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443A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5443A KR20170075443A KR1020150185097A KR20150185097A KR20170075443A KR 20170075443 A KR20170075443 A KR 20170075443A KR 1020150185097 A KR1020150185097 A KR 1020150185097A KR 20150185097 A KR20150185097 A KR 20150185097A KR 20170075443 A KR20170075443 A KR 201700754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light
- item
- items
- user input
- image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하고,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으로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하고,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으로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화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TV(television)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TV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하고,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아이템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후보 아이템의 좌표에 기초하여,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분산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후보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분산 또는 표준편차의 값이 최소인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할 때,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아이템 또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현재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아이템의 좌표를 포함하며, 히스토리 데이터는,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하이라이트가 위치했던 아이템들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기설정된 수의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이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히스토리 데이터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에에 따른 후보 아이템들은,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들일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아이템을 2D(2-dimensional) 그리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다른 감지부는, 하이라이트를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단계,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하는 단계,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아이템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후보 아이템의 좌표에 기초하여, 분산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후보 아이템들 중에서, 분산 또는 표준편차의 값이 최소인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할 때,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아이템 또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현재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아이템의 좌표를 포함하며, 히스토리 데이터는,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하이라이트가 위치했던 아이템들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이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히스토리 데이터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아이템들은,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들일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아이템을 2D(2-dimensional) 그리드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하이라이트를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5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의 좌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5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템의 좌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평면(flat) 영상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영상 표시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영상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키거나 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포인팅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는, 특정 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포인팅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템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아이템은, 2D(2-Dimensional) 그리드(grid) 형태로 표시되는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이템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와 같이 TV 채널별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아이템, 뉴스와 관련된 이미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아이템으로 각 방송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EPG를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가 EPG를 표시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에 따라 방송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표시되는 아이템들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영상 표시 장치(100)가 표시되는 복수의 아이템 중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때, 하이라이트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특정 아이템(10) 상에 위치할 때, 제어 장치(200)에서 아래쪽 방향의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아이템(20) 또는 아이템(30)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뉴스를 나타내는 복수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날씨, 실시간 뉴스, 분야별 정보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표시되는 복수의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40)를 하이라이트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뉴스를 나타내는 이미지 각각은,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이미지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때, 하이라이트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아이콘 각각은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아이콘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때, 하이라이트가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는 현재 위치하는 아이템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킨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a)는, 제어 장치(200)의 아래쪽 방향의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때,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아이템이 2개 이상인 경우, 제일 오른쪽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21)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아래쪽 방향의 키 입력이 감지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a)는 하이라이트를 아이템(2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아이템(22)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다시 아래쪽 방향의 키 입력이 감지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a)는 하이라이트를 아이템(2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200)에서 아래쪽 방향의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반복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a)는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하이라이트를 오른쪽으로 비스듬한 궤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감지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하이라이트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될 수 있다.
도 3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310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한다. 여기서, 아이템은, EPG에서 각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엘리먼트,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이미지 및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아이템 중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하이라이트는 색상 또는 경계선을 이용하여 선택된 아이템을 다른 아이템들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320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리모콘 또는 휴대폰과 같은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제어 장치(200)의 4방향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아이템들은,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보 아이템들은,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의 아래쪽 부분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일 수 있다. 따라서, 비정형 그리드 형태와 같이 크기가 다른 복수의 아이템들이 표시되는 경우, 후보 아이템들이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아이템들 중에서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현재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아이템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히스토리 데이터는,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하이라이트가 위치했던 아이템들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의 좌표는, 아이템이 화면에서 차지하는 물리적 공간을 나타내는 영역에서 중심이 되는 지점의 좌표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좌표는, 아이템이 화면에서 차지하는 물리적 공간을 나타내는 영역에서 좌측 상단의 지점의 좌표로 나타낼 수도 있다. 아이템의 좌표를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는, 분산 또는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후보 아이템의 좌표에 기초하여,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분산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후보 아이템들 중에서, 계산된 분산 또는 표준편차의 값이 최소인 아이템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선택된 아이템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아이템들 중에서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함으로써, 하이라이트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a 내지 도 4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하이라이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1(401)에서 아이템2(402)로 이동한 후에, 현재 아이템 3(403)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쪽 방향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아이템3(403)의 아래쪽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하이라이트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후보 아이템은 아이템3(403)의 아래쪽 부분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 A(404) 및 아이템 B(405)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후보 아이템들(예를 들어, 아이템A(404) 및 아이템B(405))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은 y축 방향이고, y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x축 방향이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후보 아이템들(예를 들어, 아이템A(404) 및 아이템B(405)) 중에서, x축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x축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후보 아이템들의 좌표에 기초하여 계산된 분산 또는 표준편차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를 분산으로 나타내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현재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아이템3(403)의 좌표와 히스토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스토리 데이터는, 하이라이트가 현재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하이라이트가 위치했던 아이템들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아이템1(401) 및 아이템2(402)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가 아이템A(404)로 이동하면, x축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편의상, 아이템1(401), 아이템2(402), 아이템3(403), 및 아이템A(404)의 x축 좌표는 각각 x(1), x(2), x(3), 및 x(A)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x(1), x(2), x(3), 및 x(A)의 평균값은 E1(x)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하이라이트가 아이템B(405)으로 이동하면, x축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수식에서, 아이템B(405)의 x축 좌표는 x(B)로 나타낼 수 있으며, x(1), x(2), x(3), 및 x(B)의 평균값은 E2(x)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하이라이트가 아이템B(405)로 이동할 때보다 아이템A (404)로 이동할 때의 분산이 더 작기 때문에,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를 아이템A(404)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설정에 따라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왼쪽에 있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아이템A(404) 또는 아이템B(405)로 이동할 때,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분산이 동일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가장 왼쪽에 있는 후보 아이템인 아이템A(404)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템의 선택 기준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할 때,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오른쪽에 있는 아이템(예를 들어, 아이템B(405))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하이라이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1(501)에서 아이템2(502)로 이동한 후에, 현재 아이템3(503)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른쪽 방향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를 아이템3(503)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하이라이트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므로, 후보 아이템은 아이템3(503)의 오른쪽 부분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A(504) 및 아이템B(505)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후보 아이템들(예를 들어, 아이템A(504) 및 아이템B(505))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은 x축 방향이고, x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y축 방향이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후보 아이템들(예를 들어, 아이템A(504) 및 아이템B(505)) 중에서, y축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y축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후보 아이템들의 좌표를 이용하여 계산된 분산 또는 표준편차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가 아이템A(504)로 이동하면, y축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수식에서, 아이템1(501), 아이템2(502), 아이템3(503), 및 아이템A(504)의 y축 좌표는, 편의상 y(1), y(2), y(3), 및 y(A)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y(1), y(2), y(3), 및 y(A)의 평균값은 E1(y)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하이라이트가 아이템B(505)로 이동하면, y축 방향에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의 수식에서, 아이템B(505)의 y축 좌표는 y(B)로 나타낼 수 있으며, y(1), y(2), y(3), 및 y(B)의 평균값은 E2(y)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이라이트가 아이템A(504)로 이동할 때보다 아이템B (505)로 이동할 때의 분산이 더 작기 때문에,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를 아이템B (505)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설정에 따라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위쪽에 있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아이템A(504) 또는 아이템B(505)로 이동할 때,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분산이 동일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가장 위쪽에 있는 후보 아이템인 아이템A(504)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아이템의 선택 기준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할 때,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아래쪽에 있는 아이템(예를 들어, 아이템B(505))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아이템의 좌표를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후보 아이템들의 좌표에 기초하여,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아이템의 좌표들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템이 화면에 표시될 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각 아이템의 좌표를 x축 좌표 및 y축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아이템의 좌표는, 각 아이템이 차지하는 영역에서 중심이 되는 지점의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x축과 y축이 교차하는 지점의 좌표를 (0, 0)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아이템(601)의 좌표는 (1, 1), 아이템(602)의 좌표는 (3, 1), 아이템(603)의 좌표는 (2, 3), 아이템(604)의 좌표는 (2, 5), 아이템(605)의 좌표는 (1, 7), 아이템(606)의 좌표는 (3, 7)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아이템의 좌표는, 각 아이템이 차지하는 영역에서 좌측 상단의 지점의 좌표로 나타낼 수도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a 및 도 7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하이라이트는 아이템1(711)에서 아이템2(712)로 이동하고, 아이템2(712)에서 아이템3(713)으로 이동하여, 현재 아이템3(713)에 위치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가 아이템 1(711)에서 아이템3(713)으로 이동하는 동안,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향은 y축 방향으로 계속 동일하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아이템1(711), 아이템2(712), 및 아이템3(713)의 좌표를 히스토리 데이터(700)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이 y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히스토리 데이터(700)를 초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를 아이템4(714)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이라이트가 아이템4(714)로 이동된 후에, 오른쪽 방향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다시 감지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아이템4(714)의 좌표를 히스토리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스토리 데이터(700)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동안,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아이템들의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히스토리 데이터(700)는, 도 7a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하이라이트의 현재 위치뿐만 아니라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때, 불필요한 조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템이 2D 비정형 그리드(grid)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에도,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이라이트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영상 표시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아이템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와 같이 TV 채널별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아이템, 뉴스와 관련된 이미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아이템을 2D 그리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아이템은 도 4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부(120)는,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20)는, 리모콘 또는 휴대폰과 같은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입력은, 상, 하, 좌, 우를 포함하는 4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응되는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은,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이 아래쪽 방향인 경우, 후보 아이템들은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의 아래쪽 부분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현재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아이템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히스토리 데이터는,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하이라이트가 위치했던 아이템들의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분산 또는 표준편차로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후보 아이템의 좌표에 기초하여,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분산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분산 또는 표준편차의 값이 최소인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할 때,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아이템 또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한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할 때, 후보 아이템들 중에서 선택되는 아이템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이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히스토리 데이터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선택된 아이템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감지부(130) 이외에, 비디오 처리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입/출력부(170),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감지부(130)에 대하여, 도 9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10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1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1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1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들 중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은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도 있다.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튜너부(14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40)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은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블루투스(152) 통신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로부터 블루투스 타입의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1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3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3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가 영상 표시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식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마이크(131)는 사용자의 발화된 음성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31)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3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3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3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3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3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5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가 영상 표시 장치(100)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식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132)는 사용자의 얼굴 등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 커서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3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3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3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32)는 영상 표시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3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3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33)는 외부의 제어 장치(2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20)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33)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 수신부(133)는, 제어 장치(200)의 2방향 키 또는 4방향 키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미도시)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한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현재 하이라이트가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의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이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저장부(190)에 저장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초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80), 디스플레이부(120), 오디오 처리부(115),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3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영상 표시 장치(100) 및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110)의 롬(182), 램(181)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90)는,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하고,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아이템으로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를 가지는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튜너부(140)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10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하고,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아이템으로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후보 아이템의 좌표에 기초하여,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분산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분산 또는 표준편차의 값이 최소인 아이템을 선택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할 때,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아이템 또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현재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아이템의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하이라이트가 위치했던 아이템들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기설정된 수의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이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초기화시키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아이템들은,
상기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들인,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2D(2-dimensional) 그리드 형태로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이라이트를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영상 표시 장치.
-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에서 선택된 아이템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후보 아이템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아이템으로 상기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최소가 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후보 아이템의 좌표에 기초하여, 분산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분산 또는 표준편차의 값이 최소인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후보 아이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하이라이트의 위치 변화가 동일할 때, 상기 후보 아이템들 중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아이템 또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는,
히스토리 데이터 및 현재 하이라이트가 위치하는 아이템의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는, 상기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하이라이트가 위치했던 아이템들의 좌표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이 상기 하이라이트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아이템들은,
상기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이라이트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아이템과 접하고 있는 아이템들인, 영상 표시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템을 2D(2-dimensional) 그리드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라이트를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 제 1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의 영상 표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097A KR102407191B1 (ko) | 2015-12-23 | 2015-12-23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US15/273,144 US10310709B2 (en) | 2015-12-23 | 2016-09-22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for determining a candidate item to sele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5097A KR102407191B1 (ko) | 2015-12-23 | 2015-12-23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5443A true KR20170075443A (ko) | 2017-07-03 |
KR102407191B1 KR102407191B1 (ko) | 2022-06-13 |
Family
ID=5908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5097A KR102407191B1 (ko) | 2015-12-23 | 2015-12-23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310709B2 (ko) |
KR (1) | KR1024071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76475A (ko) * | 2015-12-24 | 2017-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US11145397B1 (en) * | 2020-01-31 | 2021-10-12 | Express Scripts Strategie Development, Inc. |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detection of loose pharmacy item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16641A1 (en) * | 2006-03-20 | 2007-09-20 | Motorola, Inc. | User interface stabilization method and system |
US20090113330A1 (en) * | 2007-10-30 | 2009-04-30 | John Michael Garrison | Method For Predictive Drag and Drop Operation To Improve Accessibility |
US20120005058A1 (en) * | 2010-06-30 | 2012-01-05 |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Based Target Prediction and Interaction |
US20130212624A1 (en) * | 2012-02-13 | 2013-08-15 | Asami OKADA | Program guide display device, program guide display method, and program guide display program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928105B1 (en) | 1996-09-18 | 2003-06-25 | Access Co., Ltd. | Internet television apparatus |
US6892360B1 (en) * | 1998-08-05 | 2005-05-10 | Sun Microsystems, Inc. | Focus traversal mechanism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
US7839385B2 (en) * | 2005-02-14 | 2010-11-23 | Hillcrest Laboratories,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television applications using 3D pointing |
EP1911279A2 (en) * | 2005-07-22 | 2008-04-16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Device for proces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to be displayed by an electronic equipment within pages associated to time references |
US20070067744A1 (en) * | 2005-08-11 | 2007-03-22 | Lane David M | System and method for the anticipation and execution of icon selection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
JP2008180803A (ja) * | 2007-01-23 | 2008-08-07 | Sony Corp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8194037B2 (en) * | 2007-12-14 | 2012-06-05 | Apple Inc. | Centering a 3D remote controller in a media system |
KR20100113704A (ko) * | 2009-04-14 | 2010-10-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아이템 선택 방법 및 장치 |
KR20100138383A (ko) * | 2009-06-25 | 2010-12-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의 채널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
US9542091B2 (en) * | 2010-06-04 | 2017-01-10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dynamic object selection indicator |
KR101730422B1 (ko) * | 2010-11-15 | 2017-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TWI490769B (zh) * | 2011-05-12 | 2015-07-01 |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 捷徑圖示的定位系統及方法 |
EP2570903A1 (en) * | 2011-09-15 | 2013-03-20 | Uniqoteq Oy |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enabling selection of an object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KR20130065250A (ko) * | 2011-12-09 | 2013-06-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
JP5102412B1 (ja) * | 2011-12-27 | 2012-12-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EP2753092A1 (en) * | 2013-01-02 | 2014-07-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coordinates using the same |
US9877080B2 (en) * | 2013-09-27 | 2018-01-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KR20150081012A (ko) * | 2014-01-03 | 2015-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2171990B1 (ko) | 2014-02-11 | 2020-10-3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의 정보 제공 방법과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제어 방법과 원격 제어 장치 |
EP2934017A1 (en) * | 2014-04-07 | 2015-10-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20160077686A1 (en) * | 2014-05-21 | 2016-03-17 | NPG Technology, S.A. | Easy-to-use grid-based user interface and navigation model for smart tv devices |
-
2015
- 2015-12-23 KR KR1020150185097A patent/KR102407191B1/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
- 2016-09-22 US US15/273,144 patent/US103107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216641A1 (en) * | 2006-03-20 | 2007-09-20 | Motorola, Inc. | User interface stabilization method and system |
US20090113330A1 (en) * | 2007-10-30 | 2009-04-30 | John Michael Garrison | Method For Predictive Drag and Drop Operation To Improve Accessibility |
US20120005058A1 (en) * | 2010-06-30 | 2012-01-05 | Trad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Based Target Prediction and Interaction |
US20130212624A1 (en) * | 2012-02-13 | 2013-08-15 | Asami OKADA | Program guide display device, program guide display method, and program guide display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310709B2 (en) | 2019-06-04 |
US20170185245A1 (en) | 2017-06-29 |
KR102407191B1 (ko) | 2022-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4328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14806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KR102347069B1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EP3242472B1 (en) |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25232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KR20160097867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US11500509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 |
KR102474244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CN105763921B (zh) | 图像显示设备和方法 | |
EP3024220A2 (en)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
KR102659287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081953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EP3038374A1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KR102589853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KR102407191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KR20170076475A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
KR102593437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70101077A (ko) | 서버,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