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431B1 -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4431B1 KR101444431B1 KR1020120130464A KR20120130464A KR101444431B1 KR 101444431 B1 KR101444431 B1 KR 101444431B1 KR 1020120130464 A KR1020120130464 A KR 1020120130464A KR 20120130464 A KR20120130464 A KR 20120130464A KR 101444431 B1 KR101444431 B1 KR 1014444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metal piece
- receptacle
- receptacle connector
- twis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는, 전기 커넥터의 절연하우징에 설치되는 컨택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편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트위스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를 채용하여 협피치 및 초저배화를 실현시킨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컨택트의 수도 많아지고 컨택트의 협피치 및 저배화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리셉터클 컨택트(Receptacle Contact)(12)가 본체(11)에 배열된 리셉터클(10)과, 리셉터클(10)에 끼워지고 리셉터클 컨택트(12)와 일대일 접촉되는 플러그 컨택트(Plug Contact)(22)가 본체(21)에 배열된 플러그(20)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컨택트(12)와 플러그 컨택트(22)는 각각 리셉터클측 케이블과 플러그측 케이블과 연결되거나 회로기판에 실장된다. 리셉터클(10)에 플러그(20)가 끼워져서 리셉터클 컨택트(12)와 플러그 컨택트(22)가 상호 접촉하여 도통되었을 때 리셉터클측 케이블과 플러그측 케이블 또는 회로기판의 회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10)과 플러그(20)의 얼라인(Align)이 제대로 맞지 않은 상태로 체결될 경우 리셉터클 컨택트(12)와 플러그 컨택트(22) 간의 기계적, 전기적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치명적인 접속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리셉터클(10)의 네 귀퉁이 주변에는 플러그(10)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리셉터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돌기(13)가 구비된다. 가이드 돌기(13)는 절연성 수지를 이용한 리셉터클(10)의 성형시 리셉터클(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종래의 리셉터클(10)의 리셉터클 컨택트(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12a)와, 상기 제1 접촉부(12a)와 대면하도록 안쪽으로 밴딩된 제2 접촉부(12b)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리셉터클(10)에 플러그(20)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22)의 양측면은 상기 제1 접촉부(12a)와 제2 접촉부(12b)와 접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셉터클 컨택트(12)는 플러그(20)와의 접촉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밴딩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저배화의 실현을 위해 제1 접촉부(12a)의 높이(T1)와 제2 접촉부(12b)의 높이(T2)를 최대한 낮출 수 있도록 금속편을 밴딩 가공하는데 있어서, 밴딩 가공의 공정상의 한계로 인해 제1 접촉부(12a)의 밴딩 구간의 높이(T1)가 상기 제2 접촉부(12b)의 밴딩 구간의 높이(T2)만큼 낮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는 리셉터클 컨택트(12) 구조의 저배화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리셉터클 컨택트(12)의 제작을 위한 금속편은 밴딩 가공이나 컨택트의 납땜 실장 문제 등으로 인해 단면의 가로폭(W1)과 세로폭이(W2)이 상이한 직사각형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기판 실장을 위한 납땜의 용이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가로폭(W1)을 기준으로 밴딩 가공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가로측의 치수를 작게 설계하는데 제약이 있어 제품을 협폭으로 제작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에 트위스트 구조를 적용하여 협피치 및 초저배화가 가능하도록 한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는, 전기 커넥터의 절연하우징에 설치되는 컨택트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단면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편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트위스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택트는 상기 트위스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절연하우징 및 컨택트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로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단면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편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트위스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수평으로 상기 절연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상기 체결부의 가로폭 방향과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수직 연장부에 트위스트 변형된 트위스트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의 직선 부분을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에 상기 트위스트부를 형성하여 금속편의 직각 절곡 부분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이 U자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의 일단 부분을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에 상기 트위스트를 형성하여 금속편의 타단 부분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밴딩된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대면하도록 안쪽으로 밴딩된 제2 접촉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접촉부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과 상기 체결부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랫 케이블의 말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 구조를 갖는 플레이트 컨택트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및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마련된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와 면접촉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로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단면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편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트위스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수평으로 상기 절연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상기 체결부의 가로폭 방향과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접촉부에 트위스트 변형된 트위스트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이 일자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의 일부를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접촉부에 트위스트부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과 상기 접촉부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체결부가 양측에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가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접촉부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과 상기 체결부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절연하우징의 수용공간을 가로지르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는 인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 간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와 면접촉되어 전기적 체결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 간의 간격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의 두께를 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의 개수보다 적어도 하나 더 많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는, 일면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절연성을 갖는 절연면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는, 상기 접촉면에 오목하게 돌출된 접촉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에 트위스트 구조를 적용하여 컨택트의 금속편 구조의 치수 한계를 극복하여 협피치 및 저배화에 유리하다. 또한, 컨택트의 트위스트 구조를 통한 임피던스의 조절이 가능하여 커넥터의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구조 개선을 통해 협피치 및 초저배화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택트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택트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택트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택트(100)는 가로폭(W1)이 세로폭(W2)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편(1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편(101)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전기 컨택트(100)는 일반적인 전기 커넥터의 절연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컨택트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택트(100)는 가로폭(W1)이 세로폭(W2)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편(101)의 소정 위치에 화살표 방향으로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110)를 형성함으로써, 금속편(101)의 일단과 타단의 가로폭(W1)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한다는데 발명의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컨택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위스트부(110)를 기점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에는 상기 금속편(101)의 가로폭(W1) 방향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수평하게 하고,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기 금속편(101)의 가로폭(W1) 방향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수직하게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전기 컨택트(100)는 상기 트위스트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편(101)의 가로폭(W1)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는 상기 전기 컨택트(100)의 금속편(101)의 가로폭(W1) 방향이 인쇄회로기판에 수평하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과의 접합 면적을 넓게 하여 전기 컨택트(100)의 실장을 위한 납땜시 납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기 컨택트(100)의 금속편(101)의 가로폭(W1) 방향이 상대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접촉되는 부분에서는 수직하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피치 방향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협피치 설계에 유리한 장점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전기 컨택트(100)의 트위스트부(110)는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컨택트(100a)는 도 1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된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적용되는 리셉터클 컨택트(100a)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리셉터클 컨택트(12)를 도 4에 도시된 리셉터클 컨택트(100a)로 교체된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100a)는 가로폭(W1)이 세로폭(W2)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편(101a)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110a)를 형성함으로써, 금속편(101a)의 일단과 타단의 가로폭(W1)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한다는데 발명의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1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이 수평으로 절연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120a)와, 상기 체결부(120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30a)와, 상기 수직 연장부(130a)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이 상기 체결부(120a)의 가로폭(W1) 방향과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접촉부(140a)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120a)는 절연하우징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매립되며, 일부가 절연하우징의 밖으로 인출되어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0a)는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수평하게 되고, 이는 인쇄회로기판과의 접합 면적을 넓게 하여 전기 컨택트(100)의 실장을 위한 납땜시 납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 연장부(130a)는 상기 체결부(120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화살표 방향으로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110a)가 형성된다. 이는 수직 연장부(130a)로부터 연장된 접촉부(140a)의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이 상기 체결부(120a)의 가로폭(W1) 방향과 서로 상이하도록 한다. 또한, 수직 연장부(130a)에 형성된 트위스트부(110a)는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접촉부(140a)는 상기 수직 연장부(130a)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직 연장부(130a)에 형성된 트위스트부(110a)에 의해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이 상기 체결부(120a)의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과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부(140a)의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과 상기 체결부(120a)의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되게 되고, 이는 피치 방향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협피치 설계에 유리한 장점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140a)는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만들면서 플러그 컨택트가 삽입되었을 때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연장부(130a)로부터 하측으로 밴딩된 제1 접촉부(141a)와, 상기 제1 접촉부(141a)와 대면하도록 안쪽으로 밴딩된 제2 접촉부(142a)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 접촉부(141a)와 제2 접촉부(142a)의 높이(T)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초저배화를 위해 접촉부(140a)의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밴딩 가공의 공정상의 한계로 인해 제1 접촉부(141a)의 높이가 상기 제2 접촉부(142a)의 높이만큼 낮추기 어려웠던 문제를 상기 수직 연장부(130a)에 상기 트위스트부(110a)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수직 연장부(130a)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되어 밴딩 가공의 공정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기 제1 접촉부(141a)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됨으로써 실현되게 된다. 이는 리셉터클 컨택트(100a)의 초저배화 설계에 유리한 장점을 갖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100a)는 가로폭(W1)이 세로폭(W2)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편(101a)을 밴딩 가공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금속편(101a) 구조의 일 예로서, 상기 금속편(101a)은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101a)의 직선 부분을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120a)와 상기 수직 연장부(130a)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130a)에 트위스트부(110a)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편(101a)의 직각 절곡 부분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140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금속편(101a)는 U자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101a)의 일단 부분을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120a)와 수직 연장부(130a)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130a)에 트위스트부(110a)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편(101a)의 타단 부분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140a)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금속편(101a)의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인 트위스트부(110a)에 의한 금속편(101a)의 가로폭(W1)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베이스 기판(미도시)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랫 케이블(310)에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체결은 기존의 기판 대 플랫 케이블의 체결 구조와는 달리 기판 대 기판 커넥터 구조에서 상호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것과 마찬가지의 형태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300)가 플랫 케이블(31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기판 형태에 플러그 커넥터(300)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며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220)이 마련된 절연하우징(210)과, 상기 절연하우징(2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수용공간(22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리셉터클 컨택트(100b)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의 말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 구조를 갖는 플레이트 컨택트(40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컨택트(100b)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300)의 플레이트 컨택트(400)의 개수보다 적어도 하나 더 많은 개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셉터클 컨택트(100b)의 사이 공간에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가 삽입됨에 의해 전기적 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컨택트(100b)는, 가로폭(W1)이 세로폭(W2)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편(101b)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110b)를 형성함으로써, 금속편(101b)의 일단과 타단의 가로폭(W1)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한다는데 발명의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100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이 수평으로 상기 절연하우징(210)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120b)와, 상기 체결부(120b)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30b)와, 상기 수직 연장부(130b)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이 상기 체결부(120b)의 가로폭(W1) 방향과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접촉부(14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120b)는 절연하우징(210)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해 매립되며, 일부가 절연하우징(210)의 밖으로 인출되어 베이스 기판(미도시)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0b)는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이 베이스 기판에 수평하게 되고, 이는 베이스 기판과의 접합 면적을 넓게 하여 리셉터클 컨택트(100b)의 실장을 위한 납땜시 납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20b)는 양측에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상기 접촉부(140b)가 위치하는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체결부(120b)는 상기 절연하우징(210)의 수용공간(220)을 가운데 두고 양측에 대향되게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140b)가 한 쌍의 체결부(120b)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절연하우징(210)의 수용공간(22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결부(120b)가 절연하우징(210)의 한쪽에만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수직 연장부(130b)는 상기 체결부(120b)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40b)는 상기 수직 연장부(130b)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화살표 방향으로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110b)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120b)과 수직 연장부(130b)의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과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부(140b)의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과 상기 체결부(120b) 및 수직 연장부(130b)의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이 서로 직교되도록 형성되게 되고, 이는 피치 방향의 폭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협피치 설계에 유리한 장점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140b)에 형성된 트위스트부(110b)는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임피던스 매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100b)는 가로폭(W1)이 세로폭(W2)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편(101b)을 밴딩 가공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금속편(101b)은 일자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101b)의 일부를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120b)와 상기 수직 연장부(130b)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130b)로부터 연장된 상기 접촉부(140b)에 트위스트부(110b)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140b)의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과 상기 접촉부(140b)의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140b)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금속편(101b)의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인 트위스트부(110b)에 의한 금속편(101b)의 가로폭(W1)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300)의 플레이트 컨택트(400)는, 상기 플랫 케이블(310)의 말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 구조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리셉터클 컨택트(100b)가 상기 절연하우징(210)의 수용공간(220)을 가로지르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됨에 따라 형성되게 되는 인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100b) 간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전기적 접촉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는데 발명의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컨택트(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랫 케이블(310)의 말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 구조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는 일면에 상기 플랫 케이블(310)의 배선 패턴(320)과 연결되어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00b)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접촉면(410)과, 타면에 절연성을 갖는 절연면(4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인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100b) 간의 간격은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의 두께를 넘지 않도록 배열되고,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가 그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플레이트 컨택트(400)가 리셉터클 컨택트(100b)와 면접촉에 의한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의 접촉면(410)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접촉 돌기(411)가 형성되어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00b)와의 체결감과 전기적 접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전기적 체결이 이루어지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상부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300)를 위치시키는 단계(a)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100b)의 사이 공간에 플레이트 컨택트(400)를 끼워 넣어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단계(b)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200)의 사이 공간에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가 각각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를 수직 방향으로 하강시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200)의 사이 공간에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를 끼워 넣어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체결은 상기 플레이트 컨택트(400)의 접촉면(410)에 형성된 접촉 돌기(411)에 의해 체결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면서, 체결력을 향상시키게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전기적 체결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초저배화 설계에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100a, 100b : 컨택트 101, 101a, 101b : 금속편
110, 110a, 110b : 트위스트부
110, 110a, 110b : 트위스트부
Claims (20)
- 삭제
- 삭제
-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절연하우징 및 컨택트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로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단면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편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트위스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수평으로 상기 절연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상기 체결부의 가로폭 방향과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수직 연장부에 트위스트 변형된 트위스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의 직선 부분을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에 상기 트위스트부를 형성하여 금속편의 직각 절곡 부분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이 U자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의 일단 부분을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에 상기 트위스트를 형성하여 금속편의 타단 부분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밴딩된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와 대면하도록 안쪽으로 밴딩된 제2 접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삭제
-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과; 상기 플랫 케이블의 말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 구조를 갖는 플레이트 컨택트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 및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마련된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와 면접촉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복수개의 컨택트로 구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가로폭이 세로폭보다 상대적으로 긴 단면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편의 소정 위치에 트위스트 변형되는 트위스트부가 형성되어 상기 트위스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수평으로 상기 절연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상기 체결부의 가로폭 방향과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 접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접촉부에 트위스트 변형된 트위스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금속편이 일자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금속편의 일부를 밴딩 가공하여 상기 체결부와 상기 수직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접촉부에 트위스트부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과 상기 접촉부의 금속편의 가로폭 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여 상기 접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체결부가 양측에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가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절연하우징의 수용공간을 가로지르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배열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는 인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 간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와 면접촉되어 전기적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 간의 간격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의 두께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의 개수보다 적어도 하나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는,
일면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절연성을 갖는 절연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레이트 컨택트는,
상기 접촉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접촉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464A KR101444431B1 (ko) | 2012-11-16 | 2012-11-16 |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0464A KR101444431B1 (ko) | 2012-11-16 | 2012-11-16 |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285A KR20140063285A (ko) | 2014-05-27 |
KR101444431B1 true KR101444431B1 (ko) | 2014-09-24 |
Family
ID=5089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0464A KR101444431B1 (ko) | 2012-11-16 | 2012-11-16 |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443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13941A (ja) | 1998-09-30 | 2000-04-21 | Reichle & De Massari Ag | 電線を介して高周波デ―タを伝送するためのコネクタ |
-
2012
- 2012-11-16 KR KR1020120130464A patent/KR1014444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13941A (ja) | 1998-09-30 | 2000-04-21 | Reichle & De Massari Ag | 電線を介して高周波デ―タを伝送するための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3285A (ko) | 2014-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4446B1 (ko) |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 |
KR101816410B1 (ko)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
KR101816411B1 (ko) |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 |
US8979551B2 (en) |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 |
US8366453B2 (en) | Contact terminal having foothold arrangement capable of interlocking via of printed circuit board | |
TW201711312A (zh) | 基板連接用電連接器裝置 | |
JP4851510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8821178B2 (en) | Connector | |
CN112701511B (zh) | 电连接器 | |
KR20160080636A (ko) |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 |
JP5203029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7985080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uxiliary hold-down arrangement | |
JP5134943B2 (ja) | コネクタ | |
CN210489871U (zh) | 电连接器及其组合件 | |
KR101488892B1 (ko)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1488891B1 (ko)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 |
TWM267702U (en) | Card edge connector with position guider | |
US8574009B2 (en) | Compact electrical connector | |
KR101444431B1 (ko) | 트위스트 구조를 갖는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
US7938652B2 (en) |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 |
JP7283971B2 (ja) |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 |
KR102321920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 |
TWM249331U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 |
JP5473638B2 (ja) | 電気コネクタ | |
CN110718797A (zh) | 电连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