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261B1 - 배관용접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접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261B1
KR100426261B1 KR10-2001-0088990A KR20010088990A KR100426261B1 KR 100426261 B1 KR100426261 B1 KR 100426261B1 KR 20010088990 A KR20010088990 A KR 20010088990A KR 100426261 B1 KR100426261 B1 KR 100426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se
angle
fastened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533A (ko
Inventor
김윤근
Original Assignee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2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maintaining flanges on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작업의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이고 작업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단관 가접시 정확한 용접각도와 수평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배관용접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평판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한 쪽은 수직하게 입설되고, 또 다른 한 쪽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형성되며, 각 일측에 제1,2 각도 조절대를 갖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각도에 따라 제1,2 각도 조절대에 고정되어 배관의 규격별로 배관 플랜지가 체결되는 한 쌍의 원형판과; 상기 베이스에 입설되면서 원형판에 체결되는 배관플랜지의 단관 높이를 조절하는 배관높이 조절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 되는 한 쪽의 지지프레임를 이송시킬 수 있는 리드 스크류가 장착된 조절핸들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원형판에 배관을 체결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배관용접 보조장치{Piping welding support equipement}
본 발명은 배관 용접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관 작업의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이고 작업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단관 가접시 정확한 용접각도와 수평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배관용접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작업에 있어 단관 제작 시 가장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정확한 각도와 수평유지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확한 각도와 수평유지를 위해 평상시 단관제작 작업의 경우 철판이나빔(H-beam) 등 피고정체에 플랜지 또는 파이프를 가접하여 고정한 후 배관 취부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으로는 정확한 각도 및 수평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필요이상의 보조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단관에 양측으로 플랜지를 취부하는 경우, 한쪽 플랜지 취부시 보조자는 식각지 및 체크 라인을 잡아주어야 하며, 배관사는 각도를 체크하고 나머지 플랜지 취부 시에도 보조자가 먼저 취부 된 플랜지의 수평 및 체크라인을 잡게 되며 배관사는 플랜지에 체크라인 하여 수평으로 대칭이 유지되면 용접사는 가접하게 된다.
가접시 또한 아크로 인해 가접이 끝날 때 까지 단관의 대칭유지가 뉘지 않으며 그로인해 실제단관 제작 시나 제작 후 현장설치시 단관의 수정작업이 빈번하게 발생되며 그로인한 인력손실 및 품질저하를 막을 수가 없었다. 참고적으로 정상적으로 순조롭게 진행되는 작업의 경우라도 하나의 단관제작 공정에는 8회의 대칭 체크 및 2회 이상의 길이체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관의 용접 시 정확한 용접각도와 수평유지를 위해 피고정체에 플랜지 또는 파이프를 가접하여 고정한 후 고정체와 피고정체가 서로 정확하게 수평으로 용접되도록 고정체와 피고정체를 가접하고 있으나, 가접이 끝날 때까지 고정체와 피고정체의 수평을 유지하기가 어려워 여러 번 용접각도와 수평유지를 측정한 다음 용접을 수행해야 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관 용접이 고정체와 피고정체가 항상 일정하게 수평을 유지하게 하여 정확한 용접 각도로 용접되어 적은 인원으로도 쉽게 용접작업을 수행시킬 수 있는 배관용접 보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용접에 따른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수평 및 각도 체크가 쉽고 고정유지가 가능하여 배관의 용접작업 정확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작업의 단순화로 인하여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줄이면서도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관용접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평판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한 쪽은 수직하게 입설되고, 또 다른 한 쪽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형성되며, 각 일측에 제1,2 각도 조절대를 갖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각도에 따라 제1,2 각도 조절대에 고정되어 배관의 규격별로 배관 플랜지가 체결되는 한 쌍의 원형판과; 상기 베이스에 입설되면서 원형판에 체결되는 배관플랜지의 단관 높이를 조절하는 배관높이 조절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 되는 한 쪽의 지지프레임를 이송시킬 수 있는 리드 스크류가 장착된 조절핸들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원형판에 배관을 체결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한 쌍의 원형판 전면에는 배관의 규격별로 배관 플랜지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볼트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관 높이 조절대를 형성하되, 양측으로 스크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나사를 따라 이송하여 단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볼트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단관을 받칠 수 있는 받침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도안은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조절대를 형성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판의 원주방형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각도 조절홈이 길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접 보조장치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11: 가이드레일
15: 리드스크류 20(21): 지지프레임
26(27): 제1,2 각도 조절대 30(31): 원형판
40: 배관 높이 조절대 50: 단관
51: 배관 플랜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 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접 보조장치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접 보조장치에 배관플랜지가 설치된 것을 보인 예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 보조장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입설되고 배관플랜지(51)를 체결하는 한 쌍의 원형판(30)(31)과, 상기 원형판(30)(31)이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원형판(30)(31)을 각도에 따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2 각도조절대(26)(27)를 갖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0)(21)과, 상기 베이스(10)에 입설되고 단관(5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배관 높이 조절대(40)와, 상기 원형판(30)(31)에 체결되는 단관(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각도조절대(26)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리드스크류(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부품이 설치되어 동작되는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하되, 그 상부 일측에는 지지프레임(20)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11)을 일정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며, 그 외 베이스(10)의 상측에는 장치들이 입설 될 수 있도록 체결공(13)들이 다수개 천공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에 입설되고 규격별 배관 플랜지(51)를 체결하는 한 쌍의 원형판(30)(31)을 형성하되, 상기 원형판(30)(31)의 전면부에는 배관플랜지(51)를 볼트 체결할 수 있는 볼트 체결홈(33)을 다수개 형성하며, 그 원주방향의 일측 테두리에는 일방으로 돌출되는 원형판(30)(31)의 각도를 조절하여 각도 조절대(26)(27)에 고정시킬 수 있는 각도 위치 조절편(35)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도 위치 조절편(35)에는 위치 고정볼트(39)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37)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지지프레임(20)(21)에 제1 및 제2 각도 조절대(26)(27)를 형성하되, 제1 각도 조절대(26)의 상측으로는 원형판(30)(31)이 고정되는 지지대(23)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베이스(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가이드 될 수 있는 가이드대(25)를 형성하며, 그 일측편에는 원형판(30)(31)의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는 각도 조절대(26)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대(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판(30)(31)의 원주방형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각도 조절홈(26a)(27a)을 길게 각각 형성하게 된다.
더불어, 지지프레임(21)에도 지지대(23)와 제2 각도 조절대(27)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10)에 입설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제1 각도 조절대(26)를 갖는 지지프레임(20)은 이송이 가능하고, 제2 각도 조절대(27)를 갖는 지지프레임(21)은 한 곳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가이드 대(25)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15)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4)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14)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가이드레일(11) 상에서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는 리드 스크류(15)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프레임(20)을 베이스(10)상에서 길이를 조절하여 가이드 시킬 수 있도록 조절핸들(17)을 일단에 형성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원형판(30)(31)을 지지대(23)에 설치 및 고정하는 센터볼트(29)를 형성하며, 파이프나 엘보를 수평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받침대(45)를 갖는 배관 높이 조절대(4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관 높이 조절대(40)의 양측으로 스크류나사(41)를 형성하며, 그 상측에는 나사부를 따라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조절볼트(43)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 높이 조절대(40)는 베이스(10)에 돌출된 돌기(14)에 수직으로 입설하게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전후좌우 각도를 체크할 수 있는 체크라인은 베이스(10)에 별도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설치되며, 가이드레일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가이드 및 가이드레일을 보호할 수 있게 설치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관용접 보조장치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이 장치들이 베이스(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되는 배관프랜지(51)의 길이폭 만큼 제1 각도 조절대(26)를 갖는 지지프레임(20)을 가이드 레일(11)를 따라 이송시킨 상태에서 배관플랜지(51)를 한 쌍의 원형판(30)(31)의 사이에 볼트(53)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배관플랜지(51)를 원형판(30)(31)의 양측으로 체결한 상태에서 원형판(30(31)의 각도 위치 조절편(35)을 각 지지프레임(20)(21)에 형성된 제1,제2 각도 조절대(26)(27)의 가이드 홀(26a)(27a)을 따라 적당한 위치로 원형판(30)(31)을 회전시켜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이다.
그 후에 배관 높이 조절대(40)를 이용하여 배관플랜지(51)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맞추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체크라인을 통하여 배관 플랜지(51)의 수직 수평을 체크한 후 용접 작업에 들어감으로써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기존의 불필요한 작업공정을 개선하여 1-2명의 작업자가 쉽게 단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단관제적용 장비로서 플랜지 체결시 각도유지가 수월하며, 양쪽으로 대칭하여 체결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며, 체결된 두 플랜지의 볼트홀이 대칭되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배관길이 방향으로 원형판을 설치한 가이드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가이드레일과 리드 스크류를 설치하였다.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자키볼트를 설치하며 수평유지가 가능하다. 엘보의 수직을 유지하기 위한 지배관 높이 조절대를 설치하였으며, 베이스의 좌.우에 체크라인을 고정 설치함으로써, 보조자 없이 각도를 체크할 수 있다. 삽입시 플랜지 취부시 파이프와 플랜지면(가스켓면) 용접부 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장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 보조장치는, 배관단관 제작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평 및 각도 체크가 쉽고 고정유지가 가능하며 그로인해 불핑요한 인력낭비를 줄이며 가접시 아크로 인한 작업자의 눈과 얼굴의 화상을 방지하며 배관사의 움직임으로 인한 오 작업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누구나 배관작업의 기본절차만 숙지하여도 능률적인 단관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일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평판형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한 쪽은 수직하게 입설되고, 또 다른 한 쪽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형성되며, 각 일측에 제1,2 각도 조절대를 갖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각도에 따라 제1,2 각도 조절대에 고정되어 배관의 규격별로 배관 플랜지가 체결되는 한 쌍의 원형판과;
    상기 베이스에 입설되면서 원형판에 체결되는 배관플랜지의 단관 높이를 조절하는 배관높이 조절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드 되는 한 쪽의 지지프레임를 이송시킬 수 있는 리드 스크류가 장착된 조절핸들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원형판에 배관을 체결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접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원형판 전면에는 배관의 규격별로 배관 플랜지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볼트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 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배관 높이 조절대를 형성하되, 양측으로 스크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나사를 따라 이송하여 단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볼트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단관을 받칠 수 있는 받침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 보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조절대를 형성하되, 그 길이방향을 따라 원형판의 원주방형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각도 조절홈이 길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 보조장치.
KR10-2001-0088990A 2001-12-31 2001-12-31 배관용접 보조장치 KR100426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990A KR100426261B1 (ko) 2001-12-31 2001-12-31 배관용접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990A KR100426261B1 (ko) 2001-12-31 2001-12-31 배관용접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533A KR20030058533A (ko) 2003-07-07
KR100426261B1 true KR100426261B1 (ko) 2004-04-08

Family

ID=3221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990A KR100426261B1 (ko) 2001-12-31 2001-12-31 배관용접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3667A (zh) * 2013-08-16 2013-12-11 苏州市合昌电器有限公司 焊接用定位装置
CN114850755A (zh) * 2022-04-19 2022-08-05 浙江永展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法兰焊接定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3135U (ko) * 1975-11-06 1977-05-10
JPS62105787U (ko) * 1985-12-24 1987-07-06
JPH0381293U (ko) * 1989-12-11 1991-08-20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3135U (ko) * 1975-11-06 1977-05-10
JPS62105787U (ko) * 1985-12-24 1987-07-06
JPH0381293U (ko) * 1989-12-11 1991-08-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533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3982B2 (ja) 案内レールの取り付け方法
US61963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guide rails
KR101158460B1 (ko) 기계용접장비 정렬용 대형배관의 동심도 정렬지그
JP2010260092A (ja) 溶接フランジ取付工具
US3945749A (en) Clamping apparatus for supporting a machining device
KR100426261B1 (ko) 배관용접 보조장치
JPH1034385A (ja) レーザ光を用いた配管組立治具
KR200447311Y1 (ko) 배관의 플랜지 고정용 지그
CN106378578A (zh) 一种管件点焊夹具
KR20160147570A (ko) 철재빔 홀 가공 드릴용 고정장치
JP4273854B2 (ja) 支障物限界測定装置の架台
JP2008267030A (ja) 建築構造用アンカーボルトサポート工法及び装置
CN213003575U (zh) 一种管道组对专用工具
CN211949680U (zh) 一种确保穿梁套管精准预埋的辅助装置
CN218031817U (zh) 一种可调节吊架
CN212455993U (zh) 一种土木工程用测量装置
CN219925764U (zh) 一种用于管路组对的工装
CN219240877U (zh) 一种施工现场用可调节龙骨安装偏差的连接系统
JP2530550B2 (ja) 自動車の鈑金修理における測定基準点間の測定方法
CN212561212U (zh) 一种桥梁防撞栏杆安装工具
KR200284902Y1 (ko) 배관 고정용 지그
CN218517893U (zh) 一种人防门门框焊接架
KR200269650Y1 (ko) 가공지선 분리용 고정블록
EP0786374A1 (en) Fixing unit for a lifting device applicable to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members of a vehicle frame
WO2016133051A1 (ja) レーザ照射装置設置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