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8434A -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 용기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일을 위한 열-밀봉재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 용기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일을 위한 열-밀봉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8434A
KR20080108434A KR1020087021152A KR20087021152A KR20080108434A KR 20080108434 A KR20080108434 A KR 20080108434A KR 1020087021152 A KR1020087021152 A KR 1020087021152A KR 20087021152 A KR20087021152 A KR 20087021152A KR 20080108434 A KR20080108434 A KR 20080108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type
weight
polymer
hea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드 뢰덴
스벤 발크
마리타 카우프만
악셀 슈뢰더
톨스텐 브란드
가브리엘 브레너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10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43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F251/00 - C08F2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6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8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43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with heat sealable or heat releasable adhes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81Next to polyester, polyamide or polyimide [e.g., alkyd, glue, or nyl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기저 물질을 밀봉하는데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밀봉가능한 코팅계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인 중합체 유형 A를 함유하고, 표준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표준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또는/및 공중합체를 나타내는 중합체 유형 B를 함유하고, 중합체 유형 A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AB를 함유하고, 임의로는, 올레핀 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를 함유하고, 중합체 유형 C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B를 함유하고, 임의로는 중합체 유형 D 및/또는 중합체 유형 DA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형성 분산액을 함유한다.
열 밀봉, 코팅계,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필름-형성 분산액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 용기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일을 위한 열-밀봉재 {HEAT-SEALING MATERIAL FOR ALUMINUM FOIL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ILS AGAINST POLYPROPYL, POLYVINYL CHLORIDE, AND POLYSTYROL CONTAINERS}
식료품 포장 및 정제 포장 부문에서는 얼마 전부터 폴리스티렌 (PS)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 (PP)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가 사용되어 왔다. 접착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전처리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은 코팅 부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플라스틱이다.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열 밀봉이 수행되는 경우(이때 PP는 코팅되지 않고 접착됨), 이러한 문제는 다소 다른 측면에서 다루어지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또는 PVC의 밀봉에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예컨대 데갈란(DEGALAN)®P 24 또는 데갈란® N 80은 사용될 수 없는데, 이들은 밀봉 솔기 강도(seal seam strength)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데갈란® P 24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며, 룀 게엠베하 운트 코. 가게.(Roehm GmbH & Co. KG)에서 시판되고 있 다. 데갈란® N 80은 메틸 아크릴레이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며, 마찬가지로 룀 게엠베하 운트 코. 가게.에서 시판되고 있다.
부틸 아세테이트/메틸 에틸 케톤 중 폴리올레핀/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기재의 특정한 용매-함유 바인더 계인 데갈란® PM 555 (제조사: 룀 게엠베하 운트 코. 가게.)는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의 밀봉에 있어서 탁월한 적합성을 갖는 바인더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데갈란® PM 555는 또한 폴리스티렌 및 PVC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양호한 밀봉이 가능하게 한다. 알루미늄의 접착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갈란® PM 555를 PVC 공중합체, 예를 들어, 비닐리테(VINYLITE)® VMCH에 프라이밍(priming) 처리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이는 적절히 조합하면 단일층 계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비닐리테® VMCH는 산-함유 PVC 중합체이다(유니온 가바이드(Union Carbide)에 의해 시판됨).
마침내, 데갈란® 4150-E (제조사: 룀 게엠베하 운트 코. 가게.)가 알루미늄 포일 및 플라스틱 포일용의 공지된 열-밀봉 조성물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이로써 부틸 아세테이트 및 메틸 에틸 케톤으로 구성되는 지금까지의 통상의 용매-함유 바인더 계 대신에, HAPS 목록(유해한 공기 오염물질)에 열거되지 않은 용매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요즈음 식료품 포장에 있어서, 플라스틱 제품이 나무 또는 무기 물질, 예컨대, 금속, 유리,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그릇 및 용기를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그릇 또는 용기가 식료품의 저장 또는 보관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요구조건이 특히 엄격하다. 식료품 보관에 있어서, 탈수, 냉동 또는 멸균을 통하든지 결정적인 측면은 미생물의 성장을 완전히 막는 것이다. 이는 흔히 용기가 기밀(gastight) 밀봉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플라스틱 용기에서 고려되어야 할 다른 측면은 기계적 안정성, 수분 함량의 조절, 및 대기 및 빛의 작용이다[참조: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5thEd. Vol. A11, 523-560; 583-618 VCH 1988; 이 문헌은 또한 적용 가능한 표준을 다루고 있다].
식료품 기술에 있어서 플라스틱 그릇, 특히 유제품, 예컨대, 요구르트 포트(pot)의 봉합을 위해 밀봉가능한 코팅으로 코팅된 알루미늄 뚜껑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뚜껑은 많은 경우에 3층 적층물인데, 여기서 외층은 종종 (2축 배향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OPET), 2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OPP) 또는 폴리아미드 (OPA), 또는 셀룰로스로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열-밀봉가능한 내층은 폴리에틸렌,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참조: US-A708; G. Stehle, Neue Verpactung 9/91, pp. 94-101]. 그러나, 알루미늄을, 예를 들어, 식료품 포장에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과 관련하여, 경제적 및 환경적 이유, 특히 알루미늄 제조에 수반되는 높은 수준의 에너지가 점차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대신에 밀봉가능한 코팅을 갖는 플라스틱 포일도 사용된다. 이러한 밀봉가능한 코팅은 사용되는 플라스틱에 접합된다. 대부분 양호한 기계적 강도 및 양호한 차단성을 갖는 밀봉가능한 포일로서 비교적 저렴한 물질인 경질 PVC를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서 사용되는 밀봉가능한 코팅층은 일반적으로 접착 및 융점이 첨가제를 통해 유리하게 개질될 수 있는 아크릴 수지이다. PET 포일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PET 포일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코팅에 의해 밀봉된다. 그러나, 이들 계는 PET 배킹(backing) 물질의 밀봉에 특이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복합 포일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 코팅의 밀봉에 대해서는 단지 제한된 적합성을 가졌다. 지금까지, 알루미늄 포일의 밀봉 뿐만 아니라 PET 포일 또는 PET-포일 코팅의 밀봉에 대해서도 적합성을 제공하는 적절한 배합물을 가진 열-밀봉 바인더는 공지되지 않았다.
DE-A 35 31 036에 충격-개질된 폴리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윤활제의 밀봉가능한 층으로 구성되는 공압출가능한 플라스틱 포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EP-A 0 406 681에 알루미늄 포일 대신에 열-밀봉가능한 플라스틱 포일을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이 정확하게 지적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식별가능한 제한은 실질적으로 감소되는 가공 허용 범위이다. 결과적인 가공 범위는 대부분 10℃ 내지 20℃로 매우 좁으며, 밀봉된 팩이 문제 없이 제조되고 만족스럽게 사용되는 것을 보장하는데 상기 범위의 매우 일정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가 필요하다. 컵들을 동시에 충진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동을 갖는 충진 시스템은 이러한 전제조건을 항상 따르지는 않는다. EP-A 0 406 681에서의 목적은 DE-A 35 31 036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공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폴리스티렌-기재 포일을, 특히 가공 허용 범위 및 가공 신뢰도를 증진시키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개선시키는 것이었다. 추가의 목적은 다수의 충전 공동을 갖는 충전 시스템 상에서도 만족스러운 제조를 보장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이는 플라스틱 포일의 품질에 따른 상응하는 요구조건과 함께, 비교적 높은 밀봉 온도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EP-A 0 406 681에 따르면, 이러한 요구조건은 공압출 공정 또는 적층에 의해 제조되고, A 및 C의 2개의 층, 및 경우에 따라 층 B, 또한 경우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 층 A, 및 경우에 따라 B 및 C의 각 쌍의 결합을 위한 접착 촉진제 D의 층으로 구성되며, 열-밀봉가능한 충격-개질된 폴리스티렌 A의 층 1 내지 50%, 배킹 층 B 95% 이하, 및 고용융성 플라스틱 층 C 1 내지 99%로 구성되고, A, 및 경우에 따라, B 및 C의 총 두께 또는 중량이 항상 100인 밀봉가능한 플라스틱 포일에 의해 충족되었다.
DE 101 50 898 (룀(Roehm))은 올레핀 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 A,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B, 및 상기 성분 및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중합체 AX로 구성되는 열-밀봉 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밀봉 계의 특징은 높은 내열성 및 짧은 밀봉 시간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레이트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 트와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혼합물도 의미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중합체의 개발 및 배합을 통해, 각종 포트 재료에 대하여 PET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을 밀봉하는데 적합한 열-밀봉 코팅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목적은 포트 물질,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하여 PET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을 밀봉하기에 적절한 바인더를 개발하는 것이다. 열거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무정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APET)일 수 있다.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포일의 열 밀봉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주기 시간으로 충분히 높은 강도의 봉합을 달성하는 것이다.
제2 목적은 사용되는 모든 포트 물질, 예컨대,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하여, 알루미늄 포일 뿐만 아니라 PET 포일, 및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뿐만 아니라 PET-코팅된 포일의 봉합에도 적절한 열-밀봉-코팅 바인더를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밀봉은 두 포일 물질에 대해 평가했을 때, 알루미늄 포일에 대해 평가시 이미 확립된 열-밀봉 계 (예를 들어, 데갈란® PM 555)보다 양호하거나 적어도 그에 상당하는 밀봉성 및 차단성을 가져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바인더는 확립된 계와 대비하여 평가시 알루미늄 포일에 대해 적어도 균등한 밀봉 성능을 가져야 한다.
다른 목적은 비교적 고온에서도 밀봉 공정 직후에 높은 접착 (높은 내열성)을 달성하는 것인데, 이로써 포일의 밀봉 및 식료품 포장을 수행하는데 짧은 주기 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목적의 달성>
상기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인 중합체 유형 A가 존재하고,
표준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표준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또는/및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B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A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AB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A, B 및 A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합체 유형 A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B의 양은 5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B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 B 및 AB의 전체 중량 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L 중량의 중량비가 5: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분산액을 포함하고,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를 통해 달성된다.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합한 이러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가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의 매우 양호한 열 밀봉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놀랍게도, 올레핀 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 및/또는 중합체 유형 C와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B가 상기 계에 가해지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또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포일 및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뿐만 아니라 PET-코팅된 포일을 열 밀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합체 유형 A는 그의 제조에 이타콘산의 공중합 단계가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놀랍게도, 중합체 유형 A가 그의 제조에 이타콘산의 공중합 단계가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이고,
중합체 유형 B가 표준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표준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또는/및 공중합체이고,
중합체 유형 AB가 중합체 유형 A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이고,
중합체 유형 A, B 및 A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합체 유형 A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B의 양은 5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B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 B 및 AB의 전체 중량 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L 중량의 중량비가 5: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분산액을 포함하는 코팅계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포일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뿐만 아니라 PET-코팅된 포일을 열 밀봉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탁월한 열-밀봉가능한 계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제조에 이타콘산의 공중합 단계가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인 중합체 유형 A,
표준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표준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또는/및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B,
중합체 유형 A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AB,
올레핀 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 및
중합체 유형 C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B를 포함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인 중합체 유형 D를 포함하고/거나 폴리아미드인 중합체 유형 DA를 포함하는 코팅계가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에 대하여, 폴리에스테르 포일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뿐만 아니라 PET-코팅된 포일의 탁월한 열 밀봉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여기서, 중합체 유형 A, B, AB, C, CB, D 및 D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합체 유형 A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중합체 유형 B의 양은 5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중합체 유형 C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중합체 유형 AB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중합체 유형 CB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중합체 유형 D의 양은 0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중합체 유형 DA의 양은 0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중합체 유형 A, B, AB, C, CB, D 및 DA의 전체 중량 대 용매 중량의 중량비는 5:1 내지 1:5이다.
플라스틱 포일의 열 밀봉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주기 시간으로 충분히 높은 강도의 봉합이 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두 포일 물질에 대해 평가했을 때, 밀봉 공정은 알루미늄 포일에 대해 평가시 지금까지 확립된 열-밀봉 계 (예를 들어, 데갈란® PM 555)의 것에 필적하는 밀봉 및 차단성을 나타낸다.
비교적 고온에서도 밀봉 공정 직후에 높은 접착 (높은 내열성)이 달성되었다. 이로써 밀봉 공정에서 짧은 주기 시간을 달성할 수 있다.
<중합체 유형 A>
본 발명에 따르면, 단량체 단위로서 이타콘산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에스테르가 중합체 유형 A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코폴리에스테르는 직쇄 또는 분지쇄 구조를 가지며,
- 5 내지 150 mg KOH/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mg KOH/g의 OH가,
- 10 mg KOH/g 미만, 바람직하게는 5 mg KOH/g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g KOH/g 미만의 산가,
- 700 내지 25,000 g/몰,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12,000 g/몰의 수 평균 분자량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중 이타콘산의 함량은 사용된 폴리카르복실산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0.1 몰% 내지 20 몰%, 바람직하게는 1 몰% 내지 10 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몰% 내지 8 몰% 범위 내이다.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의 코폴리에스테르를 위해 사용되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성질은 그 자체로 원하는 바에 따른다. 예를 들어,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이 존재할 수 있다. 폴리카르복실산은 바람직하게는 1개를 초과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일반적인 정의와 달리, 이들의 특정 실시태양 중에는 모노카르복실산이 또한 존재한다.
비교적 단쇄를 갖는 지방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도데칸디온산, 테트라데칸디온산, 옥타데칸디온산 이 있다. 지환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의 이성질체가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의 예로는 벤젠디카르복실산 및 트리멜리트산의 이성질체가 있다. 경우에 따라, 유리 폴리카르복실산 대신에 그의 에스테르화 가능한 유도체, 예를 들어, 적절한 저급 알킬 에스테르 또는 시클릭 무수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 히드록시폴리에스테르를 위해 사용된 폴리올의 성질은 그 자체로 원하는 바에 따른다. 예를 들어,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올이 존재할 수 있다.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1개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일반적인 정의와 달리, 이들의 특정 실시태양 중에는 모노히드록시 화합물 또한 존재한다.
폴리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1,12-도데칸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부틸에틸-1,3-프로판디올, 메틸-1,3-프로판디올, 메틸펜탄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이 중 방향족 폴리올은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예를 들어,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디히드록시나프탈렌 등과 에폭시드, 예를 들어,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반응 생성물이다. 존재할 수 있는 다른 폴리올은 에테르 디올, 즉, 각각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을 기초로 하는 올리고머 및 중합체이다. 직쇄 지방족 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올 및 디카르복실산 외에, 락톤이 또한 히드록시-폴리에스테르의 합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된 폴리카르복실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몰% 내지 20 몰%, 바람직하게는 1 몰% 내지 10 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몰% 내지 8 몰%의 이타콘산 함량을 갖는 본 발명의 코폴리에스테르는 (중)축합 반응에 대해 확립된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중합체 유형 A 및 개시제의 동시적 존재하에 성분 B를 유도하는 단량체를 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 혼합물 중 그라프트 반응 전 중합체 유형 A의 사용량은 1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75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60 중량%이다.
반응 후 본 발명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중합체 유형 A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50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40 중량%이다.
<중합체 유형 B>
중합체 유형 B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AB의 합성 중 부산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AB를 구성하는 생성물 중 B 사슬의 구성은 또한 하기 기재사항에 상응한다.
중합체 유형 B 또는 사슬 세그먼트(segment) B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배열 및/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배열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들은 본래, 예를 들어, 상응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형태에서 용매계 L에 가용성이다. 중합체 B는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단량체 5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내지 100 중량%로 구성된다.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 또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이다.
중합체 B는 또한 화학식 II의 단량체 또는/및 중합가능한 무수물 및/또는 화학식 III의 단량체, 및/또는 화학식 IV의 단량체를 함유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이다.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Z는 비치환 또는 알킬-치환된 페닐 라디칼, -COR3 라디칼,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4
라디칼, -OR4 라디칼 또는 염소 원자이고, 여기서 R3 및 R4는 탄소수 1 내지 20의 비분지 또는 분지된 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이고, n은 0 또는 1이다.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5
상기 식에서, R5 및 R6은 수소 또는 -COOR'7 라디칼이고, R6은 수소 또는 -CH2COOR"7 라디칼이고, 단,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2개의 카르복시-함유기를 함유해야하며, 여기서, R7, R'7 및 R"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비분지 또는 분지된 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이다. 중합체 B는 또한 경우에 따라 화학식 V의 단량체의 분획을 함유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6
상기 식에서, R"'1은 R1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Bs는 질소-함유 관능성 라디칼, 예컨대 -CN 기 또는 -CONR9R10 기(여기서 R9 및 R10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 라디칼이거나, R9 및 R10은 질소와 함께 헤테로시클릭 5-원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함)이거나, 또는 Bs는 (비활성) 헤테로시클릭 라디칼, 특히, 피리딘, 피롤리딘, 이미다졸, 카르바졸 또는 락탐 라디칼 또는 이들의 알킬화 유도체이거나, 또는 Bs는 -CH2OH이거나, 또는 Bs는
-COO-Q-R11이고,
여기서, Q는 탄소수 2 내지 8의 비치환 또는 알킬-치환된 알킬렌 라디칼이고, R11은 -OH, -OR"'7 또는 -NR'9R'10 라디칼이며, 여기서 R"'7, R'9 및 R'10은 R7, R8 및 R9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으며, 예를 들어, 질소 원자와 함께, 경우에 따라 다른 헤테로 원자와 함께, 5- 내지 6-원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한다.
화학식 I의 단량체의 예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언급된다. 화학식 I의 단량체는 또한 표준 메타크릴레이트로 지칭된다.
화학식 II의 단량체의 예로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 언급된다.
화학식 III 및 IV의 단량체의 예로는 특히,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스테아레이트, 비닐 메틸 케톤, 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알릴 아세테이트, 알릴 클로라이드, 알릴 이소부틸 에테르, 알릴 메틸 케 톤, 디부틸 말레에이트, 디라우릴 말레에이트 및 디부틸 이타코네이트가 언급된다. 중합체 B 중 화학식 II 내지 V의 단량체의 비율은 (중합체 B의 단량체를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0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중합체 B 중 화학식 II 및/또는 V의 단량체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20 중량%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며, 일반적으로 0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5 중량%이다.
중합체 B의 상세한 함량 및 조성은 원하는 기술적 기능을 고려하여 유리하게 선택될 것이다.
중합체 유형 B를 형성하는 중합 공정 후 본 발명의 화합물에 사용되는 단량체의 양은 1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75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60 중량%이다.
반응 후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중합체 유형 B의 양은 5 중량%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60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40 중량%이다.
<중합체 유형 C>
본 발명에 따라 중합체 유형 C로서 사용되는 올레핀 중합체 및 올레핀 공중합체는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이전에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및/또는 다른 탄소수 5 내지 20의 α-올레핀으로 구성된 열-밀봉가능한 조성물로서 추천되던 중합체이다.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10,000 내지 300,000,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150,000이다. 사용되는 상기 유형의 올레핀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독일 특허 공보 명세서 DE-A 16 44 941, DE-A 17 69 834, DE-A 1939 037, DE-A 19 63 039 및 DE-A 20 59 981에 개시되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올레핀 중합체의 예로는 부나(Buna)®(제조사: 란세스(Lanxess) AG)가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특히 유용하며, 삼원공중합체는 또한 삼원(ter)-성분, 예컨대, 에틸리덴노르보르넨 [참조: Macromolecular Reviews, Vol. 10 1975]의 첨가가 가능하나, 에이징(ageing) 공정 동안에 그들의 가교에 대한 경향이 계산에 포함되어야 한다. 여기서, 분포는 실질적으로 불규칙할 수 있지만, 에틸렌 블록을 갖는 배열(sequence)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리하다. 여기서 에틸렌/프로필렌 단량체의 비는 일정한 한계 내에서 가변적이며, 상한치로서 에틸렌에 대해 약 95%, 프로필렌에 대해 약 95%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물에 사용되는 중합체 유형 C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55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55 중량%이다.
<중합체 유형 AB>
그라프트 중합체 AB의 제조
그라프트 공중합체 AB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은 유형 A의 중합체 내에 이타콘산 반복 단위의 이중 결합을 갖는 추가로 후술하는 적절한 개시제의 반응을 사용하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유리-라디칼 중합을 위한 반응성 (유리-라디칼) 중심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성 중심은 유리-라디칼 중합 반응을 위한 1개 이상의 개시제 단위를 갖는 중합체 사슬이다. 이들 개시제 단위는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의 이타콘산 상에 형성된 추가의 유리 라디칼이 종결 반응을 통해 비활성화될 때까지 이타콘산 단위는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것 또한 확실히 가능하다.
그라프트 중합체 AB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이러한 목적에 적절한 반응 조건 하에 성분 B를 유도하는 유형 I 내지 V의 단량체를 성분 A 상에 그라프팅하는 것이다. 중합체 유형 AB는 폴리에스테르 주쇄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측쇄를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이로 인해, 10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이타콘산-함유 폴리에스테르의 용액이, 중합 조건 하에 비활성이고 비점이 일반적으로 공정 온도를 초과하는 적절한 용매 내에서 제조된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아세테이트, 예컨대,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 아세테이트, 지방족 용매, 예컨대, 이소옥탄, 지환족 용매, 예컨대, 시클로헥산, 및 카르보닐계 용매, 예컨대, 부타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농축된 중합체 분산액 중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의 비율은, 예를 들어, 80 중량%이거나 특히 유리한 경우에 20 중량% 만큼 적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미만, 실제로는 대개 60 중량%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화학식 I의 단량체, 및 가능하게는 다른 단량체 II 내지 V가 각각 전술한 비율로 폴리에스테르 용액에 가해지며, 중합은 1종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과산화물, 유리-라디칼 개시제의 첨가로 -1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4 내지 8 시간 내에 수행된다. 최대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조 화합물, 예컨대, AIBN, 또는 퍼에스테르, 예컨대, tert-부틸 퍼옥토에이트가 유리-라디칼 개시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개시제 농도는 세그먼트 B의 원하는 분자량 및 원하는 그라프트 지점의 수에 의해 좌우된다. 개시제 농도는 일반적으로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3 중량%이다.
경우에 따라, 세그먼트 B의 원하는 분자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조절제가 또한 부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조절제의 예로는 황 조절제, 특히 메르캅토기 함유 조절제, 예를 들어, 도데실 메르캅탄이 있다. 조절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기술된 용액 중합 방법 외에, 유형 AB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합성을 위하여 벌크 방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폴리에스테르를 유리-라디칼 중합 반응의 개시 전에 (메트)아크릴 단량체 혼합물에 용해시킨다.
별법으로는, 유리-라디칼 개시제를 또한 폴리에스테르의 용융물 내에 초기 충전물로서 사용한 다음, 단량체 혼합물을 상기 물질과 부가혼합할 수 있다.
그라프트 반응 후 본 발명 혼합물에 존재하는 중합체 유형 AB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55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50 중량%이다.
<중합체 유형 CB>
그라프트 중합체 CB의 제조
일반적으로, 그라프트 중합체 CB는 본 목적에 적절한 반응 조건 하에, 적절한 유화제를 사용하여 성분 C로부터 분산액을 제조하고, 그 위에 성분 B를 유도하는 유형 I 내지 V의 단량체를 그라프팅함으로써 제조된다. 유화제는 CB 계의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CB 유형의 적절한 유화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전달-그라프팅(transfer-grafting)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참조: Houben-Weyl, Methoden der Org.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 1411, p. 114, H. A. J. Battaerd, G.W. Tregear, Polymer Reviews, Vol. 16, Interscience (1967)].
이를 위해, 10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올레핀 공중합체 (OCP)의 용액이, 중합 조건 하에 비활성이고 비점이 일반적으로 공정 온도를 초과하는 적절한 용매 내에서 제조된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부틸 아세테이트 또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가 있다. 화학식 I의 단량체, 및 가능하게는 다른 단량체 II 내지 V가 전술한 비율로 상기 OCP 용액에 가해지며, 상기 혼합물은 1종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과산화물, 유리-라디칼 개시제의 첨가로 60℃ 내지 50℃의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4 내지 8 시간 내에 수행된다. 최대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에스테르, 예컨대, tert-부틸 퍼옥토에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제 농도는 세그먼트 B의 원하는 분자량 및 원하는 그라프트 지점의 수에 의해 좌우된다. 개시제 농도는 일반적으로 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0.2 중량% 내지 3 중량%이다.
세그먼트 B의 원하는 분자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임의로는 조절제가 또한 부 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조절제의 예로는 황 조절제, 특히 메르캅토기 함유 조절제, 예를 들어, 도데실 메르캅탄이 있다. 조절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그라프트 중합체 CB의 다른 제조 방법은 제1 단계로서, OCP의 히드로퍼옥시드화(hydroperoxidization)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사슬 상에 위치하는 히드로퍼옥시드기는 후속 단계에서 비닐 단량체의 그라프트 중합을 개시할 수 있다[참조: H.A.J. Battaerd, G.W. Tregear, Polymer Reviews loc. cit].
본 발명의 혼합물 중 중합체 유형 CB의 사용량은 5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55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50 중량%이다.
하나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그라프트 중합체 AB 및 CB를 제조하기 위해, 중합체 유형 B는 중합체 유형 A 및 중합체 유형 C 상에 동시에 그라프팅될 수 있다.
중합체 유형 AB 및 CB는 또한 블렌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시적 합성이 바람직한데, 이는 보다 안정한 분산액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단순 블렌드에 대해 평가하는 경우, 상 분리의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중합체 유형 D 또는 DA>
알루미늄 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합체 유형 D를 포함하는 배합물을 선택할 수 있다. 포일을 프라이밍 처리하거나 코팅 배합물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를 첨가함으 로써 Al 접착의 개선을 얻을 수 있다.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는 비닐리테® VMCH (유니온 카바이드에서 시판)가 있다.
중합체 유형 DA는 가공 중 임의의 가능한 마모의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임의로 첨가될 수 있다. 예로서, 베스토신트(VESTOSIND)®2159 (데구사 아게) 유형의 폴리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첨가되는 이들의 비율은 배합물 중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예비 실험으로부터, n-부틸 아세테이트 및 에틸 메틸 케톤으로 이루어지는 용매계 중 각각 성분 A, B, AB 및 임의로는 D 및, DA로 이루어진 상기한 바와 같은 바인더 계 (예를 들어, 데갈란® PM 555와 유사함)가 중합체 성분 C를 포함하는 배합물에 사용되는 경우, 그의 농도에 관계없이, 존재하는 PET 접착성은 불만족스러움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용매계가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 변화되는 경우, 중합체 성분 C를 포함하는 적절한 배합물에서 매우 양호한 열-밀봉 특성을 갖게 된다.
<용매 또는 용매계 L>
본 발명의 열-밀봉계는 중합체 유형 A, B 및 C, 그라프트 중합체 AB 및 CB, 및 임의로는 중합체 유형 D 또는 DA 뿐만 아니라 용매계 L도 포함한다.
용매계 L에 사용되는 용매는 플라스틱 및 금속에 대한 코팅 기술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선택된다. (임의로는 혼합물 중에) 사용되는 용매는 불활성이며, 전체가 무해하며, 비등점이 760 torr에서 가능한 한 105℃ 이하이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지방족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및 케톤 및 지방족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다.
사용될 수 있는 지방족 카르복실산은 아세트산, 프로피노산 또는 부틸산이다.
사용될 수 있는 지방족 알코올은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2-메틸-1-프로판올 또는 2-메틸-2-프로판올이다.
사용될 수 있는 케톤의 예로는 아세톤 또는 에틸 메틸 케톤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지방족 탄화수소는 펜탄, 헥산, 헵탄, 옥탄, 이소옥탄, 노난, 데칸, 운데칸 또는 도데칸이다.
지방족 탄화수소는 그의 이성질체 혼합물의 형태 및 서로의 혼합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시클로알칸 및 치환된 시클로알칸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운반계를 위하여 상기 기재된 용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농축된 중합체 분산액 중 용매 또는 용매계 L의 비율은, 예를 들어, 80 중량%이거나 특히 유리한 경우에 20 중량% 만큼 적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미만, 실제로는 대개 55 중량% 내지 40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열-밀봉 공정에 대해 통상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가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에 첨가될 수 있다.
열- 밀봉계의 제조
<중합체 유형 A 내지 D의 합성>
대용법 A: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반응 조건 하에, 적절한 유화제의 도움으로 용매계 L 중 성분 A 및 C의 분산액, 또는 적합한 중합체 상용성이 매칭된 경우 균일한 용액이 제조되며, 성분 B를 유도하는 유형 I 내지 V의 단량체가 성분 A 및 C 상에 동시에 그라프팅된다. A 및 B 부분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5:1 이다. A 및 C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1:2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1 이다.
전체 분산액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중합체의 함량은 10 중량% 이상이고, 여기서 실제로 바람직한 함량은 40 중량% 내지 80 중량%, 통상 45 중량% 내지 6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가공 기술에 대해 적절한 안정성을 갖는 분산액 중 열-밀봉가능한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분산액의 안정성은 적어도 수일, 보통 수주 내지 수개월에 달한다.
본 발명의 코팅계는 많은 부문에서 적용된다.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의 열 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청구항 1에 따른 코팅계의 용도를 주목해야 한다. 청구항 4 및 13에 따른 코팅계는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뿐만 아니라 PET-코팅된 포일의 열 밀봉에 사용된다. 청구항 2, 11 및 15에 따른 코팅계는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또한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 틸렌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및 또한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뿐만 아니라 PET-코팅된 포일의 열 밀봉에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잘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된 포일 물질
두께 40 ㎛의 부드러운 알루미늄 포일
JE 6100 펠릿 (쉘)로부터 압출된 두께 0.2 mm의 폴리프로필렌 포일
폴리에스테르 포일: 호스타판(Hostaphan)® WDW
열 밀봉 용액의 실험실내 적용
No. 4 K-핸드코터를 사용하여 열-밀봉 용액을 도포하였다. 여기서 수득된 건조 층 두께는 7 ㎛ 내지 9 ㎛이다.
코팅된 포일의 실험실내 건조
프라이밍된 포일을 공기 중에서 잠시(5 내지 10 분) 건조시킨 후, 공기 순환 오븐에서 180 ℃ 에서 15 초 동안 건조시켰다.
열 밀봉 및 봉합 솔기 강도의 측정
브루거(Brugger) 사의 열 밀봉기 (HSG/ET)를 사용하여 밀봉을 수행하였다.
밀봉 조건:
온도: 200℃
압력: 6 bar
시간: 1초
밀봉 면적: 10 x 10 mm
봉합 술기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료를 15 mm 폭의 조각으로 자르고, 이것을 인스트론(Instron) 1195, 또는 즈윅(Zwick) 1454 인장 강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100 mm/분의 속도에서의 장력을 가하여 측정하였다. 박리 시험 중, 포일의 이미 서로 분리된 부분이 아직 힘을 받지 않은 나머지 부분과 서로 90o의 각도를 형성하는지 확인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
PP 포트의 밀봉을 위해 BHS VL-1600 실험실 포트-밀봉기를 사용하였다.
성분 A:
여기서 성분 A의 예로서 사용된 코폴리에스테르 (유형 1)의 성질을 표 1에 열거하였다. 이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여러 이타콘산 함량을 갖는 반방향족성 코폴리에스테르이다. 또한, 하기 열-밀봉 적용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효율적인 비교를 위해, 이타콘산이 없는 유형 0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7
A, B, 및 AB로 이루어진 열-밀봉 용액에 대한 배합물
실시예 1
항온기, 환류 콘덴서, 블레이드 교반기 및 내부 온도계가 있는 자켓이 장착된 용기에서, 프로필 아세테이트 55 g 및 유형 1의 폴리에스테르 24 g을 초기 충전물으로서 사용하였다. 폴리에스테르를 교반하면서 85℃에서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tert-부틸 2-에틸퍼헥사노에이트 0.5 g을 상기 용액에 부가혼합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사슬을 따라 이상적인 수율의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용액을 30 분 동안 85℃에서 교반하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6.0 g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6.0 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계측 펌프로 신속하게 계량 첨가하였다.
150 분의 반응 시간 후, 중합체 용액을 냉각시키고, 용액의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프로필 아세테이트 13.5 g으로 희석하였다.
비교예 1
유형 1 대신에 유형 0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2
항온기, 환류 콘덴서, 블레이드 교반기 및 내부 온도계가 있는 자켓이 장착된 용기에서, 프로필 아세테이트 42 g 및 유형 1의 폴리에스테르 12.8 g을 초기 충전물으로서 사용하였다. 폴리에스테르를 교반하면서, 90℃에서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30 분 동안 교반하고, tert-부틸 2-에틸퍼헥사노에이트 0.15 g을 상기 용액에 부가혼합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사슬을 따라 이상적인 수율의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용액을 30 분 동안 90℃에서 교반하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2 g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2 g, 및 추가의 tert-부틸 2-에틸퍼헥사노에이트 0.15 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계측 펌프로 신속하게 계량 첨가하였다.
실시예로부터의 그래프트 실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8
분자량 비교는 비교예의 경우 폴리에스테르 출발 물질 피크외에 폴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제2 중합체 분획이 존재하는 바이모드 생성물을 보여준다. 이와 대조적으로, 실시예 2 및 특히 실시예 1로부터의 생성물은 명확하게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였다. 다르게는, 비상용성인 단독중합체 A 및 B를 포함하는 용액 배합물 중에 상용화제(compatibilizer)로서 작용하는 상기 생성물이 존재함으로써, 배합물 첨가제 없이도 PS에 관하여 PET의 시스템에 대한 양호한 열-밀봉 솔기 강도를 갖는 열-밀봉 코팅물이 유도된다.
열-밀봉 용액에 대한 혼합 명세는 A, B, C, AB 및 CB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
EPDM 42.9 g 및 유형 1의 이타콘산-함유 폴리에스테르 20 g을 90℃에서 교반 탱크 중에 프로필 아세테이트 50 g, 에틸 아세테이트 20 g 및 이소옥탄 10 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중에 분산시켰다. 먼저,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2 g을 가한 다음,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18.5 g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8.5 g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90 분에 걸쳐 상기 혼합물에 계량 첨가하였다. 그 다음, 90℃에서 120 분에 걸쳐 중합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후-개시(post-initiation)를 위해 추가로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0.5 g을 가하고, 혼합물을 90℃에서 추가로 9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중합체의 함량은 실시예 3에 대해 약 45 중량%이고, 용매의 함량은 약 55 중량% 이었다.
EPDM =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부, 부나(Buna) EP 6170
PMMA =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BMA =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 이타콘산 7 몰%이 있는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및 Mw = 14, 400
비교예 2
EPDM 54.0 g을 90℃에서 교반 탱크 중에 프로필 아세테이트 50 g, 에틸 아세테이트 20 g 및 이소옥탄 10 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중에 분산시켰다. 먼저,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2 g을 가한 다음,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3.0 g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3.0 g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90 분에 걸쳐 상기 혼합물에 계량 첨가하였다. 그 다음, 90℃에서 120 분에 걸쳐 중합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후-개시를 위해 추가로 tert-부틸 퍼벤조에이트 0.5 g을 가하고, 혼합물을 90℃에서 추가로 90 분 동안 교반하였다.
중합체의 함량은 비교예 1에 대해 약 45 중량% 이고, 용매의 함량은 약 55 중량% 이었다.
EPDM =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부나 EP 6170
PMMA =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BMA = 폴리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실험 결과
열-밀봉 특성
Figure 112008061479863-PCT00009

Claims (23)

  1.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인 중합체 유형 A가 존재하고,
    표준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표준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또는/및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B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A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AB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A, B 및 AB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합체 유형 A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B의 양은 5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B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 B 및 AB의 전체 중량 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L 중량의 중량비가 5: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성 분산액을 포함하고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2.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C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B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3. 제2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A, B, AB, C 및 B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합체 유형 C의 양이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CB의 양이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 B, AB, C 및 BC의 전체 중량 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L 중량의 중량비가 5: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4.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A가 그의 제조에 이타콘산의 공중합 단계가 포함되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5. 제4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A가 사용된 폴리카르복실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타콘산의 비율이 0.1 몰% 내지 20 몰%인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6. 제5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A가 사용된 폴리카르복실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타콘산의 비율이 2 몰% 내지 8 몰%인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7. 제4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AB가 폴리에스테르 주쇄 및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측쇄를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 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8. 제4항에 있어서, 성분 B를 유도하는 단량체의 중합에 중합체 유형 A 및 개시제의 동시적 존재가 수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9. 제4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A 내에 이타콘산 반복 단위의 이중 결합을 갖는 개시제의 반응으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유리-라디칼 중합을 위한 반응성 중심이 형성되고, 이들이 추가로 반응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AB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10. 제4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B가 그라프트 공중합체 AB 및 CB의 제조를 위하여 중합체 유형 A 및 중합체 유형 C 상에 동시에 그라프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11. 제4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C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B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12. 제4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A, B, AB, C 및 B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합체 유형 C의 양이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CB의 양이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 B, AB, C 및 BC의 전체 중량 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L 중량의 중량비가 5: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13. 제4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인 중합체 유형 D 및/또는 폴리아미드인 중합체 유형 DA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중합체 유형 A, B, AB, D 및 D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합체 유형 D의 양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DA의 양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 B, AB, D 및 DA의 전체 중량 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L 중량의 중량비가 5: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15. 제4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인 중합체 유형 A가 존재하고,
    표준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표준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 이트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B가 존재하고,
    올레핀 중합체 또는 올레핀 공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A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AB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C 및 중합체 유형 B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중합체인 중합체 유형 CB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D 및/또는 중합체 유형 DA가 존재하고,
    중합체 유형 A, B, AB, C, CB, D 및 D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합체 유형 A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B의 양은 5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C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B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CB의 양은 5 중량% 내지 6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D의 양은 0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DA의 양은 0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중합체 유형 A, B, AB, C, CB, D 및 DA의 전체 중량 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 L 중량의 중량비가 5: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이 열-밀봉 공정에 통상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밀봉에 적절한 열-밀봉가능한 코팅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팅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밀봉가능한 기재의 밀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코팅계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의 밀봉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제4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코팅계를 사용하는,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의 밀봉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제2항, 제1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팅계를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알루미늄 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의 밀봉 방법.
  21. 제1항에 따른 코팅계의,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의 열 밀봉에 있어서의 용도.
  22. 제4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코팅계의,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 또는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의 열 밀봉에 있어서의 용도.
  23. 제2항, 제1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코팅계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폴리에스테르 포일 또는 알루미늄포일, 또는 알루미늄-코팅된 포일 또는 PET-코팅된 포일의 열 밀봉에 있어서의 용도.
KR1020087021152A 2006-02-28 2006-12-19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 용기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일을 위한 열-밀봉재 KR200801084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610009586 DE102006009586A1 (de) 2006-02-28 2006-02-28 Heißversiegelungsmasse für Aluminium- und Polyethylenterephthalatfolien gegen Polypropylen-Polyvinylchlorid- und Polystyrolbehälter
DE102006009586.3 2006-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434A true KR20080108434A (ko) 2008-12-15

Family

ID=3793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152A KR20080108434A (ko) 2006-02-28 2006-12-19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 용기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일을 위한 열-밀봉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084136B2 (ko)
EP (3) EP1989258B1 (ko)
JP (1) JP5455377B2 (ko)
KR (1) KR20080108434A (ko)
CN (1) CN101356231B (ko)
BR (1) BRPI0621464A2 (ko)
CA (1) CA2643913C (ko)
DE (1) DE102006009586A1 (ko)
MX (1) MX2008011035A (ko)
RU (1) RU2435806C2 (ko)
TW (1) TW200804497A (ko)
WO (1) WO20070988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0786A1 (de) * 2003-10-29 2005-06-02 Röhm GmbH & Co. KG Mischungen zur Herstellung von Reaktivschmelzklebstoffen sowie daraus erhältliche Reaktivschmelzklebstoffe
DE102004030404A1 (de) * 2004-06-23 2006-01-19 Röhm GmbH & Co. KG Plastisole auf Basis eines Methylmethacrylat-Mischpolymerisats
DE102004035937A1 (de) * 2004-07-23 2006-02-16 Röhm GmbH & Co. KG Plastisole mit verringerter Wasseraufnahme
DE102005045458A1 (de) * 2005-09-22 2007-03-29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BA-Triblockcopolymeren auf (Meth)acrylatbasis
DE102005052130A1 (de) * 2005-10-28 2007-05-03 Röhm Gmbh Spritzbare Akustikmassen
DE102006007563A1 (de) * 2006-02-16 2007-08-30 Röhm Gmbh Verfahren zum Verkleben von Werkstoffen mit nanoskaligen superparamagnetischen Poly(meth)acrylatpolymeren
DE102006008965A1 (de) * 2006-02-23 2007-08-30 Röhm Gmbh Additive Baustoffmischungen mit Mikropartikeln verschiedener Größe
DE102006008966A1 (de) * 2006-02-23 2007-08-30 Röhm Gmbh Additive Baustoffmischungen mit sprühgetrockneten Mikropartikeln
DE102006009511A1 (de) * 2006-02-28 2007-08-30 Röhm Gmbh Synthese von Polyester-pfropf-Poly(meth)acrylat
DE102006009586A1 (de) 2006-02-28 2007-09-06 Röhm Gmbh Heißversiegelungsmasse für Aluminium- und Polyethylenterephthalatfolien gegen Polypropylen-Polyvinylchlorid- und Polystyrolbehälter
DE102006015846A1 (de) * 2006-04-03 2007-10-04 Röhm Gmbh Kupferentfernung aus ATRP-Produkten mittels Zugabe von Schwefelverbindungen
DE102006035726A1 (de) 2006-07-28 2008-01-31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BA-Triblockcopolymeren auf (Meth)acrylatbasis
DE102006037352A1 (de) * 2006-08-09 2008-02-14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äureterminierten ATRP-Produkten
DE102006037351A1 (de) * 2006-08-09 2008-02-14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ydroxytelecheler ATRP-Produkten
DE102006048154A1 (de) * 2006-10-10 2008-04-17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yltelechelen Polymeren
DE102006057145A1 (de) * 2006-11-22 2008-05-29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besserter Bindemittel für Plastisole
DE102007038807A1 (de) * 2007-08-16 2009-02-19 Evonik Degussa Gmbh Klebstoffe auf der Basis von Polyester-pfropf-Poly(meth)acrylat-Copolymeren
DE102008040464A1 (de) * 2008-07-16 2010-01-21 Evonik Degussa Gmbh Gekoppelte Polyester-Acrylat-Pfropfpolymere
DE102012218108A1 (de) * 2012-10-04 2014-04-10 Evonik Industries Ag Wässrige Bindemittel für Heißsiegelanwendungen
DE102013204550A1 (de) 2013-03-15 2014-09-18 Evonik Industries Ag Verwendung von Polyestern mit inhärentem Flammschutz in Kleb- und Dichtstoffen
CN103192570B (zh) * 2013-04-19 2015-04-15 黄山永新股份有限公司 便于直接微波加热的高阻隔耐蒸煮包装膜及其制备方法
DE102014208608A1 (de) 2014-05-08 2015-11-12 Evonik Röhm Gmbh Direkt haftendes, halogenfreies, schnell trocknendes Heißsiegelbindemittel zur Versiegelung von Polyesterfolien gegen Polystyrol, Polyester oder PVC
US20170081569A1 (en) * 2014-05-27 2017-03-23 Amcor Flexibles Rorschach Ag Heat-Sealable Structure for Aluminum Disposable Beverage-Brewing Containers
DE102014218188B4 (de) 2014-09-11 2023-01-19 Evonik Operations Gmbh Formulierung zur Beschichtung von Substraten,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Substraten, beschichtete Substrate sowie Verwendung der Formulierung
JP6405917B2 (ja) * 2014-11-12 2018-10-1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接着強度に優れた熱封緘蓋材
JP6826533B2 (ja) 2015-02-05 2021-02-03 エボニック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イソシアネートを使用しない炭酸エステル修飾ポリマーの合成
US10246617B2 (en) 2015-03-02 2019-04-02 Evonik Degussa Gmbh Adhesives with low VOC and fogging values
WO2016139144A1 (de) 2015-03-02 2016-09-09 Evonik Degussa Gmbh Klebstoffe mit geringen voc und fogging-werten
EP3243863A1 (de) 2016-05-09 2017-11-15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von block-copolymeren in klebstoffen
RS59233B1 (sr) * 2016-05-17 2019-10-31 Evonik Roehm Gmbh Direktno prianjajuće providno vezivo za toplo pečaćenje, za premazivanje i pečaćenje providnih plastičnih folija
CN107163510A (zh) * 2017-07-14 2017-09-15 芜湖市三山区绿色食品产业协会 抗老化聚酯/铝箔/聚酯复合食品包装膜及其制备方法
EP3670553A1 (de) 2018-12-18 2020-06-24 Evonik Operations GmbH Pfropfcopolymere und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WO2021205916A1 (ja) 2020-04-06 2021-10-14 東洋紡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水分散体及びこれを用いた接着剤組成物
EP4273176A1 (de) * 2022-05-06 2023-11-08 Röhm GmbH Herstellung von alkyl(meth)acrylat-polyester-copolymeren mittels suspensionspolymerisation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44941C3 (de) 1966-09-23 1978-06-2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Wilmington, Del. (V.St.A.) Legiertes Mineralschmieröl
CA956050A (en) 1967-07-31 1974-10-08 Norman Jacobson Lubricant containing ethylene-alpha olefin polymer
DE1939037B2 (de) 1967-07-31 1980-02-07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 Linden, N.J. (V.St.A.) Athylen/Propylen-Polymeris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BE759962A (fr) 1969-12-08 1971-06-0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de de polymerisation
US4133909A (en) * 1977-01-26 1979-01-09 Mobil Oil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aqueous coatings
JPS54111536A (en) * 1978-02-20 1979-08-31 Toyo Alum Kk Heat resistant heat-sealing agent
DE3321797A1 (de) 1983-06-16 1984-12-20 Röhm GmbH, 6100 Darmstadt Heisssiegelfaehige beschichtungsmassen
DE3531036A1 (de) 1985-08-30 1987-03-12 Basf Ag Siegelfaehige thermoplastische formmasse
JP2700791B2 (ja) * 1987-04-17 1998-01-2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粉体塗料用グラフト変性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DE3730504C1 (en) * 1987-09-11 1989-03-16 Atochem Werke Gmbh Copolyamides containing caprolactam and laurolactam,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for heat-sealing textiles
JPH0639154B2 (ja) * 1988-06-15 1994-05-25 東レ株式会社 積層体
FR2640983B1 (ko) 1988-12-28 1992-09-25 Rhone Poulenc Films
DE3921677A1 (de) 1989-07-01 1991-01-10 Basf Ag Siegelfaehige kunststoff-folie
FR2664533B1 (fr) 1990-07-16 1994-09-30 Rhone Poulenc Films Films polyesters composites et leur utilisation comme couche de protection pour plaques photopolymeres et plaques photopolymeres les comportant.
JP2593247B2 (ja) * 1991-01-10 1997-03-26 帝人株式会社 易接着性高強度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H0912754A (ja) * 1995-06-29 1997-01-14 Teijin Ltd 積層フイルム
DE19539214A1 (de) * 1995-10-21 1997-04-24 Degussa Brandsicheres, transparentes Scheibenelement und dessen Verwendung
JPH1149925A (ja) * 1997-07-31 1999-02-23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系有機溶剤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6498209B1 (en) * 1998-03-31 2002-12-24 Roehm Gmbh & Co. Kg Poly(meth)acrylate plastisols
JP2000044917A (ja) * 1998-07-30 2000-02-15 Toyobo Co Ltd ヒートシール剤
JP4144075B2 (ja) * 1998-08-03 2008-09-03 東洋紡績株式会社 高制電性多層熱可塑性樹脂シート
DE19928352A1 (de) * 1999-06-21 2000-12-28 Roehm Gmbh Verbesserte Poly(meth)acrylatptastiso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4906218B2 (ja) 2000-05-19 2012-03-28 アクゾ ノーベル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水系架橋性バインダー組成物および該バインダー組成物を含むコーティング、ラッカーまたはシーリング組成物
DE10065501A1 (de) * 2000-12-28 2002-07-04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rlpolymerisaten mit einer mittleren Teilchengröße im Bereich von 1 bis 40 mum sowie Perlpolymerisat aufweisende Formmassen, Formkörper und PAMA-Plastisole
DE10150898A1 (de) 2001-02-07 2002-08-22 Roehm Gmbh Heißversiegelungsmasse für Aluminiumfolien gegen Polypropylen und Polystyrol
JP2002302639A (ja) * 2001-04-06 2002-10-18 Kansai Paint Co Ltd 缶内面用水性被覆組成物
DE10231111A1 (de) 2001-07-25 2003-02-13 Henkel Kgaa Schmelzklebstoff auf Basis von Pfropfcopolymeren
JP3995523B2 (ja) * 2002-05-14 2007-10-24 ユニチカ株式会社 水性分散体
DE10227898A1 (de) * 2002-06-21 2004-01-15 Röhm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sprühgetrockneter Poly(meth)acrylatpolymere, ihre Verwendung als Polymerkomponente für Plastisole und damit hergestellte Plastisole
DE10350786A1 (de) * 2003-10-29 2005-06-02 Röhm GmbH & Co. KG Mischungen zur Herstellung von Reaktivschmelzklebstoffen sowie daraus erhältliche Reaktivschmelzklebstoffe
DE102004030404A1 (de) * 2004-06-23 2006-01-19 Röhm GmbH & Co. KG Plastisole auf Basis eines Methylmethacrylat-Mischpolymerisats
DE102004035937A1 (de) * 2004-07-23 2006-02-16 Röhm GmbH & Co. KG Plastisole mit verringerter Wasseraufnahme
DE102004054446A1 (de) 2004-11-11 2006-05-18 Bayer Materialscience Ag Vinylmonomergepfropfte Polyester-Dispersionen mit Reaktivverdünnern auf Basis von lactongruppenhaltigen Verbindungen
DE102005042389A1 (de) * 2005-06-17 2006-12-28 Röhm Gmbh Heißversiegelungsmasse für Aluminium- und Polyethylenterephthalatfolien gegen Polypropylen-Polyvinylchlorid- und Polystyrolbehälter
DE102005045458A1 (de) * 2005-09-22 2007-03-29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BA-Triblockcopolymeren auf (Meth)acrylatbasis
DE102005046681A1 (de) * 2005-09-29 2007-04-05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Verwendung von polymeren Mikropartikeln in Baustoffmischungen
DE102005052130A1 (de) * 2005-10-28 2007-05-03 Röhm Gmbh Spritzbare Akustikmassen
DE102006008968A1 (de) * 2006-02-23 2007-08-30 Röhm Gmbh Additive Baustoffmischungen mit Mikropartikeln, deren Schalen porös und/oder hydrophil sind
DE102006008966A1 (de) * 2006-02-23 2007-08-30 Röhm Gmbh Additive Baustoffmischungen mit sprühgetrockneten Mikropartikeln
DE102006008965A1 (de) * 2006-02-23 2007-08-30 Röhm Gmbh Additive Baustoffmischungen mit Mikropartikeln verschiedener Größe
DE102006009511A1 (de) * 2006-02-28 2007-08-30 Röhm Gmbh Synthese von Polyester-pfropf-Poly(meth)acrylat
DE102006009586A1 (de) 2006-02-28 2007-09-06 Röhm Gmbh Heißversiegelungsmasse für Aluminium- und Polyethylenterephthalatfolien gegen Polypropylen-Polyvinylchlorid- und Polystyrolbehälter
DE102006009841A1 (de) * 2006-03-01 2007-09-06 Röhm Gmbh Additive Baustoffmischungen mit quellbaren Polymergebilden
DE102006009842A1 (de) * 2006-03-01 2007-09-06 Röhm Gmbh Additive Baustoffmischungen mit Mikropartikeln die in der Mischung quellen
DE102006015846A1 (de) * 2006-04-03 2007-10-04 Röhm Gmbh Kupferentfernung aus ATRP-Produkten mittels Zugabe von Schwefelverbind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4497A (en) 2008-01-16
WO2007098816A3 (de) 2008-03-06
EP1989258B1 (de) 2014-02-12
US20080292893A1 (en) 2008-11-27
CN101356231A (zh) 2009-01-28
JP2009528408A (ja) 2009-08-06
US8084136B2 (en) 2011-12-27
RU2008138392A (ru) 2010-04-10
CN101356231B (zh) 2012-06-27
EP1989258A2 (de) 2008-11-12
WO2007098816A2 (de) 2007-09-07
EP2495282A1 (de) 2012-09-05
CA2643913A1 (en) 2007-09-07
EP2497799A1 (de) 2012-09-12
RU2435806C2 (ru) 2011-12-10
MX2008011035A (es) 2008-09-08
CA2643913C (en) 2016-07-05
DE102006009586A1 (de) 2007-09-06
JP5455377B2 (ja) 2014-03-26
EP2497799B1 (de) 2013-07-24
EP2495282B1 (de) 2013-10-16
BRPI0621464A2 (pt) 201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136B2 (en) Heat-sealing material for aluminum foil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oils against polypropyl, polyvinyl chloride, and polystyrol containers
KR101365764B1 (ko)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스티렌 용기에 대한 알루미늄 포일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밀봉을 위한 열 밀봉 재료
US7498373B2 (en) Hot sealing compound for aluminum foils applied to polypropylene and polystyrene
JP6767923B2 (ja) 透明なプラスチック・ホイルの被覆及びシールのための、直接接着性の透明なヒートシール可能結合剤
JP2011084747A (ja) ポリプロピレン及びポリスチレンへのアルミニウムホイル用のホットシーリング組成物
RU2707025C2 (ru)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 скрепляющее, не содержащее галогенов, быстросохнущее, термосклеивающее связующее для склеивания пленок на основе сложного полиэфира с полистиролом, сложным полиэфиром или pv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