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069B1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069B1
KR102347069B1 KR1020150178513A KR20150178513A KR102347069B1 KR 102347069 B1 KR102347069 B1 KR 102347069B1 KR 1020150178513 A KR1020150178513 A KR 1020150178513A KR 20150178513 A KR20150178513 A KR 20150178513A KR 102347069 B1 KR102347069 B1 KR 10234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connection method
peripheral devic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689A (ko
Inventor
임병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069B1/ko
Priority to PCT/KR2016/014153 priority patent/WO2017105015A1/en
Priority to CN201680073052.9A priority patent/CN108370386B/zh
Priority to EP16875957.9A priority patent/EP3371960A4/en
Priority to US15/370,314 priority patent/US10019224B2/en
Publication of KR20170070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Communications Circuitry), 프로세서(Processor), 메모리(Memory)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미리 설정된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 신호를 외부의 오디오 장치로 출력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시어터를 비롯한 향상된 사운드에 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TV,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PC, 비디오 게임기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를, 사용자에게 높은 음질의 사운드를 제공하는 오디오 장치에 연결하여, 고음질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는 서로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수의 연결 방식들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연결 방식들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직접 선택하고, 선택된 연결 방식으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출력 장치가 연결되도록 설정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와 외부의 오디오 장치를 연결할 때, 현재 연결되어 있는 유/무선 연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최적화된 연결 방식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Communications Circuitry), 프로세서(Processor), 메모리(Memory)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미리 설정된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는 제1 주변 기기 및 제2 주변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주변 기기에 대해 선택된 제1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주변 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주변 기기에 대해 선택된 제2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주변 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On)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오디오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오디오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는, 상기 오디오 연결 방식들 각각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연결 방식들은, 유선 연결 방식 및 무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연결 방식은, HDMI 연결 방식, Optical 연결 방식 및 AUX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HDMI 연결 방식, 상기 Optical 연결 방식, 상기 Aux 연결 방식 순서로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연결 방식 및 와이-파이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파이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은,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는 제1 주변 기기 및 제2 주변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주변 기기에 대해 선택된 제1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주변 기기에 대해 선택된 제2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On)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오디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방법은,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는, 상기 오디오 연결 방식들 각각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연결 방식들은, 유선 연결 방식 및 무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연결 방식은, HDMI 연결 방식, Optical 연결 방식 및 AUX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HDMI 연결 방식, 상기 Optical 연결 방식, 상기 Aux 연결 방식 순서로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연결 방식 및 와이-파이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파이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자동으로 최적화된 오디오 연결 방식을 제공하므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복잡한 설정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으로, 전자 장치와 오디오 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 중 가장 고음질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연결 방식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도 3의 저장부(39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주변 기기 간의 오디오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주변 기기 간의 오디오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주변 기기들 간의 오디오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가 검색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가 검색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에서, 전자 장치를 검색하여, 오디오를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들은 TV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대형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블루레이 디스크(Blue ray Disk) 플레이어, 셋탑 박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어 장치(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장치(40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40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4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4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키거나 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400)는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자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주변 기기(20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200)는 오디오 입출력 기능이 포함된 오디오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스피커 장치(예를 들어, 사운드 바, 블루투스 스피커, 네트워크 스피커, 서라운드 스피커 등), 스마트 폰, 휴대폰 도크,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단말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주변 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200)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방식은, BLE(Bluetooth Low Energy),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주변 기기(200)로부터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주변 기기(20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및 오디오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랜, 블루투스 및 유선 이더넷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4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주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주변 기기로부터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 연결 방식으로 주변 기기(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연결 방식은 와이-파이 연결 방식 및 블루투스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1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주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주변 기기에서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 각각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연결 방식들은 유선 연결 방식 및 무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무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연결 방식은, HDMI 연결 방식, Optical 연결 방식 및 Aux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HDMI 연결 방식, Optical 연결 방식, Aux 연결 방식 순서로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연결 방식 및 와이파이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와이파이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블루투스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주변 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부(14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단자(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단자는 HDMI 단자(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41), Optical 단자(143), Aux 단자(14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주변 기기는 도 1의 주변 기기(2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으며, 오디오 장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200)는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오디오 입력부(230) 및 스피커(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20)의 제어에 의해 주변 기기(2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주변 기기(2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랜(예를 들어, 와이- 파이(Wi-Fi)), 블루투스,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무선랜, 블루투스 및 유선 이더넷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 등)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로,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무선 연결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무선 연결 방식은, 와이-파이 연결 방식 및 블루투스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로부터 오디오 입력 모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20)는 오디오 입력 모드의 전환 요청에 대응하여, 오디오 입력 모드를 전환하고, 전환된 입력 모드로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도록 오디오 입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입력부(230)는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입력 받는다. 오디오 입력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입력 단자(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 단자는 HDMI 단자(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31), Optical 단자(233), Aux 단자(23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240)는 통신부(210)에서 수신한 오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의 전자 장치(3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감지부(130), 비디오 처리부(180), 오디오 처리부(115),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60), 튜너부(140), 통신부(150), 입/출력부(170),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통신부(110)는 도 4의 통신부(350)에, 도 2의 프로세서(120)는 도 4의 제어부(310)에, 도 2의 메모리(130)는 도 4의 저장부(390)에, 도 2의 오디오 출력부(140)는 도 4의 오디오 출력부(325) 및 입/출력부(37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4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비디오 처리부(380)는, 전자 장치(3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38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제어부(3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2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3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통신부(350) 또는 입/출력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3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1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31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31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25)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3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325)는 통신부(350) 또는 입/출력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325)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3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25)는 스피커(326), 헤드폰 출력 단자(3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3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325)는 스피커(326), 헤드폰 출력 단자(327) 및 S/PDIF 출력 단자(3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36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3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36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3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3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3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34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3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3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3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39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튜너부(34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340)는 전자 장치(3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3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3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한다.
마이크(3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331)는 전자 장치(3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331)는 통신부(350) 또는 입/출력부(370)를 통해 전자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33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33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332)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3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 커서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33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33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33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33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332)는 전자 장치(3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33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350) 또는 입/출력부(370)를 통해 전자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33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333)는 외부의 제어 장치(4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320)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333)는 제어 장치(40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37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3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3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3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372), PC 포트(PC port, 373), 및 USB 포트(USB port, 3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370)는 HDMI 포트(371), 컴포넌트 잭(372), PC 포트(373), 및 USB 포트(3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3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310)는 전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3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저장부(3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20)로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감지부(330)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자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전자 장치(3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 장치(3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381), 전자 장치(3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382) 및 프로세서(Processor, 3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3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3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3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385-1 내지 3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381), 롬(382), 프로세서(383), 그래픽 처리부(3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385-1 내지 385-n)는 내부 버스(bus)(3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의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383), 롬(382) 및 램(381)을 포함한다.
저장부(39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3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90)는 비디오 처리부(380), 디스플레이부(320), 오디오 처리부(315), 오디오 출력부(325), 전원부(330), 튜너부(340), 통신부(350), 감지부(330), 입/출력부(3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90)는 전자 장치(3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390), 제어부의 롬(382), 램(381) 또는 전자 장치(3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3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전자 장치(3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저장부(3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20)를 가지는 전자 장치(3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3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전자 장치(300)는 전자 장치(300)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3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전자 장치(100, 3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도 4의 저장부(39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장부(390)에는 베이스 모듈(391), 센싱 모듈(392), 통신 모듈(393), 프리젠테이션 모듈(394), 웹 브라우저 모듈(395), 서비스 모듈(39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391)이란 전자 장치(3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391)은 스토리지 모듈(391-1), 보안 모듈(391-2) 및 네트워크 모듈(39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39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프로세서(383)는 스토리지 모듈(391-1)을 이용하여 저장부(39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39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모듈(391-3)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39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392)은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39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39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39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텔레포니 모듈(39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39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39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39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39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39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9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39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39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39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396)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전자 장치(3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400)는 무선 통신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 공급부(460), 저장부(470) 및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20)는 전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2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전자 장치(100, 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전자 장치(100, 3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400)는 전자 장치(100, 300)로 제어 장치(4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전자 장치(100, 3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전자 장치(100, 3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400)로 전자 장치(100, 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 장치(400)로 전자 장치(100, 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 장치(400)로 전자 장치(100, 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제어장치(4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제어장치(4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제어 장치(4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자 장치(100, 3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전자 장치(100, 3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 여부 또는 전자 장치(100, 3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 3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60)는 제어 장치(4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460)는 제어 장치(4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460)는 제어 장치(4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제어 장치(4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제어 장치(4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제어 장치(4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 300)는, 제어 장치(4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는 감지된 제어 장치(4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320)에 표시할 커서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30)를 통하여 감지된 제어 장치(400)의 전송 신호는 전자 장치(100, 300)의 제어부(310)로 전송된다. 제어부(310)는 제어 장치(400)가 전송한 신호로부터 제어 장치(4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 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 장치(4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전자 장치(100,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 30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주변 기기를 검색하고, 주변 기기의 오디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On) 되는 것을 감지하면,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는 오디오 장치일 수 있다. 주변 기기가 검색되면,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기기로부터 오디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 연결 정보는, 주변 기기에서 지원 가능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변 기기에서, 블루투스 연결 방식 및 Aux 연결 방식이 지원된다는 정보), 지원 가능한 오디오 연결 방식 중 유선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유선 케이블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변 기기와 전자 장치 사이에 Aux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주변 기기에서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변 기기와 전자 장치 사이에 Aux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을 때, 블루투스 연결 방식 및 Aux 연결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다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이 가능한 주변 기기가 있는지를 판단하여(S720), 오디오 연결이 가능한 주변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S730).
예를 들어, 오디오 연결이 가능한 주변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주변 기기가 검색되지 않거나, 주변 기기가 검색되었으나, 주변 기기에서 지원되는 오디오 연결 방식이 없는 경우, 주변 기기에서 유선 연결 방식만이 지원되나, 해당 유선 연결 케이블이 주변 기기와 전자 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오디오 연결이 가능한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주변 기기에서 연결 가능한 오디오 연결 방식들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S740).
이때,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 각각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연결 방식들은 유선 연결 방식 및 무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무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연결 방식은, HDMI 연결 방식, Optical 연결 방식 및 Aux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HDMI 연결 방식, Optical 연결 방식, Aux 연결 방식 순서로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연결 방식 및 와이-파이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와이-파이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블루투스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변 기기에서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오디오 연결 방식이, HDMI 연결 방식, 블루투스 연결 방식, 와이 파이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HDMI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주변 기기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750).
예를 들어,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이 HDMI 연결 방식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주변 기기로, 오디오 입력 모드를 HDMI 입력 모드로 전환할 것을 요청하고, 전자 장치(100)의 오디오 출력 모드를 HDMI 출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HDMI 연결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주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주변 기기 간의 오디오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주변 기기(200)는 켜져 있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가 켜지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전원이 온(On)될 수 있다(S810).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200)를 검색할 수 있다(S820).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변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기기(200)로 오디오 연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830).
전자 장치(100)는 주변 기기(200)로부터 오디오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840). 오디오 연결 정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디오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S85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주변 기기에서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의 740 단계(S740)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디오 연결 방식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모드로 전환할 것을 주변 기기(200)에 요청할 수 있다(S860). 주변 기기(200)는 요청에 대응하여, 오디오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880).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870).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주변 기기 간의 오디오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전자 장치(100)는 켜져 있는 상태에서, 주변 기기(200)가 켜지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주변 기기(200)는 전원이 온(On)될 수 있다(S910).
주변 기기(200)의 전원이 온(On)되면, 주변 기기(2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의 전자 장치(100)를 검색할 수 있다(S920).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주변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자 장치(100)가 존재하는 경우, 주변 기기(200)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주변 기기(200)는 검색된 전자 장치(100)로 오디오 연결 요청 및 오디오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930). 오디오 연결 정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오디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S94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주변 기기에서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의 740 단계(S740)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디오 연결 방식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모드로 전환할 것을 주변 기기(200)에 요청할 수 있다(S950). 주변 기기(200)는 요청에 대응하여, 오디오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970).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960).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주변 기기들 간의 오디오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를 검색할 수 있다(S1010).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기기들 중 제1 주변 기기(210)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020). 제1 주변 기기(210)와 오디오 연결이 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기기들 중 제2 주변 기기(220)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1030).
제2 주변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220)로 오디오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1040).
제2 주변 기기(220)는 전자 장치(100)로 오디오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45). 오디오 연결 정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자 장치(100)는 수신한 오디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S105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제2 주변 기기(220)에서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의 740 단계(S740)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디오 연결 방식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모드로 전환할 것을 제2 주변 기기(220)에 요청할 수 있다(S1060). 제2 주변 기기(220)는 요청에 대응하여, 오디오 입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1080).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1070).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제2 주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S1090).
이때, 기존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던 제1 주변 기기(210)와의 연결은 종료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210)와 제2 주변 기기(220)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서라운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또는 스피커 설정 메뉴에서, 외부 스피커를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에 주변의 오디오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주변의 오디오 장치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주변의 제1 오디오 장치(210) 및 제2 오디오 장치(220)를 검색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장치(210) 및 제2 오디오 장치(22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일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 장치(100)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제1 오디오 장치(210) 및 제2 오디오 장치(220)를 검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디오 장치(210) 및 제2 오디오 장치(220)가 검색되면, 제1 오디오 장치(210)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1210) 및 제2 오디오 장치(220)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1220)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디오 장치(210)의 모델명이나 제1 오디오 장치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제2 오디오 장치(220)의 모델명이나 제2 오디오 장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제1 아이콘(1210) 및 제2 아이콘(1220)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 리스트에서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오디오 장치에 대해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1210)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디오 장치(210)에 대해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오디오 장치(210)에서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오디오 연결 방식들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제1 오디오 장치(210)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2 아이콘(1220)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오디오 장치(220)에 대해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제2 오디오 장치(220)에서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오디오 연결 방식들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제2 오디오 장치(220)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들(제1 오디오 장치 및 제2 오디오 장치)를 검색하여, 검색된 오디오 장치들을 나타내는 리스트(13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이전에 검색된 이력이 존재하나, 현재 검색되지 않은 오디오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3)를 나타내는 제3 아이콘(13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3 아이콘(1330)을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3 아이콘(1330)에 대응하는 오디오 장치가 검색되는 경우, 제3 아이콘(1330)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들(제1 오디오 장치 및 제2 오디오 장치)을 검색하여, 검색된 오디오 장치들을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오디오 장치들 각각에 대하여,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 각각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질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들 각각에 대하여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은, 해당 장치에서, 가장 고음질을 출력할 수 있는 연결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오디오 장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1410, 1420)을, 고음질을 출력하는 순서로 오디오 장치 리스트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디오 장치(210)에 대하여 선택된 제1 오디오 연결 방식과 제2 오디오 장치(220)에 대하여 선택된 제2 오디오 연결 방식을 비교하여, 제1 오디오 연결 방식이 제2 오디오 연결 방식보다 고음질을 출력할 수 있는 연결 방식인 경우, 제1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1410)을 제2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1420)보다 리스트 상에서 앞에 배치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들(제1 오디오 장치 및 제2 오디오 장치)을 검색하여, 검색된 오디오 장치들을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오디오 장치들 각각에 대하여,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오디오 방식들을 표시하고, 지원 가능한 오디오 방식들 중 선택된 오디오 방식을 나머지 오디오 방식들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디오 장치(오디오 1, 210)에서 연결 가능한 오디오 방식들은 HDMI 연결 방식, 와이-파이 연결 방식, 블루투스 연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디오 장치(210)와 전자 장치(100) 사이에 HDMI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고, 제1 오디오 장치(210)가 와이-파이 연결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디오 장치에 대한 제1 오디오 연결 방식으로, 블루투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HDMI 연결 방식, 와이-파이 연결 방식, 블루투스 연결 방식이 지원 가능함을 표시하고, 그 중 블루투스 연결 방식을 하이라이트 표시하여, 블루투스 연결 방식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블루투스 연결 방식이 선택되었으며, 이외에도 HDMI 연결 방식, 와이-파이 연결 방식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HDMI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와이-파이를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를 고음질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디오 장치(오디오 2, 220)에서 연결 가능한 오디오 방식들은 Aux 연결 방식, 와이-파이 연결 방식, 블루투스 연결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오디오 장치(220)와 전자 장치(100) 사이에 Aux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고, 제2 오디오 장치(220)가 와이-파이 연결 및 블루투스 연결이 되어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오디오 장치(220)에 대한 제2 오디오 연결 방식으로, 와이-파이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Aux 연결 방식, 와이-파이 연결 방식, 블루투스 연결 방식이 지원 가능함을 표시하고, 그 중 와이-파이 연결 방식을 하이라이트 표시하여, 와이-파이 연결 방식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와이-파이 연결 방식이 선택되었으며, 이외에도 Aux 연결 방식, 블루투스 연결 방식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Aux 케이블을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를 고음질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주변 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을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들(제1 오디오 장치 및 제2 오디오 장치)을 검색하여, 검색된 오디오 장치들을 나타내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오디오 장치들 각각에 대하여,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장치에 대하여,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오디오 연결 방식이 오디오 장치에서 지원되는 경우, 해당 오디오 연결 방식으로 연결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디오 장치(오디오 1, 210)에서는, HDMI 연결 방식, 와이-파이 연결 방식 및 블루투스 연결 방식이 지원될 수 있다. 이때, HDMI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아, 와이-파이 연결 방식 및 블루투스 연결 방식으로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우선 순위에 따라, 와이-파이 연결 방식 및 블루투스 연결 방식 중 블루투스 연결 방식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와이-파이 연결 방식을 제1 오디오 장치(210)에 대한 연결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와이-파이 연결 방식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HDMI 연결이 가능하다는 메시지(16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디오 장치(오디오 2, 220)에서는, Aux 연결 방식, 와이-파이 연결 방식 및 블루투스 연결 방식이 지원되고, Aux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아, 와이-파이 연결 방식이 선택된 경우, 와이-파이 연결 방식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Aux 연결이 가능하다는 메시지(162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가 검색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스피커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주변 기기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주변 기기의 전원이 켜지면, 주변 기기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주변의 전자 장치(100)를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가 주변 기기(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주변 기기(200)는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검색할 수 있다.
주변 기기(200)는 검색된 전자 장치(100)로 주변 기기(200)의 오디오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주변 기기(200)가 검색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17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1720), 주변 기기의 모델 명, 간단한 설명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주변 기기의 오디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주변 기기(오디오 1, 200)에서 전자 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연결 방식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주변 기기(20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주변 기기가 검색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디오 장치(210)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제2 오디오 장치(220)의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제2 오디오 장치(220)의 전원이 켜지면, 제2 오디오 장치(22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검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검색할 수도 있다.
제2 오디오 장치(220)는 검색된 전자 장치(100)로 제2 오디오 장치(220)의 오디오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2 오디오 장치(220)가 검색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18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검색된 제2 오디오 장치(오디오 2)를 나타내는 아이콘(1820), 제2 오디오 장치의 모델 명, 간단한 설명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제2 오디오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1820)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제2 오디오 장치(220)의 오디오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오디오 장치(220)에 대한 오디오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제2 오디오 장치(220)에서 전자 장치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연결 방식이 선택되면,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제2 오디오 장치(2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기존에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던 제1 오디오 장치(210)와의 연결은 종료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오디오 장치(210)와 제2 오디오 장치(220)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서라운드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에서, 전자 장치를 검색하여, 오디오를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230)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23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230)와 연결 가능한 주변의 전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30)는 전자 장치가 검색되면, 검색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리스트(19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1910)는 제1 영상 표시 장치(TV 1, 100a)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192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TV 2, 100b)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19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30)는 전자 장치의 모델명이나, 전자 장치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30)는 전자 장치 리스트(1910)에서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로 이동 단말기의 오디오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1920)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이동 단말기(230)는 이동 단말기의 오디오 연결 정보를 제1 영상 표시 장치(100a)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영상 표시 장치(100a)는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이동 단말기(230)에서 제1 영상 표시 장치(100a)와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연결 방식 중 하나의 연결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 연결 방식이 선택되면, 제1 영상 표시 장치(100a)는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이동 단말기(23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230)는 제1 영상 표시 장치(100a)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23)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Communications Circuitry);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오디오 입/출력 기능을 가지는 주변 기기를 검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검색된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 중 가장 고음질(highest quality)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연결 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로, 오디오 입력 모드를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는 제1 주변 기기 및 제2 주변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주변 기기에 대해 선택된 제1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주변 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주변 기기에 대해 선택된 제2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On)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기능을 가지는 주변 기기를 검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오디오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 중 가장 고음질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연결 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전자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은, 유선 연결 방식 및 무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연결 방식은,
    HDMI 연결 방식, Optical 연결 방식 및 AUX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HDMI 연결 방식, 상기 Optical 연결 방식, 상기 Aux 연결 방식 순서로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연결 방식 및 와이-파이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파이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오디오 입/출력 기능을 가지는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오디오 연결 방식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 중 가장 고음질(highest quality)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연결 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로, 오디오 입력 모드를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모드를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출력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를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선택된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주변 기기는 제1 주변 기기 및 제2 주변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제1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제1 아이콘 및 상기 제2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제2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주변 기기에 대해 선택된 제1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1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2 주변 기기에 대해 선택된 제2 오디오 연결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제2 주변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On)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입/출력 기능을 가지는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오디오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 중 가장 고음질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연결 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연결 방식들은, 유선 연결 방식 및 무선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유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연결 방식은,
    HDMI 연결 방식, Optical 연결 방식 및 AUX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HDMI 연결 방식, 상기 Optical 연결 방식, 상기 Aux 연결 방식 순서로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은,
    블루투스 연결 방식 및 와이-파이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파이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는 상기 블루투스 연결 방식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방법.
  23. 제12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178513A 2015-12-14 2015-12-14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4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513A KR102347069B1 (ko) 2015-12-14 2015-12-14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CT/KR2016/014153 WO2017105015A1 (en) 2015-12-14 2016-12-0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1680073052.9A CN108370386B (zh) 2015-12-14 2016-12-05 电子设备及操作其的方法
EP16875957.9A EP3371960A4 (en) 2015-12-14 2016-12-0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5/370,314 US10019224B2 (en) 2015-12-14 2016-12-0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513A KR102347069B1 (ko) 2015-12-14 2015-12-14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689A KR20170070689A (ko) 2017-06-22
KR102347069B1 true KR102347069B1 (ko) 2022-01-04

Family

ID=5901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513A KR102347069B1 (ko) 2015-12-14 2015-12-14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19224B2 (ko)
EP (1) EP3371960A4 (ko)
KR (1) KR102347069B1 (ko)
CN (1) CN108370386B (ko)
WO (1) WO20171050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2521B2 (en) * 2017-03-22 2018-11-27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DMI arc for estimating latency
WO2020165070A1 (en) * 2019-02-14 2020-08-20 Signify Holding B.V. Determining a reachability of an electronic device over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KR20220004825A (ko) 2019-06-03 2022-01-1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
KR20210087190A (ko) * 2020-01-02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208969A (zh) * 2020-01-03 2020-05-2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声音输出设备的选择控制方法及显示设备
US20230297324A1 (en) * 2020-07-02 2023-09-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udio Control Metho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12019782B (zh) * 2020-08-24 2023-04-14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增强型音频回传通道的控制方法及显示设备
CN114567619B (zh) * 2020-11-27 2023-01-17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设备推荐方法及电子设备
CN115412848A (zh) * 2021-05-27 2022-1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共享方法、装置、终端、音频设备及存储介质
WO2023010993A1 (zh) * 2021-08-05 2023-02-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声音模式设置方法
CN113794919B (zh) * 2021-08-20 2023-08-1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出声设备的设置方法
US11675565B2 (en) 2021-09-07 2023-06-13 ACCO Brands Corporation Audio switching device
CN115086920A (zh) * 2022-06-07 2022-09-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连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0983A1 (en) * 2008-07-11 2010-01-28 Nigel Waites Wireless speaker dongle with auxiliary audio output
US20150237493A1 (en) * 2014-02-17 2015-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ethod and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9979A (en) * 1997-01-30 1999-12-0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most advantageous protocol for use in a computer network
KR100407966B1 (ko) 2001-08-24 2003-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를 이용한 휴대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TWI257816B (en) 2003-12-26 2006-07-01 Mediatek Inc Audio/video display system capable of auto-detecting/selecting audio/video signals and method of the same
JP2007251553A (ja) * 2006-03-15 2007-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アルタイム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CN101075828A (zh) * 2007-07-20 2007-1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与音频设备建立连接的方法
KR101442544B1 (ko) * 2007-12-18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 방법
KR101472785B1 (ko) * 2008-01-07 2014-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최적화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CN101751762A (zh) * 2010-01-15 2010-06-23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通信控制方法和相关设备及通信系统
CN105282866B (zh) * 2010-02-26 2019-07-16 Lg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CN103246708A (zh) * 2013-04-16 2013-08-1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多屏互动搜索方法及其系统
US9406176B2 (en) * 2013-12-16 2016-08-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aging short-range wireless device connection preferences at a vehicle
KR102223376B1 (ko) * 2014-03-14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소스 결정 방법
KR102201906B1 (ko) * 2014-04-29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20983A1 (en) * 2008-07-11 2010-01-28 Nigel Waites Wireless speaker dongle with auxiliary audio output
US20150237493A1 (en) * 2014-02-17 2015-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ethod and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70386B (zh) 2022-02-08
US10019224B2 (en) 2018-07-10
WO2017105015A1 (en) 2017-06-22
EP3371960A1 (en) 2018-09-12
US20170168772A1 (en) 2017-06-15
KR20170070689A (ko) 2017-06-22
EP3371960A4 (en) 2018-12-05
CN108370386A (zh)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069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17844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US1150050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102039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07636749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276855B1 (ko)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6505227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KR10265928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25341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0908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7802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42837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7544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7007647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70101077A (ko) 서버,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