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593A -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593A
KR20080089593A KR1020087016963A KR20087016963A KR20080089593A KR 20080089593 A KR20080089593 A KR 20080089593A KR 1020087016963 A KR1020087016963 A KR 1020087016963A KR 20087016963 A KR20087016963 A KR 20087016963A KR 20080089593 A KR20080089593 A KR 20080089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content
icon
icon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293B1 (ko
Inventor
류지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ublication of KR2008008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11B19/025'Virtual' control panels, e.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메뉴 관리부는 격납부로부터 취득되는 컨텐츠의 항목을 컨텐츠의 표시 단위를 상징하는 복수의 폴더 아이콘(120)과 관련짓는다. 메뉴화면 생성부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52∼62)을 좌우 방향으로 배열한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복수의 폴더 아이콘(120)을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포함하는 메뉴화면(50)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펙트 처리부는, 복수의 폴더 아이콘 각각에 대해서, 관련하는 컨텐츠를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의 하나를 폴더중첩화상(122)으로서 격납부로부터 취득하고, 폴더 아이콘 배열(72)에 있어서, 폴더중첩화상이 반투명의 폴더 아이콘에 내포되도록 폴더중첩화상(122)과 폴더 아이콘(120)을 겹쳐서 표시한다.
Figure P1020087016963
디지털 컨텐츠,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메뉴화면, 프로그램, 기록매체, 폴더 아이콘, 데이터, 폴더중첩화상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NU SCREEN DISPLAY METHOD}
이 발명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특히 멀티미디어 재생을 지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른바 디지털 가전의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데에도 하드 디스크 레코더나 DVD(디지털 다목적 디스크) 레코더, 이들의 복합기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음악 재생에 있어서도 종래의 CD(컴팩트 디스크)의 재생에 더해, 각종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에 기록된 압축 데이터의 재생 등 그 방식은 다채로워졌다.
디지털 가전 특히 영상이나 음악을 재생하는 기기는 여러 사람에 의해 동시에 이용되는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PC(퍼스널 컴퓨터)와 달리 거실 등 가정내의 공용 스페이스에 설치된다. 디지털 가전의 조작 패널이나 컨트롤러는 버튼 수가 적고 표시영역도 좁기 때문에, 본체 이외의 영역 예를 들면 텔레비전 화면에 조작 내용을 표시하는 일이 있다. 텔레비전 화면은 어느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보는 것으로서, PC의 화면상에서 행해지는 것 같은 세세한 문자열이나 작은 포인터의 이동 등은 텔레비전 화면에서의 표시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텔레비전 화면을 이용한 디지털 가전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시각적인 양호함과 조작의 간단함이 강하게 요구된다. 특히 PC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PC상에서 통상 사용되는 사용방법이 반드시 사용하기 편리하게 느껴진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는 컨텐츠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 세계의 감각이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가능한 한 손상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이상의 인식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이룬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있어서 직감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態樣)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가능한 장치이다. 이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서 컨텐츠 재생에 관한 지시를 취득하는 조작부와,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를 상징하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와 컨텐츠의 항목을 상징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의 표시 단위를 상징하는 반투명의 폴더 아이콘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격납부와,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로 출력함과 함께, 조작부에 의해 취득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격납부로부터 취득되는 컨텐츠의 항목을 재생하는 표시 출력부와, 격납부로부터 취득되는 컨텐츠의 항목을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와 복수의 폴더 아이콘에 대응시켜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한 제1배열과, 복수의 폴더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한 제2배열을 포함하는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부를 가진다. 표시 제어부는 복수의 폴더 아이콘 각각에 대해서, 관련하는 컨텐츠를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의 하나를 폴더가 중첩되어 있는 화상(이하, '폴더중첩화상'이라 함)으로서 격납부로부터 취득하고, 메뉴화면의 제2배열에 있어서, 폴더중첩화상이 폴더 아이콘에 내포되도록 폴더중첩화상과 폴더 아이콘을 겹쳐서 표시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복수 종의 정보전달수단을 통해서 재생, 표시, 또는 실행되는 동화상, 정지영상, 음성, 텍스트,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정보내용을 말하며, 특히 오락목적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또, '컨텐츠'란 말은 재생 대상 전체를 추상적으로 나타내는데 반해, '컨텐츠의 항목'이라고 할 때는, 컨텐츠로서의 동화상 데이터, 정지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 데이터 파일 하나하나의 단위를 나타내도 된다. 또 '컨텐츠의 항목을 취득'이라고 할 때는, 컨텐츠명의 일람이나 파일명의 일람 등의 데이터를 '컨텐츠의 항목'으로서 취득하는 동작을 나타내도 된다. '재생'은 화상이나 음성의 재생을 나타내는 것 이외에 프로그램의 실행을 나타내도 된다.
또, '반투명'이란, 겹쳐져 표시된 폴더 아이콘을 투과해서 그 아래에 표시된 폴더중첩화상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반투명의 폴더 아이콘을 투과해서 컨텐츠에 관련하는 폴더중첩화상이 보이는 상태로 메뉴화면이 구성되므로, 폴더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컨텐츠의 항목을 열람할 수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태양은, 컨텐츠의 재생장치로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를 상징하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와, 컨텐츠의 항목을 상징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의 표시 단위를 상징하는 반투명의 폴더 아이콘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단계와, 읽어낸 컨텐츠의 항목을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와 복수의 폴더 아이콘에 대응시켜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화면상에 있어서의 특정한 방향으로 배열한 제1배열과, 복수의 폴더 아이콘을 화면상에 있어서의 제1배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한 제2배열을 포함하는 이차원 배열로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가진다.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폴더 아이콘 각각에 대해서, 관련하는 컨텐츠를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의 하나를 폴더중첩화상으로서 취득하고, 메뉴화면의 제2배열에 있어서, 폴더중첩화상이 폴더 아이콘에 내포되도록 폴더중첩화상과 폴더 아이콘을 겹쳐서 표시한다.
이 태양에 있어서도, 폴더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컨텐츠의 항목을 열람할 수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직감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있어서 직감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메뉴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메뉴화면의 내용이 천이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메뉴화면의 내용이 천이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컨텐츠 항목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의 천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컨텐츠 항목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의 천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메뉴화면의 내용이 천이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컨텐츠의 항목과, 각 항목에 대응되는 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뉴화면의 내용이 천이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메뉴화면의 내용이 천이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부호의 설명>
20…멀티미디어 재생장치
40…조작부
46…표시 출력부
48…표시 제어부
50…메뉴화면
70…기능 아이콘 배열
72…폴더 아이콘 배열
78…컨텐츠 아이콘 배열
80…격납부
96…재생화면 생성부
110…메뉴화면 생성부
112…배경 생성부
120…폴더 아이콘
122…폴더중첩화상
본 발명예에 있어서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정지영상, 동화상, 음악, 방송, 게임 등의 복수의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할 수 있는 복합기기이다. 표시 화면으로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을 이용하고, 조작수단으로서는 화면상의 표시 내용과 컨트롤러의 조작 버튼을 이용한다. 만약 복수의 컨텐츠를 PC상에서 재생할 경우, 컨텐츠의 종류에 따른 뷰어(viewer) 등 개별 프로그램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들 개별 프로그램들은 각각 다른 벤더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통상, 공통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지 않아 각각의 사용방법에 통일감이 없다. 또 이들을 소위 포털 화면과 같은 공통 인터페이스에 통합했다고 해도 이른바 단순한 조합에 지나지 않고, 또 각 프로그램의 기동에는 적잖이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전환에 있어서의 조작의 쾌적함은 얻어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복수의 컨텐츠 재생을 공통 인터페이스하에 통합하여 공통된 조작성을 사용자에게 준다. 또, 메뉴화면을 삼차원 공간을 가지는 것으로 가상하여, 이 삼차원 공간 내에 사용자가 들어가서 조작을 하고 있는 것 같은 세계관을 주는 직감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세계로의 몰입감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를 중심으로 기능한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는 텔레비전 수상기(30)와 컨트롤러(42)가 접속된다. 텔레비전 수상기(30)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나 음성을 표시 또는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 외부 접속된다. 컨트롤러(4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컨텐츠 재생에 관한 각종 지시를 취득하는 장치로서,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이 컨트롤러(42)는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게임용 컨트롤러로 실현해도 되고,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가 가지는 각종 기능의 제어에 이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실현해도 된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는 각종 기록 매체나 각종 케이블을 통해서 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LAN(35)에 접속된 외부기기(37, 39)에 보유되는 컨텐츠가 네트워크 케이블(34)을 통해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 입력된다. 입력된 컨텐 츠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 보존 또는 버퍼된 후에 재생된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는 DVD나 CD 등의 광디스크(36)에 대한 데이터 판독기능 및 기록기능과, 착탈가능한 메모리 카드(38)에 대한 데이터 읽어내기 기능 및 기록기능을 가진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는 광디스크(36)로부터는 영화나 음악 앨범 등의 데이터를 읽어내도 되고, 메모리 카드(38)로부터는 촬영 화상이나 촬영 영상 등의 데이터를 읽어내도 된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는 텔레비전 수상기(30)에 컨텐츠 재생 지시를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시킨다. 그 메뉴화면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 보유되는 컨텐츠의 항목과 외부기기(37, 39)에 보유되는 컨텐츠의 항목이 표시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각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 의해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는 조작부(40), 입출력부(44), 표시 출력부(46), 표시 제어부(48), 격납부(80) 및 게임 실행부(82)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CPU, 하드 디스크, RAM, ROM, 묘화회로 등의 구성으로 실현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데이터 입력 기능, 데이터 보유 기능, 화상 처리 기능, 묘화 기능 등의 제기능을 발휘하는 프로그램으로 실현되는데, 도 2에서는 그들의 연계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조작부(40)는 상, 하, 좌, 우, 네방향 중 어느 것에 관한 지시를 사용자에 의한 컨트롤러(42)의 조작을 통해서 취득하는 방향결정부(92)와, 컨텐츠의 재생, 재생 정지, 메뉴화면 호출 등의 지시를 사용자에 의한 컨트롤러(42)의 조작을 통해서 취득하는 지시결정부((94)와, 방향결정부(92) 및 지시결정부((94)가 취득한 지시에 기초하여 입출력부(44), 표시 출력부(46), 표시 제어부(48), 게임 실행부(82)의 각 부를 제어하는 조작제어부(95)를 포함한다.
입출력부(44)는 외부기기에 보유된 컨텐츠의 입력이나 각종 데이터의 출력을 네트워크 케이블(34)을 통해서 처리하는 네트워크 제어부(86), 광디스크(36)에 격납된 데이터의 입력이나 광디스크(36)로의 데이터 기록을 제어하는 디스크 제어부(88), 및 메모리 카드(38)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메모리 카드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제어부(86)는 LAN(35)에 접속된 외부기기를 검출한다. 네트워크 제어부(86), 디스크 제어부(88), 메모리 카드 제어부(90)는 외부기기(37, 39), 광디스크(36), 메모리 카드(38)에 보유되는 컨텐츠의 항목명, 컨텐츠 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데이터, 데이터 크기 등의 각 정보를 취득해서 격납부(80)에 보존한다. 입출력부(44)를 구성하는 각 부를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는 표시 출력부(46), 표시 제어부(48), 격납부(80) 및 게임 실행부(82)로 보내진다.
격납부(80)에는 네트워크 케이블(34)을 통해서 입력된 외부기기(37, 39)의 컨텐츠, 광디스크(36)로부터 읽어들인 음악이나 영화 등의 컨텐츠, 메모리 카드(38)로부터 읽어들인 정지영상이나 동화상 등의 컨텐츠가 격납된다. 격납부(80)에는 재생기능의 종류를 상징하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의 데이터와, 표시 출력부(46)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나 게임 실행부(82)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와, 격 납부(80)에 격납된 각 컨텐츠의 항목을 상징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의 표시 단위를 상징하는 반투명의 폴더 아이콘의 데이터가 또한 격납된다. 또, 외부기기(37, 39), 광디스크(36), 메모리 카드(38)에 격납된 컨텐츠의 항목을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이 네트워크 제어부(86), 디스크 제어부(88), 메모리 카드 제어부(90)에 의해 외부기기(37, 39), 광디스크(36), 메모리 카드(38)로부터 취득되어 격납부(80)에 보존된다. 이들 기능 아이콘, 컨텐츠 아이콘 및 폴더 아이콘은 메뉴화면으로의 항목표시에 이용된다.
기능 아이콘, 컨텐츠 아이콘, 폴더 아이콘은 비트맵 화상 등의 미압축 화상이나 JPEG 등의 압축 화상이어도 되고, 폴리곤에 텍스쳐를 붙여 구성된 오브젝트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Z값을 조작함으로써 화면내의 가상적인 삼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화면 수직축 방향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표시 출력부(46)는 컨텐츠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재생하는 재생화면 생성부(96), 텔레비전 수상기(30)로 출력하는 재생 데이터를 그 출력전에 일시 축적하는 출력 버퍼(100), 텔레비전 수상기(30)로 출력하는 온 스크린(on-screen) 디스플레이 표시용 화상 데이터를 출력전에 일시 축적하는 온 스크린 버퍼(102), 및 재생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합성 처리부(98)를 포함한다.
재생화면 생성부(96)는 조작부(40)가 취득한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입출력부(44) 또는 격납부(80)로부터 수취하는 영화, 음악 등의 부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 버퍼(100)에 격납한다. 온 스크린 버퍼(102)에는,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48)에서 생성된 메뉴화면과 배경화면의 화상 데이터가 온 스크린 표시 용 화상 데이터로서 격납된다. 합성 처리부(98)는 출력 버퍼(100)에 격납된 재생 데이터와 온 스크린 버퍼(102)에 격납된 메뉴화면 및 배경화상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고, 이것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텔레비전 수상기(30)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48)는 재생기능의 종류와 각 재생기능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항목을 메뉴 항목으로서 관리하는 메뉴 관리부(104), 각 컨텐츠의 재생 또는 실행을 제어하는 컨텐츠 제어부(106), 메뉴화면에 있어서의 아이콘의 동작을 처리하는 이펙트 처리부(108),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메뉴화면 생성부(110) 및 메뉴화면이나 재생화면의 배경에 표시하는 배경화상을 생성하는 배경 생성부(112)를 포함한다.
메뉴 관리부(104)는 격납부(80)에 보존된 컨텐츠의 항목과 입출력부(44) 경유로 입력되는 컨텐츠의 항목을 기억함과 함께, 현재 선택중인 재생기능 및 컨텐츠를 기억한다. 여기서 말하는 재생기능에는, 예를 들면 정지영상 재생기능, 음악 재생기능, 동화상 재생기능, 방송 표시기능, 게임 실행기능이 있으며, 또한 각종 설정기능과 네트워크장치 선택기능도 포함된다. 또, 메뉴 관리부(104)는 컨텐츠의 항목을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와 복수의 폴더 아이콘에 관련시키는 작업을 한다. 컨텐츠 제어부(106)는 조작부(40)가 취득한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재생기능의 전환, 컨텐츠의 재생 개시 및 정지, 입출력부(44)에 의한 데이터 입력, 격납부(80)로부터의 데이터 읽어내기, 게임 실행부(82)에 의한 처리를 제어한다.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이 수평방향으로 늘어선 배열과, 복수의 폴더 아이콘이 수직방향으로 늘어선 배열로 구성되는 메뉴화면을 생성한다. 이들 두 배열은 화면중앙 근방에서 교차해서 십자배열을 형성한다.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십자배열의 교차 위치 및 그 근방에 표시되는 기능 아이콘과 폴더 아이콘을 다른 아이콘과 외관상 구별할 수 있도록 강조해서 표시한다. 또한,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복수의 폴더 아이콘 각각에 대해서, 관련하는 컨텐츠를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의 하나를 폴더중첩화상으로서 격납부(80)로부터 취득하고, 폴더중첩화상이 폴더 아이콘에 내포되도록 폴더중첩화상과 폴더 아이콘을 겹쳐서 표시한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기능 아이콘, 폴더 아이콘, 컨텐츠 아이콘의 배열의 스크롤 표시, 주목하는 기능 아이콘, 폴더 아이콘 및 컨텐츠 아이콘의 강조 표시를 처리한다. 아이콘의 강조 표시는, 예를 들면 다른 아이콘과 다른 색채에 의한 표시와 그 변화, 아이콘의 확대 표시와 그 상태로 천이하는 움직임 등, 다른 아이콘과 다른 형식에 의해 표현된다. 배경 생성부(112)는 메뉴화면과 재생화면의 배경으로서, 화면 내에 구성되는 가상적인 삼차원 공간 내에서 변형하는 장식 오브젝트가 묘화된 배경화상을 생성한다.
게임 실행부(82)는 디스크 제어부(88)에 의해 광디스크(36)로부터 읽어내는 게임 프로그램 또는 격납부(80)로부터 읽어내는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게임 실행부(82)는 조작부(40)에 의해 취득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게임 프로그램의 동작을 처리함과 함께, 게임의 영상 및 음성을 표시 출력부(46)로 보낸다.
도 3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 의해 생성되는 메뉴화면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뉴화면(50)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기능 아이콘이 늘어선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폴더 아이콘(120) 및 폴더중첩화상(122)이 늘 어선 폴더 아이콘 배열(72)이 교차하는 이차원 배열이 표시된다. 기능 아이콘 배열(70)에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의 재생기능의 종류를 상징하는 마크로서, 사진 아이콘(52), 음악 아이콘(54), 동화상 아이콘(56), 게임 아이콘(62), 설정 아이콘(60)이 포함된다. 폴더 아이콘 배열(72)에는 격납부(80)에 격납된 복수의 컨텐츠를 소정의 표시 단위로 분별해서 메뉴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폴더 아이콘이 포함된다. 기능 아이콘 배열(70) 및 폴더 아이콘 배열(72)로 구성되는 메뉴화면은 온 스크린 표시이며, 컨텐츠 영상의 앞면에 서로 겹쳐져 표시된다. 배경영역(160)에 현재 재생중의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이펙트 처리부(108)는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의 영역 전체에, 배경화상과의 외관상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채색을 실시해도 되며, 또 컨텐츠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외관상의 구별을 용이하게 해도 된다.
폴더 아이콘(120)은 현실세계의 CD나 DVD 등의 반투명의 케이스를 표현한 텍스쳐 데이터이며, 폴더중첩화상(122)은 예를 들면 폴더 아이콘에 관련하는 컨텐츠의 컨텐츠 아이콘 중 이름순으로 소트했을 때에 가장 선두에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컨텐츠 아이콘 중에서 폴더중첩화상으로서 표시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컨텐츠 아이콘은 예를 들면 케이스에 첨부되는 쟈켓 화상의 섬네일(thumbnail)이다.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이 교차하는 영역(교차영역; 76)에 위치하는 기능 아이콘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기능 아이콘과 다른 색채로 확대 표시된다. 교차영역(76)은 메뉴화면(50)의 소정 위치에 거치되며, 조작 부(40)를 통한 사용자의 좌우 방향의 지시에 따라 기능 아이콘 배열(70) 전체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교차영역(76)에 위치한 기능 아이콘의 색채와 아이콘 크기가 변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우의 방향지시를 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재생기능을 선택할 수 있어, PC상에서 통상 행해지는 마우스의 클릭 조작과 같은 결정 지시는 불필요하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기능 아이콘의 좌우 방향의 이동을 기능 아이콘 배열(70)의 영역 전체를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함으로써 실현된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각 기능 아이콘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동안은 이들을 같은 색, 같은 크기로 표시하지만, 교차영역(76)에 위치하는 기능 아이콘만 그 색채와 크기를 변화시킨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색채의 변화로서, 기능 아이콘의 명도, 채도, 색상 등의 요소를 변화시켜도 되고, 점멸 표시하는 것에 의해 색채를 변화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교차영역(76)에 위치하는 기능 아이콘을 그 밖의 기능 아이콘과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미디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기능 아이콘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중으로서 교차영역(76)에 어느 기능 아이콘도 위치하고 있자 않을 때에는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표시시키지 않는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어느 기능 아이콘이 교차영역(76)에 위치했을 때에,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교차영역(76)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풀어내듯이 전개시켜 표시하거나, 또는 전개가 끝난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메뉴화면(50)에 페이드인(fade in)시켜도 된다. 이 페이드인은 전개시킨 상태의 폴더 아이콘 배열(72)의 아이콘에 블러(blur)를 준 불명료한 화상을 점차 명료하게 해 간 다. 즉, 아이콘에 적용하는 필터의 강도를 시간경과에 따라 서서히 감소시켜 간다. 또는, 폴더 아이콘과 폴더중첩화상이 폴리곤에 텍스쳐를 붙여 구성된 오브젝트인 경우는, 폴리곤의 Z값을 초기값부터 점차 크게 또는 작게 함으로써, 전개시킨 상태의 폴더 아이콘 배열(72)이 화면 수직축의 앞 또는 뒤쪽 방향부터 메뉴화면이 정의되어 있는 레벨까지 하강 또는 상승해 가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또는, 텍스쳐의 α값을 초기값부터 점차 크게 해 감으로써, 전개시킨 상태의 폴더 아이콘 배열(72)이 투명한 상태에서 서서히 불투명해져 가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또한, 화면의 우단이나 좌단으로부터 전개시킨 상태의 폴더 아이콘 배열(72)이 교차영역(76)까지 이동해 오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상기의 표시 형태를 복수 조합해도 된다.
사용자는 교차영역(76)을 목표 지점으로 해서 기능 아이콘을 좌우로 스크롤 조작하는 것만으로 그 재생기능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폴더 아이콘 배열(72)이 표시된 상태로 좌우 방향의 지시가 있었을 경우, 이펙트 처리부(108)는 전개되어 있던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교차영역(76)을 향해 수납하는 것 같은 움직임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전개된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메뉴화면(50)으로부터 페이드아웃시킨다. 페이드아웃의 방법은 페이드인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메뉴화면(50)의 중앙 근방에 위치하는 주목영역(77)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대상이 되는 아이콘이 표시되어야 할 영역이다.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이 주목영역(77)의 근방위치, 즉 주목영역(77)의 바로 위에 교차영역(76)이 위치하도록 기능 아이콘 배열(70)을 표시한다. 주목영역(77)은 폴더 아이콘 배열(72)의 일부를 구성한다.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상하 방향의 지시를 취득하는 동안은, 그 지시에 따라 각 폴더 아이콘(120) 및 폴더중첩화상(12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폴더 아이콘(120) 및 폴더중첩화상(122)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폴더 아이콘 배열(72)의 영역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시킴으로써 실현한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각 폴더 아이콘(120) 및 폴더중첩화상(1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안은 이들을 같은 크기로 표시하지만, 주목영역(77)에 위치하는 폴더 아이콘과 폴더중첩화상(122)만은 주목 아이콘으로서 크기를 확대시킨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주목 아이콘의 명도, 채도, 색상 등의 요소를 더 변화시켜도 되고, 점멸 표시해도 된다. 그 밖의 폴더 아이콘(120) 및 폴더중첩화상(122)은 주목 아이콘보다 작은 크기로 표시된다. 주목영역(77)의 근방위치, 즉 오른쪽에는 폴더 아이콘(120)의 뷰(view)에 관한 폴더 정보(74)가 표시된다.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기능 아이콘 배열(70)을 메뉴화면(50)의 수직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다소 윗쪽에 표시함과 함께,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메뉴화면(50)의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다소 왼쪽에 표시한다.
사진 아이콘(52)은 정지영상 재생기능을 상징하며, 정지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선택되어야 할 아이콘이다. 재생 대상이 되는 화상은 주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된 정지영상으로서,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38)로부터 읽어들인다. 사진 아이콘(52)이 교차영역(76)에 위치했을 때에 전개되어 표시되는 폴더중첩화상(122)은 예를 들면 정지영상의 섬네일이다. 폴더중첩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적당한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사진 아이콘(52)을 폴더중첩화상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폴더 정보(74)로서 정지영상을 촬영한 월, 년, 앨범, 가나다순, 전체 사진과 같은 뷰 정보나 정지영상의 매수가 표시되며, 컨텐츠 정보로서 촬영일이나 파일 크기 등의 촬영 정보가 표시된다.
음악 아이콘(54)은 음악 재생기능을 상징하며,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선택되어야 할 아이콘이다. 재생 대상이 되는 음악 데이터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36)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가 특정한 압축 형식으로 부호화되어서 생성된다. 음악 아이콘(54)이 교차영역(76)에 위치했을 때에 전개되어 표시되는 폴더중첩화상(122)은, 예를 들면 벤더에 의해 음악 데이터와 함께 배포되는 악곡의 쟈켓 화상의 섬네일이나, 음악 데이터의 일부로부터 소정의 처리에 따라서 생성되는 비쥬얼 이펙트 화상의 섬네일 등이다. 폴더중첩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적당한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음악 아이콘(54)을 폴더중첩화상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폴더 정보(74)로서 쟝르, 앨범, 아티스트, 수록년, 가나다순, 전체 음악과 같은 뷰 정보나 음악 데이터의 수가 표시되며, 컨텐츠 정보로서 악곡명, 앨범 타이틀, 재생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동화상 아이콘(56)은 동화상 재생기능을 상징하며, 동화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선택되어야 할 아이콘이다. 재생 대상이 되는 동화상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녹화 영상, 광디스크(36)나 외부기기로부터 읽어낸 영상이며, 특정한 압축 형식으로 부호화되어 있다. 동화상 아이콘(56)이 교차영역(76)에 위치했을 때에 전 개되어 표시되는 폴더중첩화상(122)은, 예를 들면 벤더에 의해 동화상과 함께 배포되는 쟈켓 화상의 섬네일이나, 동화상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의 섬네일 등이다. 섬네일은 동화상이어도 된다. 폴더중첩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적당한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동화상 아이콘(56)을 폴더중첩화상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폴더 정보(74)로서 쟝르, 아티스트, 동화상을 촬영한 월, 년, 가나다순, 전체 영상과 같은 뷰 정보나 동화상의 수가 표시되며, 컨텐츠 정보로서 동화상 이름, 기록일, 재생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게임 아이콘(62)은 게임 실행 기능을 상징하며,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에 선택되어야 할 아이콘이다. 실행 대상은 격납부(80)에 격납된 게임 프로그램 또는 광디스크(36)로부터 읽어들인 게임 프로그램이다. 게임 아이콘(62)이 교차영역(76)에 위치했을 때에 전개되어 표시되는 폴더중첩화상(122)은, 예를 들면 벤더에 의해 게임 프로그램과 함께 배포되는 쟈켓 화상의 섬네일, 게임 프로그램을 상징하는 아이콘, 게임 내에서 제공되는 동화상을 구성하는 임의의 프레임의 섬네일, 게임 캐릭터 화상의 섬네일 등이다. 섬네일은 동화상이어도 된다. 폴더중첩화상으로서 사용하는 적당한 화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게임 아이콘(62)을 폴더중첩화상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폴더 정보(74)로서 쟝르, 가나다순, 전체 프로그램과 같은 뷰 정보나 프로그램의 수가 표시되며, 컨텐츠 정보로서 게임 프로그램의 타이틀, 프로그램 설치일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설정 아이콘(60)은 각종 설정 기능을 상징하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의 각종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선택되어야 할 아이콘이다.
메뉴화면의 배경에는 배경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배경화상을 배경영역(160)에 표시한다. 배경 생성부(112)는 화면 내의 가상적인 삼차원 공간 내에서 소정의 법칙에 따라서 변형하는 장식 오브젝트(162)와 그 이외의 부분인 배경 오브젝트를 서로 겹쳐서 하나의 배경화상을 생성한다. 배경 생성부(112)는 장식 오브젝트(162)를 사용하지 않고 소정의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배경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도 4는 메뉴화면(50)의 내용이 천이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의 상태로부터,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선택 지시를 취득하면, 이펙트 처리부(108)는 주목영역(77)에 있는 폴더 아이콘(120)으로부터, 그 내부에 겹쳐져 표시되어 있는 폴더중첩화상(122)을 폴더 아이콘 배열(7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하도록 동작시킨다. 도 4에서는 폴더중첩화상(122)은 우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폴더중첩화상(122)을 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표시하는 한편,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양자의 교차를 유지한 상태로 조금 좌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폴더중첩화상만을 우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은 이동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도 5는 도 3으로부터의 메뉴화면(50)의 천이의 계속이며, 사용자에 의한 폴더 아이콘(120)의 선택 지시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 아이콘 배열(70)이 좌방향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설정 아이콘(60)의 일부가 메뉴화면(50)에 표시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주목영역(77)도 메뉴화면(50)의 중심에서 좌방향으로 떨어져 표시되어 있다. 폴더 아이콘(120)으로부터 인출된 폴더중첩화상(122)은 주목영역(77)의 우측에 위치한다. 이 위치는 새롭게 제2주목영역(79)이 된다.
폴더 아이콘 배열(72)의 우측에는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이 배치된다. 주목영역(77)의 폴더 아이콘(120)에 관련되어 있는 컨텐츠 항목을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124)이 격납부(80)로부터 취득되어 메뉴화면(50)에 표시된다.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은 폴더중첩화상(122)이 우방향으로 인출된 후에 제2주목영역(79)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풀어내듯이 전개되어 표시되어도 되지만, 폴더 아이콘 배열(72)과 평행하게 전개가 끝난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을 폴더중첩화상(122)의 우방향으로의 이동과 함께 페이드인하도록 표시시키는 쪽이 바람직하다. 후자이면,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이 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메뉴화면(50)에 생기는 움직임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어려워 사용자의 주의를 제2주목영역(79)으로 모으기 쉬워진다.
페이드인은, 상하 방향으로 전개시킨 상태의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의 아이콘에 블러를 준 불명료한 화상을 점차 명료하게 해 간다. 즉, 아이콘에 적용하는 필터의 강도를 시간경과에 따라 서서히 감소시켜 간다. 또는, 컨텐츠 아이콘이 폴리곤에 텍스쳐를 붙여 구성된 오브젝트인 경우는, 폴리곤의 Z값을 초기값부터 점차 크게 또는 작게 함으로써, 전개시킨 상태의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이 화면 수직축의 앞 또는 뒤쪽 방향부터 메뉴화면이 정의되어 있는 레벨까지 하강 또는 상승해 가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또는, 텍스쳐의 α값을 초기값부터 점차 크게 해 감으로써, 전개시킨 상태의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이 투명한 상태에서 서서히 불투명해져 가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또한, 화면의 우단이나 좌단으로부터 전 개시킨 상태의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이 폴더 아이콘 배열(72)의 우측까지 이동해 오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상기의 표시 형태를 복수 조합해도 된다.
도 5의 단계에서는 폴더 아이콘(120)으로부터 인출된 폴더중첩화상(122)은 컨텐츠 아이콘(124)의 하나로서 나타난다. 폴더중첩화상(122)은 원래 폴더 아이콘(120)에 관련된 컨텐츠의 컨텐츠 아이콘에서 선택된 것이기 때문이다.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124)을 선택하면, 대응하는 컨텐츠 항목이 재생된다.
제2주목영역(79)에 위치하는 컨텐츠 아이콘(124)도 주목영역(77)과 동일하게 이펙트 처리부(108)에 의해 강조 표시된다.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상하 방향지시를 취득하면, 이펙트 처리부(108)에 의해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이 상하로 이동하고, 제2주목영역(79)에 들어간 컨텐츠 아이콘(124)이 강조 표시된다. 또한, 컨텐츠 아이콘(124)의 우측에는, 대응하는 컨텐츠의 항목에 관한 정보(140)로서, 예를 들면 곡명이나 연주 시간이 표시된다.
사용자의 선택 지시에 따라 폴더 아이콘(120)으로부터 폴더중첩화상(122)이 인출된 후, 또는 그 동안에, 이펙트 처리부(108)는 기능 아이콘 배열(70) 및 폴더 아이콘 배열(72)에 포함되는 기능 아이콘(52∼6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폴더 아이콘 이외의 폴더 아이콘(120), 및 폴더 아이콘(120)과 겹쳐져 표시되어 있는 폴더중첩화상(122)에 대하여, 화상을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처리 효과를 주는 소정의 필터를 적용해서 얻어진 화상을 폴더 아이콘 선택전의 아이콘 또는 화상 대신에 표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필터는 예를 들면 화상 크기를 축소하는 효과, 화소 의 휘도값을 작게 해서 표시를 엷게 하는 효과, 블러를 주어 언포커스시키는 효과 등을 주는 것이며, 이들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필터를 적용하는 대신에, 대상이 되는 기능 아이콘, 폴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이, 폴리곤에 텍스쳐를 붙여 구성된 오브젝트인 경우는, 텍스쳐의 α값을 작게 해서 반투명상태로 하거나, Z값을 조작해서 오브젝트를 화면 수직축의 뒤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해도 된다.
화상을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필터를 적용할 때, 대상이 되는 기능 아이콘, 폴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에 대하여 각각 필터를 적용해서 얻어진 화상을 필터 적용전의 화상과 치환함으로써, 폴더 아이콘 선택후의 메뉴화면을 생성해도 된다. 또는, 폴더 아이콘 선택전에 메뉴화면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메뉴화면(50) 전체에 대하여 화상을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필터를 적용해서 얻어진 것을 폴더 아이콘 선택후의 메뉴화면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도 5의 예에서는,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에 포함되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은, 주목영역(77)의 폴더 아이콘(120) 이외는 폴더 선택전인 도 4의 것보다도 크기가 작게 또한 엷게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를 함으로써, 현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고, 당장에 사용자에 의해 주목받을 필요가 없는 아이콘을 두드러지지 않게 할 수 있어, 따라서 사용자의 주목을 제2주목영역(79)에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교차영역(76)에 위치하는 기능 아이콘(도 4에서는 음악 아이콘(54))이 현재 선택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폴더 아이콘 선택의 전후에서 크기를 변경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는, 교차영역(76)에 위치하는 기능 아이콘과 주목영역(77)에 위치하는 폴더 아이콘을, 폴더 아이콘이 선 택되었을 때에 다른 아이콘과 함께 크기를 축소해서 표시해도 된다.
또,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선택 지시가 이루어질 때에, 선택된 것 이외의 아이콘을 작게 또한 언포커스해서 표시함으로써, 선택된 아이콘 이외의 아이콘이 사용자의 시점에서 봤을 때 화면 수직축의 뒤쪽측으로 이동하는 것 같은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뉴화면(50) 내에 가상적으로 구성된 삼차원 공간 내에서 메뉴 조작을 하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어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다.
제2주목영역(79)에 표시된 컨텐츠 아이콘(124)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 결정을 조작부(40)가 취득하면,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비표시로 하고, 컨텐츠 제어부(106)는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 제어한다.
도 6은 컨텐츠 항목을 선택했을 때의 화면의 천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경 생성부(112)는 메뉴화면(50)에서 컨텐츠 재생화면(51)으로 천이할 때, 기능 아이콘 배열(70), 폴더 아이콘 배열(72),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을 비표시로 하지만, 메뉴화면(50)에서 이미 표시되어 있던 장식 오브젝트(162)에 대해서는 그대로 컨텐츠 재생화면(51)에서도 계속해서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메뉴화면과 컨텐츠 재생화면과의 사이에서 고르게 연속하는 모습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 화면 사이의 단절을 간취하기 어려워져 재생되는 컨텐츠 항목에 집중하기 쉬워진다. 배경 생성부(112)는 선택된 컨텐츠 항목의 컨텐츠 아이콘(124)을 컨텐츠 재생화면(51)의 왼쪽 아래 구석에 표시하고, 그 우측에는 선택된 컨텐츠 항목의 정보(146)를 표시한다. 컨텐츠의 재생이 개시되면, 배경 생성부(112)는 재 생중의 컨텐츠의 출력 특징량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파라미터에 따라서 장식 오브젝트(162)를 배경영역(160)에서 동작시킨다.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의 재생 결정을 취득했을 때, 배경 생성부(112)는, 메뉴화면(50)에서 컨텐츠 재생화면(51)으로 천이할 때에, 사용자의 시점에서 봤을 때 삼차원 공간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 같은 시각적 효과 또는 앞측으로 되돌아오는 것 같은 시각적 효과가 얻어지는 영상을 이용해서 배경화상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장식 오브젝트(162)의 제어 파라미터에 계수를 곱함으로써 크기를 변경시키거나, 배경화면이 뒤쪽방향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앞쪽으로 튀어나오는 것 같은 동작을 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적인 삼차원 공간 내를 뒤쪽 또는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 같은 세계관을 주어, 사용자가 컨텐츠의 내용에 쉽게 몰두하게 한다.
또, 배경 생성부(112)는 사용자가 재생을 결정한 컨텐츠의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 아이콘(124)의 색조를 추출하여, 그 색조와 동일 계통의 색조가 되도록 배경화상을 구성하는 장식 오브젝트(162) 또는 배경 오브젝트의 색채를 조정해도 된다. 컨텐츠마다의 색조가 배경화상에 반영되기 때문에, 특히 동화상 컨텐츠의 프레임의 섬네일을 컨텐츠 아이콘에 이용하고 있던 경우 등에, 메뉴화면(50)이 표시되어 있을 때의 화면의 분위기와 컨텐츠 재생화면(51)의 분위기와의 연속성을 낼 수 있다. 따라서, 메뉴화면에서 컨텐츠 재생화면으로의 전환이 있어도, 사용자가 컨텐츠의 내용에 몰두하기 쉬워진다.
또한, 배경 생성부(112)는 조작부(4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재생 지시가 취득되었을 때, 배경화상을 구성하는 장식 오브젝트(162) 또는 배경 오브젝트의 색조를 천이시켜도 된다.
배경 생성부(112)는 컨텐츠의 재생중에 그 컨텐츠의 출력 특징량이나, 사용자에 의한 컨트롤러(42)의 버튼 조작에 따라 장식 오브젝트(162)를 변형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나 동화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는, 음성 데이터의 스펙트럼을 파라미터로서 장식 오브젝트(162)를 변형시킨다. 또는, 사용자에 의한 결정, 취소, 이동 등의 버튼 조작에 따라 장식 오브젝트(162)의 제어 파라미터를 변화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메뉴화면과 컨텐츠 재생화면에서 동일한 장식 오브젝트를 사용함으로써 양자의 세계관에 연속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메뉴화면에서 컨텐츠 재생화면으로의 전환이 있어도, 사용자가 컨텐츠의 내용에 몰두하기 쉬워진다.
컨텐츠 재생중에 조작부(4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패널 표시 지시가 취득되면, 재생화면 생성부(96)는 컨텐츠의 재생, 정지, 일시정지, 빨리보내기, 되돌리기 등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 화상(148)을 컨텐츠 재생화면(51)에 페이드인시킨다(도 7 참조). 페이드인 할 때에 이용하는 수법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이 때도 장식 오브젝트(162)는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서 동작을 계속한다.
컨텐츠 재생중에 사용자가 조작부(40)를 통해서 메뉴화면의 호출을 지시하면, 컨텐츠 재생중의 화면에 메뉴화면이 겹쳐져 표시된다. 여기서 표시되는 메뉴화면에는 컨텐츠가 재생 결정되었을 때의 상태가 재현된다.
도 8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옵션 메뉴를 표시시킨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 낸다. 조작부(4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옵션 메뉴 표시의 지시가 취득되면,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옵션 메뉴(142)를 생성한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옵션 메뉴(142)를 메뉴화면(50)에 페이드인하도록 표시한다. 페이드인은, 상하 방향으로 항목을 배치한 옵션 메뉴(142)의 화상에 블러를 준 불명료한 화상을 점차 명료하게 해 간다. 즉, 화상에 적용하는 필터의 강도를 시간경과에 따라 서서히 감소시켜 간다. 또는, 옵션 메뉴(142)가 폴리곤에 텍스쳐를 붙여 구성된 오브젝트인 경우는, 폴리곤의 Z값을 초기값부터 점차 크게 또는 작게 함으로써, 옵션 메뉴(142)가 화면 수직축의 앞쪽 또는 뒤쪽 방향부터 메뉴화면이 정의되어 있는 레벨까지 하강 또는 상승해 가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또는, 텍스쳐의 α값을 초기값부터 점차 크게 해 감으로써, 옵션 메뉴(142)가 투명한 상태에서 서서히 불투명해져 가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또한, 화면의 우단이나 좌단으로부터 옵션 메뉴(142)가 폴더 아이콘 배열(72)의 우측까지 이동해 오는 것 같은 표시를 해도 된다. 상기의 표시 형태를 복수 조합해도 된다.
이 때, 이펙트 처리부(108)는 기능 아이콘 배열(70), 폴더 아이콘 배열(72), 및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에 포함되는 아이콘에 대하여, 화상을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처리 효과를 주는 소정의 필터를 적용해서 얻어진 화상을 옵션 메뉴(142)의 표시전의 아이콘 또는 화상 대신에 표시시킨다. 이 필터는, 예를 들면 화상 크기를 축소하는 효과, 화소의 휘도값을 작게 해서 표시를 엷게 하는 효과, 블러를 주어 언포커스시키는 효과 등을 주는 것으로서, 이들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필터를 적용하는 대신에, 대상이 되는 기능 아이콘, 폴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이 폴리 곤에 텍스쳐를 붙여 구성된 오브젝트인 경우는, 텍스쳐의 α값을 작게 해서 반투명상태로 하거나, Z값을 조작해서 오브젝트를 화면 수직축의 뒤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해도 된다.
옵션 메뉴(142)에 있어서 표시되는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한 어느 하나의 선택 지시가 조작부(40)에 의해 취득되면,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제2옵션 메뉴(144)를 생성한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제2옵션 메뉴(144)를 블러가 주어진 상태로부터 서서히 명료해지도록 하여, 메뉴화면(50)에 페이드인하도록 해서 옵션 메뉴(142)의 우측에 표시한다. 이 때, 이펙트 처리부(108)는 기능 아이콘 배열(70), 폴더 아이콘 배열(72), 및 컨텐츠 아이콘 배열(78)에 포함되는 아이콘에 대하여, 화상을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처리 효과를 주는 소정의 필터를 적용해서 얻어진 화상을 제2옵션 메뉴(144)의 표시전의 아이콘 또는 화상 대신에 표시시킨다.
옵션 메뉴(142) 및 제2옵션 메뉴(144)는 온 스크린 표시이며, 컨텐츠 영상이나 배경화상의 앞면에 겹쳐져 표시된다. 이펙트 처리부(108)는 옵션 메뉴(142) 및 제2옵션 메뉴(144)의 영역 전체에 배경화상과의 외관상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채색을 실시해도 되며, 또 컨텐츠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외관상의 구별을 용이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폴더나 옵션 메뉴에 있어서 계층을 내릴 때마다, 그 이전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은 보다 두드러지지 않게 되도록 작고, 보다 불명료한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즉, 현재 조작에 관계가 적은 아이콘일수록 화면상의 가상적인 삼차원 공간에 있어서 화면 수직축의 뒤쪽 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표시된다. 반대로, 계층을 올리면, 아이콘은 보다 크고, 보다 명료한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옵션 메뉴(142) 중의 '뷰 전환'을 선택하면, 폴더 아이콘에 관련되는 컨텐츠의 뷰가 변경된다. 도 8에 있어서, 제2주목영역(79)에 위치하는 컨텐츠 아이콘은 음악 데이터이기 때문에, 뷰의 종류로서 제2옵션 메뉴(144)에 '쟝르', '앨범', '아티스트', '전체'의 4개의 뷰가 나타나 있다. 제2주목영역(79)에 위치하는 컨텐츠 아이콘이 예를 들면 포토 데이터이면, 뷰의 종류로서, '월', '년', '앨범', '가나다순', '전체'의 뷰가 제2옵션 메뉴(144)에 표시되어도 된다.
도 9는 컨텐츠의 항목과 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더 아이콘은 어느 하나의 컨텐츠 재생기능에 대응하는 컨텐츠 항목의 표시 단위로서의 역할을 가진다. 또, 뷰는 컨텐츠 항목의 분류 또는 구분 양상(aspect)을 나타내고 있다.
표(150)에 있어서, 컨텐츠 열(152)은 음악 데이터의 컨텐츠 항목(즉 악곡 데이터)의 명칭을 나타내고, 쟝르 열(154), 아티스트 열(156), 앨범 열(158), 수록년 열(159)은 각각 컨텐츠 열(152)에 있어서의 컨텐츠 항목의 쟝르, 아티스트, 수록 앨범, 수록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쟝르, 아티스트, 앨범이 '뷰'에 상당한다. 따라서, 쟝르 뷰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메뉴 관리부(104)는 컨텐츠 항목을 쟝르마다 다른 폴더 아이콘에 관련짓는다. 즉, 컨텐츠 항목 'aaa', 'bbb', 'eee'는 'J-POP' 폴더 아이콘에 관련지어지고, 컨텐츠 항목 'fff', 'ggg', 'hhh'는 'Country' 폴더 아이콘에 관련지어진다. 이러한 폴더 아이콘들이 도 3에서 나타낸 폴더 아이콘 배열(72)로서 메뉴화면(50)에 표시된다. 사용자에 의해 다른 뷰 예를 들면 앨범 뷰가 선택되면, 메뉴 관리부(104)는 컨텐츠 항목을 앨범마다 다른 폴더 아이콘에 관련짓는다. 예를 들면, 컨텐츠 항목 'fff', 'ggg', 'hhh'는 이번에는 'ζ'의 폴더 아이콘에 관련지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이면, 'α', 'β', 'γ', 'δ', 'ε', 'ζ'의 각 폴더 아이콘이 도 3에서 나타낸 폴더 아이콘 배열(72)로서 메뉴화면(50)에 표시된다. 사용자에 의해 아티스트 뷰가 선택되면, 메뉴 관리부(104)는 컨텐츠 항목을 아티스트마다 다른 폴더 아이콘에 관련짓는다. 예를 들면, 컨텐츠 항목 'ggg', 'hhh'는 이번에는 'F'의 폴더 아이콘에 관련지어진다. 수록년 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컨텐츠 항목 'fff', 'ggg', 'hhh'가 뷰에 따라 공통 폴더 아이콘에 관련지어지거나, 다른 폴더 아이콘에 관련지어지거나 한다.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에 따라서는 폴더 아이콘에 관련되는 컨텐츠가 하나밖에 없는 경우도 있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에 하나로 통합된 영상 데이터만이 격납되어 있는 광디스크(36)를 삽입한 경우에는, 동화상 아이콘(56)의 하측에 하나의 폴더 아이콘이 표시되고, 그 아이콘을 주목영역에 배치해도 제2주목영역(79)에 하나의 컨텐츠 아이콘밖에 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더 아이콘에 관련되는 컨텐츠 항목의 분류는 컨텐츠 항목의 격납 장소와는 무관계인 것에 주의한다. 메뉴 관리부(104)는 격납부(80)나 외부기기(37, 39), 광디스크(36) 등에 있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그 시점에서 선택되어 있는 뷰에 따라서 각 컨텐츠 항목을 폴더 아이콘에 관련짓는 작업을 실행한다.
또한, 뷰의 종류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사진 컨텐츠나 동화상 컨텐츠에 관련되는 폴더 아이콘의 뷰로서 '쟝르'나 '촬영자'를 정의하거나, 또는 음악 컨텐츠에 관련되는 폴더 아이콘의 뷰로서 기록한 월이나 년 등의 뷰를 정의해도 된다.
도 3∼9에서는, 기능 아이콘으로서 음악 아이콘(54)을 선택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그 밖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10은 기능 아이콘 배열(70) 중에서 사진 아이콘(52)을 교차영역(76)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메뉴화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사진 아이콘(52)이 강조 표시되고, 그 하부에 폴더 아이콘(130)과 폴더중첩화상(132)이 겹쳐져 표시되어 있다. 폴더중첩화상(132)은 폴더 아이콘(130)에 관련된 어느 포토 데이터의 섬네일이다. 폴더 아이콘(130)은 도 3∼5의 정방형의 폴더 아이콘(120)과 달리, 포토 데이터의 섬네일에 맞추어 가로로 긴 장방형이다. 폴더 아이콘(130)의 우측에는 폴더 정보(134)로서 뷰와 데이터 수가 표시된다. 도 10에서는, 뷰로서 '전체'가 선택되어 있으므로, 모든 포토 데이터가 하나의 폴더 아이콘(130)에 관련되어 있으며, 따라서 하나의 폴더 아이콘(130)만이 폴더 아이콘 배열(72)로서 표시된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메뉴화면이 천이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조작부(40)가 사용자로부터 뷰 전환의 지시를 취득하면, 메뉴 관리부(104)는 전환된 뷰에 따라서 컨텐츠의 항목을 분류하고, 복수의 폴더 아이콘(130)에 관련짓는다. 도 11에서는, '월 '의 뷰가 선택된 것으로 하고, 따라서,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촬영 월별로 컨텐츠의 항목을 분별해서 관련된 복수의 폴더 아이콘(130)을 교차영역(76)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고,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형성한다. 폴 더 아이콘(130)에 관련된 컨텐츠 항목의 컨텐츠 아이콘이 하나 선택되어, 폴더중첩화상(132)으로서 폴더 아이콘(130)에 겹쳐져 표시된다. 주목영역(77)에 있어서의 폴더 아이콘(130)과 폴더중첩화상(132)은 강조 표시되고, 그 우측에 폴더 정보(134)로서 뷰와 데이터 수가 표시된다. 그 밖의 폴더 아이콘(130)의 우측에도 뷰의 정보, 즉 촬영 월이 표시된다.
폴더 아이콘(130)에 중첩하여 뷰에 관한 문자정보(136)가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주목영역(77)의 폴더 아이콘(130)에는, 메뉴화면 생성부(110)에 의해 뷰 정보로서 '12 2005'가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폴더 아이콘(130)에 관련된 컨텐츠의 성질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2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의 전원을 투입하면, 네트워크 제어부(86)는 네트워크 케이블(34)을 통해서 LAN(35) 상의 외부기기를 검출하고(S6), 외부기기 및 격납부(80)로부터 컨텐츠의 항목을 검출한다(S8). 메뉴화면 생성부(110)는 기능 아이콘이나 컨텐츠 아이콘 등의 아이템을 격납부(80)로부터 취득해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이것을 표시 출력부(46)가 텔레비전 수상기(30)로 표시시킨다(S10).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좌우 어느 한 방향지시를 취득하면(S12Y), 그 지시에 따라 이펙트 처리부(108)는 기능 아이콘을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며(S14), 교차영역(76)에 위치한 기능 아이콘을 강조 표시시킴과 함께(S16), 그 재생기능에 대응하는 폴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을 격납부(80)나 외부기기로부터 취득해서 이들을 상하 방향으로 전개시켜 표시시킨다(S18). 사용자에 의한 좌우 방향의 지시가 없는 동안은 S14은 스킵된다(S12N).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상하 어느 하나의 방향지시를 취득하면(S20Y), 그 지시에 따라 이펙트 처리부(108)는 폴더 아이콘을 상하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며(S22), 교차영역(76) 바로 아래의 주목영역(77)에 위치한 폴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을 강조 표시시키고(S24), 폴더에 관한 정보(140)를 오른쪽에 표시시킨다(S26). 사용자에 의한 상하 방향의 지시가 없는 동안은 S22은 스킵된다(S20N).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폴더 선택의 지시를 취득하면(S28Y), 그 지시에 따라 이펙트 처리부(108)는 폴더 아이콘으로부터 폴더중첩화상을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며(S30), 선택된 폴더에 관련되어 있는 컨텐츠 항목의 컨텐츠 아이콘을 상하 방향으로 전개시켜 표시시킨다(S32). 또한, 제2주목영역(79)에 위치한 컨텐츠 아이콘을 강조 표시시키고, 각 컨텐츠 항목에 관한 정보(140)를 오른쪽에 표시시킨다(S34). 사용자에 의한 폴더 선택의 지시를 취득할 때까지는, S12∼S26의 처리를 반복한다(S28N).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재생 결정 지시를 취득할 때까지는 S12∼S34의 처리를 반복하며(S36N), 조작부(40)가 컨텐츠 재생 결정 지시를 취득하면(S36Y), 컨텐츠 제어부(106)는 주목영역(77)에서 강조 표시된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시킨다(S38). 또, 배경 생성부(112)는 메뉴화면에서 컨텐츠의 재생화면으로의 천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시점에서 봤을 때 안측으로 들어가는 것 같은 시각적 효과를 가지는 연출을 표시한다(S40). 컨텐츠 재생중에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메뉴화면의 호출 지시를 취득했을 때(S42Y), S10으로 점프하여 S10∼S40의 처리를 재차 실행한다. 사용자에 의한 메뉴화면의 호출 지시가 없으면 컨텐츠의 재생은 계속되며(S42N), 그 컨텐츠 재생중에 조작부(40)가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재생 정지의 지시를 취득하면, 컨텐츠 제어부(106)는 컨텐츠 재생을 정지시킨다(S44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는 메뉴화면(50)에 재생기능의 배열과 폴더 아이콘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메뉴 화상을 표시한다. 실제로 표시되는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은 각각 1행 또는 1열이지만, 상하 좌우의 스크롤에 의해 잇달아 다른 재생기능에 대응하는 다른 폴더 아이콘 또는 컨텐츠 아이콘이 표시된다. 따라서, 마치 화면 전면(全面)에 걸쳐 다수의 컨텐츠가 매트릭스형상으로 늘어 놓아져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가 늘어선 매트릭스를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원하는 컨텐츠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 같은 감각으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단, 실제로 화면 표시되는 아이콘 수는 적기 때문에, 번잡한 인상을 사용자에게 주는 일은 없다.
또, 폴더 아이콘을 선택하면, 겹쳐져 표시되어 있던 폴더중첩화상이 폴더 아이콘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작이 생기므로, 현실세계에 있어서의 CD나 DVD의 패키지로부터 디스크를 꺼내는 것 같은 감각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폴더 아이콘이 선택되거나 또는 옵션 메뉴 표시가 선택되면, 선택되어 있지 않은 아이콘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지 않도록 화상변환되어 메뉴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스로가 선택하고 있는 계층이나 조작을 메뉴화면 내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폴더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옵션 메뉴를 표시할 때에, 그 이외의 화면표시를 작게 또 언포커스해서 메뉴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 수직축 방향으로 안길이를 느낄 수 있어, 가상적인 삼차원 공간 내에서 메뉴 조작을 하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이 얻어진다.
또, 폴더 아이콘에 관련되는 컨텐츠 항목을 뷰 전환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재생하고 싶은 컨텐츠 항목을 여러 경로로부터 검색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면서 스트레스가 적은 검색이 실현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이 실시예는 예시이며, 그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이하, 변형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실시예에서는, 주목영역(77)의 바로 위에 교차영역(76)이 위치하도록 메뉴화면을 구성하였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주목 아이콘에 시점을 두면서 기능 아이콘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배치 관계이면, 예를 들어 주목영역(77)의 바로 아래나 주변에 교차영역(76)이 위치하도록 메뉴화면을 구성해도 된다.
실시예에서는 메뉴화면(50) 상에서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각각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화면의 안길이를 이용한 배치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능 아이콘 배열(70)과 폴더 아이콘 배열(72)을 화면 내의 가상적인 구면 상에 붙이도록 배치하여, 사용자의 상하 좌우 방향의 지시에 따라서 아이콘이 구면을 따라 회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혹은, 주목영역에 위 치하는 아이콘을 화면 수직축을 따라 가장 앞이 되도록 표시하고, 그 이외의 아이콘은 화면 수직축의 뒤쪽측이 되도록 표시하여, 사용자의 상하 좌우 방향의 지시에 따라서 주목영역으로 이동한 아이콘이 앞쪽으로 튀어 올라 오는 것 같은 형태로 표시해도 된다. 기능 아이콘 배열(70)이나 폴더 아이콘 배열(72)의 안길이를 갖게 한 표시 형태와, 선택한 아이콘 이외를 축소나 언포커스하는 표시 형태를 조합함으로써, 가상적인 삼차원 공간 내에서 메뉴 조작을 하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사용자에게 심어줄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교차영역(76) 및 주목영역(77)이 메뉴화면(50)의 중앙 근방에 위치하도록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를 구성하였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교차영역(76) 및 주목영역(77)의 표시 위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20)는 외부 접속된 텔레비전 수상기(30)에 컨텐츠 재생 지시를 위한 메뉴화면을 표시시켰다. 변형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장치와 일체로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형의 복합기기이어도 된다. 또, 실시예에서 서술한 각종 기능을 발휘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로 실행시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실현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 있어서 직감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가능한 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서 컨텐츠 재생에 관한 지시를 취득하는 조작부;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를 상징하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항목을 상징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의 표시 단위를 상징하는 반투명의 폴더 아이콘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격납부;
    상기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로 출력함과 함께, 상기 조작부에 의해 취득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격납부로부터 취득되는 컨텐츠의 항목을 재생하는 표시 출력부; 및
    상기 격납부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컨텐츠의 항목을 상기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와 복수의 폴더 아이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한 제1배열과, 상기 복수의 폴더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한 제2배열을 포함하는 상기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폴더 아이콘 각각에 대해서, 관련하는 컨텐츠를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의 하나를 폴더중첩화상으로서 상기 격납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메뉴화면의 제2배열에 있어서, 상기 폴더중첩화상이 상기 폴더 아이콘에 내포되도록 상기 폴더중첩화상과 상기 폴더 아이콘을 겹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2배열 중 어느 하나의 폴더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폴더 아이콘 중에서 상기 폴더중첩화상이 인출되도록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2배열 중 어느 하나의 폴더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폴더 아이콘에 관련된 컨텐츠의 컨텐츠 아이콘을 전개시킨 상태의 화상을 메뉴화면 내에서 서서히 명료하게 해 가는 페이드인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2배열 중 어느 하나의 폴더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배열 및 상기 제2배열에 포함되는 기능 아이콘, 선택된 폴더 아이콘 이외의 폴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를, 폴더 아이콘 선택전의 화상 크기보다도 축소해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2배열 중 어느 하나의 폴더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배열 및 상기 제2배열에 포함되는 기능 아이콘, 선택된 폴더 아이콘 이외의 폴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에 대하여 화상을 시각적으로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처리 효과를 주는 소정의 필터를 적용해서 얻어진 화상을, 폴더 아이콘 선택전의 아이콘 또는 화상 대신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2배열 중 어느 하나의 폴더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1배열 및 상기 제2배열에 포함되는 기능 아이콘, 선택된 폴더 아이콘 이외의 폴더 아이콘, 및 폴더중첩화상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체를, 사용자의 시점에서 봤을 때 화면 수직축의 뒤쪽측으로 이동하는 것 같은 시각적 효과가 얻어지도록 화상변환해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부에 있어서의 상기 폴더 아이콘의 데이터는 반투명의 케이스를 표현한 텍스쳐 데이터이고, 상기 컨텐츠 아이콘의 데이터는 쟈켓 화상, 사진 데이터, 동화상의 프레임, 게임 화면 중 어느 하나의 섬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네일이 동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뷰에 맞추어 분별가능한 복수의 컨텐츠를 보유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폴더 아이콘에 관련되는 컨텐츠를 변경하고, 변경된 뷰에 따라서 분별된 컨텐츠의 컨텐츠 아이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상기 폴더중첩화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뷰에 관련하는 문자열을 상기 폴더 아이콘에 겹쳐서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11. 컨텐츠의 재생장치로 메뉴화면을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를 상징하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항목을 상징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콘 데이터와, 컨텐츠의 표시 단위를 상징하는 반투명의 폴더 아이콘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단계;
    읽어낸 컨텐츠의 항목을 상기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와 복수의 폴더 아이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한 제1배열과, 상기 복수의 폴더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한 제2배열을 포함하는 상기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상기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폴더 아이콘 각각에 대해서, 관련하는 컨텐츠를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의 하나를 폴더중첩화상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메뉴화면의 제2배열에 있어서, 상기 폴더중첩화상이 상기 폴더 아이콘에 내포되도록 상기 폴더중첩화상과 상기 폴더 아이콘을 겹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화면 표시방법.
  12. 컴퓨터로 실행되어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를 상징하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항목을 상징하는 복수의 컨텐츠 아이콘의 데이터와, 컨텐츠의 표시 단위를 상징하는 반투명의 폴더 아이콘의 데이터를 읽어내는 기능;
    읽어낸 컨텐츠의 항목을 상기 컨텐츠 재생기능의 종류와 복수의 폴더 아이콘에 대응시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한 제1배열과, 상기 복수의 폴더 아이콘을 화면상에 배열한 제2배열을 포함하는 상기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컨텐츠의 재생에 관한 상기 메뉴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생성하는 기능은, 상기 복수의 폴더 아이콘 각각에 대해서, 관련하는 컨텐츠를 상징하는 컨텐츠 아이콘의 하나를 폴더중첩화상으로서 취득하고, 상기 메뉴화면의 제2배열에 있어서, 상기 폴더중첩화상이 상기 폴더 아이콘에 내포되도록 상기 폴더중첩화상과 상기 폴더 아이콘을 겹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12항에 기재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격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7016963A 2006-05-03 2007-04-23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KR101006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28749 2006-05-03
JP2006128749A JP2007300565A (ja) 2006-05-03 2006-05-03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593A true KR20080089593A (ko) 2008-10-07
KR101006293B1 KR101006293B1 (ko) 2011-01-06

Family

ID=3865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963A KR101006293B1 (ko) 2006-05-03 2007-04-23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90125842A1 (ko)
EP (2) EP2015165B1 (ko)
JP (1) JP2007300565A (ko)
KR (1) KR101006293B1 (ko)
CN (1) CN101346688B (ko)
WO (1) WO20071256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314A (ko) * 2013-01-30 2014-08-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추천 컨텐츠 및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8104048B2 (en) 2006-08-04 2012-01-24 Apple Inc.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US20080033919A1 (en) * 2006-08-04 2008-02-07 Yan Arrouye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ata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421602B2 (en) 2006-09-13 2013-04-16 Savant Systems, Llc Remote control unit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185839B2 (en) * 2007-06-09 2012-05-22 Apple Inc.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US8201096B2 (en) 2007-06-09 2012-06-12 Apple Inc.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US20080320415A1 (en) * 2007-06-22 2008-12-25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ccessing media content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9058337B2 (en) * 2007-10-22 2015-06-16 Apple Inc. Preview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US20090119614A1 (en) * 2007-11-07 2009-05-07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eirarchical Navigation with Respect to Content Items of a Media Collection
US20090158214A1 (en) * 2007-12-13 2009-06-18 Nok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resentation of Content Items of a Media Collection
US8549402B2 (en) * 2007-12-29 2013-10-01 Joseph Harold Moo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radio service
JP4989516B2 (ja) * 2008-02-27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284671B2 (ja) * 2008-04-10 2013-09-1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
EP2283413B1 (en) * 2008-05-27 2019-02-20 ABB Research Ltd. Work station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20090307622A1 (en) * 2008-06-06 2009-12-10 Julien Jalon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US8762887B2 (en) * 2008-06-06 2014-06-24 Apple Inc.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US8516038B2 (en) 2008-06-06 2013-08-20 Apple Inc.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US8607166B2 (en) * 2008-06-06 2013-12-10 Apple Inc. Browsing or searching user interfaces and other aspects
US8631351B2 (en) 2008-06-29 2014-01-14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multiple degrees of context for content consumed on computers and media players
JP4938733B2 (ja) 2008-06-30 2012-05-2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装置
JP2010027120A (ja) * 2008-07-16 2010-02-04 Kenwood Corp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91552B1 (ko) * 2008-09-04 2016-02-03 사반트 시스템즈 엘엘씨 시스템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터치 감지형 무선 장치 및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US20100115472A1 (en) * 2008-10-30 2010-05-06 Lee Kun-Bin Method of Facilitating Browsing and Management of Multimedia Files with Data Structure thereof
JP2010140116A (ja) * 2008-12-09 2010-06-24 Ricoh Co Ltd ファイル管理装置、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KR101580259B1 (ko) * 2008-12-11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CN102415092A (zh) * 2009-06-19 2012-04-1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电视机的菜单生成方法
KR20100137655A (ko) * 2009-06-23 201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10024262A (ko) * 2009-09-01 2011-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50201A (ko) * 2009-11-06 2011-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27861B1 (ko) * 2009-11-17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사용 이력을 기반으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2011145386A (ja) * 2010-01-13 2011-07-28 Fuji Xerox Co Ltd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90599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
TW201129095A (en) * 2010-02-06 2011-08-16 Wistron Corp A media file access control method of a digital media player device, the method of creating the new favorites folder and device
CN102157174A (zh) * 2010-02-12 2011-08-1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文件存取控制方法、新增我的最爱文件夹的方法与装置
US8881060B2 (en) *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JP5593972B2 (ja) * 2010-08-30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立体視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17053B2 (en) 2010-09-30 2014-08-26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opening a file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20120216117A1 (en) 2011-02-18 2012-08-2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a hierarchical menu based user interface
JP5977922B2 (ja) * 2011-02-24 2016-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
AU2011202182B1 (en) 2011-05-11 2011-10-13 Frequency Ip Holdings, Llc Creation and presentation of selective digital content feeds
US20120304132A1 (en) 2011-05-27 2012-11-29 Chaitanya Dev Sareen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20120304131A1 (en) * 2011-05-27 2012-11-29 Jennifer Nan Edge gesture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JP5216128B2 (ja) 2011-09-06 2013-06-1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方法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WO2013099054A1 (ja) * 2011-12-28 2013-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62253B1 (ko) 2012-03-08 2014-11-17 주식회사 케이티 동적으로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데이터 생성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메뉴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
EP2732858A1 (en) * 2012-10-24 2014-05-21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accessing games
WO2014068941A1 (ja) 2012-11-02 2014-05-0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720558B2 (en) * 2012-11-30 2017-08-01 Verizon and Redbox Digital Entertainment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media service user interface
JP5862967B2 (ja) * 2013-01-16 2016-02-16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89223B2 (ja) * 2013-01-29 2016-03-22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6137949B2 (ja) 2013-06-07 2017-05-31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2147686B1 (ko) * 2013-06-21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 실행 장치 및 방법
CN103581758A (zh) * 2013-07-30 2014-02-1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应用产品平台的界面展示方法及智能终端设备
KR102405189B1 (ko) 2013-10-30 2022-06-07 애플 인크.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
JP5980453B2 (ja) * 2014-02-07 2016-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EP3108350B1 (en) * 2014-06-24 2022-05-18 Apple Inc. Music now playing user interface
KR20160018066A (ko) * 2014-08-08 2016-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D794050S1 (en) * 2014-08-19 2017-08-08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screen for digital camera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60023394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14109B1 (ko) * 2015-01-05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0345991B2 (en) * 2015-06-16 2019-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ing appearance of icons in an electronic device
JP6065063B2 (ja) * 2015-06-24 2017-0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透過型頭部装着型表示装置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KR102557116B1 (ko) * 2016-10-19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737717B2 (ja) * 2017-01-06 2020-08-1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画像配信方法
JP6504203B2 (ja) * 2017-06-21 2019-04-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31610A (zh) * 2019-04-23 2020-10-2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文件与数据库记录获取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CN112927585B (zh) * 2021-01-12 2023-05-12 深圳点猫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学元素交互转换方法、装置、系统及介质
CN112905094B (zh) * 2021-03-19 2022-10-14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对象操作处理的方法、装置以及计算机存储介质
US11747954B1 (en) * 2022-03-10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contents in XR environment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2862A (en) * 1993-05-10 1998-09-22 Apple Computer, Inc. Computer-human interface system for compound documents
JP3150246B2 (ja) * 1993-12-09 2001-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管理方法及び装置
US5619639A (en) * 1994-10-04 1997-04-08 Mast; Michael B.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n image display area with an application display area
DE69736489T2 (de) * 1997-04-14 2006-12-28 Thomson Inc., Indianapolis System zur erzeugung von programmführungsinformation für die ausführung von steuer- und kommunikationsfunktionen durch den benutzer
JP2000276474A (ja) * 1999-03-24 2000-10-06 Fuji Photo Film Co Ltd データベース検索装置および方法
US6910191B2 (en) * 2001-11-02 2005-06-21 Nokia Corporation Program guide data selection device
JP2003242178A (ja) * 2002-02-20 2003-08-29 Fuji Photo Film Co Ltd フォルダ・アイコン表示制御装置
JP4061206B2 (ja) * 2002-03-11 2008-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代表画像生成装置
JP2004246868A (ja) * 2003-01-22 2004-09-02 Canon Inc 画像抽出方法及び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4304619A (ja) * 2003-03-31 2004-10-28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5004419A (ja) 2003-06-11 2005-01-06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ル閲覧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38414A (ja) * 2003-06-30 2005-02-10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ファイル管理方法、ファイル管理装置、撮像装置及び記録媒体
US8745515B2 (en) * 2004-04-07 2014-06-03 Nokia Corporation Presentation of large pages on small displays
US7818689B2 (en) * 2003-09-29 2010-10-19 Olympus Corporation Information managing method,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050187943A1 (en) * 2004-02-09 2005-08-25 Nokia Corporation Representation of media items in a media file management application for use with a digital device
JP4325449B2 (ja) * 2004-03-19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
US20050228849A1 (en) * 2004-03-24 2005-10-13 Tong Zhang Intelligent key-frame extraction from a video
JP3897774B2 (ja) * 2004-06-09 2007-03-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JP3871684B2 (ja) * 2004-06-18 2007-01-2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JP4366592B2 (ja) * 2004-07-12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およびグラフィッ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プログラム
JP4343051B2 (ja) * 2004-07-20 2009-10-1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操作画面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65368A (ja) * 2004-08-24 2006-03-09 Sony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64235B2 (ja) * 2004-09-24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8037421B2 (en) * 2005-10-11 2011-10-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pplication indicators on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314A (ko) * 2013-01-30 2014-08-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추천 컨텐츠 및 연관 컨텐츠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5137B1 (en) 2015-08-12
EP2015165A1 (en) 2009-01-14
CN101346688A (zh) 2009-01-14
US9678625B2 (en) 2017-06-13
WO2007125649A1 (ja) 2007-11-08
EP2015165B1 (en) 2012-06-06
US20090125842A1 (en) 2009-05-14
KR101006293B1 (ko) 2011-01-06
US20130014059A1 (en) 2013-01-10
EP2485137A2 (en) 2012-08-08
EP2485137A3 (en) 2012-09-12
JP2007300565A (ja) 2007-11-15
EP2015165A4 (en) 2010-06-02
CN101346688B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293B1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JP4737539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背景画像表示方法
US11175797B2 (en) Menu screen display method and menu screen display device
JP4240293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再生方法
KR100885596B1 (ko) 콘텐츠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KR100863391B1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메뉴화면 표시방법
JP2005079988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における操作メニュー表示方法
JP2006163647A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JP4772583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メニュー画面表示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5548249B2 (ja) メニュー画面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5361846B2 (ja)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背景画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