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488A -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및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및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488A
KR20080108488A KR1020087023525A KR20087023525A KR20080108488A KR 20080108488 A KR20080108488 A KR 20080108488A KR 1020087023525 A KR1020087023525 A KR 1020087023525A KR 20087023525 A KR20087023525 A KR 20087023525A KR 20080108488 A KR20080108488 A KR 20080108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mide
gel
monomer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517B1 (ko
Inventor
히로요시 타나카
슈이치 사사하라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52Polymer derived only from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62Polymer derived from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acrylic or alkacrylic group or the nitrile or amide derivative thereof [e.g., acrylamide, acrylate est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1Protect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39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with release or antistick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로 형성되고, 상기중합체가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단독중합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알콕시알킬기기를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 단량체 전량의 5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Description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및 점착 테이프{HIGH-STRENGTH ADHESIVE POLYMER GEL AND ADHESIVE TAPE}
본 발명은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및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및 점착 테이프는 생체용 재료, 의료재료, 위생재료, 공업용 재료 등으로 폭넓게 사용 가능하다.
최근, 고분자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고분자겔이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고분자겔은 주로 하이드로겔과 오가노겔의 2종류로 분류된다.
하이드로겔은 예를 들면 바이오 메디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콘택트렌즈로 대표되는 생체적합 재료나, 창상피복제나, 심전계나 저주파치료기와 생체를 접속하기 위한 생체 전극용의 도전성 점착제 등의 원료로서 하이드로겔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생체용 점착제에서는 피부자극을 저감화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점착제로부터 고분자겔 타입의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지는 점착제를 채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또, 하이드로겔은 바이오 메디컬 분야 이외에도 공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은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하는 특수 점착 테이프나 전지재료, 감열 응답성과 같은 자극 응답성을 이용한 각종 센서, 점탄성을 이용한 방진재 나 내진보강용 점착제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오가노겔로서는 생체 또는 특수 점착 테이프에 사용할 수 있는 가교 폴리아크릴에스테르의 매트릭스에 지방족 에스테르류와 같은 가소제를 함유시킨 겔, 전지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을 골격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겔, 알킬렌카보네이트와 같은 용매를 함유한 겔, 폴리우레탄겔, 파라핀을 가소제로 한 스티렌-에틸렌계 겔 등이 존재한다.
최근, 새롭게 고분자겔을 광학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PDP, 액정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등의 스페이서로서 고분자겔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PDP는 패널과 광학필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서 광학필터와 패널 사이에 공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공극은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의 반사에 의한 이중 비침 현상의 원인이 되고, 이 현상이 화질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종래의 PDP에는 있다.
그래서, 방진성, 완충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점착성의 컨트롤도 가능한 고분자겔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착안되고 있다. 즉 패널과 광학필터를 고분자겔로 부착하는 것만으로, 패널과 광학필터의 접착고정과, 패널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덧붙여서, 고분자겔로 충전됨으로써, 화질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지의 겔은 몇 개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은 대량의 물을 포함하고 있고, 전자재료와 직접적으 로 접촉하면, 전기회로를 쇼트시킨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용도에서의 하이드로겔의 실용은 곤란하다. 또 하이드로겔은 상온이나 체온부근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는 안정적이다. 그러나, 고온에 노출되면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수지의 가수분해가 촉진되며, 한편, 극저온에 노출되면 얼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하이드로겔은 내구성이 우려되고 있다.
한편, 오가노겔은 충분한 점착성을 가지지 않고 있다.
점착성은 오가노겔 중의 수지의 가교밀도를 낮게 설정하고, 겔 그 자체를 부드럽게 함으로써 올릴 수 있다. 또, 오가노겔은 얇게 하면 할수록, 가교밀도를 더욱 낮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오가노겔의 가공성이 저하되고, 두께 정밀도가 저하한다. 정밀도의 저하를 보충하기 위해서, 지지체나 중간기재 등의 부재를 사용해서 오가노겔을 보강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보강재를 사용하면 투명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보강재는 특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로 제한되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59808호(특허문헌 1)에는 패널과 광학필터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투명하며, 완충성을 가지는 겔상의 점착제가 제안되고 있다. 이 공보에 의하면 패널과 광학필터를 부착하는 점착제로서,
(1) 삼차원 가교 폴리머가 가소제 및 무기미립자를 함유하는 액체로 팽윤해서 이루어지는 투명한 겔이고,
(2) 응고점이 -20℃ 이하의 액체상의 가소제를 20∼70중량% 함유하고,
(3) 1차 평균입경이 200㎚ 이하의 무기미립자를 1∼15중량% 함유하고,
(4) 삼차원 가교 폴리머를 구성하는 수지(가교하기 전의 수지)가 -20℃ 이하의 유리전이온도(Tg), 50000 mPa·s이상의 130℃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를 가지는 수지이고,
(5) JIS Z0237에 준거하는 시험에 있어서, 하중 490mN(50gf)×2시간, 40℃에서의 지지력이 5mm 이하인 투명 겔 점착제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59808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예를 들면 겔은 부착할 때, 이물의 혼입이나, 위치 어긋남을 고치기 위해서, 재부착 가능한 것이 소망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겔은 인장강도가 크지 않다. 그 때문에 재부착 시에, 이 겔은 벗기려고 하면 끊기어 떨어지거나, 변형되거나 하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나쁘다.
한편, 인장강도를 크게 함으로써, 재부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교제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렇게 하면 겔의 접착력이 저하된다.
즉, 인장강도와 접착력은 상반하는 관계를 가지고, 충분한 접착력과 인장강도를 밸런스 좋게 구비한 겔은 알려져 있지 않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발명자 들은 뜻밖에도 겔을 구성하는 중합체에,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에 유래하는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접착력과 인장강도를 밸런스 좋게 구비한 겔이 수득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라,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로 형성되고, 상기 중합체가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 단량체 전량의 5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로 구성 된 겔로서, 상기 겔이 300g/φ12 이상의 수직 접착력과 2N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따라,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을 코팅하는 상기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의 층과, 그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의 층을 덮는 세퍼레이터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은 충분한 접착력과 인장강도를 밸런스 좋게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겔은 부착 시, 이물의 혼입이나, 위치가 어긋났을 때, 재부착을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여도 끊기어 떨어지거나, 변형되지 않아 용이하게 재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롤상의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롤상의 점착 테이프의 개략도이다.
<<부호의 설명>>
1, 2; PET필름
3; 롤
4; 메탈핼라이드램프
5; 폴리에틸렌 필름
6; 롤상의 점착 테이프
7; 모노머 배합액
8; 겔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이하, 단순히 ‘겔’ 이라고도 한다)은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로 형성된다. 중합체는 겔 중에서 매트릭스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 중합체는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 유래의 중합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또, 중합체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중합체의 원료인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중합 단량체 전량의 50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을 차지한다.
(중합 단량체)
본 발명에서는 중합 단량체로서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주로 사용한다. 알콕시알킬그룹의 합계 탄소수는 단량체의 다가 알코올에로의 역용해성의 관점에서 2∼10이 바람직하고, 4∼10이 더 바람직하고, 5∼8이 더욱 바람 직하다. 알콕시기와 알킬기의 합계 탄소수가 상기의 범위에 있는 경우, 균일한 단량체와 다가 알코올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쉽다. 또 상기 범위는 중합 후의 겔을 투명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알콕시알킬그룹을 차지하는 알콕시기의 탄소수는 1∼9인 것이 바람직하고, 2∼7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에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아이소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펜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헵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옥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및 n-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알콕시알콜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중합 단량체 전량의 50중량% 이상을 차지한다. 이것에 의해, 충분한 접착력과 인장강도를 구비한 겔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겔은 3차원 그물코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나 그 팽윤체를 나타낸다. 겔의 구조는 반드시 화학반응에 의한 구조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수 소결합과 같은 2차 결합력에 의한 구조일 수 있다고 본원 발명자는 생각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중합체는 가교성 단량체에 의해 공중합하지 않더라도, 다가 알코올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알콕시알킬그룹과 다가 알코올이 극성결합을 형성하고, 유사 가교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발명자 등은 추측하고 있다.
그렇지만, 인장강도를 더욱 올리기 위해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중합체에는 아크릴계의 가교성 단량체를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에 공중합시킨 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가교성 단량체는 분자내에 중합성을 가지는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2개 이상 가지는 아크릴계의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N,N'-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N,N'-에틸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의 사용량은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3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겔을 생체용 점착제나 공업용의 점착제로서 사용하 경우에는, 용도에 적합한 접착력이 필요하게 된다. 접착력의 조제는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 이외의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와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는 다가 알코올과 균일하게 용해하는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후 투명한 겔을 얻을 수 있는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소수성 단량체, 이온성 단량체, 친수성 및 친유 성을 단량체(양친매성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소수성 단량체의 예로서는, 아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온성 단량체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알릴 카르복시산등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설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설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설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설폰산, 비닐설폰산 등의 설폰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또, 양친매성 단량체의 예로서는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유량은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100중량부 까지가 바람직하고, 60중량부 까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 범위내에서 공중합시키면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점착성이 제어된 겔을 얻을 수 있다.
(다가 알코올)
겔을 구성하는 중합체는 측쇄에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수성이면서도 극성을 가지고 있다. 또, 다가 알코올은 극성기인 하이드록실기와, 소수성의 알킬쇄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 사이에 극성결 합이 발생하므로, 다가 알코올이 겔 표면에 블리딩되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된다고 발명자 들은 생각하고 있다. 반대로, 대량의 물과 접하였을 때는, 다가 알코올의 소수성 부분과 알콕시알킬그룹의 소수성 부분 사이에 상호작용이 작용함으로써, 다가 알코올이 겔외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발명자들은 생각하고 있다. 다가 알코올이 아닌, 극성이 낮은 지방족 에스테르 등의 일반적인 가소제는 중합체 중에 안정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겔 표면에 블리딩될 가능성이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다가 알코올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지, 에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등의 친수성이 높은 것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친수성이 높은 다가 알코올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에 대해서 상용성이 높은 다가 알코올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다가 알코올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펜탄디올, 헥산디올이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탄디올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다가 알코올 등의 비교적 친유성이 높은 다가 알코올이다. 여기서, 친유성이 높다고 하는 것은, 25℃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 100g에 대해서 벤젠이 15g 이상 용해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은 19.2g 용해한다.
또,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서는 일본의 와코쥰야쿠공업사제의 PPG 1000, 20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시판 중인 글리콜은 벤젠과 임의의 비율로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더 바람직한 다가 알코올은 폴리에테르부가 (폴리)글리세린이다. 폴리에테르 부가 (폴리)글리세린은 (폴리)글리세린의 하이드록실기가 폴리올로 변성되고 있으며, 분기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입체 장애성이 높고 결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통상의 직쇄상 물질과 비교해서 고분자량일지라도, 상온에서 액체이기 때문에, 고분자겔의 용매성분 또는 가소제로서 사용 가능하다.
폴리에테르 부가 (폴리)글리세린의 구체예로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 부가 (폴리)글리세린으로서는 일본의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의 SCP-400, 1000, 1200, 1600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시판 중인 글리세린은 벤젠과 임의인 비율로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중합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40중량부∼20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이 범위에 있는 경우, 인장강도가 높은 고분자겔이 수득된다. 더 바람직한 함유량의 범위는 50∼150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한 함유량의 범위는 60∼150중량부이고, 특히 바람직한 함유량의 범위는 65∼130중량부이다.
(다른 성분)
겔에 전해질을 첨가할 수 있다. 이 첨가에 의해 이온전도에 의한 도전성을 겔에 부여할 수 있다. 겔에로의 도전성의 부여가 소망되는 용도로서, 이하의 용도 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전 방지재나, 대전방지 성능의 평가재로서 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겔의 비저항을 107∼105Ωㆍcm의 범위로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정밀한 전자부품의 제전(除電)에 사용하는 겔은 저항치가 지나치게 낮으면 급격한 방전을 초래하게 되어, 전자부품 중의 회로가 파괴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범위는 이러한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범위이다.
또한 대전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용도, 예를 들면 반도체의 반송에 사용하는 테이프에 겔을 사용하는 경우, 겔의 비저항을 107Ωㆍcm 이하로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겔의 비저항을 5kΩㆍcm이하로 조제하면, 리튬이온 전지, 태양전지, 일렉트로크로믹 재료, 그 밖의 표시장치(예를 들면 PDP, 액정패널) 등의 도전성 재료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해질로서는 할로겐화물, 황산염, 탄산염, 질산염 등의 일반적인 전해질 이외에, 고분자 고체 전해질로서의 과염소산, 6불화인산, 4불화붕소산 등의 염이나, 유기산과 그 염을 들 수 있다. 또 염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토금속, 아민 또는 암모늄, 알칸올아민 또는 알칸올암모늄 등의 유기염기에 유래하는 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전해질 대신에, 이온성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온성 액체로서는 이미다졸리움염계의 방향족 화합물이나 지방족 4급암모늄염과, BF4 -와 같은 무기이온이나 불소함유 유기이온과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전해질은 겔에 충분한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겔 전체에 대해서 0.5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질의 첨가량의 상한은 전해질이 겔 중의 다가 알코올이나 용매에 용해만 된다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15중량%을 넘는 량을 첨가해도 도전성은 포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더 이상 첨가해도 도전성의 향상은 통상 바랄 수 없다. 따라서 전해질의 첨가량은 1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겔의 임피던스를 저하시킬 수 있는 유기용매를 겔에 첨가할 수 있다. 그러한 유기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유기용매는 2종 이상 혼합할 수도 있다.
겔에는 다가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해서 20중량부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물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첨가한 전해질이 전리하기 쉬워지고, 겔의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미량의 수용성 약효성분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향료를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물을 포함함으로써, 향료 중의 방향성분의 분산을 재촉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겔에는 필요에 따라서 방부제, 살균제, 방미제, 방청제, 산화방지제, 안정제, PH조정제, 향료, 계면활성제, 착색제 등이나, 항염증제, 비타민제, 미백제기타의 약효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겔의 형상)
본 발명의 겔은 통상, 액상의 모노머 배합액을 중합해서 겔화시키기 위하여, 용도에 맞추어서 적당하게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0.01mm∼2.0mm의 시트상에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0.5mm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1rad/s에서 2000∼5000OPa, 0.01rad/s에서 2000∼50000Pa의 탄성율, 1rad/s에서 300∼20000Pa, 0.01rad/s에서 10∼2000Pa의 점성률을 나타내는 겔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범위의 탄성율 및 점성률을 가짐으로써, 피점착면의 형상에 용이하게 추종하고, 떼어낼 때에 잔존이 적은 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0.01rad/s의 주파수범위에 있어서, 점성률이 탄성율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더 바람직하게는, 1rad/s에서 3500∼20000Pa, 0.01rad/s에서 3500∼20000Pa의 탄성율, 1rad/s에서 500∼5000Pa, 0.01rad/s에서 30∼1000Pa의 점성률이다.
또, 겔은, 300g/φ12 이상의 수직 접착력과 2N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수직 접착력은 500∼2000g/φ12이다. 또, 더 바람직한 인장강도는 2.5∼15N이다.
여기서, 상기 특정의 수직 접착력과 인장강도를 가지는 경우, 이하의 이점이 있다.
즉, 예를 들면 부착 시에 먼지가 혼입되었을 경우, 한번 부착한 고분자겔을 끊기어 떨어지지 않고, 깨끗하게 박리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 경우, 인장의 힘에 대해서 중합체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것과 같은 탄성이 높은 겔이 소망된다. 이것은 겔을 실제로 잡아당겨, 겔이 끊기어 떨어질 때의 하중, 즉 인장강도를 측정함 으로써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이 하중이 높을수록, 겔을 잡아당기면서 박리할 때의 겔이 끊어져 떨어지는 것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 실제로 겔의 박리공정을 생각하면, 인장 시에는 겔이 너무 신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다가 알코올을 첨가해 겔에 유연성을 갖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겔은 잡아 당기면 그 수직 접착력에 상응한 신장을 나타낸다. 그러나, 겔의 신장이 크면, 박리가 매우 곤란이 되고, 또 박리후 겔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지 않을 경우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박리시에 겔이 끊기어 떨어지는 않으며, 박리후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수직 접착력과 인장강도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의 양면에는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세퍼레이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 중 한쪽은 지지체일 수 있다. 다른 한쪽은, 베이스 필름으로서 최종제품까지 부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세퍼레이터는 말단 유저가 사용하기 직전에 박리할 수 있다. 또, 지지체는 겔을 보강하고, 테이프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필름, 부직포, 직포 등을 가리킨다. 통상, 겔은 지지체에 코팅되고, 소위, 점착 테이프로서 사용된다.
세퍼레이터의 재질로서는 필름상으로 성형 가능한 수지 또는 종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필름, 종이, 또는 수지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종이 등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축연신한 PET 필름 이나, 0PP, 폴리올레핀을 라미네이트한 종이가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의 겔과 접하는 면에는 이형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서 세퍼레이터의 양면이 이형 처리되어 있어도 지장이 없다. 양면에 이형처리하는 경우에는, 표리의 박리강도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이형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실리콘 코팅을 들 수 있다, 특히, 열 또는 자외선으로 가교, 경화 반응시키는 인화(소부)형의 실리콘 코팅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의 내, 상기 베이스 필름의 반대면에 배치되는 탑 필름은 겔의 제품형태에 따라 알맞은 재료가 선택된다. 예를 들면, 겔을 단책(短冊, 단자쿠라는 종이)으로 취급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상으로 성형 가능한 수지 또는 종이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베이스 필름 와 같이 이형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을 롤상으로 말아서 보관, 물류하는 경우, 탑 필름은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은 롤권취의 내주측 및/또는 외주측에 사용하여도 좋지만, 외주측에 배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필름겔, 탑 필름의 3층 구조의 겔 시트를 롤에 감을 때, 적어도 한 쪽의(롤의 외주측에 위치하한다)탑 필름이 연장되면, 권취주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유연성이 없은 필름을 양면에 사용 하는 것은 권취주름이 발생할 위험성을 높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지지체로서는 이형처리하고 있거나 또는 하고 않고 있은 수지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 레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지체를 구비한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면 겔 형성후, 지지체를 부착하는 방법과, 지지체에 직접 모노머 배합액을 코팅하고, 자외선조사 해서 겔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접착력이 다른 겔을 지지체의 표리면 각각에 부착함으로써 표리면에서 접착력이 다른 점착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를 가공용 중간소재로서 유통시키는 경우, 말단의 가공업자에게 있어서의 취급이 용이한 것이 소망된다. 점착 테이프는 필요에 따라서 중간기재로서 부직포 또는 직포가 겔에 매설될 수도 있다. 겔을 시트상으로 성형할 때, 이것들 중간기재는 겔의 보강, 재단시의 보형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부직포 및 직포의 재질은 셀룰로오스, 비단, 리넨 등의 천연섬유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섬유, 또는, 그것들의 혼방이 사용 가능하다. 부직포 및 직포는 필요에 따라서 바인더에 의해 결착할 수도 있고, 착색되어 있을 수 도 있으며, 도전처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부직포 및 직포의 대신에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이것들 필름은 구멍을 가지고 있을 수도, 다층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으며, 착색되어 있을 수도 있다.
(겔의 제조방법)
겔은 예를 들면, (1)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 임의로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 배합액을 제조하고, (2) 중 합반응과 동시에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수득된다.
(1) 모노머 배합액의 제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에, 임의로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 중합개시제를 혼합ㆍ교반해서 용해한다. 다음에, 필요에 따라서 전해질, 첨가제 등을 첨가해서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다음에, 다가 알코올을 첨가해서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제조한다. 또, 첨가제가 원래 착색되어 있는 경우나, 염료, 안료를 첨가하였을 경우, 무색 투명이 아니어도 좋다.
(2) 중합반응과 성형 수득된 모노머 배합액을 임의의 형상의 거푸집에 주입하고, 이어서, 중합 시킴으로써 겔이 수득된다. 또, 2장의 수지 필름(베이스 필름, 탑 필름) 사이에 모노머 배합액을 유입하고, 일정한 두께로 유지한 상태에서 중합 시킴으로써 시트상의 겔이 수득된다. 또, 1장의 수지 필름(베이스 필름 또는 지지체) 상에 모노머 배합액을 박층 코팅하고, 중합시킴으로써 필름상(시트상보다 얇다)의 겔이 수득된다.
중합방법으로서는 일반적인 라디칼 중합 이외에, 레독스중합, 광중합, 방사선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 또는 깊이가 10mm 이상의 거푸집에 주입하여 중합시키는 경우에는, 레독스중합이나 일반적인 라디칼 중합이 적합하다. 반대로, 두께가 몇 밀리미터∼수 마이크로미터의 시트 또는 필름상에 성형하는 경우에는 광중합이 적합하다. 광조사에 의한 중합은 반응속도가 빠른 반면, 두꺼운 재료의 경우에는 빛이 투과할 때에 감쇠하고, 두께 방향에서의 편차가 발생하는 가능성이 있다. 방사선에 의한 중합은 빛보다도 투과력이 뛰어나지만, 설비가 대규모가 되기 때문에, 생산규모가 큰 경우에 적합하다.
또, 2장의 수지 필름을 겔의 양면에 배치하고, 광조사에 의해 겔을 생성할 때, 빛을 조사하는 쪽에 배치되는 탑 필름은 빛을 차폐하지 않는 재질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의 지지체로서 예시한 필름은 탑 필름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의 지지체에 자외선의 조사에 의한 열화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즉시 자외선이 조사되는 측으로 배치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으로 개열하고, 라디칼을 발생하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α-히드록시케톤, α-아미노케톤, 벤질메틸케탈, 비스아실포스핀옥사이드, 메탈로센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제품명: 다로큐어 1173,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제품명: 이루가큐어 184,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제품명: 이루가큐어 2959,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 2-메틸-1-[(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제품명: 이루가큐어 907,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제품명: 이루가큐어 369,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을 단독 또는 복수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농도는 중합반응을 충분하게 수행하고, 잔존 모노머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모노머 배합액에 대해서 0.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후의 잔존 개시제에 의한 변색(황변)이나,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1중량% 이 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겔 및 점착 테이프는 생체용 재료, 의료재료, 위생재료, 공업용재료 등으로 폭넓게 사용 가능하다. 생체용 재료, 의료재료 및 위생재료로서 서지컬테이프나, 카테터, 점적용 튜브, 심전도 전극과 같은 센서 등의 고정용 테이프나, 습포제나, 창상피복제나, 인공항문의 고정용 테이프나, 전기치료기용 도자, 자기치료기 고정용 점착재나, 경피흡수제의 담체 겸 점착재 등을 들 수 있다. 공업용재료로서 건재, 전자재료분야에서의 점착제나 도전성 재료, 디스플레이(PDP, 액정디스플레이 등)이나 터치패널의 스페이서, 충전제, 방진재, 충격흡수 및 완충재나, 전지용의 겔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 중의 각 성질의 평가 방법을 하기한다.
(겔의 외관)
중합 후의 겔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겔이 투명한 것을 ○, 중합후의 겔이 백탁 혹은 다가 알코올이나 가소제의 블리딩이 있는 것을 ×라고 하였다.
(인장강도 시험)
JIS K6251 가황 고무의 인장시험에 준해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우선, 겔을 JIS K6251-1993에 준한 덤벨 1호로 뚫고, 다음에 그 샘플을 텐시론 만능시험기(일 본의 오리엔테크사제)에 의해, 온도 23℃, 습도 54%, 시험속도 500 mm/min의 조건으로 잡아당기고, 겔이 끊기어 떨어질 때의 하중을 인장강도라고 한다.
(수직 접착력)
수직 접착력은 수직 인장시험법에 의해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에는 인장시험기(일본의 SUNSCIENTIFICC0., LTD)(측정지그 선단 12mmφ, 재질 SUS304)을 사용한다. 40mm각으로 잘라낸 겔을 니치반사 제품인 양면 테이프로 대좌부분에 고정한다. 거기에 측정지그를 1mm/분으로, 30g의 하중이 걸릴 때까지 밀어 간다. 상기 하중에 달하면, 300mm/분의 속도로 측정지그를 위로 올린다. 측정지그와 겔이 박리할 때의 최대응력을 측정하고, 이 응력을 수직 접착력이라고 한다.
(탄성율 및 점성률)
탄성율 및 점성률은 스웨덴의 Reologica Instruments A.B 사제의 DynAlyser DAR-100을 사용해서 측정한다. 샘플은 시트로부터 직경 20mm의 원상으로 뚫은 겔을 사용한다. 측정조건은 온도 37℃, 갭 0.4mm, 변형 5%, 주파수 1∼0.01rad/s로 한다.
(전기 저항값)
겔의 전기 저항값은, LCR미터(상품명: ELC-131D, 일본의 CUSTOM사제)에 의해, 온도 23±5℃, 습도 55±15%, 1kHz의 조건하에서 측정한다. 샘플은 0.5mm 두께, 20mm각으로 자른 겔을 스테인레스판으로 잡은 것으로 한다.
( 실시예 1)
우선,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IBMA) 100중량부에 대해서, 중합개시제로서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상품명: 이루가큐어 2959, 일본의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을 0.2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 분자량 1000, 제품명: SCP-10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를 66.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었다.
다음에, 수득된 모노머 배합액을 실리콘 코팅된 PET 필름 상에 적하하였다. 그 위에서 동일하게 실리콘 코팅된 PET 필름을 피복시킴으로써, 액이 균일하게 확대되고, 두께가 0.5mm가 되도록 고정하였다. 이것에 메탈핼라이드램프를 사용해서 에너지량 3000 mJ/㎠의 자외선 조사하는 것에 의해 두께 0.5mm의 시트상의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수득된 겔은 1rad/s에서 9700Pa, 0.01rad/s에서 9200Pa의 탄성율, 1rad/s에서 3000Pa, 0.01rad/s에서 460Pa의 점성률을 가지고 있었다. 또, 이 겔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한 바, 전기저항값은 550kΩ이었다.
( 실시예 2)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83중량%과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DEAA) 17중량%의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중합개시제로서의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2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킨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3)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58중량%과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42중량%의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그 혼합액100중량부에 대해서 중합개시제로서의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2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킨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수득된 겔은 1rad/s에서 7500Pa, 0.01rad/s에서 6100Pa의 탄성율 1rad/s에서 3200Pa, 0.01rad/s에서 500Pa의 점성률을 가지고 있었다.
( 실시예 4)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1000, 분자량 1000, 와코쥰야쿠공업사제)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 낸다. 또, 수득된 겔은 1rad/s에서 6000Pa, 0.01rad/s에서 5700Pa의 탄성율 1rad/s에서 840Pa, 0.01rad/s에서 60Pa의 점성률을 가지고 있었다.
( 실시예 5)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 아크릴아미드 100중량부에 대해서, 중합개시제로서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3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1000, 제품명: SCP-10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 87.5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2000, 분자량: 2000, 일본의 나카이화학약품사제) 62.5중량부를 혼합, 더욱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수득된 겔은 1rad/s에서 4300Pa, 0.01rad/s에서 3900Pa의 탄성율 1rad/s에서 680Pa, 0.01rad/s에서 50Pa의 점성률을 가지고 있었다.
( 실시예 6)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100중량부에 대해서, 중합개시제로서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2중량부, 가교성 단량체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 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블렌머 PDE-400, 일본의 일본유지사제)를 0.1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1000, 제품명: SCP-10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를 66.0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7)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100중량부에 대해서, 중합개시제로서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2중량부, 가교성 단량체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블렌머 PDE-400, 일본유지사제)를 0.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1000, 제품명: SCP-10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를 66.0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수득된 겔은 1rad/s에서 16400Pa, 0.01rad/s에서 15000Pa의 탄성율 1rad/s에서 3200Pa, 0.01rad/s에서 400Pa의 점성률을 가지고 있었다.
( 실시예 8)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9)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하고,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 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400, 제품명: SCP-4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10)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1200, 제품명: SCP-12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 낸다.
( 실시예 11)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1600, 제품명: SCP-16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12)
겔의 두께를 0.3mm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13 )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100중량부에 대해서, 전해질로서 6불화 인산칼륨(스텔라케미퍼사제)을 1.7중량부, 용매로서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쇼와전공사제)를 5.8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중합개시제로서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2중량부, 가교성 단량체로서의 폴리에틸 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블렌머 PDE-400, 일본유지사제)를 0.1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1000, 제품명: SCP-10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를 58.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겔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한 바, 전기 저항값은 85kΩ이었다.
( 실시예 14)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100중량부에 대해서, 전해질로서 6불화 인산칼륨(스텔라케미퍼사제)을 8.3중량부, 용매로서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쇼와전공사제)를 29.2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중합개시제로서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2중량부, 가교성 단량체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블렌머 PDE-400, 일본유지사제)를 0.1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1000, 제품명: SCP-10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를 28.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 낸다. 또, 이 겔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한 바, 전기 저항값은 30kΩ이었다.
( 실시예 15)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100중량부에 대해서, 전해질로서 과염소산리튬(와코쥰야쿠공업사제)을 8.3중량부, 용매로서의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쇼와전공사제)을 29.2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중합개시제로서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2중량부, 가교성 단량체로서의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블렌머 PDE-400, 일본유지사제)를 0.1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완전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에, 다가 알코올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 디글리세릴에테르(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분자량 1000, 제품명: SCP-1000, 사카모토약품공업사제)을 28.5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이 겔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한 바, 전기 저항값은 39kΩ이었다.
( 비교예 1)
다가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의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100중량부에 대해서, 중합개시제로서의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0.1중량부 혼합,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 고분자를 얻었다.
수득된 고분자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비교예 2)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17중량%과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83중량%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비교예 3)
n-부틸아크릴레이트(n-BuAA) 78중량%과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20중량%과 아크릴산 2중량%를 혼합하였다. 그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교성 단량체로서의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NDA)를 0.3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의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과 벤조페논의 공융 혼합물(상품명: 이루가큐어 500,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을 0.3중량부 혼합, 교반하였다. 또, 수득된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소제로서 프탈산비스(2-에틸헥실)을 24.2중량부, 실리카 분말을 2.5중량부 혼합하고, 추가로 교반하고, 무색 투명의 모노머 배합액을 얻은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비교예 4)
다가 알코올의 대신에, 가소제로서의 프탈산비스(2-에틸헥실)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고분자겔을 얻었다.
수득된 겔의 외관, 인장강도,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7666913-PCT00001
표 중, "-"은 측정 불능을 의미한다.
실시예 1∼15까지의 겔은 투명하고, 2.5N 이상의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취급성이 양호하였다. 그 때문에, 겔을 박리할 때에는 겔이 끊어져 떨어지지 않고, 박리하기 쉬운 겔이다. 또, 실시예 1과 실시예 13∼1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해질을 첨가함으로써 전기 저항값을 내리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비교예 1은 겔이 매우 딱딱하고,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취급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겔을 박리할 때에, 잡아 당기기 시작하면 겔에 금이 가 깨져 버렸다.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인장강도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취급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겔을 박리할 때에는 겔이 끊기어 떨어져버리게 된다.
비교예 4는 중합 후부터 가소제 등이 블리딩되고, 겔 표면이 끈적끈적 하게 되어 겔로서 사용할 수 없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특정한 아크릴계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을 조합시킴으로써, 양호한 외관을 가지고, 인장강도, 접착력 및 점탄성이 우수한 겔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의 겔은 이들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부착 후에 박리가 요망되는 용도에 있어서도, 겔이 끊기어 떨어짐이나 잔존하는 것이 없이,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의 사용량을 표 2에 정리해서 나타낸다.
Figure 112008067666913-PCT00002
상기 표 2에서,
IBMA는 아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DEAA는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PDE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NDA 는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2-EHA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BuAA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NMMA는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BMA는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SCP는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PPG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가소제는 프탈산비스(2-에틸헥실),
개시제 1은 이루가큐어 2959,
개시제 2는 이루가큐어 500,
PC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전해질 1은 6불화인산칼슘,
전해질 2는 과염소산리튬을 의미한다.
( 실시예 16)
실시예 11의 겔을 사용하고, 재박리성을 아래와 같이 확인하였다. 40mm 각으로 잘라낸 겔을 일본의 니치반사의 양면 테이프로 박리강도 측정용 시험기의 대좌에 고정하고, 상기와 같은 순서로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재차, 지그를 하강시켜서, 겔에 30g의 하중이 걸릴 때까지 밀었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순서로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또, 다시 한번 같은 조작을 반복하고, 상기와 같은 순서로 수직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수직 접착력은 1번째 1500g, 2번째 1420g, 3번째 1480g으로, 거의 변화되지 않는 것을 알았다.
( 실시예 17)
Roll to Roll 장치를 사용한 롤상의 점착 테이프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원반 롤로부터 풀어낸 실리콘 코팅된 PET 필름(1) 상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모노머 배합액(7)을 적하하였다. 모노머 배합액 적하면에, 원반 롤로부터 풀어낸 실리콘 코팅된 PET 필름(2)을 피복하였다.
이어서, 액두께가 0.5mm가 되도록, 2개의 롤(3)의 사이를 통과시켜서 모노머 배합액을 폈다. 이어서, 메탈핼라이드램프(4)에 의해 에너지량 3000 mJ/㎠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시트상의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수득된 점착 테이프의 PET 필름(2)을 박리해서 롤에 감았다. 이어서, 원반 롤로부터 풀어낸 실리콘 코팅된 폴리에틸렌 필름(5)을, PET 필름(2)의 대신에 점착 테이프 상에 부착하였다.
그 후, 폴리에틸렌 필름(5)이 외측이 되도록, 시트상의 점착 테이프를 권취함으로써, 롤상의 점착 테이프(6)을 얻었다.
수득된 롤상의 점착 테이프(6)의 개략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면 중, (8)은 겔을 의미한다.

Claims (15)

  1.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로 형성되고, 상기 중합체가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 단량체 전량의 5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2. 제 1 항에 있어서,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알콕시알콜아크릴아미드인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3. 제 1 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40∼200중량부로 함유되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4. 제 1 항에 있어서, 겔이 300g/φ12 이상의 수직 접착력과 2N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5. 제 1 항에 있어서,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탄소수 2∼10의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인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6. 제 5 항에 있어서,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에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아이소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펜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헵톡시베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옥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및 n-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되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7. 제 1 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이 친유성 다가 알코올인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8. 제 7 항에 있어서, 다가 알코올이 폴리옥시알킬렌기 함유 다가 알코올인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9. 제 1 항에 있어서,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탄소수 2∼10의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이고, 다가 알코올이 폴리알킬렌에테르 부가 (폴리)글리세린인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10. 제 9 항에 있어서,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에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아이소부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펜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헵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옥톡시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및 n-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되고, 폴리에테르 부가 (폴리)글리세린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디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디글리세릴에테르인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11. 제 1 항에 있어서,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에 대해 0.5 중량% 이상의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12.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로 구성된 겔로서,
    상기 겔이 300g/φ12 이상의 수직 접착력과 2N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13.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가 아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말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소수성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알릴 카르복시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설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설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설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설폰산, 비닐설폰산,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온성 단량체, 또는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친수성 및 친유성의 양쪽을 가지는 단량체인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14. 지지체와, 지지체의 적어도 편면을 코팅하는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의 층과, 상기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의 층을 피복하는 세퍼레이터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이 중합체와 다가 알코올로 형성되고, 상기 중합체가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콕시알킬그룹을 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중합 단량체 전량의 50중량% 이상을 차지하는 점착 테이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롤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
KR1020087023525A 2006-03-28 2007-03-20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및 점착 테이프 KR101129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8868 2006-03-28
JPJP-P-2006-00088868 2006-03-28
PCT/JP2007/055720 WO2007111200A1 (ja) 2006-03-28 2007-03-20 高強度粘着性高分子ゲル及び粘着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488A true KR20080108488A (ko) 2008-12-15
KR101129517B1 KR101129517B1 (ko) 2012-04-05

Family

ID=3854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525A KR101129517B1 (ko) 2006-03-28 2007-03-20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및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63797B2 (ko)
EP (1) EP2000505B1 (ko)
JP (1) JP5393147B2 (ko)
KR (1) KR101129517B1 (ko)
CN (1) CN101410452B (ko)
DE (1) DE602007012419D1 (ko)
DK (1) DK2000505T3 (ko)
TW (1) TW200801147A (ko)
WO (1) WO200711120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518A2 (ko) * 2008-12-24 2010-07-01 제일모직 주식회사 반도체용 복층구조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본딩필름
KR101419023B1 (ko) * 2013-01-22 2014-07-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측정 전극용 점착성 겔 조성물
KR101419020B1 (ko) * 2013-01-22 2014-08-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측정 전극용 점착성 겔 조성물
KR101533242B1 (ko) * 2011-12-28 2015-07-02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점착성 하이드로겔 및 그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2309A (ja) * 2006-03-29 2007-10-11 Sekisui Plastics Co Ltd 高分子ゲル、該ゲル製造用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4900928B2 (ja) * 2006-09-04 2012-03-21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の未硬化シリコーンの除去方法
JP2009126929A (ja) * 2007-11-22 2009-06-11 Cheil Industries Inc 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部材、表面保護シート
US8673503B2 (en) * 2010-06-04 2014-03-18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Polyurethane gel electrolytes with improved conductance and/or solvent retention
JP5552409B2 (ja) * 2010-09-28 2014-07-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粘着性高分子ゲル及び粘着シート
JP5679189B2 (ja) * 2011-03-24 2015-03-0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熱応答性高分子ゲル
TW201350357A (zh) * 2012-03-21 2013-12-16 Toppan Printing Co Ltd 感熱轉印記錄媒體、其製造方法及感熱轉印記錄方法
WO2014208604A1 (ja) * 2013-06-27 2014-12-31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分子内相互作用に基づく高強度ゲル
WO2015156334A1 (ja) 2014-04-09 2015-10-15 株式会社クラレ 液体包装容器
CN106795392B (zh) 2014-08-18 2020-09-08 洛德公司 弹性体的低温粘接方法
JP7040148B2 (ja) * 2018-03-09 2022-03-23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及び粘着層形成用硬化性組成物
JP2024049414A (ja) 2022-09-29 2024-04-10 広栄化学株式会社 帯電防止助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7615A (en) * 1969-09-19 1972-01-25 Goodrich Co B F Pressure-sensitive adhesive
JPS5844711B2 (ja) * 1979-07-04 1983-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水溶性感圧接着剤組成物
US5350581A (en) * 1989-12-14 1994-09-27 Pharmetrix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dermal devices
GB2273044B (en) * 1992-12-02 1997-04-09 Pacific Chem Co Ltd Medicinal patches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US5429590A (en) * 1992-12-01 1995-07-04 Nitto Denko Corporation Medical water-absorptive polymer and dressing for wound and medical bandage using the same
JP3717952B2 (ja) * 1994-04-01 2005-11-1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医療用粘着剤及びこれを有する医療用ドレッシング材
JPH0978050A (ja) * 1995-09-08 1997-03-25 Nippon Shokubai Co Ltd 農園芸用保水材
JPH10192444A (ja) * 1997-01-08 1998-07-28 Nippon Shokubai Co Ltd 消火用ゲル
JPH1135632A (ja) * 1997-07-25 1999-02-09 Nippon Shokubai Co Ltd 吸液性樹脂および中極性溶剤含有ゲル
JP2001245913A (ja) 1999-12-28 2001-09-11 Lion Corp 非水系温熱ゲル組成物
CN1245450C (zh) * 2001-09-18 2006-03-15 积水化成品工业株式会社 聚合物水凝胶
JP4202828B2 (ja) 2003-06-04 2008-12-24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ゲル粘着剤、透明ゲル粘着シート及び衝撃吸収積層体
JP4460253B2 (ja) * 2003-09-26 2010-05-1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親水性高分子ゲル粘着材
GB0403510D0 (en) * 2004-02-18 2004-03-24 Mantra Internat Ltd Bioadhesive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medical electrod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518A2 (ko) * 2008-12-24 2010-07-01 제일모직 주식회사 반도체용 복층구조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본딩필름
WO2010074518A3 (ko) * 2008-12-24 2010-09-10 제일모직 주식회사 반도체용 복층구조 접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본딩필름
KR101533242B1 (ko) * 2011-12-28 2015-07-02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점착성 하이드로겔 및 그 용도
KR101419023B1 (ko) * 2013-01-22 2014-07-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측정 전극용 점착성 겔 조성물
KR101419020B1 (ko) * 2013-01-22 2014-08-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측정 전극용 점착성 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8388A1 (en) 2009-03-12
JPWO2007111200A1 (ja) 2009-08-13
EP2000505A9 (en) 2009-03-25
US8663797B2 (en) 2014-03-04
DK2000505T3 (da) 2011-03-07
TWI352727B (ko) 2011-11-21
KR101129517B1 (ko) 2012-04-05
EP2000505A4 (en) 2010-06-16
JP5393147B2 (ja) 2014-01-22
WO2007111200A1 (ja) 2007-10-04
CN101410452B (zh) 2013-05-22
CN101410452A (zh) 2009-04-15
TW200801147A (en) 2008-01-01
DE602007012419D1 (de) 2011-03-24
EP2000505B1 (en) 2011-02-09
EP2000505A2 (en)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517B1 (ko) 고강도 점착성 고분자겔 및 점착 테이프
KR100829332B1 (ko) 겔 점착 조성물
EP1679085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application to skin
US20070196320A1 (en) Bioadhesive compositions and their use in medical electrodes
JP6209406B2 (ja) ハイドロゲル
KR101478566B1 (ko) 점착성 하이드로겔용 조성물 및 그 용도
EP3123974B1 (en) Water-rich adherent gel,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water-rich adherent gel, and electrode pad
WO2012020710A1 (ja) 粘着性高分子ゲル及び粘着性ゲルシート
JP2009227924A (ja) 粘着性ハイドロゲル、その製造用組成物及びその用途
EP1114074B1 (en) Polymerizable material and sheet material derived therefrom
JP5552409B2 (ja) 粘着性高分子ゲル及び粘着シート
JP2007262309A (ja) 高分子ゲル、該ゲル製造用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EP3476429B1 (en) Gel sheet
JP2007262308A (ja) 粘着性高分子ゲル、該ゲル製造用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JP4222913B2 (ja) 粘着性ハイドロゲル
JP6535310B2 (ja) 導電性積層ハイドロゲルシート
US20160272849A1 (en) Temporary fixing material
US20030153964A1 (en) Polymerizable material and sheet material derived therefrom
CN111868197B (zh) 水凝胶
WO2023188961A1 (ja) ハイドロゲル
JP4615759B2 (ja) 皮膚貼付用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