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177A - 고체촬상장치,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고체촬상장치,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177A
KR20080095177A KR1020080034045A KR20080034045A KR20080095177A KR 20080095177 A KR20080095177 A KR 20080095177A KR 1020080034045 A KR1020080034045 A KR 1020080034045A KR 20080034045 A KR20080034045 A KR 20080034045A KR 20080095177 A KR20080095177 A KR 20080095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output
conversi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150B1 (ko
Inventor
유스케 오이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6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combining or binning pix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25/58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 H04N25/581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acquired simultaneously
    • H04N25/583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acquired simultaneously with different integration ti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04N25/77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 H04N25/778Pixel circuitry, e.g. memories, A/D converters, pixel amplifiers, shared circuits or shared components comprising amplifiers shared between a plurality of pixels, i.e. at least one part of the amplifier must be on the sensor array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화소 어레이부와, 구동 수단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을 구비한 고체촬상장치가 제공된다.
전하 전송, AD변환, 광전변환부, 고체촬상장치

Description

고체촬상장치,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촬상장치{SOLID-STATE IMAG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AND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2007년 4월 23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JP 2007-112651에 관한 주제를 포함하며, 그 모든 내용은 여기에 참조에 의해 인용된다.
본 발명은 고체촬상장치,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1에, 고체촬상장치의 단위 화소(100)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예와 같이, 광전변환소자(101)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트랜지스터(102)를 가지는 단위 화소(100)에서는, 화소의 부유 확산 용량(FD;Floating Diffusion)(106)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축적 전하량 Qfd.max을, 수광부인 광전변환소자(101)의 최대 축적 전하량 Qpd.max 보다도 충분히 크게 한다. 그 결과 광전변환소자(101)에서의 전하 잔류를 제거함으로써, 광전변환소자(101)에서 부유 확산 용량(106)으로의 신호 전하의 완전 전송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광전변환소자(101)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전하에 대해, 완전 전송을 실현함으로써, 화상촬영시의 잔상을 방지하고, 또 입사광의 휘도와 센서 출 력 신호의 양호한 선형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예에 따른 단위 화소(100)는, 전송 트랜지스터(102)와 함께, 리셋 트랜지스터(103), 증폭 트랜지스터(104) 및 화소선택 트랜지스터(105)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도 31에 나타내는 단위 화소(100)에는, 하기의 문제점이 있다.
(1) 부유 확산 용량(106)의 최대 축적 전하량 Qfd.max이 광전변환소자(101)의 최대 축적 전하량 Qpd.max을 상회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전하전압 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유 확산 용량(106)의 용량을 작게 하는 데 제한이 있다.
(2) 마찬가지 이유로, 부유 확산 용량(106)의 리셋 전압으로서 이용되는 전원전압 Vdd가 하강하면 부유 확산 용량(106)의 최대 축적 전하량 Qfd.max이 감소하므로, 전원전압 Vdd의 저전압화에 제한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상기 (1)∼ (2)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해결하고 있다. 즉, 전하전압 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유 확산 용량(106)의 용량을 작게 하는 것 때문에 최대 축적 전하량 Qfd.max이 작을 때, 혹은 리셋 전압(전원전압) Vdd을 저전압화하여 최대 축적 전하량 Qfd.max이 작을 때에, 전하 전송과, 신호 판독, 부유 확산 용량(106)의 리셋을 실행한 후, 전송 트랜지스터(102)가 전송할 수 있는 한계를 넘기 때문에 광전변환소자(101)로부터 모두 전송할 수 없어 잔류한 전하를, 다시 전송하여 신호를 판독한다. 이에 따라, 광전변환소자(101)에 축적된 전하를 분할하여 모두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이 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177775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1축적기간에 광전변환소자(101)에서 광전변환되어 축적된 전하를 분할하여 전송(분할 전송)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실행할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의 처리를 분할 전송의 분할수에 따라 복수 회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의 고속화가 곤란해지는 동시에, 소비 전력도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모든 축적 전하를 1회의 판독으로 출력할 수 없을 경우에 분할하여 전하 전송 및 신호 출력을 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의 고속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가능하게 한 고체촬상장치,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신호를 신호 전하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광전변환부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소자와,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 전하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와,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에 상기 광전변환부에 축적되고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적어도 2회로 분할되어 전송된 상기 신호 전하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판독하 는 구동 수단과,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복수로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을 구비한 고체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신호를 신호 전하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광전변환부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소자와,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 전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단위 화소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와,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에 상기 광전변환부에 축적된 신호 전하를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적어도 2회로 분할하여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판독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고체촬상장치가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복수로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신호를 신호 전하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광전변환부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소자와,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 전하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고체촬상장치와,
입사광을 상기 고체촬상장치의 촬상면 위에 결상 하는 광학계를 구비하고,
상기 고체촬상장치는,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에 상기 광전변환부에 축적되고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적어도 2회로 분할되어 전송된 상기 신호 전하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판독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복수로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회의 판독으로 출력할 수 없는 축적 전하를 분할하여 전송할 경우에 있어서, 단위 화소로부터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한다. 이로써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의 고속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장치, 예를 들면 CMOS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A)는, 광전변환부를 포함하는 단위 화소(이하, 간단히 「화소」로 기술하는 경우도 있다)(20)가 행렬 모양으로 2차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화소 어레이부(11)와, 그 주변회로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화소 어레이부(11)의 주변회로로서는, 예를 들면 수직주사 회로(12), 수평주사 회로(13), 칼럼신호 선택회로(14) 및 신호 처리 회로(15) 등이 설치된다.
화소 어레이부(11)의 화소(20)의 행렬모양 배열에 대하여, 화소 열마다 수직 신호선(111)이 배선되고, 화소 행마다 구동 제어선, 예를 들면 전송 제어선(112), 리셋 제어선(113) 및 선택 제어선(114)이 배선되어 있다.
수직 신호선(111)의 각 일단에는, 정전류원(16)이 접속되어 있다. 정전류원(16) 대신에, 예를 들면 바이어스 전압 Vbias에 의해 게이트가 바이어스되는 전류 바이어스용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류 바이어스용 트랜지스터는 후술하는 증폭 트랜지스터(24)와 소스 폴로어 회로를 구성한다(도 2 참조).
수직주사 회로(12)는, 시프트 레지스터, 어드레스 디코더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화소 어레이부(11)의 각 화소(20)를 각 전자셔터행과 판독행에 대해 행 단위로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면서, 전자셔터행에 대해서는 그 행의 화소(20)의 신호 스위프 오프를 행하기 위한 전자셔터 동작을 행하는 동시에, 판독행에 대해서는 그 행의 화소(20)의 신호 판독을 행하기 위한 판독 동작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수직주사 회로(12)는, 판독 주사계와, 전자 셔터 주사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판독 주사계는 화소(20)를 행 단위로 순서대로 선택하면서, 판독행의 각 화소(20)의 신호를 판독하는 판독 동작을 행한다. 또한 전자셔터 주사계는 해당 판독 주사계에 의한 판독 주사보다도 셔터 속도에 대응한 시간만큼 전에 같은 행(전자 셔터행)에 대하여 전자셔터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1 타이밍에서 제2 타이밍까지의 기간이 각 화소(20)에 있어서의 신호 전하에 대한 1단위의 축적기간 (노광 기간)이 된다. 여기에서, 제1 타이밍에는, 전자셔터 주사계에 의한 셔터 주사에 의해 광전변환부의 불필요한 전하가 리셋된다. 또한 제2 타이밍에는, 판독 주사계에 의한 판독 주사에 의해 화소(20)의 신호가 판독된다. 즉, 전자셔터 동작은, 광전변환부에 축적된 신호 전하의 리셋(스위프 오프)을 행하고, 그 리셋 후부터 새로이 신호 전하의 축적을 개시하는 동작을 말한다.
수평주사 회로(13)는, 시프트 레지스터나 어드레스 디코더 등으로 구성된다. 수평주사 회로(13)는 화소 어레이부(11)의 각 화소열을 순차적으로 수평주사한다. 칼럼신호 선택회로(14)는, 수평선택 스위치나 수평 신호선 등으로 구성된다. 칼럼신호 선택회로(14)는, 화소 어레이부(11)로부터 화소 행마다 수직 신호선(111)을 통해 출력되는 화소(20)의 신호를, 수평주사 회로(13)에 의한 수평주사에 동기하여 순차 출력한다.
신호 처리 회로(15)는, 칼럼신호 선택회로(14)로부터 화소 단위로 출력되는 화소(20)의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 가산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신호 처리 회로(15)의 구성 및 동작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특성에 대해 후에 자세히 서술한다.
이때, 수직주사 회로(12), 수평주사 회로(13) 및 신호 처리 회로(15) 등의 동작의 기준이 되는 타이밍 신호나 제어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제어회로에서 생성된다.
(화소 회로)
도 2는, 단위 화소(20)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다. 본 회로예에 따른 단위 화소(20)는, 매립형 포토다이오드 등의 광전변환소자(광전변환부)(21)와 함께, 예를 들면 전송 트랜지스터(전송 소자)(22), 리셋 트랜지스터(23), 증폭 트랜지스터(24) 및 선택 트랜지스터(25)의 4개의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화소 회로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들 트랜지스터(22∼25)로서, 예를 들면 N채널의 MOS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전송 트랜지스터(22)는, 광전변환소자(21)의 캐소드 전극과 부유 확산 용량(FD)(26) 사이에 접속된다. 전송 트랜지스터(22)는, 광전변환소자(21)에서 광전변환되고, 여기에 축적된 신호 전하(여기에서는, 전자)를, 게이트 전극(제어 전극)에 전송 펄스 TRG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부유 확산 용량(26)은 신호 전하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전하전압 변환부로서 기능한다.
리셋 트랜지스터(23)는, 전원전압 Vdd를 공급하는 화소전원에 드레인 전극이, 부유 확산 용량(26)의 접지단과는 반대쪽 일단에 소스 전극이 각각 접속된 다. 광전변환소자(21)로부터 부유 확산 용량(26)으로의 신호 전하의 전송에 앞서, 게이트 전극에 리셋 펄스 RST가 주어짐으로써 부유 확산 용량(26)의 전위를 리셋 전압 Vrst로 리셋한다.
증폭 트랜지스터(24)는, 부유 확산 용량(26)에 게이트 전극이, 전원전압 Vdd를 공급하는 화소전원에 드레인 전극이 각각 접속된다. 증폭 트랜지스터(24)는, 리셋 트랜지스터(23)에 의해 리셋된 후의 부유 확산 용량(26)의 전위를 리셋 레벨로서 출력하고, 또한 전송 트랜지스터(22)에 의해 신호 전하가 전송된 후의 부유 확산 용량(26)의 전위를 신호 레벨로서 출력한다.
선택 트랜지스터(25)는, 예를 들면 드레인 전극이 증폭 트랜지스터(24)의 소스 전극에, 소스 전극이 수직 신호선(111)에 각각 접속된다. 선택 트랜지스터(25)는, 게이트 전극에 선택 펄스 SEL가 주어짐에 따라 온 상태가 되어, 화소(20)를 선택 상태로 하고, 이로써 증폭 트랜지스터(2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직 신호선(111)에 출력한다. 선택 트랜지스터(25)에 대해서는, 화소전원(Vdd)과 증폭 트랜지스터(24)의 드레인 전극 사이에 접속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전송 트랜지스터(22), 리셋 트랜지스터(23), 증폭 트랜지스터(24) 및 선택 트랜지스터(25)를 가지는 4트랜지스터 구성의 단위 화소(20)를 가지는 CMOS 이미지센서에 적용할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이 이 적용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 트랜지스터(25)를 생략하고, 전원전압 SELVdd를 가변으로 함으로써, 증폭 트랜지스터(24)에 선택 트랜지스 터(25)의 기능을 갖도록 한 3트랜지스터 구성의 단위 화소(20′)를 가지는 CMOS 이미지센서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유 확산 용량 FD이나 판독 회로(200)를 복수의 화소에서 공유한 구성을 채용하는 CMOS 이미지센서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CMOS 이미지센서(10A)에 있어서, 단위 화소(20)의 각 구성 소자(전송 트랜지스터(22), 리셋 트랜지스터(23) 및 선택 트랜지스터(25))를 구동하는 수직주사 회로(12)는, 구동부를 구성한다. 이 경우,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에 광전변환소자(21)에 축적된 신호 전하를 전송 트랜지스터(22)에 의해 적어도 2회로 분할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는 신호 전하를 출력 수단(리셋 트랜지스터(23), 부유 확산 용량(26), 증폭 트랜지스터(24) 및 선택 트랜지스터(25))을 통해 수직 신호선(111)에 분할 전송으로 판독한다.
(분할 전송)
상기 구성의 CMOS 이미지센서(10A)에서는 수직주사 회로(12)로부터 적절히 출력되는 전송 펄스 TRG, 리셋 펄스 RST 및 선택 펄스 SEL에 의한 구동 하에,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에 광전변환소자(21)에 축적된 광 전하를 적어도 2회로 분할하여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분할 전송)하고, 증폭 트랜지스터(24)를 통해 수직 신호선(111)에 판독하는 동작이 화소 행 단위로 행해진다. 그리고, 분할 전송으로 단위 화소(20)로부터 판독된 복수의 신호는, 후단의 신호 처리 회로(15)에서 가산 처리된다.
여기에서, 일례로서, 4분할로 분할 전송을 행할 경우의 리셋 펄스 RST 및 전송 펄스 TRG의 타이밍 관계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도 6에 입사광 휘도가 높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에너지도를, 도 7에 입사광 휘도가 낮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에너지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각 동작 (1)∼ (15)는 도 5의 각 기간 (1)∼ (15)에 대응하고 있다.
신호 전하를 4분할로 전송할 때, 각각의 전하 전송 동작으로 판독된 전하 Qfd1, Qfd2,Qfd3, Qfd4를 가산하여, 축적 전하 Qpd(=Qfd1+Qfd2+Qfd3+Qfd4)를 얻는다. 또한 입사광 휘도가 높고, 광전변환소자(21)의 축적 전하가 많은 화소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분할하여 가산하기 때문에 모든 축적 전하 Qpd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신호 처리 회로)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신호 처리 회로(15)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여기에서는, 분할 전송의 분할수 n이 예를 들면 3(n=3)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신호 처리 회로(15)는, 노이즈 제거부(151), AD변환부(152), 신호 선택부(153), 신호 보유부(154) 및 가산부(155)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노이즈 제거부(151)는, 예를 들면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로 이루어진다. 노이즈 제거부(151)는, 단위 화소(20)로부터 순차 공급되는 리셋 레벨과 신호 레벨의 차분을 순서대로 취함으로써, 리셋 노이즈나 증폭 트랜지스터(24)의 임계값 편차로 인한 화소 고유의 고정 패턴 노이즈를 제거 한다. AD변환부(152)는, 이에 따라 공급되는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AD변환한다.
신호 선택부(153)는, 1회째, 2회째, 3회째의 분할 전송에 대응하여 AD변환부(152)로부터 순서대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선택하여 신호 보유부(154)의 각 보유부(154-1,154-2,154-3)에 보유시킨다. 가산부(155)는 보유부(154-1,154-2,154-3)에 보유된 1회째, 2회째, 3회째의 각 출력 신호를 가산한다.
상기 구성의 신호 처리 회로(15)에 있어서, 노이즈 제거부(151), AD변환부(152), 신호 선택부(153), 신호 보유부(154) 및 가산부(155)는, 예를 들면 화소 어레이부(11)와 같은 반도체기판에 집적된다.
단, 노이즈 제거부(151), AD변환부(152), 신호 선택부(153), 신호 보유부(154) 및 가산부(155) 모두가 화소 어레이부(11)와 같은 반도체기판에 집적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어느 하나 또는 전부가 다른 반도체기판에 집적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노이즈 제거부(151)를 AD변환부(152)의 전단측에 배치한 예를 도시했다. 그러나 노이즈 제거부(151)를 AD변환부(152)의 후단측에 배치하여 디지털 처리로 AD변환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AD변환부(152)에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도록 하여 AD변환하면서 노이즈 제거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이즈 제거 기능 및 가산 기능을 가지는 AD변환부(156)에 의해 신호 처리 회로(15)를 구성하고, AD변환 처리와 병행하 여 노이즈 제거 처리 및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10은, 노이즈 제거 기능 및 가산 기능을 가지는 AD변환부(156)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AD변환부(156)는, 전압비교기(1561)와 카운터(1562)로 구성되어 있다.
전압비교기(1561)는, 램프(RAMP) 파형의 참조 신호 Vref를 반전(-) 입력 단자에 받고, 수직 신호선(111)을 통해 공급되는 단위 화소(20)의 출력 신호 Vout를 비반전(+) 단자에 받는다. 출력 신호 Vout가 참조 신호 Vref보다 그 레벨이 높을 때, 전압비교기(1561)는 비교 결과 Vco를 출력한다.
카운터(1562)는 업/타운 카운터로 이루어진다. 카운터(1562)는 전압비교기(1561)의 비교 결과 Vco가 변화할 때까지의 기간에, 업/다운 제어신호에 의한 제어 하에, 클록 CK에 동기하여 업 카운트/다운 카운트의 카운트 동작을 행함으로써, 카운트값을 증감한다.
도 11에, 램프 파형의 참조 신호 Vref 및 전압비교기(1561)의 비교 결과 Vco의 각 파형과 카운터(1562)의 카운트값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3분할 전송에 의한 각 출력 신호에 대하여, 1회째의 리셋 레벨의 판독에서는 카운터(1562)의 카운트값이 감소하고, 다음 1회째의 신호 레벨의 판독에서는 카운터(1562)의 카운트값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리셋 레벨과 신호 레벨의 차분에 해당하는 카운트값을 얻는다(노이즈 제거 처리).
이렇게 노이즈 제거 처리를 AD변환 처리와 동시에 실행하고 있다. 또한 1회째의 AD변환 처리에 이어서, 2회째의 리셋 레벨의 판독에서는 카운터(1562)의 카운트값이 감소하고, 2회째의 신호 레벨의 판독에서는 카운터(1562)의 카운트값이 증가한다. 그 결과, 2회째의 노이즈 제거 처리 후의 결과를, 1회째의 노이즈 제거 처리 결과에 가산할 수 있다.(가산 처리).
즉, 3분할 전송에 의한 각 출력 신호에 대하여, 리셋 레벨과 신호 레벨의 차분에 해당하는 카운트값을 얻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카운터(1562)의 카운트값은 증감을 반복한다. 그 결과, 각 분할 전송에 기초한 판독 동작에 있어서의 리셋 레벨과 신호 레벨의 차분을 가산한 디지털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분명한 것처럼, AD변환부(156)가 신호 보유부(153) 및 가산부(155)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이즈 제거 기능 및 가산 기능을 가지는 AD변환부(156)를 신호 처리 회로(15)에 포함함으로써, 노이즈 제거부(151) 및 신호 보유부(153)의 각 보유부(153-1,153-2,153-3)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또한 보유부(153-1,153-2,153-3)의 수를 분할 전송의 분할수 n에 따라 증가시킬 필요도 없다. 그 결과, 신호 처리 회로(15)의 회로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AD변환의 문제점>
여기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분할 전송의 모든 판독에 있어서, 단위 화소(20)로부터 판독되는 각 출력 신호에 대하여 같은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행하면, AD변환의 실행 시간 및 소비 전력이 분할수 n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다른 변환 정밀도로의 AD변환>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째와 2회째 판독 동작에서 다른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1회째의 판독에서의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보다도, 2회째의 판독에서의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를 크게 하여, AD변환의 최소 검지량, 즉 1카운트당 신호량을 크게 함으로써, 2회째의 AD변환에서의 변환 정밀도를 감소시킨다.
본 예에 따른 AD변환부(156)는, 가산 처리도 AD변환과 병행하여 행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한 가중치로 가산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2회째의 판독 동작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가, 1회째의 판독 동작에 있어서의 기울기의 N배인 경우에, 2회째 카운트 동작을 1회째 카운트 동작의 1클록당 카운트수의 N배로 실행함으로써, 2회째 카운트 동작의 변환 정밀도를 1회째 카운트 동작의 1/N배로 한다.
도 13은, 광전변환소자(21)의 최대 축적 전하량을 10,000 전자로 했을 경우의, 입사광 강도(축적 전하)와 판독된 신호의 노이즈 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다. 여기에서는, 판독시의 고정 패턴 노이즈를 2e- 상당, 판독의 랜덤 노이즈를 7e- 상당, 그리고 축적 전하에 따른 광 숏 노이즈를 노이즈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적 전하가 적은 저휘도 영역에서는 다크(dark)시 노이즈 레벨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입사광 강도가 강해져 축적 전하가 많아지면, 광 숏 노이즈가 지배적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저휘도에는 높은 변환 정밀도의 AD변환을 적용하면, 고휘도에는 낮은 변환 정밀도의 AD변환을 적용해 도,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D변환의 양자화 오차는 지배적이 되지 않아, 화질 열화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12bit, 10bit, 8bit의 AD변환의 변환 정밀도는 1LSB당 2.4e-,9.8e-,39.1e-가 된다. 따라서 축적 전하를 4분할하여 전송했을 경우에, 각각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변환 정밀도를 적용하면, 1LSB에 해당하는 전자수로 결정되는 양자화 오차는, 광 숏 노이즈 등의 노이즈 성분을 크게 밑돈다. 그 결과, 화질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다.
도 10에서 예시한 AD변환부(156)의 경우, 변환 정밀도에 의해 결정되는 계조수와 실행 시간은 비례하므로, AD변환에 도 13에 나타낸 변환 정밀도를 적용했을 경우, 12bit의 AD변환을 4회 실행(4096계조×4)하게 된다. 반면에, 12bit(4096계조), 10bit (1024계조), 8bit (256계조)로 실행한 경우에는, 2.6배 고속으로 AD변환이 실행되게 된다. 또한 카운터(1562)에서 소비되는 전력도 카운터(1562)의 변화수가 계조수에 비례하므로 약 1/2.6배로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광전변환소자(21)의 모든 축적 전하를 1회의 판독으로 출력할 수 없는 경우에, 분할하여 전하 전송 및 신호 출력을 행하는 CMOS 이미지센서(10A)에 있어서, n분할 전송에 의한 단위 화소(2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실시하여 가산한다. 그 결과,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AD변환의 실행 시간(변환 속도)을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AD변환부(152,156)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A)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분할 전송에 의한 구동법을 사용함으로써, 광전변환소자(21)의 축적 전하가 적을 경우는 최초의 분할 전송으로 모든 축적 전하를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병기한 바와 같이, AD변환의 변환 정밀도를 판독 순서에 따라 서서히 낮추도록 함으로써, AD변환의 고속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하고 있다.
[제2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장치, 예를 들면 CMOS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다. 도면 중, 도 1과 동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B)는, 화소 어레이부(11), 수직주사 회로(12), 수평주사 회로(13) 및 칼럼신호 선택회로(14)와 함께, 화소 어레이부(11)의 화소 열마다 배치된 복수의 칼럼 회로(17)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A)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복수의 칼럼 회로(17)는 각각, 화소 어레이부(11)로부터 수직 신호선(111)을 통해서 화소단위로 출력되는 화소(20)의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AD변환, 가산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칼럼 회로(17)의 구성 및 동작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B)도,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분할 전송에 의한 구동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구동법의 경우에는, 최초의 1회 혹은 수 회의 분할 전송으로 모든 축적 전하가 판독된다. 따라서, 축적 전하가 적을 경우는 최초의 분할 전송으로 모든 축적 전하가 판독되게 된다.
(칼럼 회로)
도 15는, 칼럼 회로(17)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여기에서는, 분할 전송의 분할수 n이 예를 들면 3(n=3)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칼럼 회로(17)는, 노이즈 제거부(171), AD변환부(172), 신호 선택부(173), 신호 보유부(174) 및 가산부(175)를 가진다. 따라서 칼럼 회로(17)는 도 8의 신호 처리 회로(15)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노이즈 제거부(171)는, 예를 들면 CDS회로로 이루어진다. 노이즈 제거부(171)는 단위 화소(20)로부터 순차 공급되는 리셋 레벨과 신호 레벨의 차분을 순서대로 얻음으로써, 리셋 노이즈나 증폭 트랜지스터(24)의 임계값 편차 등의 화소 고유의 고정 패턴 노이즈를 제거한다. AD변환부(172)는, 아날로그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AD변환한다.
신호 선택부(173)는, 1회째, 2회째, 3회째의 분할 전송에 대응하여 AD변환부(172)로부터 순서대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선택하여 신호 보유부(174)의 각 보유부(174-1,174-2,174-3)에 보유시킨다. 가산부(175)는, 보유부(174-1,174-2,174-3)에 보유된 1회째, 2회째, 3회째의 각 출력 신호를 가산한다.
이때, 상기의 예에서는, 노이즈 제거부(171)를 AD변환부(172)의 전단측에 배치한 예를 도시했다. 그러나 노이즈 제거부(171)를 AD변환부(172)의 후단측에 배치하여 디지털 처리로 AD변환을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AD변환부(172)에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도록 하여 AD변환하면서 노이즈 제거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이즈 제거 기능 및 가산 기능을 가지는 AD변환부(156)로 신호 처리 회로(15)를 구성하여, AD변환 처리와 병행하여 노이즈 제거 처리 및 가산 처리를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노이즈 제거 기능 및 가산 기능을 가지는 AD변환부(156)로서는, 도 10에 나타낸 회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칼럼 회로(17)에 있어서, 같은 변환 정밀도로 AD변환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회째와 2회째에서 다른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도 12 참조). 구체적으로는, 1회째의 판독에서의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보다도, 2회째의 판독에서의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를 크게 하여, AD변환의 최소 검지량, 즉 1카운트당 신호량을 크게 함으로써, 2회째의 AD변환에서의 변환 정밀도를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광전변환소자(21)의 모든 축적 전하를 1회의 판독으로 출력할 수 없는 경우에, 분할하여 전하 전송 및 신호 출력을 행하는 CMOS 이미지센서(10B)에 있어서, n분할 전송에 의한 단위 화소(2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 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실시하여 가산한다. 그 결과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AD변환의 고속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체촬상장치, 예를 들면 CMOS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다. 도면 중, 도 1과 동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C)는, 화소 어레이부(11), 수직주사 회로(12), 수평주사 회로(13), 복수의 칼럼 회로(17) 및 칼럼신호 선택회로(14)와 함께, 공급전압 제어회로(31), 전압 공급회로(32) 및 타이밍 발생 회로(TG)(33)를 가진다. 또한 CMOS 이미지센서(10C)는, 화소 어레이부(11)의 화소 열마다 배치된 복수의 칼럼 회로(34)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2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B)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복수의 칼럼 회로(17)는 각각, 화소 어레이부(11)로부터 수직 신호선(111)을 통해 화소 단위로 출력되는 화소(20)의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AD변환, 가산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칼럼 회로(17)의 구성 및 동작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공급전압 제어회로(31)는, 단위 화소(20) 내의 전송 트랜지스터(전송 소자)(22)의 게이트 전극(제어 전극)에 인가하는 전송 펄스 TRG의 전압값(피크값) 을 제어한다. 이 공급전압 제어회로(3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압 공급회로(32)는, 공급전압 제어회로(31)에 전압값이 다른 복수의 제어 전압을 공급한다. 이 복수의 제어 전압은, 전압값이 다른 전송 펄스 TRG로서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된다. 이 다른 전압값의 전송 펄스 TRG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타이밍 발생 회로(TG)(33)는, 공급전압 제어회로(31)가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다른 전압값의 전송 펄스 TRG를 공급할 때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타이밍 신호 PTRG를 발생한다.
칼럼 회로(34)는, 화소 어레이부(11)로부터 수직 신호선(111)을 통해서 화소 단위로 출력되는 화소(20)의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AD변환, 가산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칼럼 회로(34)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공급전압 제어회로)
공급전압 제어회로(31)는, 수직주사 회로(12)에 의해 선택 주사된 행을 구동하는 어드레스 신호 ADR를 입력으로서 받아, 전압 공급회로(32)로부터 주어지는 복수의 전압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전압을 전송 펄스 TRG로서 단위 화소(20) 내의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복수의 전압으로서는, 전송 트랜지스터(22)를 온(전도) 상태로 하는 온 전압 Von과, 전송 트랜지스터(22)를 오프(비전도) 상태로 하는 오프 전압 Voff과, 온 전압 Von과 오프 전압 Voff 사이의 중간전압 Vmid이 전압 공급 회로(32)로부터 공급된다. 여기에서, 중간전압 Vmid는, 광전변환소자(21)의 축적 전하의 일부를 보유하면서, 남은 축적 전하를 부분적으로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하는 전압이다.
전술한 화소 회로에서는, 전송 트랜지스터(22)가 N채널이기 때문에, 온 전압 Von을 전원전압 Vdd로 하고, 오프 전압 Voff를 접지 전압, 바람직하게는 접지 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중간전압 Vmid으로서, 전압값이 다른 2개의 중간전압 Vmid0, Vmid1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압 공급회로(32)로부터 공급전압 제어회로(31)에 대하여, 온 전압 Von, 중간전압 Vmid0, Vmid1 및 오프 전압 Voff의 4개의 전압이 공급된다. 이들 4개의 전압의 전압값은, Voff<Vmid0 <Vmid1 <Von의 관계에 있다. 그리고, 4개의 전압 중, 중간전압 Vmid0, Vmid1 및 온 전압 Von이 전송 펄스 TRG로서 이용된다.
중간전압 Vmid0, Vmid1 및 온 전압 Von의 공급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타이밍 발생 회로(33)로부터 3개의 타이밍 신호 PTRG1, PTRG2, PTRG3이 공급전압 제어회로(31)에 주어진다. 공급전압 제어회로(31)는, 중간전압 Vmid0, Vmid1 및 온 전압 Von 중 하나를, 타이밍 신호 PTRG1, PTRG2, PTRG3을 기초로 선택하여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중간전압 Vmid으로서 공급한다.
도 18은 공급전압 제어회로(31)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 따른 공급전압 제어회로(31)는, 4개의 전압, 즉 중간전압 Vmid0, Vmid1, 온 전압 Von 및 오프 전압 Voff에 대응한 4개의 회로 블록(311∼314)과 3입력의 NOR회로(315)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로 블록(311∼314)에는, 수직주사 회로(12)로부터 어드레스 신호 ADR가 공통으로 주어진다. NOR회로(315)에는, 타이밍 발생 회로(33)로부터 타이밍 신호 PTRG1, PTRG2, PTRG3이 3입력으로서 주어진다.
회로 블록(311)은, 어드레스 신호 ADR과 타이밍 신호 PTRG1을 2입력으로 하는 NAND회로(3111), 레벨 시프터(3112) 및 P채널의 구동 트랜지스터(3113)로 구성된다. 회로 블록(311)은, 중간전압 Vmid0을 선택하여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회로 블록(312)은, 어드레스 신호 ADR와 타이밍 신호 PTRG2를 2입력으로 하는 NAND회로(3121) 및 P채널의 구동 트랜지스터(3122)로 구성된다. 회로 블록(312)은, 중간전압 Vmid1을 선택하여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회로 블록(313)은, 어드레스 신호 ADR와 타이밍 신호 PTRG3을 2입력으로 하는 AND회로(3131) 및 N채널의 구동 트랜지스터(3132)로 구성된다. 회로 블록(313)은, 온 전압 Von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온 전압 Von을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회로 블록(314)은, 어드레스 신호 ADR와 NOR회로(315)의 출력 신호를 2입 력으로 하는 AND회로(3141), 어드레스 신호 ADR를 한쪽의 (부정)입력으로 하고, AND회로(3141)의 출력 신호를 다른 쪽의 입력으로 하는 OR회로(3142), 레벨 시프터(3143), 및 N채널의 구동 트랜지스터(3144)로 구성된다. 회로 블록(314)은 오프 전압 Voff을 선택하여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이 회로 블록(314)에서는, 전송 트랜지스터(22)를 오프하기 위한 오프 전압 Voff로서, 접지 전압보다도 낮은 전압, 예를 들면 -1.0V를 공급하기 위해, NOR회로(315)의 작용에 의해 다른 회로 블록(311,312,313)과는 배타적으로 동작하는 회로 구성을 채용한다.
도 19에, 공급전압 제어회로(31)의 입출력의 타이밍 관계를 나타낸다.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하는 전압을 중간전압 Vmid0, Vmid1, 온 전압 Von 및 오프 전압 Voff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어드레스 신호 ADR에 의해 화소 행이 선택되었을 때, 타이밍 신호 PTRG1, PTRG2, PTRG3에 따라, 각각 대응하는 전압 Vmid0, Vmid1, Von을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하고, 그 외에는 오프 전압 Voff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공급전압 제어회로(31)에 의한 제어 하에, 수직주사 회로(12)에 의한 수직 주사에 동기하여 화소 행마다, 중간전압 Vmid0, Vmid1 및 온 전압 Von을 그 순서로 순차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그 결과, 광전변환소자(21)에 축적된 신호 전하를 예를 들면 3회로 분할하여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하는 3분할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3분할 전송>
이하에, 어떤 화소 행에 있어서의 3분할 전송의 경우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도 20의 타이밍 차트 및 도 21의 동작 설명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에 있어서, 각 동작 (1)∼ (11)은 도 20의 각 기간 (1)∼ (11)에 대응하고 있다.
어느 화소 행의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 3분할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수직주사 회로(12)로부터 리셋 트랜지스터(23)의 게이트 전극에 대하여 리셋 펄스 RTS가 일정한 간격으로 3회 주어짐으로써, 부유 확산 용량(26)의 리셋 동작이 3회 실행된다. 이 리셋 동작에 동기하여 공급전압 제어회로(31)로부터, 각 리셋 동작의 일정 시간 후에 중간전압 Vmid0, 중간전압 Vmid1 및 온 전압 Von이 이 순서로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주어진다.
기간 (1)에는, 광전변환소자(21)에 전하 Qpd가 축적된다. 이 때,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오프 전압 Voff가 인가된다. 또 부유 확산 용량(26)이 1회째의 리셋 펄스 RST에 의해 리셋된다. 부유 확산 용량(26)의 리셋 레벨이 1회째의 리셋 레벨로서 증폭 트랜지스터(24) 및 선택 트랜지스터(25)를 통해 수직 신호선(111)에 판독된다.
리셋 레벨의 1회째의 판독 후, 기간 (2)에 중간전압 Vmid0이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이 중간전압 Vmid0의 인가에 의해, 광전변환소자(21)의 축적 전하 Qpd의 일부 전하 Qmid0을 남기고, (Qpd-Qmid0)의 전하가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된다.
다음에 기간 (3)에,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오프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된 전하(Qpd-Qmid0)에 따른 신호 가 1회째의 신호 레벨로서 수직 신호선(111)에 판독된다.
다음에 기간 (4)에는, 2회째의 리셋 펄스 RST가 리셋 트랜지스터(23)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됨으로써 부유 확산 용량(26)이 리셋된다. 이어서, 기간 (5)에, 그 리셋 레벨이 2회째의 리셋 레벨로서 수직 신호선(111)에 판독된다.
다음에 기간 (6)에, 중간전압 Vmid1이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이 중간전압 Vmid1의 인가에 의해, 광전변환소자(21)에 남아있는 전하 Qmid0의 일부의 전하 Qmid1을 남기고, (Qpd0-Qmid1)의 전하가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된다.
다음에 기간 (7)에,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오프 전압 Voff가 인가된다. 그 결과,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된 전하(Qpd0-Qmid1)에 따른 신호가 2회째의 신호 레벨로서 수직 신호선(111)에 판독된다.
다음에 기간 (8)에는, 3회째의 리셋 펄스 RST가 리셋 트랜지스터(23)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됨으로써 부유 확산 용량(26)이 리셋된다. 이어서, 기간 (9)에, 그 리셋 레벨이 3회째의 리셋 레벨로서 수직 신호선(111)에 판독된다.
다음에 기간 (10)에, 온 전압 Von이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이 온 전압 Von의 인가에 의해, 광전변환소자(21)의 남은 전하 Qmid1이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된다.
다음에 기간 (11)에,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오프 전압 Voff이 인가된다. 그 결과, 부유 확산 용량(26)에 전송된 전하 Qmid1에 따른 신호가 3회째의 신호 레벨로서 수직 신호선(111)에 판독된다.
도 22에, TRG 구동전압(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하는 전송 펄스 TRG)과 광전변환소자(21)의 보유 전하수의 관계예로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포화 전자수 약 5,500e-의 광전변환소자(21)에, 전송 트랜지스터(22)를 온/오프하는 전압 Von/Voff의 중간전압 Vmid를 인가했을 경우의 광전변환소자(21)에 보유되는 전하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서는, 일례로서, 중간전압 Vmid를 Vmid0, Vmid1로 하고, 3분할 전송의 구동을 실행했을 경우의 보유 전하수 Qmid0, Qmid1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중간전압 Vmid의 전압값 및 중간전압 Vmid의 수를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전송 전하단위, 임의의 분할수로, 광전변환소자(21)에 축적된 전하를 전송하고, 그 전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3분할 전송의 경우에는, 중간전압 Vmid0, Vmid1이 제1 제어 전압이 되고, 온 전압 Von이 제2 제어 전압이 된다.
<n분할 전송>
여기에서는, 3분할 전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전송 동작의 분할수는 임의로 설정가능하다. 그리고, n분할(n은 2 이상의 정수)의 전송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1개의 중간전압 Vmid0, Vmid 1,……, Vmid(n-2)과, 온 전압 Von을 공급전압 제어회로(13)로부터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하여 해당 전송 트랜지스터(22)를 구동하도록 하면 된다.
n분할 전송의 경우에는, 중간전압 Vmid0∼Vmid(n-2)이 제1 제어 전압이 되고, 온 전압 Von이 제2 제어 전압이 된다.
전술한 n분할 전송에 의한 구동 하에, 화소 행마다 전하의 전송, 리셋, 화소 선택이 실행된다. 이에 따라, 단위 화소(20)로부터 리셋 레벨 및 신호 레벨의 각 신호(즉, 단위 화소(20)의 출력 신호)가 열 병렬로, 즉 화소 열 단위로 병렬적으로 수직 신호선(111)에 판독되어, 해당 수직 신호선(111)을 통해 칼럼 회로(34)에 공급된다.
분할 전송에 의한 구동법이,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게이트 전극에 중간전압 Vmid0, Vmid1을 인가하여 임의의 전하량 단위로 분할 전송하는 방식일 경우, 제1, 제2 실시예에 따른 분할 전송에 의한 구동법의 경우와는 반대로, 고휘도의 화소에서 최초에 전하 전송 및 출력이 발생하고, 저휘도의 화소에서는 최초에 전하 전송 및 출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송 가능한 최대 전하량이 결정된다. 그리고, 도 24b의 예와 같이, 예를 들면 축적된 전하량이 Qpd>Qfd4.max, 또한, Qpd<Qfd4.max+Qfd3.max을 만족하는 경우, 축적 전하 Qpd는 1회째 판독 동작, 및 2회째 판독 동작에서 전송되어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3회째 판독 동작에서는 Qfd3(=Qpd-Qfd4.max)이 전송되어 판독되고, 4회째 판독 동작에서는 Qfd4.max가 전송되어 판독된다. 또, 3회째 판독 동작과 4회째 판독 동작에서 판독된 출력 신호를 가산함으로써, 모든 축적 전하 Qpd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도 21에 나타내는 분할 전송에 의한 구동법에서는, 전송 트랜지 스터(22)의 구동전압에 따라 광전변환부(수광부)에서 보유할 수 있는 전하량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분할 전송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도 20에 기재한 예에서는, 전송 트랜지스터(22)의 구동전압으로서 중간전압 Vmid0, Vmid1을 사용함으로써, 전하 Qmid0, Qmid1을 광전변환부에 보유하고, 그것을 초과한 전하를 순차 전송하여 판독할 수 있다.
(칼럼 회로)
칼럼 회로(17)로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B)의 칼럼 회로(17)와 같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이즈 제거부(171), AD변환부(172), 신호 선택부(173), 신호 보유부(174) 및 가산부(175)로 이루어지는 회로 구성이나,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이즈 제거 기능 및 가산 기능을 가지는 AD변환부(156)로 이루어지는 회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칼럼 회로(17)는, 같은 변환 정밀도로 AD변환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1,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할 전송에 의해 판독되는 출력 신호에 대하여, AD변환부(172,176)에서 다른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5는, 3분할 전송시에 다른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행할 때의 처리의 설명도다. 이 처리는 1회째에 상대적으로 낮은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실행하고, 2회째, 3회째의 판독에 대하여 순차로 변환 정밀도를 높여가는 예다. 이와 같이, 분할 전송에 의한 n회분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의 AD변환 을 실시하여 가산함으로써, 입사광의 휘도에 따라 변환 정밀도가 변화하는 AD변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입사 휘도가 낮은 경우에는 광전변환소자(21)의 축적 전하수가 적어, 중간전압 Vmid0, Vmid1에 따라 결정되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축적 전하를 발생시키는 휘도의 경우에만 전하가 전송되기 때문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전하를 3분할하여 전송했을 경우, 보유 전하수 Qmid1을 밑도는 축적 전하가 발생하고 있을 때, 즉 입사광 휘도가 낮을 때는, 3회째의 전송 동작에서만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보유 전하수 Qmid0을 초과하는 축적 전하가 있을 때, 즉 입사광 휘도가 높을 때는, 1회째의 전송 동작부터 전하가 전송되므로 출력 신호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도가 낮을 경우에는 높은 AD변환 정밀도를 적용하고, 휘도가 높을 경우에는, 순차 낮은 AD변환 정밀도를 혼재시켜서 적용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출력 신호의 노이즈 레벨은, 입사광 휘도가 없을 경우에 회로 등에서 발생하는 다크시 노이즈와, 입사광 휘도에 따라 입사광 휘도의 제곱근의 에너지로 발생하는 광 숏 노이즈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광 휘도에 비례하는 신호 레벨에 대하여, 노이즈 레벨은, 다크시 노이즈에, 신호 레벨의 제곱근의 특성을 가지는 광 숏 노이즈를 추가한 특성을 가진다.
AD변환 정밀도, 즉 AD변환에 있어서의 최소 검지 단위는 노이즈 레벨을 밑도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저휘도에서는 높은 정밀도의 AD변환이 필요하다. 그러나 고휘도에서는 광 숏 노이즈가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출력 신호에 대해 저정밀도의 AD변환을 실시하여 AD변환의 양자화 오차를 크게 해도, 화질을 손상시키는 일이 거의 없다.
<다른 AD변환 정밀도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예>
계속해서, 도 10에 나타낸 AD변환부(156)의 구성에서, 다른 AD변환 정밀도를 설정하는 구체예에 대해, 도 2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를 N배로 크게 함으로써, 1카운트당 전압값, 즉 AD변환의 최소 검지량을 불균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회째의 판독 동작에 있어서,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를 2회째 판독 동작의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의 2배로 함으로써, 1회째의 판독 동작에 변환 정밀도가 낮은 AD변환을 적용하고 있다.
한편, 3분할 전송에 의한 각 출력 신호의 가산을 실행할 경우에는, 카운터(1562)를 동작시키는 클록 CK의 1클록에 있어서, 카운트값을 N카운트하는 것에 의해, 분할 전송된 출력 신호를 같은 가중치로 가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참조 신호 Vref를 2배의 기울기로 한 경우에는, 1클록당 2카운트를 증감함으로써, 변환 정밀도를 줄이면서 같은 가중치로 가산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굳이 카운트값을 N배로 하지 않고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를 바꾸거나 혹은 참조 신호 Vref의 기울기를 바꾸지 않고 카운트값을 N배로 하는 것 에 의해, 분할 전송된 출력 신호에 각각 임의의 가중치를 곱하여 가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광전변환소자(21)의 모든 축적 전하를 1회의 판독으로 출력할 수 없는 경우에, 분할하여 전하 전송 및 신호 출력을 행하는 CMOS 이미지센서(10C)에 있어서, n분할 전송에 의한 단위 화소(2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실시하여 가산한다. 이로써,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AD변환의 실행 시간(변환 속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AD변환부(152,156)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C)에서는 도 20 내지 도 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전압 Vmid0, Vmid1을 사용한 분할 전송에 의한 구동법을 사용함으로써, 고휘도인 경우에 발생하는 축적 전하는 이전의 판독 동작에서 전송 및 출력되고, 저휘도인 경우에 발생하는 축적 전하는 나중의 판독 동작에서만 전송 및 출력된다. 이 때문에, 도 27에 예시하는 것 같이, 이전의 판독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 대하여, 보다 변환 정밀도가 낮은 AD변환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AD변환의 고속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하고 있다.
[고변환 효율]
이상 설명한 제1∼제3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A∼10C)에 있어서, 부유 확산 용량(26)에서의 전하전압 변환효율을 높이기 위해, 광전변환소자(21)로부터 신호 전하가 전송되는 부유 확산 용량(전하전압 변환부)(26)의 기생 용량(FD용량)을 미소화, 구체적으로는, 부유 확산 용량(26)이 취급할 수 있는 최대 전하량이 광전변환소자(21)에 축적 가능한 최대 전하량보다도 작아지도록 기생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부유 확산 용량(26)의 기생 용량을 작게 하는 등으로 전하전압 변환효율을 높임으로써,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에 대한 랜덤 노이즈나 고정 패턴 노이즈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또한, 전하전압 변환효율을 높임으로써, 1회의 판독으로 출력할 수 없는 축적 전하를 분할 전송하는 CMOS 이미지센서(10A∼10C)에 있어서, 저휘도의 영역에 높은 변환 정밀도의 AD변환을 적용하고, 광 숏 노이즈가 지배적인 노이즈 성분이 되는 고휘도의 영역에서 고속이지만 낮은 변환 정밀도의 AD변환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AD변환의 고속화·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광전변환소자(21)의 전하를 하나의 전송 트랜지스터(22)에 의해 공통의 부유 확산 용량(26)으로 분할 전송하고, 공통의 수직 신호선(111)에 순차 판독하는 구성의 단위 화소(20)를 가지는 CMOS 이미지센서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하다.
(변형예 1)
도 28은, 변형예 1에 따른 단위 화소(20A)의 화소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다. 도면 중, 도 2와 동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 1에 따른 단위 화소(20A)는, 증폭 트랜지스터(24)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선택 트랜지스터(25)의 드레인 전극과 전원 사이에 전류원(31)을 접속하고, 선택 트랜지스터(25)의 드레인 노드로부터 출력 신호 Vout를 도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단위 화소(20A)에 있어서, 부유 확산 용량(26)에서의 전하전압변환의 변환 효율은, 부유 확산 용량(26)과 수직 신호선(111) 사이의 기생 용량의 용량값 Ci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 기생 용량의 용량값 Ci를 부유 확산 용량(26)의 용량값 Cfd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전하전압변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부유 확산 용량(26)의 최대 축적 전하량을 Qfd.max, 기생 용량Ci의 최대 축적 전하량을 Qi.max로 했을 경우, 고변환 효율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Qi.max<Qfd.max가 조건이 된다. 이 때문에, 최대 축적 전하량 Qfd.max 보다도 작은 최대 축적 전하량 Qi.max를 단위로 하여 광전변환소자(21)의 축적 전하 Qpd를 분할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전하전압 변환효율이 높거나 또는 전압증폭률이 높은 단위 화소(20A)를 가지는 CMOS 이미지센서는, S/N에 있어서 유리한 반면, 1회의 판독으로 출력할 수 있는 전하량에 제한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 단위 화소(20A)를 가지는 CMOS 이미지센서에 대하여, 전술한 분할 전송을 적용하고, 광전변환소자(21)의 전하를 임의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광전변환소자(21)에서 발생한 모든 전하를, 판독 회로의 출력 범위에 따라 효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8에 나타내는 단위 화소(22A)의 예에서는, 리셋시의 전하전압 변환부(부유 확산 용량(26))의 전압을 판독 회로의 동작점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분할 전송을 적용함으로써, 전하전압 변환부의 전위에 의존하지 않고 분할 전송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29는, 변형예 2에 따른 단위 화소(20B)의 화소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다. 도면 중, 도 2와 동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 2에 따른 단위 화소(20B)는, 증폭 트랜지스터(24) 대신에, 부유 확산 용량(26)과 선택 트랜지스터(25) 사이에 반전 증폭회로(27)를 접속하는 동시에, 해당 반전 증폭회로(27)에 대하여 리셋 트랜지스터(23)를 병렬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전 증폭회로(27)를 화소 내에 갖게 함으로써, 신호 레벨을 증폭하고, S/N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전 증폭회로(27)를 화소 내에 가지는 단위 화소(20C)를 포함하는 CMOS 이미지센서에서는, 반전 증폭회로(27)의 증폭률을 -A로 하면, 부유 확산 용량(26)에 최대 축적 전하량 Qfd.max이 전송되었을 때의 출력 전압 Vout의 진폭 -A·Qfd.max/Cfd가, 출력 전압 Vout의 출력 가능범위 ΔVout.pp를 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모든 전하를 신호 출력하기 위해, 부유 확산 용량(26)의 최대 축적 전하량 Qfd.max보다도 작은 전하 Qmid(<Qfd.max)를 최대로 한 전하량의 단위로 분할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 단위 화소(20B)를 가지는 CMOS 이미지센서에 대하여, 전술한 분할 전송을 적용하고, 광전변환소자(21)의 전하를 임의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광전변환소자(21)에서 발생한 모든 전하를, 출력 전압 Vout의 출력 가능범위 ΔVout.pp에 따라 효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가시광의 광량에 따른 신호 전하를 물리량으로서 검지하는 단위 화소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CMOS 이미지센서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이 CMOS 이미지센서로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화소 어레이부의 화소 열마다 칼럼 회로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칼럼 방식의 고체촬상장치 전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광선의 입사광량의 분포를 검지하여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고체촬상장치로의 적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적외선이나 X선 혹은 입자 등의 입사량의 분포를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고체촬상장치나, 광의의 의미로서, 압력이나 정전용량 등, 다른 물리량의 분포를 검지하여 화상으로서 촬상하는 지문검출 센서 등의 고체촬상장치(물리량 분포 검지 장치) 전반에 대하여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화소 어레이부의 각 단위 화소를 행 단위로 순차적으로 주사하여 각 단위 화소로부터 화소신호를 판독하는 고체촬상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화소 단위로 임의의 화소를 선택하고, 해당 선택 화소로부터 화소 단위로 신호를 판독하는 X-Y어드레스형의 고체촬상장치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이때, 고체촬상장치는 원칩으로서 형성된 형태여도 좋고, 촬상부와, 신호 처리부 또는 광학계가 한꺼번에 패키징 된 촬상 기능을 가지는 모듈 형상의 형태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촬상장치에 대한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촬상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여기에서, 촬상장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 시스템이나, 휴대전화기 등의 촬상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말한다. 이때,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상기 모듈 형상의 형태, 즉 카메라 모듈을 촬상장치로 하는 경우도 있다.
[촬상장치]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50)는, 렌즈 군(51)을 포함하는 광학계, 고체촬상장치(52), 카메라 신호 처리 회로인 DSP회로(53), 프레임 메모리(54), 표시장치(55), 기록 장치(56), 조작계(57) 및 전원계(58) 등을 가진다. 또한 DSP회로(53), 프레임 메모리(54), 표시장치(55), 기록 장치(56), 조작계(57) 및 전원계(58)가 버스 라인(59)을 통해 서로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렌즈군(51)은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화상광)을 입력하여 고체촬상장치(52)의 촬상면 위에 결상한다. 고체촬상장치(52)는, 렌즈군(51)에 의해 촬상면 위에 결상된 입사광의 광량을 화소 단위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화소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고체촬상장치(52)로서, 전술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가 이용된다.
표시장치(55)는 액정표시장치나 유기EL(electro luminescence) 표시장치 등의 패널형 표시장치로 이루어진다. 표시장치(55)는 고체촬상장치(52)로 촬상된 동영상 또는 정지 화상을 표시한다. 기록 장치(56)는, 고체촬상장치(52)로 촬상된 동영상 또는 정지 화상을, 비디오 테이프나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조작계(57)는, 유저에 의한 조작 하에, 본 촬상장치가 가지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해 조작 지령을 발한다. 전원계(58)는, DSP회로(53), 프레임 메모리(54), 표시장치(55), 기록 장치(56) 및 조작계(57)의 동작 전원이 되는 각종 전원을, 이들 공급 대상에 대하여 적절히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 또한 휴대전화기 등의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모듈 등의 촬상장치에 있어서, 그 고체촬상장치(52)로서 전술한 제1∼ 제3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10A∼10C)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CMOS 이미지센서(10A∼10C)에서는 화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AD변환 속도를 단축할 수 있는 동시에, AD변환부에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장치로서의 처리 속도의 고속화 및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이나 그 동등 범위 내에 있는 한 설계 요구나 다른 요소에 따라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 조합,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당연하게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위 화소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단위 화소의 회로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단위 화소의 회로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다.
도 5는 4분할로 분할 전송을 행할 경우의 리셋 펄스 RST와 전송 펄스 TRG의 타이밍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6은 4분할 전송에 있어서의 입사광 휘도가 높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에너지도다.
도 7은 4분할 전송에 있어서의 입사광 휘도가 낮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에너지도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신호 처리 회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신호 처리 회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노이즈 제거 기능과 가산 기능을 가지는 AD변환부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도 11은 같은 변환 정밀도로 실행하는 AD변환 처리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 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12는 다른 변환 정밀도로 실행하는 AD변환 처리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13은 최대 축적 전하량을 10,000 전자로 했을 경우의, 입사광 강도와 판독된 신호의 노이즈 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칼럼 회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칼럼 회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공급전압 제어회로의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다.
도 19는 공급전압 제어회로의 입출력의 타이밍 관계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20은 3분할 전송의 경우의 구동 타이밍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다.
도 21은 3분할 전송의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에너지도다.
도 22는 TRG구동전압과 광전변환소자의 보유 전하수의 관계예로서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n분할 전송의 경우의 구동 타이밍 예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다.
도 24a 및 24b는 광전변환부가 취급할 수 있는 최대 전하량 Qpd.max와 각 분할 전송의 최대값 Qfd.max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3분할 전송시에 다른 변환 정밀도로 AD변환을 행할 때의 처리의 설명도다.
도 26은 입사광 휘도에 비례하는 신호 레벨과 노이즈 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다.
도 27은 다른 AD변환 정밀도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예의 설명도다.
도 28은 변형예 1에 따른 단위 화소의 화소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다.
도 29는 변형예 2에 따른 단위 화소의 화소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다.
도 31은 종래 기술의 단위 화소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다.

Claims (13)

  1. 광신호를 신호 전하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광전변환부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소자와,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 전하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와,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에 상기 광전변환부에 축적되고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적어도 2회로 분할되어 전송된 상기 신호 전하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판독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복수로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복수로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가산 처리를 행하는 가산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 전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하전압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하전압 변환부에 의해 취급되는 최대 전하량이 상기 광전변환부에 축적 가능한 최대 전하량보다도 작아지도록 기생 용량이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광전변환부에 축적된 신호 전하의 일부를 상기 광전변환부에 보유하면서, 보유된 전하량을 초과한 축적 전하를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전송하는 제어 전압을 상기 전송 소자에 적어도 1회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은, 입사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한 전하 전송이 발생하지 않을 때에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대해서 보다는,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한 전하 전송이 발생할 때에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대해서 더 높은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은,
    상기 복수의 각 신호를 참조 신호와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으로부터 얻은 비교 결과에 따른 카운트값만큼 카운트 동작을 행하는 카운트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은, 상기 참조 신호의 기울기를 N배로 하고, 상기 카운트 수단의 카운트값을 N배로 함으로써, 변환 정밀도를 1/N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수단은, 상기 비교 수단으로부터 얻은 비교 결과에 따른 카운트값만큼 업 카운트 또는 다운 카운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한 업 카운트 또는 다운 카운트에 따라,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얻어지는 리셋 레벨과 신호 레벨의 차분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한 카운트 동작에 따라,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복수로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한 가산 처리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와 병행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11. 광신호를 신호 전하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광전변환부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소자와,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전송된 신호 전하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단위 화소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와,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에 상기 광전변환부에 축적되고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적어도 2회로 분할되어 전송된 상기 신호 전하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판독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고체촬상장치가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복수로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입사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한 전하 전송이 발생하지 않을 때에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대해서 보다는,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한 전하 전송이 발생할 때에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대해서 더 높은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13. 광신호를 신호 전하로 변환하는 광전변환부와, 상기 광전변환부에서 광전변환된 신호 전하를 전송하는 전송 소자와,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전송된 상기 신호 전하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가 행렬 모양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고체촬상장치와,
    입사광을 상기 고체촬상장치의 촬상면 위에 결상 하는 광학계를 구비하고,
    상기 고체촬상장치는,
    1단위의 축적기간 동안에 상기 광전변환부에 축적되고 상기 전송 소자에 의해 적어도 2회로 분할되어 전송된 상기 신호 전하를 상기 출력 수단을 통해 판독하 는 구동 수단과,
    상기 단위 화소로부터 복수로 분할하여 판독된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변환 정밀도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80034045A 2007-04-23 2008-04-14 고체촬상장치,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촬상장치 KR101461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12651 2007-04-23
JP2007112651A JP4389959B2 (ja) 2007-04-23 2007-04-23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77A true KR20080095177A (ko) 2008-10-28
KR101461150B1 KR101461150B1 (ko) 2014-11-13

Family

ID=3987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045A KR101461150B1 (ko) 2007-04-23 2008-04-14 고체촬상장치,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촬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59178A1 (ko)
JP (1) JP4389959B2 (ko)
KR (1) KR101461150B1 (ko)
CN (1) CN101296304B (ko)
TW (1) TWI3860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498A1 (ko) * 2017-02-20 2018-08-23 (주)픽셀플러스 픽셀의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cmos 이미지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1750B2 (ja) * 2005-03-29 2010-07-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検出装置および認証装置
JP4054839B1 (ja) * 2007-03-02 2008-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JP4661912B2 (ja) 2008-07-18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374110B2 (ja) 2008-10-22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センサ及び撮像装置
JP5375277B2 (ja) * 2009-04-02 2013-12-2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撮像装置、電子機器、ad変換装置、ad変換方法
JP5269735B2 (ja) 2009-10-08 2013-08-21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CN102273188B (zh) * 2009-11-06 2013-07-3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拍摄装置
JP5537172B2 (ja) 2010-01-28 2014-07-02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5507309B2 (ja) 2010-03-30 2014-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信号処理方法及び固体撮像装置
JP2011250554A (ja) * 2010-05-26 2011-12-08 Sony Corp 電源回路、集積回路装置、固体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55111B2 (ja) * 2011-11-14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2013207433A (ja) * 2012-03-28 2013-10-07 Sony Corp 固体撮像装置、撮像信号出力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826969B2 (ja) * 2013-04-18 2015-12-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素子、撮像装置、内視鏡、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撮像素子の駆動方法
WO2015111398A1 (ja) * 2014-01-21 2015-07-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9426395B2 (en) 2014-03-25 2016-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calibrating knee-point and logarithmic slope in linear-logarithmic image sensors
US9531976B2 (en) * 2014-05-29 2016-12-2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image sensor pixels having different sensitivities and shared charge storage regions
JP6587497B2 (ja) * 2014-10-31 2019-10-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2016092661A (ja) 2014-11-07 2016-05-2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9521351B1 (en) 2015-09-21 2016-12-13 Rambus Inc. Fractional-readout oversampled image sensor
KR20170038981A (ko) * 2015-09-30 2017-04-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싱 장치
CN108881906B (zh) * 2017-05-15 2021-03-19 北京大学 一种图像重构方法及装置
JP7039236B2 (ja) 2017-09-29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逐次比較型ad変換器、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移動体
CN113141444B (zh) * 2020-01-19 2023-08-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传感器、成像装置、电子设备、图像处理系统及信号处理方法
JP2022007152A (ja) * 2020-06-25 2022-01-1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光検出装置および測距システム
JP2023039319A (ja) * 2021-09-08 2023-03-20 株式会社テックイデア イメージセンサ及びイメージセンシング方法
WO2023123302A1 (en) * 2021-12-31 2023-07-06 Shenzhen Xpectvision Technology Co., Ltd. Imaging methods using bi-directional counter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541A (en) * 1996-09-10 1999-04-06 Foveonics, Inc.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an array of active pixel sensor cells
US6850278B1 (en) * 1998-11-27 2005-02-01 Canon Kabushiki Kaisha Solid-state image pickup apparatus
US6188347B1 (en) * 1999-07-12 2001-02-13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Analog-to-digital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sparkle codes
JP2001245213A (ja) * 2000-02-28 2001-09-07 Nikon Corp 撮像装置
US6750437B2 (en) * 2000-08-28 2004-06-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that suitably adjusts a focus
US7075049B2 (en) * 2003-06-11 2006-07-11 Micron Technology, Inc. Dual conversion gain imagers
US7026596B2 (en) * 2003-10-30 2006-04-11 Micron Technology, Inc. High-low sensitivity pixel
US7443437B2 (en) * 2003-11-26 2008-10-28 Micron Technology, Inc. Image sensor with a gated storage node linked to transfer gate
JP4107269B2 (ja) * 2004-02-23 2008-06-2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US7978245B2 (en) * 2004-06-24 2011-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or balance in a digital imaging device
JP4193768B2 (ja) * 2004-07-16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物理量分布検知の半導体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513497B2 (ja) * 2004-10-19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306603B2 (ja) * 2004-12-20 2009-08-05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2006197392A (ja) * 2005-01-14 2006-07-27 Canon Inc 固体撮像装置、カメラ、及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4979195B2 (ja) * 2005-02-21 2012-07-1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4855704B2 (ja) * 2005-03-31 2012-01-18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KR100736364B1 (ko) * 2005-05-03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이득 보정기능을 갖는 이미지 센서 및 램프이득 보정방법
JP4620544B2 (ja) * 2005-08-10 2011-01-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2007053634A (ja) * 2005-08-18 2007-03-01 Sony Corp 撮像装置、欠陥画素補正装置および方法
US20070236590A1 (en) * 2006-03-31 2007-10-1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Output auto-zero for CMOS active pixel sensors
US8026966B2 (en) * 2006-08-29 2011-09-2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a storage gate pixel with high dynamic range
US7768562B2 (en) * 2006-10-10 2010-08-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imager vertical binning and scaling using column parallel sigma-delta digital convers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498A1 (ko) * 2017-02-20 2018-08-23 (주)픽셀플러스 픽셀의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cmos 이미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6304B (zh) 2010-12-08
KR101461150B1 (ko) 2014-11-13
CN101296304A (zh) 2008-10-29
JP4389959B2 (ja) 2009-12-24
TWI386045B (zh) 2013-02-11
US20080259178A1 (en) 2008-10-23
JP2008271279A (ja) 2008-11-06
TW200849985A (en)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177A (ko) 고체촬상장치, 고체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촬상장치
JP5167677B2 (ja)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固体撮像装置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US9986178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a solid-state image pickup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9615044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461155B1 (ko) 고체 촬상장치, 고체 촬상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 및촬상장치
KR101358948B1 (ko) 고체 촬상 장치,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시스템의 구동방법
JP5034610B2 (ja)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US8462243B2 (en)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method for reading signal of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8797440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US8941753B2 (en) Imaging apparatus
US20150319393A1 (en) Imaging element, control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US10523882B2 (en) Ad converter, signal processing method,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10014089A (ko) 고체 촬상 장치, 고체 촬상 장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방법 및 전자기기
CN1783957A (zh) 固体摄像器件
KR20080107295A (ko) A/d 변환 회로, a/d 변환 회로의 제어 방법, 고체 촬상장치 및 촬상 장치
US10368026B2 (en) Solid-state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2013187727A (ja) 固体撮像装置
JP2010109607A (ja) 固体撮像装置
WO2013128831A1 (ja) 固体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