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344Y1 -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344Y1
KR200157344Y1 KR2019960039870U KR19960039870U KR200157344Y1 KR 200157344 Y1 KR200157344 Y1 KR 200157344Y1 KR 2019960039870 U KR2019960039870 U KR 2019960039870U KR 19960039870 U KR19960039870 U KR 19960039870U KR 200157344 Y1 KR200157344 Y1 KR 200157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guide
support
curved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956U (ko
Inventor
문재규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2019960039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3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9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9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선파이프의 양측단에 각각 플랜지를 체결함에 있어서, 이의 조립을 위한 전용 조립장치를 구비하여 플랜지의 조립을 간편하고도 정확히 할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곡선 파이프의 형태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토록 하면서도 보울트 홀의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작업대의 상부에 고정식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이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힌지축으로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는 회전식 가이드레일과 상기 양가이드레일에 각각 안착구비되어 이를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면서 저면에 구름바퀴 및 상면에 체결홀에 지지축으로 체결되는 플레이트를 가지는 지지대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는 몸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핸들의 작동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를 가지는 스크류봉과 상기 스크류봉의 각나사부에 체결되고 전면에 전면판의 안내공을 통해 돌출되어 승강작동되는 체결핀을 가지는 보스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지그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착되었고 플레이트의 저면에 구름바퀴를 가지면서 상부에는 지지대에 의해 구비되는 한쌍의 받침로울러가 구비되는 안내지그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본 고안은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 파이프의 양측단에 각각 플랜지를 체결함에 있어서, 이의 조립을 위한 전용 조립장치를 구비하여 플랜지의 조립을 간편하고도 정확히 할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곡선 파이프의 형태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토록 하면서도 보울트 홀의 수평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선 파이프는 사용용도에 따라서 양측단에 각각 플랜지를 용접으로 조립하게 되는데, 이의 플랜지는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또는 곡선 파이프를 다른 물체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플랜지는 대체적으로 원판형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는 체결보울트를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보울트 홀이 필연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플랜지를 곡선 파이프의 양측단에 각각 조립하기 위하여서는 플랜지상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체결공을 상호 일치시킨 상태에서 용접의 방법으로 조립하게 되는데, 지금까지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플랜지 조립방법은 대체적으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를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작업대에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안착시킨 상태에서 파이프의 일측단에 플랜지를 접면시키고, 별도의 수평기를 이용하여 보울트 홀의 수평을 맞춘다음, 용접의 방법으로 먼저 가접을 함과 동시에 타측 플랜지도 동일한 방법으로 가접을 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같이 가접이 완료되어 수평이 맞게되면, 플랜지를 최종적으로 완전하게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랜지 조립구성에 있어서는 모든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의 능률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정확한 위치에 플랜지를 조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플랜지를 작업자가 잡고 가접을 하게 됨과 동시에 직각자등으로 이루어지는 수평기를 이용하여 플랜지 보울트 홀의 수평을 맞추어야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고, 더우기 플랜지의 자체중량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성에도 상당한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다.
특히, 파이프가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작업시 이의 파이프를 고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과 더불어 플랜지에 파이프의 끝단을 삽입하기가 어려운점등 그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곡선 파이프의 양측단에 플랜지를 조립함에 있어서 별도의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고도 손쉬운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정확한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을 할수 있도록 하는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지그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지그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4는 본 고안 지그의 구성을 보인 정면구성도
도5는 본 고안 안내지그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대 (11),(12) : 가이드레일
(13) : 힌지축 (14) : 눈금
(20),(30) : 지그 (21),(42) : 구름바퀴
(22),(43) : 지지대 (23) : 체결홀
(24) : 지지축 (25),(41) : 플레이트
(26) : 몸체 (27) : 전면판
(28),(29) : 안내공 (31) : 스크류봉
(32) : 브라켓트 (33) : 핸들
(34),(35) : 보스 (36),(37) : 체결핀
(40) : 안내지그 (44),(45) : 받침로울러
(51) : 손잡이
이러한 목적은 곡선파이프의 플랜지를 조립하기 위한 전용 조립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바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관한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이의 도면중 부호 10은 작업대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작업대(10)의 상부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1)(12)이 직각방향으로 교차되게 구비되어 있고, 일측 가이드레일(11)은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측 가이드레일(12)은 모서리부에서 힌지축(13)으로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 가이드레일(12)의 측면에는 눈금(14)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부호 20과 30은 상기한 한쌍의 가이드레일(11)(12)에 각각 안착되어 이에 지지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고정식 지그 및 이동식 지그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식 지그(20)는 고정된 가이드레일(11)에 안착되는 것이고, 이는 편이상 고정식이라 하지만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이동되어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이동식 지그(30)는 회동작동되는 타측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양지그(20)(30)는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여기서는 그 하나만을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부재는 동일 부호로 표시하기로 한다.
상기 지그(20)(30)는 가이드레일(11)(12)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저면에 구름바퀴(21)를 가지는 지지대(22)와, 이의 지지대(22)의 상면 체결홀(23)에 지지축(24)으로 체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되는 플레이트(25)와, 상기 플레이트(25)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2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6)의 전면에는 전면판(2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27)의 중심에는 상, 하 안내공(28)(29)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의 후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스크류봉(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봉(31)은 하부의 브라켓트(32)에 지지되어 공회전 작동되는 것이고, 그 상부에는 핸들(33)이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중심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는 서로다른 방향으로 나사산, 즉,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에는 각각 보스(34)(35)가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이의 보스(34)(35)의 전면에는 전면판(27)의 안내공(28)(29)을 통해 전면으로 돌출되는 체결핀(36)(37)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33)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스크류봉(31)이 브라켓트(32)에 지지된채로 회전작동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왼나사부 및 오른나사부에 각각 나사체결된 보스(34)(35)가 승강작동됨으로써 안내공(28)(29)에 각각 체결된 체결핀(36)(37)이 상, 하 승강작동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핀(36)(37)이 승강작동되면서 상호 오므라 들었다 줄었다 하는 것은 플랜지의 크기에 따라 보울트홀의 간격에 맞추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면중 부호 40은 가이드레일(11)에 설치되어 파이프(1)를 잡아주도록 하는 파이프 안내지그를 표시하고 있고, 이는 첨부도면의 도5에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의 안내지그(40)는 플레이트(41)의 저면에 구름바퀴(42)를 가지면서 상부에는 지지대(43)에 의해 구비되는 한쌍의 받침로울러(44)(45)가 구비되어 있고, 이의 받침로울러(44)(45)는 공회전 작동되면서 파이프(1)의 저면을 양측에서 받쳐주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중 미설명부호 (38)은 양지그(20)(30)의 후단에 구비되어 지그(20)(30)의 후진작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밀림부재를 표시하고 있고, (39)는 눈금표시구를 표시하고 있으며, 또한, (51)은 손잡이를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곡선형 파이프(1)의 양측단에 각각 플랜지(2)를 조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이를 사용시에는 양측 가이드레일(11)(12)상에 각각 지그(20)(3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곡선 파이프의 각도에 따라 일측 가이드레일(12)의 각도를 맞추어야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2)은 힌지축(13)을 지지점을 회동작동됨으로서 곡선파이프(1)의 각도를 따라 그 각도를 조절하고, 양지그(20)(30)의 사이에 안내지그(40)을 안착시켜 이의 받침로울러(44)(45)들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지그(20)의 전면판(27) 안내공(28)(29)을 통해 돌출되는 양측체결핀(36)(37)에 플랜지(2)의 보울트홀(3)을 삽입하여 플랜지(2)를 체결한다.
계속해서 곡선파이프(1)를 안내지그(40)의 양받침로울러(44)(45)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를 전진시켜 그 끝단을 고정지그(20)에 체결된 플랜지(2)의 중심공으로 삽입하고, 상대편, 즉 이동지그(30)의 양체결핀(36)(37)에 전술한 방법으로 다른 플랜지(2)를 체결한 상태에서 이의 지그(30)를 곡선파이프(1)의 타측단으로 전진시켜 플랜지(2)의 중심공을 곡선파이프(1)에 삽입체결한다.
이때 상기 곡선파이프(1)에 플랜지(2)의 중심공이 잘들어가지 않으면, 지그(30)를 회전시키면서 삽입하면 되는 것이고, 또한, 이송지그(30)를 가이드레일(12)상에 구비되는 눈금(14)에 맞추어 치수를 확인한 후 그 후면의 스톱퍼로서 유동없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셋팅이 완료되면 용접의 방법으로 곡선파이프의 양측단에 각각 플랜지(2)를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곡선파이프의 형태에 따라 일측 가이드레일(12)의 설치각도를 회전시킬 수가 있고, 또한 이의 가이드레일(12)에 안착되는 지그(30)를 회전구동 시킬수가 있음으로써 곡선파이프의 형태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가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곡선파이프가 아니고 직선파이프의 플랜지를 연결할 시에는 양가이드레일(11)(12)을 일직선상으로 구비할 수도 있기 때문에 곡선파이프 뿐만아니라 직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시에도 적용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곡선파이프의 양측단에 조립되는 플랜지의 보울트홀의 수평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맞출수가 있음은 물론이고, 동일한 작업을 계속해서 행할 시 그 길이의 칫수를 정확히 맞출 수가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며, 또한, 종래에 비해 많은 공정수가 줄어들게 됨은 물론 오차발생을 최소화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곡선 파이프 양측단에 플랜지를 조립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작업대(10)상에 고정식 가이드 레일(11)과 이와 직각 방향으로 힌지축(13)으로 체결되는 회전식 가이드 레일(12)을 설치하고 전면판(27)의 안내공(28)(29)에 돌출 설치된 체결핀(36)(37)의 보스(34)(35)에 스크류봉(31)을 삽입 설치하여 핸들(33)에 의해 작동되는 몸체(26)를 장착한 플레이트(25)의 지지축(24)을 구름바퀴(21)를 구비한 지지대(22)의 체결홀(23)에 삽입 설치한 지그(20)(30)를 상기 각각의 레일(11)(12)에 탑재시키고, 가이드 레일(11)상에는 구름바퀴(42)를 구비한 플레이트(41)상에 지지대(43)에 의해 한쌍의 받침 로울러(44)(45)를 지지하는 안내지그(40)를 안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KR2019960039870U 1996-11-13 1996-11-13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KR200157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870U KR200157344Y1 (ko) 1996-11-13 1996-11-13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870U KR200157344Y1 (ko) 1996-11-13 1996-11-13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56U KR19980026956U (ko) 1998-08-05
KR200157344Y1 true KR200157344Y1 (ko) 1999-09-15

Family

ID=1947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870U KR200157344Y1 (ko) 1996-11-13 1996-11-13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3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8993B (zh) * 2021-09-03 2024-05-28 中国建筑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管段法兰焊接对孔装置及使用方法
CN116586875A (zh) * 2023-07-03 2023-08-15 安徽江淮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洗车管道法兰焊接定位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56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4348A (en) Adjustable clamping stand for supporting automobile panels
EP0262208A1 (en) DEVICE FOR MOUNTING A RAIL OR THE LIKE ON A SURFACE.
US6322063B1 (en) Clamping device for workpieces
KR200157344Y1 (ko) 곡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CN109290780B (zh) 一种自动拧紧机
KR200447311Y1 (ko)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CN219169745U (zh) 一种凹形柱切割夹具
CN109655018B (zh) 一种压缩机壳盖预装平整度检测及调整机构
CN216151602U (zh) 节能、轻量化车架焊接工装
CN213580698U (zh) 多维光源及应用多维光源的胶路检测机
KR200148847Y1 (ko) 직선파이프의 플랜지 조립장치
JPH0480192A (ja) マン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CN219444823U (zh) 一种丝杠精度检测夹具
CN219212305U (zh) 一种用于管材切割的辅助调节装置及切割机
CN211738866U (zh) 一种防止路灯倾斜的路灯安装设备
CN217780670U (zh) 一种用于调整线agv接车位置的自动旋转装置
JPH07171697A (ja) 鉄骨柱組付台の仕口固定装置
CN220612798U (zh) 一种钢构焊接用辅助座
JP2873767B2 (ja) 粘着テープ等の裁断装置
CN115055898B (zh) 一种焊接治具
CN115179213A (zh) 一种有效缩小遮挡面积的工件测量台用固定夹具
JP3035009B2 (ja) 切断装置
JPH0679566A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の位置決め支持装置
CN211761362U (zh) 一种用于装配阀门和阀门支架的工装夹具
JP2000301476A (ja) 配管据付用仮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