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483U -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483U
KR20090003483U KR2020070016476U KR20070016476U KR20090003483U KR 20090003483 U KR20090003483 U KR 20090003483U KR 2020070016476 U KR2020070016476 U KR 2020070016476U KR 20070016476 U KR20070016476 U KR 20070016476U KR 20090003483 U KR20090003483 U KR 200900034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guide rail
ji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7311Y1 (ko
Inventor
임창호
곽태옥
조기조
김진웅
윤영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6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31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3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maintaining flanges o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35Prelimina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관과 플랜지를 위보기 용접하고자 할 때 상기 플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위치를 설정하고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불량 방지 및 플랜지의 고정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최소인원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도 간편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배관(P)과 플랜지(F)를 위보기 용접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F)를 지지하는 지그에 있어서, 일측면에 레일홈(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부 플레이트(22) 및 하부 플레이트(23)가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가이드레일(20)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22)의 끝단부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배관(P)의 외주면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배관(P)에 평행하게 고정시키는 자석부(30)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레일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럭(41) 및 상기 블럭(41)의 일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20)과 수직방향이 되게 결합되는 플랜지 받침대(4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3)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회전시 상기 블럭(41)의 위치를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미세하게 조정하는 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관, 플랜지, 지그, 가이드레일, 자석부, 플랜지 받침대, 노브

Description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JIG FOR FLANGE SETTING OF A PIPING}
본 고안은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지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관과 플랜지를 위보기 용접하고자 할 때 상기 플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위치를 설정하고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불량 방지 및 플랜지의 고정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최소인원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도 간편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단부에 플랜지가 부착되는 배관을 모체에 관통시켜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배관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플랜지는 완전용접하고 타단부에 부착되는 플랜지는 가용접한다.
이후, 상기 배관을 모체에 설치할 때, 상기 가용접한 플랜지를 제거한 후 상기 플랜지가 제거된 배관의 단부가 상기 모체의 아래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관을 모체에 관통시켜 용접한 후, 상기 제거했던 플랜지를 다시 배관의 하단부에 부착하게 된다.
도 1은 배관과 플랜지를 위보기 용접하기 위해 종래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를 사용하여 플랜지를 부착위치까지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배관(P)의 상단부에 부착된 플랜지(F) 위에 고정바(2)를 걸쳐 놓고, 상기 고정바(2)의 중간에 체인블록(3)을 연결하여 상기 배관(P) 내부를 통해 배관(P) 밑으로 체인을 내린 다음, "T"자 형태의 앵글(4)을 상기 체인블록(3)에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T"자 앵글(4)에 플랜지(F)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체인블록(3)을 끌어 올리면서 플랜지(F)의 설치높이와 수평을 동시에 맞추어 배관(P)에 용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1)는, 상기 플랜지(F)를 지지하는 상기 "T"자 앵글(4)이 체인블록(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관(P)과 플랜지(F) 사이의 틈에서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고 체인블록(3)의 특성으로 미세조정이 어려워 상기 플랜지(F)를 고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F)의 높이와 수평을 맞춘 상태에서 플랜지(F)의 볼트홀의 방향을 조정해야 하는데 상기 플랜지(F)가 수평이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에 또다시 높이와 수평이 흐트러지게 되어 반복적인 작업을 하게 되고, 용접작업시 움직이게 되어 불량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관과 플랜지를 위보기 용접하고자 할 때 상기 플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위치를 설정하고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불량 방지 및 플랜지의 고정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최소인원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도 간편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관과 플랜지를 위보기 용접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는 지그에 있어서, 일측면에 레일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가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끝단부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배관에 평행하게 고정시키는 자석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럭 및 상기 블럭의 일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과 수직방향이 되게 결합되는 플랜지 받침대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회전시 상기 블럭의 위치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세하게 조정하는 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지그의 구조를 개선하여 배관과 플랜지를 위보기 용접하고자 할 때 상기 플랜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위치를 설정하고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접작업시 불량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의 고정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최소인원(1명)으로도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도 간편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는 상기 배관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배관의 하단부와 모체간의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이러한 거리 변경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를 사용하여 플랜지를 부착위치까지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10)는, 배관(P)의 하단부에 플랜지(F)를 위보기 상태로 용접하고자 할 때, 상기 플랜지(F)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부착위치를 설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그(10)로써, 가이드레일(20)과, 자석부(30)와, 플랜지 받침대(40)와, 노브(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홈(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부에는 상부 플레이트(2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하부 플레이트(23)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플레이트(22)(23)는 상기 가이드레일(20)과 직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20)의 일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22)가 하부 플레이트(23) 보다 길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3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22)의 끝단부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배관(P)의 외주면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배관(P)에 평행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자석부(30)는 일측에 ON/OFF 핸들(32)이 설치되어 상기 핸들(32)을 ON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만 내부에 설치된 자석(30a)이 전진하면서 상기 배관(P)에 부착되며, OFF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자석(30a)이 후진하여 상기 배관(P)에 부착되지 않는다. 참고로 상기 핸들(32)에 의해 ON/OFF되는 자석부(30)는 공지된 제품이다.
이러한 상기 자석부(30)를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배관(P)과 접촉하는 상기 자 석부(30)의 일측면에 "V"자 형태의 홈(31)을 추가로 형성하였다.
즉, 상기 "V"자 홈(31)에 의해 상기 자석부(30)를 배관(P)에 부착하게 되면, 자석부(30)의 양측이 원형 배관(P)의 외주면 두 지점에 안정적으로 밀착/지지되어 상기 자석부(30)와 배관(P)이 정확히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배관(P)과 항상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받침대(40)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레일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블럭(41)의 일측면에 일정 길이 돌출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 받침대(40)는 상기 가이드레일(20)과 수직방향이 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노브(5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3)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회전시 상기 블럭(41)의 위치를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미세하게 조정하게 된다.
즉, 상기 노브(5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3)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노브(5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노브(50)의 상단부가 상기 블럭(41)의 하단면과 접촉하면서 블럭(41)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블럭(41)의 일측면에 결합된 상기 플랜지 받침대(40)를 승하강 시키게 되면서 상기 플랜지 받침대(40)에 안착되는 플랜지(F)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30)에는 상기 지그(10)를 상기 배관(P)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자석부(30)와 배관(P)을 조여주는 파워벨트(6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자석부(30)의 부착력만으로도 상기 플랜지 받침대(40)에 올려진 대부분의 플랜지(F)를 지지할 수 있지만, 간혹 상기 지그(10)의 자석부(30)가 플랜 지(F)의 중량을 견디지 못하거나 상기 배관(P)의 도막이 두꺼워 자력이 약해지면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워벨트(60)를 이용하여 상기 자석부(30)를 배관(P)측에 조여주면 된다.
또한, 상기 자석부(30)에는 상기 파워벨트(60)를 설치하기 위한 "ㄱ"자 형태의 앵글(61)이 결합되어 상기 파워벨트(60)를 이용하여 상기 자석부(30)를 배관(P)측에 조일 때 상기 파워벨트(60)가 자석부(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측면에는 상기 플랜지 받침대(40)의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플랜지(F)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때 정확한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24)가 부착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플랜지 받침대(40)를 상승시켜 상기 플랜지(F)를 상기 배관(P)의 하단부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플랜지(F)의 삽입길이는 플랜지(F) 두께의 2/3 정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플랜지(F)를 상기 배관(P)의 하단부에 삽입할 때 상기 눈금자(24)를 보고 플랜지(F)의 삽입길이를 정확히 맞출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지그(10)는 상기 배관(P)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배관(P)의 하단부와 모체간의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이러한 거리 변경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가 상기 배관(P)의 측면에 상기 자석부(30)를 밀착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플랜지 받침대(40)를 위로 올려 상기 배관(P)의 하단면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상기 지그(10)가 상기 배관(P)과 수직/수평이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자석부(30)의 핸들(32)을 ON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그(10)를 배관(P)에 부착한다.
같은 방법으로 180° 반대방향에도 상기 지그(10)를 부착한다.
이후, 도 3과 같이, 상기 배관(P)의 하단면과 상기 플랜지 받침대(40)의 사이로 상기 플랜지(F)를 삽입하여 상기 플랜지 받침대(40) 위에 안착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플랜지 받침대(40)위에 플랜지(F)를 안착시킨 후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노브(50)를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 받침대(40)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플랜지(F)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측면에 부착된 눈금자(24)를 확인하여 기준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플랜지(F)를 부분용접하여 본 고안의 지그(10)를 이용한 플랜지(F) 고정작업을 완료한다.
도 1은 배관과 플랜지를 위보기 용접하기 위해 종래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를 사용하여 플랜지를 부착위치까지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를 사용하여 플랜지를 부착위치까지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플랜지 고정용 지그 20: 가이드레일
21: 레일홈 22: 상부 플레이트
23: 하부 플레이트 24: 눈금자
30: 자석부 31: "V"자 홈
32: 핸들 40: 플랜지 받침대
41: 블럭 50: 노브
60: 파워벨트 61: 앵글

Claims (4)

  1. 배관(P)과 플랜지(F)를 위보기 용접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F)를 지지하는 지그에 있어서,
    일측면에 레일홈(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부 플레이트(22) 및 하부 플레이트(23)가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된 가이드레일(20)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22)의 끝단부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배관(P)의 외주면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배관(P)에 평행하게 고정시키는 자석부(30)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레일홈(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블럭(41) 및 상기 블럭(41)의 일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20)과 수직방향이 되게 결합되는 플랜지 받침대(4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3)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회전시 상기 블럭(41)의 위치를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미세하게 조정하는 노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P)과 접촉하는 상기 자석부(30)의 일측면에는 "V"자 형태의 홈(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30)에는 상기 지그를 상기 배관(P)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자석부(30)와 배관(P)을 조여주는 파워벨트(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측면에는 상기 플랜지 받침대(40)의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플랜지(F)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때 정확한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자(24)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KR2020070016476U 2007-10-10 2007-10-10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KR200447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76U KR200447311Y1 (ko) 2007-10-10 2007-10-10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76U KR200447311Y1 (ko) 2007-10-10 2007-10-10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83U true KR20090003483U (ko) 2009-04-15
KR200447311Y1 KR200447311Y1 (ko) 2010-01-14

Family

ID=41289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476U KR200447311Y1 (ko) 2007-10-10 2007-10-10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3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687B1 (ko) * 2016-10-10 2017-03-09 주식회사 동현정밀 박막두께 금속 블레이드 가공용 cnc 자석지그
KR20210108709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다로 드릴형 천공기 고정장치
KR102469814B1 (ko) * 2022-05-31 2022-11-23 주식회사 다우리가전 벽걸이 텔레비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392B1 (ko) * 2017-08-30 2018-07-24 원복기 플랜지관 용접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랜지관 제조방법
KR102137426B1 (ko) 2018-12-28 2020-07-24 임태용 플랜지 용접용 플랜지 취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0495A (ja) * 1994-11-28 1996-06-11 Nippon Sanso Kk 接合部材仮付用治具
JPH08174282A (ja) * 1994-12-27 1996-07-09 Nittetsu Boshoku Kk 鋼管へのフランジ仮付け溶接装置
JP2001058290A (ja) 1999-08-20 2001-03-06 Marui:Kk 管端部フランジ直角取付け治具
KR200284902Y1 (ko) * 2002-05-22 2002-08-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고정용 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687B1 (ko) * 2016-10-10 2017-03-09 주식회사 동현정밀 박막두께 금속 블레이드 가공용 cnc 자석지그
KR20210108709A (ko) *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다로 드릴형 천공기 고정장치
KR102469814B1 (ko) * 2022-05-31 2022-11-23 주식회사 다우리가전 벽걸이 텔레비전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311Y1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311Y1 (ko)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JP4523869B2 (ja) 鋼管基礎杭の柱固定用部材設置方法及び柱固定用部材設置装置
JP4380429B2 (ja) 鋼管基礎杭のアンカーボルト設置方法及びアンカーボルト設置装置
JP2008267030A (ja) 建築構造用アンカーボルトサポート工法及び装置
KR20110001005U (ko) 센터 플랜지 높이조절용 지그
KR20120055963A (ko) 갑판의 안전 가드용 소켓 구조체 용접 지그 장치
JP7021067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CN210413145U (zh) 下梁安全钳支架焊接床
KR20150000448U (ko) 용접 변형 방지 장치
CN112828513A (zh) 钢板焊接用的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JP4807144B2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ゲージサポート部材
JP4928960B2 (ja) 共穴加工装置
JPS6013548Y2 (ja) 車体固定装置
CN218932896U (zh) 一种可调式梁片支座螺栓预埋定位装置
KR20120007485U (ko) 케이블 트레이 취부용 지그
JP7438821B2 (ja) アンカーボルト固定用治具
CN220576950U (zh) 一种铁画装裱辅助装置
KR100426261B1 (ko) 배관용접 보조장치
CN215146670U (zh) 一种钢结构施工用焊接装置
CN113909730B (zh) 一种井字形构架的组焊工艺方法
KR200157344Y1 (ko)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CN220118796U (zh) 一种建筑管道用对位安装固定装置
JP2005219645A (ja) 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の基礎構造
JPH0480192A (ja) マン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GB2469060A (en) Roof truss support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