2 리드 (82) 의 길이는 제 1 리드 (81) 의 길이보다 짧게 만들어진다. 연결부 (84) 로부터 제 3 리드 (83) 의 길이는 제 1 리드 (81) 의 길이보다 길게 만들어진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했을 때, 타 단부측에서, 즉 자유 단부측에서 각 쌍의 제 2 리드 (82) 및 각 쌍의 제 3 리드 (83)의 피치 (P4) 는 일 단부측에서 피치 (P3) 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각 쌍의 리드 (82, 83) 는 자유 단부측에서 제 1 리드 (81) 에 접근한다.
각각의 제 1 리드 (81) 는 연결부 (84) 로부터 연장된 제 1 직선부 (85), 더 큰 피치 (P4) 로 제 2 리드 (82) 의 부분에서 떨어지도록 제 1 직선부 (85) 에서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 1 오프셋부 (86), 제 1 직선부 (85) 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오프셋부 (86) 에서 연장되는 제 2 직선부 (87), 제 2 리드 (82) 에 접근하도록 제 2 직선부 (87) 에서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 2 오프셋부 (88) 및, 제 1 직선부 (85) 의 연장선상에서 제 2 오프셋부 (88) 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직선부 (89) 를 가진다.
또한, 각각의 제 1 리드 (81) 는, 제 2 직선부 (87) 에서, 전술한 평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기 위해 제 1 절곡 의도부 (91) 를 가진다. 각각의 제 2 리드 (82) 는 더 큰 피치 (P4) 를 가지는 부분과 연결부 (84) 사이 및 더 큰 피치 (P4) 를 가지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술한 평면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기 위한 제 2 절곡 의도부 (92) 를 가진다.
또한, 제 1 리드 (81) 및 제 2 리드 (82) 각각은 연결부 (84) 와 제 1 오프셋부 (86) 사이 또는 연결부 (84) 와 제 2 절곡 의도부 (92) 사이에 복수의 추가 절곡 의도부 (93) 를 가진다.
도 27 의 리드 프레임 (80) 에서, 더 큰 피치 (P4) 를 가지는 부분은 각 쌍을 형성하는 제 2 리드 (82) 의 자유 단부측에 구비될지라도, 각각의 제 1 리드 (81) 와 대응하는 제 2 리드 (82) 사이의 거리는 제 1 오프셋부 (86) 의 존재로 인해 비교적 길게 만들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27 의 리드 프레임 (80) 은 프레스-펀칭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7 의 리드 프레임 (80) 은 제 1 절곡 의도부 (91), 제 2 절곡 의도부 (92) 및 추가 절곡 의도부 (93) 에서 절곡된 후 연결부 (84) 는 절개된다. 이런 식으로, 4 개의 접지 접촉자, 4 개의 제 1 신호 접촉자 및 2 개의 제 2 신호 접촉자로 이루어진 도 26 의 접촉자 그룹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더 큰 피치 (P4) 는 도 27 의 리드 프레임 (80) 에서 각 쌍의 제 2 리드 (82) 및 각 쌍의 제 3 리드 (83) 의 자유 단부측에 제공되므로, 단자부 (72a) 사이의 거리는, 인접한 제 1 신호 접촉자 사이 및 제 2 신호 접촉자 사이에서 전기 절연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도 26 의 접촉자 그룹의 열 (R2, R3) 에서 길게 만들어진다. 게다가, 접지 접촉자와 제 1 및 제 2 신호 접촉자의 단자부 (72a) 는 3 개의 다른 열에 배치되므로, 그 사이 거리가 길게 설정되어서 그 사이에 전기 절연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촉자 그룹의 협피치화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 1 리드 (81) 는 더 큰 피치 (P4) 를 가지는 대응하는 제 2 리드 (82) 의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 1 오프셋부 (86) 를 구비하므로, 제 1 오프셋부 (86) 를 따르는 제 2 직선부 (87) 및 더 큰 피치 (P4) 를 가지는 제 2 리드 (82) 부분 사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펀칭이 용이하게 적용되므로 협피치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기여하는 리드 프레임 (80) 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절곡 의도부 (91) 는 제 2 직선부 (87) (제 1 오프셋부 (86) 와 제 2 오프셋부 (88) 사이) 에 구비되므로, 제 1 절곡 의도부 (91) 로부터 자유 단부까지 거리, 즉 도 26 에서 단자부 (72a) 의 길이는 결과적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커넥터의 높이 감소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 을 참고하면, 전술한 접촉자 그룹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중간 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리드 프레임 (80') 이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가 도 27 및 도 28 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부여되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리드 프레임 (80') 에서, 제 1 절곡 의도부 (91) 는 제 1 직선부 (85) 에 구비된다. 특히, 제 1 절곡 의도부 (91) 는 제 1 오프셋부 (86) 와 연결부 (84) 사이 및 제 1 오프셋부 (86) 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제 1 절곡 의도부 (91) 의 위치를 변경한 결과로서, 제 2 절곡 의도부 (92) 및 추가 절곡 의도부 (93) 의 위치는 연결부 (84) 에 약간 더 가깝게 배치되지만, 필수적 기능은 도 27 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 (80) 과 동일하다.
이 리드 프레임 (80') 에서, 제 1 절곡 의도부 (91) 로부터 자유 단부까지 거리, 즉 도 26 에서 단자부 (72a) 의 길이는 도 27 의 리드 프레임 (80) 과 비교했을 때 약간 더 긴 반면에, 나머지는 도 27 의 리드 프레임 (80) 과 기능 및 효과과 동일하다.
도 24 및 도 25 에 도시된 대로 인쇄 기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기에 적합한 형태의 커넥터인 경우에, 각각의 리드는 리드 프레임 (80, 80') 중 하나에서 2 개의 추가 절곡 의도부 (93) 를 구비한다. 한편, 각각의 리드 프레임 (80, 80') 은 또한 도 4a 내지 도 4d 에 도시된 대로 인쇄 기판의 상부면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형태의 커넥터를 위해 사용되고, 이 경우에 추가 절곡 의도부 (93) 는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히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참고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당 업자들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대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55)
- 복수의 접촉자 쌍, 복수의 접지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 쌍과 접지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연결 상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면 및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연결면에서, 상기 접지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 쌍의 접촉자는 접촉자 어레이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접지 접촉자는 접촉자 쌍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상기 접지 접촉자는 제 1 방향 (A1) 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결면에서 상기 접지 접촉자 각각의 양측에 배치된 접촉자 쌍 중 2 개는 제 2 열과 제 3 열에 할당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열과 제 3 열은 제 1 방향 (A1) 에 수직한 제 2 방향 (A2) 으로 제 1 열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열, 제 2 열 및 제 3 열은 제 2 연결면의 기판연결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추가 접촉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접촉자는 제 1 연결면에서 접촉자 어레이로부터 떨어져 접촉자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에 배치된 접촉자 쌍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열에 배치된 접촉자 쌍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 쌍은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 사이에서 접촉자 어레이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고, 굽혀지는 위치의 상호 차이에 의해 접촉자 쌍은 제 2 열과 제 3 열에 할당되는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촉자는, 접지 접촉자가 제 1 열에 배치되도록,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 사이에서 접촉자 어레이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굽어지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 쌍 각각은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 중 인접한 접지 접촉자들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 쌍의 접촉자는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접촉자 어레이의 접지 접촉자의 피치보다 크도록 구성된 피치를 가지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접촉자는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접촉자 쌍 사이에 남겨진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들 각각과 상기 제 1 연결면에서 접지 접촉자들 각각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접촉자 쌍 중 2 개를 이은 직선은 제 1 열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 상기 제 2 열 및 상기 제 3 열은 서로 평행인 커넥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 쌍의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 이외의 복수의 추가 접촉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접촉자 각각은 제 2 연결면에 위치한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유지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 및, 상기 유지부와 상기 중간부 사이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삽입 성형에 의해 상기 유지부를 일체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 제 2 연결면에서 상기 유지 부재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구 및, 상기 중간부를 접촉식으로 덮고 상기 위치결정구에 결합된 유전체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구는 리세스를 가지고, 상기 유전체는 삽입 성형에 의해 추가 접촉자의 중간부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리세스에 끼움 장착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 쌍의 접촉자 및 접지 접촉자 이외의 복수의 추가 접촉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접촉자 각각은 제 2 연결면에 위치한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유지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유지부 사이에 위치한 중간부 및, 상기 유지부와 상기 중간부 사이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기판에 대해 추가 접촉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구는 내부에 상기 중간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홈을 가지고 상기 중간부를 덮는 커넥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유전성 수지 (dielectric resin) 로 충전되는 커넥터. -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보스 끼움 장착에 의하여 위치결정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커넥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 및 위치결정구를 덮는 쉘 (shell)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구는 상기 쉘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4 개의 기다란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접촉자의 너비를 바꾸는 다른 형상부를 가지며, 다른 형상부의 위치는 4 개의 접촉자의 어레이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다른 형상부는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있는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절곡부를 구비하고, 종방향으로의 절곡부의 위치는 2 개의 중간 접촉자와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 사이에서 서로 상이하며,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일 단부측에서 종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타 단부측에서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가 다른 열로 배치되는 커넥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피치는 일 단부측에서보다 타 단부측에서 더 크게 만들어지는 커넥터. - 제 19 항에 있어서,
더 큰 피치를 가지는 부분이 절곡부보다 타 단부측에 더 많이 구비되는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
다른 형상부 각각은 접촉자의 너비를 증가시키는 돌기부인 커넥터. - 제 21 항에 있어서,
종방향으로의 돌기부의 위치는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 사이에서 서로 상이한 커넥터.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접촉자 각각은 접촉자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
다른 형상부 각각은 접촉자의 너비를 감소시키는 절개부인 커넥터. - 제 24 항에 있어서,
종방향으로의 절개부의 위치는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 사이에서 서로 상이한 커넥터.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접촉자 각각은 접촉자 중심에 대해 비대칭인 복수의 절개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
접촉자 그룹 및 삽입 성형에 의해 접촉자 그룹을 유지하는 몰드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4 개의 기다란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접촉자의 너비를 증가시키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는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상기 돌기부는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 사이에서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4 개의 기다란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접촉자의 너비를 감소시키는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는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상기 4 개의 접촉자 각각에서, 상기 절개부는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4 개의 기다란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의 종방향으로의 절곡부의 위치는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 사이에서 서로 상이하며,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종방향으로 일 단부측에서 하나의 열로 배치되고, 타 단부측에서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는 다른 열에 배치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어레이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각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또한 대칭을 이루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4 개의 기다란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의 종방향으로의 절곡부의 위치는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 사이에서 서로 상이하며,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일 단부측에서 종방향으로 하나의 열로 배치되고, 타 단부측에서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는 다른 열에 배치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어레이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각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비대칭을 이루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4 개의 기다란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에서,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의 종방향으로의 절곡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종방향으로 일 단부측 및 타 단부측에서 하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어레이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각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또한 대칭을 이루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4 개의 기다란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에서, 2 개의 중간 접촉자 및 그 양측의 2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자의 종방향으로의 절곡부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종방향으로 일 단부측 및 타 단부측에서 하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4 개의 접촉자는 각각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개부는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어레이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고 각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비대칭을 이루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의 개더링으로서의 접촉자 그룹은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2 개의 접지 접촉자, 및 상기 접지 접촉자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신호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접촉자와 상기 신호 접촉자 각각은, 쌍을 이룬 신호 접촉자의 중심에 대해 대칭을 이루지만 접촉자의 종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서, 각각 접촉자의 너비를 바꾸는 다른 형상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 제 30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양측의 2 개의 접촉자 각각은,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의 피치가 증가되는 위치에서, 상기 2 개의 중간 접촉자로부터 떨어진 도피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서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복수의 접지 접촉자 및 상기 접지 접촉자 사이에 각각 쌍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신호 접촉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각각의 접지 접촉자의 일 단부와 각각의 신호 접촉자의 일 단부는 상기 커넥터의 제 1 연결면에서 일 평면에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접지 접촉자와 상기 신호 접촉자는 단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후 서로 오프셋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며,
상기 커넥터의 제 2 연결면에서, 인접한 접지 접촉자의 타 단부는 사다리꼴 장변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각 쌍을 형성하는 신호 접촉자의 타 단부는 사다리꼴 단변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각 쌍을 형성하는 신호 접촉자의 타 단부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양쪽 신호 접촉자는 타 단부 근처에서 서로 떨어지게 외향 절곡되고,
각각의 접지 접촉자는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과 그 타 단부 사이에 오프셋부를 가지는 커넥터. - 복수의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연결 상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면 및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면을 가지고,
상기 접촉자는, 제 2 연결면에서 제 1 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접촉자와, 접촉자 쌍으로서 제 1 열의 양측에 위치된 제 2 열 및 제 3 열에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제 2 접촉자로 분리되고,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제 2 열의 접촉자 쌍 및 제 3 열의 접촉자 쌍은 제 1 열에 배치된 특정 공간에 교대로 대응하고, 그리하여 상기 접촉자 쌍은 지그재그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연결면에서, 상기 제 1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 쌍은 단일 접촉자 열을 형성하고,
복수의 추가 접촉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면에서, 상기 추가 접촉자는 접촉자 어레이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접촉자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에 배치된 제 2 접촉자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3 열에 배치된 제 2 접촉자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자는 상기 제 1 연결면과 상기 제 2 연결면 사이에서 접촉자 어레이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고, 굽혀지는 위치의 상호 차이에 의해 상기 접촉자 쌍은 제 2 열과 제 3 열에 할당되는 커넥터. -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자는, 상기 제 1 접촉자가 제 1 열에 배치되도록, 제 1 연결면과 제 2 연결면 사이에서 접촉자 어레이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굽어지는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상기 제 2 접촉자는 상기 제 1 접촉자로부터 위치가 각각 오프셋되는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상기 접촉자 쌍 각각의 제 2 접촉자는 접촉자 어레이의 제 1 접촉자의 피치보다 크도록 구성된 피치를 가지는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상기 제 1 접촉자는 접촉자 쌍 사이에 남겨진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제 1 접촉자들 각각과 상기 제 1 연결면에서 제 1 접촉자들 각각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접촉자 쌍 중 2 개를 이은 직선은 제 1 열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커넥터.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 상기 제 2 열 및 상기 제 3 열은 서로 평행인 커넥터. - 삭제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 쌍 각각은 한 쌍의 차동 신호에 할당되고, 상기 제 1 접촉자 각각은 접지에 할당되는 커넥터. - 복수의 접촉자 및 상기 접촉자를 유지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연결 상대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면 및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면을 가지고,
상기 접촉자는 제 1 연결면에서 연결 상대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접촉부 및 제 2 연결면에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기판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자는 2 개의 접지 접촉자, 제 1 쌍, 제 2 쌍 및 제 3 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면에서, 상기 커넥터 접촉부는 제 1 쌍의 접촉자, 일방의 접지 접촉자, 제 2 쌍의 접촉자, 타방의 접지 접촉자, 제 3 쌍의 접촉자 순서대로 제 1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연결면에서, 상기 접지 접촉자의 기판 연결부는 제 1 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쌍 및 제 3 쌍의 접촉자의 기판 연결부는 제 2 열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열은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제 1 열과 상이하고, 상기 제 2 쌍의 접촉자의 기판 연결부는 제 3 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열은 제 1 열 보다는 오히려 제 2 열로부터 떨어져 있고,
복수의 추가 접촉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면에서, 상기 추가 접촉자는 접촉자 어레이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접촉자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커넥터. -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쌍 및 제 3 쌍의 접촉자의 기판 연결부는 제 1 방향으로 2 개의 접지 접촉자의 기판 연결부들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쌍의 접촉자의 기판 연결부는 제 1 방향으로 2 개의 접지 접촉자의 기판 연결부들 내측에 위치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037321 | 2011-02-23 | ||
JP2011037321A JP5826500B2 (ja) | 2011-02-23 | 2011-02-23 | コネクタ |
JPJP-P-2011-224098 | 2011-10-11 | ||
JPJP-P-2011-224139 | 2011-10-11 | ||
JPJP-P-2011-224075 | 2011-10-11 | ||
JP2011224098A JP5813449B2 (ja) | 2011-10-11 | 2011-10-11 | リードフレーム及びコネクタ |
JP2011224139A JP2013084472A (ja) | 2011-10-11 | 2011-10-11 | コンタクト群及びコネクタ |
JP2011224075A JP5930272B2 (ja) | 2011-10-11 | 2011-10-11 | コネクタの製造方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4798A Division KR101534446B1 (ko) | 2011-02-23 | 2014-07-25 |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6887A KR20120096887A (ko) | 2012-08-31 |
KR101495399B1 true KR101495399B1 (ko) | 2015-02-24 |
Family
ID=466051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014200A KR101495399B1 (ko) | 2011-02-23 | 2012-02-13 |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
KR1020140094798A KR101534446B1 (ko) | 2011-02-23 | 2014-07-25 |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4798A KR101534446B1 (ko) | 2011-02-23 | 2014-07-25 |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4) | US8951050B2 (ko) |
KR (2) | KR101495399B1 (ko) |
CN (4) | CN102683941A (ko) |
CA (5) | CA2866429C (ko) |
DE (1) | DE102012202706A1 (ko) |
TW (1) | TWI54469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54215A (ja) * | 2010-09-03 | 2012-03-15 | Yazaki Corp | コネクタ |
EP2792027A4 (en) * | 2011-12-14 | 2015-09-09 | Intel Corp | EXTENSIBLE RATE CONNECTOR FOR HIGH BANDWIDTH GRAND PUBLIC APPLICATIONS |
CN202712528U (zh) * | 2012-06-05 | 2013-01-30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DE102012105508B4 (de) * | 2012-06-25 | 2016-11-10 |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 Stiftkontaktelement und Elektronikgehäuse |
JP5857892B2 (ja) * | 2012-07-03 | 2016-02-10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多極コネクタ |
CN202772376U (zh) * | 2012-08-29 | 2013-03-06 |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 连接器 |
TWI593199B (zh) * | 2013-01-08 | 2017-07-21 | 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 電連接器 |
JP5986012B2 (ja) * | 2013-02-18 | 2016-09-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 |
CN203367647U (zh) * | 2013-06-27 | 2013-12-25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105431982B (zh) * | 2013-07-29 | 2019-07-09 | Fci连接器新加坡私人有限公司 | 模块化插孔连接器和端子模块 |
JP6166154B2 (ja) * | 2013-11-08 | 2017-07-1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 |
US9853388B2 (en) * | 2013-11-27 | 2017-12-26 | Fci Americas Technology Llc | Electrical power connector |
CN203747161U (zh) * | 2014-01-14 | 2014-07-30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203871573U (zh) * | 2014-03-27 | 2014-10-08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组成的多层电连接器 |
US9520670B2 (en) * | 2014-09-23 | 2016-12-13 | Hubbell Incorporated | Tamper resistant receptacle |
KR102096432B1 (ko) * | 2014-09-25 | 2020-04-02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
DE102015007725B4 (de) * | 2015-05-27 | 2017-02-02 | Wabco Gmbh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
US10103060B2 (en) * | 2015-06-18 | 2018-10-16 | Globalfoundries Inc. | Test structures for dielectric reliability evaluations |
CN107851915B (zh) * | 2015-07-27 | 2021-03-09 |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 电连接器组件 |
KR20170027080A (ko) * | 2015-09-01 | 2017-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
EP3347950B1 (en) * | 2015-09-10 | 2020-08-12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for reducing cross-talk |
CN105406241B (zh) * | 2015-11-10 | 2019-02-1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制造方法 |
EP3501066B1 (en) | 2016-08-18 | 2021-08-18 | Samtec, Inc. | Direct-attach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6946042B2 (ja) * | 2017-04-20 | 2021-10-0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ケーブル接続用の立上部を有したケーブルコネクタと、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装置 |
EP3471220A1 (en) * | 2017-10-16 | 2019-04-17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Bent electric contact element with chamfered edge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
US10685909B2 (en) * | 2017-11-17 | 2020-06-16 | Infineon Technologies Ag | Power package having multiple mold compounds |
TWI650910B (zh) * | 2017-11-24 | 2019-02-11 | 維將科技股份有限公司 | 電連接器 |
TWM564839U (zh) * | 2018-02-14 | 2018-08-01 | 英豪科技股份有限公司 | 連接器 |
CN111106465B (zh) * | 2018-10-29 | 2022-06-24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110311242B (zh) * | 2019-06-21 | 2020-10-30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111525347B (zh) * | 2020-04-20 | 2021-06-18 |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 电连接器及连接器组合 |
CN114498199A (zh) * | 2020-11-13 | 2022-05-1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7492449B2 (ja) | 2020-12-17 | 2024-05-29 | ケル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218215695U (zh) * | 2022-07-05 | 2023-01-03 | 佳必琪国际股份有限公司 | 电连接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9527A (ko) * | 2004-06-03 | 2006-05-19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 기판 실장형 전기 커넥터 |
US20070149058A1 (en) | 2005-12-28 | 2007-06-2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in which a balance in physical distance between a ground contact and a pair of signal contacts can be maintained |
JP2008041656A (ja) | 2006-07-14 | 2008-02-2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JP2011009151A (ja) | 2009-06-29 | 2011-01-13 | Hosiden Corp | 多極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21458A (en) | 1978-09-08 | 1980-09-09 | Amp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
JPH0517816Y2 (ko) | 1987-03-24 | 1993-05-12 | ||
US5387114A (en) | 1993-07-22 | 1995-02-07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means for altering circuit characteristics |
JP3749290B2 (ja) | 1995-10-06 | 2006-02-22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ライトアングル型コネクタ |
US5628639A (en) | 1995-10-17 | 1997-05-13 | Honeywell Inc. | Electrical connector with different lead arrangements at its opposite ends |
JPH10261459A (ja) | 1997-03-19 | 1998-09-29 | Oki Densen Kk | 高速伝送用コネクタ |
US6350134B1 (en) * | 2000-07-25 | 2002-02-26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riad contact groups arranged in an alternating inverted sequence |
US6716073B1 (en) | 2002-10-02 | 2004-04-06 |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 Electrically connecting terminal structure |
JP4114867B2 (ja) | 2003-06-10 | 2008-07-0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シールド型電気コネクタ |
JP4190015B2 (ja) | 2005-11-02 | 2008-12-03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DE102007032787B8 (de) | 2006-07-14 | 2010-11-25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Elektrischer Verbinder sowie elektrische Komponente mit Kontaktanschlussabschnitten, die in einer allgemeinen Trapezform angeordnet sind |
US7591683B2 (en) * | 2007-06-07 | 2009-09-22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ontact terminal, extender with improved ground contact, and method for making the extender |
US7566247B2 (en) | 2007-06-25 | 2009-07-28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kew controlled leadframe for a contact module assembly |
CN201122731Y (zh) * | 2007-10-25 | 2008-09-24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4459273B2 (ja) | 2008-02-20 | 2010-04-2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201294322Y (zh) | 2008-09-08 | 2009-08-19 | 东莞长安旭竤电子制品厂 | Hdmi端子料带 |
JP4795444B2 (ja) | 2009-02-09 | 2011-10-19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0244901A (ja) * | 2009-04-07 | 2010-10-2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JP5285533B2 (ja) * | 2009-08-07 | 2013-09-11 | ホシデン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
JP5475361B2 (ja) | 2009-08-07 | 2014-04-16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バンパの導風構造 |
JP4828626B2 (ja) * | 2009-10-20 | 2011-11-3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503991B2 (ja) | 2010-02-03 | 2014-05-2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及び多段コネクタの組立方法 |
TWM383223U (en) | 2010-02-05 | 2010-06-21 | Wieson Technologies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5502576B2 (ja) | 2010-04-16 | 2014-05-28 | レンゴー株式会社 | 陳列パネル |
JP5528189B2 (ja) | 2010-04-17 | 2014-06-25 |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 使い捨ておむつ |
JP5525900B2 (ja) | 2010-04-20 | 2014-06-18 | 株式会社初田製作所 | 消火剤貯蔵容器及び蓄圧式消火器 |
JP5986012B2 (ja) | 2013-02-18 | 2016-09-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信号伝送方法 |
-
2012
- 2012-01-24 US US13/357,157 patent/US895105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2-09 CA CA2866429A patent/CA286642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2-09 CA CA2866434A patent/CA2866434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2-09 CA CA2866439A patent/CA286643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2-09 CA CA2767669A patent/CA276766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2-09 CA CA2866423A patent/CA2866423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2-13 KR KR20120014200A patent/KR1014953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2-17 CN CN2012100367986A patent/CN102683941A/zh active Pending
- 2012-02-17 CN CN2012200537484U patent/CN202888439U/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2-02-17 CN CN201410225106.1A patent/CN104022381A/zh active Pending
- 2012-02-17 CN CN2012206824482U patent/CN203103565U/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2-02-21 TW TW101105559A patent/TWI544696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2-22 DE DE102012202706A patent/DE102012202706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3
- 2013-09-09 US US14/021,123 patent/US889445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7-25 KR KR1020140094798A patent/KR1015344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9-02 US US14/474,949 patent/US9490589B2/en active Active
- 2014-10-20 US US14/518,048 patent/US945034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9527A (ko) * | 2004-06-03 | 2006-05-19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 기판 실장형 전기 커넥터 |
US20070149058A1 (en) | 2005-12-28 | 2007-06-2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in which a balance in physical distance between a ground contact and a pair of signal contacts can be maintained |
JP2008041656A (ja) | 2006-07-14 | 2008-02-2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コネクタ |
JP2011009151A (ja) | 2009-06-29 | 2011-01-13 | Hosiden Corp | 多極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866423C (en) | 2017-08-22 |
TW201240234A (en) | 2012-10-01 |
CN203103565U (zh) | 2013-07-31 |
CN102683941A (zh) | 2012-09-19 |
CA2866434C (en) | 2017-03-07 |
CN202888439U (zh) | 2013-04-17 |
CA2866429A1 (en) | 2012-08-23 |
CA2866429C (en) | 2017-02-28 |
KR101534446B1 (ko) | 2015-07-06 |
US8951050B2 (en) | 2015-02-10 |
US20150038013A1 (en) | 2015-02-05 |
CA2866434A1 (en) | 2012-08-23 |
CN104022381A (zh) | 2014-09-03 |
US9490589B2 (en) | 2016-11-08 |
US20140017961A1 (en) | 2014-01-16 |
CA2767669C (en) | 2015-05-26 |
CA2866439C (en) | 2017-01-24 |
US20140370728A1 (en) | 2014-12-18 |
US20120214351A1 (en) | 2012-08-23 |
US8894451B2 (en) | 2014-11-25 |
KR20140100924A (ko) | 2014-08-18 |
CA2767669A1 (en) | 2012-08-23 |
US9450343B2 (en) | 2016-09-20 |
DE102012202706A1 (de) | 2012-08-23 |
TWI544696B (zh) | 2016-08-01 |
CA2866439A1 (en) | 2012-08-23 |
CA2866423A1 (en) | 2012-08-23 |
KR20120096887A (ko) | 2012-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4446B1 (ko) |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 |
US10879635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0522948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JP3194225B2 (ja) | 改良された半田テールを有する端子を備えたカードエッジ電気コネクタ | |
KR102494901B1 (ko) |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 |
TW202143573A (zh) | 連接器組裝體 | |
KR20150031199A (ko) | 전기 커넥터 | |
KR101366944B1 (ko) | 리드 프레임, 접점 군을 제조하는 방법 및 커넥터 | |
EP2538498B1 (en) | Connector and signal line structure | |
KR20040108545A (ko) | 유동형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
CN216355126U (zh) | 电连接器和连接器组合 | |
CN112952427B (zh) | 电连接器及连接器组件 | |
KR101444431B1 (ko) |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
CN114765329A (zh) | 电连接器、连接器组合和制造电连接器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