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800A -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800A
KR20080101800A KR1020080045791A KR20080045791A KR20080101800A KR 20080101800 A KR20080101800 A KR 20080101800A KR 1020080045791 A KR1020080045791 A KR 1020080045791A KR 20080045791 A KR20080045791 A KR 20080045791A KR 20080101800 A KR20080101800 A KR 2008010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ell
glare film
fine particles
gl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290B1 (ko
Inventor
임상혁
장영래
구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8010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9Silicic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바인더 수지; 및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코어-쉘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고해상도용 눈부심 방지 필름 내에 포함된 미립자의 저장 안정성이 개선되어, 제품의 내구성과 그 사용 연한이 증가될 수 있고,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면 표시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화상의 상선명도 및 명암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눈부심 방지 필름, 코어-쉘 미립자

Description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COMPOSITION FOR ANTI-GLARE FILM AND ANTI-GLARE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눈부심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상선명도 및 콘트라스트가 우수하여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이 가능한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전달의 고속화 및 고밀도화, 전달매체의 다양화 및 다기능화에 부응하고, 소비자들이 대화면, 고화질, 다기능 및 고기능성 등의 고품질 제품을 요구함에 따라 대 화면의 평판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가 등장하게 되었다.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및 박형화와 노트북 PC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LCD나 PDP, 후사 투영(Rear-projection) TV 등의 다양한 형태의 평판디스플레이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자연광 등의 외부 빛에 노출될 경우, 표면 반사광으로 인하여 이용자의 눈에 피로감을 주거나 두통을 유발하기도 하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선명한 상으로서 인식되지 못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외부의 광을 표면에서 산란시킴으로써 눈부심 방지 효과를 구현한 바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내부 산란을 유도하는 미립자를 코팅층에 첨가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선행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이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이들이 갖는 기술적 단점을 분석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782호는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수지와 굴절율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직경 0.05 내지 1㎛의 제 1미립자와 굴절율 차이가 0.1을 넘지 않는 평균입경 0.5 내지 3㎛의 제 2 미립자를 이용한 고해상도용 눈부심 방지 코팅층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바인더수지와 제1 미립자의 굴절율 차이가 심하여 콘트라스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840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1-3178호는 바인더 수지 내부에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고 투광성 미립자의 굴절율은 바인더와 0.03 이상 0.2이하이고 각 투광성 미립자는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코팅층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상선명도 및 헤이즈 값 대비 눈부심 방지 특성이 떨어지고 10% 이상의 헤이즈로 인해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6369호는 바인더 수지 내부에 투광성 확산 제를 포함하고 표면 요철에 의한 외부 헤이즈 값이 7 내지 30이고 투광성 확산제에 의한 내부 헤이즈 값이 1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코팅층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높은 표면 헤이즈 값으로 인해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67675호는 바인더 수지 내부에 굴절율 1.55이상인 구형의 미립자와 굴절율 1.48이하인 부정형의 미립자를 포함하고 바인더 수지의 두께가 구형의 미립자의 평균 직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코팅층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상선명도 및 헤이즈 값 대비 눈부심 방지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2-185927호는 바인더 수지 내부에 평균 직경 1 내지 7㎛의 유기물 미립자와 평균 직경이 0.1㎛이하인 무기물 미립자를 포함하고 바인더의 두께가 유기물 미립자의 평균 직경의 0.3 내지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코팅층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무기물 미립자가 유기물 미립자의 표면에 붙어 있지 않으므로 무기물 미립자에 의한 미세하고 균일한 표면 요철을 생성할 수 없으므로 미립자에 의한 눈부심 방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등록특허 제3507344호는 바인더 수지 내부에 적어도 1종류의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성 미립자는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3이하이고, 바인더 수지층의 표면으로부터 0.1 내지 0.3㎛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코팅층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상선명도 및 헤이즈값 대비 눈부심 방지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5-0006349호는 코어-쉘 구조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 하는 광흡수층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코어로서 굴절율이 높은 부정형의 금속산화물 결정질을 사용하고 쉘이 비정질 또는 결정질의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져 있어, 눈부심 방지 코팅용 조성물에 사용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눈부심 방지 코팅막에서 헤이즈는 코팅층 표면의 거칠기에 의한 외부 산란 및 바인더 수지내의 필러에 의한 내부 산란과 관련이 있고, 눈부심 방지 효과는 표면 거칠기에 의한 외부 산란과 관련이 있으며, 상선명도는 빛의 확산 정도와 관련이 있다. 또한 빛의 확산 정도는 바인더 수지와 미립자의 굴절율 차이 및 코팅층의 표면 거칠기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코팅층의 표면이 거칠수록 상선명도는 떨어진다. 따라서 상선명도와 눈부심 방지성은 상반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상선명도 및 눈부심 방지성이 우수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용 눈부심 방지 코팅막의 제조에 있어서는 표면 거칠기를 어떻게 제어하느냐가 중요한 기술 요소라 할 수 있다.
종래에 사용하던 구형의 미립자의 경우에는 상선명도 및 눈부심 방지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막을 제조 하기 어렵고 미립자의 렌즈(lens)효과로 인하여 RGB 픽셀이 혼합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교된 유기물 미립자를 사용할 경우, 미립자를 단분산시키기 위해서 적정한 용매(Good solvent)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가교된 미립자가 팽윤(swelling)되며, 그 표면이 끈적끈적해져(sticky) 미립자 간의 상호 충돌이 발생되면서 서로 응집(coagulation)됨으로 인해 코팅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 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업계에서는, 평판디스플레이에서 눈부심 방지 효과를 충분히 구현하면서도 양호한 상선명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로서는 눈부심 방지 효과와 상선명도 개선의 기술적 개선 노력이 서로 정합된 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어느 하나의 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다른 기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가 제어된 미립자를 이용하여, 저장안정성이 우수하고 눈부심 방지 특성이 우수하며, 디스플레이에 적용되어 상선명도 및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인더 수지; 및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코어-쉘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인더 수지 및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코어-쉘 미립자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해상도용 눈부심 방지 필름 내에 포함된 코어-쉘 미립자의 저장 안정성이 개선되어, 제품의 내구성과 그 사용 연한이 증가될 수 있고,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면 표시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화상의 상선명도 및 명암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및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코어-쉘 미립자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경화반응에 참가할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적어도 1개 포함하는 올리고머이며,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경화반응에 참가할 수 있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모노머이다.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 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로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종류가 예시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평균 굴절율 차이가 0~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평균 굴절율 차이가 0~0.2이고, 평균 표면거칠기([Rz])가 0~2㎛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표면 거칠기가 전혀 없는 상태로서도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며, 그 표면 거칠기가 일정한 정도로 제어되는 경우에도 바람직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되는 평균 굴절율과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 간의 차이가 0~0.2일 수 있다.
[수학식 1]
평균 굴절율 = [fcoren2 core + fshelln2 shell]0.5
상기 수학식 1에서, fshell은 (R3 core - shell - R3 core)/R3 core - shell 로 계산되며, 이는 상기 코어-쉘 미립자 전체 부피 중 쉘이 차지하는 부피 분율을 나타내며, fcore는 (Rcore/Rcore-shell)3로 계산되며, 이는 상기 코어-쉘 미립자 전체 부피 중 코어가 차지하는 부피 분율을 나타내고, Rcore 는 코어의 반지름을 나타내며, Rcore - shell는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반지름을 나타낸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코어-쉘 미립자의 예로서, 그 직경 3㎛의 폴리스티렌(굴절율: 1.6) 코어에 1㎛ 두께의 실리카(굴절율: 1.46)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미립자의 평균 굴절율은 1.49이며 바인더수지의 굴절율은 1.51로서, 그 상대적인 굴절율 차이는 0.02인 경우를 예정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되는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일 수 있다.
[수학식 2]
평균 표면 거칠기 = [Rz] =
Figure 112008034992144-PAT00001
,
이때, 상기 수학식 2에서, R zi 는 각 표면 요철의 높이이고, n 은 표면 요철의 개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요철의 높이는 한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의 최저 점에서 철부의 최고점까지의 거리이다.
상기 요철의 형성방법으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고분자 입자의 요철 제어는 상분리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역학적(thermodynamic) 및 동역학적(kinetic) 제어를 통해서 요철의 모양 및 분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평균 표면 거칠기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2㎛을 초과하는 경우, 눈부심 방지 대비 상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코어 및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는 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의 입자직경은0.5 내지 5㎛이고, 상기 코어와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02 내지 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의 입자직경이 0.5㎛ 미만인 경우 산란 특성이 저하되어 충분한 헤이즈 값을 얻기 어려울 수 있으며, 5㎛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 필름의 단위 부피당 미립자의 수가 줄어들어 내부 산란 효과가 저하되어 충분한 헤이즈 값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코어와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02미만인 경우 내부 산란에 의한 충분한 헤이즈 값을 얻기 어려울 수 있고, 0.3을 초과하는 경우 내부 산란에 기하여 헤이즈 값이 증가하는 반면 투과도가 감소되어 명암대비비가 저하될 수도 있다.
상기 쉘의 두께는 0.01내지 2㎛이고, 상기 쉘과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쉘의 두께가0.01㎛ 미만인 경우 쉘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저장안정성이 취약해지는 등의 물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2㎛를 초과하는 경우 코어-쉘 미립자를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전체적인 코어-쉘 미립자 직경이 증가되어 내부 산란 효과가 저하되므로 충분한 헤이즈 값을 얻기 어려을 수 있다.
상기 쉘과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1을 초과하는 경우 내부 산란이 증가하여 헤이즈 값이 증가되지만 투과도가 떨어져 명암대비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원형단면형상을 갖거나 상기 코어의 표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 2~4 참조) 여기서 요철 패턴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쉘은 원형 단면형상을 갖거나 상기 쉘의 표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도2~4 참조). 여기서 요철 패턴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쉘은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는 구형상 또는 변형 구형상의 쉘입자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도 5~6 참조)
그러나, 여기서, 코어의 형상 및 쉘의 형상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균 표면 거칠기([Rz])를 0~2㎛로 제공할 수 있다면, 이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코어는,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의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쉘은,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물질과는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상기 유기물은,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멜라민레진, 벤조구아나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코폴리머(copolymer)일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상기 무기물은, 실리카, 비결정질 티타늄옥사이드, 비결정질 지르코늄옥사이드, 인듐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비결정질 아연옥사이드, 비경정질 세륨옥사이드, 바륨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비결정질 바륨티타네이트, 및 바륨설페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복합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쉘을 형성하는 상기 유기물은,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멜라민레진,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코폴리머일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쉘을 형성하는 상기 무기물은,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인듐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아연옥사이드, 세륨옥사이드, 바륨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바륨티타네이트, 마그네슘플로라이드, 칼슘플로라이드, 및 바륨설페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복합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3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부 산란에 의한 헤이즈 값이 충분하게 구현되지 아니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져 코팅성이 불량해지고 내부 산란에 의한 헤이즈 값이 너무 커져 명암대비비(contrast ratio)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제조방법으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코어-쉘 미립자의 제조방법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은,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용매는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0~50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코어-쉘 미립자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가 50중량부 미만인 경우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커서 코팅성이 불량할 수 있고, 5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 필름의 막강도가 저하되 며, 후막으로 제조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케톤류, 셀로솔브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톨루엔, 및 자이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급 알코올류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이소부틸알콜, 또는 디아세톤 알코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아세테이트류는,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또는 셀로솔브아세테이트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류는,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틸아세톤, 또는 아세톤이 이용되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은, UV 조사를 통한 경화를 목적으로, UV 경화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UV 경화 개시제는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1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코어-쉘 미립자, 유기용매 및 UV경화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UV 경화 개시제가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경화가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눈부심 방지 필름의 막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UV경화개시제는,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벤질 디메틸 케탈,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벤조인 부틸 에테르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이용되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은, 레벨링제, 웨팅제, 소포제 및 평균 입경이 1~50nm인 실리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01~1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코팅한 코팅막의 표면을 균일하게 해 줄 수 있다.
상기 웨팅제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의 표면 에너지를 낮추는 역할을 함에 따라,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투명 기재층에 코팅할 때,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내의 기포를 제거해 주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는 무기물 입자로서, 첨가되어 코팅막 내의 내스크래치성 및 도막 강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입경이 1~50nm인 경우에는 투명한 코팅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코팅막의 광학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코팅 필름은, 바인더 수지 및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코어-쉘 미립자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한다.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 내용이 모두 적용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는 투명 기재층 및/또는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에 구비된 저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의 두께는 40~200nm일 수 있고, 상기 저반사층의 굴절율은 1.2 ~ 1.45일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을 형성하기 위한 저굴절 재료로는 굴절률 1.40 이하의 NaF, LiF, AlF3, Na5Al3F14, Na3AlF6, MgF2, YF3 와 같은 메탈 플로라이드이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크기는 1~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반사층에 사용되는 불소계 실란은 트리데카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메톡시실란,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이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반사층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은 전술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는 투명 기재층 및/또는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에 구비된 내오염(Anti-pollution)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오염층의 두께는 0초과 100 nm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내오염층은 불소기를 함유한 단관능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투명 기재층; 및 상기 투명 기재층 상 에 구비되며,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로 형성된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로 형성된 눈부심 방지층; 및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에 구비된 저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로 형성된 눈부심 방지층; 및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에 구비된 내오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투명 기재층; 및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저반사층과 상기 내오염층을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고해상도 평판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필름의 제조방법은, a) 투명 기재층 상에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코팅하는 단계; 및 b) 이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는, 습식 코팅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롤코팅법, 바 코팅법, 스프레이코팅법, 딥코팅법, 및 스핀코팅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코팅법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다른 코팅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b) 단계에서는 건조단계 및 경화단계로 나누어 진행할 수도 있고, 한 단계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재층(10); 및 투명 기재층(10) 상에 적층되며,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로 형성된 눈부심 방지층(11)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층(10)은, 그 구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C) 및 노보넨계 폴리머 중 선택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투명 기재층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물질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용 편광판에 적용되는 경우, 투명 기재층(1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기재층(10)은, 투과율이 적어도 85%이고, 헤이즈 값이1% 이하이며, 두께가 30~120㎛일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눈부심 방지층(11)은, 투명 기재층(10)을 보호하고, 눈부심 방지성이 우수하고, 상선명도 및 콘트라스트가 우수하며, 최종적인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 는 역할을 한다.
눈부심 방지층(11)은, 전자빔(EB) 또는 자외선(UV) 경화형 바인더 수지를 투명 기재층(10) 위에 도포하여 경화시킨 것으로서, 그 건조두께는 1~20 ㎛일 수 있다.
상기 경화형 바인더 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될 수 있다.
경화조건은 배합비나 성분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전자빔 또는 자외선 경화의 경우에는 그 조사량을 200 내지 1,000 mJ/㎠으로 1초 내지 10분 경화시키면 바람직하다.
전자빔 또는 자외선 경화에 있어서, 경화 시간이 1초 미만인 경우, 바인더 수지가 충분히 경화되지 않아서 내마모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불량할 수 있고, 경화 시간이 10분을 초과하는 경우, 투명기재층(10)에 황변이 발생될 수 있다.
눈부심 방지층(11)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하기 위해 롤 코팅법 또는 바 코팅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눈부심 방지층(11) 내부에는 표면 거칠기가 제어된 코어-쉘 미립자(12)가 분산되어 있다.
코어-쉘 미립자(12)의 표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부심 방지층(11)의 내부에 위치하여, 눈부심 방지 층(11)의 표면 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코어-쉘 미립자(12)의 표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즉, 코어-쉘 미립자(12)의 표면이 거친 표면을 갖는 경우, 이 요철 패턴에 의해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다양한 각도로 산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시각으로 인식되는 반사광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면 거칠기가 제어된 코어-쉘 미립자(12)의 형태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거칠기가 제어된 코어-쉘 미립자의 형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형상의 코어-쉘 미립자는 표면 거칠기가 없는 코어-쉘 미립자로서,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쉘이 모두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코어의 표면 및 쉘의 표면에는 모두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도시된 변형 구형상의 코어-쉘 미립자는 표면 거칠기가 있는 코어-쉘 미립자로서, 표면 거칠기가 없는 코어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표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표면 거칠기가 있는 쉘은 표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변형 구형상의 코어-쉘 미립자는 표면 거칠기가 있는 코어-쉘 미립자로서, 표면 거칠기가 있는 코어는 표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 거칠기가 있는 쉘은 표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변형 구형상의 코어-쉘 미립자는 표면 거칠기가 있는 코어-쉘 미립자로서, 표면 거칠기가 없는 코어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며, 코어의 표면은 구형의 쉘입자들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를 갖는다.
도 6에 도시된 변형 구형상의 코어-쉘 미립자는 표면 거칠기가 있는 코어-쉘 미립자로서, 표면 거칠기가 있는 코어는 표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코어의 표면은 구형의 쉘입자들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를 갖는다.
이하,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를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이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의 제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g, 다관능성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20g, 평균 입경이 3.5㎛이고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30nm인 코어-쉘 미립자 2g, 유기용매로 메틸에틸케톤 30g 및 톨루엔 38g, UV경화개시제 2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투명 기재층(두께 80㎛) 위에 롤 코팅을 이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액상의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건조 두께가 4㎛가 되도록 도포한 후 280mJ/㎠의 UV 를 조사하여 경화시켰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코어-쉘 미립자 대신, 평균 입경은 3.5㎛이고 평균 표면 거칠기([Rz])는 300nm인 코어-쉘 미립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코어-쉘 미립자 대신, 평균 입경이 3.5㎛이며 솔리드(solid)한 구조를 갖는 표면 거칠기가 없는 코어-쉘 미립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코어-쉘 미립자의 양(2g)을 0.1g으로 감소시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코어-쉘 미립자의 양(2g)을 10g으로 증가시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 하였다.
실험예 1
도 7내지 도 9는, 실시예 1~ 2및 비교예 1~3에서 사용한 코어-쉘 미립자의 표면 거칠기를 관찰하기 위하여 촬영한 전자 주사 현미경(SEM) 사진이다.
도7은 실시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 사용된 평균 입경이 3.5㎛이고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30nm인 코어-쉘 미립자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고, 도 8은, 실시예 2에서 사용된 평균 입경이 3.5㎛ 이고 평균 표면 거칠기가 300nm인 코어-쉘 미립자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며, 도 9는 비교예 1에서 사용된 평균 입경이 3.5㎛ 이고 평균 표면 거칠기가 없는 솔리드(solid) 구조의 코어-쉘 미립자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7 내지 도 9의 전자 주사 현미경 사진을 통해, 각각의 코어-쉘 미립자에 대한 상대적인 표면 거칠기의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1~2 및 비교예 1~3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조건에 의해 측정 후, 그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투과율(%)
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래버러토리(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사의 HR-100을 이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헤이즈 값(%)
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래버러토리(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사의 HR-100을 이용하여,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60˚반사 광택도( Gloss )
비와이케이 가드너(BYK Gardner)사의 마이크로-트리-그로스(micro-TRI-gloss)를 이용하여, 60˚반사 광택도(Gloss)를 측정하였다.
상선명도(%)
슈가 테스트 인스트루먼트(Suga Test Instrument Co., Ltd.)사의 ICM-1T를 이용하여 상선명도를 측정하였다.
콘트라스트
한국산업규격(KS C IEC 61988-2-1)에 의거하여 암실 콘트라스트와 명실 콘트라스트를 측정하였다.
내스크래치성
강철솜(#0000)을 1kg의 해머에 묶어 눈부심 방지 필름에 10회 문지른 후 관찰하였다.
◎ : 스크래치 개수 : 0 개
○ : 스크래치 개수 : 1cm 이하의 가는 스크래치 5개 이하
△ : 스크래치 개수 : 1cm 이하의 가는 스크래치 5개 초과 또는 1cm 이상의 긴 스크래치 1개 이상 3개 이하
× : 스크래치 개수 : 1cm 이상의 긴 스크래치 3개 초과
저장 안정성
○ : 1 주일 후,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 코팅 필름을 제조 시, 필름 의 헤이즈값, 60˚Gloss, 상선명도의 변화가 없는 5% 이하인 경우
× : 1 주일 후,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눈부심 방지 코팅 필름을 제조 시, 필름 헤이즈값, 60˚광택도, 상선명도의 변화가 없는 5% 초과인 경우
Figure 112008034992144-PAT0000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가 제어된 미립자를 사용한 실시예 1~2의 경우,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고 눈부심 방지 특성과 상선명도 및 콘트라스트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표면 거칠기가 없는 미립자를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60˚반사 광택도가 110으로 코팅막의 눈부심 방지 특성이 떨어지고, 팽윤된 입자간의 응집에 의해 저장 안정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미립자가 1 중량부 미만인 비교예 2의 경우, 헤이즈 값이 매우 낮고 60˚반사 광택도가 135로 코팅막의 눈부심 방지 특성이 매우 불량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코어-쉘 미립자가 30 중량부 초과인 비교예 3의 경우, 눈부심 방지 특성은 우수하나, 상선명도가 매우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거칠기가 제어된 코어-쉘 미립자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 1,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에 각각 사용된 코어-쉘 미립자의 전자주사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에 사용된 코어-쉘 미립자의 전자주사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1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에 사용된 코어-쉘 미립자의 전자주사현미경(SEM) 사진이다.

Claims (32)

  1. 바인더 수지; 및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코어-쉘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평균 굴절율 차이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3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코어 및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는 쉘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입자직경은0.5 내지 5㎛이고, 상기 코어와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02 내지 0.3이며,
    상기 쉘의 두께는 0.01내지 2㎛이고, 상기 쉘과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원형단면형상 또는 표면에 형성 된 요철패턴을 갖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며 원형 단면형상 또는 표면에 형성된 요철패턴을 갖는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원형단면형상 또는 표면에 형성된 요철패턴을 갖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는 쉘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되는 평균 굴절율과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 간의 차이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수학식 1]
    평균 굴절율 = [fcoren2 core + fshelln2 shell]0.5
    상기 수학식 1에서, fshell은 (R3 core - shell - R3 core)/R3 core - shell 로 계산되며, 이는 상기 코어-쉘 미립자 전체 부피 중 쉘이 차지하는 부피 분율을 나타내며, fcore는 (Rcore/Rcore - shell)3로 계산되며, 이는 상기 코어-쉘 미립자 전체 부피 중 코어가 차지하는 부피 분율을 나타내고, Rcore 는 코어의 반지름을 나타내며, Rcore - shell는 상기 코 어-쉘 미립자의 반지름을 나타낸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되는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수학식 2]
    평균 표면 거칠기 = [Rz] =
    Figure 112008034992144-PAT00003
    ,
    R zi 는 각 표면 요철의 높이이고, n 은 표면 요철의 개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코어는,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의 복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쉘은,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물질과는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상기 유기물은,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멜라민레진, 벤조구아나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코폴리머(co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상기 무기물은, 실리카, 비결정질 티타늄옥사이드, 비결정질 지르코늄옥사이드, 인듐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비결정질 아연옥사이드, 비경정질 세륨옥사이드, 바륨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비결정질 바륨티타네이트, 및 바륨설페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쉘을 형성하는 상기 유기물은,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멜라민레진,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쉘을 형성하는 상기 무기물은,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인듐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아연옥사이드, 세륨옥사이드, 바륨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바륨티타네이트, 마그네슘플로라이드, 칼 슘플로라이드, 및 바륨설페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기용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기 용매는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0~50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UV 경화 개시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UV 경화 개시제는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1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16. 청구항 1에 있어서, 레벨링제, 웨팅제, 소포제 및 평균 입경이 1~50nm인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17. 바인더 수지 및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코어-쉘 미립자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평균 굴절율 차이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1~3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코어 및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는 쉘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의 입자직경은0.5 내지 5㎛이고, 상기 코어와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02 내지 0.3이며,
    상기 쉘의 두께는 0.01내지 2㎛이고, 상기 쉘과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원형단면형상 또는 표면에 형성된 요철패턴을 갖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며 원형 단면형상 또는 표면에 형성된 요철패턴을 갖는 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원형단면형상 또는 표면에 형성된 요철패턴을 갖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는 쉘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하기 수학식1과 같이 계산되는 평균 굴절율과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율 간의 차이가 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수학식 1]
    평균 굴절율 = [fcoren2 core + fshelln2 shell]0.5
    상기 수학식 1에서, fshell은 (R3 core - shell - R3 core)/R3 core - shell 로 계산되며, 이는 상기 코어-쉘 미립자 전체 부피 중 쉘이 차지하는 부피 분율을 나타내며, fcore는 (Rcore/Rcore - shell)3로 계산되며, 이는 상기 코어-쉘 미립자 전체 부피 중 코어가 차지하는 부피 분율을 나타내고, Rcore 는 코어의 반지름을 나타내며, Rcore - shell는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반지름을 나타낸다.
  24.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되는 평균 표면 거칠기([Rz])가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수학식 2]
    평균 표면 거칠기 = [Rz] =
    Figure 112008034992144-PAT00004
    ,
    R zi 는 각 표면 요철의 높이이고, n 은 표면 요철의 개수.
  25.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코어는,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의 복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쉘 미립자의 쉘은,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선택된 단일물 또는 이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물질과는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상기 유기물은,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멜라민레진, 벤조구아나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코폴리머(co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형성하는 상기 무기물은, 실리카, 비결정질 티타늄옥사이드, 비결정질 지르코늄옥사이드, 인듐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비결정질 아연옥사이드, 비경정질 세륨옥사이드, 바륨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비결정질 바륨티타네이트, 및 바륨설페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 의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쉘을 형성하는 상기 유기물은,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멜라민레진,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쉘을 형성하는 상기 무기물은, 실리카, 티타늄옥사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인듐옥사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아연옥사이드, 세륨옥사이드, 바륨옥사이드, 칼슘카보네이트, 바륨티타네이트, 마그네슘플로라이드, 칼슘플로라이드, 및 바륨설페이트 중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3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는 투명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3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에 구비된 저반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3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에 구비된 내오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KR1020080045791A 2007-05-16 2008-05-16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KR10095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596 2007-05-16
KR20070047596 2007-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800A true KR20080101800A (ko) 2008-11-21
KR100951290B1 KR100951290B1 (ko) 2010-04-02

Family

ID=4000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791A KR100951290B1 (ko) 2007-05-16 2008-05-16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960021B2 (ko)
EP (1) EP2147067B1 (ko)
JP (2) JP2010527045A (ko)
KR (1) KR100951290B1 (ko)
CN (1) CN101679798B (ko)
HU (1) HUE028311T2 (ko)
PL (1) PL2147067T3 (ko)
TW (1) TWI400484B (ko)
WO (1) WO2008140282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047A (ko) * 2010-03-18 2013-01-2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73789B1 (ko) * 2012-04-19 2013-06-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70082922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 필름
WO2024038397A1 (ko)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지막, 수지막의 제작 방법, 표시 장치, 광학 부재 및 편광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E028311T2 (en) 2007-05-16 2016-12-28 Lg Chemical Ltd Composition for non-glare films and non-glare films made using it
WO2009023353A1 (en) * 2007-05-23 2009-02-19 Carnegie Mellon University Hybrid particle composite structures with reduced scattering
WO2010093909A1 (en) * 2009-02-12 2010-08-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ollow metal oxide spheres and nanoparticles encapsulated therein
JP4682368B2 (ja) * 2009-08-11 2011-05-11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球状コアシェル型酸化セリウム/高分子ハイブリッドナノ粒子の集積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3167B1 (ko) 2009-10-08 2013-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762644B (zh) * 2010-02-19 2014-12-31 Lg化学株式会社 用于防眩光膜的涂层以及包括该涂层的防眩光膜
FR2958081B1 (fr) 2010-03-23 2012-04-27 Polyrise Dispositifs photovoltaiques comportant une couche anti-reflet a base d'objets disperses presentant des domaines d'indices de refraction distincts
WO2012005542A2 (ko) * 2010-07-08 2012-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375165A (zh) * 2010-08-19 2012-03-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防眩膜及其制作方法、使用该防眩膜的偏光板及其显示装置
WO2012053632A1 (ja) * 2010-10-22 2012-04-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2091965A1 (en) 2010-12-17 2012-07-05 Carnegie Mellon University Electrochemically mediated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US20140275420A1 (en) 2011-08-22 2014-09-18 Carnegie Mellon University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under biologically compatible conditions
WO2013082597A1 (en) * 2011-12-02 2013-06-0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Photonic balls containing a microstructure of core-shell particles exhibiting angularly-independent structural color
WO2013126745A2 (en) 2012-02-23 2013-08-29 Carnegie Mellon University Ligands designed to provide highly active catalyst complexes
US9581731B2 (en) 2012-07-09 2017-02-28 Corning Incorporated Anti-glare and anti-sparkle transparent structures
CN103869535B (zh) 2012-12-14 2016-09-07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制造用于显示装置的反射片的方法
KR102102904B1 (ko) * 2012-12-14 2020-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반사 시트의 제조 방법
JP6240549B2 (ja) * 2013-04-01 2017-11-29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農業用フィルムおよび農園芸用施設
KR101514657B1 (ko) * 2013-04-23 2015-05-04 주식회사 엘엠에스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부재 및 광학 장치
CN104177951B (zh) * 2013-05-27 2018-07-10 北京化工大学 防眩光涂料组合物及其制备和用途
CN104344331A (zh) * 2013-07-26 2015-02-11 通用电气照明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改善的侧光式面板保护层
ES2656299T3 (es) 2013-08-01 2018-02-26 Lg Chem, Ltd. Composición de tinta para la fabricación de una capa de absorción de luz de célula solar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elícula fina que usa la misma
CN103755848B (zh) * 2013-12-18 2016-01-20 江苏悦达新材料科技有限公司 钛酸锶钡/聚苯乙烯核壳结构及其制备方法
JP6476582B2 (ja) * 2014-04-23 2019-03-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05315879B (zh) * 2014-07-11 2018-03-27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高清晰紫外光固化防眩硬涂膜
JPWO2016017617A1 (ja) * 2014-07-29 2017-04-27 京セラ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タンデム型光電変換装置ならびに光電変換装置アレイ
WO2016086082A1 (en) * 2014-11-25 2016-06-02 Ppg Industries Ohio, Inc. Curable film-forming sol-gel compositions and anti-glare coated articles formed from them
US9982070B2 (en) 2015-01-12 2018-05-29 Carnegie Mellon University Aqueous ATRP in the presence of an activator regenerator
CN108431141A (zh) * 2015-12-22 2018-08-21 3M创新有限公司 紫外线吸收硬质涂膜
WO2018142721A1 (ja) * 2017-01-31 2018-08-0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光拡散粒子、光拡散透過シート、及び光拡散粒子を製造する方法
JP6793211B2 (ja) * 2017-01-31 2020-12-0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光拡散粒子、光拡散透過シート、及び光拡散粒子を製造する方法
JPWO2018150764A1 (ja) * 2017-02-17 2020-01-09 株式会社大阪ソーダ チオール変性ポリマー、及び当該ポリマーを含有する組成物とその用途
CN107540240A (zh) * 2017-07-31 2018-01-05 重庆市中光电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防污防眩光显示玻璃及其制备方法
CN107540236A (zh) * 2017-09-15 2018-01-05 重庆市中光电显示技术有限公司 用于触摸屏的防蓝光防眩光保护玻璃及其制备方法
TWI653461B (zh) 2018-01-02 2019-03-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抗眩光層的製造方法
KR102172248B1 (ko) * 2018-01-10 2020-10-3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무기 하이브리드 광결정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359376B (zh) * 2018-02-28 2020-08-21 深圳市航天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长效抗菌防眩仿陶瓷涂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324364A (zh) * 2018-10-10 2019-02-12 火丁智能照明(肇庆)有限公司 一种照明装置
EP3838847B1 (en) 2019-12-20 2024-04-1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removing fluorine in waste liquid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865B1 (en) * 1998-02-17 2002-02-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Non-glare film, polariz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3975036B2 (ja) * 1998-09-22 2007-09-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膜の製造方法
US6713170B1 (en) * 1998-12-09 2004-03-30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Hard coating material and film comprising the same
JP2001066701A (ja) * 1999-08-25 2001-03-16 Mitsubishi Rayon Co Ltd 光拡散性シートおよび透過型スクリーン
US6559915B1 (en) * 1999-07-19 2003-05-06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films having matt property, films having a high transmittance, polarizing plat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JP4271839B2 (ja) * 1999-09-28 2009-06-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膜、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405305B1 (ko) * 2000-06-10 2003-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KR100775391B1 (ko) * 2000-06-20 2007-11-12 가무시키가이샤 도시바 투명 필름-코팅된 기재, 투명 필름 형성용 코팅 액제 및디스플레이 장치
JP2003107217A (ja) * 2001-09-28 2003-04-09 Fuji Photo Film Co Ltd 光拡散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21610A (ja) 2001-10-16 2002-08-09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透過型表示装置
KR20030064933A (ko) * 2002-01-29 2003-08-06 주식회사 코오롱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080756B2 (ja) * 2002-02-01 2008-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膜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0467822B1 (ko) * 2002-02-15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JP4506070B2 (ja) * 2002-11-01 2010-07-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防眩層の形成方法、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防眩層形成用の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4804708B2 (ja) * 2003-06-27 2011-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剤、光拡散シートおよびノングレアーシート
JP4243848B2 (ja) * 2003-12-10 2009-03-25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球状複合硬化メラミン樹脂粒子の製造方法
JP2006078710A (ja) * 2004-09-09 2006-03-23 Tomoegawa Paper Co Ltd 防眩フィルム
CN1831568A (zh) * 2005-03-09 2006-09-13 柯尼卡美能达精密光学株式会社 防眩目性膜、防眩目性膜的制法、防眩目性防反射膜、偏振片及显示装置
JP4820716B2 (ja) * 2005-08-30 2011-11-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4888392B2 (ja) * 2005-09-20 2012-02-2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の形成方法及び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JP5217184B2 (ja) * 2007-02-28 2013-06-19 Jsr株式会社 アンチグレアフィルム用粒子、及びアンチグレアフィルム用粒子組成物
EP2147073B1 (en) 2007-05-16 2016-06-22 LG Chem, Ltd. Composition for anti-glare film and anti-glare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HUE028311T2 (en) 2007-05-16 2016-12-28 Lg Chemical Ltd Composition for non-glare films and non-glare films made using it
JP5326767B2 (ja) * 2009-04-20 2013-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機能層用微粒子、ディスプレイ用光学部材及び防眩機能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047A (ko) * 2010-03-18 2013-01-2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방현성 필름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73789B1 (ko) * 2012-04-19 2013-06-1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70082922A (ko) * 2016-01-07 2017-07-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 필름
WO2024038397A1 (ko) * 2022-08-18 2024-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지막, 수지막의 제작 방법, 표시 장치, 광학 부재 및 편광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7067A2 (en) 2010-01-27
CN101679798A (zh) 2010-03-24
WO2008140282A2 (en) 2008-11-20
US7960021B2 (en) 2011-06-14
KR100951290B1 (ko) 2010-04-02
PL2147067T3 (pl) 2016-06-30
US20100143702A1 (en) 2010-06-10
TW200909872A (en) 2009-03-01
EP2147067B1 (en) 2016-01-06
EP2147067A4 (en) 2011-11-09
WO2008140282A3 (en) 2008-12-31
CN101679798B (zh) 2013-04-24
HUE028311T2 (en) 2016-12-28
JP2010527045A (ja) 2010-08-05
JP2013174888A (ja) 2013-09-05
TWI400484B (zh)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90B1 (ko)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KR101044839B1 (ko)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KR101182476B1 (ko)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방지 필름
US8502939B2 (en) Optical sheet
TWI460475B (zh) 光學片材
JP2009037046A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る液晶ディスプレイ
JP5725216B2 (ja) 光学シート
TWI468739B (zh) 光學片材
KR101182519B1 (ko)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방지 필름
KR102120989B1 (ko) 눈부심 방지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눈부심 방지 필름
KR101285465B1 (ko) 눈부심 방지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눈부심 방지 필름
JP2010128180A (ja)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光学シート
JP2010128106A (ja)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光学シート
JP2010128107A (ja) 光学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