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141A -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141A
KR20080099141A KR1020080039314A KR20080039314A KR20080099141A KR 20080099141 A KR20080099141 A KR 20080099141A KR 1020080039314 A KR1020080039314 A KR 1020080039314A KR 20080039314 A KR20080039314 A KR 20080039314A KR 20080099141 A KR20080099141 A KR 20080099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adhesive
polymer
layer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622B1 (ko
Inventor
아키코 스기노
고헤이 야노
츠요시 지바
마사유키 사타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04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 C09K2019/0425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specific unit that results in a functional effect
    • C09K2019/0429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omponents, e.g. by a specific unit characterized by a specific unit that results in a functional effect the specific unit being a carbocyclic or heterocyclic discotic uni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9Unsaturated aliphatic polymer, e.g. viny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서, 내구성을 가지고, 또한, 표시 화면의 주변 부분에 표시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광학 필름, 점착제층, 내구성, 표시 화면,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본 발명은, 점착형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당해 점착형 광학 필름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CRT, PDP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은, 그 중에서도, 디스코틱 액정층을 가짐으로써, 표시 콘트라스트 및 표시색의 시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광학 보상 필름으로서 유용하고, 특히, 편광자를 적층한 것은, 광학 보상 기능이 부여된 타원 편광판으로서 유용하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 경량, 저소비 전력 등의 특징이 주목되고, 휴대 전화나 시계 등의 휴대 기기, PC 모니터나 노트 PC 등의 OA 기기, 비디오 카메라나 액정 텔레비젼 등의 가정용 전기 제품 등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들 액정 표시 장치는, 가열이나 가습 조건하 등의 여러 조건하에 놓이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하에 있어서도, 표시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는 고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를 가열 또는 가습 조건하에 둔 경우에는, 기재의 치수 변화에 수반되는 잔존 응력에 의해, 액정 패널의 주변부에 표시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지금까지, 상기 주변부의 표시 불균일을 개선하기 위해서,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에 사용하는 점착제로서, 가소제나 올리고머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4 참조) 이나, 아크릴계 점착제에 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첨가한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특허 문헌 5 참조) 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4 의 제안에 있어서의 점착제 조성물은, 장시간의 가열 시험에 있어서, 가소제나 올리고머 성분 등의 첨가제 자체가 석출되어 외관 불량이나 점착제가 열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가열·가습열 환경하에서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볼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특허 문헌 5 의 제안에 있어서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석출 등의 문제는 개선되지만, 응력 완화성이 충분하지 않고, 표시 불균일과 내구성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레벨은 아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95032호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제2767382호 명세서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87593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79907호
특허 문헌 5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94366호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서, 내구성을 가지고, 또한, 표시 화면의 주변 부분에 표시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하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20∼20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C) 및 실란 커플링제 (D) 를 함유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C) 0.1∼10 중량부,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 (D) 0.01∼0.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폴리머류 (E) 를 함유하는 하도층 (下塗層) 을 개재하여 상기 광학 필름에 적층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도층의 폴리머류 (E) 가 1 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1 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가, 말단에 1 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이, 상기 폴리머류 (E) 100 중량부에 대해, 산화 방지제 0.01∼50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산화 방지제가, 페놀계, 인계, 황계 및 아민계의 산화 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투명 기재 필름의 편면에 디스코틱 액정층을 갖는 것이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하도층을 개재하여 디스코틱 액정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하도층은, 폴리에틸렌이민계 재료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으로는, 디스코틱 액정층이 형성되지 않는 측의, 투명 기재 필름의 편면에 편광자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점착형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함유하는 폴리머 블렌드 (폴리머 혼합물) 를 사용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주변 부분의 표시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예를 들어, 그 중에서도, 광학 보상층으로서 기능하는 디스코틱 액정층을 갖는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함유하는 폴리머 블렌드 (폴리머 혼합물) 를 사용함으로써, 주변부의 표시 불균일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베이스 폴리머에 추가하여,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한 점착제와 같이, 첨가제 자체가 석출되어 외관 불량이나 점착제가 열화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종래, 예를 들어, 점착제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20 중량부 이상 배합한 경우에는 백화되는 것 등을 이유로, 특히 광학 용도에 대한 적용이 곤란하게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특정량 블렌드한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주변 불균일이나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점착형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디스코틱 액정층을 갖는 경우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필름 (1) 의 편면에, 디스코틱 액정층 (3) 을 가지고, 디스코틱 액정층 (3) 상에는, 하도층 (4) 을 개재하여, 점착제층 (5)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투명 기재 필름 (1) 과 디스코틱 액정층 (3) 사이에 배향막 (2) 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배향막 (2) 대신에, 투명 기재 필름 (1) 의 편면을 러빙 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 는, 도 1 의 점착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디스코틱 액정층 (3) 이 형성되지 않는 측의, 투명 기재 필름 (1) 의 편면에는 편광자 (6), 이어서, 투명 보호 필름 (7) 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 경우이다. 도 2 에서는, 투명 기재 필 름 (1) 은, 편광자 (6) 의 투명 보호 필름도 겸하고 있다.
투명 기재 필름으로는, 각종 투명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파이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알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투명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A)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 페닐 그리고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이소부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필름을 들 수 있다. 필름은 수지 조성물의 혼합 압출품 등으로 이루 어지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기재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막성 등의 면에서 1∼500㎛ 정도이다. 특히, 5∼200㎛ 가 바람직하다.
또, 투명 기재 필름은, 가능한 한 착색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Rth=(nx-nz)·d (단, nx 는 필름 평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z 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 d 는 필름 두께이다) 로 표시되는 필름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90nm∼+75nm 인 보호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 (Rth) 이 -90nm∼+75nm 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투명 기재 필름에서 기인하는 편광판의 착색 (광학적인 착색) 은 거의 해소할 수 있다.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80nm∼+60nm, 특히-70nm∼+45nm 가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 필름으로는,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면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나 노르보르넨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디스코틱 액정층은, 통상적으로,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의 배향, 경화에 의해 형성된다. 디스코틱 액정층은, 광학 보상층으로서 유용하고, 시야각, 콘트라스트, 밝기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코틱 액정층은,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이 경사 배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코틱 액정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0.5∼10㎛ 정도이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이란, 부(負) 의 굴절률 이방성 (1 축성) 을 갖는 것이 며, 예를 들어, C.Destrade 등의 연구 보고, Mol.Cryst. 71권, 111페이지 (1981년) 에 기재되어 있는, 벤젠 유도체나, B.Kohne 등의 연구 보고, Angew.Chem. 96권, 70페이지 (1984년) 에 기재된 시클로헥산 유도체 및 J.M.Lehn 등의 연구 보고, J.Chem.Commun., 1794페이지 (1985년), J.Zhang 등의 연구 보고, J.Am.Chem.Soc. 116권, 2655페이지 (1994년) 에 기재되어 있는 아자크라운계나 페닐아세틸렌계 매크로사이클 등을 들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들을 분자 중심의 모핵으로 하고, 직쇄의 알킬기나 알콕시기, 치환 벤조일옥시기 등이 그 직쇄로서 방사상으로 치환된 구조이며, 액정성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디스코틱 액정으로 불리는 것이 포함된다. 단, 분자 자신이 부의 1 축성을 가지고, 일정한 배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은, 열, 광 등으로 경화 반응하는 중합성 불포화기 (예를 들어,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를 갖는 것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디스코틱 액정층은, 최종적으로 완성된 것이 상기 화합물일 필요는 없고, 중합성 불포화기의 반응에 의해 중합 또는 가교하고, 고분자량화하여 액정성을 잃은 것도 포함된다.
또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은, 여러 가지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 및 다른 저분자 화합물이나 폴리머와의 반응에 의해, 이미 액정성을 나타내지 않게 된 디스코틱 액정의 반응 생성물 등과 같이, 분자 자체가 광학적으로 부의 1 축성을 갖는 화합물 전반을 의미한다.
디스코틱 액정의 배향 처리에는, 투명 기판 필름 표면을 러빙 처리하거나 또 는 배향막을 사용한다. 배향막으로는, 무기물 사방 증착막, 혹은 특정의 유기 고분자막을 러빙한 배향막을 들 수 있다. 아조벤젠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LB 막과 같이 광에 의해 이성화를 일으키고, 분자가 방향성을 가져 균일하게 배열되는 박막 등도 있다. 유기 배향막으로는, 폴리이미드막이나, 알킬 사슬 변성계 포발,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 소수성 표면을 형성하는 유기 고분자막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무기물 사방 증착막으로서, SiO 사방 증착막을 들 수 있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을, 경사 배향시키는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투명 기재 필름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이어서,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 (중합성 액정 화합물) 을 도포하여, 경사 배향 상태로 하고, 그 후, 자외광 등의 광 조사나 열에 의해 고정화시키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배향 기재 상에 디스코틱 액정을 경사 배향시킨 후, 투명 지지체 상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 또는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사함으로써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디스코틱 액정층으로는, 특허 문헌 1, 2 에 기재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디스코틱 액정의 경사 배향층을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필름 상에 형성시킨 것으로서 후지 사진 필름사 제조의 와이드 뷰 필름이 있다.
하도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점착제층과 디스코틱 액정층 중 어느 것에도 양호한 밀착성을 나타내고, 응집력이 우수한 피막 (皮膜)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는 것에는, 각종 폴리머류 (E), 금속 산화물의 졸, 실리카 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머류가 바람직하 게 사용된다.
상기 폴리머류 (E) 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류를 들 수 있다. 폴리머류 (E) 의 사용 형태는 용제 가용형, 수분산형, 수용해형 중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용성 폴리아미드 등이나 수분산성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계 에멀션, (메트)아크릴계 에멀션 등) 를 들 수 있다. 또, 수분산형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각종의 수지를 유화제를 사용하여 에멀션화한 것이나, 상기 수지 중에, 수분산성 친수기의 음이온기, 양이온기 또는 비이온기를 도입하여 자기 유화물로 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온 고분자 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류 (E) 는 점착제층에,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류로는,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류가 바람직하다. 특히, 말단에 1 급 아미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강고하게 밀착된다.
분자 중에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류로는, 폴리에틸렌이민계, 폴리알릴 아민계, 폴리비닐아민계, 폴리비닐피리딘계, 폴리비닐피롤리딘계, 디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함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이민계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이민계 재료로는, 폴리에틸렌이민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크 릴산 에스테르에 대한 에틸렌이민 부가물 및/또는 폴리에틸렌이민 부가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이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이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100∼100만 정도이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민의 시판품의 예로는, 주식회사 닛폰 촉매사 제조의 에포민 SP 시리즈 (SP-003, SP006, SP012, SP018, SP103, SP110, SP200 등), 포민 P-100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포민 P-1000 이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에 대한 에틸렌이민 부가물 및/또는 폴리에틸렌이민 부가물의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는, 후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를 구성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그 공중합 모노머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에멀션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공중합 모노머로는, 에틸렌이민 등을 반응시키기 위해서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가 사용된다.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의 사용 비율은, 반응시키는 에틸렌이민 등의 비율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한다. 또, 공중합 모노머로는, 스티렌계 모노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의 카르복실기 등에, 별도 합성한 폴리에틸렌이민을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에틸렌이민을 그래프트화한 부가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판품의 예로는, 주식회사 닛폰 촉매사 제조의 폴리멘트 NK-380 을 들 수 있다.
또 아크릴계 중합체 에멀션의 에틸렌이민 부가물 및/또는 폴리에틸렌이민 부 가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판품의 예로는, 주식회사 닛폰 촉매사 제조의 폴리멘트 SK-1000 을 들 수 있다.
또 하도층의 형성시에는,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류에 추가하여,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류와 반응하는 화합물을 혼합하고 가교하여, 하도층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머류와 반응하는 화합물로는, 에폭시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하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학 필름 상에 하도층을 형성한 후에,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민 수용액과 같은 하도 용액을, 코팅법, 디핑법, 스프레이법 등의 도공법을 사용하여, 도포, 건조시켜 하도층을 형성시킨다. 하도층의 두께로는 10∼5000nm 정도, 나아가서는 50∼500nm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도층의 두께가 얇아지면, 벌크로서의 성질을 갖지 않고,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지 않게 되어,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지나치게 두꺼우면 광학 특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베이스 폴리머로서,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함유하는 폴리머 블렌드 (폴리머 혼합물) 가 사용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로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 위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主)모노머 단위로서 갖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하고, 본 발명의 (메트) 와는 동일한 의미이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1∼18 정도,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9 이며, 알킬기는 직쇄, 분기쇄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4∼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50∼100 중량% 로 사용되는데, 60∼100 중량% 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100 중량% 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모노머 단위로서, 추가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을 제외한, 그 밖의 모노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나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산의 카프로락톤 부가물 ;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그 밖의 모노머 성분으로는, 질소 함유 비닐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이미드 ;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나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치환)아미드계 모노머 ;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 N-(메트)아크릴로 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나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의 숙신이미드계 모노머 등도 개질 목적의 모노머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그 밖의 모노머 성분으로는,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N-비닐카르복실산 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N-비닐카프로락탐 등의 비닐 계 모노머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모노머 ;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계 모노머 ; 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글리콜계 아크릴에스테르 모노머 ; 불소(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 성분은, 베이스 폴리머를 개질하기 위해서,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 성분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의, 모노머 단위로서 0.1∼40 중량%, 나아가서는 0.5∼30 중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 성분의 비율이, 50 중량% 를 초과하면 점착제로서의 유연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그 밖의 모노머 성분으로는, 접착성이 양호한 점에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특히 아크릴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비율은, 0.1∼1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5∼8 중 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중량% 이다. 또,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와의 가교점이 될 수 있는 점에서,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비율은, 0.1∼10 중량% 정도, 바람직하고 0.5∼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중량% 이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제조는, 각종 공지된 수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벌크 중합법,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등의 라디칼 중합법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아조계, 과산화물계의 각종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 50∼80℃ 정도, 반응 시간은 1∼8 시간이 된다. 또, 상기 제조법 중에서도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용매로는 일반적으로 아세트산 에틸, 톨루엔 등이 사용된다. 용액 농도는 통상 20∼80 중량% 정도가 된다. 또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수계의 에멀션으로서 얻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300만이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2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20∼23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만 미만에서는, 주변부 불균일, 내구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만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착성이 저하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분자량 10만 이하의 저분자량의 비율이, 15 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분자량의 비율을 작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저분자량의 비율은, 10 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 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분자량의 비율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폴리머를 중합할 때의 농도, 개시제 종류, 그 양 및 중합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모노머 농도는 높고, 중합 온도는 낮게 하는 편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나 벤조일퍼옥사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중합 온도 50∼60℃ 정도에서 8 시간 정도 반응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중합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중합 반응은 개시되지 않고, 지나치게 높으면, 저분자 성분이 증가하여, 내구성은 악화된다. 또 중합 도중에 개시제를 재투입해도 저분자 성분은 증가되어 주변부 불균일은 악화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의 하기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분석 장치 : 토소 제조, HLC-8120GPC.
·칼럼 : 토소 제조, G7000HXL+GMHXL+GMHXL.
·칼럼 사이즈 : 각 7.8mmφ×30cm 계 90cm.
·칼럼 온도 : 40℃.
·유속 : 0.8㎖/min.
·주입량 : 100㎕.
·용리액 : 테트라히드로푸란.
·검출기 : 시사 (示唆) 굴절계.
·표준 시료 : 폴리스티렌.
·분자량 10만 이하의 비율 : GPC 측정 결과로부터, 데이터 처리 장치 (토소 제조, GPC-8020) 에 의해, 중량분율 (면적%) 을 산출하였다. 이 때, 모노머 성분은 포함시키지 않는다.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으로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 고리 구조는 어느 모노머 성분에 가지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수지이면, 폴리올 성분 (또는 폴리올 조성물) 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모노머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중, 모노머 단위로서 40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 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머) 는,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반응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올 화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 시판품을 입수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올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수산기를 2 개 또는 그 이상 갖는 것으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이 사용된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로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5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4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폴리올 화합물의 수산기가 0.0005∼0.003 당량/g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테르 폴리올로는, 지방족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방향족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등의 2 가 알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3 가 알코올 등의 저분자 폴리올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부가 중합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가 사용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2 가 알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알코올과, 아디프산, 아젤라인산, 세바틴산 등의 2 염기산과의 중축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가 사용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분자의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등의 폴리디엔계 폴리올류, 분자의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부타디엔 수소 첨가물, 폴리이소프렌 수소 첨가물,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폴리올류 등도 들 수 있다.
또, 상기 폴리올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올 외에, 공지된 가교제, 사슬 연장제, 연쇄 이동제, 반응 촉매, 가소제, 충전제, 반응 용매,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충전제, 난연제, 착색제, 소포제, 방미·방균제 등의 각종 첨 가제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 개 이상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점착제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는, 예를 들어, 방향족, 지방족, 지환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폴리올 조성물에 대한 조속한 반응 및 물과의 반응 억제의 관점에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가열 보존에 의해 황변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용도에서는 무황변 타입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고리에 직접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1,3-비스이소시아나트메틸시클로헥산 (H6X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XDI),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m-이소프로페닐-α,α'-디메틸벤질이소시아네이트 (TMI) 등의 방향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폴리올 조성물의 수산기의 전체량에 대해, 0.6∼1.4배 당량이 되는 비율, 즉 당량비 (NCO/OH 비) 가 0.6∼1.4 가 되는 비율, 특히 바람직하게는 0.8∼1.2 가 되는 비율로 사용된다.
또,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수산기를 반응시키기 때문에, 촉매로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주석 옥토에이트,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우레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18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15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우레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의 하기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분석 장치 : 토소 제조, HLC-8120GPC.
·칼럼 : 토소 제조, G7000HXL+GMHXL+GMHXL.
·칼럼 사이즈 : 각 7.8mmφ×30cm 계 90cm.
·칼럼 온도 : 40℃.
·유속 : 0.8ml/min.
·주입량 : 100㎕.
·용리액 : 테트라히드로푸란.
·검출기 : 시사 굴절계.
·표준 시료 : 폴리스티렌.
분자량 10만 이하의 비율 : GPC 측정 결과로부터, 데이터 처리 장치 (토소 제조, GPC-8020) 에 의해, 중량분율 (면적%) 을 산출하였다. 이 때, 모노머 성분은 함유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디아민 성분과 디카르복실산 (또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성분의 반응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예를 들어, 테트라카르복실산 무수물에, 디아민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또, 시판품을 입수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주쇄에 카보네이트 결합을 갖는 중합체이고, 글리콜과 탄산 에스테르의 교환 반응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시판품을 입수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20∼20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30∼18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20 중량부이다. 또한, 종래, 예를 들어, 점착제 베이스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20 중량부 이상 배합한 경우에는 백화되는 등을 이유로 특히 광학 용도에 대한 적용이 곤란하게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특정량 블렌드한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주변 불균일이나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점착형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베이스 폴리머인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에 의해, 광학 필름과의 밀착성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고온에서의 신뢰성이나 점착제 자체의 형상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과산화물계, 금속 킬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1 종을,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히드록실기와 반응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C) 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클로르페닐렌디이소시아나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나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나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된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 및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에 부가한 애덕트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뷰렛형 화합물, 나아가서는 공지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아크릴 폴리올, 폴리부타디엔 폴리올, 폴리이소프렌 폴리올 등을 부가 반응시킨 우레탄 프리폴리머형의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비스 페놀 A 에피클로르히드린형의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또,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글리 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리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아미노페닐메탄,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m-N,N-디글리시딜아미노페닐글리시딜에테르, N,N-디글리시딜톨루이딘, 및 N,N-디글리시딜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과산화물계 가교제로는, 각종 과산화물이 사용된다. 과산화물로는,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n-옥타노일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가교 반응 효율이 우수한,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교제의 사용량은,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3 중량부이다. 가교제의 사용 비율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가교가 진행되어 접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가소 제, 유리 섬유, 유리 비즈, 금속 가루,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또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미립자를 함유하여 광 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 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첨가제로는,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아세트아세틸기 함유 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되는데,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0.01∼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0.3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은, 상기 투명 기재 필름 상에 형성한 상기 디스코틱 액정층 상에, 상기 점착제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코틱 액정층 상에, 하도층을 갖는 경우에는, 당해 하도층에 점착제층이 형 성된다.
점착제층의 형성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디스코틱 액정층 (또는 하도층) 상에 점착제 용액을 유연 방식이나 도공 방식 등의 적절한 전개 방식으로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점착제층을 형성한 이형 시트에 의해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법은,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딥핑법, 스프레이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 용액을 도포 후, 건조 공정에서 용제나 물을 휘발시킴으로써 소정 두께의 점착제층을 얻는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5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50㎛ 이다. 나아가서는 1∼40㎛ 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30㎛ 가 바람직하며, 특히 10∼25㎛ 가 바람직하다. 1㎛ 보다 얇으면 내구성이 나빠지고, 두꺼워지면 발포 등에 의한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 외관 불량이 되기 쉽다.
또, 점착제층의 형성은, UV 경화성의 점착제 시럽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고, 전자선이나 UV 등의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점착제에는, 가교제를 함유시키고 있는 점에서, 고온에서의 신뢰성이나 점착제 자체의 형상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가교는, 상기 건조 공정이나 UV 조사 공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것 외에, 건조 후에, 가온 상태나 실온 방치에 의한 에이징에 의해, 가교가 촉진되는 가교 형태도 선택할 수 있다.
이형 시트의 구성 재료로는, 종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 필름, 고무 시트, 종이, 직물, 부직포, 네트, 발포 시트나 금속박, 그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체 등을 들 수 있다. 이형 시트의 표면에는,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저접착성의 박리 처리가 행해져 있어도 된다.
점착형 광학 필름에는,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대전 방지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대전 방지제는, 각 층에 함유시킬 수 있고, 또, 별도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는, 이온성 계면 활성제계 ;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퀴녹살린 등의 도전 폴리머계 ; 산화 주석, 산화 안티몬, 산화 인듐 등의 금속 산화물계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광학 특성, 외관, 대전 방지 효과, 및 대전 방지 효과의 열시, 가습시에서의 안정성이라는 관점에서, 도전성 폴리머계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등의 수용성 도전성 폴리머, 혹은 수분산성 도전성 폴리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것은, 대전 방지층의 형성 재료로서 수용성 도전성 폴리머나 수분산성 도전성 폴리머를 사용했을 경우, 도포 공정시에 유기 용제에 의한 광학 필름 기재의 변질을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코틱 액정층 (3) 이 형성되지 않는 측의, 투명 기재 필름 (1) 의 편면에는 편광자 (6), 이어서, 투명 보호 필름 (7) 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 (6) 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투명 기재 필름 (1) 에 부착된다. 또한, 도 2, 도 3 에서는, 투명 기재 필름 (1) 은, 편광자 (6) 의 투명 보호 필름을 겸하고 있는데, 투명 기재 필름 (1) 에는,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광판을 적층할 수도 있다.
편광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7배로 연신함으로써 작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 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는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짐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 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며, 또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보호 필름은, 투명 기재 필름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두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투명 기재 필름과 투명 보호 필름은, 동일한 폴리머 재료를 사용해도 되고, 상이한 폴리머 재료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편광자와, 투명 기재 필름 및 투명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수계 접착제 등을 개재하여 밀착되어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우레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와, 투명 기재 필름 및 투명 보호 필름의 부착시에, 투명 기재 필름 및 투명 보호 필름에는 활성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활성화 처리는 각종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누화 처리, 코로나 처리, 저압 UV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활성화 처리는, 투명 기재 필름이,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트층이나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나, 확산 내지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행한 것이어도 된다.
하드 코트 처리는 편광판 표면의 흠집 발생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절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러짐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 방지 처리는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행해지는 것이고, 종래에 준한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 스티킹 방지 처리는 다른 부재의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행해진다.
또, 안티글레어 처리는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에 함유시키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5∼50㎛ 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카드뮴, 산화 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인 경우도 있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비즈를 포함한다) 등의 투명 미립자가 사용된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사용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일반적으로 2∼50 중량부 정도이며, 5∼25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 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시켜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 (시 각 확대 기능 등) 을 겸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투명 보호 필름 그 자체에 형성하는 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별도 광학층으로서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편광판을 적층한 광학 필름 이외에,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에 사용되어 광학층을 적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 (1/2 이나 1/4 등의 파장판을 포함한다), 휘도 향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광학층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상기 편광판에, 실용시에 적층하여, 1 층 또는 2 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판, 혹은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 향상 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에 반사층을 형성한 것으로,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내장을 생략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기 용이함 등의 이점을 갖는다. 반사형 편광판의 형성은, 필요에 따라 투명 보호층 등을 개재하여 편광판의 편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부 설하는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의 구체예로는,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한 투명 보호 필름의 편면에,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박 (箔) 이나 증착막을 부설하여 반사층을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투명 보호 필름에 미립자를 함유시켜 표면 미세 요철 구조로 하고, 그 위에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을 갖는 것 등도 들 수 있다. 상기한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지향성이나 번쩍거리는 광택을 방지하고, 명암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을 갖는다. 또 미립자 함유의 보호 필름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그것을 투과할 때에 확산되어, 명암 불균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도 가지고 있다.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반영시킨 미세 요철 구조의 반사층의 형성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 방식, 이온 도금 방식, 스퍼터링 방식이나 도금 방식 등의 적절한 방식으로 금속을 투명 보호층의 표면에 직접 부설하는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반사판은 상기 편광판의 투명 보호 필름에 직접 부여하는 방식 대신에, 그 투명 필름에 준한 적절한 필름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 등으로 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사층은,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므로, 그 반사면이 투명 보호 필름이나 편광판 등으로 피복된 상태의 사용 형태가, 산화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 방지, 나아가서는 초기 반사율의 장기 지속 면이나, 보호층의 별도 부설의 회피 면 등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반투과형 편광판은, 상기에 있어서 반사층에서 광을 반사하고, 또한 투과되는 하프 미러 등의 반투과형의 반사층으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측 (裏側) 에 형성되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비교적 밝은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에서는, 반투과형 편광판의 백 사이드에 내장되어 있는 백라이트 등의 내장 전원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반투과형 편광판은, 밝은 분위기 하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 사용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 하에서도 내장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유용하다.
편광판에 추가로 위상차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판 또는 원 편광에 대해 설명한다. 직선 편광을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타원 편광 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거나, 혹은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위상차판 등이 사용된다. 특히,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바꾸는 위상차판으로는, 이른바 1/4 파장판 (λ/4 판이라고도 한다) 이 사용된다. 1/2 파장판 (λ/2 판이라고도 한다) 은, 통상적으로 직선 편광의 편광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된다.
타원 편광판은 슈퍼 트위스트 네마틱 (STN) 형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해 발생한 착색 (파랑 또는 노랑) 을 보상 (방지) 하여, 상기 착색이 없는 흑백 표시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또한, 삼차원의 굴절률을 제어한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을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발생하는 착색 도 보상 (방지)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은, 예를 들어 화상이 컬러 표시가 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색조를 정돈하는 경우 등에 유효하게 사용되고, 또, 반사 방지의 기능도 갖는다.
위상차판으로는, 고분자 소재를 1 축 또는 2 축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필름으로 지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위상차판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0∼150㎛ 정도가 일반적이다.
고분자 소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비닐에테르, 폴리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알릴술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이들의 2 원계, 3 원계 각종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블렌드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고분자 소재는 연신 등에 의해 배향물 (연신 필름) 이 된다.
액정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액정 배향성을 부여하는 공액성의 직선상 원자단 (메소겐) 이 폴리머의 주쇄나 측쇄에 도입된 주쇄 형태나 측쇄형의 각종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주쇄 형태의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굴곡성을 부여하는 스페이서부에서 메소겐기를 결합한 구조의, 예를 들어 네마틱 배향성의 폴리에스테르계 액정성 폴리머, 디스코틱 폴리머나 콜레스테릭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측쇄형의 액정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말로네이트를 주쇄 골격으로 하고, 측쇄로서 공액성의 원자단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를 개재하여 네마틱 배향 부여성의 파라 치환 고리형 화합물 단위로 이루어지는 메소겐부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액정 폴리머는, 예를 들어, 유리판 상에 형성한 폴리이미드나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박막의 표면을 러빙 처리한 것, 산화 규소를 사방 증착한 것 등의 배향 처리면 상에 액정성 폴리머의 용액을 전개하여 열 처리함으로써 행해진다.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각종 파장판이나 액정층의 복굴절에 의한 착색이나 시각 등의 보상을 목적으로 한 것 등의 사용 목적에 따른 적절한 위상차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위상차판을 적층하여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것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의 타원 편광판이나 반사형 타원 편광판은, 편광판 또는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적절한 조합으로 적층한 것이다. 이러한 타원 편광판 등은, (반사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조합이 되도록 그것들을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 별개로 적층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미리 타원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적층 작업성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부착시킨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측 사이드에 형성되어 사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나 이측으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 정 방향의 원 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휘도 향상 필름을 편광판과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소정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함께, 상기 소정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 반사된다. 이 휘도 향상 필름 면에서 반사한 광을 다시 그 뒤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개재하여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증량을 도모함과 함께, 편광자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 표시 화상 표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도모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휘도 향상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 백라이트 등에서 액정 셀의 이측으로부터 편광자를 통해 광을 입사시켰을 경우에는, 편광자의 편광 축에 일치하지 않은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은, 거의 편광자에 흡수되어, 편광자를 투과해 오지 않는다. 즉, 사용한 편광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대략 50% 의 광이 편광자에 흡수되고, 그 만큼, 액정 화상 표시 등에 사용할 수 있는 광량이 감소하여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 향상 필름은, 편광자에 흡수되는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편광자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일단 반사시키고, 다시 그 뒤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개재하여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반복하고, 이 양자 사이에 반사, 반전하고 있는 광의 편광 방향이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방향이 된 편광만을, 휘도 향상 필름은 투과시켜 편광자에 공급하므로,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의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확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휘도 향상 필름에 의해 반사된 편광 상태의 광은 상기 반사층 등을 향하는데, 형성된 확산판은 통과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킴과 함께 편광 상태를 해소하여, 비편광 상태가 된다. 즉, 자연광 상태의 광이 반사층 등을 향하고, 반사층 등을 통하여 반사되어, 다시 확산판을 통과하여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으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 화면의 밝기의 불균일을 적게 하여,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첫 회의 입사광은 반사의 반복 횟수가 적당하게 증가되어, 확산판의 확산 기능과 함께 균일한 밝은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의 휘도 향상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체의 다층 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 필름의 다층 적층체와 같은,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고 다른 광은 반사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과 같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중 어느 일방의 원 편광을 반사시키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의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 투과광을 그대로 편광판에 편광축을 정돈하여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콜레 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 편광을 투과하는 타입의 휘도 향상 필름에서는, 그대로 편광자에 입사시킬 수도 있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하는 점에서, 그 원 편광을 위상차판을 개재하여 직선 편광화하여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위상차판으로서 1/4 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에서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파장 550nm 의 담색광에 대해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를 들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위상차판은, 1 층 또는 2 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대해서도, 반사 파장이 상이한 것의 조합으로 하여 2 층 또는 3 층 이상 중첩한 배치 구조로 함으로써,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 범위에서 원 편광을 반사하는 것을 얻을 수 있고, 그것에 기초하여 넓은 파장 범위의 투과 원 편광을 얻을 수 있다.
또, 편광판은, 상기의 편광 분리형 편광판과 같이, 편광판과 2 층 또는 3 층 이상의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의 반사형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조합한 반사형 타원 편광판이나 반투과형타원 편광판 등이어도 된다.
편광판에 상기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과 정에서 순차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미리 적층하여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층에는 점착층 등의 적절한 접착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편광판과 다른 광학층의 접착시에, 그들의 광학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의 광학 필름이나 점착제층 등의 각 층에는, 예를 들어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화합물이나 벤조페놀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계 화합물이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의 자외선 흡수제로 처리하는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자외선 흡수능을 갖게 한 것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라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하게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끼워 넣는 것 등에 의해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점착형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에 준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TN 형이나 STN 형, π 형 등의 임의인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점착형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혹은 반사판을 사용한 것 등의 적절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은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양측에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것들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시에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 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적절한 부품을 적절한 위치에 1 층 또는 2 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편광판 등) 은,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 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발광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체) 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층은, 여러 가지의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며, 예를 들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의 유기 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의 적층체나, 혹은 이와 같은 발광층과 펠리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나, 또 혹은 이들의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여러 가지의 조합을 가진 구성이 알려져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에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이들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가 형광 물자를 여기하고, 여기된 형광 물질이 기저 상태로 되돌아올 때 광을 방사한다는 원리로 발광한다. 도중의 재결합이라는 메카니즘은,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동일하고, 이것으로부터도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와 발광 강도는 인가 전압에 대해서 정류성을 수반하는 강한 비선형성을 나타낸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유기 발광층에서의 발광을 취출하기 위해서, 적어도 일방의 전극이 투명하지 않으면 안되고, 통상 산화 인듐주석 (ITO) 등의 투명 도전체로 형성한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음극에 일 함수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상 Mg-Ag, Al-Li 등의 금속 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유기 발광층은, 두께 10nm 정도로 매우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발광층도 투명 전극과 같이, 광을 거의 완전히 투과한다. 그 결과, 비발광시에 투명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입사되고,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을 투과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투명 기판의 표면측으로 나오기 때문에, 외부에서 시인했을 때, 유기 EL 표시 장치의 표시면이 경면과 같이 보인다.
전압의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의 표면측에 투명 전극을 구비함과 함께, 유기 발광층의 이면측에 금속 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체를 함유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 투명 전극의 표면측에 편광판을 형성함과 함께, 이들 투명 전극과 편광판 사이에 위상차판을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판 및 편광판은, 외부로부터 입사되어 금속 전극으로 반사되어 온 광 을 편광하는 작용을 가지므로, 그 편광 작용에 의해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외부에서 시인시키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위상차판을 1/4 파장판으로 구성하고, 또한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을 π/4 로 조정하면,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즉, 이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입사되는 외부 광은, 편광판에 의해 직선 편광 성분만이 투과된다. 이 직선 편광은 위상차판에 의해 일반적으로 타원 편광이 되지만, 특히 위상차판이 1/4 파장판이고 또한,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편광 방향이 이루는 각이 π/4 일 때에는 원 편광이 된다.
이 원 편광은, 투명 기판, 투명 전극, 유기 박막을 투과하여, 금속 전극에서 반사되고, 다시 유기 박막, 투명 전극, 투명 기판을 투과하여, 위상차판에 다시 직선 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직선 편광은, 편광판의 편광 방향과 직교하고 있으므로 편광판을 투과할 수 없다. 그 결과,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크릴계 폴리머 (a1) 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기를 구비한 4 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BA) 100 중량부,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 중 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 중량부, 및 아세트산 에틸 50 중량부를 주입하고, 천천히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55℃ 부근으로 유지하고 8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1) 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만이었다.
(우레탄 폴리머 (b1) 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4 구 플라스크에,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루콜 75 중량부, 및 디부틸주석라우레이트 0.05 중량부를 주입하고, 천천히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5 중량부를 적하시켜,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5℃ 부근으로 유지하고 2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우레탄 폴리머 (b1) 를 조제하였다.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만이었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1) 용액의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30 중량부,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실리콘사 제조, KBM403) 0.1 중량부, 및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닛폰 폴리우레탄공업사 제조, 콜로네이트 L) 0.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 교배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1) 을 조제하였다.
(점착형 편광판의 제작)
이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 (1) 을, 실리콘 처리를 행한 폴리에스테 르 필름 (두께 : 38㎛) 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의 편면에 도포하고, 130℃ 에서 3 분간 건조시켜, 건조 후의 두께가 25㎛ 인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제층을, 상기 광학 보상층이 부여된 편광 필름의 하도층 (일본 촉매 화학 공업사 제조의 폴리멘트 NK380 을, 톨루엔으로 고형분이 0.2 중량% 가 되도록 희석시켜 제작한 용액에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사 제조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IRGANOX1010 을 NK380, 100 중량부에 대해 1 중량부 첨가한 도포 용액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 건조시켜, 도포량 0.2㎤ 의 앵커 코트층을 제작하였다.) 의 표면에 부착,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30 중량부 대신에,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150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1) 대신에, 하기 아크릴계 폴리머 (a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아크릴계 폴리머 (a2) 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및 냉각기를 구비한 4 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BA) 100 중량부, 아크릴산 5 중량부,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0.1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3 중량부, 및 아세트산 에틸 50 중량부를 주입하고, 천천히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체 온도를 55℃ 부근으로 유지하고 8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아크릴계 폴리머 (a2) 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2)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60만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30 중량부 대신에,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히타치 화성사 제조, HPC-5000) 30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30 중량부 대신에,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10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30 중량부 대신에, 상기 우레탄 폴리머 (b1) 250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점착형 광학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점착형 광학 필름에 대해,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주변부 불균일)
점착형 광학 필름을, 세로 420mm×가로 320mm 사이즈로 잘라낸 것을 2 장 준비하였다. 이 점착형 광학 필름을, 두께 0.07mm 의 무알칼리 유리판의 양면에 크로스 니콜이 되도록 라미네이터로 부착시켰다. 이어서, 50℃, 5atm 에서 15분간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이 샘플을 100℃ (가열) 및 60℃, 90%R.H.(가습) 의 조건 하에서, 각각 500 시간의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것을, 1 만 칸데라의 백라이트 상에 두고, 광 누설을 하기의 기준에 의해,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주변부 불균일이 없고, 실용상 문제 없었던 경우 : ◎
·주변부 불균일을 조금 볼 수 있지만, 실용상 문제 없었던 경우 : ○
·주변부 불균일을 볼 수 있지만, 실용상 문제 없었던 경우 : △
·주변부 불균일을 심하게 볼 수 있어, 실용상 문제가 있었던 경우 : ×
(내구성)
점착형 광학 필름 (15 인치 사이즈) 을, 무알칼리 유리 (코닝 1737, 두께 : 0.7mm) 에 부착시키고, 50℃, 0.5MPa 의 오토클레이브에서 15분간 처리하였다. 이어서, 이 샘플을 90℃ (가열) 및 60℃, 95%R.H.(가습) 의 조건하에서, 각각 500시간의 처리를 실시하였다. 하기의 기준에 의해,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점착형 광학 필름과 무알칼리 유리 사이에서, 박리나 들뜸, 발포가 없었던 경우 : ◎
·점착형 광학 필름과 무알칼리 유리 사이에서, 박리나 들뜸, 발포가 있었던 경우 : ×
주변 불균일 내구성
가열 가습 가열 가습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 × × ×
비교예 2 × × × ×
비교예 3 × ×
도 1 은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의 일례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점착형 광학 필름의 일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투명 기재 필름
2 배향막
3 디스코틱 액정층
4 하도층
5 점착제층
6 편광자
7 투명 보호 필름

Claims (12)

  1. 광학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는 점착형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함유하는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을 20∼20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에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수지 성분 (B) 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C) 및 실란 커플링제 (D) 를 함유 하고, 상기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A)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C) 0.1∼10 중량부, 및 상기 실란 커플링제 (D) 0.01∼0.5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폴리머류 (E) 를 함유하는 하도층 (下塗層) 을 개재하여 상기 광학 필름에 적층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도층의 폴리머류 (E) 가 1 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 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가, 말단에 1 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 급 아미노기를 갖는 폴리머가 폴리에틸렌이민계 재료를 함유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층이, 상기 폴리머류 (E) 100 중량부에 대해, 산화 방지제 0.01∼50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방지제가, 페놀계, 인계, 황계 및 아민계의 산화 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1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투명 기재 필름의 편면에 디스코틱 액정층을 갖는 것이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하도층을 개재하여 디스코틱 액정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디스코틱 액정층이 형성되지 않는 측의, 투명 기재 필름의 편면에 편광자가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형 광학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형 광학 필름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80039314A 2007-05-08 2008-04-28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113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23581A JP4778472B2 (ja) 2007-05-08 2007-05-08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JP-P-2007-00123581 2007-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141A true KR20080099141A (ko) 2008-11-12
KR101113622B1 KR101113622B1 (ko) 2012-03-13

Family

ID=3996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314A KR101113622B1 (ko) 2007-05-08 2008-04-28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80074A1 (ko)
JP (1) JP4778472B2 (ko)
KR (1) KR101113622B1 (ko)
CN (1) CN101303420B (ko)
TW (1) TWI3822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659A (ko) * 2008-05-07 2011-02-0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규소 함유 광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한 광학 접합
JP5649280B2 (ja) * 2009-01-28 2015-01-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再剥離用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WO2011055590A1 (ja) * 2009-11-04 2011-05-12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液晶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683229B2 (ja) * 2009-11-27 2015-03-11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及び粘着剤組成物
CN102770481B (zh) 2009-12-17 2015-01-14 3M创新有限公司 显示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
TWI473721B (zh) * 2012-02-23 2015-02-21 Benq Materials Corp Optical film adhesive structure and its making method
JP6095297B2 (ja) * 2012-08-24 2017-03-15 ヘンケルジャパン株式会社 積層シート用接着剤
KR20150070154A (ko) * 2012-10-11 2015-06-24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필름형 점착제
CN103235357B (zh) * 2013-04-27 2016-05-18 北京安通立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偏振片和使用该偏振片的液晶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EP3296373B1 (en) 2015-05-08 2021-07-28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laminat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WO2017057245A1 (ja) 2015-09-29 2017-04-06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WO2017090474A1 (ja) 2015-11-26 2017-06-01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CN105527727A (zh) * 2016-02-16 2016-04-27 侯绪华 一种塑料偏光眼镜
EP3684832A1 (en) * 2017-09-21 2020-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xtruded polyurethane surface film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7007A (en) * 1985-12-27 1993-02-16 Lintec Corporation Adhesive sheets
DE3850451T2 (de) * 1987-07-08 1995-03-09 Furukawa Electric Co Ltd Strahlungsvernetzbare Klebestreifen.
JPH0710966B2 (ja) * 1987-12-04 1995-02-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イマー組成物とその用法
JP3281490B2 (ja) * 1994-09-30 2002-05-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てなる粘着シートもしくはシート
JP3272921B2 (ja) * 1995-09-27 2002-04-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4036272B2 (ja) * 1996-07-18 2008-01-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US5997682A (en) * 1997-08-27 1999-12-07 Science Research Laboratory Phase-separated dual-cure elastomeric adhesiv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260580A1 (en) * 1998-01-26 1999-07-26 Toshihiko Okamoto Pri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effecting adhesion for sealing compositions
US6316070B1 (en) * 1998-06-01 2001-11-13 Xerox Corporation Unsaturated carbonate adhesives for component seams
JP4275221B2 (ja) * 1998-07-06 2009-06-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接着剤組成物および粘接着シート
JP4471184B2 (ja) * 2000-04-26 2010-06-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偏光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
KR100426228B1 (ko) * 2001-01-10 2004-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편광판 점착제품의 제조방법
JP3717413B2 (ja) * 2001-03-02 2005-11-16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用粘着型光学フィルム
JP4716604B2 (ja) * 2001-05-30 2011-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強接着性粘着剤組成物及び強接着用粘着シート
JP4869517B2 (ja) * 2001-08-21 2012-02-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接着テープ
KR100930937B1 (ko) * 2002-01-31 2009-12-10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및 폴리이미드 수지의제조 방법
JP4007502B2 (ja) * 2002-02-01 2007-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302510A (ja) * 2002-04-05 2003-10-2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反射シート
US20050153129A1 (en) * 2002-07-26 2005-07-14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s well as a multi-layer sheet for us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2003250919A1 (en) * 2002-07-31 2004-02-23 Surface Specialties, S.A.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7560168B2 (en) * 2002-11-22 2009-07-14 Toppan Printing Co., Ltd. Gas barrier laminate film
JP4603771B2 (ja) * 2003-04-28 2010-12-22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と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4591994B2 (ja) * 2003-05-29 2010-12-01 株式会社カネカ 硬化性組成物
US20060227695A1 (en) * 2003-09-17 2006-10-12 Fuji Photo Film Co., Ltd. Recording media
JP4621422B2 (ja) * 2003-10-29 2011-01-26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用積層体
US7223468B2 (en) * 2003-11-06 2007-05-29 Nitto Denko Corporation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689166B2 (ja) * 2004-01-06 2011-05-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接着性光学機能部材及び液晶表示素子
JP4345927B2 (ja) * 2004-02-25 2009-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027332B2 (ja) * 2004-03-19 2007-12-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半導体用粘接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60252234A1 (en) * 2004-07-07 2006-11-09 Lintec Corporation Harden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for dicing/die-bond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WO2006009250A1 (ja) * 2004-07-22 2006-01-26 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KR101082894B1 (ko) * 2004-11-09 201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모듈, 광학모듈의 제조 방법, 광학모듈을 갖는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장치
JP3916638B2 (ja) * 2004-12-02 2007-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754436B2 (ja) * 2006-08-17 2011-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層ならびに粘着剤付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195857A (ja) * 2007-02-14 2008-08-28 Fujikura Kasei Co Ltd 水系塗料、それより得られる塗膜および塗装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82209B (zh) 2013-01-11
KR101113622B1 (ko) 2012-03-13
JP2008281637A (ja) 2008-11-20
CN101303420A (zh) 2008-11-12
US20080280074A1 (en) 2008-11-13
TW200912399A (en) 2009-03-16
CN101303420B (zh) 2010-06-09
JP4778472B2 (ja)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622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32880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037571B1 (ko) 광학용 점착제,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185645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의 제조방법,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KR101399194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36649B1 (ko) 점착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8372492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100888573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광학 필름용 점착제층 및 그 제조방법, 점착형 광학 필름,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KR20070088581A (ko) 점착형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화상 표시 장치
TW200817734A (en)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4870117B2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0724323B1 (ko)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70044074A (ko) 대전 방지성 광학 필름, 대전 방지성 점착형 광학 필름, 및화상 표시 장치
JP5016994B2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334925B2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8203432A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