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121A - 주출구 - Google Patents

주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121A
KR20080091121A KR1020087015852A KR20087015852A KR20080091121A KR 20080091121 A KR20080091121 A KR 20080091121A KR 1020087015852 A KR1020087015852 A KR 1020087015852A KR 20087015852 A KR20087015852 A KR 20087015852A KR 20080091121 A KR20080091121 A KR 20080091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linder portion
inner cylinder
opening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762B1 (ko
Inventor
미키오 이시모토
야스히로 이우치
Original Assignee
시코쿠 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코쿠 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코쿠 가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00Hand- or power-operated devices for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7/24Hole-piercing devices
    • B67B7/26Hole-piercing devices combined with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할 때에 액 누설이 없고, 거의 마지막까지 주출할 수 있는 재개봉가능한 덮개 부착 주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단에 개구를 가져 용기를 개봉함과 동시에 용기내에 삽입할 수 있는 직은 직경의 내통부(하측)과, 추출 개구를 가져 용기밖으로 위치되는 큰 직경의 외통부(상측)이 연통 상태로 고착되어 있는 추출구 본체와, 상기 외통부의 주출 개구부 부근에 힌지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상기 주출 개구를 폐지·재개봉할 수 있는 덮개를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하며,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의 둘레면에 용기내의 액체를 마지막까지 추출하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며, 덮개의 개봉시에 용기 내면측으로부터 용기의 벽면에 맞닿아 추출구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돌조를 통광 상방에 설치하며, 외통부 하단의 용기와의 맞닿은 면을 10~45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한다.
주출구 본체, 덮개, 내통부, 외통부, 힌지

Description

주출구{EXTRACTION TOOL}
본 발명은 우유 등의 액체 음료, 면 국물 등의 액체 조미료, 유동 식품 등이 밀봉 포장된 용기를 개봉하여 직접 음식 또는 주출(EXTRACTION)하기 위한 주출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성(再封性)이 있어 마시고 남은 내용물을 보존할 수 있고, 음료 이외의 면 국물, 만두의 국물 등과 같은 상품을 충전하는데 적합한 밀봉 용기로서, 주출 파이프 및 파이프 차입공(insertion hole)을 갖는 밀봉 용기에 있어서, 파이프를, 이것이 파이프 차입공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유지 부재가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 부재의 선단에 플랜지가 설치되며, 플랜지가 파이프 차입공의 주연부 외면에 고착되어 있으며, 유지 부재 내에 격벽이 횡단형으로 설치되며, 격벽에 파이프 유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 부재의 후단부에 캡이 착탈가능하게 씌워져 있는 밀봉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선단측에 용기를 개봉함과 동시에 용기 내에 삽입되는 내통부(內筒部)가 형성되고, 후단측에 용기 밖에 위치되는 외통부(外筒部)가 형성된 통형상 주출구 본체로 이루어지며, 내통부의 후단측 외주연에 용기 내면 측으로부터 용기의 정 벽(頂壁)을 향하여,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홈 형성면이 형성되며, 외통부의 선단측 외주연에 용기 외면측으로부터 용기의 정벽을 향하는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맞닿은 면(당접면;abutting face)이 형성되며, 홈 형성면과 맞닿은 면에 의해 지지홈이 형성되며, 내통부에는 통공이 형성된 스트로(straw)나, 이 스트로의 용기 내에 위치하는 내통부를 이중관으로서, 이 이중관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통공을 개폐함으로써 재봉성을 갖게 한 스트로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1]특개 2001-199464호 공보
[특허 문헌2]특개 2002-249172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기재의 종래 공지된 파이프는 유지 부재에 의해 용기에 확실하게 유지되지만, 유지 부재는 그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에 의해 파이프 차입공의 주연부 외면에 고착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부재 내에 격벽이나 파이프 유지공을 횡단형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어 밀봉 용기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특허 문헌 2기재의 종래 공지된 스트로는 스트로의 내통부를 이중관으로하여 재봉성을 갖는 것으로부터, 용기 내에 위치하는 이중관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그때마다 스트로를 용기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었다. 스트로의 용기로의 설치, 분리를 반복하면, 스트로 삽입공과 지지홈 간의 지지 상태가 악화되어, 스트로를 그 지지홈에 의해 용기에 위치를 결정하려고 하여도 확실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없거나, 내용물을 주출할 때, 지지홈과 스트로 삽입공의 사이로부터 내 용물이 새버리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공지된 스트로는 지지홈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를 개봉해서 스트로를 용기 내에 삽입할 때, 용기의 스트로 삽입공은 적어도 스트로의 두께(지지홈이 칼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칼라(collar)의 직경)분 만큼만 펴서 넓힐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스트로를 그 지지홈에 의해 용기에 위치를 결정하려고 해도 확실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없어, 주출구가 흔들리거나, 내용물을 주출할 때, 지지홈과 스트로 삽입공의 사이로부터 내용물이 새버리는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용기의 개봉부 (스트로 삽입공)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할 때에 액 누설이 없으며, 거의 마지막까지 주출할 수 있으며, 재개봉가능하고 또한 위생적인 덮개 부착 주출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심히 연구한 결과 용기를 개봉함과 동시에 용기 내에 삽입되는 내통부와, 용기 밖에 위치하는 외통부가 연통 상태에서 고착되어 있는 주출구 본체를 구비하며, 외통부의 주출 개구부 부근에 힌지를 개재해서 연결되며, 상기 주출 개구를 폐지·재개봉할 수 있는 덮개를 일체형으로 성형한 주출구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상측(외통부 근처)의 둘레면(周面)에 용기 내의 액체를 마지막까지 주출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재개봉가능하며 또한, 위생적인 덮개 부착 주출구로 함으로써, 용기의 개봉부 (스트로 삽입공)에 간편하게 밀접 장착할 수 있으며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할 때에 액 누설 외에 맥동, 액이 튀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액이 잘 빠져 거의 마지막까지 주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외통부 하단(내통부 근처)의 용기와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된 본 발명의 주출구에 의하면, 특히 정벽이 평면(flat) 용기의 경우, 주출구의 외통부가 용기 정벽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장착되므로, 내용물의 주출시 특히 컵 등으로의 주출이 용기를 조금 경사지게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적어도 통공의 상방의 내통부 외주면에 돌조, 예를 들면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全周面)의 연속한 칼라형(collar-like) 돌조 또는, 내통부의 둘레면의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 또는, 통공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은 둘레 방향의 폭을 갖는 짧은 돌조를 설치함으로써, 덮개의 개봉시에 용기 내면측으로부터 용기의 벽면으로 돌조가 맞닿아 주출구 본체가 흔들릴 일이 없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1)용기를 개봉함과 동시에 용기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작은 직경의 내통부(하측)과, 주출 개구를 가져 용기 밖에 위치되는 큰 직경의 외통부(상측)가 연통 상태로 고착되는 주출구 본체와, 상기 외통부의 주출 개구부 부근에 힌지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상기 주출 개구를 폐지·재개봉할 수 있는 덮개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성형된 주출구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상측(외통부 근처)의 둘레면에 용기 내의 액체를 마지막까지 주출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 통공이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외통부 근처)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주출구나, (3) 내통부가, 선단을 향해서 그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기재의 주출구나, (4) 테이퍼 각도가 0.5∼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기재의 주출구나, (5) 내통부가 최대 외경 8∼1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6) 내통부의 선단이 그 축선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진 선단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7) 내통부의 선단이 그 축선과 직행하는 면에 대해서 측면에서 보아 30∼40도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선단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 기재의 주출구나, (8) 외통부의 하단 외주연부에 칼라형의 지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7)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9) 외통부의 상부 외주연부에 칼라형의 힌지 연결용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8)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10) 외통부 하단(내통부 근처)의 용기와의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하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9)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11)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20∼30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기재의 주출구나, (12) 최소한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의 외주면에서 또한 통공보다 상방 레벨의 위치에 덮개의 개봉시에 용기 내면측으로부터 용기의 벽면에 맞닿아 주출구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돌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1)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13) 높이 0.4∼0.6mm의 돌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2) 기재의 주출구나, (14) 돌조가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으로부터 4∼5mm에 돌조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3)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15) 돌조가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에 연속한 칼라형 돌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4)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16) 연속한 칼라형 돌조가,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과 평행 또는 전방을 향해서 맞닿은 면과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기재의 주출구나, (17) 연속한 칼라형 돌조가 최상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 하단부가 최하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 상단부보다 상방 레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또는 (16)기재의 주출구나, (18) 돌조가 내통부의 둘레면에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4)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19) 불연속의 칼라형 돌조가 불연속 개소에 있어서 스크류(screw)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8) 기재의 주출구나, (20) 돌조가 통공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은 둘레 방향의 폭을 갖는 짧은 돌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4)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21) 짧은 돌조가 통공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은 둘레 방향 3∼5mm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0) 기재의 주출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2) 외통부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가 제1 힌지와 제2 힌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힌지는 외통부의 상단부 후방과 덮개의 하단부 후방을 연결하고, 그 전후 방향 중앙부에 얇은 힌지를 갖는 좌우 한 쌍의 힌지로서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는 한 쌍의 제1 힌지의 사이에 한 쌍의 대항 V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21)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나, (23)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22)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4) 상기(1)∼(23)중 어느 기재의 주출구가 부착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개봉부를 갖는 액체 용기나, (25) 용기가 양면에 플라스틱 층을 갖는 1장의 종이 주체 적층체제 용기 소재를 통형상으로서 그 양단부를 접어 닫음으로써 의해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으로 형성된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4) 기재의 액체 용기나, (26) 주출구 용기 밖에 위치되는 큰 직경의 외통부 하단(내통부 근처)의 용기와의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서 후방을 향하여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4) 또는 (25) 기재의 액체 용기나, (27) 액체 용기의 정벽에 설치된 원형(진원)의 개봉부의 직경이, 상기 주출구 용기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좁은 길이의 내통부의 최대 외부 크기(outer size)(직경)보다 1∼3mm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4)∼(26)중 어느 기재의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연속한 칼라형 돌조를 갖는 본 발명의 주출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연속한 칼라형 돌조를 갖는 본 발명의 주출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출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연속한 칼라형 돌조를 갖는 주출구 용기로의 장착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불연속의 칼라형 돌조를 갖는 본 발명의 주출구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다른 불연속의 칼라형 돌조를 갖는 본 발명의 주출구를 도시한 배면도.
도 8은 다른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를 갖는 본 발명의 주출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다른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를 갖는 본 발명의 주출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짧은 돌조를 갖는 본 발명의 주출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짧은 돌조를 갖는 본 발명의 주출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AA 단면도.
도 13은 짧은 돌조를 갖는 주출구 용기로의 장착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출구가 장착되는 용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부호의 설명]
1 주출구
2 주출구 본체
3 외통부
4 내통부
5 힌지
6 덮개
7 용기
21 지지홈
22 불연속 개소
23 통공
24 선단 개구
31 지지 플랜지
32 맞닿은 면
33 주출부
34 외향 돌출조
35 연결 플랜지
41 연속 칼라형 돌조
42 홈형성면
43 접속부
44 불연속 칼라형 돌조
45 스크류형
46 스크류편
47 짧은 돌조
48 정면 (짧은 돌조의)
49 하측 둘레면 (짧은 돌조의)
51 제1 힌지
52 제2 힌지
53 얇은 힌지
61 천판(top plate)
62 주벽
63 내벽
64 내향 돌출조
65 적편 (picking pice)
71 정벽
72 배면벽
73 좌측벽
74 상부 삼각 에지부(上三角耳)
75 상부 가로 씰부(upper lateral seal part)
76 세로 씰부
77 개봉부
78 주연 (周緣)
79 절단편
본 발명의 주출구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주출구의 전후는 도 1, 도 8 및 도 10의 좌우 방향을 가리키고, 상하는 도 1및 도 6의 상하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덮개의 전후는 덮개가 주출구를 닫은 상태(도 4 및 도 12의 일점쇄선)에 있어서 도 4 및 도 12의 좌우 방향을 가리키고, 상하는 덮개가 주출구를 닫은 상태(도 4 및 도 12의 일점쇄선)에 있어서 도 4 및 도 12의 상하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출구로서는 용기를 개봉함과 동시에 용기 내에 삽입할 수 있는 작은 직경의 내통부(하측)와, 주출 개구를 가져 용기 밖에 위치하는 큰 직경의 외통부 (상측)가 연통 상태에서 고착되어 있는 주출구 본체와, 상기 외통부의 주출 개구부 부근에 힌지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상기 주출 개구를 폐지·재개봉할 수 있는 덮개를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한 주출구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상측(외통부 근처)의 둘레면에 용기 내의 액체를 마지막까지 주출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통공이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외통부 근처)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가 용기 내의 액체를 마지막까지 확실하게 주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주출구 본체의 하측 부분을 형성하는 내통부로서는, 중공 원주형의 통체로서도 좋지만, 용기 개봉부로의 삽입을 스무스 하도록 하기 위해 선단을 향해서 그 외경이 약간 작아지는 테이퍼 형의 통체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내통부의 테이퍼 각도는 그 축선에 대하여 약 0.5∼10도가 바람직하며, 약 0.5∼5도가 더욱 바람 직하고, 약 0.5∼3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내통부의 최대 외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11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액체 용기의 정벽에 설치된 원형(진원)의 개봉부의 직경 보다도 1∼3mm, 특히 2mm정도 크게 해 두면, 주출구를 장착했을 때에 내통부 상단이 용기 개봉부에 밀접하게 사이에 끼워져 내통부 상단과 용기 개봉부 사이의 간극이 없어, 주출시에 용기 개봉부로부터의 액 누설을 없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통부의 선단이 그 축선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 바람직하게는 측면에서 보아 30∼40도 경사진 선단 개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에서 보아 30∼40도 경사진 선단 개구를 갖고 있다면, 주출구를 장착하는 용기의 개봉부(이른바 스트로 공)를 개봉하기 쉽고, 또한, 내통부의 선단이 그 축선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서 하향 경사져 있으면, 통공이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의 전방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용기의 개봉시에 형성되는 개봉부의 절단편의 대부분이 통공의 반대측에 형성되므로, 내용물의 주출시에 절단편이 통공을 막을 일이 없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주출구 본체의 상측 부분을 형성하는 외통부는 상단에 주출 개구를 갖고 있다. 주출 개구의 직경으로서는 10∼12mm가 바람직하다. 이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주출 개구는 짧은 통형상 주출부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짧은 통형상 주출부의 외주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외향 돌출조를 설치하는 것이 후술하는 덮개의 내향 돌출형과 이 외향 돌출조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덮개의 폐지 상태를 액밀(liquid-tight)로 유지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 외통부로서는 외통부 하단(내통부 근처)의 용기와의 맞닿은 면의 면적을 넓게 하고, 용기에 장착한 주출구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외통부의 하단 외주연부에 칼라형의 지지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통부 상단의 상기 짧은 통형상 주출부의 바로 아래에 힌지 연결용의 칼라형의 연결 플랜지를 형성하여 두는 것이 폐지 상태의 덮개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연결 플랜지와 지지 플랜지와의 사이에 적당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복수개의 리브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외통부 하단의 용기와의 맞닿은 면을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행하는 면에 대하여 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θ, 바람직하게는 10∼45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도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특히 정벽이 평면인 용기의 경우 주출구의 외통부가 용기 정벽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장착되므로 내용물의 주출 때 특히 컵 등으로의 주출이 용기를 조금 경사지게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덮개의 개봉시에 용기 내면측으로부터 용기의 벽면에 맞닿아 주출구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최소한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의 외주면에서 또한 통공보다 상방 레벨의 위치에 돌조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통공이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최소한 통공의 상방의 내통부 외주면에 돌조가 설치되는,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된다. 돌조의 내통부 외주면으로부터의 높이는 0.3∼1.0mm가 적합한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특히,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이 소정 각도 θ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내통부의 선단이 개봉부를 돌파하여 내통부가 용기 내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갈 때에, 개봉부의 전후 방향은 (내통부의 약 최대 외경+돌조의 높이)만큼 개봉되지만,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의 최하방 레벨이 되고 있는 부분(후방 부분)에 접촉하게 되면, 주출구는 맞닿은 면이 용기의 정벽에 따르도록 그 축선을 경사지게 하기 시작하고, 개봉부의 주위 에지의 일부를 용기 내로 안내하여 최종적으로 용기의 개봉부의 전후 방향은 (내통부의 최대 외경/cosθ)만큼 펴서 넓힐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내통부의 최대 외경이 10mm, 경사각θ가 25도인 경우, 최종적으로 용기의 개봉부의 전후 방향은 11mm정도 펴서 넓힐 수 있어, 돌조의 높이가 0.4∼0.6mm정도이면, 돌조에 의해 여분이 개봉된 부분은 흡수됨으로써 주출시에 돌조를 설치한 것에 의한 개봉부로부터의 액 누설은 생기지 않는다. 돌조는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으로부터 4∼5mm 및/또는 맞닿은 면의 최하방 레벨이 되고 있는 부분과 상하 방향 동 레벨에 돌조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맞닿은 면으로부터 돌조의 상단까지의 거리가 지나치게 작으면, 돌조가 개봉부 주위 에지에 가해지는 손상이 크게 되거나, 개봉부 주위 에지가 완전히 돌조를 타고 넘을 수 없게 액 누설이 생기며, 또한 이 거리가 지나치게 크면, 주출구 본체를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없다.
다음에, 최소한,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의 외주면에서 또한 통공보다 상방 레벨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통공의 상방의 내통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돌조의 형태로서는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의 연속한 칼라형 돌조 또는, 내통부의 둘레면이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 또는, 통공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은 둘레 방향의 폭을 갖는 짧은 돌조를 구체적으로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어느쪽 형태의 돌조이어도, 돌조를 갖는 내통부를 용기 개봉부에 스무스하게 삽입하기 위해, 돌조의 측 둘레면이나 하방 부분을 하방으로 향해서 직경이 축소되게 테이퍼 형으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조가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에 연속한 칼라형 돌조로서 형성되는 경우, 연속한 칼라형 돌조가,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과 평행 또는 전방을 향해서 맞닿은 면과의 거리가 넓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상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 하단부가 최하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 상단부보다 상방 레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내통부를 삽입해 갈 때에 최상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측 둘레면과 최하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측 둘레면 동시에 개봉부 주위 에지에 맞닿지 않고 개봉부 주위 에지의 펴서 펼칠 수 있는 개구 면적을 최소한으로 남김으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 연속한 칼라형 돌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외통부의 맞닿은 면과 대향하는 칼라형 돌조의 상단면은 맞닿은 면과 협동해서 지지홈을 형성하는 홈 형성면이 된다. 지지홈이 형성됨으로써 주출구 용기로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보다 향상되어 주출구의 흔들림을 없게 하고, 지지홈과 용기 개봉부의 사이로부터의 내용물의 누출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에 연속한 칼라형 돌조에 형성된 홈 형성면과, 외통부의 하단의 맞닿은 면을 대략 평행으로 설치할 때, 이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 홈 형성면과 맞닿은 면 사이의 거리, 즉, 지지홈의 폭은, 용기 포재(包材)의 두께보다 약간 길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칼라형 돌조의 측 주위면은 그 하단부가 내통부로부터 단차를 갖지 않고 상승, 테이퍼면이 되어 삽입이 스무스하게 되도록 또한 가이드면이 되도록 역절두원추대 (逆切頭円錐台)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하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가 통공 상단보다 하방 레벨에 위치하는 경우, 내통부(스트로)를 삽입해 갈 때, 최하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 하단부가 개봉부 주위 에지에 맞닿고 나서 칼라형 돌조 상단부가 마저 삽입할 때까지의 사이, 칼라형 돌조의 측 둘레면에 가이드 되어 횡방향으로 어긋나고, 칼라형 돌조의 높이 만큼이 통공에 의해 흡수되고, 내통부의 굵기 만큼 펴서 넓혀지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개봉부 주위 에지의 펴서 넓힐 수 있는 개구 면적을 최소한으로 그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주출구의 칼라형 돌조에 의한 용기로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되고, 지지홈과 용기 개봉부의 사이에서의 내용물의 누출을 없앨 수 있다. 이 연속한 칼라형 돌조 타입의 주출구를 장착한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하는 경우, 용기를 경사지게 하고, 용기의 측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가압하면, 내용액 맥동, 액이 튀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액이 잘 빠져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다.
상기 내통부의 주면의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로서는 상기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의 연속한 칼라형 돌조의 일부가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의 외주면을 제외하고, 결실하고 있는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결실 서브타입) 또는, 불연속 개소에 있어서 스크류형에 형성, 즉, 돌조의 일단이 나선형으로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스크류형 서브타입)를 예시할 수 있다. 이 스크류형 서브타입의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를 갖는 주출구 를 이용하면, 주출구 용기로의 장착시 주출구를 비틀어 박도록 삽입 통과할 수 있으며, 용기로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류형 서브타입이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의 상면에 쐐기 형상의 스크류편을 복수개 고착시켜 두면, 주출구를 용기에 비틀어 박았을 때에,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과의 사이에서 용기의 벽면을 끼워넣을 수 있고, 주출구를 용기에 확실히 고정 할 수 있고, 용기로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이외에, 이들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를 채용했을 경우에도, 상기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의 연속한 칼라형 돌조를 채용했을 경우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돌조가 통공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은 둘레 방향의 폭, 예를 들면 3∼5mm 폭을 갖는 짧은 돌조로서 형성되어 있을 경우, 내통부를 용기 내에 수직으로 삽입해 갈 때에 용기 개봉부의 개봉 면적이 작아지고, 주출시에 용기 개봉부로부터의 액 누설을 없게 할 수 있다. 특히, 내통부의 최대 외경을 용기의 정벽에 설치된 원형(진원)의 개봉부의 직경보다도, 1∼3mm, 특히 2mm정도 크게 해 두면, 주출구를 장착했을 때에 내통부 상단이 용기 개봉부에 밀접하게 사이에 끼워져 내통부 상단과 용기 개봉부 사이의 간극이 없고, 주출시에 용기 개봉부로부터의 액 누설을 없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출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짧은 돌조 타입의 주출구를 장착한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하는 경우, 용기를 경사지게 하고 용기의 측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가압하면, 내용액이 맥동, 액이 튀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액이 잘 빠져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다.
상기 외통부의 주출 개구부 부근,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통부 상단의 짧은 통 형상 주출부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 힌지 연결용의 칼라형의 연결 플랜지에 힌지를 개재해서 개봉·폐지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주출 개구를 폐지· 재개봉할 수 있는 덮개로서는, 원반형의 천판(top plate)과, 천판 주위 에지에 수하형(垂下狀)으로 설치되어 있는 짧은 통형상 주벽(周壁)과, 주벽의 내측에서 천판에 수하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짧은 통형상 내벽을 구비하고 있는 덮개를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주벽의 내주면의 하단에는 내주면의 거의 전체 주변에 걸쳐 내향 돌출조가 설치되어 있는 덮개나, 주벽의 외주면의 하단 전방으로는 외주면의 소정 길이에 걸쳐 외향 플랜지형 적편(picking piece)이 설치되어 있는 덮개가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의 내향 돌출형은 상기와 같이 주입부의 외향 돌출조와 맞물림으로써 덮개의 폐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가 폐지 상태일 때, 내벽 하단부 외면은 주출부 상단부 내면에 밀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로서는 덮개를 외통부의 주출 개구를 폐지·재개봉할 수 있도록 덮개와 외통부의 주출 개구부 부근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외통부의 힌지 연결용의 칼라형의 연결 플랜지와 덮개를 연결하는 제1 힌지와 제2 힌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힌지는 외통부의 상단부 후방과 덮개의 하단부 후방을 연결하고, 그 전후 방향 중앙부에 얇은 힌지를 갖는 좌우 한 쌍의 힌지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는 한 쌍의 제1 힌지의 사이에 한 쌍의 대항 V자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를 지지점으로서 덮개는 개폐 동작한다. 제2 힌지는 얇은 힌지의 하방 레벨로 외통부의 연결 플랜지 및 덮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힌지는 개방 상태의 외통부의 연결 플랜지와 덮개 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얇은 힌지에서 구부려 늘려 제2 힌지는 외통부 및 덮개와의 연결 부분에서 구부려 늘려진다. 이렇게 구성된 힌지를 이용하면 덮개는 외통부에 대하여 폐지 상태 또는 개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주출구를 이용해서 내용액을 주출할 때 덮개가 방해될 일이 없다.
사출 성형법, 압축 성형법, 블로우 형성법, 인젝션 블로우 성형법, 회전 성형법, 진공 성형법, 압공 성형법, 진공 압공 성형법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본 발명의 주출구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플라스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출구를 적용할 수 있는 용기로서는 띠형 포재부터 연속적으로 성형되는 소위 브릭(brick) 용기를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지만, 그 이외에, 통형상의 카튼(carton)으로부터 성형되는 게이블 탑 용기(플랫 탑 용기도 있다)등, 용기의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용기 소재의 예로서는 양면에 플라스틱 층을 갖는 종이 주체 적층체제 용기 소재 등 3층 구조의 것이나, 이것에 알루미늄 박을 포함시켜도 좋고, 또한 알루미늄 박 대신 합성 수지제의 배리어 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주출구를 장착하는 개봉부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용기 소재 플라스틱 층만을 남기고 종이 층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것 이외에, 알루미늄 박이나 합성 수지제의 배리어 층을 남기고 종이 층만을 제거하도록 하거나, 개봉부의 주위 에지에 따라 하프 컷트 를 넣도록 하는 것도 좋다. 개봉부의 형상으로서는 내통부의 구조에 따라 원형(진원) 이외에, 변형 타원 또는 장원(長円)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브 릭 용기 등의 정벽이 플랫의 용기의 경우, 상술된 외통부 하단(내통부 근처)의 용기와의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용기로서는 상술된 본 발명의 주출구가 부착된 원형(진원) 또는 타원형의 개봉부를 갖는 우유, 쥬스 등의 액체 음료, 국수 국물 등의 액체 조미료, 유동 식품 등이 밀봉 포장된 용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그 중에서도, 양면에 플라스틱층을 갖는 1장의 종이 주체 적층체제 용기 소재를 통형상으로서 그 양단부를 접어서 닫는 것에 의해 세로로 긴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 용기를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브릭 용기 등의 정벽이 플랫의 용기의 경우, 외통부 하단의 용기와의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소정의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의 정벽에 설치된 원형(진원)의 개봉부의 직경이, 상기 주출구 용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작은 직경의 내통부의 최대 외부 크기(outer size)(직경)보다 1∼3mm 작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주출구에 대해서 도 1∼1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는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에 연속한 칼라형 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 (이하, 타입 I 주출구 라고 함)의 실시예가 도 6∼9 및 도 3에는 내통부의 주면에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 (이하, 「타입II 주출구」라고 함)의 실시예가 도 10∼13 및 도 3에는 내통부의 통공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은 둘레 방향 의 폭을 갖는 짧은 돌조가 형성되어 있는 주출구(이하, 「타입 III 주출구라고 함)의 실시예가 나타내고 있다.
[타입 I 주출구, 타입 II 주출구, 및 타입 III 주출구의 공통 부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출구(1)가 장착되는 밀봉 용기(7)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7)는 양면에 플라스틱층을 갖는 1장의 종이 주체 적층체제 용기 소재를 통형상으로서 그 양단부를 접어서 닫는 것에 의해 세로로 긴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정벽(71), 정면벽(도시 생략), 배면벽(72), 좌측벽(73), 우측벽(도시 생략) 및 저벽(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정벽(71) 좌측단 및 좌측벽(73) 상단에는 상부 삼각 에지부(上三角耳)(74)가 이어져 있으며, 이것은, 좌측벽(73)위로 포개져서 고착되어 있다. 정벽(71) 우 및 우측벽 상단에는 우측벽 위에 고착된 상부 삼각 에지부(도시 생략)가 줄지어 있다. 저벽 양단과 좌우의 측벽 하단에는 한 쌍의 하부 삼각 에지부(下三角耳)(도시 생략)가 이어져 있지만, 이들 하부 삼각 에지부는 저벽 위에 고착되어 있다. 한쪽의 상부 삼각 에지부(74)의 선단으로부터 정벽(71) 위를 종단해서 다른 쪽의 상부 삼각 에지부의 선단까지 신장되도록 상부 가로 씰부(upper lateral seal part)(75)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은, 통형상 용기 소재의 상단을 닫았을 때에 생긴 것이다. 통형상 용기 소재의 하단을 닫은 때는 하부 가로 씰부(lower lateral seal part)(도시 생략)가 생기고 있지만, 이것은 한쪽의 하부 삼각 에지부의 선단으로부터 저벽 위를 종단해서 다른 쪽의 하부 삼각 에지부의 선단까지 신장되어 있다. 상부 가로 씰부(75)의 길이 중간 정도로부터 배면벽(72) 위를 종단해서 하부 가로 씰부의 길이 중간 정도까지 세로 씰부(76)가 신장되고 있지 만, 이것은 용기 소재를 통형상으로 성형할 때에 생긴 것이다. 정벽(71)에 있어서의 상부 가로 씰부(75) 및 세로 씰부(76)에 의해 구획된 영역에는 원형(진원) 또는 타원 형상의 개봉부(장착부)(77)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1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봉부(77)는 용기 소재의 플라스틱층 만을 남기고 종이층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용기 소재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스트로 부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포재가 통상 이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스트로 부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포재의 스트로 장착 공의 형상(진원)을 그대로 또는 타원형으로 약간 변경하는 것만으로 개봉부(77)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출구는, 예를 들면, 배면벽(72)에 주출구(1)가 얇은 비닐 봉지(도시 생략)에 넣어진 상태에서 고착·부착된다.
도 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출구(1)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제 재료를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하측에 용기를 개봉함과 동시에 용기 내에 삽입되는 내통부(4)가 형성되고, 상측에 용기 밖에 위치되는 외통부(3)가 형성된 통형상 주출구 본체(2)와, 주출구 본체의 상단 개구를 폐지할 수 있는 덮개(6)를 구비하고 있다.
외통부(3)는 상단에 주출 개구를 형성하는 짧은 통형상 주출부(33)와, 짧은 통형상 추출부(33)의 바로 아래에 힌지 연결용의 칼라형의 연결 플랜지(35)와, 그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25도 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진 맞닿은 면(32)을 갖는 내경 11mm의 통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3)의 하단 외주연부에는 칼라형의 지지 플랜지(3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랜지(31)의 하면도 주출구(1)를 밀 봉 용기(7)에 장착했을 때에 밀봉 용기(7)의 정벽(71)과 접촉하는 맞닿은 면(3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주출부(33)의 외주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외향 돌출조(34)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6)는 원반형의 천판(top plate)(61)과, 천판(61) 주위 에지에 수하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짧은 통형상 주벽(62)과, 주벽(62)의 내측에서 천판(61)에 수하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짧은 통형상 내벽(63)을 구비하고 있다. 주벽(62)의 내주면의 하단에는 내주면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내향 돌출조(64)가 설치되어 있다. 주벽(62)의 외주면의 하단 전방으로는, 외주면의 소정 길이에 걸쳐 외향 플랜지형 적편(65)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6)는 힌지(5)에 따라서 개봉·폐지 동작 가능하게 외통부(3)에 연결되어 있다. 덮개(6)의 내향 돌출형(64)은 주출부(33)의 외향 돌출조(34)와 맞물림으로써 덮개(6)의 폐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덮개(6)가 폐지 상태일 때 내벽(63) 하단부 외면은 주출부(33) 상단부 내면에 밀접하고, 덮개(6)의 하단면은 외통부(3)의 연결 플랜지(35) 상면과 맞닿도록 이루어져 있다.
힌지(5)는 외통부(3)의 힌지 연결용의 칼라형의 연결 플랜지(35)와 덮개(6)를 연결하는 제1 힌지(51)와 제2 힌지(5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힌지(51)는 외통부(3)의 상단부 후방과 덮개(6)의 하단부 후방을 연결하고, 그 전후 방향 중앙부에 얇은 힌지(53)를 갖는 좌우 한 쌍의 힌지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6)는 한 쌍의 얇은 힌지(53)를 지지점으로서 개폐 동작한다. 제2 힌지(52)는 평면에서 보아 (도 3 참조) 한 쌍의 제1 힌지(51)의 사이에 한 쌍의 대항 V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힌지(52)는 측면에서 보면(도 1, 8 및 10참조) 얇은 힌지(53)의 하방 레벨에서 외 통부(3)및 덮개(6)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힌지(51)는 개방 상태의 외통부(3)와 덮개(6)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얇은 힌지(53)로 구부려 늘려지며, 제2 힌지는 외통부(3) 및 덮개(6)의 연결 부분에서 구부려 늘려진다. 힌지(5)가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덮개(6)는 외통부(3)에 대하여 닫은 상태 또는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주출구(1)를 이용해서 내용액을 주출할 때 덮개(6)가 방해가 될 일이 없다.
내통부(4)는 선단을 향해서 그 외경이 약간 작아지는 테이퍼 형의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의 내경은 7mm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부(4)의 테이퍼 각도는 그 축선에 대하여 약 1도가 된다. 내통부(4)의 선단은 그 축선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35도 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진 선단 개구(2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외통부(3)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4)의 상측(외통부 근처)의 둘레 면에 용기 내의 액체를 최후까지 주출하기 위한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7)의 개봉시에 용기(7)로부터 주출구(1)를 자루(도시 생략)와 함께 분리하고, 자루를 깨서 주출구(1)를 꺼낸다. 그리고 이하의 도 5나 도 13의 설명 순서로 주출구(1)를 개봉부(77)에 찔러넣으면 된다. 용기(7)를 경사지게 하고 용기(7)의 측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가압하면 주출구(1)의 주출 개구를 통해서 내용물을 유출시킬 수 있다. 내용물이 소량인 경우, 통공(23)을 통해서 내용물이 유출한다. 내용물을 남긴 채, 용기(1)를 재봉(再封)하는 경우, 외통부(3)의 주출 개구에 덮개(6)를 씌우면 된다.
[타입I 주출구]
내통부(4)의 상부 주위 에지에는 지지 플랜지(31)와 평행하게 높이 0.5mm의 칼라형 돌조(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통부(3)의 맞닿은 면(32)과 대향하는 칼라형 돌조(41)의 상단면은 맞닿은 면(32)과 협동해서 지지홈(21)을 형성하는 홈 형성면(42)이 된다. 홈 형성면(42)은 내통부(4)의 축선에 대하여 25도 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칼라형 돌조(41)의 측 둘레면은, 하방을 향해서 직경 축소하도록 테이퍼 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의 접속부(43)로 내통부(4)의 외주면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접속부(43)의 최상방 레벨이 되는 부분(전방 부분)은, 홈 형성면(42)의 최하방 레벨이 되는 부분(후방 부분)보다 상방 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내통부(4)의 칼라형 돌조(41) 바로 아래에는 장공형(長孔狀)의 통공(23)이 설치되어 있다. 통공(23)은 칼라형 돌조(41)가 최상방 레벨에 위치하는 내통부(4)의 둘레 방향 위치(전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통공(23)의 상단은 홈 형성면(42)의 최하방 레벨이 되는 부분(후방 부분)보다 상방 레벨에 위치하고, 하단은 홈 형성면(42)의 최하방 레벨이 되는 부분(후방 부분)보다 하방 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맞닿은 면(32)과 홈 형성면(42)을 측벽으로 하여 그 사이의 내통부 외주면을 저부로 하는 환형의 지지홈(21)에 의해 주출구(1)를 용기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 칼라형 돌조(41)의 통공(23)의 바로 위 부분은, 덮개(6)의 개봉시에 용기 내면측에서 용기(7)의 정벽(71)에 접촉해서 주출구 본체(2)가 흔들리지 않도록 걸도록 하는 작용을 갖는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주출구(1)의 용기(7)로의 장착 동작을 설명한다. 주출구(1)는 그 축선을 개봉부(77)의 표면과 수직한 자세로 용기에 근접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내통부(4)의 선단이 개봉부(77)를 돌파하여 내통부(4)가 용기(7) 내에 삽입되어 간다. 내통부(4)는 그 축선 방향에 따라 개봉부(77)의 표면과 대략 수직한 자세로 용기(7)에 삽입되어 간다 (도 5(a) 참조). 삽입이 진행되면, 개봉부(77)의 주위 에지(78)의 일부로부터 칼라형 돌조(41)가 최하방 레벨이 되고 있는 부분(후방부분)을 타고 넘기 시작한다. 그리고 용기(7)의 정벽(71)이 지지 플랜지(31) 하면에 형성된 맞닿은 면(32)의 최하방 레벨이 되고 있는 부분(후방 부분)에 맞닿게 되면, 주출구(1)는 맞닿은 면(32)이 용기(7)의 정벽(71)을 따르도록 그 축선을 경사지게 하기 시작하고, 개봉부(77)의 주위 에지(78)의 일부를 지지홈(21) 내로 안내해 간다 (도 5(b)참조). 이때 용기(7) 내에는 개봉부(77)의 절단편(79)이 형성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내통부(4)의 선단은 그 축선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35도 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그 대부분은 통공(23)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절단편(79)이 통공(23)을 막을 일이 없다. 개봉부(77)의 주위 에지의 일부가 지지홈(21)에 깊이 진입한 후, 개봉부(77)의 나머지의 주위 에지(78)도 칼라형 돌조(41)를 타고 넘어, 주위 에지(78)가 완전히 지지홈(21)에 끼워 넣어진다 (도 5(c)참조). 이 타입I 주출구를 장착한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하는 경우, 용기를 경사지게 하고, 용기의 측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가압하면, 내용액이 맥동, 액이 튀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액이 잘 빠져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다.
[타입II주출구]
도 6에는 지지 플랜지(31)와 평행하게 불연속 개소(결실부)(22)를 갖는 높이 0.5mm의 불연속 칼라형 돌조(44)가 내통부(4)의 상부 주위 에지에 설치되어 있는 주출구(결실 서브타입)가 도시되어 있다. 불연속 개소(22)는 불연속 칼라형 돌조(44)를 경사지게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9에는 불연속 개소(22)에 있어서 스크류형(45)에 형성된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44)가 내통부(4)의 상부 주위 에지에 설치되어 있는 주출구(스크류형 서브타입)가 도시되어 있다. 이 스크류형 서브타입이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44)의 상면 3 개소에는 쐐기 형상의 스크류편(46)이 고착되어 있다. 타입II 주출구(결실 서브타입 및 스크류형 서브타입)은 주출구 용기에 장착시 주출구를 비틀어 박도록 삽입 통과함으로써, 주출구를 용기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고, 용기로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불연속 개소(22)는 불연속 칼라형 돌조(44)에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1개의 불연속 개소(22)를 칼라형 돌조(44)이 최하방 레벨이 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확실하게 비틀어 박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타입III 주출구]
내통부(4)에 형성된 장공형의 통공(23)의 바로 위에는 둘레 방향 측면에서 보아 4mm 폭, 높이 0.5mm의 종단면이 사다리꼴의 짧은 돌조(47)가 설치되어 있다. 짧은 돌조(47) 하측 둘레면(49)은 하방을 향해서 직경 축소하게 테이퍼 형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의 접속부(43)로 내통부(4)의 외주면과 연결된다. 짧은 돌조 (47)의 정면(頂面)(48)은 내통부(4)의 축선과 평행한 둘레면으로서 형성되고 있으며, 정면(48)은 지지 플랜지(31) 하면에 형성된 맞닿은 면(32)의 최하방 레벨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짧은 돌조(47)는 덮개(6)의 개봉시에 용기 내면측으로부 터 용기(7)의 정벽(71)에 맞닿아 주출구 본체(2)가 흔들리지 않도록 결합하는 작용을 갖는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여 주출구(1)의 용기(7)에의 장착 동작을 설명한다. 주출구(1)는 그 축선을 개봉부(77)의 표면과 수직한 자세로 용기에 근접시킬 수 있다 (도 13(a)참조). 계속해서, 내통부(4)의 선단이 개봉부(77)를 돌파하여 내통부(4)가 용기(7)내로 삽입되어 간다. 내통부(4)는 그 축선 방향에 따라 개봉부(77)의 표면과 대략 수직한 자세로 용기(77)로 삽입되어 간다. 삽입이 진행되면, 개봉부(77)의 주위 에지(78)의 일부로부터 짧은 돌조(47) 하측 둘레면(49) 부분을 타고 넘기 시작한다. 그리고, 용기(7)의 정벽(71)이 지지 플랜지(31) 하면에 형성된 맞닿은 면(32)의 최하방 레벨이 되고 있는 부분(후방부분)에 맞닿도록 되면, 주출구(1)는 맞닿은 면(32)이 용기(7)의 정벽(71)에 따르도록 그 축선을 경사지게 하기 시작하고 개봉부(77)의 주위 에지(78)의 일부를 용기 내로 안내해 간다. 이때, 용기내(7)에는 개봉부(77)의 절단편(79)이 형성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내통부(4)의 선단은 그 축선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35도 전방을 향해서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그 대부분은 통공(23)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절단편(79)이 통공(23)을 막을 일이 없다. 개봉부(77)의 주위 에지의 일부가 용기 내에 깊이 진입한 후, 개봉부(77)의 나머지의 주위 에지(78)도 짧은 돌조(47)를 타고 넘고, 주위 에지(78)가 완전히 용기 내에 걸린다 (도 13(b)참조). 이 타입 III 주출구를 장착한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할 경우, 용기를 경사지게 하고 용기의 측면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가압하면, 내용액이 맥동, 액이 튀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액이 잘 빠져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통공(23)은 내통부(4)의 전방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통공(23)은, 내통부(4)의 옆쪽이나, 후방에 설치할 수도 있다. 특별 [타입 III 주출구]의 경우는, 짧은 돌조(47)과 맞닿은 면(32)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둘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공(23)을 내통부(4)의 전방으로 설치하면, 용기(7)의 정벽(71)과 통공(23)의 사이에 거리가 생겨버린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공(23)을 내통부(4)의 옆쪽이나 후방에 설치함으로 상기 거리를 짧게 해서 내용물을 최후까지 확실하게 손쉽게 쏟을 수 있다. 또 이러한 경우, 내통부(4)의 선단은 측방이나 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출구 용기로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켜 주출구의 흔들림을 없애고 주출구와 용기 개봉부의 사이에서의 내용물의 누출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출구에 의하면, 주출구 본체와 덮개를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있으므로, 간편하게 주출구에 재봉성을 갖게 할 수 있다.

Claims (27)

  1. 용기를 개봉함과 동시에 용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작은 직경의 내통부(하측)와, 주출 개구를 가져 용기 밖에 위치되는 직경이 큰 외통부(상측)가 연통 상태에서 고착되어 있는 주출구 본체와,
    상기 외통부의 주출 개구부 부근에 힌지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상기 주출 개구를 폐지·재개봉할 수 있는 덮개를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한 주출구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상측(외통부 근처)의 주면에 용기 내의 액체를 최후까지 주출 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통공이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외통부 근처)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통부가 선단을 향해서 그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4. 제3항에 있어서, 테이퍼 각도가 0.5∼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통부가 최대 외경 8∼1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통부의 선단이 그 축선에 대하여 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진 선단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7. 제6항에 있어서, 내통부의 선단이 그 축선과 직행하는 면에 대하여 측면에서 보아 30∼40도 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진 선단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통부의 하단 외주연부에 칼라형의 지지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통부의 상부 외주연부에 칼라형의 힌지 연결용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통부 하단(내통부 근처)의 용기와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1. 제10항에 있어서,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20∼30도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외통부의 힌지 연결부와 둘레 방향 반대 위치에 상당하는 내통부의 상측의 외주면에서 또한 통공보다 상방 레벨의 위치에 덮개의 개봉시에 용기 내면측으로부터 용기의 벽면에 맞닿아 주출구 본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돌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3. 제12항에 있어서, 높이 0.4∼0.6mm의 돌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조가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에서 4∼5mm에 돌조의 상단이 위치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조가 내통부의 전체 둘레면에 연속한 칼라형 돌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연속한 칼라형 돌조가 외통부 하단의 맞닿은 면과 평행또는 전방을 향해서 맞닿은 면 과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연속한 칼라형 돌조가 최상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 하단부가 최하방 레벨에 위치하는 칼라형 돌조 상단부보다 상방 레벨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8.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조가 내통부의 둘레면에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19. 제18항에 있어서, 불연속인 칼라형 돌조가 불연속 개소에 있어서 스크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0.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조가 통공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은 둘레 방향의 폭을 갖는 짧은 돌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짧은 돌조가 통공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은 둘레 방향 3∼5mm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통부와 덮개를 연결하는 힌지가, 제1 힌지와 제2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힌지는 외통부의 상단부 후방과 덮 개의 하단부 후방을 연결하고, 그 전후 방향 중앙부에 얇은 힌지를 갖는 좌우 한 쌍의 힌지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는 한 쌍의 제1 힌지의 사이에 한 쌍의 대항 V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주출구가 부착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개봉부를 갖는 액체 용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용기가 양면에 플라스틱층을 갖는 1장의 종이 주체 적층체제 용기 소재를 통형상으로서 그 양단부를 접어서 닫는 것에 의해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으로 형성된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주출구 용기 밖에 위치되는 직경이 큰 외통부 하단(내통부 근처)의 용기와 맞닿은 면이 주출구 본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하여 후방을 향해서 하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27.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용기의 정벽에 설치된 원 형(진원)의 개봉부의 직경이 상기 주출구 용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작은 직경의 내통부의 최대 외부 크기(직경)보다 1∼3mm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
KR1020087015852A 2005-12-07 2006-11-30 주출구 KR101282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54156 2005-12-07
JPJP-P-2005-00354156 2005-12-07
JP2006229845A JP5010211B2 (ja) 2005-12-07 2006-08-25 注出具
JPJP-P-2006-00229845 2006-08-25
PCT/JP2006/323985 WO2007066575A1 (ja) 2005-12-07 2006-11-30 注出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121A true KR20080091121A (ko) 2008-10-09
KR101282762B1 KR101282762B1 (ko) 2013-07-05

Family

ID=3812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852A KR101282762B1 (ko) 2005-12-07 2006-11-30 주출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970322A4 (ko)
JP (1) JP5010211B2 (ko)
KR (1) KR101282762B1 (ko)
CN (1) CN101365630B (ko)
TW (1) TW200744903A (ko)
WO (1) WO2007066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2728A1 (en) * 2008-09-01 2010-03-04 Moeller Carsten Dispenser for mounting on packings
JP5309307B2 (ja) * 2009-03-23 2013-10-09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開封具
JP5309308B2 (ja) * 2009-03-23 2013-10-09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注出具
JP2016074434A (ja) * 2014-10-02 2016-05-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注出具及び容器
JP6675251B2 (ja) * 2016-04-04 2020-04-01 ライオン株式会社 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5538A (en) * 1947-03-14 1952-02-12 Theodore H Daniels Drawoff tap for liquid-containing cartons
FR1267893A (fr) * 1960-06-14 1961-07-28 Comptoir D Emballages Metalliq Bec verseur adaptable à des boîtes ou bidons à fond plat
JPS6035098U (ja) * 1983-08-19 1985-03-11 藤江 昭一 紙箱における注出口形成装置
JPS637657U (ko) * 1986-07-01 1988-01-19
JPS6354624U (ko) * 1986-09-30 1988-04-12
EP0337721A1 (en) * 1988-04-11 1989-10-18 Rotino Marketing (Proprietary) Limited Pouring device for a container
US4881662A (en) * 1988-05-27 1989-11-21 Tallman Gary C Dispensing spout
US5249708A (en) * 1992-09-21 1993-10-05 Thomas Magness Container puncture spout
JPH0649329U (ja) * 1992-12-19 1994-07-05 株式會社 瑞一 飲料容器用注出具
US5437383A (en) * 1993-06-11 1995-08-01 Stull; Gene Snap-hinge closure cap with full circumferential seal
JPH0719153U (ja) * 1993-09-10 1995-04-07 凸版印刷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JPH0731619U (ja) * 1993-11-24 1995-06-13 和俊 山本 紙容器用ノズル
GB9521799D0 (en) * 1995-10-24 1996-01-03 Unilever Plc Carton system for a liquid product
KR100262121B1 (ko) * 1997-06-18 2000-07-15 전성수 비닐용기에 부착되는 개폐수단
JP2000079947A (ja) * 1998-09-01 2000-03-21 Nihon Tetra Pak Kk 開封装置付容器
JP4482723B2 (ja) 2000-01-18 2010-06-16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密封容器
JP3881848B2 (ja) 2001-02-21 2007-02-14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ストロー
DE20113209U1 (de) * 2001-08-16 2001-10-25 Lamprecht Hubertus Ausgiesselement zur Befestigung an flüssigen oder rieselförmigen oder pastösen Materialien aufnehmender Behälter, wie Dosen, Pappbecher o.dgl.
US6983861B2 (en) * 2002-11-05 2006-01-10 Aidox Technology Corporation Dispen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0322A1 (en) 2008-09-17
TWI374106B (ko) 2012-10-11
CN101365630A (zh) 2009-02-11
JP2007182258A (ja) 2007-07-19
WO2007066575A1 (ja) 2007-06-14
CN101365630B (zh) 2011-01-19
EP1970322A4 (en) 2013-11-27
KR101282762B1 (ko) 2013-07-05
TW200744903A (en) 2007-12-16
JP5010211B2 (ja)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7544C (en) Container having improved drain means
EP2682351B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substance.
US8028867B2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substance
US5850953A (en) Drip-free dispensing structure with collecting reservoir
US8783506B2 (en) Container for food and beverage
RU2404097C2 (ru) Деталь для слива из емкости
US6321977B1 (en) Drinking container
KR101282762B1 (ko) 주출구
KR20040056373A (ko) 깔때기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출로가 구비된 밀폐요소와필름백
KR102492789B1 (ko)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및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과의 연결 구조
US10961025B2 (en) Pouring spout of container
WO2000003921A2 (en)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JPH1081356A (ja) 液体注出具
JP6783114B2 (ja) 注出キャップ
JP2000079946A (ja) 液体容器
JP4929591B2 (ja) スパウト
JP6736558B2 (ja) 容器注出口の封止構造
JP2020132190A (ja) ヒンジキャップ
JP7474462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4780861B2 (ja) ストロー
WO2021166850A1 (ja) 液体充填容器用口栓および同口栓を備えた液体充填容器
JP5266473B2 (ja) 注出具
JP2016120938A (ja) 小出し可能な複合液出しキャップ
JP7490192B2 (ja) 液体充填容器用口栓および同口栓を備えた液体充填容器
WO2021079712A1 (ja) 注出具および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