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109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109B1
KR102314109B1 KR1020150000868A KR20150000868A KR102314109B1 KR 102314109 B1 KR102314109 B1 KR 102314109B1 KR 1020150000868 A KR1020150000868 A KR 1020150000868A KR 20150000868 A KR20150000868 A KR 20150000868A KR 102314109 B1 KR102314109 B1 KR 102314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items
area
item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239A (ko
Inventor
이진하
권희진
김영선
심다혜
이태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09B1/ko
Priority to RU2017127706A priority patent/RU2697835C2/ru
Priority to PCT/KR2015/014265 priority patent/WO2016111488A1/en
Priority to US14/986,963 priority patent/US10152205B2/en
Priority to EP16150034.3A priority patent/EP3041248A1/en
Priority to EP20209285.4A priority patent/EP3823294A1/en
Priority to CN201610006927.5A priority patent/CN105872681B/zh
Priority to CN201910488873.4A priority patent/CN110213639A/zh
Publication of KR20160084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239A/ko
Priority to US16/176,119 priority patent/US1116966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로서, 각 아이템 영역은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을 제공하되,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선택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와의 인터랙티브성을 강화하며 또한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아이템 스크롤링을 구현한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아이템 표시를 직관적으로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경험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로서, 각 아이템 영역은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을 제공하되,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선택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상기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활성화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의 각 아이템 영역은, 복수의 아이템 리스트들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카테고리의 각 카테고리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첫번째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배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전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로서, 각 아이템 영역은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을 제공하되,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슬라이딩 하면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복수의 층들로 나누고, 복수의 층들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상기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로서, 각 아이템 영역은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을 제공하되,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선택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로서, 각 아이템 영역은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을 제공하되,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슬라이딩 하면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이템들을 효과적으로 표시 및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경험시켜 줄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두개의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 영역들을 세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세개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세개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4a및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차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커브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커브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속도를 결정할 때 이용될 수 있는 커브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하나를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a 및 14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첫번째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전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차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차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7a 내지 17c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하나를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이다.
도 20a 내지 도 20e는 실시예들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출력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는 속도에 이용할 수 있는 커브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2a 및 22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카테고리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에 위치하는 키의 선택은 키의 눌림 또는 키의 터치, 키의 드래그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는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또는 웹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실제 컨텐츠가 출력되는 부분은 스크린 또는 화면으로 불리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1a 내지 1d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라 두개의 아이템 영역을 가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된다.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어 장치(20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200)는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5)에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15)의 한정된 디스플레이 공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아이템 영역중 적어도 일부는 합쳐진 상태로 제공하고 복수의 아이템 영역중 적어도 일부는 펼쳐진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작은 사이즈의 공간만을 차지하게 하여 단지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존재하는 것만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펼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상대적은 큰 공간을 할당함으로써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아이템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활성화 가능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는 커서(300)를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15)에 두개의 아이템 영역 310과 320이 마련되어 있다. 아이템 영역(310)은 카테고리 1에 대응하고, 아이템 영역(310)이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아이템 영역(310)의 상단에 카테고리 1임을 나타내는 텍스트(312)를 출력할 수 있다. 아이템 영역(310)에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작은 이미지(311)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템 리스트는 복수개의 아이템들로 구성된다. 아이템 영역(310)은 합쳐진 상태로서,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중 하나 또는 아주 적은 수의 아이템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은 합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부르기로 한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은 주로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이 존재함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합쳐진 아이템 영역(310)에서는 아이템들의 스크롤링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들은 선택가능하거나 활성화 가능 상태는 아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이라도 선택가능하거나 활성화 가능상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스크롤링(scrolling)은 컴퓨터 디스플레이나 텔레비전 제품에서,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상의 텍스트,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말한다. 스크롤링은 텍스트나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변경시키지 않고 전체적으로 보여지지 않는 더 큰 이미지의 부분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자의 뷰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스크롤링은 대체로 컴퓨터에서 CPU 또는 그래픽 카드에 의해 수행된다.
아이템 영역(320)은 카테고리 2에 대응하고, 아이템 영역(320)이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것임을 나타내기 위해 아이템 영역(320)의 상단에 카테고리 2임을 나타내는 텍스트(327)을 출력할 수 있다. 아이템 영역(320)에는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도 1a에서는 아이템 영역(320)에는 아이템 (321,322,323,324,325,326)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템 영역(320)은 펼쳐진 상태로서,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중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펼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은 펼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부르기로 한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들은 선택가능하거나 활성화 가능 상태이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펼쳐진 아이템 영역(320)을 스크롤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펼쳐진 아이템 영역(320)에 표시된 아이템들(321-326)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선택에 의해 아이템들(321-326)중 하나는 활성화 상태로 될 수 있다. 아이템의 활성화 상태에서 아이템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115)의 일부 또는 전부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통상, 복수의 아이템들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는, 아이템들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템 영역(320)보다 길며, 따라서 아이템 영역(320)에는 전체 아이템 리스트중 일부의 아이템들만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템 영역(320)에 보여지지 않는 아이템 리스트로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싶을 때 커서를 아이템 영역(320)의 가장자리에 부딪히면 부딪힌 방향으로 아이템 영역을 이동시키는 방식을 에지 스크롤이라 한다. 따라서, 도 1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아이템 영역(320)의 왼쪽 끝에서 더 스크롤링 함으로써 예를 들어 아이템(321) 보다 더 왼쪽에 배열된 아이템이 아이템 영역(32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아이템 영역의 오른쪽 끝에서 더 스크롤링함으로써 아이템(326)보다 더 오른쪽에 배열된 아이템을 아이템 영역(32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아이템 영역들은 복수개의 카테고리의 각각에 대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카테고리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테고리중 하나는 예를 들어 FEATURED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가 제안하는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카테고리중 하나는 예를 들어 RECENT 와 같이 사용자가 최근에 활성화시킨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카테고리중 하나는 예를 들어 광고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카테고리중 하나는 예를 들어 선호 채널과 유사하게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이템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외에도 카테고리로서 영화 아이템들, 게임 아이템들, 뉴스 아이템들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이템들은 컨텐츠를 나타낼 수 있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영화 또는 드라마와 같은 영상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 음악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템,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아이템, 사용자가 실행한 컨텐츠의 이력(history)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들은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이 영화 또는 드라마에 대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영화 또는 드라마 포스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음악과 같은 오디오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음악이 포함된 앨범의 포스터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마지막으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방송 채널을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채널에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했던 화면 이미지 또는, 해당 채널에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이 사용자가 실행한 컨텐츠의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인 경우, 아이템은 해당 컨텐츠에서 마지막으로 실행된 화면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외부 장치가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의 포트를 나타내는 아이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을 나타내는 아이템, PC 포트(PC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및 USB 포트(USB port)를 나타내는 아이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템일 수 있다.
커서(cursor:300)는 컴퓨팅 장치에서, 텍스트 입력 또는 포인팅 장치에 응답하여, 컴퓨터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말한다. 마우스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의 입력에 응답하는 디스플레이상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인디케이터는 주로 포인터(pointer)라고 불리운다. 도 1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서 움직이면 제어 장치(200)가 가리키는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0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 배치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여 커서(300)가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커서(300)의 모양이 원형인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커서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할 것이다.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310)을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310)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1의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320)에 표시하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320)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2의 아이템 리스트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3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정된 디스플레이 공간에서 복수개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아이템 리스트를 제공할 때, 사용자가 현재 조작을 원치 않는 카테고리의 아이템 리스트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사용자가 현재 조작을 원하는 카테고리의 아이템 리스트만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여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들을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정된 디스플레이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a에서는 아이템 영역들이 가로로 배열되고 따라서 아이템 영역(320)에서 아이템들의 스크롤링은 가로로 이루어졌지만, 아이템 영역들은 세로로 배열될 수도 있고, 아이템 영역들은 디스플레이부(115)의 상단에 배열될 수도 있고, 아이템 영역들은 디스플레이부(115)의 왼쪽 부분에 세로로 배열될 수도 있고, 아이템 영역들은 디스플레이부(115)의 가운데 부분에 배열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잘 이해될 것 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아이템 영역들을 세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b를 참조하면,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310)이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 우측 상단에 배열되어 있으며, 아이템 영역(3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일부 아이템들의 작은 이미지(311)이 표시되어 있다.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320)이 디스플레이부(115)의 우측에 아이템 영역(310)의 하단에 배열되어 있고, 아이템 영역(320)에 아이템 (321,322,323)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310)을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310)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1의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320)에 표시하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320)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2의 아이템 리스트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3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세개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10),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20), 카테고리 3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30)을 제공한다. 아이템 영역(410)의 상단에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함을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412)가 표시되고 아이템 영역(410)에는 카테고리 1의 아이템 리스트의 일부 아이템들의 작은 이미지들(411)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템 영역(420)의 상단에는 카테고리 2에 대응함을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422)가 표시되고 아이템 영역(420)에는 아이템(421)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템 영역(430)의 상단에는 카테고리 3에 대응함을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436)가 표시되고 아이템 영역(430)에는 아이템 (431,432,433,434,435)가 표시되어 있다.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10)과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20)은 합쳐진 상태로서 아이템들의 스크롤링이 가능하지 않고, 선택 및 활성화가 가능하지 않다.
카테고리 3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30)은 펼쳐진 상태로서 아이템 (431,432,433,434,435)가 표시되어 있고, 제어 장치(200)를 이용한 스크롤링 및 아이템의 선택에 의한 활성화가 가능한 상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10)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 영역(4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430)에 표시하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43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안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420)은 변화없이 합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20)을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 영역(4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430)에 표시하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43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4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안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410)은 변화없이 합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d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세개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10),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20), 카테고리 3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430)을 제공한다. 도 1d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개의 아이템 영역을 제공하는 것은 동일하고 다만 아이템 영역의 배치가 다르다. 카테고리 3에 대응하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430)을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 하단의 중심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개의 아이템 영역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할 수 있고 복수개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는 펼쳐진 상태로 제공하고 또한 복수개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는 합쳐진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아이템 영역 및 복수개의 아이템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각 카테고리의 아이템 리스트를 제공하고, 아이템 리스트의 펼쳐진 상태와 합쳐진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아이템들을 다양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고 재미있는 인터페이스를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5), 제어부(180), 및 감지부(1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스크린상에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복수의 아이템이 배열된 아이템 영역을 스크린상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합쳐진 상태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영역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에, 상기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슬라이딩 하면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60)를 통해 수신한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 커서의 모양과 위치를 결정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60)를 통해 수신한 제어 장치(200)의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슬라이딩 하면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 제어부(180),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비디오 처리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1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커서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에 제어에 의해, 각 아이템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을 제공하며,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상태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에 제어에 의해,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에 의해,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첫번째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배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전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의 표시는 유지하면서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슬라이딩 하면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복수의 층들로 나누고, 복수의 층들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상기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각각 슬라이딩하면서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2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2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40)은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도 있다.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튜너부(140)은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튜너부(140)가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되는 멀티윈도우 화면을 이루는 복수개의 윈도우에 복수개의 방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튜너부(14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은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은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6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6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6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6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6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5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6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63)는 외부의 제어 장치(2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15)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수신부(163)는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90)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6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5)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크린 상에 표시될 커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 및 아이템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상태 및 합쳐진 상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그래픽 처리부(184)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는 그래픽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163),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및 후면 중 하나에 위치하는 패널 키(panel key, 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 장치(200)의 포인팅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각 아이템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을 제공하며,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상태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상태로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선택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상기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을 활성화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첫번째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배열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전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의 표시는 유지하면서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슬라이딩 하면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복수의 층들로 나누고, 복수의 층들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상기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각각 슬라이딩하면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의 구성 및 동작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15),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6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커서 또는 스크롤링 아이템 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는 광 수신부(163), 패널 키(도시되지 아니함), 마이크(161) 및 카메라부(162) 중 하나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은, 복수의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는 각 아이템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시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청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프리젠테이션 모듈을 포함할 수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110 내지 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a및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100)로 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 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30)는 도 4b의 (a)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a)와 같이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201)를 포함할 수 있다.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는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되는 윈도우, 영역, 애플리케이션, 또는 아이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방향 키나 버튼은 상, 하, 좌, 우 이동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4방향 키나 4 방향 버튼 대신에 2 방향 키나 2방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도 4b의 (b)에 도시된 제어 장치(200b)와 같이 터치 패드(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230)는 제어 장치(200)의 터치 패드를 통해 드래그(drag), 터치(touch) 또는 플립(flip)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종류(예를 들면, 드래그 명령이 입력된 방향, 터치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도 4b의 (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c)는, 4 방향키(204), 터치 패드(203)를 모두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200)가 포인팅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장치(200)의 자이로 센서(241)를 이용하여 기울이는 방향 또는 각도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는 감지된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15)에 표시할 커서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를 통하여 감지된 제어 장치(200)의 전송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제어 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로부터 제어 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의 방향 키, 터치패드, 포인팅 기능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의 방향키, 터치패드, 포인팅 기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표시되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상태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상태로 제공한다.
도 3,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로 구현된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의 어느 위치를 가리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60)는 제어 장치(200)가 가리키는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80)는 수신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커서가 출력될 스크린 상의 좌표를 계산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스크린상의 계산된 위치에 커서(30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5)를 제어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적어도 일부의 아이템을 상기 합쳐진 영역에 표시한다.
도 3,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예를 들어 포인팅 장치로 구현된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5)의 화면상에 배열된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도록 제어장치(200)를 동작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감지부(160)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80)는 수신한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하도록 그래픽 처리부(184)를 제어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차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610)과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620)을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한다. 아이템 영역(610)의 상단에는 아이템 영역(610)이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617)을 출력하고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a(611)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템 영역(620)의 상단에는 아이템 영역(620)이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것임을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630)을 출력하고 아이템 영역(620)에는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 E(625), F(626)이 표시되어 있다.
아이템 영역(610)은 합쳐진 상태로서,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중 하나 또는 아주 적은 수의 아이템이 표시될 수 있다.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은 주로 해당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템 영역이 존재함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610)에서는 아이템들의 스크롤링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들은 선택가능하거나 활성화 가능 상태는 아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아이템이라도 선택가능하거나 활성화 가능상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합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610)에서는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일부 아이템들을 작은 이미지로 표시하여 출력하거나 하나의 아이템의 이미지만을 표시할 수 있다.
펼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된 아이템들은 선택가능하거나 스크롤 가능하고 활성화 가능 상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된 아이템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아이템을 화면 전체에 활성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을 스크롤링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될 수 있는 아이템 리스트는 아이템 A(621) 부터 아이템 I(629)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아이템 영역(620)에서 오른쪽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아이템 F(626)의 오른쪽에 배열된 아이템 G(627)을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아이템 영역(620)에서 제어 장치(200)를 이용한 오른쪽 스크롤링에 의해 아이템 영역(620)에서 첫번째 아이템이었던 아이템 A(621)은 일부 가려지고 아이템 G(627)의 일부가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제어 장치(200)로부터 아이템 영역(610)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표시하고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한다.
도 6c에 합쳐진 아이템 영역의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아이템 영역의 아이템 리스트가 서로 교차되어 출력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1에 해당하는 아이템들인 아이템 a(611), b(612), c(6132), d(614), e(615), f(616)이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출력된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표시되는데, 카테고리 2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중 아이템 A(621)만이 아이템 영역(610)에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된 아이템 리스트가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것임을 보여주기 위해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 상단에 카테고리 1임을 나타내는 텍스트(617)을 표시하고,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의 상단에 카테고리 2 임을 나타내는 텍스트(63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a(611), b(612), c(613), d(614), e(615) 이 대응하고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a(611)만이 표시되어 있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는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가 표시되어 있으며,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으로 아이템 E(625), F(626)을 포함한다.
(a)의 상태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펼져친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 E(625), F(626)의 너비가 축소되어 출력된다.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 E(625)이 출력되는 위치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출력될 수 있는데, 도 7의 (a)와 비교하여 왼쪽으로 이동된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서의 표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 7의 (c)를 참조하면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 E(625), F(626)의 너비는 도 7의 (b)보다 더욱 축소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 7의 (d)를 참조하면,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 E(625), F(626)의 너비는 도 7의 (c)보다 더욱 축소되어 출력된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 7의 (e)를 참조하면,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 E(625), F(626)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으로의 이동이 완료되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A(621)만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의해 펼쳐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하고 또한 아이템들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함으로써,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는 과정을 직관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속도를 선형적으로 일정하게 하지 않고 특정한 커브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속도에 이용할 수 있는 커브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a)에 도시된 곡선은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으로서, 베지어 곡선은 컴퓨터 그래픽에서 임의의 형태의 곡선을 표현하기 위해 수학적으로 만든 곡선이다. 최초의 제어점(control point)인 시작점과 최후의 제어점인 끝점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내부 제어점의 이동에 의해 다양한 자유 곡선을 얻는 방법이다. 이 때 시작점에서 시작한 곡선은 인접한 제어점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그 옆에 있는 제어점의 영향을 받아 첫 제어점 위를 지나가지 않고, 그 다음의 제어점 방향에 영향을 받아 곡선이 작성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시작점 V0(0,0)으로부터 끝점 V3(1,1)까지 변화하는데 제어점 V1(0.5, 0.15)와 제어점 V2(0.65,0.95)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의 기울기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속도로 이용할 수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애초에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인 A, B, C, D, E, F 로 구성된 아이템들의 전체 사이즈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맞는 크기로 변화하는 시간에는 예를 들어 300ms 가 걸림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할 때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a(611), b(612), c(613), d(614), e(615) 이 대응하고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a(611)만이 표시되어 있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는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가 표시되어 있으며, 아이템 영역(620)에 표시되지 않은 아이템으로 아이템 E(625), F(626)을 포함한다.
(a)의 상태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9의 (b) 내지 (d)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a(611), b(612), c(613), d(614), e(615)의 너비가 점차로 증가되어 출력된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 9의 (c)를 참조하면 아이템 a(611), b(612), c(613), d(614), e(615)의 너비는 도 9의 (b)보다 더욱 증가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 9의 (d)를 참조하면, 아이템 a(611), b(612), c(613), d(614), e(615)의 너비는 도 9의 (c)보다 더욱 증가되어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함으로써,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는 과정을 직관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속도를 선형적으로 일정하게 하지 않고 특정한 커브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속도에 이용할 수 있는 커브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a)에 도시된 곡선은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으로서, 시작점 V0(0,0)으로부터 끝점 V3(1,1)까지 변화하는데 제어점 V1(0.15, 0.4) 와 제어점 V2(0.45,0.9)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의 기울기를 펼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속도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애초에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사이즈가 펼쳐진 상태의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들인 a, b, c, d, e, f의 전체 너비 사이즈로 변화하는 시간에는 예를 들어 600ms 가 걸림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차시킬 때 아이템 리스트의 표시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a(611), b(612), c(613), d(614), e(615) 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가 대응하고,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a(611)만이 표시되어 있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는 아이템 A(621), B(622), C(623), D(624), E(625), F(626)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가 대응하고 아이템 영역(620)에는 A(621), B(622), C(623), D(624)가 표시되어 있다.
도 11의 (a)의 상태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시키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시킬 뿐만 아니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점차로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배치되게 하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점차로 왼쪽으로 이동시켜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도 11의 (a)와 비교하여 약간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도 11의 (a)와 비교하여 약간 왼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b)에서 물론 아이템 a,b,c,d,e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은 아이템 영역(620)에 걸쳐서 표시될 것이지만, 아이템 A,B,C,D,E,F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와 아이템들이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하므로 아이템 리스트 a,b,c,d,e과 아이템 리스트 A,B,C,D,E,F 의 식별이 어려울 수 있어서 편의상 아이템 리스트 a,b,c,d,e는 아이템 리스트 A,B,C,D,E,F 보다 y 축상에서 아래쪽에 표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아이템 리스트 a,b,c,d,e도 아이템 리스트 A,B,C,D,E,F 과 동일한 y 축상에서의 위치에 표시됨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도 11의 (a)와 비교하여 표시되어 있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이 도 11의 (a)와 비교하여 약간 너비가 작게 표시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c)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도 11의 (b)와 비교하여 약간 더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 a,b,c,d,e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1의 (b)와 비교하여 약간 더 넓어졌으며,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 A,B,C,D,E,F 가 도 11의 (b)와 비교하여 약간 더 왼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 A,B,C,D,E,F 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1의 (b)와 비교하여 약간 더 축소되어 표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d)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도 11의 (c)와 비교하여 약간 더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 a,b,c,d,e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1의 (c)와 비교하여 약간 더 넓어졌으며, 펼쳐진 아이템 영역(64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F 가 도 11의 (c)와 비교하여 약간 더 왼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A,B,C,D,E,F 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1의 (c)와 비교하여 약간 더 축소되어 표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e)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의 아이템들은 도 11의 (d)와 비교하여 더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이제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의 위치에 들어와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a,b,c,d,e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1의 (d)와 비교하여 더 넓어진 것이 표시되어 있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6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 A,B,C,D,E,F 는 도 11의 (d)와 비교하여 더 왼쪽으로 이동해서 이제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의 위치에 들어와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 A,B,C,D,E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1의 (d)와 비교하여 더 축소됨으로써, 합쳐진 아이템 영역(610)에는 아이템 리스트 A,B,C,D,E,F 의 아이템 A(621)만이 표시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a)에 도시된 원래의 상태로부터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리스트 a,b,c,d,e과 아이템 리스트 A,B,C,D,E,F 이 교차되기까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시점에서만 도면에 표시하였지만, 실제로 아이템 리스트 a,b,c,d,e가 도 11의 (a)에 도시된 위치에서부터 도 11의 (e)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리스트 A,B,C,D,E,F 가 도 11의 (a)에 도시된 위치에서부터 도 11의 (e)에 도시된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때 이동시키는 속도를 선형적으로 하지 않고 특정한 커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속도를 결정할 때 이용될 수 있는 커브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의 (a)에 도시된 곡선은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으로서, 시작점 V0(0,0)으로부터 끝점 V3(1,1)까지 변화하는데 제어점 V1(0.6, 0.1) 와 제어점 V2(0.9, 0.5)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의 기울기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이동하는 속도 또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이동하는 속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과 다를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아이템 리스트 A가 합쳐진 아이템 영역의 위치 m에서부터 시작하여 펼쳐진 아이템 영역의 위치 n까지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400msec이고, 아이템 리스트 B가 펼쳐진 아이템 영역의 위치 n에서부터 시작하여 합쳐진 아이템 영역의 위치 m까지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600msec 이라면, 아이템 리스트 A와 아이템 리스트 B가 최종 교차되는 시간을 맞추기 위해, 예를 들어, 아이템 리스트 B를 먼저 이동시키기 시작하고, 200msec 후에 아이템 리스트 A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하나를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13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한다.
단계 13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한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업자가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특정한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한 목적은 서비스 제공자가 희망하는 특정한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한 목적은 사용자가 희망한 특정한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한 목적은 광고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목적은 이와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광고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4a 및 14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첫번째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과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을 제공한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는 카테고리 1(717)의 아이템 리스트가 대응되며, 아이템 영역(710)에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 a(711)이 표시되어 있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는 카테고리 2(73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템 리스트는 광고 아이템 (721), 아이템 A(722), B(723), C(724), D(725), E(726), F(727), G(728), H(729)로 구성되며,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는 광고 아이템 (721), 아이템 A(722), B(723), C(724), D(725), E(726)가 표시되어 있다.
광고 아이템 (721)은 카테고리 2에 포함되는 다른 아이템들과 공통된 속성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다만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펼쳐진 아이템 영역의 첫번째 위치 또는 다른 정해진 위치에 항상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14a에 도시된 상태 즉 카테고리 1이 합쳐진 영역에 대응하고 카테고리 2가 펼쳐진 영역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도 여전히 디스플레이 장치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는 아이템들의 첫번째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의 오른쪽 끝에서 스크롤링하는 동작에 의해 아이템 리스트의 첫번째 위치에 있던 광고 아이템(721)은 일부가 가려지게 되고 아이템 리스트에서 아이템 E(726)의 오른쪽에 배열되어 있던 아이템 F(727)의 일부가 아이템 영역(7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첫번째 위치에 특정한 목적의 아이템으로서 광고 아이템을 배열함으로써 펼쳐진 아이템 영역의 스크롤링에 의해 광고 아이템은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다른 아이템들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전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광고 아이템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전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차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는 아이템 a(711), b(712), c(713), d(714), e(715) 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가 대응하고 아이템 영역(710)에는 아이템 a(711)만이 표시되어 있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는 광고 아이템 AD(721), A(722), B(723), C(724), D(725), E(726), F(727), G(728)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가 대응하고 아이템 영역(720)에는 AD(721), A(722), B(723), C(724), D(725), E(726)가 표시되어 있다.
도 15a의 상태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 a,b,c,d,e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시키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F,G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시킬 뿐만 아니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의 아이템들을 점차로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배치되게 하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F,G의 아이템들을 점차로 왼쪽으로 이동시켜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때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서 광고 아이템(721)의 전부가 아이템 영역(720)에 표시된 경우에는 광고 아이템(721)의 출력은 변경시키지 않고 광고 아이템을 제외한 다른 아이템들의 크기만을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가 도 15a와 비교하여 약간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 Ad,A,B,C,D,E,F,G중 광고 아이템(721)의 위치나 크기는 변화 없이, 아이템 A(722)로부터 시작하는 아이템 리스트만이 도 15a와 비교하여 약간 왼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b에서 물론 아이템 리스트a,b,c,d,e은 아이템 영역(710)에 걸쳐서 표시될 것이지만, 아이템 리스트A,B,C,D,E,F,G과 아이템들이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하므로 아이템 리스트a,b,c,d,e과 아이템 리스트A,B,C,D,E,F,G의 식별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설명의 편의상 아이템 리스트a,b,c,d,e는 아이템 리스트a,b,c,d,e보다 y 축상에서 아래쪽에 표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아이템 리스트a,b,c,d,e도 아이템 리스트A,B,C,D,E,F,G과 동일한 y 축상에서의 위치에 표시됨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5b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의 아이템들이 표시되어 있고,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F,G의 아이템들이 도 15a와 비교하여 약간 너비가 작게 표시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가 도 15b와 비교하여 약간 더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a,b,c,d,e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5b와 비교하여 약간 더 넓어졌으며,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 A,B,C,D,E,F,G가 도 15b와 비교하여 약간 더 왼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A,B,C,D,E,F,G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5b와 비교하여 약간 더 축소되어 표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d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710)가 도 15c와 비교하여 약간 더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a,b,c,d,e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5c와 비교하여 약간 더 넓어졌으며,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F,G가 도 15c와 비교하여 약간 더 왼쪽으로 이동해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A,B,C,D,E,F,G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5c와 비교하여 약간 더 축소되어 표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때에도 광고 아이템(721)의 위치와 크기의 표시는 변화하지 않는다.
도 15e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의 아이템들은 도 15d와 비교하여 더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이제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의 위치에 들어와서 광고 아이템 (721)의 다음부터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a,b,c,d,e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5d와 비교하여 더 넓어진 것이 표시되어 있다. 펼쳐진 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A,B,C,D,E,F,G는 도 15d와 비교하여 더 왼쪽으로 이동해서 이제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의 위치에 들어와서 표시되어 있고, 아이템 리스트A,B,C,D,E,F,G의 아이템들의 너비가 도 15d와 비교하여 더 축소됨으로써,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는 아이템 리스트A,B,C,D,E,F,G의 아이템 A(721)만이 표시되어 있다. 물론 이때에도 광고 아이템(721)의 위치와 크기의 표시는 변화하지 않는다.
도 15a에 도시된 원래의 상태로부터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리스트 a,b,c,d,e과 아이템 리스트 A,B,C,D,E,F,G이 교차되기까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시점에서만 도면에 표시하였지만, 실제로 아이템 리스트a,b,c,d,e가 도 15a 에 도시된 위치에서부터 도 15e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리스트 A,B,C,D,E,F,G가 도 15a에 도시된 위치에서부터 도 15e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이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합쳐진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여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서로 교차시키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도 15a와 동일한 구성이지만 다만,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서 오른쪽 스크롤링에 의해 광고 아이템(721)의 일부는 가려지고 일부만이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아이템(721)의 일부만이 표시된 상태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의 입력에 따라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교차할 때,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여 상기 펼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한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 A,B,C,D,E,F,G의 아이템들 즉, 광고 아이템(721)을 포함한 아이템들의 너비를 축소시키고 아이템 리스트 A,B,C,D,E,F,G의 위치를 왼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표시되어 있다.
도 16의 (c)를 참조하면,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 A,B,C,D,E,F,G과 합쳐진 아이템 영역(710)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 a,b,c,d,e의 교차가 완료되면 다시 펼쳐진 아이템 영역(720)의 첫번째 위치에는 광고 아이템(721)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17c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하나를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다.
도 1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810)과 펼쳐진 아이템 영역(830)을 제공한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810)에는 카테고리 1(812)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아이템 영역(810)에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 a(811)이 표시되어 있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830)에는 카테고리 2(837)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일부 아이템들인 아이템 A(831), B(832), C(833), D(834), E(835)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목적을 위한 아이템 영역(820)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라 특정 목적을 위한 아이템 영역(820)에는 광고 아이템(821)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아이템 영역(830)의 오른쪽 끝에서 스크롤링하는 동작에 의해 아이템 리스트의 첫번째 위치에 있던 아이템 A(831)은 일부가 가려지게 되고 아이템 리스트에서 아이템 E(835)의 오른쪽에 배열되어 있던 아이템 F(6의 일부가 아이템 영역(8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특정 목적을 위한 아이템 영역(820)은 펼쳐진 아이템 영역(830)과 독립적인 아이템 영역이기 때문에 펼쳐진 아이템 영역(830)에서의 스크롤링에 의해 광고 아이템(821)의 표시는 영향 받지 않는다. 따라서, 펼쳐진 아이템 영역(830)에서의 스크롤링 동작이 발생해도 광고 아이템은 항상 전체의 모양이 유지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7b의 상태에서 합쳐진 영역(8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응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교차시킨다. 이때 광고 목적을 위한 아이템 영역(820)은 합쳐진 영역(810)이나 펼쳐진 영역(830)과는 독립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교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17c를 참조하면, 도 17b의 상태에서 합쳐진 영역(810)을 선택하는 제어 장치(200)의 입력에 응답해서 합쳐진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와 펼쳐진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교차에 의해, 합쳐진 영역(810)에는 아이템 A(831)가 표시되어 있고, 펼쳐진 영역(830)에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인 아이템 a(811), b(812), c(813), d(814), e(815)가 표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대응하는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 18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들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합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펼쳐진 아이템 영역으로 제공한다.
단계 18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표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펼쳐진 아이템 영역(910)과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을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한다.
펼쳐진 아이템 영역(910)는 카테고리 2(917)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고 아이템 영역(910)에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 A(911), B(912), C(913), D(914), E(915), F(916)가 표시될 수 있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는 카테고리 1(939)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는, 아이템 a부터 h(921-928) 및 i부터 p(931-938)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중 하나의 아이템을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중 하나의 아이템을 이미지로 표시하고 아이템 리스트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이미지를 슬라이딩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중 복수개의 아이템을 작은 이미지로 만들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는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중 복수개의 아이템을 작은 이미지로 표시하고 또한 이러한 작은 이미지를 슬랑이딩하면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920)을 복수의 층들로 나누고, 복수의 층들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서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을 두개의 층인 1층과 2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 카테고리 1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의 아이템들을 할당한다. 1층에서는 아이템 931-938 이 표시되고 2층에서는 아이템 921-928이 표시된다. 이때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의 1층과 2층에서 아이템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20a 내지 20e는 실시예들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출력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20a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2층에는 아이템의 표시가 고정되어 있고 1층에서는 아이템이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0a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 카테고리 1(938)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템 리스트는 아이템 x(940), y(941), a(942), b(943), c(944), d(945), e(946), f(947), g(948), h(949)로 구성된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의 2층에서는 아이템 x(940), y(941)의 작은 이미지가 고정되어 표시되고, 1층에서는 a(942), b(943), c(944), d(945), e(946), f(947), g(948), h(949)의 작은 이미지들이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20b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1층에는 아이템의 표시가 고정되어 있고 2층에서는 아이템이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0b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 카테고리 1(938)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템 리스트는 아이템 x(940), y(941), a(942), b(943), c(944), d(945), e(946), f(947), g(948), h(949)로 구성된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의 1층에서는 아이템 x(940), y(941)의 작은 이미지가 고정되어 표시되고, 2층에서는 a(942), b(943), c(944), d(945), e(946), f(947), g(948), h(949)의 작은 이미지들이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20c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1 층과 2층 모두에서 아이템이 같은 속도로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0c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 카테고리 1(938)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템 리스트는 a(961), b(962), c(963), d(964), e(965), f(966), g(967), h(968), i(971), j(972), k(973), l(974), m(975), n(976), o(977), p(978)로 구성된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의 2층에서는 아이템 a(961), b(962), c(963), d(964), e(965), f(966), g(967), h(968)의 작은 이미지들이 슬라이딩 하면서 출력되고, 1층에서는 i(971), j(972), k(973), l(974), m(975), n(976), o(977), p(978)의 작은 이미지들이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1층에서 아이템의 슬라이딩 속도는 2층에서 아이템의 슬라이딩 속도와 같을 수 있다.
도 20d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1 층과 2층 모두에서 아이템이 다른 속도로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0d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 카테고리 1(938)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템 리스트는 a(981), b(982), c(983), d(984), e(985), f(986), g(987), h(988), i(991), j(992), k(993), l(994), m(995), n(996), o(997), p(998)로 구성된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의 2층에서는 아이템 a(981), b(982), c(983), d(984), e(985), f(986), g(987), h(988)의 작은 이미지들이 슬라이딩 하면서 출력되고, 1층에서는 i(991), j(992), k(993), l(994), m(995), n(996), o(997), p(998)의 작은 이미지들이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1층에서 아이템의 슬라이딩 속도는 2층에서 아이템의 슬라이딩 속도와 다를 수 있다.
도 20e는 합쳐진 아이템 영역이 1열과 2열로 나뉘고 1열과 2열 모두에서 아이템이 다른 속도로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0e를 참조하면,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에 카테고리 1(938)에 대응하는 아이템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템 리스트는 a(981), b(982), c(983), d(984), e(985), f(986), g(987), h(988), i(991), j(992), k(993), l(994), m(995), n(996), o(997), p(998)로 구성된다. 합쳐진 아이템 영역(920)의 1열에서는 아이템 a(981), b(982), c(983), d(984), e(985), f(986), g(987), h(988)의 작은 이미지들이 슬라이딩 하면서 출력되고, 2열에서는 i(991), j(992), k(993), l(994), m(995), n(996), o(997), p(998)의 작은 이미지들이 슬라이딩하면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1열에서 아이템의 슬라이딩 속도는 2열에서 아이템의 슬라이딩 속도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시킬 때 이동시키는 속도를 선형적으로 하지 않고 특정한 커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1의 (a)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을 슬라이딩하는 속도에 이용할 수 있는 커브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1의 (a)에 도시된 곡선은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으로서, 시작점 V0(0,0)으로부터 끝점 V3(1,1)까지 변화하는데 제어점 V1(0.8, 0.1) 와 제어점 V2(0.2, 0.9)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의 기울기를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아이템들이 슬라이딩하는 속도로 이용할 수 있다. 도 21의 (a)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슬라이딩이 일어나는 총 구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간의 앞부분에서는 곡선의 기울기가 작다가 중간 부분에서는 곡선의 기울기가 커지며 구간의 뒷부분에서는 곡선의 기울기가 다시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지어 곡선의 기울기를 슬라이딩 속도로 이용하면 슬라이딩을 시작한 초반에서는 천천히 아이템들이 이동하다가 중반부에서는 아이템들이 빠르게 이동하고 다시 후반에서는 아이템들이 천천히 이동한다. 도 21의 (b)를 참조하면, 슬라이딩의 시작점 0msec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슬라이딩 되는 아이템 A의 왼쪽 에지의 위치를 0이라고 하면, 다음 300msec 시점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슬라이딩 되는 아이템 A의 왼쪽 에지의 위치는 -10에 와 있다. 그리고 다음 600msec 시점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슬라이딩되는 아이템 A의 왼쪽 에지의 위치는 -50에 와 있다. 그리고 다음 900msec 시점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슬라이딩되는 아이템 A의 왼쪽 에지의 위치는 -90에 와 있다. 그리고 마지막 1200msec 시점에서 합쳐진 아이템 영역에서 슬라이딩되는 아이템 A의 왼쪽 에지의 위치는 -100에 와 있다. 즉 슬라이딩의 초반부와 후반부에는 아이템이 천천히 이동하고 중반부에는 아이템을 빠르게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딩이 어떠한 힘을 받아 이루어지는 것처럼 사용자로 하여금 느끼게 하여 재미있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템 영역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2a 및 22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카테고리 설정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2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테고리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을 디스플레이부(115)에 제공한다. 카테고리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00)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로서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가 제안하는 아이템들로 구성된 Featured (1010), 사용자가 최근에 활성화시켰던 아이템들로 구성된 Recent(1020),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는 Advertisement(1030), 사용자가 아이템들을 직접 구성할 수 있는 Customized(104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Customized(1040)를 선택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는 아이템의 리스트(1050)가 펼쳐질 수있다. 아이템 리스트(1050)는 아이템 1(1051), 아이템 2(1052), 아이템 3(1053), 아이템 4(1054), 아이템 5(1055), 아이템 6(1056)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아이템인 아이템 1(1051), 아이템 2(1052), 아이템 3(1053), 아이템 4(1054), 아이템 5(1055)를 선택함으로써, 아이템 1(1051), 아이템 2(1052), 아이템 3(1053), 아이템 4(1054), 아이템 5(1055)로 구성된 아이템 리스트를 아이템 영역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본 개시 및 장점들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다양한 변경과 변화를, 아래 청구항에 개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제한적 의미가 아니라, 본 개시의 설명적 예시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능한 모든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2)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아이템 영역 및 상기 제1카테고리와 다른 제2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복수의 제2아이템들을 스크롤링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해서, 상기 제2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2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를 스크롤링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제1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해서, 상기 복수의 제1아이템들을 상기 제2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제2아이템들을 상기 제1아이템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1아이템 영역에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제1아이템들은 스크롤러블하지 않고, 상기 제2아이템 영역에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제1아이템들은 스크롤러블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템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아이템들은 선택가능하지 않고, 상기 제2아이템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아이템들은 선택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아이템 리스트의 상기 제1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아이템 리스트의 상기 제1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아이템 리스트의 상기 제2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아이템 리스트의 상기 제2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아이템 영역과 상기 제2아이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의 첫번째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배열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전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상기 제2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2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2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제1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아이템 영역 및 상기 제1카테고리와 다른 제2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아이템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복수의 제2아이템들을 스크롤링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해서, 상기 제2아이템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제2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를 스크롤링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신된, 상기 제1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해서, 상기 복수의 제1아이템들을 상기 제2아이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제2아이템들을 상기 제1아이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아이템 영역에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제1아이템들은 스크롤러블하지 않고, 상기 제2아이템 영역에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제1아이템들은 스크롤러블한,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템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아이템들은 선택가능하지 않고, 상기 제2아이템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아이템들은 선택가능한, 디스플레이 방법.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템 영역에 표시할 때, 상기 아이템 리스트의 상기 제1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아이템 리스트의 상기 제1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에 표시될 때, 상기 아이템 리스트의 상기 제2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거나 및/또는 상기 아이템 리스트의 상기 제2아이템들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이템 영역과 상기 제2아이템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영역을 특정한 목적을 위한 아이템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의 첫번째 위치에 광고 아이템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전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상기 제2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2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에 상기 광고 아이템의 일부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아이템 영역을 선택하는 입력에 응답해서, 상기 광고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아이템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2 아이템들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1. 삭제
  22. 삭제
KR1020150000868A 2015-01-05 2015-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14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868A KR102314109B1 (ko) 2015-01-05 2015-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CT/KR2015/014265 WO2016111488A1 (en) 2015-01-05 2015-12-2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RU2017127706A RU2697835C2 (ru) 2015-01-05 2015-12-24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EP16150034.3A EP3041248A1 (en) 2015-01-05 2016-01-0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4/986,963 US10152205B2 (en) 2015-01-05 2016-01-0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20209285.4A EP3823294A1 (en) 2015-01-05 2016-01-04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201610006927.5A CN105872681B (zh) 2015-01-05 2016-01-05 显示装置和显示方法
CN201910488873.4A CN110213639A (zh) 2015-01-05 2016-01-05 显示装置和显示方法
US16/176,119 US11169662B2 (en) 2015-01-05 2018-10-31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868A KR102314109B1 (ko) 2015-01-05 2015-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239A KR20160084239A (ko) 2016-07-13
KR102314109B1 true KR102314109B1 (ko) 2021-10-18

Family

ID=5508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868A KR102314109B1 (ko) 2015-01-05 2015-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152205B2 (ko)
EP (2) EP3041248A1 (ko)
KR (1) KR102314109B1 (ko)
CN (2) CN110213639A (ko)
RU (1) RU2697835C2 (ko)
WO (1) WO2016111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6483B2 (en) * 2018-03-30 2021-08-10 Salesforce.Com, Inc. Global filter
KR20200053322A (ko) * 2018-11-08 2020-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2634A (ko) * 2019-07-26 2021-02-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과 통신하는 컴퓨터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708A (en) * 1995-05-05 1997-10-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list on a display screen
US5956035A (en) * 1997-05-15 1999-09-21 Sony Corporation Menu selection with menu stem and submenu size enlargement
US6678891B1 (en) * 1998-11-19 2004-01-13 Prasara Technologies, Inc. Navigation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ve television
SE514282C2 (sv) * 1999-04-22 2001-02-05 Nokia Multimedia Terminals Oy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rullbar krysspunktnavigering i ett användargränssnitt
JP2001069580A (ja) * 1999-08-31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機器コントロール装置
US8490134B2 (en) * 2000-08-14 2013-07-16 Cumnor Technologies Llc Displaying advertising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DE60136377D1 (de) * 2000-08-14 2008-12-11 Media Partners Dba Americast Anzeigen von werbung in einer interaktiven programmzeitschrift
US7117439B2 (en) * 2001-10-19 2006-10-03 Microsoft Corporation Advertising using a combination of video and banner advertisements
SE0202664L (sv) 2002-09-09 2003-11-04 Zenterio Ab Grafiskt användargränssnitt för navigering och selektion från olika valbara alternativ presenterade på en bildskärm
US20040169688A1 (en) * 2003-02-27 2004-09-02 Microsoft Corporation Multi-directional display and navigation of hierarchical data and optimization of display area consumption
US20040205175A1 (en) * 2003-03-11 2004-10-14 Kammerer Stephen J. Communications system for monitoring user interactivity
JP4240293B2 (ja) * 2003-05-27 2009-03-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再生方法
US7472356B2 (en) 2004-02-11 2008-12-30 Microsoft Corporation Collapsible container with semi-collapsed view
JP4145868B2 (ja) * 2004-12-03 2008-09-0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US8205172B2 (en) * 2005-03-31 2012-06-19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web browser history toolbar
KR100594050B1 (ko) * 2005-05-1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US7761812B2 (en) * 2005-07-27 2010-07-20 Microsoft Corporation Media user interface gallery control
JP4062707B2 (ja) * 2006-05-01 2008-03-19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7300565A (ja) * 2006-05-03 2007-11-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マルチ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
US7880728B2 (en) 2006-06-29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witching via a touch screen interface
JP4827644B2 (ja) * 2006-07-27 2011-11-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遠隔用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
US8250490B2 (en) * 2006-12-18 2012-08-21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image control apparatus
US20090044147A1 (en) * 2007-08-08 2009-02-12 Marc Alringer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dynamic advertisements on web pages
US8601392B2 (en) * 2007-08-22 2013-12-03 9224-5489 Quebec Inc. Timeline for presenting information
KR101512131B1 (ko) * 2008-01-15 2015-04-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222765A1 (en) * 2008-02-29 2009-09-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daptive thumbnail scrollbar
US9274681B2 (en) * 2008-03-26 2016-03-01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88726B1 (ko) * 2008-05-27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8099332B2 (en) * 2008-06-06 2012-01-1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management for a mobile device
KR101477743B1 (ko) * 2008-06-16 2014-12-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JP2011018085A (ja) * 2008-06-19 2011-01-27 Panasonic Corp 情報処理装置
JP2010250554A (ja) 2009-04-15 2010-11-04 Sony Corp メニュー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866995B (zh) 2009-04-16 2012-08-08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发光二极管封装结构
US8601389B2 (en) * 2009-04-30 2013-12-03 Apple Inc. Scrollable menus and toolbars
DE112010003602T5 (de) * 2009-09-09 2012-08-23 Mattel, Inc. System und Verfahren zum Anzeigen, Navigieren und Auswählen von elektronischgespeichertem Inhalt auf einem Multifunktionshandgerät
CN102835124B (zh) * 2010-04-09 2016-04-13 Lg电子株式会社 图像显示设备和用于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JP5533165B2 (ja) * 2010-04-09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50326B2 (en) * 2010-06-08 2014-09-30 Anchorfre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web browser to display advertising materials to user
JP2011043809A (ja) * 2010-08-11 2011-03-03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22490A (ko) * 2010-09-02 2012-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8756502B2 (en) * 2010-09-08 2014-06-17 Sony Corporation Minimal and preferential option user interface
JP2012079065A (ja) * 2010-09-30 2012-04-19 Toshiba Corp 電子機器、アイコンの表示方法、電子機器のプログラム
JP5652652B2 (ja) 2010-12-27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1824991B1 (ko) * 2011-05-20 2018-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소스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33330A (ja) * 2011-08-01 2013-02-1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145268A1 (en) * 2011-12-02 2013-06-06 Adobe Systems Incorporated Frame control
JP5238872B2 (ja) * 2011-12-02 2013-07-1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79333B1 (ko) * 2011-12-06 201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배열방법
KR20130095968A (ko) * 2012-02-21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폴더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937636B2 (en) * 2012-04-20 2015-01-20 Logitech Europe S.A. Using previous selection information in a user interface having a plurality of icons
KR102005315B1 (ko) * 2012-07-23 2019-07-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4052903A (ja) * 2012-09-07 2014-03-20 Sharp Corp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2713258A1 (en) * 2012-09-27 2014-04-02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Method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menu
KR20140057038A (ko) * 2012-11-02 201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리스트 표시 방법
KR102082699B1 (ko) * 2013-01-14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아이콘 편집 방법
US20140237357A1 (en) * 2013-02-20 2014-08-21 Google Inc. Two-dimensional document navigation
US9921711B2 (en) * 2013-03-14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ally expanding panes
CN105474157A (zh) * 2013-05-09 2016-04-06 亚马逊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设备界面
KR20140139647A (ko) * 2013-05-27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아이콘을 재배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517149A (zh) 2013-07-15 2014-01-15 厦门华侨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android平台智能电视的主页设计方法
KR20150017099A (ko) * 2013-08-06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지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036126B1 (de) * 2013-08-20 2020-07-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edienverfahren für eine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und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KR20150025613A (ko) * 2013-08-29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TWI514241B (zh) * 2013-10-31 2015-12-21 Synology Inc 在螢幕上管理圖式之方法
CN103686401A (zh) * 2013-11-28 2014-03-26 张翼翔 一种机顶盒中的接口控制方法、接口控制设备以及机顶盒和电视系统
CN111488111B (zh) * 2014-01-23 2023-10-20 苹果公司 虚拟计算机键盘
US11494048B2 (en) * 2014-09-04 2022-11-08 Home Box Office, Inc. View virtualization
US20160283984A1 (en) * 2015-03-26 2016-09-29 Tangome, Inc. Chat advertisements
US20170206569A1 (en) * 2016-01-14 2017-07-20 Pandora Media, Inc. Reviewing Messages Presented During a Stream of Media Content
AU2017100879B4 (en) * 2016-07-29 2017-09-28 Apple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user interface controls at touch-sensitive secondary display
US10732996B2 (en) * 2016-09-23 2020-08-04 Apple Inc. Dynamic function row constraints
US20180137541A1 (en) * 2016-11-17 2018-05-17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duplication in impressions data
JP6910898B2 (ja) * 2017-09-08 2021-07-2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65013A1 (en) 2019-02-28
US10152205B2 (en) 2018-12-11
RU2017127706A (ru) 2019-02-07
EP3041248A1 (en) 2016-07-06
RU2697835C2 (ru) 2019-08-21
EP3823294A1 (en) 2021-05-19
CN110213639A (zh) 2019-09-06
CN105872681A (zh) 2016-08-17
KR20160084239A (ko) 2016-07-13
US11169662B2 (en) 2021-11-09
US20160196017A1 (en) 2016-07-07
CN105872681B (zh) 2019-06-28
WO2016111488A1 (en) 2016-07-14
RU2017127706A3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32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74244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04122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6017059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05763920B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EP332178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2017012481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8536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111696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05697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6023191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EP3032392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70285767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7007544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59343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647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